KR20130001297A - 임팩트 툴 - Google Patents

임팩트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297A
KR20130001297A KR1020127028054A KR20127028054A KR20130001297A KR 20130001297 A KR20130001297 A KR 20130001297A KR 1020127028054 A KR1020127028054 A KR 1020127028054A KR 20127028054 A KR20127028054 A KR 20127028054A KR 20130001297 A KR20130001297 A KR 20130001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motor
anvil
mode
impac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993B1 (ko
Inventor
가쓰히로 오오모리
미즈호 나카무라
유타카 이토
노부히로 다카노
도모마사 니시카와
히로노리 마시코
시게루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고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50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20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09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0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3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5347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고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고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 B25B21/026Impact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6/00Portable percussive machines with superimposed rota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shaft of a motor being modified to generate axial impacts on the tool bit
    • B25D16/006Mode changers; Mechanism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임팩트 툴(1)은, 모터(3); 회전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모터(3)에 의해 순방향 및 상기 순방향에 반대인 역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해머(42); 상기 해머(42)의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해머가 상기 순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는 모루(52)로서, 상기 모루(52)를 타격한 해머(42)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루(52)로부터 자유 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모루(52); 및 상기 해머(42)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이동할 수 없게 하는 고정 부재(45A,46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팩트 툴{IMPACT TOOL}
본 발명은 임팩트 툴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보 제2010-264534호에는 해머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 작업을 수행하는 임팩트 드라이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임팩트 드라이버는 고정 작업 동안 소음이 커도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보 제2011-62771호에는 해머를 전방향 및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 작업을 수행하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전자 펄스 드라이버는 임팩트 드라이버에 비해 고정력은 작지만 소음이 작은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팩트 드라이버 또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로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임팩트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팩트 툴을 제공하며, 상기 임팩트 툴은, 모터; 회전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순방향 및 상기 순방향에 반대인 역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해머; 상기 해머의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해머가 상기 순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는 모루(anvil)로서, 상기 모루를 타격한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루로부터 자유 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모루; 및 상기 해머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이동할 수 없게 하는 고정 부재(fixing member)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팩트 툴을 임팩트 드라이버 또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면 상기 해머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해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하면 상기 해머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임팩트 툴은 고정 부재가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때는 임팩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고정 부재가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할 때는 전자 펄스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임팩트 툴은 상기 고정 부재에 지시하여 상기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이동할 수 없게 하는 조작 부재(operating member)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임팩트 툴은 상기 조작 부재를 덮으며, 제1 홈(groove) 및 제2 홈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홈으로부터 돌출할 때 상기 해머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 홈으로부터 돌출할 때 상기 해머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회전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임팩트 툴의 요동으로 인해 모드가 전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복수의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머를 수용하되,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상기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제2 방향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는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부에 대면할 때,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머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해머와 상기 수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낮은 마찰 부재(low frictional member)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해머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해머와 수용 부재 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상기 수용 부재와 관련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낮은 마찰 부재를 느슨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해머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 부재와 낮은 마찰 부재 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임팩트 툴을 제공하며, 상기 임팩트 툴은, 모터; 회전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순방향 및 상기 순방향에 반대인 역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해머; 상기 해머의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해머가 상기 순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는 모루(anvil)로서, 상기 모루를 타격한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루로부터 자유 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모루; 및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를 타격한 후에는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임팩트 툴은 해머가 제2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간단한 구성으로 전자 펄스 모드를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팩트 툴은, 상기 해머의 동작 모드로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유닛(setting unit)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갈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를 타격한 후에는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팩트 툴을 임팩트 드라이버 또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유닛은 제3 모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모터에 인가된 부하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 인가된 부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한 후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처음의 임팩트 드라이버에 비해 고정력은 작지만 소음이 작은 고정력을 제공하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로서 임팩트 툴을 사용할 수 있고,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한 후에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보다 더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임팩트 드라이버로서 임팩트 툴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유닛은 제4 모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임팩트 툴은 드릴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팩트 툴은 임팩트 드라이버 또는 전자 펄스 드라이버로서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자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 및 에워싸는 부품들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 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에서, 도 1의 라인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에서, 도 1의 라인 VII-V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해머부 및 에워싸는 부품들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임팩트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릴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TEKS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로 드릴 스크류를 구동할 때 드릴 스크류와 강철판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볼트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에서 방아쇠를 당긴 양과 모터의 제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에서 방아쇠의 당기는 양과 PWM 듀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에 있는 임팩트 툴에서 방아쇠의 당기는 양에 따른 모터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방아쇠가 오프 상태일 때, 임팩트 툴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방아쇠가 오프 상태일 때, 임팩트 툴의 모터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방아쇠가 오프 상태일 때, 임팩트 툴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 및 에워싸는 부품들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다이얼 및 에워싸는 부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해머부 및 에워싸는 부품들을 도시하는 조립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워셔 및 베어링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의 임팩트 툴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펄스 모드의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결합 모드의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결합 모드의 임팩트 툴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1)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 툴(1)은 하우징(2), 모터(3), 해머부(4), 모루부(anvil section)(5), 회로 기판(33)에 장착된 인버터 회로(도 10 참조), 및 보드(26)에 장착된 제어부(7)를 주로 포함한다. 하우징(2)은 수지로 만들어지며 임팩트 툴(1)의 외통(outer shell)을 구성한다. 하우징(2)은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본체부(21)와 이 본체부(21)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22)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모터(3)는 본체부(21)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모터(3)의 축 방향은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21) 내에는 해머부(4) 및 모루부(5)가 축 방향으로 모터(3)의 한 단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모루부(5) 측을 전면 측이라 하고, 모터(3) 측을 배면 측이라 하며, 모터(3)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한다. 또한, 본체부(21) 측을 상부 측이라 하고, 손잡이부(22) 측을 하부 측이라 하며, 손잡이부(22)가 본체부(21)로부터 연장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또한,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상부에는 조작부(46B)가 튀어나와 있는 제1 구멍(hole)(21a)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46B)에 대해서는 후술되며, 본체부(21)의 배면단 및 배면부에는 주위의 공기를 들어오게 하는 공기 입구(air inlet hole)(21b)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21)의 중앙부에는 공기를 나가게 하는 공기 출구(air outlet hole)(21c)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 내의 전방 위치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해머 케이스(23)가 배치되고, 이 해머 케이스 안에 해머부(4) 및 모루부(5)가 수용된다. 해머 케이스(23)는 지름이 앞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대략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 개구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3a)를 규정하는 내벽에는 금속부(23B)가 제공되어 있다. 해머 케이스(23)의 하부에는 돌출부(45B)가 튀어나오는 제2 구멍(hole)(23b)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5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구멍(23b)에 인접해서 스위치(23A)가 제공된다. 스위치(23A)는 돌출부(45Br)와의 접촉에 따라 주 동작 모드(main operation mode)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며, 주 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개구부(23a)에 인접하고 해머 케이스(23) 아래의 위치에 라이트(2A)가 설치되어, 후술되는 엔드-비트 장착부(end-bit mounting section)(51) 상에 비트를 조명한다. 라이트(2A)는 작업 동안 어두운 장소에서 전방으로 빛을 비춰 작업 위치를 밝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2A)는 후술되는 스위치(2B)를 턴 온 하면 정상적으로 빛을 비추며, 스위치(2B)를 턴 오프 하면 빛이 꺼지도록 되어 있다. 라이트(2A)는 또한 본래의 조명 기능 외에, 모터(3)의 온도가 상승하면 작업자에게 온도 상승을 알려주기 위해 깜박거리는 기능도 있다.
손잡이부(22)는 본체부(21)의 대략 중심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아래로 연장하며, 본체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2)의 상부에는 방아쇠(25) 및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순방항-역방향 전환 레버(2C)가 설치되어있다. 손잡이부(22)의 하부에는 스위치(2B) 및 다이얼(27)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B)는 라이트(2A)를 온 및 오프 하기 위한 것이고, 다이얼(27)은 후술되는 전자 펄스 모드에서 회전 조작으로 복수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부(22)의 하단부에는 반복해서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2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배터리(24)는 재충전가능형 배터리로서 모터(3)에 예를 들어 전력을 공급한다. 손잡이부(22) 내의 하부 위치에는 보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22) 내에는 스위치 메커니즘(22A)이 내장되어, 방아쇠(25)의 조작을 보드(26)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보드(26)는 손잡이부(22) 내에서 리브(rib)(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가 된다. 보드(26)에는 제어부(7), 자이로 센서(26A), LED(26B), 지지 돌출부(26C), 및 다이얼위치 검출소자(26D)(도 1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26)에는 다이얼 지지부(28)도 장착되어 있으며, 이 다이얼 지지부(28)에 다이얼(27)이 위치한다.
여기서, 다이얼(27) 및 다이얼 지지부(28)의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27)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관통구멍(27a)이 다이얼(27) 상에 원주의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27)의 외부 원주 표면상에는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27A)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다이얼(27)을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다이얼(27)의 중앙에는 대략 원통형의 맞물림부(27B)가 도 1에서 아래로 튀어나오도록 제공되어 있다. 맞물림부(27B)의 중앙에는 맞물림 구멍(27b)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27B) 주위에는 4개의 맞물림 갈고리부(27C) 및 4개의 돌출부(27D)가 제공되어 맞물림부(27B)를 에워싼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지지부(28)는 볼(28A), 스프링(28B), 및 복수의 안내 돌출부(28C)를 구비한다. 다이얼 지지부(28)는 스프링 삽입 구멍(28a), 맞물림 구멍(28b), 및 LED 수용 구멍(28c)과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LED 수용 구멍(28c)은 맞물림 구멍(28b)에 대해 스프링 삽입 구멍(28a)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맞물림 구멍(28b)에는 다이얼(27)의 맞물림부(27B), 맞물림 갈고리부(27C), 및 돌출부(27D)가 상부 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보드(26)의 지지 돌출부(26C)도 하부 측으로부터 맞물림 구멍(28b)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다이얼(27)이 지지 돌출부(26C)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얼 지지부(28)의 안내 돌출부(28C)가 다이얼(27)의 오목부 및 볼록부(27A)의 내측 원주에 맞도록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다이얼(27)의 맞물림 갈고리부(27C) 및 돌출부(27D)도 다이얼 지지부(28)의 맞물림 구멍(28b)에 맞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이얼(27)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구멍(28b)에는 단차(도시되지 않음)가 있고, 이 단차에 맞물림 구멍(28b)에 삽입된 맞물림 갈고리부(27C)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 다이얼(27)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볼(28A)은 스프링 삽입 구멍(28a)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28B)에 의해 위로 튕기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이얼(27)을 회전시키면, 볼(28A)의 일부분이 관통구멍(27a) 중 하나에 들어가게 된다. 각각의 관통구멍(27a)은 후술되는 전자 펄스 모드에서 복수의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볼(28A)의 일부분이 관통구멍(27a)에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을 느끼게 되면 모드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보드(26) 상의 LED(26B)는 LED 수용 구멍(28C)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볼(28A)의 일부분이 관통구멍(27a)에 들어가게 되면, LED(26B)는 관통구멍(27a)을 통해 하부 측으로부터 다이얼 실(dial seal)(29)을 조명할 수 있는데, 이 다이얼 실(29)은 볼(28A)의 일부분이 들어가 있는 관통구멍(27a)으로부터 맞물림 구멍(27b)에 대해 180도 반대 위치의 다이얼(27) 상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다이얼 실(29)은 다이얼(27)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전자 펄스 모드에서 클러치 모드, 드릴 모드, TEKS(등록상표로 등록되어 있음) 모드, 볼트 모드, 및 펄스 모드를 나타내는 표식이 다이얼 실(29) 상에 투명한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모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LED(26B) 하에 원하는 모드가 위치하도록 다이얼(27)을 회전시키면 각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LED(26B)의 빛이 다이얼 실(29) 상의 투명한 문자를 비추므로, 작업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작업을 하고 있어도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 및 다이얼(27)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임팩트 툴(1)의 구조에 대해 다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출력 샤프트(31)를 가지는 회전자(rotor)(3A) 및 이 회전자(3A)에 마주하여 배치된 고정자(stator)(3B)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3)는 출력 샤프트(31)의 축 방향이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본체부(21) 내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A)는 복수 세트(본 실시예에서는 2세트)의 북극 및 남극으로 이루어진 영구 자석(3C)을 가진다. 고정자(3B)는 성형 결선(star connection)의 3상 고정자 권선 U, V, W이다. 고정자 권선 U, V, W의 남극 및 북극은 고정자 권선 U, V, W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환되고 이에 의해 고정자(3A)가 회전한다. 또한, 한 세트의 영구 자석(3C)이 고정자 권선 U, V, W(도 6)에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자 권선 U, V, W를 제어함으로써 회전자(3A)를 고정자(3B)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출력 샤프트(31)는 회전자(3A)의 앞뒤로 돌출하고 있으며 돌출부의 베어링을 통해 본체부(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출력 샤프트(31)의 돌출부에는 전면 측에 팬(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팬(32)은 출력 샤프트(31)와 함께 동축으로 회전한다. 출력 샤프트(31)의 돌출부의 전단부에는 전면 측에 피니언 기어(3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니언 기어(31A)는 출력 샤프트(31)와 함께 동축으로 회전한다.
전자 소자들이 탑재되어 있는 회로 기판(33)은 모터(3)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33)의 중심에는 관통구멍(33a)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 샤프트(31)는 이 관통구멍(33a)을 통해 연장한다. 회로 기판(33)의 전방 표면에는, 3개의 회전위치 검출소자(홀 소자(Hall elements))(33A) 및 서미스터(33B)가 전방으로 돌출해서 제공된다. 회로 기판(33)의 후방 표면에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인버터 회로(6)를 구성하는 6개의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가 제공된다. 환언하면, 인버터 회로(6)는 3상 브리지 형태(도 10 참조)로 접속되어 있는 FET와 같이 6개의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을 포함한다.
회전위치 검출소자(33A)는 회전자(3A)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위치 검출소자(33A)는 회전자(3A)의 영구 자석(3C)과 직면하여 제공되며, 회전자(3A)의 외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긴 간격(예를 들어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서미스터(33B)는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미스터(33B)는 좌우 스위칭 소자로부터 동등한 거리의 위치에 제공되며, 뒤에서 보았을 때 고정자(3B)의 고정자 권선 U, V, W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회전위치 검출소자(33A),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 모터(3)의 온도는 쉽게 상승하기 때문에, 회전위치 검출소자(33A),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 모터(3)는 손상되기 쉽다. 그러므로 서미스터(33B)는 회전위치 검출소자(33A),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 모터(3)에 인접해서 배치되며, 이에 따라 회전위치 검출소자(33A),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 모터(3)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부(4)는 기어 메커니즘(41), 해머(42), 압박 스프링(urging spring)(43), 조절 스프링(44), 제1 링형 부재(45), 제2 링형 부재(46), 및 워셔(47 및 48)를 주로 포함한다. 해머부(4)는 모터(3)의 전면 측에서 해머 케이스(23) 내에 수용된다. 기어 메커니즘(41)은 1단 유성 기어 메커니즘(single-stage planetary mechanism)이며, 외부 기어(41A), 두 개의 유성 기어(41B), 및 스핀들(41C)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기어(41A)는 본체부(21) 내에 고정되어 있다.
두 개의 유성 기어(41B)는 태양 기어(sun gear)의 역할을 하는 피니언 기어(31A) 주위에서 피니언 기어(31A)와 맞물려 결합하고 외부 기어(41A) 내에서 외부 기어(41A)와 맞물려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두 개의 유성 기어(41B)는 태양 기어를 가지는 스핀들(41C)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31A)가 회전할 때 두 개의 유성 기어(41B)가 피니언 기어(31A)의 궤도를 돌고, 이 궤도 모션에 의해 감속된 회전이 스핀들(41C)에 전달된다.
해머(42)는 기어 메커니즘(41)의 전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해머(42)는 스핀들(41C)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4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맞물림 돌출부(4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42B)를 가진다. 조절 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 수용부(42C)는 해머(42)의 배면부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스프링(43)의 전단부가 해머(42)에 연결되고 압박 스프링(43)의 후단부가 기어 메커니즘(41)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머(42)는 항상 전단 쪽으로 압박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머부(4)는 조절 스프링(44)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47 및 48)를 통해 스프링 수용부(42C)에 끼워진다. 조절 스프링(44)의 전단부는 해머(42)에 인접해 있고 조절 스프링(44)의 후단부는 제1 링형 부재(45)에 인접해 있다.
제1 링형 부재(45)는 거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사다리꼴 제1 볼록부(45A) 및 돌출부(45B)를 가진다. 복수의 제1 볼록부(45A)는 후방으로 돌출하며 외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 4개의 위치에 배치된다. 돌출부(45B)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 케이스(23)에 형성된 제2 구멍(23b)에 삽입된다. 제2 구멍(23b)은 외주 방향의 길이가 돌출부(45B)에 거의 일치하고 전후 방향의 길이가 돌출부(45B)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링형 부재(45)가 외주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지만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제2 링형 부재(46)는 거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사다리꼴 제2 볼록부(46A) 및 조작부(46B)를 가진다. 복수의 제2 볼록부(46A)는 전방으로 돌출하며 외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 4개의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부(46B)는 위 방향으로 돌출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멍(21a)을 통해 외측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1 구멍(21a)은 외주 방향의 길이가 조작부(46B)보다 더 길고 전후 방향의 길이가 조작부(46B)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작부(46B)를 조작하여 제2 링형 부재(46)를 외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부(46B)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 제1 볼록부(45A) 및 제2 볼록부(46A)는 회전축 방향(전후 방향)에서 볼 때, 외주 방향으로 서로 시프트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 경우, 조절 스프링(44)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확장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해머(42)가 압박 스프링(43)의 압박하는 힘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간이 생긴다. 조작부(46B)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 제1 링형 부재(45)의 돌출부(45B) 및 스위치(23A)는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조작부(46B)를 조작할 때는, 제2 링형 부재(46)가 회전하고, 제1 볼록부(45A)가 제2 볼록부(46A) 위에 올라가게 되며, 이에 의해 제1 링형 부재(45)가 조절 스프링(44)의 압박하는 힘에 대항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절 스프링(44)은 가장 밀접한 접촉 상태에 있게 되고, 해머(42)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조작부(46B)를 조작할 때는, 돌출부(45B) 및 스위치(23A)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스프링(44)의 수축으로 인해 서로 접촉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임팩트 툴(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모루부(anvil section)(5)는 해머부(4)의 전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엔드-비트 장착부(end-bit mounting section)(51) 및 모루(52)로 이루어져 있다. 엔드-비트 장착부(51)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해머 케이스(23)의 개구부(23a) 내에서 금속부(23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엔드-비트 장착부(51)는 비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보어 구멍(51a)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루(52)는 해머 케이스(23) 내에서 엔드-비트 장착부(51)의 배면에 위치하며, 엔드-비트 장착부(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모루(52)는, 엔드-비트 장착부(5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 위치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맞물림 돌출부(5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52B)를 가진다. 해머(42)가 회전하면, 제1 맞물림 돌출부(42A)와 제1 맞물림 돌출부(52A)가 서로 충돌하고, 동시에 제2 맞물림 돌출부(42B)와 제2 맞물림 돌출부(52B)가 서로 충돌하며, 해머(42) 및 모루(52)는 함께 회전한다. 이 모션에 따라, 해머(42)의 회전력이 모루(52)에 전달된다. 해머(42)와 모루(52)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보드(26)에 탑재된 제어부(7)는 배터리(24)에 연결되어 있고, 라이트(2A), 스위치(2B), 순방항-역방향 전환 레버(2C), 스위치(23A), 방아쇠(25), 자이로 센서(26A), LED(26B), 다이얼위치 검출소자(26D), 다이얼(27), 및 서미스터(33B)에도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7)는 전류검출회로(71), 스위치동작 검출회로(72), 인가전압 설정회로(73), 회전방향 설정회로(74), 회전자위치 검출회로(75), 회전속도 검출회로(76), 스트라이킹-임팩트 검출회로(77), 계산부(78), 제어신호 출력회로(79)를 포함한다(도 10 참조).
다음, 모터(3)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버터 회로(6)의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의 각각의 게이트는 제어부(7)의 제어신호 출력회로(79)에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6)의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의 각각의 드레인 또는 소스는 3상 브러시리스 DC 모터(3)의 고정자(3B)의 고정자 권선 U, V, W에 연결되어 있다. 6개의 스위칭 소자 Q1 내지 Q6은 제어신호 출력회로(79)로부터 출력된 신호 H1-H6을 스위칭함으로써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인버터 회로(6)에 인가되는 배터리(24)의 DC 전압은 3상(U상, V상, W상) 전압 Uu, Vv, Ww로서 각각 고정자 권선 U, V, W에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전압이 인가된 고정자 권선 U, V, W, 즉 회전자(3A)의 회전 방향은 스위칭 소자 Q1-Q6에 입력된 스위칭 신호 H1-H6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고정자 권선 U, V, W에 공급되는 전력량, 즉 회전자(3A)의 회전 속도는 스위칭 소자 Q1-Q6에 입력되고 펄스 폭 변조신호(PWM 신호)의 역할을 하는 스위칭 신호 H4, H5, H6에 의해 제어된다.
전류검출회로(71)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류값을 계산부(78)에 출력한다. 스위치동작 검출회로(72)는 방아쇠(25)가 당겨졌는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계산부(78)에 출력한다. 인가전압 설정회로(73)는 방아쇠를 당긴 양에 따라 신호를 계산부(78)에 출력한다.
순방항-역방향 전환 레버(2C)의 전환을 검출하면, 회전방향 설정회로(74)는 모터(3)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계산부(78)에 전송한다.
회전자위치 검출회로(75)는 회전위치 검출소자(33A)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회전자(3A)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계산부(78)에 출력한다. 회전속도 검출회로(76)는 회전위치 검출소자(33A)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회전자(3A)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계산부(78)에 출력한다.
임팩트 툴(1)은 모루(52)에서 생기는 임팩트의 크기를 검출하는 스트라이킹 임팩트 검출센서(80)를 구비한다. 스트라이킹 임팩트 검출회로(77)는 스트라이킹 임팩트 검출센서(80)로부터의 신호를 계산부(78)에 출력한다.
계산부(78)는 프로세싱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기초해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 프로세싱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 및 타이머를 포함하며, 그러나 이러한 소자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계산부(78)는 회전방향 설정회로(74), 회전자위치 검출회로(75), 및 회전속도 검출회로(7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스위칭 신호 H1-H6를 생성하고, 이러한 스위칭 신호 H1-H6를 제어신호 출력회로(79)를 통해 인버터 회로(6)에 출력한다. 또한, 계산부(78)는 인가전압 설정회로(7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스위칭 신호 H1-H6를 조정하고, 이 스위칭 신호 H1-H6를 제어신호 출력회로(79)를 통해 인버터 회로(6)에 출력한다. 스위칭 신호 H1-H3은 PWM 신호로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스위치(2B)로부터의 ON/OFF 신호 및 서미스터(33B)로부터의 온도 신호는 계산부(78)에 입력된다. 라이트(2A)의 점등, 점멸, 소등은 이러한 신호들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의해 작업자에게 하우징(2)의 온도 상승을 알려주게 된다.
계산부(78)는 돌출부(45b)가 스위치(23a)에 접촉할 때 생성되는 신호의 입력에 기초해서, 동작 모드를 후술되는 전자 펄스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계산부(78)는 방아쇠(25)를 당길 때 생기는 신호의 입력에 기초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LED(26B)를 턴 온 한다.
자이로 센서(26A)로부터의 신호도 계산부(78)에 입력된다. 계산부(78)는 자이로 센서(26A)의 속도를 검출하여 모터(3)의 회전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외주 방향으로 다이얼의 위치를 검출하는 다이얼위치 검출소자(26D)로부터의 신호가 계산부(78)에 입력된다. 계산부(78)는 다이얼위치 검출소자(26D)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툴(1)에서 제어부(7)의 사용 가능한 동작 모드 및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툴(1)은 임팩트 모드 및 전자 펄스 모드의 두 가지 메인 모드를 가진다. 이러한 메인 모드는 조작부(46B)가 스위치(23A)와 돌출부(45B)를 서로 접촉 상태 및 비접촉 상태로 함으로써 전환될 수 있다.
임팩트 모드는 해머(42)가 모루(52)를 치도록 하기 위해 모터가 단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모드이다. 임팩트 모드에서는, 조작부(46B)가 도 9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되어 있는데, 해머(42)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스위치(23A)와 돌출부(45B)가 서로 비접촉 상태에 있다. 임팩트 모드에서는, 패스너를 전자 펄스 모드와 비교해서 큰 토크로 구동할 수 있으나, 고정 작업 시에 소음이 크다. 그 이유는, 해머가 모루(52)를 타격할 때, 압박 스프링(43)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받을 때 해머(42)가 모루(52)를 타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루(52)는 회전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축 방향)으로도 충격을 받으며, 이로 인해 축 방향에서의 충격이 공작물을 통해 울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임팩트 모드는 작업을 실외에서 할 때나 큰 토크를 필요로 할 때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임팩트 모드에서는, 모터(3)가 회전할 때, 기어 메커니즘(41)을 통해 회전이 해머(42)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모루(52)는 해머(42)와 함께 회전한다. 고정 작업을 진행할 때 모루(52)의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해머(42)는 압박 스프링(43)의 압박에 저항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압박 스프링(43)에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런 다음, 제1 맞물림 돌출부(42A)가 제1 맞물림 돌출부(52A) 위로 올라타고 제2 맞물림 돌출부(42B)가 제2 맞물림 돌출부(42B) 위로 올라타는 순간에, 압박 스프링(43)에 저장되어 있는 탄성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에 의해 제1 맞물림 돌출부(42A)가 제1 맞물림 돌출부(52B)에 충돌하고 동시에 제1 맞물림 돌출부(42A)가 제1 맞물림 돌출부(52A)에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3)의 회전력이 타격력(striking force)으로서 모루(52)에 전달된다. 사용자는 돌출부(45B)의 위치 및 임팩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조작부(46B)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팩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LED(26B)는 턴 온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임팩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이러한 특징에 의해 인식할 수도 있다.
전자 펄스 모드는 모터(3)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순방향 또는 역방향)이 제어되는 모드이다. 전자 펄스 모드에서, 조작부(46B)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데, 여기서는 해머(4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스위치(23A) 및 돌출부(45B)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전자 펄스 모드에서는, 해머(42)가 모루(52)와 충돌 후에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해머(42)가 모루(52)와 충돌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해머(42)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자 펄스 모드에서는, 임팩트 모드와 비교해 보면,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토크는 작지만, 고정 작업 동안 소음도 작다. 해머(4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해머(42)가 모루(52)와 충돌할 때, 모루(52)는 회전 방향의 충격만을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축 방향의 충격은 공작물을 통해 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자 펄스 모드는 주로 실내에서 작업할 때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본 발명의 임팩트 툴(1)에서, 조작부(46B)를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임팩트 모드 및 전자 펄스 모드를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공간 및 요구되는 토크가 적절한 모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전자 펄스 모드의 5가지 모드를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 펄스 모드는 5가지 동작 모드, 즉 드릴 모드, 클러치 모드, TEKS 모드, 볼트 모드 및 펄스 모드를 추가로 가지며, 이러한 모드들은 다이얼(27)을 조작해서 전환될 수 있다.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도 11에 도시된 개시 전류의 급격한 상승은 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의 고정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개시 전류(starting current)는 결정 시에 고려되지 않는다. 이 개시 전류는 예를 들어 20ms(밀리초)의 불감 시간(dead time)이 제공되면 고려되지 않는다.
드릴 모드는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는 모드이다. 드릴 모드는 주로 목재 스크류 등을 구동할 때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고정 작업이 진행될 때 증가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모드는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고,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목표 값(목표 토크)까지 증가하면 모터(3)의 구동이 정지되는 모드이다. 클러치 모드는 주로 정확한 토크가 중요할 때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고정 작업이 수행된 후에도 패스너가 외부에 보일 때 이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목표 값(목표 토크)은 도 5에 도시된 클러치 모드의 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클러치 모드에서, 방아쇠(25)를 당기면(도 12에서 t1), 예비 개시(preliminary start)가 시작된다. 예비 개시에서, 해머(42)와 모루(52)를 서로 접촉한 상태로 놓기 위해, 제어부(7)는 예비 개시 전압(예를 들어, 1.5V)을 미리 정해진 시간(도 12에서 t2) 동안 모터(3)에 인가한다. 방아쇠(25)를 당기는 시점에서, 해머(42)와 모루(52)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에서 전류가 모터(3)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 해머(42)는 모루(52)에 타격력을 가한다. 이 타격력으로 인해 해머(42)와 모루(52)가 서로 충돌하게 되고 그 목표값(목표 토크)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머(42)와 모루(52)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비 개시가 수행되며, 이에 의해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목표값(목표 토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패스너가 공작물에 안착하게 되면, 전류값은 급격히 상승한다(도 12에서 t3). 이 전류값이 임계값 A를 초과하면, 제어부(7)는 패스너에 토크 공급을 중단한다. 그렇지만, 볼트가 구동될 때 전류값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순방향-회전 전압의 공급을 중단하면 토크가 관성적으로 볼트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에 토크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브레이킹을 위한 역방향-회전 전압을 모터(3)에 인가한다.
이어서, 의사 클러치(pseudo cluch)를 위한 순방향-회전 전압 및 역방향-회전 전압을 모터(3)에 교대로 인가한다(도 12에서 t4). 본 실시예에서, 의사 클러치를 위한 순방향-회전 전압 및 역방향-회전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은 1000ms(1초)로 설정되어 있다. 의사 클러치는 작업자에게 미리 정해진 전류값이 초과되었으므로 미리 정해진 토크가 획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특징을 가진다. 모터(3)는 실제로는 출력을 가지고 있으나, 작업자는 모터(3)가 시뮬레이트된 방식에서는 출력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의사 클러치를 위한 역방향-회전 전압이 인가되면, 해머(42)는 모루(52)로부터 분리된다. 의사 클러치를 위한 순방향-회전 전압이 인가되면, 해머(42)는 모루(52)를 치게 된다. 그렇지만, 의사 클러치를 위한 순방향-회전 전압 및 역방향-회전 전압은 패스너에 고정력을 인가할 정도의 전압(예를 들어, 2V)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 클러치는 단지 스트라이킹 노이즈(striking noise)로서만 생성된다. 의사 클러치의 생성으로 인해, 작업자는 고정 작업의 종료를 알 수 있다. 의사 클러치가 t4 동안 작동한 후, 모터(3)는 자동으로 정지된다(도 12에서 t5).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AK 모드는,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미리 정해진 토크)으로 증가할 때, 모터(3)의 순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교대로 전환되어 드릴 스크류를 타격력으로 고정시키는 모드이다. TEAK 모드는 주로 패스너가 강철판에 고정될 때 사용된다. 드릴 스크류는 강철판에 구멍을 내기 위해 선단부에 드릴 날(drill blade)이 있는 스크류이다. 드릴 스크류(53)는 스크류 헤드(53A), 안착 면(seating surface)(53B), 스크류 부분(53C), 스크류 끝(screw end)(53D), 및 드릴(53E)로 이루어져 있다(도 13b).
TEKS 모드에서는 정확한 토크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으므로, 예비 개시는 생략된다. 먼저, 도 1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스크류(53)의 드릴(53E)이 강철판 S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드릴(53E)로 강철판 S에 파일럿 홀(pilot hole)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터(3)는 높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예를 들어, 17000 rpm)(도 13a의 (a)). 그런 다음, 드릴 스크류(53)의 선단부가 강철판을 파고들어가서 스크류 끝이 강철판 S에 도달하면(도 13b의 (b)), 스크류 부분(53C)과 강철판 S 간의 마찰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류값이 증가한다. 전류값이 임계값(예를 들어, 11A(암페어))을 초과하면(도 13a에서 t2), 모드는 순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반복되는 제1 펄스 모드로 된다(도 13a의 (b)). 본 실시예에서, 제1 펄스 모드 동안, 모터(3)는 회전 속도 a보다 느린 회전 속도 b(예를 들어, 6000 rpm)로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 다음, 좌석 면(53B)이 강철판에 안착하면(도 13b의 (c)), 전류값은 급격하게 상승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류값의 증가 비율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고, 모드는 순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반복되는 제2 펄스 모드로 된다(도 13a에서 t3). 제2 펄스 모드 동안, 모터(3)는 회전 속도 b보다 느린 회전 속도 c(예를 들어, 3000 rpm)로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비트에 의해 드릴 스크류(53)에 인가되는 과도한 토크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드릴 스크류(53) 및 드릴 스크류(53)의 헤드의 슬롯에서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볼트 모드는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미리 정해진 토크)까지 증가할 때, 모터(3)의 순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교대로 전환되어 타격력으로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모드이다.
볼트 모드에서는 정확한 토크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으므로, 클러치 모드에서의 예비 개시에 대응하는 동작은 생략된다. 볼트 모드에서, 먼저 모터(3)는 순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 다음, 모터(3)의 전류값이 임계값 D(도 14에서의 t1)를 초과하면, 볼트 모드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모터(3)에 인가된다(도 14에서의 t2). 볼트 모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모루(52)가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볼트가 고정된다. 볼트 모드 전압은 스크류 헤드의 슬롯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압 비해 순방향 회전의 주기가 더 짧기 때문에 반작용을 완화할 수 있다. 방아쇠(25)를 턴 오프하면, 모터(3)는 정지한다.
펄스 모드는 해머(42)와 모루(52)가 함께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미리 정해진 토크)까지 증가할 때, 모터(3)의 순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교대로 전환되어 타격력으로 패스너를 고정시키는 모드이다. 펄스 모드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곳 등에서 사용되는 긴 스크류를 고정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이 모드에서는,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작물로부터의 반작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고정 작업의 최종 단계에서 패스너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모터(3)는 더 큰 토크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임팩트 툴(1)에서 타격할 때 생기는 반작용을 증가시킨다. 반작용이 증가하면, 손잡이부(22)가 모터(3)의 출력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모터(3)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며, 이에 의해 작업 능률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2)의 자이로 센서(26A)가 출력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외주 방향에서 손잡이부(22)의 속도를 검출하는데, 즉 임팩트 툴(1)에서 생기는 반작용의 크기를 검출한다. 자이로 센서(26A)에 의한 검출 속도가 후술되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게 되면, 모터(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작용을 억제한다. 자이로 센서(26A)는 자이로스코프라고도 하는데, 대상물의 각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구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펄스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펄스 모드에서, 예비 개시에 대응하는 동작은 생략한다.
도 16의 흐름도에서, 제어부(7)는 먼저 방아쇠(25)가 당겨졌는지를 판정한다(S1). 방아쇠(25)가 당겨졌으면(도 15에서의 t1, S1: YES), 제어부(7)는 모터(3)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킨다(S2). 다음, 제어부(7)는 자이로 센서(26A)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a(본 실시예에서는 8m/s(미터/초))를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한다(S3). 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a(도 15에서의 t2, S3: YES)를 초과하였으면, 제어부(7)는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모터(3)를 정지시키고(S4), 이어서 모터(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15에서의 t3, S5). 다음, 제어부(7)는 자이로 센서(26A)의 속도가 임계값 b(본 실시예에서는 3m/s) 미만으로 떨어졌는지를 판정한다(S6). 속도가 임계값 b 미만으로 떨어졌으면(도 15에서의 t4, S6: YES), 제어부(7)는 미리 정해진 기간 주기 동안 모터(3)를 정지시키고(S7), 이어서 S1로 복귀하고 모터(3)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도 15에서의 t5 및 그 이후).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모터(3)는 자이로 센서(26A)의 속도가 임계값 a를 초과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임팩트 툴(1)에서 생기는 반작용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모터(3)의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순방향 회전으로부터 역방향 회전으로 전환하는 제어 방법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어에서는, 미리 정해진 값이 작으면 고정력이 약하게 되고, 반면에 미리 정해진 값이 크면 반작용이 크게 된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자이로 센서(26A)의 출력이 임계값 a를 초과하면, 반작용을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정하여, 모터(3)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반작용을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 고정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에 따라 모터(3)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인데, 이는 전자 펄스 모드의 모든 동작 모드에서 공통이다.
통상적으로, 방아쇠(25)는 그 당겨진 양이 클수록 인버터 회로(6)에 출력되는 PWM 신호의 듀티가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공작물의 표면층에 얇은 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면, 패스너가 공작물에 안착하는 순간에 그 얇은 시트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패스너가 공작물에 안착되기 직전에 전기 드라이버를 수동 드라이브로 변경하여,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능률을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임팩트 툴(1)에서는,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미리 정해진 구역(zone) 내에 있을 때, 예를 들어 모터(3)의 토크가 패스너의 토크와 실질적으로 일치할 정도의 일정한 듀티(constant duty)를 가지는 PWM 신호가 인버터 회로(6)에 출력되며, 이에 의해 임팩트 툴(1)은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7a는 임팩트 툴(1)의 방아쇠(25)의 당겨진 양과 모터(3)의 제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는 임팩트 툴(1)의 방아쇠(25)의 당기는 양과 PWM 듀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아쇠(25)의 당겨진 양과 관련해서, 제1 제1 구역, 제2 구역(도 17b에는 도시되지 않음), 제3 구역이 제공된다.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두 개의 제3 구역 사이에 제공된다. 제3 구역은 종래의 제어가 수행되는 구역이다. 제1 구역은 제3 구역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양만큼 방아쇠를 당김으로써 획득된다. 제1 구역은 모터(3)의 토크가 패스너의 토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구역이다. 제2 구역은 방아쇠(25)를 제1 구역으로부터 약간 더 당김으로써 획득된다.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1 구역에 있으면, 모터(3)의 토크는 일정하다. 패스너가 공작물에 안착하기 직전에 패스너의 토크가 5-40 Nㆍ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모터(3)의 토크는 전술한 범위 내에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작업자가 값이 전술한 범위 내에 있는 모터(3)의 토크로 임팩트 툴(1)을 출력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모터(3)의 토크는 패스너의 토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모터(3)가 임팩트 툴(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그러므로 모터(3)의 토크가 전술한 범위 내에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모터(3)의 토크와 패스너의 토크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는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할 수 있다(도 17a의 (a)).
그렇지만, 패스너를 특정한 각도로 고정할 때, 임팩트 툴(1)은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위치로 이동된다(도 17a의 (b)).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모터(3)는 방아쇠(25)가 제1 구역으로부터 약간 당겨지는 제2 구역에서는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한다. 작업자가 도 17a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임팩트 툴(1)을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방아쇠(25)를 약간 더 당기면,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은 제2 구역으로 가게 되고 모터(3)는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한다. 이때, 작업자가 임팩트 툴(1)을 모터(3)의 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속도로 출력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임팩트 툴(1)의 위치는 패스너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도 17a의 (e)), 도 17a의 (c)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을 제2 구역에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해,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을 제2 구역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때,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을 제1 구역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모터(3)의 토크는 다시 일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도 17a의 (c)). 이 방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1)에서,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을 조정함으로써, 임팩트 툴(1)을 래칫 렌치(ratchet wrench)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로 제1 구역의 설정 토크(듀티 비)를 변경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그러므로 공작물의 단단한 정도에 맞춰진 적절한 토크로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방아쇠(25)의 당기는 양에 따라 모터(3)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의 흐름도는 배터리가 장착될 때 시작한다. 먼저,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1).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다면(S21: YES), 제어부(7)는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1 구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S22).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1 구역 내에 있지 않으면(S22: NO), 제어부(7)는 모터(3)를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에 대응하는 듀티비로 구동하고(S26) S22로 복귀한다.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1 구역 내에 있으면(S22: YES), 제어부(7)는 예비로 설정되어 있는 설정 듀티비로 모터(3)를 구동하고(S23), 이어서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2 구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S24).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2 구역 내에 있지 않으면(S24: NO), 제어부(7)는 다시 S22로 복귀한다.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이 제2 구역 내에 있으면(S24: YES), 모터(3)는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하고(S25), 제어부(7)는 S24로 복귀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표면층에 얇은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공작물에 패스너가 고정될 때에도, 패스너가 공작물에 안착될 때의 드라이버와 같은 수동 도구(manual tool)로 변경하지 않아도 되고, 방아쇠(25)의 조작만으로도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3)를 제2 구역에서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임팩트 툴(1)을 래칫 렌치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는 방아쇠(25)를 정교하게 조정하여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201)의 구성에 대해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는,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시킬 때, 방아쇠(25)의 당겨진 양을 조정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방아쇠(25)가 턴 오프 된 후 모터(3)를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전동 록킹함으로써 수동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는 배터리(24)가 장착될 때 시작한다. 먼저,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1).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다면(S201: YES), 제어부(7)는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S202), 이어서 방아쇠(25)가 턴 오프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3). 여기서, 방아쇠(25)가 턴 오프 되는 것은 모터(3)의 클러치 모드 동안 모터(3)가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을 포함한다(도 12에서의 t5). 방아쇠(25)가 턴 오프 되었다면(S203: YES), 제어부(7)는 모터(3)를 록킹한다(S204).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는 고정자 권선 U, V, W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하나의 고정자 권선을 하나의 영구 자석(3C)에 직면하는 위치로 오게 하고 상기 하나의 고정자 권선에 대면하는 다른 고정자 권선을 상기 하나의 영구 자석(3C)에 대면하는 다른 영구 자석(3C)에 직면하는 위치로 오게 한다. 이때, 회전자 권선에 전기가 100% 공급되어 모터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3)는 전동 록킹된다. 이어서, 방아쇠(25)가 턴 오프 된 후(S203: YES)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5).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지 않았다면(S205: NO), 제어부(7)는 S204로 복귀한다.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었다면(S205: YES), 모터(3)는 록킹으로부터 해제된다(S206).
이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는 단순히 방아쇠(25)를 턴 오프 함으로써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301)의 구성에 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방아쇠(25)가 턴 오프 된 후 모터(3)를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전동 록킹하였다. 제3 실시예에서는, 방아쇠(25)가 턴 오프 된 후, 모터(3)의 회전을 검출하고 회전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20은 방아쇠(25)가 오프될 때 모터(3)의 회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방아쇠(25)가 턴 온 된 후 방아쇠(25)가 턴 오프되어, 모터(3)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임팩트 툴(301)이 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더라도, 회전자(3A)는 모터(3)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조금 회전한다. 그렇지만, 손잡이부(22)로부터 보는 바와 같이 회전자(3A)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회전을 검출하고, 모터(3)에는 이러한 회전을 방지하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 회전자(3A)를 회전시키는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2)가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동안, 모터(3)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반복하여 양쪽의 토크가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고정자 권선 U, V, W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회전자(3A)를 회전시키는 토크 및 패스너로부터의 반작용력이 일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자(3A)가 손잡이부(22)와 관련해서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손잡이부(22)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패스너를 수동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2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흐름도는 배터리(24)가 장착될 때 시작한다. 먼저,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1). 방아쇠(25)가 턴 온 되었다면(S201: YES), 제어부(7)는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S202), 이어서 방아쇠(25)가 턴 오프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3). 방아쇠(25)가 턴 오프 되었다면(S203: YES), 제어부(7)는 회전-위치 검출 소자(33A)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모터(3)가 회전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S301). 모터(3)가 회전하고 있으면(S301: YES), 제어부(7)는 회전을 방지하는 전류를 모터(3)에 공급한다(S302). 구체적으로, 도 20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는 고정자 권선 U, V, W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남극을 영구 자석(3C)의 북극에 직면하는 위치로 오게 하고 북극을 영구 자석(3C)의 남극에 직면하는 위치로 오게 한다. 이어서,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S203에서 턴 오프 된 후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었는지를 판정한다(S303).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지 않았다면(S303: NO), 제어부(7)는 S301로 복귀한다. 미리 정해진 주기가 경과되었다면(S303: YES), 모터(3)는 정지한다(S304).
다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401)의 구성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는, 모터(3)의 회전이 기어 메커니즘을 통해 스핀들(41C) 및 해머(42)에 전달되었다. 그렇지만, 제4 실시예에서는, 모터(3)로부터의 출력이 기어 메커니즘 및 스핀들을 거치지 않고 해머(442)에 직접 전달된다.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기어 메커니즘은 하우징(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터(3)가 기어 메커니즘(41)을 회전시킬 때 생기는 반작용력이 임팩트 툴(1)(하우징 2)에서 생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스핀들(41C)이 기어 메커니즘을 통해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기어 메커니즘(41)은 그 한 방향에 반대인 회전력(반작용력)을 임팩트 툴(1)에서 생성하고, 이 반작용력으로 인해 손잡이부(22)는 모터(3)의 출력 샤프트(31)의 축 중심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한다(반작용). 특히, 해머(42) 및 스핀들(41C)이 항상 함께 회전하는 전자 펄스 모드에서는, 전술한 반작용력이 더 분명하게 된다. 그렇지만, 제4 실시예에서는 기어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반작용력은 영구 자석(3C)으로부터 고정자(3B)를 통해 하우징(2)에 부드럽게 전달된다. 따라서, 임팩트 툴(401)은 반작용력은 약하고 작업 능률은 우수한 강력한 도구이며, 이에 의해 스트라이킹 펄스의 횟수는 감소하고 전력소모는 억제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429)는 하우징(2) 내에 제공된다. 모터(403)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회전자(rotor)(403A), 고정자(stator)(403B),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출력 샤프트(431)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샤프트(431)의 전단부에는 로드형 부재(rod-like member)(434)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로드형 부재(434)는 내부 커버(42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로드형 부재(434)의 전단부에는 해머(442)가 고정되어 있는데, 로드형 부재(434)가 해머(44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머(442)는 제1 맞물림 돌출부(44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442B)를 가진다. 해머(442)의 제1 맞물림 돌출부(44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442B)는 각각 모루(52)의 제1 맞물림 돌출부(5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52B)와 함께 회전하고, 이에 의해 모루(52)에 회전력이 인가된다. 또한, 제1 맞물림 돌출부(44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442B)는 제1 맞물림 돌출부(52A) 및 제2 맞물림 돌출부(52B)와 각각 충돌하고, 이에 의해 모루(52)에 타격력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메커니즘(감력기(reducer))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속도가 느린 모터(403)가 사용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력 샤프트(431)에 팬(fan)이 제공되더라도, 회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충분한 냉각 효과를 거둘 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메커니즘(감력기)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 토크가 큰 모터(403)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모터(403)는 제1 실시예의 모터(3)보다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보다 냉각 용량이 커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2)의 하부에 팬(432)이 제공된다. 팬(432)은 모터(403)의 회전과 관계없이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팬(432)은 제어부(7)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당겨지면 팬(432)이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방아쇠(25)가 오프 되면 팬(432)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2)의 하부에 공기 입구(435)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21)의 상부에 공기 출구(436)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 22에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로 공기가 흐른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모터(403)가 회전 속도가 느리고 크기가 크기만, 충분한 냉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팬(432)이 손잡이부(2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임팩트 툴(401)의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손잡이부(22)의 외부 프레임에는 팬 스위치(402D)가 제공된다. 이 팬 스위치(402D)를 누르면, 방아쇠(25)를 당기지 않아도 팬(432)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작업자가 라이트(2A)에 의해 모터(403)의 온도 상승을 알게 되면, 모터(403), 보드(26), 및 회로 기판(33)은 방아쇠(25)를 누르지 않고서도 팬 스위치(402D)를 누름으로써 강제로 냉각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501)의 구성에 대해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 내에서 모터(403)의 배면 측에 팬(532)이 제공된다. 팬(532)은 제어부(7)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7)는 방아쇠(25)가 당겨지면 팬(532)이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방아쇠(25)가 오프 되면 팬(532)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21)의 배면단 및 배면부에는 주위의 공기를 들어오게 하는 공기 입구(air inlet hole)(21b)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21)의 중앙부에는 공기를 나가게 하는 공기 출구(air outlet hole)(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팬(532)은 모터(403)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 공기가 모터(403)와 직접 부딪치므로,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601)의 구성에 대해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27) 대신, 손잡이부(22)에 다이얼(627)이 제공된다. 다이얼(627)의 디스크부(627B)는 투명 부재로 만들어지며, 이에 따라 LED(26B)로부터의 광이 이 디스크부(627B)를 투광할 수 있고 다이얼 실(29)을 아래로부터 조명할 수 있다. 디스크부(627B)의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627B)가 아래로 돌출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627B)는 관통구멍(627a) 주위에 외주 배열 식으로 등간격으로 제공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들(627E) 사이에 다이얼 지지부(28)의 볼(27A)이 위치하면, 전자 펄스 모드의 각각의 모드가 설정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701)의 구성에 대해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제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링형 부재(745)는 4개의 제1 볼록부(745A) 및 이에 대면하는 제1 볼록부(745A) 상에 탑재된 한 쌍의 조작부(745B)를 가진다. 환언하면,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링형 부재(46) 상에 조작부(46B)가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형 부재(745) 상에 한 쌍의 조작부(745B)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링형 부재(46)의 조작부(46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볼록부(45A)가 제2 볼록부(46A) 위로 올라가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형 부재(745)의 조작부(745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볼록부(745A)가 제2 볼록부(746A) 위로 올라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머 케이스(723)의 배면 측에 180도의 간격으로 외부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 구멍(723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 구멍(723A)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723a) 및 상기 제1 안내 구멍(723a)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723b)을 가진다.
임팩트 모드에서, 조작부(745B)는 제1 안내 구멍(723a)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한다. 한편, 조작부(745B)를 제2 안내 구멍(723b)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즉 순방향으로 그리고 외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드가 전자 펄스 모드로 전환된다. 조작부(745B)는 외주 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제1 안내 구멍(723a) 및 제2 안내 구멍(723b) 사이를 이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임팩트 툴(701)의 진동으로 인한 모드 전환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조작부(745B)가 각각 한 쌍의 안내 구멍(723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조작부(745B)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머(42)와 제1 링형 부재(745) 사이에 워셔(747 및 748) 및 추력 베어링(thrust bearing)(749)이 배치되어 있다. 추력 베어링(749)은 낮은 마찰 재료(low friction material)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해머(4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해머(42)와 제1 링형 부재(745) 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747)는 돌출 부분(747a)을 포함하며, 이 돌출 부분(747a)과 워셔(748) 사이에 스페이스(74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력 베어링(749)은 볼 패트(ball pat)(749a) 및 단부 부분(end part)(749b)을 가진다. 단부 부분(749b)은 스페이스(747b) 내에 배치된다. 도 28에서 스페이스(747b)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워셔(748)와 단부 부분(749b) 간의 전체 두께보다 약간 더 길다. 그러므로 해머(4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돌출 부분(747a)과 단부 부분(749b) 간에 회전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불소 수지와 같이 낮은 마찰 속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를 추력 베어링(749) 대신에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라.
다음,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801)의 구성에 대해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해머(42)를 순방향-역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전자 펄스 모드가 달성되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해머(42)를 순방향-역방향으로 고정시킴이 없이 모터(3)의 제어에 의해서만 전자 펄스 모드가 달성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801)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82)를 포함하며, 이 택트 스위치(82)는 모드를 임팩트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버튼(82A) 및 모드를 전자 펄스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버튼(82B)을 가진다. 임팩트 툴(801)은 제1 버튼(82A)과 제2 버튼(82B) 중 어느 버튼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클러치 모드에서 동작한다는 점에 유의하라.
클러치 모드 또는 임팩트 모드가 선택되면, 임팩트 툴(801)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전자 펄스 모드가 선택되면, 임팩트 툴(801)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자 펄스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임팩트 툴(801)의 동작에 대해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방아쇠(25)가 턴 온 되면, 제어부(7)는 모터(3)를 순방향으로 구동시켜 모루(52)가 해머(42)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도 30의 S801).
그런 다음, 모터(3)에 흐르는 전류가, 제1 맞물림 돌출부(42A)(제2 맞물림 돌출부(42B))가 제1 맞물림 돌출부(52A)(제2 맞물림 돌출부(52B)) 위로 올라가는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제1 전류 임계값 I1(예를 들어, 5-20A)까지 증가하면(도 30의 S802: YES, 도 31의 t1), 제어부(7)는 모터(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해머(42)가 전자 펄스 모드에서 회전하도록 한다(도 30의 S803). 모터(3)는 역방향으로 된 제1 맞물림 돌출부(42A)(제2 맞물림 돌출부(42B))가 제1 맞물림 돌출부(42A)(제2 맞물림 돌출부(42B))의 역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맞물림 돌출부(52B)(제1 맞물림 돌출부(52A))와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구동력으로 역방향으로 구동된다는 점에 유의하라.
전자 펄스 모드에서 고정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모터(3)(에 인가된 토크)에 전류는 증가한다.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까지 증가하면, 제1 맞물림 돌출부(42A)(제2 맞물림 돌출부(42B))는 제2 맞물림 돌출부(52B)(제1 맞물림 돌출부(52A)) 위로 올라갈 것이다. 그러므로 모터(3)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약간 작은 제2 전류 임계값 I2까지 증가하면(도 30의 S804: YES, 도 31의 t2), 제어부(7)는 모터(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도 30의 S805).
그러므로 임팩트 툴(801)은 해머(42)가 순방향-역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유사한 구성으로 전자 펄스 모드를 달성한다.
또한, 임팩트 툴(801)의 구조는 종래의 임팩트 툴의 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툴(801)은 임팩트 모드와 전자 펄스 모드를 조합한 조합 모드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임팩트 툴(801)은 제1 버튼(82A)과 제2 버튼(82B) 모두가 선택되면 조합 모드에서 동작한다. 조합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임팩트 툴(801)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임팩트 툴(801)은 도 30의 S801-S804와 동일하게 동작한다(도 32의 S901-S904). 그런 다음, 모터(3)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전류 임계값 I2까지 증가하면(도 32의 S904: YES, 도 33의 t2), 제어부(7)는 모터(3)를 순방향으로만 구동시켜 임팩트 툴(801)이 임팩트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한다(도 33의 S905).
그러므로 임팩트 툴(801)은 모터(3)에 인가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한 후에는 강력한 고정력을 패스너 제공하는 임팩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실시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드(26)에 자이로 센서(26A)를 제공하여 손잡이부(22)에서 발생하는 반작용을 검출한다. 그렇지만, 보드(26)에 위치 센서를 제공하여 손잡이부(22)가 이동한 만큼의 거리에 기초해서 손잡이부(22)에서 발생하는 반작용을 검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자이로 센서(26A) 대신 가속 센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가속 센서의 출력은 하우징의 이동량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작용을 검출하는 데는 가속 센서가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어, 가속 센서는 그 자체의 요동 및 하우징의 요동을 출력하는데, 이것들은 하우징의 실제의 이동과는 다르다. 따라서, 하우징의 이동량을 표시하는 데 효과적인 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이로 센서는 반작용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 하우징의 이동량은 예를 들어 GPS로 측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위시간당 하우징의 이동량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모터의 회전 방향이 순방향 회전에서 역방향 회전으로 바뀐다. 또한, GPS 대신에 이미지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는 대신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반작용을 검출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반작용이 전류의 출력값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자이로 센서의 출력값은 항상 반작용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전류에 기초해서 반작용을 검출하는 경우보다,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반작용을 검출할 때 반작용을 더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 대신, 토크 센서를 출력 샤프트에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토크 센서의 출력이 반작용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이로 센서가 더 정밀하게 반작용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색 LED를 LED(26B)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풀 컬러 LED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이얼(27)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색이 변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의 색은 다이얼(27)에 컬러 셀로판을 제공함으로써 변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21)에 새로운 알림 광(informing light)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알림 광의 색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변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자신의 손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설정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3)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 20의 (b)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전술한 제어를 수행하고, 아울러 회전자(3A)가 도 20의 (b)에 도시된 방향에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패스너가 도 17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도록 회전자(3A)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 펄스 드라이버를 래칫 렌치처럼 사용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방아쇠(25)가 오프 되면 팬(432 및 532)이 자동으로 정지한다. 그렇지만, 방아쇠(25)가 턴 오프되었을 때 서미스터(33B)의 검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높거나 같으면,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게 떨어질 때까지 팬(432 및 532)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1 임팩트 툴
3 모터
42 해머
52 모루
45A, 46A 고정 부재

Claims (13)

  1. 임팩트 툴에 있어서,
    모터;
    회전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순방향 및 상기 순방향에 반대인 역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해머;
    상기 해머의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해머가 상기 순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는 모루(anvil)로서, 상기 모루를 타격한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루로부터 자유 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모루; 및
    상기 해머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이동할 수 없게 하는 고정 부재(fixing member)
    를 포함하는 임팩트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면 상기 해머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해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하면 상기 해머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임팩트 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 지시하여 상기 해머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이동할 수 없게 하는 조작 부재(operat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임팩트 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덮으며, 제1 홈(groove) 및 제2 홈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홈으로부터 돌출할 때 상기 해머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2 홈으로부터 돌출할 때 상기 해머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임팩트 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임팩트 툴.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조작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임팩트 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머를 수용하되,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상기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제2 방향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는 접촉 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부에 대면할 때, 상기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임팩트 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머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해머와 상기 수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낮은 마찰 부재(low frictional member)
    를 더 포함하는 임팩트 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와 관련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낮은 마찰 부재를 느슨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팩트 툴.
  10. 임팩트 툴에 있어서,
    모터;
    회전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순방향 및 상기 순방향에 반대인 역방향을 포함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해머;
    상기 해머의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해머가 상기 순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는 모루(anvil)로서, 상기 모루를 타격한 해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루로부터 자유 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모루; 및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를 타격한 후에는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임팩트 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의 동작 모드로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유닛(setting unit)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갈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를 타격한 후에는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임팩트 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제3 모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모터에 인가된 부하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 인가된 부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값으로 증가한 후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어하는, 임팩트 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제4 모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루를 타격한 상기 해머가 상기 모루 위로 올라가지 않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모터를 순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는, 임팩트 툴.
KR1020127028054A 2010-06-30 2011-06-30 전동 공구 KR101441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0360 2010-06-30
JP2010150360A JP5822085B2 (ja) 2010-06-30 2010-06-30 電動工具及び動力工具
JPJP-P-2011-100982 2011-04-28
JP2011100982A JP5720943B2 (ja) 2011-04-28 2011-04-28 インパクト工具
JPJP-P-2011-133408 2011-06-15
JP2011133408A JP5725347B2 (ja) 2011-06-15 2011-06-15 インパクト工具
PCT/JP2011/065630 WO2012002578A1 (en) 2010-06-30 2011-06-30 Impact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297A true KR20130001297A (ko) 2013-01-03
KR101441993B1 KR101441993B1 (ko) 2014-09-18

Family

ID=4445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054A KR101441993B1 (ko) 2010-06-30 2011-06-30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22461B2 (ko)
EP (1) EP2558247B1 (ko)
KR (1) KR101441993B1 (ko)
CN (1) CN102971113B (ko)
AU (1) AU2011272199A1 (ko)
BR (1) BR112012027173A2 (ko)
CA (1) CA2794362A1 (ko)
MX (1) MX2012012201A (ko)
RU (1) RU2012157631A (ko)
TW (1) TW201208829A (ko)
WO (1) WO20120025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284U (ko) 2015-03-16 2016-09-27 계양전기 주식회사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KR101666143B1 (ko) * 2015-07-02 2016-10-14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공구의 제어 방법
KR101861762B1 (ko) * 2017-05-11 2018-05-28 제일타카(주) 충전식 타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122B2 (ja) * 2009-11-02 2014-07-02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AU2011272199A1 (en) 2010-06-30 2012-11-08 Hitachi Koki Co., Ltd. Impact tool
DE102011086919A1 (de) 2010-12-15 2012-06-21 Robert Bosch Gmbh Elektrohandwerkzeugmaschine
DE102011089913A1 (de) * 2011-12-27 2013-06-27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vorrichtung
JP2013188812A (ja) * 2012-03-13 2013-09-26 Hitachi Koki Co Ltd インパクト工具
JP2013208682A (ja) * 2012-03-30 2013-10-10 Hitachi Koki Co Ltd 動力工具
EP2926952A4 (en) * 2012-11-29 2016-08-03 Hitachi Koki Kk IMPACT TOOL
JP2015024474A (ja) * 2013-07-26 2015-02-05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EP3040164A4 (en) * 2013-08-30 2017-04-05 Hitachi Koki Co., Ltd. Boring tool
JP6090581B2 (ja) * 2013-09-28 2017-03-08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WO2015061370A1 (en) 2013-10-21 2015-04-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power tool devices
JP2015120206A (ja) * 2013-12-20 2015-07-02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DE102014215361A1 (de) * 2014-08-05 2016-02-11 Robert Bosch Gmbh Werkzeug mit steuerbarer Kühleinrichtung
CN104362910A (zh) * 2014-10-22 2015-02-18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基于直流无刷电动工具的恒功率双速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6380933B2 (ja) * 2014-12-12 2018-08-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工具
EP3251801A4 (en) * 2015-01-28 2018-09-19 Koki Holdings Kabushiki Kaisha Impact tool
US10603770B2 (en) 2015-05-04 2020-03-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ive impact blow detection
US10295990B2 (en) 2015-05-18 2019-05-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tool configuration and data capture
EP3302883B1 (en) 2015-06-02 2022-03-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ulti-speed power tool with electronic clutch
WO2016196979A1 (en) 2015-06-05 2016-12-08 Ingersoll-Rand Company Impact tools with ring gear alignment features
US10615670B2 (en) 2015-06-05 2020-04-07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Power tool user interfaces
WO2016196891A1 (en) 2015-06-05 2016-12-08 Ingersoll-Rand Company Power tool user interfaces
CN107635725B (zh) 2015-06-05 2019-11-12 英古所连公司 用于电动工具的照明系统
US11491616B2 (en) 2015-06-05 2022-11-08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Power tools with user-selectable operational modes
WO2016196899A1 (en) 2015-06-05 2016-12-08 Ingersoll-Rand Company Power tool housings
EP3307453B1 (en) 2015-06-15 2022-08-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ydraulic crimper tool
EP3307490A4 (en) 2015-06-15 2018-10-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tool communication system
US10380883B2 (en) 2015-06-16 2019-08-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tool profile sharing and permissions
US10345797B2 (en) 2015-09-18 2019-07-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tool operation recording and playback
EP3805632B1 (en) 2015-10-30 2023-05-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emote light contro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US10646982B2 (en) 2015-12-17 2020-05-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power tool with an impact mechanism
JP7189018B2 (ja) 2016-01-05 2022-12-13 ミルウォーキー エレクトリック ツ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動力工具のための振動低減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71573B2 (en) * 2016-01-05 2019-11-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Impact tool
JP6558737B2 (ja) * 2016-01-29 2019-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パクト回転工具
TWM554386U (zh) 2016-02-03 2018-01-21 米沃奇電子工具公司 電動工具及電動工具通訊系統
TWM552413U (zh) * 2016-02-25 2017-12-01 米沃奇電子工具公司 包括輸出位置感測器之動力工具
CN109311143B (zh) * 2016-06-30 2021-04-02 阿特拉斯·科普柯工业技术公司 电脉冲工具
US11440175B2 (en) * 2017-01-04 2022-09-13 Interlink Electronics, Inc. Multi-modal sensing for power tool user interface
JP6901898B2 (ja) * 2017-04-17 2021-07-14 株式会社マキタ 回転打撃工具
CN107671360A (zh) * 2017-09-09 2018-02-09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用于降低往复锯振动的控制方法
CN213319858U (zh) * 2018-02-19 2021-06-01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冲击工具
US10987784B2 (en) * 2018-02-23 2021-04-27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Cordless impact tool with brushless, sensorless, motor and drive
US10835972B2 (en) 2018-03-16 2020-1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lade clamp for power tool
USD887806S1 (en) 2018-04-03 2020-06-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Jigsaw
EP3774148A4 (en) 2018-04-03 2021-12-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JIGSAW
CN211805946U (zh) 2018-07-18 2020-10-30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动力工具
CN112739501B (zh) * 2018-09-21 2022-08-30 阿特拉斯·科普柯工业技术公司 电动脉冲工具
TWI685405B (zh) * 2018-10-31 2020-02-21 車王電子股份有限公司 電動工具
CN215789518U (zh) * 2018-12-10 2022-02-11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冲击工具
US11484997B2 (en) * 2018-12-21 2022-11-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igh torque impact tool
JP7210291B2 (ja) * 2019-01-10 2023-01-23 株式会社マキタ 電動ドライバドリル
US11992282B2 (en) 2019-03-15 2024-05-28 Cilag Gmbh International Motion capture controls for robotic surgery
CN112140066B (zh) * 2019-06-11 2024-04-09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一种电动工具
CN211805940U (zh) 2019-09-20 2020-10-30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冲击工具和锤头
JP7386027B2 (ja) * 2019-09-27 2023-11-24 株式会社マキタ 回転打撃工具
JP7320419B2 (ja) 2019-09-27 2023-08-03 株式会社マキタ 回転打撃工具
JP7373376B2 (ja) * 2019-12-02 2023-11-02 株式会社マキタ インパクト工具
USD948978S1 (en) 2020-03-17 2022-04-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otary impact wrench
US11412631B2 (en) * 2020-08-26 2022-08-09 Snap-On Incorporated PCB with integrated switches
WO2022067235A1 (en) 2020-09-28 2022-03-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Impulse driver
JP2022106194A (ja) * 2021-01-06 2022-07-19 株式会社マキタ インパクト工具
US20220305603A1 (en) * 2021-03-23 2022-09-29 Snap-On Incorporated Motor timeout in power tool
JP2022158636A (ja) * 2021-04-02 2022-10-1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及びインパクト工具
EP4101596B1 (en) * 2021-05-11 2023-11-08 Black & Decker, Inc. Under-speed and closed-loop speed control in a variable-speed power tool
US11872680B2 (en) 2021-07-16 2024-01-16 Black & Decker Inc. Impact power tool
US20230404577A1 (en) * 2022-06-15 2023-12-21 Cilag Gmbh International Impact mechanism for grasp clamp fir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438956A1 (ru) 1987-04-08 1988-11-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213 Ударно-импульсный гайковерт
JP2828640B2 (ja) 1988-11-15 1998-11-25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転衝撃工具
RU2035290C1 (ru) 1989-11-01 1995-05-20 Владимир Григорьевич Дудин Ударный гайковерт
JP2513620Y2 (ja) 1990-03-09 1996-10-09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JP3289955B2 (ja) 1992-07-28 2002-06-10 瓜生製作株式会社 電動式トルクコントロールレンチ
JP3574876B2 (ja) 1995-01-13 2004-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オイルパルスインパクト工具
DE19738094C1 (de) 1997-09-01 1999-03-04 Bosch Gmbh Robert Schlagschrauber
JP3911905B2 (ja) * 1999-04-30 2007-05-09 松下電工株式会社 インパクト回転工具
JP3683754B2 (ja) 1999-10-05 2005-08-17 株式会社マキタ ハンマードリル
JP2001121439A (ja) 1999-10-26 2001-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インパクト回転工具
JP4203268B2 (ja) 2002-06-11 2008-12-24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タの制御装置
JP4567294B2 (ja) * 2003-02-07 2010-10-20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JP2004249418A (ja) 2003-02-21 2004-09-09 Hitachi Koki Co Ltd インパクトドライバ
TW556637U (en) 2003-02-24 2003-10-01 Mobiletron Electronics Co Ltd Power tool
JP4405900B2 (ja) 2004-03-10 2010-01-27 株式会社マキタ インパクトドライバ
US7308948B2 (en) * 2004-10-28 2007-12-18 Makita Corporation Electric power tool
US7677844B2 (en) 2005-04-19 2010-03-16 Black & Decker Inc. Electronic clutch for tool chuck with power take off and dead spindle features
US20060237205A1 (en) 2005-04-21 2006-10-26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Mode selector mechanism for an impact driver
JP4339275B2 (ja) 2005-05-12 2009-10-07 株式会社エスティック インパクト式のネジ締め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440169B2 (ja) 2005-05-16 2010-03-24 株式会社マキタ 電動打撃工具
RU2313441C2 (ru) 2005-11-25 2007-12-27 Зао "Инструм-Рэнд" Ударный гайковерт
JP2007203401A (ja) * 2006-02-01 2007-08-16 Hitachi Koki Co Ltd インパクト工具
US7602137B2 (en) * 2006-02-20 2009-10-13 Black & Decker Inc.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and control system
JP5002999B2 (ja) 2006-03-30 2012-08-15 マックス株式会社 照明ライト付き電動工具
JP4699316B2 (ja) 2006-09-01 2011-06-08 株式会社エスティック インパクト式のネジ締め装置
JP4917408B2 (ja) * 2006-11-08 2012-04-18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DE102007003037A1 (de) * 2007-01-20 2008-07-24 Protool Gmbh Schlagschrauber
EP1961522B1 (en) 2007-02-23 2015-04-08 Robert Bosch Gmbh Rotary power tool operable in either an impact mode or a drill mode
JP2009006416A (ja) 2007-06-26 2009-01-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動工具
US7673702B2 (en) * 2007-08-09 2010-03-09 Ingersoll-Rand Company Impact wrench
RU2360786C2 (ru) 2007-09-12 2009-07-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ГЕРСОЛЛ-РЭНД СиАйЭс"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затяжки при сборке резьб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ударным гайковерт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9193053B2 (en) 2008-09-25 2015-11-24 Black & Decker Inc. Hybrid impact tool
JP5472683B2 (ja) * 2009-05-11 2014-04-16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JP5594642B2 (ja) 2009-05-13 2014-09-24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JP5322035B2 (ja) 2009-09-16 2013-10-23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JP5505858B2 (ja) 2009-10-16 2014-05-28 日立工機株式会社 インパクト工具
JP5340881B2 (ja) 2009-10-16 2013-11-13 株式会社マキタ 打撃工具
JP4824812B2 (ja) 2009-12-24 2011-11-30 株式会社マキタ インパクト工具
AU2011272199A1 (en) 2010-06-30 2012-11-08 Hitachi Koki Co., Ltd. Impact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284U (ko) 2015-03-16 2016-09-27 계양전기 주식회사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KR101666143B1 (ko) * 2015-07-02 2016-10-14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공구의 제어 방법
KR101861762B1 (ko) * 2017-05-11 2018-05-28 제일타카(주) 충전식 타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7173A2 (pt) 2016-07-19
CN102971113B (zh) 2015-03-25
TW201208829A (en) 2012-03-01
RU2012157631A (ru) 2014-07-10
WO2012002578A1 (en) 2012-01-05
US9522461B2 (en) 2016-12-20
AU2011272199A1 (en) 2012-11-08
KR101441993B1 (ko) 2014-09-18
MX2012012201A (es) 2012-12-17
CN102971113A (zh) 2013-03-13
EP2558247A1 (en) 2013-02-20
CA2794362A1 (en) 2012-01-05
EP2558247B1 (en) 2014-10-01
US20130087355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1297A (ko) 임팩트 툴
EP2560793B1 (en) Screw tightening tool
US9950417B2 (en) Power tool
EP2576146B1 (en) Power tool
US20150352699A1 (en) Power Tool
JP5822085B2 (ja) 電動工具及び動力工具
US20140158390A1 (en) Electric tool
JP2011212802A (ja) 電動工具
US20130186661A1 (en) Power Tool
US20130008679A1 (en) Power Tool
JP6016204B2 (ja) 電動工具及び動力工具
JP2012030326A (ja) 電動工具
JP2014104541A (ja) 手持ち式電動工具
JP5516959B2 (ja) 電動工具
JP2012157925A (ja) 電動工具
JP5057145B2 (ja) 電動工具
JP2011212798A (ja) 電動工具
JP5467519B2 (ja) 電動工具
WO2021220992A1 (ja) 作業機
JP2011251354A (ja) 電動工具
JP2011212799A (ja) 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