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284U -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284U
KR20160003284U KR2020150001625U KR20150001625U KR20160003284U KR 20160003284 U KR20160003284 U KR 20160003284U KR 2020150001625 U KR2020150001625 U KR 2020150001625U KR 20150001625 U KR20150001625 U KR 20150001625U KR 20160003284 U KR20160003284 U KR 20160003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et
housing
bit
power too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284U/ko
Publication of KR20160003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2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를 이용하여 장착된 비트를 회전시키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비트들을 장착할 수 있어 비트의 선택이 용이하며 비트들의 보관이 용이하여 분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비트를 수납한 비트 세트를 전동공구에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ELECTRIC DRILLING MACHINE WITH BIT SET}
본 고안은 모터를 이용하여 장착된 비트를 회전시키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비트들을 전동공구에 장착할 수 있어 비트의 선택이 용이하며 또한 비트들의 보관이 쉬워 분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볼트, 피스 등(이하 통칭하여 '볼트'라 함)을 체결하거나 풀기 위해 전동공구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10)는 모터가 내장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선단에 연결되어 비트(53) 또는 어댑터(51)를 고정하는 척(30)과, 하우징(20)의 손잡이(22)의 하단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40)를 포함한다.
도 1은 전동공구(10)의 척(30)에 어댑터(51)가 장착된 상태로 어댑터(51)의 선단에 형성된 사각 홀(도면에 미도시)에 비트(53)를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하우징(20)의 하부 방향으로는 작업자가 전동공구(10)를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22)가 형성되며, 손잡이(22)와 하우징(20)의 절곡된 부위에는 트리거(24)가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22)의 하단에는 배터리부(40)가 장착되는데, 통상적으로 손잡이(22)의 하단에 배터리부(4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공구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22)를 파지하고 검지 손가락으로 트리거(24)를 당기면 모터가 작동한다. 모터의 작동에 의해 어댑터(51)가 회전하게 되고 어댑터(51)에 장착된 비트(53) 또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작업 현장에서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의 규격에 따라 비트(53) 또한 선별하여 전동공구에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볼트를 체결할 경우 해당하는 여러 비트들을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데, 비트(53)의 크기 작은 관계로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비트(53)들을 전동공구(10)와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297호(공개일; 2013.01.03)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비트들을 수납한 비트 세트를 전동공구에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동공구는 복수의 비트들이 수납된 비트 세트의 일측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측부에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는 하우징의 일체에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편들과, 상기 돌출편들을 연결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후크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이 조립된 구조로서, 좌측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편과 우측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편의 각각에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원통형 슬리브가 형성되며, 양측 슬리브들이 정합된 상태에서 슬리브를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어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을 체결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의 끝단 안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후크가 갭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가 슬리브를 감싼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 세트의 상면에는 비트들을 끼우는 홀들이 형성되고, 후크가 비트 세트의 하단 측부에서 비트 세트의 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는 복수의 비트들을 수납하고 있는 비트 세트를 전동공구에 장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복수의 비트들을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트들을 전동공구에 장착하여 보관함에 따라 작업 시에 예상치 못한 볼트를 체결할 경우에 전동공구에 장착된 비트 세트에서 해당 비트를 찾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트 세트를 전동공구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체결부에 비트 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비트 세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공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트 세트를 전동공구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체결부에 비트 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비트 세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전동공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전방에 척(130)이 장착되고, 하우징(120)의 하향으로 손잡이(122)가 형성되며, 손잡이(122)의 하단에는 배터리부(140)가 장착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동공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2)의 하단 측부에 비트 세트(170)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전동공구(100)의 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이 사출 제작된 상태에서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이 정합된 상태로 체결된다.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을 체결함에 있어서 클립과 같은 구조로 체결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세트(170)가 장착되는 장착부(160)는 볼트 체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장착부(16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22)의 하단 측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161)들이 형성된다. 돌출편(161)은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에 각각 형성되며, 양측 돌출편(161)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원통형의 슬리브(163)가 형성된다. 양측 돌출편(161)에 형성된 슬리브(163)는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을 정합하였을 때에 상호 끼워 맞춤되는 형태이며, 양측 슬리브(163)가 정합된 상태에서 볼트(165)가 돌출편(161)과 슬리브(163)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좌측 하우징(120L)의 손잡이 하단과 우측 하우징(120R)의 손잡이 하단은 슬리브(163)를 관통한 볼트(165)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이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이 정합된 상태에서 장착부(160)의 슬리브(163)와 하우징(120)의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세트(170)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다양한 비트(153)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비트(153)에 맞는 홀(171)들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공구(100)의 척(130)에는 어댑터(151)가 장착되고, 어댑터(151)의 선단에 비트(153)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비트(153)의 후단은 어댑터(151)의 사각 홀에 정합하는 사각 기둥의 구조이며, 비트 세트(170)에는 상기 사각 기둥 즉 비트(153)의 후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홀(171)이 형성된다.
특히 비트(153)들을 비트 세트(170)의 홀(171)에 삽입하여 보관함에 있어, 비트(153)가 빠지지 않도록 비트(153)의 재질은 고무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여, 고무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비트 세트(170)의 경우 홀(171)은 비트(153)의 사각 기둥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성하여 비트(153)의 후단을 홀(171)에 억지 끼움식으로 삽입하여 비트(153)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153)들이 장착되는 비트 세트(170)에는 후크(173)가 형성된다. 후크(173)는 앞서 설명한 전동공구(100)의 장착부(160)에 장착되는데, 장착부(160)의 슬리브(163)와 하우징(120) 사이의 갭(G) 사이에 후크(173)의 끝단이 삽입된다.
후크(173)는 비트 세트(170)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크(173) 또한 고무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73)의 끝단 안쪽에 걸림돌기(175)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75)가 형성된 후크(173)의 끝단을 장착부(160)의 슬리브(163)와 하우징(120) 사이의 갭(G) 사이로 밀어넣게 되면, 후크(173)의 끝단이 탄성 변형되면서 갭(G)에 강제 삽입되어 비트 세트(170)는 전동공구(100)의 손잡이(122)의 하단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후크(173)의 걸림돌기(175)는 갭(G)을 통과한 상태에서 슬리브(163)를 감쌈으로써, 후크(173)의 끝단이 쉽게 갭(G)의 사이를 빠져 나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세트(170)에는 비트(153)가 삽입되는 홀(171)들이 형성되며, 비트(153)의 끝단은 비트 세트(1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비트 세트(170)를 장착부(160)에 장착함에 있어 돌출된 비트(153)의 끝단이 상향으로 돌출될 경우 전동공구(100)의 사용 시에 손잡이(122)를 파지하는 손에 간섭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세트(170)에 형성될 홀(171) 중에는 어댑터(151)를 삽입할 수 있는 홀(171)이 형성되는데, 어댑터(151)는 비트(153)에 비해 길이가 길기 때문에, 비트 세트(170) 밖으로 돌출된 어댑터(151)가 상향으로 위치할 경우 어댑터(151)와 작업자의 손 또는 손목이 간섭되어 작업에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트 세트(170)에 형성된 후크(173)는 홀(171)의 입구(비트를 삽입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비트(153)를 삽입하는 홀(171)의 입구가 비트 세트(170)의 상면에 형성되면, 후크(173)는 비트 세트(170)의 측면 하단에서 후크(173)의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 세트(170)의 후크(173)를 장착부(160)에 장착할 경우 비트 세트(170)에 장착된 비트(153)의 끝단 방향은 하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100 : 전동공구
120 : 하우징
122 : 손잡이
130 : 척
140 : 배터리부
160 : 장착부
170 : 비트 세트

Claims (5)

  1. 복수의 비트(153)들이 수납된 비트 세트(170)의 일측에 후크(173)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73)가 장착되도록 하우징(120)의 측부에 장착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하우징(120)의 일체에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편(161)들과, 상기 돌출편(161)들을 연결하는 슬리브(163)를 포함하며, 슬리브(163)와 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된 갭(G)으로 후크(173)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20)은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이 조립된 구조로서, 좌측 하우징(120L)에 형성된 돌출편(161)과 우측 하우징(120R)에 형성된 돌출편(161)의 각각에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원통형 슬리브(163)가 형성되며, 양측 슬리브(163)들이 정합된 상태에서 슬리브(163)를 관통하는 볼트(165)가 체결되어 좌측 하우징(120L)과 우측 하우징(120R)을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후크(173)의 끝단 안쪽에는 걸림돌기(175)가 형성되며, 후크(173)가 갭(G)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75)가 슬리브(163)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비트 세트(170)의 상면에는 비트(153)들을 끼우는 홀(171)들이 형성되고, 후크(173)가 비트 세트(170)의 하단 측부에서 비트 세트(170)의 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KR2020150001625U 2015-03-16 2015-03-16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KR201600032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625U KR20160003284U (ko) 2015-03-16 2015-03-16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625U KR20160003284U (ko) 2015-03-16 2015-03-16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284U true KR20160003284U (ko) 2016-09-27

Family

ID=5704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625U KR20160003284U (ko) 2015-03-16 2015-03-16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28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97A (ko) 2010-06-30 2013-01-03 히다치 고키 가부시키 가이샤 임팩트 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97A (ko) 2010-06-30 2013-01-03 히다치 고키 가부시키 가이샤 임팩트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1885B1 (en) Dust collection device and impact tool
US20120292865A1 (en) Falling prevention structure for socket of power tool
EP3115155B1 (en) Bit holder and combination of tool bit and bit holder
CN101535008A (zh) 把手
US9707676B2 (en) Adapter tool with multiple attachments
US20070053754A1 (en) Universal quick flex and method of use
US11878406B2 (en) Holder for a bit of a tool
KR20150003475A (ko) 드릴링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절삭공구
CN111886112B (zh) 电动工具的结合件
JP2017193044A (ja) 電動工具
KR20170003673U (ko) 휴대용 케이블타이 고정구
KR20160003284U (ko) 비트 세트를 구비한 전동공구
US6712368B2 (en) Quick attachment release system for a rotary hand tool
JP4327115B2 (ja) 携帯電動工具用係止具
KR20100004327U (ko) 충전식 전동공구
KR101968959B1 (ko) 소켓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JP2012228741A (ja) 電動工具
US11465269B2 (en) Lanyard system for power tools
KR101346839B1 (ko) 클램프
JP5554095B2 (ja) 接続ドリル用ケース
JP5403312B2 (ja) 電動工具
KR101426787B1 (ko) 웰딩헤머
KR20200053124A (ko) 나사못 고정 및 흔들림방지 기능을 갖는 전동드릴용 지그
KR20180032743A (ko) 허리고리를 구비한 전동공구
JP2005169525A (ja) 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