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839B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839B1
KR101346839B1 KR1020130060706A KR20130060706A KR101346839B1 KR 101346839 B1 KR101346839 B1 KR 101346839B1 KR 1020130060706 A KR1020130060706 A KR 1020130060706A KR 20130060706 A KR20130060706 A KR 20130060706A KR 101346839 B1 KR101346839 B1 KR 10134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atchet wheel
main block
pawl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우
오한희
Original Assignee
오한희
이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희, 이득우 filed Critical 오한희
Priority to KR102013006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등의 이음 부분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음 부분을 감쌀 수 있으며 양 끝이 분리되어 있는 블록부, 상기 블록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블록부의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블록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블록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접하며 상기 고정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작업을 할 때 재료나 부품을 고정하거나 접착할 때 사용하는 공구이다. 클램프는 그 모양에 따라 C클램프, G클램프, F클램프 따위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는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진동, 충격과 같은 외부요건이 발생하면 결합상태가 느슨해질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1645호 (2013.02.04) 등록특허공보 제10-1228096호 (2013.01.24)
본 발명은 결속력을 유지하면서 외부요건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는 관 등의 이음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이음 부분을 감쌀 수 있으며 양 끝이 분리되어 있는 블록부, 상기 블록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블록부의 분리된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블록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블록부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접하며 상기 고정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부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락킹부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블록, 상기 메인 블록과 마주하며,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는 체결 블록,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체결 블록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블록, 그리고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체결 블록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래칫 휠(RATCHET WHEEL), 상기 메인 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일측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래칫 휠에 걸리는 폴(PAWL), 그리고 상기 폴이 상기 래칫 휠에 걸려 있도록 상기 폴을 상기 래칫 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메인 블록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폴에 접하는 볼,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이 상기 폴에 밀착되도록 상기 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이 접하는 상기 폴에는 상기 볼이 걸리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에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락킹부가 위치하는 안착홀과, 상기 안착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홀에는 상기 폴의 타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홀에는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 부분과 접하는 상기 메인 블록, 상기 체결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 블록의 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 상기 체결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 블록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가 걸리는 링크핀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핀에는 상기 링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링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블록과 연결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움직임을 고정부가 고정하고, 고정부의 움직임을 락킹부가 고정하므로 외부 요건에 의한 클램프의 풀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 이음 부분의 기밀 유지 및 이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블록과 체결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과 링크를 가감할 수 있어 관의 직경에 따라 블록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의 직경에 제안 없이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볼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의 래칫 휠과 걸림돌기 그리고 락킹부가 블록부의 메인 블록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외부 물체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고정부 및 락킹부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고정부 및 락킹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으므로, 충격 및 진동에 의한 고정부 및 락킹부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관 이음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클램프가 관 이음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메인 블록과 체결 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메인 블록, 연결부, 고정부, 락킹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VI-VI 선을 따라 메인 블록을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VII-VII 선을 따라 메인 블록을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고정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관 이음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클램프가 관 이음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0)는 제1 관(1)과 제2 관(2)의 이음 부분에 결합되어, 이음 부분의 기밀 유지 및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클램프(100)는 블록부(10), 연결부(20), 고정부(30), 그리고 락킹부(40)를 포함한다.
블록부(10)는 양단부가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부(10)는 이음 부분을 감싸는 것으로, 메인 블록(11), 체결 블록(12), 연결 블록(13), 그리고 링크(15)를 포함한다.
메인 블록(11), 체결 블록(12) 그리고 연결 블록(13)의 일면은 이음 부분에 접한다. 일면에는 이음 부분의 플랜지(1a, 2a)가 결합되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홈(17)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즉, 결합홈(17)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협소해진다. 협소해진 결합홈(17)의 내면은 제1 관(1)과 제2 관(2)의 플랜지(1a, 2a)가 서로 접하도록 가압한다.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메인 블록(11)에는 안착홀(111)과 메인 블록(11)을 관통하는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홀(111)과 메인 블록(11)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홀(111)에 덮개(113)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113)는 볼트 따위로 메인 블록(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참고)
체결 블록(12)의 중앙에는 체결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121)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블록(13)은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연결 블록(13)을 3개로 도시하였으나, 연결 블록(13)의 개수는 제1 관(1)과 제2 관(2)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링크(15)는 메인 블록(11)과 연결 블록(13)을 연결하고, 연결 블록(13)과 체결 블록(12)을 연결한다. 링크(15)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링크(15)의 길이는 연결 블록(13)의 배열된 간격 및 제1 관(1)과 제2 관(2)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메인 블록(11), 연결 블록(13), 그리고 체결 블록(12)에는 링크(15)가 결합되는 링크핀(14)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핀(14)는 억지끼움 또는 나사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링크핀(14)의 단부에는 링크(1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링(16)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1 관(1)과 제2 관(2)의 직경에 따라 링크(15)와 연결 블록(13)을 가감될 수 있다. 아울러, 링크(15)가 결속링(16)으로 링크핀(14)에 결합되므로 가감 시 링크(15)와 연결 블록(13)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블록부(10)가 이음 부분을 감싸게 되면 블록부(10)의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연결부(20)는 양단부가 끊어진 블록부(10)를 연결한다. 연결부(2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0)는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부분(21)은 메인 블록(11)의 안착홀(111)과 구멍(112)을 걸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1 부분(21)은 구멍(112)에 헐거운 끼움맞춤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부분(21)이 구멍(112)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부분(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부분(21)의 일측은 수공구를 결합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각형 부분에는 렌치 따위를 결합할 수 있는 다각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부분(21)이 메인 블록(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부분(21)의 양측에는 스냅링(23)이 결합된다. 스냅링(23)은 메인 블록(11) 양측면에 걸린다. 스냅링(23)이 메인 블록(11)의 양측면에 걸리게 되면서 제1 부분(21)은 메인 블록(1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2 부분(22)은 제1 부분(21)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2 부분(22)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분(22)은 메인 블록(11)과 마주하는 체결 블록(12)의 체결홀(12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20)의 제1 부분(21)이 메인 블록(11)에 위치하고, 제2 부분(22)이 체결 블록(12)에 결합되면서 끊어진 연결부(20)는 서로 연결되어 이음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부분(22)의 나사가 체결홀(121)에 체결될수록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은 가까워진다.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이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결합홈(17)의 내부면은 플랜지(1a, 2a)(도 1 참조)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더욱 가압하게 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고정부(30)는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을 연결하는 연결부(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래칫 휠(31), 폴(32), 그리고 탄성 가압부(33)를 포함한다.
래칫 휠(31)은 안착홀(111)에 위치한 제1 부분(21)에 형성되어 있다. 래칫 휠(31)은 제1 부분(21)의 둘레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치차들로 이루어져 있다. 래칫 휠(31)이 제1 부분(2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래칫 휠(31)은 블록 몸체(11)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물체에 의한 래칫 휠(31)의 접촉을 예방할 수 있다.
폴(3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폴(32)의 래칫 휠(31)과 이웃하게 위치하며, 안착홀(111)에 배치되어 있다. 폴(32)의 하부측은 안착홀(111)에 위치하여 메인 블록(11)에 핀 스프링(325)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폴(32)은 덮개(113)가 덮고 있어 핀 스프링(325)과 분리되지 않는다. 폴(32)의 상부측은 메인 블록(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메인 블록(11) 외부로 노출된 폴(32) 부분은 손잡이 역할을 한다. 손잡이 부분을 잡고 폴(32)을 핀 스프링(325)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폴(32)은 안착홀(111)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폴(32)의 일측은 래칫 휠(31)과 마주한다. 래칫 휠(31)과 마주하는 폴(32)에는 래칫 휠(31)의 치차에 걸리는 걸림 돌기(32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과 마주하므로 블록 몸체(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321)는 외부 물체에 의한 접촉이 방지된다. 이러한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 걸리게 되면서 연결부(20)는 고정된다.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 걸리면 진동 및 충격 따위의 외부요건이 발생하여도 연결부(2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즉, 연결부(20)의 풀림이 방지된다.
한편, 폴(32)의 손잡이 부분 하부측에는 걸림턱(3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턱(322)은 안착홀(111)의 내부면(안착턱(111a)과 마주하며, 안착턱(111a)은 걸림턱(32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턱(322)이 안착턱(111a)에 걸리면 폴(32)의 상부측은 핀 스프링(325)을 기준으로 걸림 돌기(321) 보다 후방(도 7의 화살표(C) 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걸림턱(322)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블록(11) 외부에서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 걸려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폴(32)의 걸림턱(322) 하부측으로 제1 고정홈(323) 및 제2 고정홈(3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323)을 이루는 일면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곡면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홈(324)은 제1 고정홈(323) 하부에 위치하며, 제2 고정홈(324)을 이루는 일면과 타면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폴(32)의 하부측 저면은 다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제1 고정홈(323)과 제2 고정홈(324)의 사이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가압부(33)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각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탄성 가압부(33)는 안착홀(111)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가압부(33)의 일측은 블록 몸체(41)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안착홀(111)의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탄성 가압부(33)의 일측은 폴(32)의 다각 형태로 형성된 저면의 제1 면에 접해 있다. 제1 면에 접한 탄성 가압부(33)는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 지속적으로 걸려 있도록 폴(32)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탄성 가압부(3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돌기(321)는 래칫 휠(31)의 치차에 지속적으로 걸려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락킹부(40)는 폴(32)의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락킹부(40)는 폴(32)을 사이에 두고 래칫 휠(31)과 마주한다. 이러한 락킹부(40)는 폴(32)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한다. 락킹부(40)는 몸체(41), 볼(42), 그리고 탄성체(43)를 포함한다.
몸체(41)는 메인 블록(11)에 고정되어 있다. 메인 블록(11)의 내부는 비어 있다. 메인 블록(11)의 일측은 안착홀(111)에 위치한다. 몸체(41)는 메인 블록(11)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몸체(41)는 메인 블록(11)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볼(42)은 몸체(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볼(42)의 적어도 일부분은 몸체(41) 외부로 돌출되어 안착홀(111)에 위치하여 제1 고정홈(323) 또는 제2 고정홈(324)에 선택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즉, 볼(42)은 제1 고정홈(232) 또는 제2 고정홈(324)에 단계적으로 걸려 폴(3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체(43)는 몸체(4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43)는 폴(32) 방향으로 볼(42)에 탄성력을 부여 한다. 이에 따라 볼(42)의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41) 외부로 지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외력에 의해 볼(42)이 몸체(41) 내부로 이동하면 탄성체(43)는 압축될 수 있다.
한편, 볼(42)의 돌출된 부분은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 걸려 있을 때 제1 고정홈(323)에 위치한다. 볼(42)이 제1 고정홈(323)에 삽입되면서 폴(3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폴(32)의 상부측을 잡고 걸림턱(322)이 안착홀(111)의 내부면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서 벗어난다. 그리고 제1 고정홈(323)의 곡면 부분은 볼(42)을 몸체(41)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볼(42)은 몸체(41) 내부로 이동한다. 폴(32)의 회전으로 제2 고정홈(324)이 볼(4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압축된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해 볼(42)은 다시 몸체(41) 외부로 돌출되어 제2 고정홈(324)으로 삽입된다. 볼(42)이 제2 고정홈(324)에 삽입되면서 걸림 돌기(321)가 래칫 휠(31)의 치차에서 벗어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폴(32)의 상부측은 핀 스프링(325)을 기준으로 전방(도 9의 화살표(D) 방향)을 향하게 되면서 걸림턱(322)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부(30)와 연결부(20)의 연결이 분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결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도 9 참조)
고정부(30)의 잠금이 해제되면 연결부(20)가 동작할 수 있어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의 연결 상태를 조절하여 클램프(100)를 이음 부분에 더욱 조이거나, 클램프(100)를 이움부분에서 제거할 수 있다.
고정부(30)의 래칫 휠(31)과 걸림돌기(321) 그리고 락킹부(40)가 블록부(10)의 메인 블록(11)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외부 물체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고정부(30) 및 락킹부(40)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고정부(30) 및 락킹부(40)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으므로, 충격 및 진동에 의한 고정부(30) 및 락킹부(40)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100)는 연결부(20)의 움직임을 고정부(30)가 고정하고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부 요건에 의해 고정부(30)가 움직이는 것을 락킹부(40)가 방지하게 된다. 락킹부(40)에 의해 고정부(30)의 움직임이 방지되므로 블록부(10)의 메인 블록(11)과 체결 블록(12)의 이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클램프(10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제1 관 2: 제2 관
1a, 1b: 플랜지 100: 클램프
10: 블록부 11: 메인 블록
111: 안착홀 112: 구멍
113: 덮개 12: 체결 블록
121: 체결홀 13: 연결 블록
14: 링크핀 15: 링크
16: 결속링 17: 결합홈
20: 연결부 21: 제1 부분
22: 제2 부분 23: 스냅링
30: 고정부 31: 래칫 휠
32: 폴 321: 걸림 돌기
322: 걸림턱 323: 제1 고정홈
324: 제2 고정홈 325: 핀 스프링
33: 탄성 가압부 40: 락킹부
41: 몸체 42: 볼
43: 탄성체

Claims (8)

  1. 서로 분리된 메인 블록과 체결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부,
    일측이 상기 메인 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체결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래칫 휠(RATCHET WHEEL)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폴(PAWL)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폴에 접하고 상기 폴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볼을 포함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는 상기 래칫 휠 부분과 상기 폴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홀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래칫 휠에 걸리면 상기 폴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홀의 개방 부분에는 상기 폴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래칫 휠에 걸리면 상기 볼이 걸리는 제1 고정홈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래칫 휠에서 벗어나면 상기 볼이 걸리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의 사이에는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2. 제1항에서,
    상기 블록부는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체결 블록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블록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체결 블록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
    를 포함하는
    클램프.
  3. 제2항에서,
    상기 래칫 휠은 상기 메인 블록에 위치한 연결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이 상기 래칫 휠에 걸려 있도록 상기 폴을 상기 래칫 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4. 제3항에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볼이 움직임 가능하게 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메인 블록에 결합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이 상기 폴에 밀착되도록 상기 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클램프.
  5. 삭제
  6. 제3항에서,
    상기 메인 블록에는 상기 안착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래칫 휠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7. 제2항에서,
    상기 메인 블록, 상기 체결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 블록의 일면에는 관의 이음부분과 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클램프.
  8. 제2항에서,
    상기 메인 블록, 상기 체결 블록, 그리고 상기 연결 블록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크가 걸리는 링크핀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핀에는 상기 링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링이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
KR1020130060706A 2013-05-28 2013-05-28 클램프 KR10134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706A KR101346839B1 (ko) 2013-05-28 2013-05-28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706A KR101346839B1 (ko) 2013-05-28 2013-05-28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839B1 true KR101346839B1 (ko) 2014-01-03

Family

ID=5014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706A KR101346839B1 (ko) 2013-05-28 2013-05-28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9560A (zh) * 2021-05-31 2021-08-20 青海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脚手板固定卡具
CN115992843A (zh) * 2023-03-24 2023-04-21 河北通用微波塔有限公司 可拆卸式天线支臂抱箍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876A (en) 1996-07-18 1997-09-02 Goldenberg; Michael Hose clamp
KR19990031156A (ko) * 1997-10-09 1999-05-06 윤종용 플랜지 연결장치
JP2006226303A (ja) * 2005-02-15 2006-08-31 Murazumi Kogyo Kk クランプ継手及び該継手を用いたフランジ部の接続方法
KR101017961B1 (ko) * 2010-07-27 2011-03-02 주식회사 엠아이 진공 배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876A (en) 1996-07-18 1997-09-02 Goldenberg; Michael Hose clamp
KR19990031156A (ko) * 1997-10-09 1999-05-06 윤종용 플랜지 연결장치
JP2006226303A (ja) * 2005-02-15 2006-08-31 Murazumi Kogyo Kk クランプ継手及び該継手を用いたフランジ部の接続方法
KR101017961B1 (ko) * 2010-07-27 2011-03-02 주식회사 엠아이 진공 배관용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9560A (zh) * 2021-05-31 2021-08-20 青海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脚手板固定卡具
CN113279560B (zh) * 2021-05-31 2022-09-02 青海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脚手板固定卡具
CN115992843A (zh) * 2023-03-24 2023-04-21 河北通用微波塔有限公司 可拆卸式天线支臂抱箍结构
CN115992843B (zh) * 2023-03-24 2023-06-09 河北通用微波塔有限公司 可拆卸式天线支臂抱箍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208B2 (en) Portable working machine
JP5655057B2 (ja) インパクト工具及びインパクト工具用ソケット
RU24469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рукоятки
US7380660B2 (en) Tool handle type tool box
US20060278485A1 (en) Assembly for fixing a shoulder strap to containers
US2522038A (en) Wrench
KR101346839B1 (ko) 클램프
KR20160055179A (ko) 손잡이
CN111886112B (zh) 电动工具的结合件
US7950311B2 (en) Screwdriver kit
US10900203B2 (en) Attachment pin assembly
WO2020070972A1 (ja) 動力工具およびフック
US20100175515A1 (en) Wrench with releasable head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200397897Y1 (ko) 커튼봉 고정구
KR200444641Y1 (ko) 헤드작동형 다기능 스패너
KR200427432Y1 (ko) 램프홀더조립체
KR200412128Y1 (ko) 볼트 체결 공구
CN112536753B (zh) 多尺寸扳手及其转换装置
JP7428547B2 (ja) 足場ハンマー
KR200292294Y1 (ko) 케이블체인의 링크플레이트 연결구
JP2017170572A (ja) ハンマー
KR20200130049A (ko) 배낭 완충기의 끈 결합 장치
KR20190001362U (ko)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