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179A - 손잡이 - Google Patents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179A
KR20160055179A KR1020167008639A KR20167008639A KR20160055179A KR 20160055179 A KR20160055179 A KR 20160055179A KR 1020167008639 A KR1020167008639 A KR 1020167008639A KR 20167008639 A KR20167008639 A KR 20167008639A KR 20160055179 A KR20160055179 A KR 20160055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lot
screw
slotted
slo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홀드 자이츠
알렉산더 슈트레벨로브
Original Assignee
디엠지 모리 악티엔게젤샤프트
디엠지 모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지 모리 악티엔게젤샤프트, 디엠지 모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디엠지 모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5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손잡이(1)는 스크류(3)에 의해 본체(2)에 체결될 수 있고, 2개의 수용부(5)를 갖는 주 프로파일 부분(4), 및 적어도 2개의 슬롯 너트(6)를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 너트는 스크류(3) 중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구멍(7)을 갖는다. 슬롯 너트(6)는 각각의 수용부(5)에 삽입되고, 본체(2)를 통과하는 스크류(3)가 나사 구멍(7) 안으로 나사 결합될 때, 수용부(5) 안에 클램핑될 수 있다. 슬롯 너트(6)의 클램핑에 의해 인장 응력(Z)이 발생되고, 이 인장 응력에 의해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2)의 표면(8)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고 그래서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2)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손잡이{HANDLE}
본 발명은 본체에 체결될 수 있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는 복수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공작 기계의 도어/플랩에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사람은 그 손잡이로 도어/플랩을 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적은 수고로 동시에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손잡이를 본체에 체결한 후에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손잡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따른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다른 양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손잡이는 스크류에 의해 본체에 체결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수용부를 갖는 주 프로파일 부분 및 적어도 2개의 슬롯 너트를 포함하고, 슬롯 너트 각각은 스크류들 중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는다. 일 슬롯 너트(홈 스톤(groove stone)이라고도 함) 각각은 수용부 안에 삽입될 수 있고, 본체를 통과하는 상기 스크류가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되면 수용부 안에 클램핑될 수 있다. 슬롯 너트의 클램핑에 의해 인장 응력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인장 응력에 의해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의 표면의 방향으로 당겨져 그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에 고정된다.
특히, 단부에서 2개의 수용부를 가지며, 이들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도록 연장되어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 및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나사 구멍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슬롯 너트를 갖는 손잡이가 제안되며, 상기 슬롯 너트 각각은 각각의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설계 또는 형성되어 있고, 슬롯 너트의 외부 프로파일 단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각각의 내부 프로파일 단면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롯 너트 각각을 각각의 수용부에 삽입하고 또한 본체를 통과하는 각각의 스크류가 나사 결합될 때 그것을 각각의 나사 구멍에 체결하면, 상기 손잡이가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은 견고하게 고정된 슬롯 너트 사이에 클램핑되며, 가능하다면, 스크류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중에, 인장 응력이 본체의 표면의 방향으로 주 프로파일 부분에 작용하게 된다.
나사 구멍을 갖는 슬롯 너트의 사용으로, 손잡이의 설계는 간단할 수 있고 본체에의 손잡이의 결합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손잡이가 장착될 때, 상기 인장 응력이 본체의 표면에 평행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들을 갖도록, 슬롯 너트는 수용부의 반대쪽에서 유리하게 정렬된다. 이렇게 해서, 손잡이의 고유 강성 및 본체에의 부착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는 상기 제 1 단부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는 상기 제 2 단부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슬롯 너트는 간단한 방식으로 주 프로파일 부분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있다.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은 제 1 곡부 및 제 2 곡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곡부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곡부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 주 프로파일 부분이 그래서 단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손잡이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슬롯 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응 수용부도 슬롯 너트의 상기 사다리꼴 단면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디리꼴 단면에 의해 주 프로파일 부분에서 슬롯 너트의 특히 양호한 클램핑이 보장된다.
이는 특히, 상기 나사 구멍은 사다리꼴의 제 1 측면에서부터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사다리꼴의 제 2 측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를 통해 연장되어 있을 때(바람직하게는 제 1 측면에 수직하게) 그러한데, 그래서 상기 나사 구멍 방향과 사다리꼴의 제 3 측면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 사이에는 각 경우 0도 보다 크며 그리고/또는 90°보다 작은 각도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구멍은 제 1 측면에서부터 제 2 측면까지 또는 슬롯 너트 내부의 나사 단부까지 슬롯 너트를 완전히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유리하게는 다음과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제 1 단부의 영역에서, 주 프로파일 부분은 제 1 중공체형 부분(제 1 곡부의 일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제 2 단부의 영역에서는 제 2 중공체형 부분(제 2 곡부의 일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중공체형 부분의 제 1 측면 영역(표면 영역)(상기 제 1 측면 영역은 본체의 표면과 대향함) 과 상기 표면은 90°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중공체형 부분의 제 2 측면 영역(표면 영역)(상기 제 2 측면 영역은 표면과 대향함) 과 상기 표면은 9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제 1 슬롯 너트는 제 1 중공체형 부분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 2 슬롯 너트는 제 2 중공체형 부분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 슬롯 너트를 표면에 체결하기 위해 제 1 스크류가 제 1 슬롯 너트에 있는 나사 구멍(제 1 스크류가 이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제 1 슬롯 너트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슬롯 너트를 표면에 체결하기 위해 제 2 스크류가 제 2 슬롯 너트에 있는 나사 구멍(제 2 스크류가 이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제 2 슬롯 너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스크류가 제 1 슬롯 너트에 연결되면, 힘이 제 1 슬롯 너트에 가해져 표면의 방향으로 그 제 1 슬롯 너트를 제 1 측면 영역에 누르게 되며, 그리고 제 2 스크류가 제 2 슬롯 너트에 연결되면, 힘이 제 2 슬롯 너트에 가해져 표면의 방향으로 그 제 2 슬롯 너트를 제 2 측면 영역에 누르게 된다.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의 일 측면("바닥 측면")(이 측면은 본체의 표면과 대향함)이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의 상기 바닥 측면은 주 프로파일 부분의 제 1 단부/제 2 단부와 평평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의 표면에 안착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 결과, 본체의 표면에 움푹한 부분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에 있는 상기 나사 구멍은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의 바닥 측면에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에 연결될 때, 나사 구멍은 본체의 표면에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부시(bush)가 각각의 스크류를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부시는 본체를 관통하여 그 본체에 부착되며, 각각의 스크류는 적당한 부시에 삽입될 수 있고, 스크류는 적당한 슬롯 너트의 나사 구멍 안에서 주 프로파일 부분을 향하는 단부에 의해 삽입될 수 있고, 주 프로파일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단부에서 스탑을 가지며, 스크류가 부시에 삽입될 때, 상기 스탑은 주 프로파일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부시 단부에 부딪히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의 바닥 측면은 주 프로파일 부분을 향하는 부시 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래서 주 프로파일 부분/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는 본체에 안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가능하다면, 본체의 표면에 움푹한 부분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공체형 부분/제 2 중공체형 부분 및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는,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가 제 1 중공체형 부분/제 2 중공체형 부분 안에서 상기 표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제 1 체결 요소/제 2 체결 요소에 연결되면 제 1 측면 영역(표면 영역)/제 2 측면 영역(표면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는 제 1 측면 영역/제 2 측면 영역에 눌리게 되며, 이는 인장 응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중심 영역에서 기본 프로파일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곡부와는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슬롯 너트가 주 프로파일 부분의 중심 영역을 통해 미끄러질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손잡이의 결합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일 유용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프로파일 부분은 수용부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단부 및 다른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들은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도록 연장되어 있고, 스크류에 의한 체결 전에, 상기 슬롯 너트 중의 하나는 삽입 후에 주 프로파일 부분의 제 1 단부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스크류에 의한 체결 전에, 슬롯 너트 중의 다른 하나는 삽입 후에 주 프로파일 부분의 제 2 단부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 중 하나의 길이 방향 단면(특히, 프로파일 단면에 수직이며 그리고/또는 본체의 표면에 수직인 평면 내에 있는)의 적어도 3개의 측면은 제 1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은 단부에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의 개구에 대응하고,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적어도 3개의 측면도 제 1 사다리꼴의 제 3 측면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제 3 및 4 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벽부에 대응한다.
상기 슬롯 너트 중 하나의 길이 방향 단면(특히, 프로파일 단면에 수직이며 그리고/또는 본체의 표면에 수직인 평면 내에 있는)의 적어도 3개의 측면은 바람직하게 제 2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제 2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은 나사 구멍을 가지며, 이 나사 구멍은 제 2 사다리꼴의 제 1 측면에서부터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슬롯 너트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 2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적어도 3개의 측면은 제 2 사다리꼴 형상의 제 3 측면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롯 너트는 바람직하게는 단부에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의 개구를 통해 대응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 형상의 제 2 및 3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에 대응 수용부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나사 구멍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의 제 1 측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정렬되어 있고, 나사 구멍의 방향과 바람직하게는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의 제 3 측면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 사이에는 각 경우 0도 보다 크며 그리고/또는 90도 보다 작은 각도(α)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되어 있을 때, 상기 슬롯 너트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와 대향하도록 슬롯 너트의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을 통해 상기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며, 그래서 슬롯 너트의 사다리꼴 형상의 길이 방향은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고, 두 슬롯 너트의 사다리꼴 형상의 제 3 및 4 측면에 의해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이 슬롯 너트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다른 특히 유용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슬롯 너트 중의 제 1 슬롯 너트는 단부에 있는 수용부 중의 제 1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래서 제 1 슬롯 너트는 제 1 수용부 안에서 이 수용부의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만 가능한데, 즉 회전될 수 없으며 그리고/또는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른 방향으로는 확실하게 차단됨). 또한, 슬롯 너트중의 제 2 슬롯 너트가 또한 바람직하게 단부에 있는 수용부 중의 제 2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래서 제 2 슬롯 너트는 제 2 수용부 안에서 이 수용부의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만 가능한데, 즉 회전될 수 없으며 그리고/또는 제 2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른 방향으로는 확실하게 차단됨).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리하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양 슬롯 너트가 스크류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자 마자, 손잡이 또는 주 프로파일 부분이 체결 상태에서 차단되며, 이는 견고하고 확실한 결합에 의해 슬롯 너트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30도 내지 120도, 더 바람직하게는 50도 내지 100도의 각도(본체의 측에서)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손잡이의 일 부분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손잡이의 일 부분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는 고정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b 는 비고정 상태에 있는, 도 3a 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는 도 1 및 2 에 도시되어 있는 손잡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b 는 도 4a 에 따른 손잡이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4c 는 도 4a 에 도시되어 있는 A - A 단면을 따른 도 4a 에 따른 손잡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d 는 보기 방향(X)으로 A - A 단면을 따른 도 4a 에 따른 손잡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e 는 도 4a 에 따른 손잡이의 일 단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슬롯 너트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b 는 도 5a 에 도시되어 있는 슬롯 너트의 단면도(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함)를 나타낸다.
도 5c 는 도 5b 에 도시되어 있는 A - A 단면을 따른 도 5a 에 도시되어 있는 슬롯 너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공작 기계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도 4a 에 도시되어 있는 손잡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일치하는 영역, 부품 또는 부품 어셈블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나 있다.
도 1 및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손잡이(1)를 나타낸다. 이 손잡이(1)는 스크류(3)에 의해 본체(2)에 체결될 수 있고, 2개의 수용부(5)를 갖는 주 프로파일 부분(4) 및 2개의 슬롯 너트(6)를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 너트는 상기 스크류(3) 중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구멍(7)을 갖고 있다.
한 슬롯 너트(6) 각각은 수용부(5)에 삽입되고, 본체(2)를 통과하는 스크류(3)가 나사 구멍(7) 안으로 나사 결합되면 수용부(5) 안에 클램핑될 수 있다. 슬롯 너트(6)의 클램핑에 의해 인장 응력(Z)이 발생되는데, 이 인장 응력에 의해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4)이 본체(2)의 표면(8)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그 주 프로파일 부분이 본체(2)에 고정된다.
도 1 은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일 단부만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다른 단부는 도 1 과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특히 양 단부는 예컨대 대칭적이고, 특히 중앙부(30)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음).
나사 구멍(7)을 갖는 슬롯 너트(6)의 사용으로, 손잡이(1)의 간단한 설계 및 본체(2)에 대한 손잡이(1)의 간단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1)가 장착될 때, 상기 슬롯 너트(6)는 상기 인장 응력이 성분(Z1, Z2)을 포함하도록 수용부(5)에 대해 유리하게 정렬되며, 그 성분들은 본체(2)의 표면(8)에 평행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손잡이(1)의 고유 강성과 본체(2)에 대한 부착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고, 손잡이는 슬롯 너트(6) 사이에 단단히 클램핑될 수 있다.
도 4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 프로파일 부분(4)은 제 1 단부(9)와 제 2 단부(10)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6)가 제 1 단부(9) 안에서(방향(R1)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6)는 제 2 단부(10) 안에서(방향(R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래서, 슬롯 너트(6)는 주 프로파일 부분(4) 안에 쉽게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주 프로파일 부분(4)은 제 1 곡부(11)와 제 2 곡부(1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부(9)는 제 1 곡부(11)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제 2 단부(10)는 제 2 곡부(12)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전체 주 프로파일 부분(4)이 그래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1)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손잡이(1)의 측면도에서, 즉 도 4a, 3a 및 3b의 보기 방향에서, 슬롯 나트(6)는, 도 5b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길이 방향 단면, 프로파일 단면과 혼동되지 않음)을 갖는다(도 5b의 측면도는 길이 방향 단면에 대응함). 여기서, 특히, 적어도 3개의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따르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슬롯 너트의 일 측면(주 프로파일 부분의 내부에서 노출됨)은 형상에 있어 제한이 없으며 실질적으로 원하는 대로 설계될 수 있다.
측면도에서, 즉 도 4a, 3a 및 3b의 보기 방향에서, 슬롯 너트(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응하는 수용부(5)도 사다리꼴 단면(길이 방향 단면, 프로파일 단면과 혼동되지 않음)을 가지며, 이 단면은 예컨대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롯 너트(6)의 사다리꼴 단면에 대응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사다리꼴의 2개의 측면만 프로파일 벽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데, 제 3 측면은 손잡이(1) 또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일 단부 개구에 대응하고, 주 프로파일 부분의 내부에서 노출되는 사다리꼴 측면은 가상의 측면을 나타낸다.
적어도 3개의 측면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단면에 의해, 슬롯 너트(6)의 특히 양호한 클램핑 효과가 주 프로파일 부분(4)에서 보장된다. 이는 특히, 나사 구멍(7)이 사다리꼴의 제 1 측면(13)에서부터 사다리꼴의 제 2 측면(14)까지 슬롯 너트(6)를 통과해 연장되어 있을 때 그러한데(상기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의 반대쪽에 있음), 그래서 나사 구멍(7)의 방향과 사다리꼴의 제 3 측면(15) 및 제 4 측면(16)(제 4 측면은 제 3 측면의 반대쪽에 있음) 사이에는 각 경우 각도(α)(> 0)(또한 바람직하게는 90°보다 작음)가 형성된다(즉, 제 3 측면(15)과 제 4 측면(16)에 평행하지 않음).
도 3a 는 고정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길이 방향 단면, 프로파일 단면과 혼동되지 않음), 도 3b 는 비고정 상태에 있는, 도 3a 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체결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는 고정 기구의 원리를 보여준다.
도 3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슬롯 너트(6)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단면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나사 구멍(7)은 슬롯 너트(6)의 사다리꼴 형상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롯 너트(6)의 외측면은 본체(2)의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삽입될 때,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의 내부 프로파일 안에서 단부의 프로파일의 각각의 길이 방향(R1 또는 R2)으로(즉, 프로파일 단면에 항상 수직하게) 자유롭게 변위되거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의 쪽으로 경사진"은 특히 서로 평행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3a 에 따른 체결 상태에서, 슬롯 너트(6)는 스크류(3)에 의해 본체에 단단히 고정되며,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슬롯 너트(6)의 외측면은 예컨대 본체(2)의 표면에 안착되며(그러나, 와셔 등에도 안착될 수 있음), 슬롯 너트의 내측면은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내벽과 접촉한다. 따라서, 손잡이(1)의 본체(4) 그대로는 본체(2)에 직접 체결되지 않고, 슬롯 너트(6) 사이에서 단단히 클램핑된다.
도 3a 에 있는 상부 슬롯 너트(6)는 방향(R1)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하부 슬롯 너트(6)가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본체(4)는 방향(R1)으로 제거될 수 있고, 도 3a 에 있는 하부 슬롯 너트는 방향(R2)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따라서, 상부 슬롯 너트(6)가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본체(4)는 방향(R2)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두 방향(R1, R2)은 평행하지 않고 특히 서로를 가로지르며, 본체(4)가 방향(R1, R2)으로 각각 움직일 가능성은, 각 경우 하부 및 상부 슬롯 너트(6) 각각에 의해 확실한 결합으로 차단되며, 슬롯 너트(6) 사이에 본체가 클램핑됨으로써 손잡이(1)가 단단히 고정된다.
도 4a 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축 대칭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손잡이(1)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주 프로파일 부분(4)은 제 1 단부(17)의 영역에서 제 1 중공체형 부분(21)(제 1 곡부(11)의 일 부분)을 가지며 제 2 단부(18)의 영역에서는 제 2 중공체형 부분(22)(제 2 곡부(12)의 일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중공체형 부분(21)의 제 1 측면 영역(표면 영역)(19)(이 측면 영역은 본체(2)의 표면(8)을 향함)과 표면(8)은 90°보다 큰 각도(β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중공체형 부분(22)의 제 2 측면 영역(표면 영역)(20)(이 측면 영역은 표면(8)을 향함)과 표면(8)은 90°보다 작은 각도(β2)를 형성한다.
제 1 슬롯 너트(6)는 제 1 중공체형 부분(21)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 2 슬롯 너트(6)는 제 2 중공체형 부분(22)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슬롯 너트(6)를 표면(8)에 체결하기 위해 제 1 스크류(3)가 제 1 슬롯 너트(6)에 있는 나사 구멍(7)(제 1 스크류(3)가 이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제 1 슬롯 너트(6)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슬롯 너트(6)를 표면(8)에 체결하기 위해 제 2 스크류(3)가 제 2 슬롯 너트(6)에 있는 나사 구멍(7)(제 2 스크류(3)가 이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제 2 슬롯 너트(6)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스크류(3)가 제 1 슬롯 너트(6)에 연결되면, 힘(Z)이 제 1 슬롯 너트(6)에 가해져 표면(8)의 방향으로 그 제 1 슬롯 너트(6)를 제 1 측면 영역(19)에 누르게 되며, 그리고 제 2 스크류(3)가 제 2 슬롯 너트(6)에 연결되면, 힘(Z)이 제 2 슬롯 너트(6)에 가해져 표면(8)의 방향으로 그 제 2 슬롯 너트(6)를 제 2 측면 영역(20)에 누르게 된다.
도 1 에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3)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의 "바닥 측면"(13)은 표면(8)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또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3)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의 바닥 측면(13)은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제 1 단부(17)/제 2 단부(18)와 평평하게 된다. 그러므로, 손잡이(1)가 본체(2)의 표면(8)에 안착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 뿐만 아니라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도 표면(8)에 안착됨), 그 결과, 본체(2)의 표면(8)에 움푹한 부분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1)은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 안에서 이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의 바닥 측면(13)에 수직하게 정렬되며, 그 바닥 측면은 본체의 표면(8)을 향한다. 또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3)에 연결될 때, 나사 구멍(7)은 본체(2)의 표면(8)에 수직하게 정렬된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스크류(3)를 위해 부시(23)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부시는 본체(2)를 관통하여 그 본체에 체결되며, 각각의 스크류(3)는 대응하는 부시(23)에 삽입될 수 있고, 스크류(3)는 일 단부(24)가 대응 슬롯 너트(6)의 나사 구멍(7) 안에서 주 프로파일 부분(4)을 향하면서 삽입될 수 있고, 주 프로파일 부분(4)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단부(25)에서 스탑(26)을 가지며, 스크류(3)가 부시(23)에 삽입될 때, 상기 스탑은 그 부시(23)의 단부(27)(이 단부는 주 프로파일 부분(4)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함)에 부딪히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3)에 연결될 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의 바닥 측면(13)은 부시(23)의 단부(28)(손잡이 본체를 향함)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 프로파일 부분(4)은 본체(2)의 표면(8)에 직접 안착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표면(8)은 손잡이(1)의 체결시 손상됨이 없이 민감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표면(8)은 민감한 유리 층(29) 또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중공체형 부분(21)/제 2 중공체형 부분(22) 및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는,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제 1 중공체형 부분(21)/제 2 중공체형 부분(22) 안에서 방향(R1/R2)(표면(8)에 대해 경사져 있음)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는 제 1 스크류/제 2 스크류(3)에 연결될 때, 제 1 측면 영역(19)/제 2 측면 영역(20)과 교차하는 방향(R3)으로 당겨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중심 영역(30)에서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면은 상기 곡부(11, 12)의 영역과 다를 수 있고, 그래서 슬롯 너트(6)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중심 영역(30)을 통해 미끄러질 수 없다. 그러므로, 제 1 슬롯 너트/제 2 슬롯 너트(6)가 중공체형 부분(22, 23)으로부터 중심 영역(30)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손잡이(1)의 결합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도 5a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슬롯 너트(6)의 일 실시 형태를 도 5b 에 따른 보기 방향(X)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슬롯 너트의 측면(13)은 슬롯 너트(6)의 외측면을 나타내는데, 도 1, 2 및 3a 에서 그 외측면은 본체(2)의 표면에 안착되며, 나사 구멍(7)의 입구 개구가 도 5a 에 도시되어 있다. 삽입시, 슬롯 너트(6)의 나타나 있는 측면(16)은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수용부(5)의 내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예컨대, 도 1 참조).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나 있는 슬롯 너트의 측면도(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함)를 나타내는데, 이 도에 슬롯 너트(6)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이 나타나 있고, 이 길이 방향 단면 형상은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도 5c 는 도 5b 에 나타나 있는 A - A 단면을 따르는, 도 5a 에 나타나 있는 슬롯 너트의 프로파일 단면도이다. 삽입시, 슬롯 너트(6)는 끝에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 또는 수용부 안에서 방향(R1 또는 R2)으로 도 5c 의 보기 방향에 수직하게(즉, 도 5b 에 있는 단면 축선 A - A 에 수직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 너트(6)의 프로파일은 본체(4)의 단면 프로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합하게 되어 있다(예컨대, 도 4c 참조).
도 5c 에 따른 슬롯 너트(6)의 프로파일은 도 4c 의 본체(4)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지 않지만, 슬롯 너트(6)가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슬롯 너트의 프로파일은 상기 단면 프로파일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손잡이(1)의 견고한 부착의 견고성 및 강도가 유리한 방식으로 더 개선되며 또한 부착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슬롯 너트의 삽입시 슬롯 너트(6)의 외측면(13)과 나사 구멍(7)이 이미 본체의 표면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도록, 또한 스크류(3)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삽입 상태에서도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내부에서의 슬롯 너트(6)의 회전에 의해 비틀려 적절한 정렬이 상실되는 일이 없도록, 슬롯 너트(6)가 주 프로파일 부분(4)의 단부에 삽입만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결합이 또한 용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 은 공작 기계(40)의 도어(41)에 장착되어 있는 도 4a 에 나타나 있는 손잡이(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단지 몇개의 개별적인 부품만 갖는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적은 수고로 동시에 장착될 수 있고 또한 부착 후에 본체에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스크류(3)에 의해 본체(2)에 부착되는 손잡이(1)로서,
    단부에서 2개의 수용부(5)를 가지며, 이들 수용부(5)는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도록 연장되어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4); 및
    상기 스크류(3)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나사 구멍(7)을 갖는 2개의 슬롯 너트(6)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 너트(6) 각각은 각각의 수용부(5)에 삽입되도록 만들어져 있고, 슬롯 너트(6)의 외부 프로파일 단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수용부(5)의 각각의 내부 프로파일 단면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 너트(6) 각각이 각각의 수용부(5)에 삽입되고 또한 본체(2)를 통과하는 각각의 스크류(3)가 각각의 나사 구멍(7) 안으로 나사 결합될 때 체결되면, 상기 손잡이가 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본체(2)의 표면(8)의 방향으로 인장 응력(Z)이 발생되고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4)은 견고하게 고정된 슬롯 너트(6) 사이에 클램핑되는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응력(Z)은 상기 본체(2)의 표면(8)에 평행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Z1, Z2)을 갖는 손잡이(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4)은 제 1 단부(9) 및 제 2 단부(10)를 가지며, 이들 단부(9, 10)는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슬롯 너트(6) 중의 하나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상기 제 1 단부(9)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롯 너트(6) 중의 다른 하나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상기 제 2 단부(10)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4)은 제 1 곡부(11) 및 제 2 곡부(12)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9)는 상기 제 1 곡부(11)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부(10)는 상기 제 2 곡부(12)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손잡이(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나트(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사다리꼴 길이 방향 단면을 가지며, 슬롯 너트(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응 수용부(5)도 슬롯 너트(6)의 상기 사다리꼴 길이 방향 단면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길이 방향 단면을 갖는 손잡이(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7)은 사다리꼴의 제 1 측면(13)에서부터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사다리꼴의 제 2 측면(14)까지 적어도 하나의 슬롯 너트(6)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상기 나사 구멍(7)의 방향과 사다리꼴의 제 3 측면(15)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16) 사이에는 각 경우 0도 보다 큰 각도(α)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7)의 방향과 사다리꼴의 제 3 측면(15)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16) 사이에는 각 경우 90도 보다 작은 각도(α)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7)의 방향은 사다리꼴의 상기 제 1 측면(13)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정렬되어 있는 손잡이(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 중 하나의 길이 방향 단면의 적어도 3개의 측면은 제 1 사다리꼴을 형상을 가지며,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은 단부에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개구에 대응하고,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적어도 3개의 측면은 제 1 사다리꼴의 제 3 측면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다리꼴 형상의 제 3 및 4 측면은 상기 수용부(5)의 벽부에 대응하는 손잡이(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너트(6) 중 하나의 길이 방향 단면의 적어도 3개의 측면(13, 15, 16)은 제 2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제 2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13)은 나사 구멍(7)을 가지며, 이 나사 구멍(7)은 제 2 사다리꼴의 제 1 측면(13)에서부터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슬롯 너트(6)의 제 2 측면(14)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 2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적어도 3개의 측면(13, 15, 16)은 제 2 사다리꼴의 제 3 측면(15)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16)을 더 포함하는 손잡이(1).
  11. 제 9 항 및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너트(6)는 단부에 있는 주 프로파일 부분(4)의 개구를 통해 대응수용부(5)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형의 제 2 및 3 측면에 평행한 방향(R1; R2)으로 대응 수용부(5) 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1).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7)의 방향은 상기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의 제 1 측면(13)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나사 구멍(7)의 방향과 제 1 및/또는 2 사다리꼴의 제 3 측면(15) 및 이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 4 측면(16) 사이에는 각 경우 0도 보다 크며 그리고/또는 90도 보다 작은 각도(α)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롯 너트(6)는 슬롯 너트(6)의 사다리꼴 형상의 제 1 측면에 의해 본체(2)와 대향하도록 상기 나사 구멍 안으로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3)에 의해 고정되며, 그래서 슬롯 너트(6)의 사다리꼴 형상의 길이 방향(R1, R2)은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고, 두 슬롯 너트(6)의 사다리꼴 형상의 제 3 및 4 측면에 의해 상기 주 프로파일 부분(4)이 슬롯 너트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손잡이(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너트(6) 중의 제 1 슬롯 너트는 단부에 있는 수용부(5) 중의 제 1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래서 제 1 슬롯 너트(6)는 제 1 수용부(5) 안에서 이 수용부(5)의 제 1 방향(R1)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 2 슬롯 너트(6)가 제 2 수용부(5) 안에서 이 수용부(5)의 제 2 방향(R2)으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슬롯 너트(6) 중의 제 2 슬롯 너트가 단부에 있는 수용부(5) 중의 제 2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방향(R1)과 제 2 방향(R2)은 서로의 쪽으로 경사져 있는 손잡이(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R1)과 제 2 방향(R2)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30도 내지 120도, 바람직하게는 50도 내지 100도의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
KR1020167008639A 2013-09-13 2014-09-11 손잡이 KR20160055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4342.7 2013-09-13
EP13184342.7A EP2848159B1 (de) 2013-09-13 2013-09-13 Griff
PCT/EP2014/069406 WO2015036491A1 (de) 2013-09-13 2014-09-11 Grif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179A true KR20160055179A (ko) 2016-05-17

Family

ID=4921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639A KR20160055179A (ko) 2013-09-13 2014-09-11 손잡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52347B2 (ko)
EP (1) EP2848159B1 (ko)
JP (1) JP6560226B2 (ko)
KR (1) KR20160055179A (ko)
CN (1) CN105658114B (ko)
ES (1) ES2623047T3 (ko)
WO (1) WO2015036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43U (ko) 2020-11-03 2022-05-10 금성에이스산업(주)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3865B1 (fr) 2016-02-23 2017-08-24 H2Win S.A. Dispositif photo-catalytique pour la production d'hydrogene gazeux
USD849505S1 (en) * 2016-08-08 2019-05-28 Shih-Kuo Chang Handrail
USD826026S1 (en) * 2016-09-13 2018-08-21 Thermoseal Industries, Llc Elliptical door handle
CN108222661A (zh) * 2017-12-21 2018-06-29 苏州锐德飞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机械手柄
US10920449B1 (en) * 2019-08-27 2021-02-16 Luuv Inc Handle adapter for sliding glass doors
CN110947010B (zh) * 2019-11-29 2021-08-06 杭州宝力体育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体育器材用的消毒装置
USD918693S1 (en) * 2019-12-23 2021-05-11 Derrick Livengood Cabinet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4277A (en) * 1921-12-01 1928-09-11 Philadelphia Storage Battery Battery-reenforcing handle
US2234097A (en) * 1938-09-21 1941-03-04 Tinnerman Products Inc Attaching knobs, handles, and the like
US2329767A (en) * 1941-06-28 1943-09-21 Keeler Brass Co Handle, drawer pull, or the like
FR1322990A (fr) * 1962-02-23 1963-04-05 Le Meuble Pratique Poignée de meuble
FR1387217A (fr) * 1963-12-16 1965-01-29 Perfectionnement aux poignées de meubles ou analogues
US3995349A (en) * 1975-06-24 1976-12-07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handle of a household refrigerator
JPH09178333A (ja) * 1995-12-27 1997-07-11 Sanyo Electric Co Ltd 把手装置
CN2391955Y (zh) * 1999-06-09 2000-08-16 东莞安极五金皮具有限公司 把手用圆锥体定位结构装置
JP2002349521A (ja) * 2001-05-24 2002-12-04 N B C Kk 棒状・パイプ状装備品の固定装置
MXPA02011485A (es) * 2001-11-21 2003-06-30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s de montaje de manija para su uso en un refrigerador.
KR101054097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핸들 부착구조
JP4322734B2 (ja) * 2004-05-24 2009-09-0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金属製取手
US7793388B2 (en) * 2006-07-13 2010-09-14 Maytag Corporation Handle assembly for a domestic appliance
CN201137327Y (zh) * 2007-12-20 2008-10-22 郑桐 门板把手结构改良
CN201261969Y (zh) * 2008-07-18 2009-06-24 梁桂莲 一种门拉手
CN201488452U (zh) * 2009-09-04 2010-05-26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拉手部件固定结构
DE102011087757A1 (de) * 2011-12-05 2013-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griff für Haushaltsgerätetür mit Profilgriffsta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43U (ko) 2020-11-03 2022-05-10 금성에이스산업(주)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2347B2 (en) 2017-09-05
CN105658114B (zh) 2018-05-01
EP2848159A1 (de) 2015-03-18
ES2623047T3 (es) 2017-07-10
EP2848159B1 (de) 2017-04-05
JP2016531223A (ja) 2016-10-06
US20160230416A1 (en) 2016-08-11
JP6560226B2 (ja) 2019-08-14
WO2015036491A1 (de) 2015-03-19
CN105658114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5179A (ko) 손잡이
JP4527030B2 (ja) 複数の棒状要素のための締め付け具
CN101360921B (zh) 两块板的组装装置
TWI594681B (zh) Bracket change positioning device
WO2007103607A1 (en) Torque fastening devices and apparatus
JP2008532837A (ja) 空洞および排水要素を備えた航空機構造要素
JP2011503454A (ja) 支持部材に取付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具、並びに該固定具を備えた固定装置
KR101862849B1 (ko) 케이블 클램프
FR2540199A1 (fr) Ecrou pouvant etre bloque sur un element filete
KR101444092B1 (ko) 전기적 도체를 변류기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장치
FR2960248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element d'habillage
JP5784866B1 (ja) センサ固定装置
JP2006153257A5 (ko)
US6872026B2 (en) Handle connector
JP2018076912A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KR200483208Y1 (ko) 터미널 블럭
EP2044276B1 (en) Handle, particularly window handle
FR2884569A1 (fr) Dispositif de maintien en position de moyens en forme de vis
KR101346839B1 (ko) 클램프
JP6979166B2 (ja) 挟持構造及び該挟持構造を備える接地端子
JP7015063B2 (ja) ハンドル
JP4838168B2 (ja) 化粧柱構造
KR970004275Y1 (ko) 냉장고의 킥 플레이트 고정장치
JP6539255B2 (ja) 固定壁に対する被覆部材の固定構造
JP5190656B2 (ja) 流体圧機器における位置検出スイッチ取付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