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218A - 윤활유용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유용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218A
KR20130001218A KR1020127021020A KR20127021020A KR20130001218A KR 20130001218 A KR20130001218 A KR 20130001218A KR 1020127021020 A KR1020127021020 A KR 1020127021020A KR 20127021020 A KR20127021020 A KR 20127021020A KR 20130001218 A KR20130001218 A KR 2013000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ubricating oil
detection unit
passage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192B1 (ko
Inventor
노보루 오제키
Original Assignee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04B23/025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the pump being located directly adjacent the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in which the valving is performed by pistons and cylinders coacting to open and close intake or outlet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13/10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mechanical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2013/063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electrical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압력제거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를 제공한다.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해서 토출구 (13)로부터 토출하는 실린더부 (15) 및 피스톤 (30)을 갖춘 펌프 본체 (10)와, 피스톤 (30)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 (40)를 갖추고 토출구 (13)에 접속된 윤활 관로 (W)에 대해서 윤활유를 공급하는 공급시에 토출구 (13)측을 가압해서, 윤활 관로 (W)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 토출구 (13)측을 압력제거하는 윤활유용 펌프 장치 (S)이며, 피스톤 (30)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P1), 제1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P2), 제2 위치 (P2)로부터 후퇴한 제3 위치 (P3)의 3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해서, 펌프 본체 (10)에, 피스톤 (30)이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사이에서 이동할 때 피스톤 (30)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피스톤이 제3 위치로 후퇴했을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개방되는 압력제거경로 (50)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윤활유용 펌프 장치{PUMP DEVICE FOR LUBRICATION OIL}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나 선반 등의 각종 기계에 그리스나 오일 등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계에 배관되어 가압과 압력제거(脫壓)를 교대로 실시하는 윤활관로에 유효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의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윤활유의 가압 및 압력제거에 의해서 왕복 이동되어 윤활유를 토출하는 단일 피스톤 및 이 피스톤에 대응한 1개의 도출구를 갖추고 1 쇼트의 토출량이 0.03ml~1.5 ml정도의 알려진 단일 정량 밸브 (V)를 사용해서 이들 단일 정량 밸브 (V)를 해당되는 복수 부위에 윤활 관로 (W)를 통해서 배설하고, 이 윤활 관로 (W)에 윤활유용 펌프 장치 (Sa)로부터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단일 정량 밸브 (V)는, 윤활유의 가압 및 압력제거에 의해 작동되어 윤활유를 토출하는 관계로 압력제거가 필요하므로, 압력제거를 할 수 있는 윤활유용 펌프 장치 (Sa)가 사용된다.
종래, 이런 종류의 윤활유용 펌프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공개특허 평6-137489호 공보) 또는 특허 문헌 2(일본공개특허 평7-81676호 공보)에 기재된 그리스로 이루어지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윤활유용 펌프 장치 (S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및 피스톤을 갖춘 플런저형의 펌프 본체 (100)와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의 정역 가능(正逆可能)한 전동 모터 (101)를 갖추고 있다. 이 펌프 본체 (100)는, 전동 모터 (101)의 정회전시에 구동되고, 탱크 (102)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하는 동시에 토출 통로 (103)를 통해서 토출구 (104)로부터 토출한다. 또한, 탱크 (102)와 토출 통로 (103)와의 사이에는, 압력제거경로 (1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제거경로 (105)에는, 전동 모터 (101)에 의해서 구동되는 압력제거밸브 (106)가 내장 되어 있다. 압력제거밸브 (106)는, 전동 모터 (101)의 정회전시에 폐색 되는 동시에 전동 모터 (101)의 역회전시에 개방된다. 그리고, 토출구 (104)에 윤활 관로 (W)를 접속하고, 이 윤활 관로 (W)에 대해서 윤활유 공급시에는, 전동 모터 (101)를 정회전 시켜서 펌프 본체 (100)의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켜서 토출구 (104)측을 가압한다. 한편, 윤활 관로 (W)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는, 압력 스윗치 (107)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 (101)를 역회전시켜서 압력제거밸브 (106)를 개방하고, 토출구 측을 압력제거한다. 도 8 중 (108)은 릴리프 밸브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평6-13748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평7-8167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윤활유용 펌프 장치 (Sa)는, 1개의 전동 모터 (101) 로 펌프 본체 (100)의 피스톤을 구동하는 동시에 압력제거밸브 (106)를 작동시키고 있고 이 점에서는 효율이 좋으나, 압력제거밸브 (106)가, 펌프 본체 (100)의 실린더 및 피스톤과는 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장치가 대형화하고, 또한, 압력제거밸브 (106)의 구동 기구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력제거구조를 간단하고 쉽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해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윤활유용 펌프 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실린더부 및 해당 실린더부를 진퇴 이동하는 피스톤을 갖춘 펌프 본체와 상기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갖추고 상기 토출구에 접속된 윤활 관로에 대해서 윤활유를 공급할 때에 상기 토출구측을 가압하고, 해당 윤활 관로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는 상기 토출구측을 압력제거하도록 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이 제 1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이 제 2 위치로부터 다시 후퇴한 제3 위치인 3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펌프 본체에,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이 피스톤이 제3 위치로 후퇴했을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개방되는 압력제거경로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펌프 본체의 토출구(吐出口)에 접속된 윤활 관로에 대해서 윤활유 공급시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피스톤을 제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진출시키고, 그 후, 제1 위치에 이르면 피스톤을 후퇴시키고, 다음에, 제2 위치에 이르면 다시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다시, 제1 위치에 이르면 피스톤을 후퇴시키고 다음에, 제2 위치에 이르면 다시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이와 같이 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피스톤을 왕복이동 시킨다. 이 경우, 압력제거경로는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어 있으므로, 이 피스톤의 왕복 동작에 의해,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는 피스톤에 의해 흡입되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윤활 관로에 공급된다. 이 윤활유의 공급에 의해, 윤활 관로에 설치된 밸브로부터 윤활유가 토출되어 급유를 한다. 그리고, 밸브로부터 윤활유가 토출되었다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피스톤을 제3 위치로 향해서 후퇴 시켜서 정지시킨다. 이 경우, 압력제거경로가 피스톤에 의해서 개방되므로, 토출구측이 압력제거 되어 윤활 관로는 다음 급유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본 장치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에 의한 피스톤의 진퇴이동만으로, 윤활유의 공급과 공급 정지시의 압력제거를 할 수 있으므로, 윤활유를 흡입, 토출하는 실린더부 및 피스톤이 압력제거력밸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압력제거밸브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구동 기구도 액츄에이터로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간단한 기구로도 되므로 구조도 간단하고 그 결과,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윤활유용 펌프 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흡입 통로 및 흡입한 윤활유를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토출 통로를 갖춘 블록형상의 펌프 본체와, 이 펌프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連通)되어 이 흡입 통로로부터 윤활유를 도입하는 도입구 및 상기 토출 통로에 연통되고 해당 토출 통로에 윤활유를 도출하는 도출구를 갖춘 실린더부와, 이 실린더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후퇴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윤활유를 흡입하고 진출시에 상기 도출구로부터 윤활유를 토출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갖추고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로부터 해당 토출구에 접속된 윤활 관로에 대해서 윤활유를 공급시에 상기 토출 통로를 가압하며, 윤활 관로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 상기 토출 통로를 압력제거하도록 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이 제 1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이 제 2 위치로부터 다시 후퇴한 제3 위치인 3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펌프 본체의 실린더부에,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이 피스톤이 제3 위치로 후퇴했을 때 개방되는 제1통구(通口) 및 제2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 본체에, 상기 제 1통구와 상기 토출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 2통구와 상기 흡입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 3 위치로 후퇴했을 때 상기 토출 통로, 제1 통로, 실린더부 및 제2통로를 지나 상기 흡입 통로에 이르는 압력제거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윤활유의 공급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 제 1 위치 및 제2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시켜서 정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가압 및 압력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3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시동 지령 신호, 제1 검지부, 제2 검지부 및 제3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 정지 지령 신호의 각 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의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피스톤의 진퇴이동을 제어하므로, 확실하게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어는,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상기 제 1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켜서, 상기 제 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켜서,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3 위치로 향해서 후퇴시켜서, 상기 제 3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검지부, 제2 검지부 및 제3 검지부는, 상기 피스톤 측에 설치된 마그넷을 검지하는 홀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간단하고 쉬운 수단으로 검지 기구를 구성할 수 있어서 그 만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에 의해서 정역회전 되는 나사 샤프트와 이 나사 샤프트에 나합(螺合)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에 연계 되어 이 나사 샤프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진퇴이동 되어 상기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연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 샤프트에 의해서 연계 부재를 통해서 피스톤을 강제적으로 진퇴이동 시키므로, 피스톤의 동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윤활유의 점도 변화에 영향 받지 않고 윤활유의 공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를 갖추어서 구성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즉,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3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어는,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상기 제 1 검지부의 검지가 있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동안 정지시키고,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키고, 상기 제 2 검지부의 검지가 있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동안 정지시켜서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1 위치 및 제2 위치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 3 위치로 향해서 후퇴시켜서, 상기 제 3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정지시키는 제어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동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의 전환에 있어서,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예를 들면, 0.1~1.0초) 정지시키므로, 급격한 회전의 변환을 하지 않으므로써, 모터의 부하가 저감 되어 수명을 큰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의 도입구 및 도출구를 실린더의 선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도입구의 앞쪽에 흡입만 허용 하는 인렛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도출구의 뒤쪽에 토출만 허용 하는 아울렛 체크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도입구를 실린더부의 도중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피스톤이 당겨진 것으로 인한 부압이 즉시 도입구에 작용하므로, 윤활유의 점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윤활유의 흡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제1 위치로부터 후퇴하며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제2 위치로부터 다시 후퇴한 제3 위치의 3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펌프 본체에, 피스톤이 제2 위치 및 제3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때,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피스톤이 제3 위치로 후퇴했을 때, 피스톤에 의해서 개방되는 압력제거경로를 형성하였으므로, 액츄에이터에 의한 피스톤의 진퇴이동만으로, 윤활유의 공급과 공급 정지시의 압력제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를 흡입, 토출하는 실린더부 및 피스톤이 압력제거 밸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압력제거 밸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구동 기구도 액츄에이터로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간단한 기구로 되므로 구조도 간단하다. 그 결과,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를 나타내고, (a)는 주요부 평면 단면도, (b)는 주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부에 형성된 압력제거경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아우트렛 체크밸브의 구조를 토출 경로 및 압력제거경로의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도시하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윤활유용 펌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는,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의 사출 성형기의 윤활 시스템에 설치된다. 이 윤활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필요한 여러 곳에 주지하는 단일 정량 밸브 (V)를, 윤활 관로 (W)를 통해서 배설(配設)되고, 이 윤활 관로 (W)에 실시 형태에 관련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로부터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단일 정량 밸브 (V)는, 윤활유의 가압 및 압력제거에 의해서 왕복이동 되어 윤활유를 토출하는 단일 피스톤(도시하지 않음) 및 이 피스톤에 대응한 1개의 토출구를 갖추고 1 쇼트의 토출양이 0.03ml~1.5 ml정도의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의 기본적 구성은, 윤활유 저장부 (1)와 금속제의 블록형상의 펌프 본체 (10)와 액츄에이터 (40)와 제어부 (70)로 이루어진다.
윤활유 저장부 (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로 이루어진 윤활유를 수용하는 탱크 (2)와 펌프 본체 (10)의 위쪽에 설치되고 탱크 (2)가 장착되는 탱크 장착부 (3)와 탱크 장착부 (3)에 장착되어 탱크 (2)를 덮는 커버 (4)를 갖추고 있다. 탱크 (2)는,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수지제 카트리지 용기이며, 개구부 (5)에 수 나사 (5a)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 장착부 (3)는, 탱크 (2)의 개구부 (5)의 수 나사 (5a)가 나합해서 장착되는 암 나사부 (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장착부 (3)는, 수 나사부 (6)에 삽입되어 장착된 탱크 (2)의 개구부 (5)로부터 안쪽에 삽입되어 탱크 (2)내의 윤활유를 후술하는 펌프 본체 (10)의 흡입구 (11)로 이끄는 가이드관 (7)을 갖추고 있다.
펌프 본체 (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2)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구 (11)로부터 흡입하는 흡입 통로 (12)를 갖추고 있는 동시에, 흡입한 윤활유를 토출구 (13)로부터 토출하는 토출 통로 (14)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 (11)는 펌프 본체 (10)의 위쪽에 개구하고, 상기 가이드관 (7)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토출구 (13)는 펌프 본체 (10)의 아래 쪽면에 개구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토출구 (13)에, 윤활 관로 (W)가 접속된다.
또한, 펌프 본체 (10)에는, 펌프 본체 (10)의 1 측면 (10a)에 기단부 (15a)가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가지는 실린더부 (15)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 (15)의 선단부 (15b)에는, 흡입 통로 (12)에 연통되어 이 흡입 통로 (12)로부터 윤활유를 도입하는 도입구 (16), 및, 토출 통로 (14)에 연통되고 이 토출 통로 (14)에 윤활유를 도출하는 도출구 (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부 (15)를 구성하는 본체부 (15c) 는, 원통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펌프 본체 (10)에 형성한 구멍 (18)에 감합(嵌合) 되어 있다.
도입구 (16)의 앞 위치에는, 흡입만 허용 하는 인렛 체크밸브 (19)가 설치되고 도출구 (17)의 뒤 위치에는, 토출만 허용 하는 아우트렛 체크밸브 (20)가 설치되어 있다.
아우트렛 체크밸브 (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21)를 갖추고 있다. 밸브 본체 (21)는, 로드 (22)의 선단에 형성된 원추 대(台)형상의 금속제 헤드 (23)와 이 헤드 (23)의 기단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로드 (22)에 끼워진 고무제 O링 (24)과 O링 (24)을 헤드 (23)의 기단에 대해서 누르는 누름 부재 (25)를 갖추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울렛 체크밸브 (20)는, 실린더부 (15)의 도출구 (17) 측에 설치되어 밸브 본체 (21)의 헤드 (23)및 O링 (24)이 접촉, 이간(離間)하는 금속제 실면부 (26)와 밸브 본체 (21)의 로드 (22)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헤드 (23) 및 O링 (24)의 실(Seal)면부 (26)로부터의 이간시에 도출구 (17)로부터 토출되는 윤활유를 통과시키는 슬리팅(slitting)형상의 통과 통로 (27a)를 가진 가이드부 (27)와 가이드부 (27)와 누름 부재 (25)와의 사이에 장착 되어 헤드 (23) 및 O링 (24)을 실면부 (26)에 압압(押壓) 하는 코일 스프링 (28)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 아우트렛 체크밸브 (20)에 의하면, 실면부 (26)에 금속제 헤드 (23)와 고무제의 O링 (24)이 접촉하므로, 헤드 (23)와 실면부 (26)와의 금속끼리의 접합에 더해서, 고무제 O링 (24)과 금속제 실면부 (26)와의 접합도 있으므로, 그 만큼, 실이 확실해지고, 도입구 (16)로부터의 윤활유의 흡인시에 역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실린더부 (15)에는, 피스톤 (30)이 진퇴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피스톤 (30)은, 후퇴시에 도입구 (16)로부터 윤활유를 흡입하고 진출시에 도출구 (17)로부터 윤활유를 토출하는 것이다. 피스톤 (30)의 후측부 (31)는, 피스톤 (30)의 진출시에 있어서도, 실린더부 (15)의 기단 (15a)(즉, 펌프 본체 (10)의 1 측면 (1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있고 액츄에이터 (40)에 연계 된다.
액츄에이터 (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30)을 진퇴이동시켜서, 후퇴시에 실린더부 (15)의 도입구 (16)로부터 윤활유를 도입하고, 진출시에 실린더부 (15)의 도출구 (17)로부터 윤활유를 도출 하게 한다. 자세하게는, 액츄에이터 (40)는,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 (41)를 갖추고 있다. 전동 모터 (41)는, 기어 감속 기구 (42)를 통해서 회전 되는 구동축 (43)을 가지며, 축 (43)의 축선과 피스톤 (30)의 축선이 평행하도록, 펌프 본체 (10)의 1 측면 (10 a)에 입설(立說)된 다리부 (44)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모터 (41)의 구동축 (43)에는, 같은 축의 나사 샤프트 (45)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나사 샤프트 (45)의 선단부는 펌프 본체 (10)의 1 측면 (10a)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46)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40)는, 나사 샤프트 (45)에 나합하는 동시에 피스톤 (30)의 후측부 (31)에 고정되어 연계 되는 연계 부재 (47)를 갖추고 있다. 연계 부재 (47)는, 2개의 가이드 샤프트 (48)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사 샤프트 (45)의 정역회전에 의해 진퇴이동 되어 피스톤 (30)을 진퇴이동 시킨다. 이 피스톤 (30)의 진퇴이동에 의해, 토출구 (13)에 접속된 윤활 관로 (W)에 대해서 윤활유를 공급하고, 이 윤활유의 공급시에 토출구 (13)측을 가압한다. 도면 중 부호 49는 펌프 본체 (10)및 액츄에이터 (40)를 덮는 커버이다.
또한, 피스톤 (30)은, 진출하여 윤활유를 도출하는 피스톤 (30)의 선단 (32)의 진출끝인 제1 위치 P1(도 6(b1)(b2), 도 7(d1)(d2)), 이 제1 위치 P1으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P2(도 2, 도 7(c1)(c2)), 이 제2 위치 P2로부터 다시 후퇴한 제3 위치 P3(도 1, 도 3, 도 6(a1)(a2))의 3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 본체 (10)에는, 피스톤 (30)이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간에서 이동할 때 피스톤 (30)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피스톤 (30)이 제3 위치 P3으로 후퇴했을 때 피스톤 (30)에 의해서 개방되는 압력제거경로 (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윤활 관로 (W)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 피스톤 (30)을 제3 위치 P3에 후퇴 시키고, 토출구 (13)측을 압력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 본체 (10)의 실린더부 (15)에, 제1통구(通口) (51) 및 제2통구(通口) (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통구 (51) 및 제2통구 (52)는, 피스톤 (30)이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사이에서 이동할 때, 피스톤 (30)에 의해서 폐색 되고 또한, 피스톤 (30)이 제3 위치 P3에 후퇴했을 때 개방된다. 또한, 펌프 본체 (10)에, 제1통구 (51)와 토출 통로 (14)를 접속하는 제1 통로 (53), 및, 제2통구 (52)와 흡입 통로 (12)를 접속하는 제2 통로 (54)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피스톤 (30)이 제3 위치 P3에 후퇴했을 때, 토출 통로 (14), 제1 통로 (53), 실린더부 (15)및 제2 통로 (54)를 지나서 흡입 통로 (12)에 도달하는 압력제거경로 (50)가 형성된다.
또한, 본장치 (S)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30)이 제1 위치 (P1)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 (K1)와 피스톤 (30)이 제2 위치 (P2)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 (K2)와 피스톤 (30)이 제3 위치 (P3)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부 (K3)를 갖추고 있다. 액츄에이터 (40)의 연계 부재 (47)에는 마그넷 (60)(도 2(a))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검지부 (K1), 제2 검지부 (K2) 및 제3 검지부 (K3)는, 연계 부재 (47)에 설치된 마그넷 (60)을 검지하는 홀 소자 (61)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 본체 (10)에는, 피스톤 (30)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뻗는 막대 모양의 지지 부재 (62)가 고정되어 있어서 홀 소자 (61)는 이 지지 부재 (62)의 소정의 위치에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제어부 (70)(도 1)는, 액츄에이터 (40)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갖추고 있다. 구동 제어 수단은, 윤활유 공급시에 피스톤 (30)을 제3 위치 (P3)로부터 제1 위치 (P1)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윤활유 비공급시에 피스톤 (30)을 제3 위치 (P3)에 이동시켜서 정지하도록, 시동 지령 신호, 제1 검지부 (K1), 제2 검지부 (K2) 및 제3 검지부 (K3)로부터의 검지 신호, 정지 지령 신호의 각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 (40)의 전동 모터 (41)를 구동 제어한다.
자세한 것은,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한 액츄에이터 (40)의 전동 모터 (41)의 제어는, CPU등의 기능으로 실현되고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전원을 온으로 해서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 시켜서 피스톤 (30)을 진출시키고, 제 1 검지부 (K1)의 검지가 있을 때 전동 모터 (41)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키고, 이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 후에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시켜서 피스톤 (30)을 후퇴시키고, 제 2 검지부 (K2)의 검지가 있었을 때 전동 모터 (41)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키고, 이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 후에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 시켜서 피스톤 (30)을 진출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제1 검지부 (K1) 및 제2 검지부 (K2)의 검지에 따라 전동 모터 (41)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피스톤 (30)을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시켜서 피스톤 (30)을 상기 제 3 위치 (P3)를 향해서 후퇴시키고, 제 3 검지부 (K3)의 검지에 따라 전원을 오프로 해서 피스톤 (30)을 정지시키는 제어이다.
전동 모터 (41)의 소정의 휴지 시간은, 예를 들면, 0.1~1.0초로 설정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0.2초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전동 모터 (41)의 정회전과 역회전과의 전환에 있어서, 전동 모터 (41)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키므로, 급격한 회전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모터의 부하가 저감 되고 수명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시동 지령 신호는, 예를 들면, 본장치의 간헐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로부터의 신호, 또는, 장치가 장착된 기계 측으로부터의 예를 들면 카운트 신호나 부하 전류에 따른 신호 등 어떠한 신호를 사용해도 된다.
정지 지령 신호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 (41)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여, 소정의 부하 전류치가 되었을 때 송신되도록 한다. 전동 모터 (41)의 부하 전류는, 윤활 관로 (W)의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밸브 (V)의 작동이 종료하면 윤활 관로 (W)의 압력이 상승하고, 부하 전류가 상승하므로, 이때의 소정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여 정지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유효하다. 또한, 예를 들면, 압력 검지기 등에 의해 윤활 관로 (W)의 압력을 검출하고, 소정의 압력이 되었을 때 정지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제어부 (70)는, 탱크 (2)내의 윤활유의 잔량을 감시하여, 소정 이하일 때, 전동 모터 (41)를 정지하는 동시에 경고를 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 밖에, 전동 모터 (41)의 수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등, 적당하게 제어 기능을 갖추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를 사용한 윤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도 6및 도 7에 나타내는 작동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어부 (70)는,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을 투입하고(S1),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어를 스타트시킨다(S2). 먼저, 윤활유의 잔량을 검지하고(S3), 잔량이 소정 이하(윤활유(그리스) 레벨 부족)일 때는(S3, YES), 전동 모터 (41)을 정지시키고(S4), 경고 신호(윤활유(그리스) 부족 신호)를 송신해서(S5) 경고 램프 등을 점등한다.
윤활유의 잔량이 소정 이하가 아닌(윤활유(그리스) 레벨 부족이 아닌) 때는(S3, NO),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 시킨다(S6). 이로써, 도 6(a1)(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15)은 제3 위치 (P3)로부터 제1 위치 (P1)를 향해서 진출한다. 이 때, 제어부 (70)는 전동 모터 (41)의 부하 전류를 검출해서 소정의 부하 전류 이상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고(S7), 소정의 부하 전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S7, NO), 도 6(b1)(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부 (K1)의 검지가 있을 때까지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시켜 피스톤 (30)을 진출시킨다. 그리고, 제1 검지부 (K1)의 검지가 있으면(S8), 소정 시간(실시 형태에서는 0.2초) 전동 모터 (41)를 정지시킨 후(S9),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 시켜서(S10), 도 7(c1)(c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검지부 (K2)의 검지가 있을 때까지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시켜서 피스톤 (30)을 후퇴 시킨다. 그 후, 제2 검지부 K2의 검지가 있으면(S11), 소정의 휴지 시간(실시의 형태에서는 0.2초) 전동 모터 (41)을 정지시킨 후(S12), 다시, 윤활유의 잔량을 검지하고 나서(S3), 도 7(c1)(c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 시킨다(S6). 그리고, 전동 모터 (41)의 부하 전류가 소정 부하 전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해서(S7), 소정의 부하 전류 이상이라고 판단할 때까지, 상기와 같게 전동 모터 (41)를 정회전 시키고(S8, S9), 그 후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 시켜서(S10, S11, S12, ), 이것을 반복한다.
즉, 이로써, 펌프 본체 (10)의 토출구 (13)에 접속된 윤활 관로 (W)에 대해거 윤활유를 공급할 시에는, 액츄에이터 (40)에 의해, 피스톤 (30)을 제3 위치 (P3) (도 1, 도 3, 도 6(a1)(a2))로부터 제1 위치 (P1) (도 6(b1)(b2))에 진출시키고, 그 후, 제1 위치 (P1) (도 6(b1)(b2))에 이르면 피스톤 (30)을 후퇴시키고, 다음에, 제2 위치 (P2) (도 2, 도 7(c1)(c2))에 이르면 다시 피스톤 (30)을 진출시켜, 다시, 제1 위치 P1(도 7(d1)(d2))에 이르면 피스톤 (30)을 후퇴시키고, 다음에, 제2 위치 (P2) (도 2, 도 7(c1)(c2))에 이르면 다시 피스톤 (30)을 진출시키고, 이와 같이 하여, 제1 위치 (P1)와 제2 위치 (P2)와의 사이에서 피스톤 (30)을 왕복이동 시킨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제거경로 (50)는 피스톤 (30)에 의해서 폐색 되어 있으므로, 이 피스톤 (30)의 왕복 동작에 의해서, 탱크 (2)에 저장된 윤활유는 피스톤 (30)에 의해서 흡입되어 토출구 (13)로부터 토출되어 윤활 관로 (W)에 공급된다. 이 윤활유의 공급에 의해, 윤활 관로 (W)에 설치한 밸브 (V)로부터 윤활유가 토출되어 급유를 한다.
그리고, 밸브 (V)로부터 윤활유가 토출되면, 윤활 관로 (W)의 압력이 상승해서, 부하 전류가 상승하므로, 이 때, 소정의 부하 전류가 검출된다. 즉, 제어부 (70)는, 전동 모터 (41)의 부하 전류를 검출해서 소정의 부하 전류 이상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고(S7), 부하 전류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때는(S7, YES), 도 1, 도 3, 도 6(a1)(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검지부 (K3)의 검지가 있을 때까지 전동 모터 (41)를 역회전 시켜서(S13) 피스톤 (30)을 후퇴 시킨다. 그리고, 제3 검지부 (K3)의 검지가 있으면(S14), 전동 모터 (41)의 정지 지령 신호를 출력해서(S15), 전동 모터 (41)의 전원을 끄고(S16) 정지 상태로 한다.
이 경우, 도 1, 도 3, 도 6(a1)(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제거경로 (50)가 피스톤 (30)에 의해서 개방되므로, 토출구 (13)측이 압력제거 되어 윤활 관로 (W)는 다음의 급유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의 시동 지령 신호의 출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시동 지령 신호가 있으면, 상기와 같이 작동을 한다. 즉, 간헐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 (40)에 의한 피스톤 (30)의 진퇴이동만으로, 윤활유의 공급과 공급 정지시의 압력제거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윤활유를 흡입, 토출하는 실린더부 (15) 및 피스톤 (30)이 압력제거 밸브의 역할을 하게 되고,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압력제거 밸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구동 기구도 액츄에이터 (40)로 피스톤 (30)을 진퇴이동 시키는 간단한 기구로 되므로 구조도 간단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30)의 동작중에 있어서는, 제1 검지부 (K1), 제2 검지부 (K2) 및 제3 검지부 (K3)에 의해 피스톤 (30)의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피스톤 (30)의 진퇴이동을 제어하므로, 확실하게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검지부 (K1), 제2 검지부 (K2) 및 제3 검지부 (K3)는, 피스톤 (30) 측에 설치된 마그넷 (60)을 검지하는 홀 소자 (61)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수단으로 검지 기구를 구성할 수 있어서 그 만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40)는,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 (41)에 의해서 정역회전 되는 나사 샤프트 (45)를 갖추고 이 나사 샤프트 (45)의 회전을 연계 부재 (47)를 통해서 피스톤 (30)에 전달하므로, 피스톤 (30)을 강제적으로 진퇴이동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 (30)의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서 윤활유의 점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윤활유의 공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 (15)의 도입구 (16)및 도출구 (17)를 실린더부 (15)의 선단부 (15b)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입구 (16)를 실린더부 (15)의 도중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피스톤 (30)이 당겨짐으로 인한 부압이 즉시 도입구 (16)에 작용하므로, 윤활유의 점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윤활유의 흡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 (40)를, 전동 모터 (41)및 나사 샤프트 (45) 기구를 갖추어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에어 실린더 등의 실린더 장치 등 , 다른 기구를 사용해서 구성해도 되고 적당히 변경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에 있어서는, 제1 검지부 (K1), 제2 검지부 (K2) 및 제3 검지부 (K3)는, 연계 부재 (47)에 설치된 마그넷 (60)을 검지하는 홀 소자 (61)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리밋 스윗치나 광 센서 등을 사용해서 구성해도 되고, 적당히 변경해도 무방히다.
또한, 사용하는 윤활유도 상술한 그리스에 한정하지 않고 오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 (S)는, 사출 성형기에 한정하지 않고 선반등의 다른 각종 기계에 설치된 윤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 교시 및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일 없이, 이들의 예시인 실시 형태 등에 많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문헌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9)

  1.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하여 토출구부터 토출하는 실린더부 및 이 실린더부를 진퇴이동하는 피스톤을 갖춘 펌프 본체와, 상기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갖추고, 상기 토출구에 접속된 윤활 관로에 대해서 윤활유를 공급하는 공급시에 상기 토출구 측을 가압하고, 이 윤활 관로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 상기 토출구 측을 압력제거하도록 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이 제1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이 제 2 위치로부터 더욱 후퇴한 제3 위치의 3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해서, 상기 펌프 본체에,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이 피스톤이 제3 위치에 후퇴했을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개방되는 압력제거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2. 탱크에 저장된 윤활유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흡입 통로 및 흡입한 윤활유를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토출 통로를 갖춘 블록 형상의 펌프 본체와, 이 펌프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하여 이 흡입 통로로부터 윤활유를 도입하는 도입구 및 상기 토출 통로에 연통되어 이 토출 통로에 윤활유를 도출하는 도출구를 갖춘 실린더부와, 이 실린더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후퇴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윤활유를 흡입해서 진출시에 상기 도출구로부터 윤활유를 토출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하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이 토출구에 접속된 윤활 관로에 대해서 윤활유 공급시에 상기 토출 통로를 가압하고, 이 윤활 관로에의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비공급시에 상기 토출 통로를 압력해제하도록 한 윤활유용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하여 윤활유를 토출하는 제1 위치, 이 제1 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윤활유를 흡인하는 제2 위치, 이 제2 위치로부터 더욱 후퇴한 제3 위치의 3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해서, 상기 펌프 본체의 실린더부에,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 피스톤에 의해서 폐색 되는 동시에 이 피스톤이 제3 위치에 후퇴했을 때 개방되는 제1통구 및 제2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 본체에, 상기 제 1통구와 상기 토출 통로를 접속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 2통구와 상기 흡입 통로를 접속하는 제2 통로를 형성해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 3 위치에 후퇴했을 때 상기 토출 통로, 제1 통로, 실린더부 및 제2통로를 지나서 상기 흡입 통로에 이르는 압력제거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시에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3 위치에 이동시켜서 정지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3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시동 지령 신호, 제1 검지부, 제2 검지부 및 제3 검지부로부터의 검지 신호, 정지 지령 신호의 각 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어는,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켜서, 상기 제1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키고, 상기 제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켜서,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3 위치로 향해서 후퇴시켜서, 상기 제3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정지시키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 제2 검지부 및 제3 검지부는, 상기 피스톤 측에 설치된 마그넷을 검지하는 홀 소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에 의해서 정역회전 되는 나사 샤프트와 이 나사 샤프트에 나합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에 연계 되어 이 나사 샤프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진퇴이동 되어 상기 피스톤을 진퇴이동 시키는 연계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부와, 상기 피스톤이 제3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어는, 시동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키고, 상기 제1 검지부의 검지가 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켜서,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키고, 상기 제2 검지부의 검지가 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켜서, 소정의 휴지 시간 경과후에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진출시켜서,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소정의 휴지 시간 정지시키는 동시에 그 후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 시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3 위치로 향해서 후퇴시켜, 상기 제3 검지부의 검지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정지시키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도입구 및 도출구를 이 실린더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도입구의 앞 위치에 흡입만을 허용 하는 인렛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도출구의 뒤 위치에 토출만 허용 하는 아우트렛 체크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용 펌프 장치.
KR1020127021020A 2010-02-19 2010-02-19 윤활유용 펌프 장치 KR101685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1093 WO2011101914A1 (ja) 2010-02-19 2010-02-19 潤滑油用ポ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218A true KR20130001218A (ko) 2013-01-03
KR101685192B1 KR101685192B1 (ko) 2016-12-09

Family

ID=444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020A KR101685192B1 (ko) 2010-02-19 2010-02-19 윤활유용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3618B2 (ko)
EP (1) EP2538126B1 (ko)
JP (1) JP5506909B2 (ko)
KR (1) KR101685192B1 (ko)
CN (1) CN102741603B (ko)
WO (1) WO20111019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82B1 (ko) 2015-12-07 2017-03-28 아륭기공(주) 윤활유 공급장치
KR102148794B1 (ko) * 2019-09-04 2020-08-27 주식회사 한성정공 윤활유용 펌프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20230018744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한성정공 윤활유용 펌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83B1 (ko) * 2013-05-21 2014-02-11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윤활 장치
KR101817933B1 (ko) * 2016-09-29 2018-02-21 주식회사 아원 자동변속 기능을 갖는 전기식 그리스 배럴 펌프
CN109707982B (zh) * 2017-10-25 2024-04-02 郑州奥特科技有限公司 油脂泵送装置
CN109707983B (zh) * 2017-10-25 2024-04-02 郑州奥特科技有限公司 油脂泵
US10724682B2 (en) 2018-01-15 2020-07-28 Downing Wellhead Equipment, Llc Delivering and metering grease to process valves
CN108150812B (zh) * 2017-12-30 2021-05-28 浙江同诚合金铜管有限公司 一种铜合金管内润滑处理方法
JP7239966B2 (ja) * 2018-07-09 2023-03-15 リューベ株式会社 潤滑ポンプ装置
DE102019106681B4 (de) * 2019-03-15 2023-02-23 Perma-Tec Gmbh & Co. Kg Schmierstoffspender
CN110094628B (zh) * 2019-05-05 2024-04-02 浙江亚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润滑油供油调节装置
US11898700B2 (en) * 2022-03-07 2024-02-13 Suburban Manufacturing, Llc Machine lubrication system
CN114719170A (zh) * 2022-04-15 2022-07-08 山东云森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煤矿用智能型润滑油脂供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9042A (en) * 1929-05-13 1931-10-27 Lubrication Devices Inc Pump for lubricating systems and the like
JPH06137489A (ja) 1992-10-23 1994-05-17 Daikin Ind Ltd 潤滑油用ポンプ装置
JPH0781676A (ja) 1993-09-14 1995-03-28 Sanshin Ind Co Ltd 船外機
EP1253368A2 (en) * 2001-04-24 2002-10-30 Lube Corporation Lubrication system and lubricating oil feeding device
US20090242161A1 (en) * 2006-09-20 2009-10-01 Masashi Uchida Injection device for die cas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8493A (en) * 1951-05-21 1955-04-20 New York Air Brake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cylinder hydraulic reciprocating pumps
DE2101457A1 (de) * 1971-01-14 1972-08-03 Bbc Brown Boveri & Cie Elektrisch angetriebene Verstellein richtung mit hydraulischer Kraftverstar kung
JPS6044556B2 (ja) * 1981-12-24 1985-10-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潤滑剤供給ポンプ
JPS6034511U (ja) * 1983-08-12 1985-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注油機
JPS6418320U (ko) * 1987-07-20 1989-01-30
JPH0418320U (ko) * 1990-06-05 1992-02-17
JPH0781676B2 (ja) 1990-08-28 1995-09-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一本主管形集中潤滑装置の電動ポンプ
JP2531299B2 (ja) * 1990-09-10 1996-09-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集中潤滑装置の手動ポンプ
US5228469A (en) * 1991-08-15 1993-07-20 Otten Bernard J Fluid control system
US5524030A (en) * 1994-02-22 1996-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stage control rod drive uncoupling tool
CN2371541Y (zh) * 1999-03-23 2000-03-29 杨珍荣 霍尔开关位置传感器
JP4481440B2 (ja) * 2000-06-16 2010-06-16 旭サナック株式会社 ポンプ装置
US6484847B2 (en) 2000-11-30 2002-11-26 Tecumseh Products Company Lubricant pump with magnetic and centrifugal traps
JP4272876B2 (ja) 2002-12-06 2009-06-03 リューベ株式会社 潤滑油供給装置
JP4590199B2 (ja) 2004-03-31 2010-12-01 リューベ株式会社 潤滑システム及び潤滑油供給装置
JP2007113433A (ja) * 2005-10-19 2007-05-10 Ebara Corp プランジャポンプ装置
CN1862072A (zh) * 2006-06-15 2006-11-15 王东升 一种阀式给油器
US7624657B2 (en) * 2006-07-12 2009-12-01 Thermotion Corporation Motor-driven actuator
CN201277016Y (zh) * 2008-10-31 2009-07-22 高阳特 摆铃式自动调平节能型抽油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9042A (en) * 1929-05-13 1931-10-27 Lubrication Devices Inc Pump for lubricating systems and the like
JPH06137489A (ja) 1992-10-23 1994-05-17 Daikin Ind Ltd 潤滑油用ポンプ装置
JPH0781676A (ja) 1993-09-14 1995-03-28 Sanshin Ind Co Ltd 船外機
EP1253368A2 (en) * 2001-04-24 2002-10-30 Lube Corporation Lubrication system and lubricating oil feeding device
US20090242161A1 (en) * 2006-09-20 2009-10-01 Masashi Uchida Injection device for die cast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82B1 (ko) 2015-12-07 2017-03-28 아륭기공(주) 윤활유 공급장치
KR102148794B1 (ko) * 2019-09-04 2020-08-27 주식회사 한성정공 윤활유용 펌프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20230018744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한성정공 윤활유용 펌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126B1 (en) 2018-08-01
EP2538126A1 (en) 2012-12-26
CN102741603B (zh) 2015-08-05
KR101685192B1 (ko) 2016-12-09
JPWO2011101914A1 (ja) 2013-06-17
US20130034458A1 (en) 2013-02-07
WO2011101914A1 (ja) 2011-08-25
EP2538126A4 (en) 2017-05-24
US9243618B2 (en) 2016-01-26
CN102741603A (zh) 2012-10-17
JP5506909B2 (ja)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1218A (ko) 윤활유용 펌프 장치
EP3134223A1 (en) Hydraulic press tool
US20080050464A1 (en) Actuator
WO2007047423A3 (en) Infusion device and actuator for same
JP2009226448A (ja) 成形機
US20200088349A1 (en) Lubricating oil pump device
JP2001295805A (ja) ねじ・油圧両用パワーシリンダー機構
CN103501938B (zh) 成型机的射出装置
CN109268339B (zh) 一种用于小型液压机的切换阀
CN114026326A (zh) 隔膜泵以及使用该隔膜泵的血液净化装置
TWI509183B (zh) Pump equipment for lubricating oil
KR20130051376A (ko) 차량 제동장치의 피스톤펌프
JP2007085472A (ja) 潤滑ポンプ装置
JP4939771B2 (ja) 具入りスープ類の供給装置
JP4782250B1 (ja) 成形機の射出装置
JP6535162B2 (ja) 電磁開閉弁及びこれを用いた潤滑ポンプ装置
CN219933681U (zh) 适用于节能要求的油脂润滑泵
JP7239966B2 (ja) 潤滑ポンプ装置
CN216769026U (zh) 腔体式油脂定量系统
CN210876049U (zh) 点胶机机芯及包含其的点胶机
JP2006192573A (ja) 電動射出成形機の液圧駆動装置
US11603868B2 (en) Pressurizing device
IT201900005490A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 riduzione di velocità dei veicoli a motore idraulico
JP2018196887A (ja) スクイ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ダイカストマシン
US20150352764A1 (en) Injection device and mol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