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209A -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209A
KR20120140209A KR1020120065403A KR20120065403A KR20120140209A KR 20120140209 A KR20120140209 A KR 20120140209A KR 1020120065403 A KR1020120065403 A KR 1020120065403A KR 20120065403 A KR20120065403 A KR 20120065403A KR 20120140209 A KR20120140209 A KR 20120140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air conditioner
display unit
content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613B1 (ko
Inventor
타카시 마츠모토
토시아키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4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유저에게 알릴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얻는다.
유저가 「고장인가?」로 느끼고, 그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하고 싶은 경우, 우선, 리모트 콘트롤(80)의 메뉴 버튼(83b)을 누르고, 다시, 마이너스 버튼(83c) 또는 플러스 버튼(83a)을 누름에 의해, 「이런 때는(문의 메뉴)」에 커서를 맞춘다. 그래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지면, 「난방 운전중…」과 「실외기로부터…」의 2개의 메뉴가 표시되고, 다시, 「난방 운전중에…」에 커서를 맞추어서 결정 버튼(83e)을 누른 때에, 표시부(82)에 「운전 시작시, 서리제거 운전중, 설정 온도를 초과한 때는 상하풍향 플랩이 수평이 됩니다. 고장이 아닙니다.」라고 표시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SUPPORT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특히, 인터페이스 표시부가 마련된 리모트 콘트롤(본 발명에서 「원격 제어부」라고 칭하고 있다)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고기능 휴대 전화(스마트폰)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고 있는 도중에, 통상 운전과 다른 상태나, 평소 볼 수 없는 본체 표시가 나타난 경우, 유저는, 「고장인가?」라고 생각할 때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은 때, 유저는 「고장난 것인가, 또는, 고장이 아니라 정상적인 운전 상태인가」를, 즉석에서 판단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해당 공기 조화기의 취급을 설명한 「취급 설명서」나 「HP(인터넷상의 홈페이지)」를 보면서 판단하거나 하게 되어, 불필요한 수고가 생기고 있다. 또한, 취급 설명서가 없어진 경우나 HP에 액세스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즉석에서 확인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였다.
또한, 유저가, 공기 조화기의 「고장인가?」라고 생각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상태에는, 실제로 에어컨이 고장나서 운전 정지되거나, 이상(異常)한 동작을 하거나 하는 경우와, 이상한 동작으로 보여도, 고장이 아닌 정상적인 동작(상황)인 경우가 있다. 또한, 고장나 있는 경우에도, 유저 자신이 고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등이 있다.
따라서 유저가, 현재의 상황이 「어떤 상태의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판단) 하여 주었으면 하는 요청이 있다.
그래서, 공기 조화기의 이상 상태, 자기 진단 결과, 운전 상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이하, 「상태 정보」라고 칭한다)를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음성 통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0-81242호 공보(제 9 내지 11페이지, 제 3 도)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공기 조화기의 음성 통보 장치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ㄱ) 상태 정보를 음성으로 통보하기 때문에, 음성이 주위의 소리에 묻혀 사라지거나, 주위의 소리와 서로 섞이거나 하여, 상태 정보를 알고 싶은 유저에게 정확하게 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과 함께, 상태 정보를 알고 싶은 유저와는 다른 유저에서는, 알려진 음성 자체가 소음이 되어, 불쾌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ㄴ) 또한, 리모트 콘트롤로부터 이상 확인 명령을 수신한 때, 제어부에 이상 플래그가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없음」이라는 음성이 발하여질 뿐이다. 이 때문에, 유저는, 일상의 운전시에는 조우(遭遇)하는 기회가 적은 상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이상 확인 명령을 발신한 것이지만, 이상이 아닌 것이 밝혀졌다고 하여도, 결국, 의문이나 불안이 해소되지 않았다.
(ㄷ) 특히, 유저는 일상의 운전시에는 조우한 기회가 적은 상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리모트 콘트롤로부터 이상 확인 명령을 송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리모트 콘트롤에 있어서 유저가 의문이나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는 내용(부위나 상태 등)을 지정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유저는,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해 이상의 유무가 확인된 것인지 불안하게 되고, 음성 통보 장치에의 신뢰감이 낮아진다.
(ㄹ) 또한, 자동 운전중이나 서리제거 운전중에 운전 모드가 변화한 경우나, 난방 운전시에 냉풍 취출 방지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그 취지를 음성으로 유저에게 통보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 정보가 빈번하게 통보되면 귀에 거슬리게 되거나, 이러한 상태 정보가 유저가 알고 싶은 정보가 아니거나 하여, 불쾌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유저에게 알릴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와, 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본체 제어부와, 그 본체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원격 제어부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그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에는, 정상 운전중에 발생하는 발생 빈도가 적은 상태에 관해 문의하는 문의 메뉴가 준비되고,
상기 선택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문의 메뉴가 선택된 때, 상기 원격 제어부와 상기 본체 제어부와의 교신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문의 메뉴에 계속해서 상기 상태의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정상 운전중에 발생하는 발생 빈도가 적은 상태에 관해 문의하는 문의 메뉴가 준비되고, 그 문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원격 제어부와 본체 제어부와의 교신에 의해, 표시부에 상기 상태의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실하며 쾌적하게, 특히, 고장이 아닌 것을 신속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취급 설명서를 보거나 HP에 액세스하거나 하는 일 없이, 신속하게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고, 쾌적한 사용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2는 실내기의 일부(필터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내기의 일부(필터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내기의 일부(필터 안내 장치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실내기의 일부(필터 안내 장치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실내기의 일부(필터 안내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실내기의 일부(리모트 콘트롤)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고장 발생시 및 부착 불량 발생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표시부의 한 예(떼어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표시부의 한 예(부착)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의문이나 불안에 응하는 표시의 한 예(플랩이 수평이 되는, 물 또는 흰 연기가 나오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의 표시의 흐름을 정리한 플로 차트.
도 14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는 경우의 표시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에서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7은 도 15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에서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8은 도 15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에서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9는 실시의 형태 1 및 2의 공기 조화기를 도시하는 모식도.
[실시의 형태 1]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일부(필터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일부(필터 안내 장치 및 필터 청소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일부(필터 안내 장치)를 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일부(리모트 콘트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그려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려진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도 1 및 도 2에서, 공기 조화기(1000)의 실내기(이하, 단지 「실내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100)는, 몸체로 되는 실내기 본체(10)와, 실내기 본체(10) 내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함과 함께 흡입한 공기(정확하게는, 조화 공기)를 취출하는 송풍팬(20)과, 송풍팬(20)이 형성하는 풍로 내에 배치되고, 흡입한 공기를 조화하는 열교환기(30)와, 흡인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착하는 에어 필터(이하, 「필터」라고 칭한다)(40)와, 필터(40)를 진퇴(이동)시키는 필터 진퇴 장치(50)와, 필터(40)의 상하면을 반전시키는 필터 안내 장치(60)와, 필터(40)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한 필터 청소 장치(70)를 갖고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000)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110)를 갖고 있다. 그래서, 실외기(110)에 탑재된 냉매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냉매 팽창 수단과, 실내기(100)에 탑재된 열교환기(30)와, 이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냉매 회로(130)에 의해, 냉동 사이클이 실행된다. 이 때, 냉동 사이클을 알맞게 실행시키기 위해, 실외기(110)에는 실외 송풍팬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냉동 사이클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기」란, 적어도, 상기 냉매 압축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 팽창 수단, 열교환기(30), 상기 냉매 회로, 상기 실외 송풍팬 및 송풍팬(20)을 총칭한 것이고, 각각을 통합한 총체 또는 각각 개별의 단체(單體)를 칭하고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000)는, 송풍팬(20) 및 열교환기(30) 등의 기기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120)(도 19 참조)와, 본체 제어부(정확하게는, 본체 제어부에 접속된 송수신부(도시 생략))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부(이하, 「리모트 콘트롤」이라고 칭한다)(80)를 갖고 있다. 본체 제어부(120)는 실내기(100)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터(40)는, 좌우에 각각 배치된 좌측 필터(40L)와 우측 필터(40R)를 가리키고, 양자의 사이에 양자를 진퇴시키는 공통의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터(40) 각각을 진퇴시키는 독립한(별개의)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가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필터(40)는 좌우 쌍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내기 본체)
실내기 본체(10)는, 양측면(도시 생략)이 막혔던 몸체로서, 천면(도 1에서 상측, 실내기 본체의 윗범위와 같다)이 개구하고, 그 개구부가 공기를 흡입한 흡입구(11)로서 형성되고, 바닥면(도 1에서 하측)의 일부 및 앞면(도 1에서 좌측의 바닥면 근처의 범위, 실내기 본체의 아랫범위와 같다)이 개구하고, 흡입구(1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앞면(도 1에서 좌측)은 개구하고, 그 개구부를 개폐한 의장 패널(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면(도 1에서 우측)은 막혀 있다.
(송풍팬)
송풍팬(20)은, 측면으로 보아, 실내기 본체(10)의 흡입구(11)와 취출구(12)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흡입구(11)로부터 취출구(12)에 이르는 바람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다. 송풍팬(20)과 취출구(12)와의 사이의 취출측 풍로(19)는, 풍로 앞면판(14)과 풍로 후면판(15)에 개략 끼여진 공간으로, 취출측 풍로(19)에는 조화 공기의 좌우 방향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방향 풍향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12)에는, 조화 공기의 상하 방향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는 상하풍향 플랩(16, 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풍향 플랩(16, 17)은 떼어냄이 자유롭고, 정규의 위치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이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는 본체 제어부에 송신되고, 본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공기 조화기(1000)는 기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30)는, 흡입된 공기를 조화(냉각, 가열, 제습 등)하는 것으로서, 앞면측에서 하부 근처에 배치된 제 1 열교환기(31)와, 앞면측의 상부로부터 천면에 걸쳐서 배치된 제 2 열교환기(32)와, 천면부터 후면측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 제 3 열교환기(33)로 구성되고, 이들은 흡입구(11)와 송풍팬(20)과의 사이(송풍팬(20)의 상류측과 같다)에서, 송풍팬(20)을 둘러싸도록 측면으로 보아 개략 Λ(람다)형상 내지 거의 역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열교환기(31) 및 제 3 열교환기(33)의 하방에는, 각각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을 보충하는 드레인 팬(34) 및 드레인 팬(3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화된 공기를 「조화 공기」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30)의 구성이나, 배치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필터)
도 1에서, 에어 필터(이하, 「필터」라고 칭한다)(40)는, 실내기 본체(10)의 흡입구(11)와 열교환기(30)와의 사이, 즉, 열교환기(30)의 상류측에서, 통상시는, 흡입구(11)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진출되고(인출되고), 또한, 필터 청소시는, 필터 진퇴 장치(50)에 의해, 흡입구(11)로부터 퇴피하도록 이동하는(예를 들면, 권취되는) 것으로서, 정면으로 보아 좌측에 배치된 좌측 필터(40L)와, 정면으로 보아 우측에 배치된 우측 필터(40R)의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측 필터(40L)와 우측 필터(40R)는,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내용에 관해서는 명칭의 「좌측, 우측」 또는 부호의 첨자「L, R」의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정면으로 보아 좌우에 배치된 그 밖의 부재에 대해서도, 공통된 내용에 관해서는 명칭의 「좌측, 우측」 또는 부호의 첨자 「L, R」의 기재를 생략한다.
도 2에서, 필터(40)는, 실내기 본체(10)의 좌우에(필터 진퇴 장치(50)의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을 끼우고)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40)는, 좌우 방향보다도 전후 방향(안길이)이 길다란 개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필터 통풍체(망상체)(41)와, 필터 통풍체(41)가 설치된 개략 격자형상의 필터테두리체(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필터테두리체(42)중 전후 방향으로 병행하는 부분의 한쪽의 면에, 듣간격의 요철 패턴인 필터 종동치(從動齒)(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테두리체(42)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성형되고, 성형시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에 탑재되면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측면으로 보아, 개략 J자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이나, 개략 나선형상으로 권취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필터 진퇴 장치)
도 3에서, 필터 진퇴 장치(50)는, 실내기 본체(10)의 앞면상 근처(상하 방향의 개략 중앙 내지 상부 근처에서 천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필터(40)의 필터 종동치(43)에 맞물리는 필터 구동 치차(53)와, 필터 구동 치차(53)가 고정된 필터 구동축(52)과, 필터 구동축(52)을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를 수납하는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를, 갖고 있다. 그래서,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는 실내기 본체(10)의 앞면 근처에서,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 구동축(52)의 한쪽의 단부는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51)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필터 구동축(52)의 다른쪽의 단부는 실내기 본체(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필터 안내 장치)
도 4 내지 도 6에서, 필터 안내 장치(60)는, 필터(40)가 풍로 내에 진출한 때에, 풍로의 상류측이 되어 있던 면을, 필터(40)가 풍로로부터 퇴피한 때에, 하측이 되도록 필터(40)를 안내하는 것(진출시에 하측이 되어 있던 면을, 퇴피시에는, 상측이 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필터 안내 장치(60)는, 측면으로 보아 개략 직선형상 범위(61a) 및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를 갖는 개략 J자 형상의 안내 상판(61)과, 안내 상판(61)의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의 전단(前端)부터 하방으로 연설된 안내 앞측판(62)과,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의 후단부터 하방으로 연설된 안내 후측판(63)과, 안내 상판(61)의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와 안내 앞측판(62)과 안내 후측판(63)에 설치되고, 안내 상판(61)의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의 단부를 덮는 한 쌍의 안내 단판(64)으로 형성되는 하방의 면이 개구한 상자체이다.
그래서, 한 쌍의 안내 단판(64)에는, 필터 청소 장치(70)를 형성하는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의 양단을 각각 요동 자유롭게(소정의 회전각의 사이에서 정전과 역전을 반복하는) 지지한 표면 청소 브러시 축받이(65)와, 더스트 박스(집진실과 같다)(74)의 장착용 돌기(75)가 침입 가능한 장착용 구멍(6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면으로 보아 개략 J자 형상의 안내 상판(61)의 최하점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소정폭의 관통 홈인 먼지 통과구멍(66)이 형성되고, 안내 상판(61)의 하면에서 먼지 통과구멍(66)의 길이 방향(실내기 본체(10)의 좌우 방향과 같다)의 측연에 따라서 또는 측연에 평행하게(측연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개략 파상(波狀)의 긁어 떨어뜨림 돌기(67a, 67b)(이하, 각각 또는 양자를 「긁어 떨어뜨림 돌기(67)」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필터 안내 장치(60)는, 실내기 본체(10)에 설치된 때, 안내 상판(61)의 윗면이, 필터 진퇴 장치(50)의 필터 구동 치차(53)에 대향하고, 양자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즉, 필터(40)의 한편의 면이 안내 상판(61)에 맞닿고,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필터 종동치(43)에 필터 구동 치차(53)가 맞물려 있다.
또한, 필터(40)는 떼어냄 자유롭고, 필터 안내 장치(60)의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이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는 본체 제어부에 송신되고, 본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공기 조화기(1000)는 기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필터 청소 장치)
도 1에서, 필터 청소 장치(70)는, 필터 안내 장치(60)에 의해 안내되고 필터(40)의 하측이 되어 있는 면에 맞닿음 자유로운 표면 청소 브러시(72)와, 상측으로 되어 있는 면에 맞닿음 자유로운 이면 청소 브러시(71)와, 필터(40)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장한 더스트 박스(74)를 갖고 있다. 또한, 이면 청소 브러시(71)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좋다.
(더스트 박스)
더스트 박스(74)는 윗면이 해방된 상자체로서, 표면 청소 브러시(72)의 하방(필터 안내 장치(60)의 안내 상판(61)의 하방과 같다)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필터 안내 장치(60)의 안내 앞측판(62), 안내 후측판(63) 및 한 쌍의 안내 단판(64)에 밀접 하여 있다.
이 때, 더스트 박스(74)가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돌출한 장착용 돌기(75)는, 안내 단판(64)에 형성된 장착용 구멍(68)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더스트 박스(74)가 필터 안내 장치(60)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더스트 박스(74)는, 안내 앞측판(62), 안내 후측판(63) 및 한 쌍의 안내 단판(64)을 통하여, 필터 안내 장치(60)의 안내 상판(61)의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에 의해, 뚜껑이 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더스트 박스(74)에 낙하한 먼지가 주위에 비산하는 일은 없다.
(청소 브러시)
표면 청소 브러시(72)는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에 설치되고(끼여 넣어지고),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은, 필터 안내 장치(60)의 안내 상판(61)(정확하게는,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의 하방에 배치된 표면 청소 브러시 축받이(65)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 표면 청소 브러시(72)는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의 원주 방향에서 약 15°의 범위에 끼여 넣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약 90°이하의 범위에 끼여 넣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은, 안내 상판(61)의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의 최하선(정확하게는 먼지 통과구멍(6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 최하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73)에는 요동 수단(도시 생략)이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예를 들면, 연직선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각 90°)로 요동한다.
또한, 이면 청소 브러시(71)는 필터 안내 장치(60)의 안내 상판(61)의 상방에 배치되고, 선단이 하방을 향한 자세로 실내기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40)가 개략 원호형상 범위(61b)에 활주하면서 진퇴할 때, 표면 청소 브러시(72)의 선단은 필터(40)의 한쪽의 면에 맞닿아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면 청소 브러시(71)의 선단은 필터(40)의 다른쪽의 면에 맞닿아서 활주하는 것이 된다.
그러면, 필터(40)에 포착된 먼지는 표면 청소 브러시(72) 및 이면 청소 브러시(71)에 의해 제거되고, 먼지 통과구멍(66)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74)에 낙하한다.
또한, 표면 청소 브러시(72)에 부착한 채의 먼지는 긁어 떨어뜨림 돌기(67)에 의해 표면 청소 브러시(72)로부터 긁어 떨어져서 더스트 박스(74)에 낙하한다.
또한, 더스트 박스(74)는 떼어냄 자유롭고, 더스트 박스(7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이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는 본체 제어부에 송신되고, 본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공기 조화기(1000)는 기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리모트 콘트롤)
도 7에서, 리모트 콘트롤(80)은, 본체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가능하고, 그 수단은, 적외선에 의한 쌍방향 통신, 또는 무선에 의한 쌍방향 통신의 어느것도 좋다. 또한, 3축의 가속도 센서를 탑재하여도 좋다(이에 관해서는 별도 상세히 설명한다).
리모트 콘트롤(80)은, 리모트 콘트롤 본체(81)의 표면에 배치된, 소정의 메뉴 또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이하, 「표시부」라고 칭한다)(82)와, 표시부(82)에 표시된 영상을 조작하는 선택 버튼(83)과, 운전의 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운전 입(ON)/절(OFF) 버튼(84)과, 운전 모드를 선택한 모드 선택 버튼(85)을, 갖고 있다.
표시부(82)는, 예를 들면, 풀 도트(255*160)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후기하는 문자나 화상(정지화 또는 동화)을 표시한다(본 발명에서, 표시되는 것을 「영상」이라고 총칭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문자나 화상)의 데이터는, 리모트 콘트롤(80) 내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해 있어도, 또는, 본체 제어부 내의 기억부에 기억하여 두고, 리모트 콘트롤(80)에 적절히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선택 버튼(선택 수단과 같다)(83)은, 각각 원환형상으로 개략 등각 배치된, 플러스 버튼(커서 상행 버튼과 같다)(83a)과, 메뉴 버튼(83b)과, 마이너스 버튼(커서 하행 버튼과 같다)(83c)와, 되돌림 버튼(83d)과, 이러한 원환의 중앙에 배치된 결정 버튼(83e)을 구비한다. 이러한 각 버튼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별도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 입/절 버튼(84)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시작이나 정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누름에 의해, 절(OFF)로부터 입(ON)으로, 또는 입(ON)으보부터 절(OFF)로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선택 버튼(85)은, 난방 모드를 선택하는 난방 선택 버튼(85a)과, 제습 모드를 선택하는 제습 선택 버튼(85b)과, 냉방 모드를 선택하는 냉방 선택 버튼(85c)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의 표시)
도 7에서, 운전 입/절 버튼(84)을 눌러서 입(ON)으로 하면, 표시부(82)에는, 앞서 절(OFF)이 눌러진 때에 표시하고 있던 내용이 표시된다. 도 7의 경우, 설정 온도 27.5℃, 설정 습도 50%의 냉방 운전을 하고 있는 때에, 공기 조화기가 정지한 것을 나타내고, 이러한 조건으로 운전이 재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운전 입/절 버튼(84)을 눌러서 절(OFF)로 하면, 표시부(82)의 표시는 사라진다.
그러나, 기기의 일부가 고장난 경우(예를 들면, 제어를 위한 온도계가 손상 등)나, 착탈 부재의 일부가 정확하게 장착되지 않은 부적합함이 생기고 있는(상하풍향 플랩(16, 17)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지 않는 등) 경우에는, 표시부(82)에 상기한 바와 같은 「운전 모드, 설정 온도, 설정 습도」가 표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선택 버튼(83)이 표시부(82)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표시부(82)에 일체적으로 마련하여, 터치 패널의 형식으로 하여도 좋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8의 (a) 및 (b)는 고장 발생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의 (c)는 부착 불량 발생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표시부의 한 예(플랩의 떼어내는 순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표시부의 한 예(플랩이 부착 순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의 (a)는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의문이나 불안에 응하는 표시의 한 예(플랩이 수평이 되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의 (b)는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의문이나 불안에 응하는 표시의 한 예(물 또는 흰 연기가 나오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일부(리모트 콘트롤)의 표시부의 표시의 흐름을 간단히 정리한 플로 차트, 도 14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는 경우의 표시부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그려진 것이고, 본 발명은 그려진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고장의 표시)
도 8은, 운전을 시작ㅏ기 전에 기기의 일부에 고장 또는 부적합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로서, 운전 입/절 버튼(84)을 눌러서 입(ON)으로 한 때, 또는, 가속도 센서가 장비되어 있는 리모트 콘트롤(80)를 유저가 들어올려서 가속도 센서가 리모트 콘트롤(80)의 이동을 검지한 때, 또는, 정상적으로 운전하고 있는 도중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본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리모트 콘트롤(80)의 표시부(82)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한 예이다.
도 8의 (a)에서, 표시부(82)에 「제어를 위한 온도계가 고장났습니다. 수리 센터에 연락하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다. 즉, 유저에게서는 완전히 대처할 수 없는 고장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고장인 것」 및 「수리 센터에 연락할 필요가 있는 것」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있다.
그래서, 결정 버튼(83d)을 누르면, 표시부(82)에는 「수리 센터의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 등」이 표시된다(도 8의 (b)참조). 따라서 유저는, 고장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운전 재개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다.
또한, 고장의 내용은 다양하기 때문에, 고장의 내용에 응하여 상기 문장은 변경된다. 또한, 수리 센터에 연락할 때의 정확을 기하기 위해, 고장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과 함께, 고장 내용을 나타내는 고장 코드를 표시하여도 좋다. 통상, 유저가 고장 코드의 의미를 알려고 하면고 취급 설명서를 보게 되지만, 표시부(82)에는 문장에 의해 고장의 내용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취급 설명서를 볼 필요가 없다. 또한, 수리 센터에서는, 고장 코드를 앎으로 인해, 표시부(82)에 표시되는 문장에 나타난 내용 이상의 내용을 알 수 있다.
다시, 결정 버튼(83d)을 누르면, 표시부(82)에 「이하의 QR 코드를 읽어들이면, 휴대 전화기에 고장 내용이 표시됩닌다」라는 문장과 바코드(이하 「QR 코드(등록상표)」라고 칭한다)(89)가 표시된다(도 8의 (c)참조). 따라서 유저는, 고장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한 고장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즉, 휴대 전화 단말용 웹 사이트의 URL을 기록한 QR 코드(89)가 표시부(82)에 표시되기 때문에, QR 코드(89)를 휴대 전화기에 읽어들이게 함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화면(도시 생략)에, 발생한 고장의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즉, 상기 웹 사이트에는, 취급 설명서나 HP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관한 상세 정보가 미리 등록되고, QR 코드(89)는, 공기 조화기(100)가 판단한 고장 내용에 대응한 고장 코드가 매입되기 때문에, 미리 등록된 것 중에서 발생한 고장의 내용이 선택되어, 휴대 전화기의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발생한 고장의 내용을 알는 필요가 없는 경우는, 계속해서고 결정 버튼(83d)을 누르면, 도 8의 (a)에 도시하는 화면이, 재차 표시된다.
(부착 불량의 표시)
도 8의 (d)에서, 운전을 시작하려고 한 때, 표시부(82)에 「상하 플랩이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리하고 붙이고 고치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다. 즉, 운전 불능이지만, 유저로 대처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알리고 있다. 그래서, 결정 버튼(83d)을 누르면,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플랩의 분리의 순서(도 9 참조) 및 설치하고(도 10 참조)의 순서)가, 표시부(82)에 모식도 및 문장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부착 불량 해소를 위한 표시)
도 9의 (a)에서, 플랩을 떼어내는 제 1 공정으로서 「깊이가 작은 플랩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b)에서, 플랩을 떼어내는 제 2 공정으로서 「안심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c)에서, 플랩을 떼어내는 제 3 공정으로서 「깊이가 작은 플랩으로부터 인발하는」 양상이 표시되고, 그 밖의 플랩에 대해서도 제 1 공정 내지 제 3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서, 플랩을 부착하는 제 1 공정으로서 「플랩을 삽입하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서, 플랩을 부착하는 제 2 공정으로서 「안심 스토퍼를 확실하게 삽입하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c)에서, 「플랩이 올바르게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어떤 상황이 생기는지를 알리는 문장」이 모식도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고장이 아닌 것이지만 운전 불능인 경우에, 그 내용을 알 수 있음과 함께,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운전 재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장이 아닌 것이지만 운전 불능이 된 내용은 다양(예를 들면, 필터(40)나 더스트 박스(74)가 정규의 위치에 세트되지 않는 등)이기 때문에, 그 내용에 응하여 상기 문장은 변경되고, 또한, 부착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필터(40)의 떼어냄 및 부착 요령이나, 더스트 박스(74)의 떼어냄 및 부착 요령 등)를 나타내는 표시도 변경된다.
드리고, 본 발명에서 「착탈 부재」란, 유저에 의해 부착 및 떼어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 예를 들면, 의장 패널(13), 상하풍향 플랩(16, 17), 필터(40) 등, 및 필터 청소 장치(7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더스트 박스(74) 등을, 총칭하는 것이고, 각 각을 통합한 총체 또는 각각 개별의 단체를 칭하고 있다.
(고장인가?)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가 공기 조화기의 「고장인가?」라고 생각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상태는, 평소 낯익은 것과 상위하기 때문에, 이상한 동작이나 상태로 보이는 것이지만, 고장이 아닌 정상적인 동작이나 상태인 것이 많이 있고, 게다가, 많은 유저가 「고장인가?」라고 생각하는 것은, 한정된 동작이나 상태(고장이 아니다)에 집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한정된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의문이나 불안을,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해소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1000)는, 리모트 콘트롤(80)의 표시부(82)에 이하와 같은 표시를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메뉴 표시)
도 11의 (a)에서, 유저가 「고장인가?」라고 느껴서, 그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하고 싶은 경우, 우선, 리모트 콘트롤(80)의 메뉴 버튼(83b)을 누른다. 즉, 운전중(운전 입/절 버튼(84)이 입(ON)인 상태), 메뉴 버튼(83b)이 눌러지면, 표시부(82)에 여러(예를 들면, 1 내지 6번째)의 메뉴가 표시된다(도 11의 (a) 참조).
그리고, 마이너스 버튼(83c)이 눌러지면, 최상단에 표시된 커서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커서가 최하단에 도달한 후, 또한 마이너스 버튼(83c)이 눌러지면, 새로운 메뉴(7번째의 메뉴)가 최하단에 표시되고,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복수의 메뉴는 한 단계 위로 이동하여, 최상단에 표시되어 있던 메뉴(1번째의 메뉴)가 사라진다.
한편, 플러스 버튼(83a)을 누르면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른 때와는 반대로, 커서는 위에 이동하고, 최상단에 새로운 메뉴가 표시된다.
따라서 메뉴 버튼(83b)을 더욱 누름에 의해, 앞서 표시되어 있던 3번째부터 8번째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도 11의 (b)참조).
이하, 마찬가지로,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를 때마다에, 최상단의 메뉴가 사라지고, 최하단에 새로운 메뉴가 표시된다.
따라서 마이너스 버튼(83c) 또는 플러스 버튼(83a)을 누름에 의해, 소망하는 메뉴(예를 들면, 8번째의 「이런 때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문의 메뉴」에 상당하다)에 커서를 맞출 수 있다(도 11의 (b)참조). 그래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지면, 해당 메뉴의 내역인 「이런 때는」의 화면이 표시된다(도 11의 (c)참조). 「이런 때는」의 화면에서는, 「난방 운전중…」과 「실외기로부터…」의 2개의 메뉴가 표시되고, 그 한쪽에 커서가 맞추어서, 「해당 화면의 다음에 표시되는 내용」의 설명이 표시된다.
또한, 의문이나 불안하게 느끼는 내용이, 「냉방 운전중」이나 「실내기」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마이너스 버튼(83c)을 더욱 누르면, 표시부(82)에는 「실외기로부터…」가 상단에, 」냉방 운전중…」가 하단에 표시되고, 하단에 커서가 맞추어져 있다. 다시,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르면, 표시부(82)에는 「냉방 운전중…」이 상단에, 「실내기로부터 …」가 하단에 표시되고, 하단에 커서가 맞추어져 있다(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않는다).
도 11의 (c)에서는, 「난방 운전중…」에 커서가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난방중에 자주 있는 문의를 표시합니다」로 표시되고, 계속해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진 때에, 표시된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도 11의 (d)에서는, 도 11의 (c)에서 마이너스 버튼(83c)을 눌러서 커서를 아래로 이동하여, 「실외기로부터…」에 커서가 맞추어지고, 「실외기에서 자주 있는 문의를 표시합닌다」로 표시되고, 계속해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진 때에, 표시되는 내용이 설명된다.
도 12의 (a)는,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82)의 「난방 운전중…」에 커서를 맞추어서 결정 버튼(83e)을 누른 때에, 다음에 표시부(82)에 표시되는 도형과 문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의 (a)에서, 「상하풍향 플랩이 수평이 된다」고 기재되고, 그 양상이 모식도에 그려져 있다.
따라서 유저의 의문이나 불안이 이 점에 있는 경우는, 병기되어 있는 「운전 시작시, 서리제거 운전중, 설정 온도를 초과한 때는, 상하풍향 플랩이 수평이 됩니다. 고장이 아닙니다.」를 읽음에 의해,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상하풍향 플랩(16, 17)이 수평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표시를 하는 의미가 없으므로, 이에 대시하녀, 「난방 운전중」에서 다음에 의문이나 불안이 많은 내용, 예를 들면, 「난방 운전이 연속 50시간 경과하였기 때문에, 필터 청소 메카 운전을 하고 있습니다. 약 5분간 기다리십시오. 고장이 아닙니다.」 등이, 문장과 모식도에 의해 표시된다(도시 생략).
이들 표시되는 내용은, 표시하는 우선 순서가 결정된 상태에서, 미리, 실내기 본체(10) 또는 리모트 콘트롤(80) 내에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제어부는, 이러한 우선 순서에 따라, 표시를 하는 의미가 있는 내용을 표시한다. 즉, 실제로 상하풍향 플랩(16, 17)이 수평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표시를 하고, 필터 진퇴 장치(50)가 기동하고 있는 경우에, 「…필터 청소 메카 운전을 하고 있습니다 …고장이 아닙니다.」로 나타내는 표시를 한다.
한편, 유저의 의문이나 불안이, 우선 순번에 따라 도 12의 (a)에 표시되는 것이 아닌 경우는, 다시 결정 버튼(83e)을 누른다. 그러면, 「난방 운전중」에서 다음으로 의문이나 불안이 많은 내용, 예를 들면, 「난방 운전이 연속 50시간 경과하였기 때문에, 필터 청소 메카 운전을 하고 있습니다. 약 5분간 기다리십시오. 고장이 아닙니다.」 등이, 문장과 모식도에 의해 표시된다(도시 생략).
도 12의 (b)는, 도 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82)의 「실외기로부터…」에 커서를 맞추어서 결정 버튼(83e)을 누른 때에, 다음에 표시부(82)에 표시되는 도형과 문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의 (b)에서, 「물 또는 흰 연기가 나온다」로 기재되고, 그 양상이 모식도에 그려져 있다.
따라서 유저의 의문이나 불안이 이 점에 있는 경우는, 병기되어 있는 「난방 운전중은, 실외기로부터 물이나 수증기가 나오는 일이 있습니다. 고장이 아닙니다.」를 읽음으로써,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플러스 버튼(83a) 또는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르면, 「고장은 아니지만, 젖어서 곤란한 때는, 수리 센터에 배수 공사의 상담을 부탁드립니다.」라고 표시되고, 다시 플러스 버튼(83a) 또는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르면 「수리 센터(판매점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정보(명칭이나 전화번호 등)」가 표시된다(도시 생략).
또한, 실제로, 실외기로부터 물이나 김이 나오는 일이 있을 수 없는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난방 운전중에, 외기 습도가 상당히 낮은 경우 등), 도 12의 (b)에 도시하는 표시를 하는 의미가 없으므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에 대신하여, 다음에 의문이나 불안이 많은 내용이 표시된다.
그래서, 이들 표시된 내용은, 표시하는 우선 순서가 결정된 상태에서, 미리, 실내기 본체(10) 또는 리모트 콘트롤(80) 내에 등록되어 있다.
한편, 유저의 의문이나 불안이 도 12의 (b)에 도시하는 것이 아닌 경우는, 다시 결정 버튼(83e)을 누른다. 그려면, 「실외기」에서 다음에 의문이나 불안이 많은 내용이, 상기에 준하여 표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유저가 의문이나 불안을 느끼는 동작이나 상태는, 유저가 이해하고 기억한 후는, 반복 표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래서, 공기 조화기(1000)에서는, 표시할 필요가 없어진 내용에 관해서는, 표시를 정지시키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지면, 표시부(82)에는 「이 표시를 계속합니까?」와 「이 표시를 정지합니까?」로 표시된다. 그래서, 플러스 버튼(83a) 또는 마이너스 버튼(83c)을 누르고, 커서를 「이 표시를 정지합니까?」에 맞추어서 결정 버튼(83e)을 누르면, 이후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표시가 되는 일은 없어진다(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생략).
도 13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부(82)의 표시의 흐름을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즉, 공기 조화기(1000)에서는, 고장이 생기고 있는 경우나 고장이 생긴 경우에는, 유저가 특별한 문의 작업을 하는 일 없이, 고장의 내용이 표시되고(S11), 또한, 수리를 위한 연락처 등이 표시된다(S12). 따라서 유저는,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조기의 수리나 교환 등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QR 코드(89)가 표시부(83)에 표시되기 때문에, QR 코드(89)을 읽어들이면, 휴대 전화기의 화면에 고장 내용이 보다 상세하게 표시된다(S13).
또한, 고장이 아니라, 조립 불량과 같은 유저가 대응 가능한 부적합에 대해서도, 유저가 특별한 문의 작업을 하는 일 없이, 부적합의 내용이 표시되고(S21), 게다가, 이러한 부적합을 해소하는 요령(재차, 조립하기 위한 순서 등)가 표시되고(S22), 따라서 유저는,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게다가, 조기의 대응(재조립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장이나 부착 불량 등의 부적합이 아니라, 유저가 평소 낯익었던 것과 상위한 동작이나 상태에 관해, 「고장인가?」과 생각한 경우에는, 리모트 콘트롤(80)의 버튼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그 이유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의문이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82)에는, 「고장인가?」로 생각되어 문의되는 의문이나 불안중, 수리 센터에 문의하는 빈도가 많은 것부터, 순번대로 표시되기(S32, S42) 때문에, 유저는 간단한 버튼 조작(S31, S41)을 하는 것만으로, 알고 싶은 내용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고장인가?」로 생각된 의문이나 불안이 해소하고, 이후, 표시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에 대해서는(S33), 표시를 정지시킬 수 있다(S34).
(취급 설명서의 표시)
이상과 같이, 공기 조화기(1000)는 리모트 콘트롤(80)의 표시부(82)에, 고장 내용이나 부착 불량의 내용과, 그 대처 방법, 또한, 「고장인가?」라고 생각되는 다양한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는 표시를 하고 있다.
또한, 고장 등이나 불안이 없는 경우에도, 어떠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는 경우, 「취급 설명서」나 「HP(인터넷상의 홈페이지)」에 기재된 내용을, 간단히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취급 설명서가 없어진 경우나 HP에 액세스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알고 싶은 내용을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하고 있다.
도 14의 (a)에서, 유저가 「알고 싶은 내용」이 있는 경우, 우선, 리모트 콘트롤(80)의 메뉴 버튼(83b)을 누른다. 즉, 운전중(운전 입/절 버튼(84)이 입(ON)인 상태), 메뉴 버튼(83b)이 눌러지면, 표시부(82)에 복수(예를 들면, 1 내지 6번째)의 메뉴가 표시된다(도 11의 (a)과 같다). 그래서, 마이너스 버튼(83c) 또는 플러스 버튼(83a)을 누름에 의해, 소망하는 메뉴인 「?취급 설명서의 표시」에 커서를 맞출 수 있다(도 14의 (b)참조).
그래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지면, 해당 메뉴의 내역인 「이하의 QR 코드를 읽어들이면, 휴대 전화기에 취급 설명서의 내용이 표시됩니다.」의 화면이 표시된다(도 14의 (c)참조). 다시, 결정 버튼(83e)이 눌러지면, 휴대 전화 단말용 웹 사이트의 URL을 기록한 QR 코드(88)가 표시부(82)에 표시된다(도 14의 (d)참조).
따라서 QR 코드(88)를 휴대 전화기(도시 생략)에 읽어들이게 함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화면에, 취급 설명서에 기재된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즉, 상기 웹 사이트에는, 취급 설명서나 HP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관한 상세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이하의 QR 코드를 판독하면…(도 14의 (c)참조)」의 표시와 「QR 코드(88)(도 14의 (d)참조)의 표시를, 한쪽의 표시부(82)에 집약하여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8의 (c)참조). 또한, 취급 설명서 전체에 대응한 QR 코드(88)를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취급 설명서가 구분한 부분(예를 들면, 「기능을 알고 싶다」, 「깨끗하게 유지하고 싶다」 또는 「곤란한 때에는」 등)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부분에 대응한 QR 코드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5는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6 내지 도 18은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도 15에서,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이하 「서포트 시스템」라고 칭한다)(2000)는, 유저(U)의 방에 설치된 실내기(100)와, 유저(U)가 사용하는 고기능 휴대 전화(이하 「스마트폰」 또는 「스마포」라고 칭한다)(200)와, 스마포(200)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300)과, 인터넷(300)에 접속(무선 또는 유선)되고, 서비스 센터에 설치된 단말기(퍼스널 컴퓨터, 이하 「센터 PC」라고 칭한다)(400)와, 단말기(400)에 직접 또는 인터넷(300)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500)를 갖고 있다. 또한, 설명을 간소하게 하기 위해, 센터 PC(400)와 서버(500)를 통합하여 센터 PC(400)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터넷(300)에는, 지역의 서비스 센터 내지 판매점(이하 「지역 서비스소(所)」라고 칭한다)(600)이 접속(무선 또는 유선)되어 있다.
그래서, 스마포(200)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스마포 어플리」라고 칭한다)로서,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전용의 스마포 어플리(이하 「서포트 어플리」라고 칭한다)(210)가 다운로드되고, 화면(201)과 카메라(202)를 구비한다.
또한, 서포트 어플리(210)는, 관련되는 제어 수단(CPU 등)에 소정의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별도 보존되어 있는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것이지만, 다운로드에 대신하여, 스마포(200) 자체에 미리 보존하여 두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공기 조화기(1000)는, 리모트 콘트롤(80)을 이용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유저(U)가 서비스 센터와 교신을 하려고 하면, 리모트 콘트롤(80)에 표시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전화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2의 서포트 시스템(2000)은, 스마포(200)(및 서포트 어플리(210))를 이용하여, 리모트 콘트롤(80)을 조작하는 일 없이, 공기 조화기(1000)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서포트 어플리)
도 16에서, 서포트 어플리(210)의 동작 및 그 동작에 수반하는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U)가 서포트 어플리(210)을 시작하면(S51), 화면(201)상에, 서포트 어플리(210)가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인 것, 및 「에어컨 본체를 촬영하여 주십시오」로 표시된다(S52).
그래서, 유저(U)가 스마포(200)에 탑재된 카메라(202)에 의해 실내기(100)를 촬영하면(S53), 촬영된 화상(이하 「촬상」이라고 칭한다)이 인터넷(300)을 경유하여 센터 PC(400)에 송신된다(S54).
센터 PC(400)는, 촬상을 해석하고, 서버(500)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실내기(100)(및 공기 조화기(1000))의 형식을 결정함과 함께, 해당 형식 정보를 스마포(200)에 송신한다(S55).
스마포(200)는, 화면(201)에 「형식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유저(U)가, 무엇을 목적으로 서포트 어플리(210)을 시작한 것인지 질문하기 위해, 화면(201)에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S56). 선택 메뉴는, 예를 들면, 「취급 설명서를 본다」, 및 「에어컨이 이상하다」이다(S57).
그래서, 「취급 설명서를 본다」가 선택되면, 화면(201)에 「목차」 및 「선택 키워드」를 표시한다(S61).
그래서, 유저(U)가 「목차」를 선택하면(S62), 해당 선택 정보가 센터 PC(400)(또는 서버(500))에 송신되어, 취급 설명서의 목차를 스마포(200)에 반송한다(S63).
그래서, 화면(201)에 목차가 표시되기(S64) 때문에, 유저(U)가 소정의 목차의 항목(예를 들면, 「타이머 설정」 등)을 선택하면(S65), 해당 항목 정보가 센터 PC(400)에 보내지고, 서버(500)가 보관하고 있는 취급 설명서의 데이터의 해당 항목에 대응한 내용을 스마포(200)에 반송한다(S66).
그러면, 화면(201)에 소정의 항목의 내용(예를 들면, 「타이머 설정한 요령」 등)이, 정지화 또는 동화에 의해 표시된다(S67).
또한, 화면(201)(정지화 또는 동화가 표시되어 있다)의 한쪽 구석에 표시되는 「종료」 버튼을 누름으로써(S68), 스마포 어플리(210)는 종료한다(S69).
한편, (S61)에 있어 「목차」 및 「선택 키워드」가 표시된 때, 「선택 키워드」가 선택되면, 화면(201)에 「선택 키워드」를 입력하는 칼럼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U)가 소정의 선택 키워드(예를 들면, 「기상 전(前)」 등)를 입력하면(S71), 해당 입력 정보가 센터 PC(400)에 송신되고, 센터 PC(400)는 해당 선택 키워드에 대응한 취급 설명서의 데이터의 항목(예를 들면, 「타이머 설정」 등)을 판단하고, 해당 항목 정보를 서버(500)에 송신하고(S72), 서버(500)가 보관하고 있는 취급 설명서의 데이터의 해당 항목에 대응한 내용을 스마포(200)에 반송한다(S73).
그러면, 화면(201)에 해당 항목의 내용(예를 들면, 「타이머 설정을 하는 요령」 등)이, 정지화 또는 동화에 의해 표시된다(S74).
또한, 화면(201)(정지화 또는 동화가 표시되어 있다)의 한쪽 구석에 표시되는 「종료」 버튼을 누름으로써(S68), 스마포 어플리(210)는 종료한다(S69).
또한, (S56)에서, 「에어컨이 이상하다」가 선택되면, 화면(201)에 「에어컨을 동화로 촬영하여 주십이요」로 표시된다(S81).
그래서, 에어컨을 촬영한 동화가, 센터 PC(400)에 송신되고, 해당 동화가 센터 PC(400)의 표시 패널(401)에 표시된다(S82).
그러면, 서포트 센터에 대기하고 있는 스텝 S(실내기(100)의 형식을 이미 알고 있다)는, 해당 동화에 의거하여, 에어컨의 상태, 즉, 「방치하여도 좋은 상태」, 「유저(U)가 대응 가능한 상태」 및 「유저(U)가 대응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S83)하고, 판단 결과를 스마포(200)에 반송한다(S84).
그러면, 「방치하여도 좋은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화면(201)에 「걱정 없습니다. 이 현상은 곧 종료합닌다」고 표시되면(S85), 유저(U)는 안심할 수 있다.
또한, 「유저(U)가 대응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화면(201)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 현상은 종료합니다. 조작의 안내를 표시합니까?」라고 표시되고(S91), 유저(U)가 「표시한다」를 선택하면(S92), 해당 선택 정보가 센터 PC(400)에 송신되고(S93), 서버(500)에 보관된 해당 조작의 안내가 스마포(200)에 회신되고, 화면(201)에 해당 조작의 안내를 나타내는 동화(또는 복수의 정지화)가 표시된다(S94).
따라서 유저(U)는, 화면(201)에 표시되는 동화(또는 복수의 정지화)를 보면서, 소정의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의 상태를 정규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S83)에서 「유저(U)가 대응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또는, (S92)에서 유저(U)가 「표시한다」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화면(201)에, 예를 들면, 「전문가에 의한 수리가 필요합니다」 등이 표시된다(S101).
그래서, 유저(U)가 「수리한다」를 선택하면(S102), 그 취지가 센터 PC(400)에 송신되고(S103), 센터 PC(400)는, 스마포(200)의 위치 정보를 참고로 하여, 알맞는(가까운) 지역 서비스소(600)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 서비스소(600)에 관한 정보(명칭, 지도상의 위치 등)를 스마포(200)에 회신한다(S104). 또한, 해당 지역 서비스소(600)에 대해서는, 공기 조화기(1000)의 형식 및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유저(U)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다.(S105)
또한, (S102)에서, 유저(U)가 「수리하지 않는다」를 선택한 경우, 스마포 어플리(210)는 종료한다(S69).
따라서 서포트 시스템(2000)에 의하면, 유저(U)는, 리모트 콘트롤(80)을 조작하는 일 없이, 취급 설명서의 내용, 특히, 가장 알고 싶은 내용을, 간단한 조작으로 게다가 동화로서 볼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이 이상한 경우에는, 적정한 대응의 방법을 알 수 있다. 이 때, 전문가(S)는 동화를 봄에 의해, 에어컨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10 : 실내기 본체
11 : 흡입구
12 : 취출구
13 : 의장 패널
14 : 풍로 앞면판
15 : 풍로 후면판
16 : 상하풍향 플랩
17 : 상하풍향 플랩
19 : 취출측 풍로
20 : 송풍팬
30 : 열교환기
31 : 제 1 열교환기
32 : 제 2 열교환기
33 : 제 3 열교환기
34 : 드레인 팬
35 : 드레인 팬
40 : 필터
40L : 좌측 필터
40R : 우측 필터
41 : 필터 통풍체
42 : 필터 테두리체
43 : 필터 종동치
50 : 필터 진퇴 장치
51 : 필터 진퇴 구동 모터 상자
52 : 필터 구동축
53 : 필터 구동 치차
60 : 필터 안내 장치
61 : 안내 상판
61a : 개략직선형상 범위
61b : 개략 원호형상 범위
62 : 안내 앞측판
63 : 안내 후측판
64 : 안내 단판
65 : 표면 청소 브러시 축받이
66 : 먼지 통과구멍
67a : 긁어 떨어뜨림 돌기
67b : 긁어 떨어뜨림 돌기
67 : 긁어 떨어뜨림 돌기
68 : 장착용 구멍
70 : 필터 청소 장치
71 : 이면 청소 브러시
72 : 표면 청소 브러시
73 : 표면 청소 브러시 요동축
74 : 더스트 박스
75 : 장착용 돌기
80 : 리모트 콘트롤
81 : 리모트 콘트롤 본체
82 : 표시부
83 : 선택 버튼
83a : 플러스 버튼
83b : 메뉴 버튼
83c : 마이너스 버튼
83d : 되돌림 버튼
83e : 결정 버튼
84 : 운전 입/절 버튼
85 : 모드 선택 버튼
85a : 난방 선택 버튼
85b : 제습 선택 버튼
85c : 냉방 선택 버튼
88 : QR 코드(바코드)
89 : QR 코드(바코드)
100 : 실내기
200 : 스마트폰
201 : 화면
202 : 카메라
210 : 서포트 어플리
300 : 인터넷
400 : 단말기
401 : 표시 패널
500 : 서버
600 : 지역 서비스소
1000 : 공기 조화기(실시의 형태 1)
2000 :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실시의 형태 2)
S : 전문가
U : 유저

Claims (11)

  1. 냉동 사이클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와,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본체 제어부와,
    상기 본체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원격 제어부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그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에는, 정상 운전중에 발생하는 발생 빈도가 적은 상태에 관해 문의하는 문의 메뉴가 준비되고,
    상기 선택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문의 메뉴가 선택된 때, 상기 원격 제어부와 상기 본체 제어부와의 교신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문의 메뉴에 계속해서 상기 상태의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냉동 사이클을 실행하기 위한 기기와,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본체 제어부와,
    상기 본체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원격 제어부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전의 시작이나 정지를 지시하는 운전 입/절 버튼 또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기기의 일부에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운전 입/절 버튼가 눌러진 때, 또는, 상기 가속도 센서가 상기 원격 제어부원격 제어부지한 때, 상기 본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고장 또는 이상의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정상 운전중에 발생하는 발생 빈도가 적은 상태의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이, 미리 등록된 순번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운전중에 발생하는 발생 빈도가 적은 상태중의 소정의 상태의 내용에 관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기기의 어느 하나가 작동 불능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 작동 불능인 기기의 명칭 또는 모식도, 및 작동 불능의 이유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작동 불능인 기기의 명칭 또는 모식도, 및 작동 불능의 이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전환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표시부에 해당 작동 불능을 해소하기 위한 안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중의 실내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착탈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착탈 부재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착탈 부재의 명칭 또는 모식도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착탈 부재의 명칭 또는 모식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전환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표시부에 해당 착탈 부재를 정규의 위치에 다시 부착하기 위한 안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인터넷에 접속된 고기능 휴대 전화 및 단말기를 통하고 공기 조화기를 서포트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송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영상을, 그 단말기가 구비하는 화면에 표시하고, 그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의거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태의 내용 및그 내용에 대한 대처 요령을,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에 송신하고,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송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태의 내용 및 그 내용에 대한 대처 요령을, 그 고기능 휴대 전화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는,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촬영을 촉구하는 표시를,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가 구비한 화면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영상을,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시키는 스텝과,
    상기 단말기에 송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영상을, 상기 단말기가 구비하는 화면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 의거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태의 내용 및 그 내용에 대한 대처 요령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에 송신시키는 스텝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송신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태의 내용 및 그 내용에 대한 대처 요령을, 상기 고기능 휴대 전화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스텝를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동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KR1020120065403A 2011-06-20 2012-06-19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KR10140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6082 2011-06-20
JPJP-P-2011-136082 2011-06-20
JPJP-P-2012-105258 2012-05-02
JP2012105258A JP6008564B2 (ja) 2011-06-20 2012-05-02 空気調和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589A Division KR20130137115A (ko) 2011-06-20 2013-12-04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209A true KR20120140209A (ko) 2012-12-28
KR101400613B1 KR101400613B1 (ko) 2014-06-19

Family

ID=464198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403A KR101400613B1 (ko) 2011-06-20 2012-06-19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KR1020130149589A KR20130137115A (ko) 2011-06-20 2013-12-04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589A KR20130137115A (ko) 2011-06-20 2013-12-04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318010A1 (ko)
EP (1) EP2538147B1 (ko)
JP (1) JP6008564B2 (ko)
KR (2) KR101400613B1 (ko)
CN (1) CN102840646B (ko)
ES (1) ES274816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4400B2 (ja) * 2013-02-28 2017-07-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調装置
JP5980703B2 (ja) * 2013-03-12 2016-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KR102105463B1 (ko) * 2013-09-02 2020-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190795B2 (en) 2013-09-10 2019-01-29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Air conditioner diagnostic system, air condition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5064182A (ja) * 2013-09-26 2015-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274909B2 (ja) * 2014-02-28 2018-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レシーバタンク、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提供サービス確認方法
CN105333558A (zh) * 2014-05-27 2016-02-17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异常情报自动传送方法和系统
JP1524665S (ko) * 2014-07-14 2015-06-01
JP1544559S (ko) * 2014-07-14 2016-02-29
JP1524664S (ko) * 2014-07-14 2015-06-01
JP6270658B2 (ja) * 2014-08-06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7969143B (zh) * 2015-07-28 2021-05-11 三菱电机株式会社 判定支援装置、判定支援方法以及记录介质
CN105202704B (zh) * 2015-10-16 2018-06-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故障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JP2016197010A (ja) * 2016-07-27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CN106524446B (zh) * 2017-01-10 2019-11-26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系统及空调器
US11085662B2 (en) 2017-01-30 202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WO2019058572A1 (ja) * 2017-09-20 2019-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959507B1 (ko) * 2017-10-19 201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01667B1 (ko) 2017-12-15 2022-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6687063B2 (ja) * 2018-07-11 2020-04-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WO2024005202A1 (ja) * 2022-06-30 2024-0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62A (ja) * 1993-07-22 1995-02-03 Janome Sewing Mach Co Ltd ミシン模様選択装置
KR100191532B1 (ko) * 1996-09-12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센서를 이용한 응축수 감지장치 및 방법
US8073921B2 (en) * 1997-07-01 2011-12-06 Advanced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ppliances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0081242A (ja) 1998-09-04 2000-03-21 Toshiba Ave Co Ltd 空気調和機の音声報知装置
US8543519B2 (en) * 2000-08-07 2013-09-24 Health Discover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elanoma screening
JP4553465B2 (ja) * 2000-08-30 2010-09-2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469872B2 (ja) * 2000-12-27 2003-11-25 株式会社コーナン・メディカル 角膜内皮細胞解析システム
JP2004349851A (ja) * 2003-05-20 2004-12-09 Ntt Docomo Inc 携帯端末、画像通信プログラム、及び画像通信方法
JP4522690B2 (ja) * 2003-10-28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806880B2 (ja) * 2004-09-30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環境調整方法並びに空調機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9405751B2 (en) * 2005-08-23 2016-08-02 Ricoh Co., Ltd. Database for mixed media document system
US9171202B2 (en) * 2005-08-23 2015-10-27 Ricoh Co., Ltd. Data organization and access for mixed media document system
US7917554B2 (en) * 2005-08-23 2011-03-29 Ricoh Co. Ltd. Visibly-perceptible hot spots in documents
KR100688356B1 (ko) * 2004-11-08 2007-02-28 미래산업 주식회사 마운터의 가상 정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KR100640851B1 (ko) * 2004-12-0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JP4474271B2 (ja) * 2004-12-17 2010-06-0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
JP4897520B2 (ja) * 2006-03-20 2012-03-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7323411A (ja) * 2006-06-01 2007-12-13 Sharp Corp 操作装置
JP2008015838A (ja) * 2006-07-06 2008-01-24 Daikin Ind Ltd 冷凍装置の製品情報管理システム
US8489987B2 (en) * 2006-07-31 2013-07-16 Ricoh Co., Ltd. Monitoring and analyzing creation and usage of visual content using image and hotspot interaction
US20080063389A1 (en) * 2006-09-13 2008-03-1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Tracking a Focus Point by a Remote Camera
JP4419100B2 (ja) * 2006-12-08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方法
JP2007101174A (ja) * 2006-12-13 2007-04-19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JP2008172524A (ja) * 2007-01-11 2008-07-24 Daikin Ind Ltd 操作装置
JP5168926B2 (ja) * 2007-02-13 2013-03-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4981479B2 (ja) * 2007-02-21 2012-07-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機器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4259590B2 (ja) * 2007-04-24 2009-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コントローラ
US20110034209A1 (en) * 2007-06-18 2011-02-10 Boris Rubinsky Wireless technology as a data conduit in three-dimensional ultrasonogray
JP4957404B2 (ja) 2007-06-25 2012-06-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US20090093300A1 (en) * 2007-10-05 2009-04-09 Lutnick Howard W Game of chance processing apparatus
JP4935685B2 (ja) * 2008-01-16 2012-05-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09096015A1 (ja) * 2008-01-31 2009-08-06 Fujitsu Limited 公開情報送信方法、公開情報送信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29019A (ja) * 2008-03-25 2009-10-08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用の表示装置
CA2678713C (en) * 2008-09-15 2016-12-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irflow adjustment user interfaces
US20100228829A1 (en) * 2009-03-06 2010-09-09 Meir Niv Mobile database network
US8473481B2 (en) * 2009-03-16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recognition and library
US8577000B1 (en) * 2009-04-06 2013-11-05 Wendell Brow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esentation in association with a telephone call
KR20100123487A (ko) * 2009-05-15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22616B1 (ko) * 2009-05-1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진단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
US9135363B2 (en) * 2009-06-09 2015-09-15 Gvoto (Hong Kong)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tent retrieval and organization
JP5381359B2 (ja) * 2009-06-10 2014-01-08 富士通株式会社 機器配置案内装置、機器配置案内方法及び機器配置案内プログラム
KR101482138B1 (ko) * 2009-07-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JP4966356B2 (ja) * 2009-10-14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CN201688524U (zh) * 2010-04-30 2010-12-29 海尔集团公司 一种空调遥控器
DE102010038341B4 (de) * 2010-07-23 2023-12-07 Robert Bosch Gmbh Videoüberwachungssystem sowie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s Videoüberwachungssystems
US8675112B2 (en) * 2011-06-24 2014-03-18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Imaging device providing capture location guidance
US9681189B2 (en) * 2013-06-20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ir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147A2 (en) 2012-12-26
KR101400613B1 (ko) 2014-06-19
KR20130137115A (ko) 2013-12-16
US20150204562A1 (en) 2015-07-23
CN102840646A (zh) 2012-12-26
ES2748167T3 (es) 2020-03-13
EP2538147A3 (en) 2018-07-11
CN102840646B (zh) 2014-10-15
JP6008564B2 (ja) 2016-10-19
EP2538147B1 (en) 2019-08-28
US20120318010A1 (en) 2012-12-20
JP2013029302A (ja)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613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서포트 시스템
JP5980703B2 (ja)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US9423145B2 (en)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KR1012024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70140585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AU2008215521A1 (en) Remote control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70088834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JP493049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070091A (ja) 空気調和機
EP2604938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separate programming and manual mode scree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2016197010A (ja)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KR20070088837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디스플레이부 표시 방법
JP6521129B1 (ja) 空調室内機
KR101188514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WO2019065867A1 (ja) 空調室内機
JP2006204375A (ja) キッチン用情報端末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2013257143A (ja) 空気調和機
CN103299384B (zh) 开关结构和空气调节机
KR200700888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2017096543A (ja) 空気調和機
JP2008138959A (ja) 空気調和機
CN115013876A (zh)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空调器
KR20070030410A (ko) 사용방법 안내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070090364A (ko) 공기조화기용 운전 제어 프로그램 업데이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