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066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066A
KR20120135066A KR1020120057535A KR20120057535A KR20120135066A KR 20120135066 A KR20120135066 A KR 20120135066A KR 1020120057535 A KR1020120057535 A KR 1020120057535A KR 20120057535 A KR20120057535 A KR 20120057535A KR 20120135066 A KR20120135066 A KR 2012013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lock
cylinder
pilo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390B1 (ko
Inventor
히로시 무라카미
오사무 유노
도모히코 후지오카
다카시 네즈
?스케 모리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for attachment of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기에서, 감쇠력 발생 기구의 조립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린더(2) 내의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생기는 오일액의 흐름을 파일럿형의 메인 밸브(27) 및 파일럿 밸브(28)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파일럿 밸브(28)에 의해 파일럿실(51)의 내압을 조정하여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26)의 메인 밸브(27) 및 파일럿 밸브(28)를 조립한 밸브 블록(30) 및 솔레노이드 블록(31)을 각각 서브어셈블리하고, 또한 이들을 일체로 결합하여 케이스(25) 내에 삽입하고, 너트(34)에 의해 고정한다. 이 때, 밸브 블록(30)의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C) 내에 파일럿 스프링(59)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에 의해 유지된 파일럿 밸브 부재(56)와, 솔레노이드 블록(31)의 작동 로드(76)를 결합시킨다.

Description

완충기{DAMPER}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완충기 등의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장착되는 완충기는, 일반적으로,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 내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피스톤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하고,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실린더 안의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생기는 유체의 흐름을 오리피스, 디스크 밸브 등을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1584호에 기재된 유압 완충기에서는, 감쇠력 발생 기구인 메인 디스크 밸브의 배부에 배압실(파일럿실)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의 흐름의 일부가 배압실에 도입되고, 메인 디스크 밸브에 대하여, 배압실의 내압을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시킨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파이럿 밸브)에 의해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함으로써, 메인 디스크 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의 조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158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로서, 메인 디스크 밸브, 배압실,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구비한 완충기에서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개수가 많다. 또한,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 조립 정밀도 및 시일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에의 배선이 필요한 것 등,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고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감쇠력 발생 기구의 생산성을 높인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 피스톤과, 그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외부에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유지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형성된 시트부에 탈부착하는 밸브체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갖는 밸브 블록과, 상기 밸브 블록의 케이스 부재 내에 유지된 밸브체에 대향하는 작동 로드를 가지며, 상기 밸브 블록에 결합 가능한 솔레노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블록과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밸브체와 상기 작동 로드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밸브 블록의 파일럿 밸브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밸브 블록의 메인 밸브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밸브 블록 및 솔레노이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파일럿 핀과 파일럿 보디의 감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의 체결 부재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는, 실린더(2)의 외측에 외통(3)을 설치한 복통 구조로 되어 있다. 실린더(2)와 외통(3) 사이에는, 리저버(4)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 내에는, 피스톤(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고, 이 피스톤(5)에 의해 실린더(2) 안이, 실린더 상부실(2A)과 실린더 하부실(2B)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피스톤 로드(6)의 일단이 너트(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의 타단측은, 실린더 상부실(2A)을 통과하고, 실린더(2) 및 외통(3)의 상단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8) 및 오일 시일(9)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외부에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2)의 하단부에는, 실린더 하부실(2B)과 리저버(4)를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실린더 상하부실(2A, 2B)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로(11, 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2)에는, 실린더 하부실(2B)측으로부터 실린더 상부실(2A)측으로의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로(11)에는, 실린더 상부실(2A)측의 유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에 도달했을 때 밸브 개방되고, 이것을 실린더 하부실(2B)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10)에는, 실린더 하부실(2B)과 리저버(4)를 연통시키는 통로(15, 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5)에는, 리저버(4)측으로부터 실린더 하부실(2B)측으로의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로(16)에는, 실린더 하부실(2B)측의 유체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에 도달했을 때 밸브 개방하고, 이것을 리저버(4)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 유체로서, 실린더(2) 내에는,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한편, 리저버(4) 내에는 오일액 및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실린더(2)에는, 상하 양단부에 시일 부재(19)를 통해 세퍼레이터 튜브(20)가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실린더(2)와 세퍼레이터 튜브(20) 사이에 환형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통로(21)는, 실린더(2)의 상단부 부근의 측벽에 설치된 통로(22)에 의해 실린더 상부실(2A)에 연통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튜브(20)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돌출하여 개구되는 원통형의 접속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의 측벽에는, 접속구(23)와 동심으로 접속구보다 큰직경의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4)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의 케이스(25)가 용접 등에 의해 외통(3)의 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5)에 감쇠력 발생 기구(26)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감쇠력 발생 기구(26)에 대해서, 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26)는, 밸브 블록(30)(도 5 참조)과, 파일럿 밸브(28)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블록(31)(도 5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블록(30)(도 5 참조)은, 파일럿형(배압형)의 메인 밸브(27)와,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구동의 압력 제어 밸브인 파일럿 밸브(28)와, 파일럿 밸브(28)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페일시에 작동하는 페일 세이프 밸브(29)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다. 케이스(25) 내에는, 환형의 스페이서(32) 및 통로 부재(33)가 삽입되어 있다.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은 결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이 일체화된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케이스(25) 내에 삽입되고, 너트(34)를 케이스(25)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케이스(25) 내에 고정된다.
스페이서(32)는, 케이스(25)의 단부에 형성된 내측 플랜지(25A)에,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32)에는, 리저버(4)와 케이스(25) 내의 챔버(25B)를 연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노치(32A)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부재(33)는, 원통 부재의 일단부 외주에 플랜지부(33A)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스페이서(32)를 관통하고 있다. 통로 부재(33)는, 선단부가 접속구(23)에 삽입되고, 플랜지부(33A)가 스페이서(32)에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다. 통로 부재(33)는, 시일 부재(33B)에 의해 피복되어, 접속구(23) 및 밸브 블록(30)의 후술하는 메인 보디(35)와의 접합부를 시일하고 있다.
밸브 블록(30)은, 메인 보디(35)와, 결합 부재인 파일럿 핀(36)과,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 부재인 파일럿 보디(37)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보디(35)는, 대략 환형으로 일단부가 통로 부재(33)의 플랜지부(33A)에 접촉하고 있다. 메인 보디(35)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38)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통로(38)는, 메인 보디(35)의 일단부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100)를 통해, 통로 부재(33)의 통로에 연통되어 있다. 메인 보디(35)의 타단부에는, 복수의 통로(38)의 개구부의 외주측에 환형의 시트부(39)가 돌출하고, 내주측에 환형의 클램프부(40)가 돌출하고 있다. 메인 보디(35)의 시트부(39)에는, 메인 밸브(27)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인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외주부가 부착되어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내주부는, 리테이너(42) 및 와셔(43)와 같이, 클램프부(40)와 파일럿 핀(36)에 의해 클램프되어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배면측 외주부에는, 환형의 미끄럼 이동 시일 부재(45)가, 예컨대 베이킹 등의 방법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41)는, 미끄럼 이동 시일 부재(45)가 고착된 디스크(41A)와,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휨 강성을 조정하기 위한 디스크(41B)와, 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의 감쇠력을 설정하기 위한 오리피스가 되는 슬릿(41D)이 외주연부에 형성된 슬릿을 갖는 디스크(41C)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파일럿 핀(36)은, 중간부에 대직경부(36A)를 갖는 단차식의 원통형으로, 일단부에 오리피스(46)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핀(36)은, 일단부가 메인 보디(35)에 압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보디(35)와 대직경부(36A)에 의해, 메인 디스크 밸브(41)가 클램프되어 있다. 파일럿 핀(36)의 타단부는, 파일럿 보디(37)의 통로(50)에 압입되는 감합부로 되어 있다. 파일럿 핀(36)의 타단부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노치부로서 외주부가 등간격으로 삼면이 모따기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의 모따기부(47)로 되어 있다. 그리고, 모따기부(47)는, 파일럿 보디(37)의 중앙의 감합 구멍인 통로(50)에 압입되었을 때, 통로(50)의 내벽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통로(47A)를 형성한다. 삼면이 모따기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의 모따기부(47)를 갖는 형상의 파일럿 핀(36)은, 예컨대 단조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핀(36)은, 단조로 성형하는 것 외에, 원주 형상으로부터 절삭에 의해 모따기부(47)를 형성하여도 좋다. 파일럿 핀(36)을 단조로 성형한 경우에는, 절삭에 의한 칩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이 생기기 어렵고, 생산성뿐만 아니라,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파일럿 보디(37)는, 중간부에 바닥부(37A)를 갖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바닥부(37A)의 중앙에는, 통로(50)가 관통되어 있다. 통로(50)에 파일럿 핀(36)의 모따기부(47)가 압입되어 있다. 바닥부(37A)는, 후술하는 가요성 디스크(48)를 통해, 파일럿 핀(36)의 대직경부(36A)에 접촉하고 있다. 파일럿 보디(37)의 일단측에는, 원통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7B)의 내주면에,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미끄럼 이동 시일 부재(45)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액밀적으로 감합하여,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배부에 배압실(49)을 형성하고 있다. 메인 디스크 밸브(41)는, 통로(38)측의 압력을 받아, 시트부(39)로부터 리프트하여 밸브 개방하고, 통로(38)를 하류측 케이스(25) 내의 챔버(25B)에 연통시킨다. 배압실(49)의 내압은, 메인 디스크 밸브(41)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한다.
파일럿 보디(37)의 바닥부(37A)에는, 통로(51)가 관통되어 있다. 통로(51)의 개구 주위에 돌출된 시트부에 가요성 디스크(48)를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배압실(49)의 내압이 높아짐으로써 가요성 디스크(48)가 휘는 것에 의해, 배압실(49)에 체적 탄성을 부여하고 있다. 즉,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동작에 의해 배압실(49)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요성 디스크(48)가 휘는 것에 의해 배압실(49)의 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디스크(48)와 파일럿 보디(37) 사이에 있는 작동 유체를, 통로(51)를 통해 밸브실(54)에 밀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요성 디스크(48)는, 2장의 디스크(48A, 48B)를 적층한 것이다(도 4 참조). 가요성 디스크(48)는, 파일럿 핀(36)에 접촉하는 디스크(48A)의 내주연부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노치(52)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52)와, 통로(47A)에 의해, 배압실(49)과 통로(50)가 연통하고 있다. 통로(47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럿 핀(36)의 모따기부(47)와 파일럿 보디(37)의 통로(5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37)의 타단측에는, 원통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7C) 내에는, 개구부인 밸브실(54)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37)의 바닥부(37A)에는, 통로(50)의 개구 주연부에 돌출하는 환형의 시트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54) 내에는, 시트부(55)에 탈부착하여 통로(50)를 개폐하는 파일럿 밸브(28)를 구성하는 밸브체인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럿 밸브 부재(56)는, 대략 원통형으로, 시트부(55)에 탈부착하는 선단부가 끝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기단측 외주부에 대직경의 플랜지형의 스프링 지지부(57)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선단측의 내주부에는, 작은 직경의 로드 지지부(58)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후측부의 개구의 내주연부는, 테이퍼부(56A)가 형성되어 확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57)는,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에 접촉한 상태로 밸브실(54)에 대한 압박 수용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지지부(57)는, 밸브실(54)의 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킬 때의 힘을 경감하기 때문에, 파일럿 스프링(59)과,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에 접촉하기 위해 필요한 직경을 확보하면서, 될 수 있는 한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럿 밸브 부재(56)는, 압박 부재인 파일럿 스프링(59)과, 페일 세이프 스프링(60)과,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에 의해, 시트부(55)에 대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37)의 타단측의 원통부(37C)는, 내경이 개구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내주부에 2개의 단부(62, 63)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스프링(59)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가 단부(62)에 지지되어 있다. 단부(63)에, 페일 세이프 스프링(60), 환형의 리테이너(64), 페일 세이프 디스크 밸브(61), 리테이너(65), 스페이서(66), 및 유지 플레이트(67)가 중첩되어 있다. 이들 중첩된 부재는, 원통부(37C)의 단부에 감합된 캡(68)에 의해, 단부(63)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은, 단부(63)에 접촉하는 대직경(60A)과, 대직경(60A)에 동심에 배치되고,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삽입되어 스프링 지지부(57)에 접촉하는 소직경부(60B)와, 이들을 결합하는 한 쌍의 대략 반원호형의 스프링부(6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부(60C)는, 직경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각각의 일단부의 외측이 대직경(60A)의 내주부에 결합하고, 타단부의 내측에 소직경부(60B)의 외주부가 결합하여, 대직경부(60A)와 소직경부(60B)의 축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스프링력을 부여한다.
파일럿 스프링(59)은, 환형의 접촉부(59A)의 외주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5개)의 스프링부(59B)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59A)는,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삽입되어, 그 스프링 지지부(57)에 접촉하고, 스프링부(59B)의 선단부가 단부(6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67)에는, 중앙부에, 밸브실(54)측과 케이스(25) 내의 챔버(25B)측을 연통하기 위한 대략 십자형의 통로(67A)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67)는,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접촉하여 그 후퇴 위치를 규제한다.
페일 세이프 디스크(61)는, 디스크(61A) 및 노치를 갖는 디스크(61B)를 중첩시킨 것이다. 노치를 갖는 디스크(61B)는, 내주연부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노치(61C)가 형성되고, 노치(61C)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는,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둥근 구멍으로 되어 있다. 노치를 갖는 디스크(61B)의 노치(61C)는,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스프링 지지부(57)가 접촉했을 때,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캡(68)은, 원통형의 측벽(69)에 소직경부(69A)와 대직경부(69B)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의 내측 플랜지부(70)에는, 그 내주연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대직경부(69B)의 주연부까지 연장되는 노치(70A)가 형성되어 있다.
캡(68)은, 소직경부(69A)가 파일럿 보디(37)의 타단측의 원통부(37C) 외주에 감합하고, 대직경부(69B)가 후술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 내주에 감합한다. 이 감합 상태에서, 노치(70A)가, 밸브실(54)과, 케이스(25) 내의 챔버(25B)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리테이너(64)는,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외주부를 클램프하고, 리테이너(65)는,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의 휨의 지점이 되며, 스페이서(66)는,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의 휨량을 확보한다.
솔레노이드 블록(31)은, 솔레노이드 케이스(71) 내에, 코일(72)와, 코일(72) 내에 삽입된 코어(73, 74)와, 코어(73, 74)에 안내된 플런저(75)와, 플런저(75)에 연결된 중공의 작동 로드(76)를 조립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이들은,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후단부에 코킹에 의해 부착된 환형의 스페이서(77) 및 컵형의 커버(7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코일(72), 코어(73, 74), 플런저(75) 및 작동 로드(76)에 의해,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리드선(79)을 통해 코일(72)에 통전시킴으로써, 전류에 따라 플런저(75)에 축방향의 추력을 발생시킨다. 작동 로드(76)의 선단부는, 외주연부에는 테이퍼부(76A)가 형성되어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공의 작동 로드(76) 내에는, 연통로(7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로(76B)에 의해, 통로(50), 밸브실(54)과, 작동 로드(76)의 배부의 챔버가 연통된다. 또한, 플런저(75)에, 그 양단측에 형성된 실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로(75A)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이들 연통로(76B, 75A)에 의해, 작동 로드(76) 및 플런저(75)에 작용하는 유체력의 밸런스를 맞추고, 이들 이동에 대하여 적절한 감쇠력을 부여한다.
솔레노이드 케이스(71)는, 일단측에 케이스(25) 내에 감합하는 원통부(71A)를 갖고 있다. 원통부(71) 내에, 파일럿 보디(37)에 부착된 캡(68)의 대직경부(69B)가 감합되어 있다. 원통부(71A)와 케이스(25) 사이는, O링(80)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원통부(71A)의 내부에 돌출하는 작동 로드(76)의 선단부가, 밸브 블록(30)에 내장된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삽입되어, 로드 지지부(58)에 접촉하고 있다. 파일럿 보디(37)에 부착된 캡(68)의 대직경부(69B)는, 원통부(71A) 내에 감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 로드(76)의 선단부를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삽입하고, 캡(68)의 대직경부(69B)를 원통부(71A) 내에 감합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케이스(71)는, 밸브 블록(3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케이스(71)는, 그 외주 홈에 장착된 스냅링(81)을 너트(34)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케이스(25)에 고정된다.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되고, 작동 로드(76)가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72)에의 비통전시에서는, 도 2중 상반부(부호를 정립시켜 본 경우에서, 작동 로드(76)의 중심선보다 상측, 이하 동일.)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56)는, 작동 로드(76)와 함께 후퇴하여 스프링 지지부(57)가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에 접촉한다. 이 때, 파일럿 스프링(59)의 스프링부(59B)는, 단부(62)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코일(72)에의 통전에 의해, 도 2중 하반부(부호를 정립시켜 본 경우에서, 작동 로드(76)의 중심선보다 하측, 이하 동일.)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로드(76)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56)를 시트부(55)로 향해 전진시킴으로써, 파일럿 스프링(59)의 스프링부(59B)를 단부(62)에 접촉시켜, 페일 세이프 스프링(60) 및 파일럿 스프링(5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파일럿 밸브 부재(56)를 시트부(55)에 부착시키고, 통전 전류에 의해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밸브 블록(30)의 조립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C)에, 파일럿 스프링(59)을 삽입하여, 스프링부(59B)의 선단부를 단부(62)에 대향시킨다. 다음으로,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을 삽입하여 외주부를 단부(63)에 접촉시킨다. 파일럿 밸브 부재(56)를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소직경부(60B)에 삽입하여, 스프링 지지부(57)를 소직경부(60B)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리테이너(64), 노치를 갖는 디스크(61B), 디스크(61A), 리테이너(65), 스페이서(66) 및 유지 플레이트(67)를 순차 중첩하고, 또한 캡(68)을 원통부(37C)에 압입, 감합하여, 이들을 파일럿 보디(37)에 고정시킨다.
이 때, 파일럿 스프링(59), 페일 세이프 스프링(60), 리테이너(64), 노치를 갖는 디스크(61B), 디스크(61), 리테이너(65), 스페이서(66), 및 유지 플레이트(67)는, 각각 외주부가,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C)의 내주부에 정해진 치수 공차로서 안내되고, 축방향으로 클램프됨으로써 고정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편심을 허용하면서, 필요한 정밀도로 조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스프링(59)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내경과, 이들에 삽입되는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외경 사이에 적절하게 필요한 간극을 형성하여, 각 부품의 어느 정도의 편심을 허용하고 있고, 또한 파일럿 스프링(59)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외경과, 이들이 삽입되는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C)의 내경 사이에 적절하게 필요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각 부품의 어느 정도의 편심을 허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파일럿 스프링(59)의 내경에 대하여,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내경이 커져 있다. 또한, 파일럿 스프링(59)의 외경과,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의 내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편심했을 때에, 클램프되지 않는 파일럿 스프링(59)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일럿 밸브 부재(56)와 함께 편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내경이 크기 때문에, 파일럿 밸브 부재(56)는, 클램프된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에 저지되지 않고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C)측의 조립이 끝난 후, 파일럿 보디(37) 중 원통부(37C) 반대측의 원통부(37B)에, 디스크(48B, 48A)를 삽입하여, 디스크(48B, 48A)를 바닥부(37A)에 접촉시킨다(도 4 참조). 다음으로, 파일럿 핀(36)을 파일럿 보디(37)의 통로(50)에 압입하여, 디스크(48B, 48A)를 바닥부(37A)에 클램프한다. 그리고 와셔(43), 리테이너(42),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디스크(41A, 41B), 슬릿을 갖는 디스크(41C)에, 파일럿 핀(36)을 삽입하고, 탄성을 갖는 미끄럼 이동 시일 부재(45)를 원통부(37B)에 감합한다. 그 후, 메인 보디(35)를 파일럿 핀(36)에 압입하고, 와셔(43), 리테이너(42),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디스크(41A, 41B), 슬릿을 갖는 디스크(41C)를, 메인 보디(35)와 파일럿 핀(36)의 대직경부(36A)에 클램프한다.
이 때, 디스크(48A, 48B)는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B)에 의해 외주측이 안내된다. 한편, 와셔(43), 리테이너(42), 디스크(41B) 및 슬릿을 갖는 디스크(41C)는, 파일럿 핀(36)에 의해 내주측이 안내된다. 또한, 디스크(41A)는, 미끄럼 이동 시일 부재(45)의 외주부가 파일럿 보디(37)의 원통부(37B)에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안내된다. 이들 부재는, 축방향으로 클램프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각 부품의 어느 정도의 편심을 허용하면서, 필요한 정밀도로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을 결합한다. 즉, 작동 로드(76)의 선단부를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삽입하고, 파일럿 보디(37)에 부착된 캡(68)을,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71A)에 감합한다. 이 때, 작동 로드(76) 및 파일럿 밸브 부재(56)에는, 테이퍼부(56A, 76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76)를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최대 공차가 있던 경우라도, 이들 테이퍼부(56A, 76A)에 의해 자동 조심(調芯)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되었을 때, 파일럿 밸브 부재(56)와 작동 로드(76)가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된 밸브 블록(30) 및 솔레노이드 블록(31)을, 통로 부재(33) 및 스페이서(32)가 삽입된 케이스(25) 내에 삽입하고, 너트(34)를 체결함으로써, 각 부품의 클램프부에 축력을 부여하여 각 부품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이에 의해,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는,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의 스프링 위 스프링 아래 사이에 장착되고, 리드선(79)이 차재 컨트롤러 등에 접속되며, 통상의 작동 상태에서는, 코일(72)에 통전하여, 파일럿 밸브 부재(56)를 파일럿 보디(37)의 시트면에 부착시켜, 파일럿 밸브(28)에 의한 압력 제어를 실행한다.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폐쇄되고, 디스크 밸브(14)의 개방 전에는, 실린더 상부실(2A)측의 유체가 가압되어, 통로(22) 및 환형 통로(21)를 통과하고,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26)의 통로 부재(33)에 유입된다.
이 때, 피스톤(5)이 이동한 만큼의 오일액이 리저버(4)로부터 베이스 밸브(10)의 체크 밸브(17)를 개방하여 실린더 하부실(2B)에 유입된다. 또한 실린더 상부실(2A)의 압력이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14)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4)가 개방되어, 실린더 상부실(2A)의 압력을 실린더 하부실(2B)에 릴리프함으로써, 실린더 상부실(2A)의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26)에서는, 통로 부재(33)로부터 유입된 오일액은, 메인 밸브(27)의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서는, 파일럿 핀(36)의 오리피스 통로(46), 파일럿 보디(37)의 통로(50)를 통과하고, 파일럿 밸브(28)의 파일럿 밸브 부재(56)를 밀어서 개방하여 밸브실(54)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밸브실(54)로부터,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의 개구를 통과하고, 유지 플레이트(67)의 개구(67A), 캡(68)의 노치(70A), 케이스(25) 내의 챔버(25B), 및 스페이서(32)의 노치(32A)를 통과하여 리저버(4)에 흐른다(도 2의 상반부 참조). 그리고, 피스톤 속도가 상승하여 실린더 상부실(2A)측의 압력이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통로 부재(33)에 유입된 오일액은, 환형 오목부(100) 및 통로(38)를 통과하고, 메인 디스크 밸브(41)를 밀어서 개방하여 케이스(25) 내의 챔버(25B)에 직접 흐른다.
피스톤 로드(6)의 수축 행정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개방되고, 베이스 밸브(10)의 통로(15)의 체크 밸브(17)가 폐쇄되어,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전에는, 피스톤 하부실(2B)의 유체가 실린더 상부실(2A)에 유입되고, 피스톤 로드(6)가 실린더(2) 내에 침입한 만큼의 유체가 실린더 상부실(2A)로부터, 상기 신장 행정시와 같은 경로를 통과하여 리저버(4)에 흐른다. 또한 실린더 하부실(2B) 내의 압력이 베이스 밸브(10)의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8)가 밸브 개방되어, 실린더 하부실(2B)의 압력을 리저버(4)에 릴리프함으로써, 실린더 하부실(2B)의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6)의 신축 행정시 모두, 감쇠력 발생 기구(26)에서, 메인 밸브(27)의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서는, 오리피스 통로(46) 및 파일럿 밸브(28)의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하고,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후(피스톤 속도 고속 영역)에서는, 그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72)에의 통전 전류에 의해 파일럿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속도에 관계없이,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파일럿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그 상류측의 통로(50)에, 파일럿 핀(36)의 모따기부(47)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47A) 및 디스크(48A)의 노치(52)를 통해 연통하는 배압실(49)의 내압이 변화된다. 배압실(49)의 내압은,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일럿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압력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코일(72)에의 통전 전류를 작게 하여, 플런저(75)의 추력을 작게 하면, 파일럿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이 저하되어,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발생하고, 통전 전류를 크게 하여, 플런저(75)의 추력을 크게 하면, 파일럿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이 상승하여, 하드측의 감쇠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소프트측의 감쇠력을 저전류로 발생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코일(72)의 단선, 차재 컨트롤러의 고장 등의 페일의 발생에 의해, 플런저(75)의 추력을 잃은 경우에는,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후퇴하여, 통로(50)가 개방되고,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스프링 지지부(57)가,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에 접촉하여, 밸브실(54)과, 케이스(25) 내의 챔버(25B) 사이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실(54) 내에서의 통로(50)로부터 케이스(25) 내의 챔버(25B)로의 오일액의 흐름은, 페일 세이프 밸브(29)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노치(61C)의 유로 면적 및 페일 세이프 디스크(61)의 밸브 개방 압력의 설정에 의해 원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배압실(49)의 내압, 즉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페일시에서도 적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전시의 오일액의 유로와 페일시의 오일액의 유로를 공통화(직렬화)하고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생산성,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코일(72)에의 저전류의 통전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비통전시에는, 페일 세이프 밸브(29)에 의해 소프트측보다 큰 적절한 감쇠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여, 페일 세이프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하드측 고정에 의한 차체에의 진동 입력의 증대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배압실(54)은, 가요성 디스크(48) 및 통로(51)에 의해 체적 탄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내압이 상승하여 메인 디스크 밸브(41)의 밸브 개방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요성 디스크(48)는, 복수의 디스크(48A, 48B)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휨에 대하여, 디스크간의 마찰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상 진동을 억제하여 작동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밸브실(54) 내에서, 파일럿 밸브 부재(56)가 단부(62, 63)에 접촉하는 파일럿 스프링(59)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파일럿 밸브 부재(56)의 밸브 개방시에 통로(50)로부터 분출되는 오일액의 유로 근방에 코일 스프링 등의 장해물이 없기 때문에, 난류가 생겨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작용하는 유체력이 불안정해지지 않고, 안정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파일럿 스프링(59) 및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은, 통상은, 양쪽의 스프링력이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작용하여(도 2의 하반부 참조), 페일시에는, 파일럿 스프링(59)이 단부(6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페일 세이프 스프링(60)의 스프링력만이 파일럿 밸브 부재(56)에 작용한다. 이에 의해, 스프링력의 변동을 억제하여 안정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6)의 파일럿 보디(37) 내에 직경 20 ㎜ 정도의 작은 부품을 정밀도 좋게 조립하고, 파일럿 보디(37) 내에 이탈할 수 없게 수납하여 유지하며, 추가로 이것을 밸브 블록(30)으로서 서브어셈블리하고, 그 후, 밸브 블록(30)을 마찬가지로 서브어셈블리한 솔레노이드 블록(31)과 일체로 결합하여 케이스(25) 내에 삽입하도록 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정밀도 좋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저버(4)를 갖는 복통식의 완충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 것이면, 실린더 내에 프리피스톤에 의해 가스실을 형성한 단통식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작동 유체는, 오일액에 한하지 않고, 물 등의 다른 액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는 액체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 질소 가스 등의 기체만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는 리저버(4), 베이스 밸브(10) 및 프리피스톤 등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제어의 완충기를 나타내고 있고, 밸브체가 파일럿 압력을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 부재(56)이며, 밸브 블록(30)을 파일럿 보디(37)에 의해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파일럿 압력이 아니라,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접 밸브체를 개폐함으로써 실린더 내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정하는 완충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요부인 감쇠력 발생 기구만을 도시하고,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며, 또한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쇠력 발생 기구(26A)에서,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체결 부재(82)에 의해 체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서브어셈블리(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이 일체화된 솔레노이드 밸브 서브어셈블리(31A)는, 케이스(25)의 단부에 코킹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32)가 생략되고, 케이스(25)의 바닥부에 노치(32A)가 형성되어, 케이스(25) 내의 챔버(25B)와 리저버(4)를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82)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로 되어 있다. 체결 부재(82)는, 일단측의 내주측에 플랜지부(83)가 형성되고, 타단측의 외주부에 나사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82)의 원통형의 측벽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복수의 통로(85)가 관통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통로(85)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로(85)는,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둥근 구멍, 또는 플랜지부(83)측에 개구되는 슬릿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밸브 블록(30)을 구성하는 메인 보디(35)에는, 통로 부재(33)에 접촉하는 단부가 소직경화되어 단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블록(31)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71A)에는, 내주측의 기초부에 나사부(87)가 형성되고, 외주측의 O링(80)이 감합된 시일 홈(80A)보다 기단측에 외주 홈인 코킹 홈(8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82) 내에 밸브 블록(30)이 삽입되고, 체결 부재(82)의 플랜지부(83)를 메인 보디(35)의 단부(86)에 접촉, 결합시켜, 체결 부재(82)의 나사부(84)를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71A)의 나사부(87)에 비틀어 넣어 체결한다. 이에 의해,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을 일체로 결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서브어셈블리(31A)를 형성하고, 이들 각 부품의 클램프부에 축력을 부여하여 각 부품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 때, 체결 부재(82)의 체결 토크를 관리함으로써, 밸브 블록(30) 및 솔레노이드 블록(31)의 각 부품에 일정한 축력을 부여하여, 이들 부품의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들 부품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풀림이나 마모를 방지하고, 마모에 의한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25)의 측벽의 내주부에는,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71A)가 감합하는 부분이 직경 확장되어 박육부(8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5)에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원통부(71A)를 삽입하여, 메인 보디(35)를 통로 부재(33)의 플랜지부(33A)에 접촉시키고, 축력을 부여하여 통로 부재(33)가 필요한 시일성을 얻은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 케이스(25)의 박육부(89)를 외주측으로부터 코킹하여 코킹 홈(88) 내에 소성 변형시켜 코킹부(94)를 형성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블록(31)이 케이스(25)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박육부(89)는, 복수 지점(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8지점)을 코킹하여도 좋고,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코킹하여도 좋다. 여기서, 통로 부재(33)는, 축력이 부여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퍼레이터 튜브(20)에 삽입되는 통로 부재(33)와 밸브 블록(30) 사이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블록(31)은, 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외주부의 일부가 케이스(25)의 외주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직방체의 보스부(7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71B)의 케이스(25)측 단부면으로부터, 리드선(79)이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드선(79)을 케이스(25)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25)의 박육부(89)의 코킹 가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조 공정에서, 솔레노이드 서브어셈블리(31A)는, 인라인 테스터(도시 생략)에 세팅되어, 메인 보디(35)의 환형 오목부(100)측으로부터 오일액을 유통시켜, 각 부의 세정 및 특성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밸브(27), 파일럿 밸브(28) 및 페일 세이프 밸브(29)를 통과한 오일액은, 메인 보디(35) 및 파일럿 보디(37)와 체결 부재(82) 사이에 흘러, 체결 부재(82)의 통로(85)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인 나사부(84, 87)를 메인 밸브(27), 파일럿 밸브(28) 및 페일 세이프 밸브(29)의 하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나사부(84, 87)의 체결시에 오염이 발생한 경우라도, 오염은, 통로(85)를 통과하여 오일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메인 밸브(27), 파일럿 밸브(28) 및 페일 세이프 밸브(29)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세정을 행하며, 또한 오염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통로(85)로부터 배출된 오염은, 인라인 테스터의 필터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의 체결은, 나사부(84, 87)의 나사 결합에 한하지 않고, 압입, 용접, 스테이킹 가공 등이어도 좋고,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전술한 것 외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요부인 감쇠력 발생 기구만을 도시하고,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며, 또한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쇠력 발생 기구(26B)에서, 통로 부재(33)는, 체결 부재(82)에 의해 밸브 블록(30)과 솔레노이드 블록(31)을 결합할 때, 메인 보디(35)와 함께 체결 부재(82)의 플랜지부(83)에 의해 클램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서브어셈블리(31A)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5)와 솔레노이드 케이스(71)는, 코킹 부재(90)를 코킹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체결 부재(82)의 일단측인 플랜지부(83)와 밸브 블록(30) 사이에는, 통로 부재(33)의 일측인 플랜지부(33A)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체결 부재(82)의 플랜지부(83) 내측의 내주연부에 환형 오목부(83A)가 형성되고, 이 환형 오목부(83A)에 통로 부재(33)의 플랜지부(33A)를 감합함으로써, 통로 부재(33)가 메인 보디(35)와 동심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82)에 의해 통로 부재(33)를 밸브 블록(30)에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케이스(25) 내에서 통로 부재(3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서브어셈블리(31A)를 케이스(25)에 부착할 때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의 요구를 완화시킬 수 있어, 코킹 부재(90)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통로 부재(33)를 밸브 블록(30)측에 결합하여 고정하고, 통로 부재(33)의 플랜지부(33A) 및 체결 부재(82)의 플랜지부(83)를 케이스(25)의 바닥부[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외통(3)에 의해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음]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케이스(25) 내의 챔버(25B)와 리저버(4)를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25) 바닥부의 노치(32A)는 필요 없게 된다.
케이스(25)의 개구부 외주에는 플랜지부(91)가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71)에는, 플랜지부(91)에 대향하여 플랜지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5)에 솔레노이드 케이스(71)를 감합하여, 이들 플랜지부(91, 92)를 서로 접촉시키고, 플랜지부(91, 92)에 외부에서 끼운 코킹 부재(90)를 내측에 코킹하여, 플랜지부(91, 92)를 협지하여 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케이스(25)와 솔레노이드 케이스(71)를 결합한다. 플랜지부(91, 92) 사이는, O링(93)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것 외에, 상기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완충기에 의하면, 감쇠력 발생 기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만을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많은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은 35 U.S.C. 섹션 119 하에서 2011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21831호 및 2012년 2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4367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명세서, 청구범위 및 요약서를 포함한 2011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21831호 및 2012년 2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43679호의 전체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8)

  1.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2)와, 그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 피스톤(5)과, 그 피스톤(5)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2)의 외부에 연장된 피스톤 로드(6)와, 상기 실린더(2) 내의 상기 피스톤(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26)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개구부(54)가 형성된 케이스 부재(37)와,
    상기 케이스 부재(37) 내에 유지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37) 내에 형성된 시트부(55)에 탈부착하는 밸브체(56)와,
    상기 케이스 부재(37)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56)를 상기 시트부(55)에 대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60)를 갖는 밸브 블록(30)과,
    상기 밸브 블록(30)의 상기 케이스 부재(37) 내에 유지된 상기 밸브체(56)에 대향하는 작동 로드(76)를 가지며, 상기 밸브 블록(30)에 결합 가능한 솔레노이드 블록(31)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블록(30)과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밸브체(56)와 상기 작동 로드(76)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 주위에 설치된 외통(3)을 구비하고,
    그 외통(3)에는, 상기 밸브 블록(30)을 수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25)가 설치되며, 그 케이스(25) 내에 상기 밸브 블록(30)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을 상기 케이스(25)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밸브 블록(30)과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37)에는, 상기 개구부(54)의 반대측에, 결합 부재(36)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 부재(36)의 타단측에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디스크 밸브(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6)는, 감합부를 상기 케이스 부재(37)에 형성된 감합 구멍(50)에 감합하여 상기 케이스 부재(37)에 결합되고, 상기 감합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노치부(47)가 형성되며, 그 노치부(47)와 상기 감합 구멍(50)의 간극에 작동 유체의 유로(47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6)는 단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블록(30)과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의 결합부를 체결하는 체결부(84, 87)가 설치되고, 그 체결부(84, 87)는, 상기 밸브체(5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84, 8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체결 부재(8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밸브 블록(30)이 상기 체결 부재(82)에 삽입됨으로써, 체결 부재(82)의 일단측이 상기 밸브 블록에 결합되고, 체결 부재(82)의 타단측이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에 상기 체결부(84, 87)에 의해 체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밸브 블록(30)에 축력을 부여한 상태로 상기 밸브 블록(30)과 상기 솔레노이드 블록(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26)는, 상기 실린더(2)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부재(82)의 일단측과 상기 밸브 블록(30) 사이에는, 상기 실린더 내와 연통하는 연통 부재(33)의 일측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1020120057535A 2011-05-31 2012-05-30 완충기 KR101953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1831 2011-05-31
JPJP-P-2011-121831 2011-05-31
JP2012043679A JP5924979B2 (ja) 2011-05-31 2012-02-29 緩衝器
JPJP-P-2012-043679 2012-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66A true KR20120135066A (ko) 2012-12-12
KR101953390B1 KR101953390B1 (ko) 2019-02-28

Family

ID=4717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35A KR101953390B1 (ko) 2011-05-31 2012-05-30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6145B2 (ko)
JP (1) JP5924979B2 (ko)
KR (1) KR101953390B1 (ko)
CN (2) CN102808888B (ko)
DE (1) DE10201220906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900A (ko) * 2013-03-29 2014-10-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KR20160043080A (ko) * 2013-09-17 2016-04-20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감쇠 밸브
KR20180038053A (ko) * 2015-09-14 2018-04-13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감쇠 밸브 및 완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6351B2 (en) 2009-10-06 2013-12-3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digital valve
DE112012005490T5 (de) * 2011-12-27 2014-09-0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und Verfahren zur Stoßdämpferherstellung
DE102012112729B4 (de) * 2012-12-20 2015-12-17 Wp Performance Systems Gmbh Dämpfungsventilanordnung für einen semiaktiven Schwingungsdämpfer
BR112015020618A2 (pt) 2013-02-28 2017-07-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 Inc amortecedor com eletrônica integrada
US9884533B2 (en) 2013-02-28 2018-02-0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Autonomous control damper
US9217483B2 (en) 2013-02-28 2015-12-2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alve switching controls for adjustable damper
US9879748B2 (en) 2013-03-15 2018-0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Two position valve with face seal and pressure relief port
US9879746B2 (en) 2013-03-15 2018-0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od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multiple solenoid valve cartridges and multiple pressure regulated valve assemblies
JP5843842B2 (ja) * 2013-05-30 2016-01-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188207B2 (ja) * 2013-07-31 2017-08-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US9810281B2 (en) 2013-08-09 2017-11-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JP2015034618A (ja) 2013-08-09 2015-02-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DE112014005430T5 (de) * 2013-11-29 2016-08-2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JP6188598B2 (ja) * 2014-01-31 2017-08-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DE102014208367B4 (de) 2014-05-05 2022-10-27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einricht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6363414B2 (ja) * 2014-07-11 2018-07-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378027B2 (ja) * 2014-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ョーワ 緩衝器
JP6468016B2 (ja) * 2015-03-18 2019-02-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緩衝器
DE102015209179A1 (de) * 2015-05-20 2016-11-24 Zf Friedrichshafen Ag Zylinderrohr mit einem Außengehäuse
WO2017038571A1 (ja) * 2015-08-31 2017-03-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WO2017038577A1 (ja) * 2015-08-31 2017-03-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DE112016004157T5 (de) * 2015-09-14 2018-06-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CN107923472B (zh) * 2015-10-27 2019-08-02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阻尼力可调式减振器
CN106352192B (zh) * 2016-08-24 2019-01-08 山东胜伟盐碱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排水管道的油压式阻尼器
KR102232127B1 (ko) * 2017-03-10 2021-03-2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US10479160B2 (en) 2017-06-06 2019-11-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printed circuit board carrier
US10588233B2 (en) 2017-06-06 2020-03-1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printed circuit board carrier
JP6877286B2 (ja) * 2017-07-26 2021-05-26 日立Astemo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239521A1 (ja) * 2018-06-13 2019-12-19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WO2019244287A1 (ja) 2018-06-20 2019-12-26 株式会社ショーワ 弁機構および緩衝器
EP3812610A4 (en) * 2018-06-20 2022-04-06 Showa Corporation VALVE MECHANISM AND SHOCK ABSORBER
US10780757B2 (en) * 2018-07-09 2020-09-22 Hitachi Automtive Systems Americas, Inc. Damper with vehicle interface adapter
JP6771522B2 (ja) * 2018-10-09 2020-10-21 Kyb株式会社 緩衝器
JP7128759B2 (ja) * 2019-02-27 2022-08-31 Kyb株式会社 圧力制御弁
DE102019105708B4 (de) * 2019-03-06 2022-05-05 Kendrion (Villingen) Gmbh Druckregelventil und 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Druckregelventil zum Steuern oder Regeln eines Drucks eines Druckfluids in einem Pilotdruckraum
JP7182706B2 (ja) * 2019-06-05 2022-12-02 日立Astemo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US11332083B2 (en) 2020-04-09 2022-05-17 Honda Motor Co., Ltd. Protective cover for electrical coupler of vehicle shock absorber and vehicle shock absorber including same
CN116324248A (zh) 2020-09-30 2023-06-23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螺线管、衰减力调整机构以及衰减力调整式缓冲器
DE102020134820A1 (de) * 2020-12-23 2022-06-23 Ktm Ag Ventil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CN113124087B (zh) * 2021-03-17 2022-07-22 江苏大学 一种减振器用两段阻尼连续调节阀
WO2022243451A1 (en) * 2021-05-21 2022-11-24 öHLINS RACING AB Coil assembly for an actively controlled damping valve assembly of a vehicle
EP4092288A1 (en) * 2021-05-21 2022-11-23 Öhlins Racing AB Coil assembly for an actively controlled damping valve assembly of a vehicle
EP4224033A1 (de) * 2022-01-11 2023-08-09 RAPA Automotive GmbH & Co. KG Modulares druckregelventil für stossdämpfer
WO2024084846A1 (ja) * 2022-10-18 2024-04-25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及び減衰力調整装置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EP4375534A1 (en) * 2022-11-22 2024-05-29 DRiV Automotive Inc. Coil assembly for a damping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940A (ja) * 1988-11-18 1990-06-01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ベースバルブ
JPH08145107A (ja) * 1994-11-18 1996-06-04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10166836A (ja) * 1996-12-13 1998-06-23 Yamah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制御式緩衝器
JP2011075060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4642A1 (de) * 1988-07-11 1990-05-17 Daimler Benz Ag Hydraulischer teleskopstossdaempfer
JP2891491B2 (ja) * 1989-12-01 1999-05-1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力調整装置
DE4104110A1 (de) * 1991-02-11 1992-08-13 Fichtel & Sachs Ag Vorgesteuertes daempfungsventil mit schwingungsdaempfer-gerechten kennlinien
DE9209505U1 (de) * 1992-07-15 1992-09-24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Ventilbaugruppe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mit veränderbarer Dämpfkraft
US5730261A (en) * 1996-01-1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amper control valve
JPH09291961A (ja) * 1996-04-26 1997-11-11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バルブ
JP4048512B2 (ja) * 1998-03-31 2008-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000186735A (ja) * 1998-10-15 2000-07-04 Yamah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制御式緩衝器
JP4919045B2 (ja) * 2007-04-19 2012-04-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流体圧緩衝器
JP5463684B2 (ja) * 2008-04-25 2014-04-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1568042B1 (ko) 2008-03-31 2015-11-10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5120629B2 (ja) * 2008-03-31 2013-01-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こ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2010196885A (ja) * 2009-02-27 2010-09-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流体圧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502655U (zh) * 2009-09-29 2010-06-09 伊卡露斯(苏州)车辆系统有限公司 可控阻尼减震液压控制系统
JP2011121831A (ja) 2009-12-11 2011-06-23 Ohara Inc 光学ガラス、光学素子及びプリフォーム
JP2012043679A (ja) 2010-08-20 2012-03-0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940A (ja) * 1988-11-18 1990-06-01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ベースバルブ
JPH08145107A (ja) * 1994-11-18 1996-06-04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10166836A (ja) * 1996-12-13 1998-06-23 Yamah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制御式緩衝器
JP2011075060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900A (ko) * 2013-03-29 2014-10-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KR20160043080A (ko) * 2013-09-17 2016-04-20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감쇠 밸브
KR20180038053A (ko) * 2015-09-14 2018-04-13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감쇠 밸브 및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97636B (zh) 2019-02-26
CN102808888A (zh) 2012-12-05
KR101953390B1 (ko) 2019-02-28
US20120305349A1 (en) 2012-12-06
CN105697636A (zh) 2016-06-22
JP5924979B2 (ja) 2016-05-25
US9046145B2 (en) 2015-06-02
JP2013011342A (ja) 2013-01-17
DE102012209065A1 (de) 2012-12-06
CN102808888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90B1 (ko) 완충기
JP5784741B2 (ja) 緩衝器
KR102588959B1 (ko) 완충기
JP5648790B2 (ja) 緩衝器
JP5463684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2133063B1 (ko) 실린더 장치
US11761509B2 (en)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and pressure shock absorber
CN107923470B (zh) 缓冲器
WO2018168865A1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440861B2 (ja) 緩衝器及び緩衝器の組立方法
JP2015034618A (ja) 緩衝器
KR20160026753A (ko) 완충기
JP741667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減衰力調整弁
JP7261347B2 (ja) 緩衝器
JP2014009760A (ja) 緩衝器
KR102627961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6086723B2 (ja) 緩衝器
WO2024070710A1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およ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製造方法
US20220099153A1 (en) Shock absorber
KR20220003099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