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041A -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041A
KR20120125041A KR1020110043082A KR20110043082A KR20120125041A KR 20120125041 A KR20120125041 A KR 20120125041A KR 1020110043082 A KR1020110043082 A KR 1020110043082A KR 20110043082 A KR20110043082 A KR 20110043082A KR 20120125041 A KR20120125041 A KR 2012012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hannel
alinn
etch stop
alg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177B1 (ko
Inventor
황인준
신재광
오재준
하종봉
최혁순
홍기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77B1/ko
Priority to US13/307,769 priority patent/US8796737B2/en
Publication of KR2012012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6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 H01L29/7787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with wide bandgap charge-carrier supplying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OD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 H01L29/20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in different semiconductor regions, e.g. hetero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32Heterojunction gate for field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66Gate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with PN junction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HEMT는 채널층 및 채널공급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채널공급층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식각정지층 및 그 위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에 리세스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은 상기 상부층과 식각정지층의 계면까지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에 게이트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보다 자세하게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이하, HEMT)는 전기적 분극(polarization) 특성이 다른 반도체들을 포함한다. HEMT에서 상대적으로 큰 분극률을 갖는 반도체층은 그와 접합된 다른 반도체층에 2차원 전자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이하, 2DEG)를 유발할 수 있다. 2DEG에서 전자의 이동도(mobility)는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러한 2DEG는 HEMT에서 채널로 이용될 수 있다.
HEMT를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문턱전압, 내전압 특성 등)을 조절/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HEMT의 특성을 조절/개선하기 위한 몇몇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는 HEMT의 특성을 정확히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문턱전압 등의 특성을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를 제공한다.
다층 구조의 채널공급층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공급층에 형성되는 리세스 영역의 깊이를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HEMT를 제공한다.
내전압 성능이 개선된 HEMT를 제공한다.
상기 HEMT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에 상기 2DEG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식각정지층 및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에 상기 식각정지층을 노출시키는 리세스 영역을 갖는 채널공급층; 상기 채널공급층의 리세스 영역에 구비된 게이트전극; 및 상기 게이트전극 양측에 구비된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가 제공된다.
상기 리세스 영역은 상기 상부층과 상기 식각정지층의 계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AlGaN층 및 AlIn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lGaN층이 상기 식각정지층일 수 있고, 상기 AlInN층은 상기 상부층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AlInN층 및 AlGa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lInN층이 상기 식각정지층일 수 있고, 상기 AlGaN층은 상기 상부층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구비된 하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제1 AlGaN층, AlInN층 및 제2 AlGa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AlGaN층은 상기 하부층일 수 있고, 상기 AlIn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AlGaN층은 상기 상부층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제1 AlInN층, AlGaN층 및 제2 AlIn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AlInN층은 상기 하부층일 수 있고, 상기 AlGa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AlInN층은 상기 상부층일 수 있다.
상기 식각정지층과 상기 상부층 중 하나는 AlGaN층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AlInN층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구비된 하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층은 AlInN층 또는 AlGaN층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은 AlN층 및 AlInGaN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채널공급층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플리션층은 p형 반도체층 또는 유전층일 수 있다.
상기 디플리션층은 p-도핑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에 식각정지층과 상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채널공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층의 일부 영역을 상기 식각정지층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공급층의 리세스 영역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전극 양측에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식각정지층은 AlGaN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층은 AlInN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AlInN층을 제1 식각 가스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식각 가스는 요오드(I) 계열의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정지층은 AlInN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층은 AlGaN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AlGaN층을 제2 식각 가스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식각 가스는 불소(F) 계열의 가스, 염소(Cl) 계열의 가스 및 브롬(Br) 계열의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공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층, 식각정지층 및 상부층은 각각 제1 AlGaN층, AlInN층 및 제2 AlGaN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층, 식각정지층 및 상부층은 각각 제1 AlInN층, AlGaN층 및 제2 AlInN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채널공급층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제어가 용이한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를 구현할 수 있다.
채널공급층에 형성하는 리세스 영역의 깊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HEMT를 구현할 수 있다.
내전압 성능이 강화된 HEMT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것으로, 게이트절연층을 포함하는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것으로,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을 포함하는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EMT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EMT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B1 : 버퍼층 C1 : 채널층
CS1?CS4 : 채널공급층 D1 : 드레인전극
DL1 : 디플리션층 EG1, EG2 : 식각 가스
G1 : 게이트전극 GI1 : 게이트절연층
H1, H2 : 개구부 M1, M2 : 식각마스크
R1?R4 : 리세스 영역 S1 : 소오스전극
SUB1 : 기판 10A, 10B, 11A, 11B : 식각정지층
21A, 21B : 하부층 20A, 20B, 22A, 22B : 상부층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SUB1) 상에 버퍼층(B1)이 구비될 수 있다. 기판(SUB1)은, 예컨대, Si, 사파이어(sapphire), SiC, Ga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퍼층(B1)은 기판(SUB1)과 채널층(C1) 사이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 차이를 완화시켜 채널층(C1)의 결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시킬 수 있다. 버퍼층(B1)은, 예컨대, AlN, GaN, AlGaN, AlInN, AlGaIn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1)이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경우, Al의 함유량(원자%)은 0?30% 정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SUB1)과 버퍼층(B1) 사이에 소정의 씨드층(seed layer)(미도시)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씨드층은 버퍼층(B1)의 성장을 위한 베이스층일 수 있다.
버퍼층(B1) 상에 채널층(C1)이 구비될 수 있다. 채널층(C1)은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C1)은 GaN층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층일 수 있다. 채널층(C1)은 미도핑된(undoped) GaN층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불순물이 도핑된 GaN층일 수도 있다. 채널층(C1) 상에 채널공급층(CS1)이 구비될 수 있다. 채널공급층(CS1)은 채널층(C1)과 분극 특성이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공급층(CS1)은 채널층(C1)보다 분극률이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공급층(CS1)에 의해 채널층(C1)에 2차원 전자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2DEG)가 형성될 수 있다. 2DEG는 채널층(C1)과 채널공급층(CS1)의 계면 아래의 채널층(C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2DEG는 n형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채널공급층(CS1)은 적어도 두 개의 물질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채널공급층(CS1)은 식각정지층(10A)과 그 위에 구비된 상부층(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층(20B)에 식각정지층(10A)을 노출시키는 리세스 영역(R1)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1)은 상부층(20B)과 식각정지층(10A)의 경계부까지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리세스 영역(R1)에 대응하는 2DEG 부분은 끊어지거나, 나머지 영역과 다른 특성(전자 농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 영역(R1)에서 채널공급층(CS1)의 두께는, 예컨대, 1?20nm 정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세스 영역(R1)에서 채널공급층(CS1)의 두께는 식각정지층(10A)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식각정지층(10A)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다. 리세스 영역(R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채널공급층(CS1)의 두께는 약 20nm 이상일 수 있다. 채널공급층(CS1)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채널공급층(CS1)의 리세스 영역(R1)에 게이트전극(G1)이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은 채널공급층(CS1)과 쇼트키 콘택(Schottky contact)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전극(G1)은 채널공급층(CS1)과 쇼트키 콘택을 형성하는 물질(금속, 금속화합물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 사이에 쇼트키 콘택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게이트전극(G1)은 p형 금속이나 도전성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형 전극은 Ni, Ir, Pt, Au 등일 수 있고, 상기 도전성 질화물은 TiN, TaN, ZrN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개시한 물질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그 밖에 다양한 도전 물질을 게이트전극(G1)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 양측의 채널공급층(CS1) 상에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이 구비될 수 있다. 소오스전극(S1)이 드레인전극(D1)보다 게이트전극(G1)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소오스전극(S1)과 게이트전극(G1) 사이의 거리는 드레인전극(D1)과 게이트전극(G1)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과 게이트전극(G1)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은 채널공급층(CS1)과 오믹 콘택(ohmic contact)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오스전극(S1)과 채널공급층(CS1) 사이 및 드레인전극(D1)과 채널공급층(CS1) 사이에 오믹 콘택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채널공급층(CS1)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채널공급층(CS1)에서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예컨대, 식각정지층(10A)은 AlGaN층일 수 있고, 상부층(20B)은 AlInN층일 수 있다. 상기 AlGaN층은 AlxGa1 - xN층일 수 있고, 여기서 x는 0.1≤x≤0.5 일 수 있다. 상기 AlInN층은 AlxIn1 - xN층일 수 있고, 여기서 x는 0.5≤x≤0.9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lGaN층 및 AlInN층 중 적어도 하나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상기 n형 불순물은, 예컨대, Si일 수 있다. 상기 AlGaN층 및 AlInN층은 채널층(C1)보다 큰 분극률을 갖기 때문에, 채널층(C1)에 2DEG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채널공급층(CS1)에서 상부층(20B)은 식각정지층(10A)에 대하여 높은 식각선택비(etch selectivity)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식각정지층(10A)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부층(20B)에만 리세스 영역(R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 영역(R1)의 바닥면은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의 계면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곧 식각정지층(10A)에 의해 리세스 영역(R1)의 깊이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리세스 영역(R1)의 깊이에 따라, 더욱 엄밀히 말하면, 리세스 영역(R1)에서의 채널공급층(CS1)의 두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채널층(C1) 영역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HEMT의 특성(문턱전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 영역(R1)의 깊이가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된다는 것은 HEMT의 특성(문턱전압 등) 제어가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채널공급층(CS1)이 하나의 물질층(ex, AlGaN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리세스 영역의 깊이를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물질층(ex, AlGaN층)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고자 할 때, 식각 시간에 기초하여 식각 깊이(리세스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웨이퍼(기판) 영역별 식각의 불균일성이 존재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식각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매번 식각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널공급층(CS1)이 하나의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리세스 영역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HEMT의 특성을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채널공급층(CS1)이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부층(20B)에 형성되는 리세스 영역(R1)의 깊이가 식각정지층(10A)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리세스 영역(R1)에서의 채널공급층(CS1)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HEMT의 특성(문턱전압 등)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1)에 의해 HEMT의 문턱전압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HEMT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소자일 수 있고, 증가형(enhancement mode)(E-mode)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증가형(E-mode) HEMT는 공핍형(depletion mode)(D-mode) HEMT에 비해서 다양한 회로 구성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 영역(R1)에 의해 그에 대응하는 2DEG의 특성이 변화되는 것과 관련해서, HEMT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리세스 영역(R1)에 의해 HEMT의 내전압 성능이 개선(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성능의 HEMT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HEMT는 채널공급층(CS2)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HEMT와 차이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널공급층(CS2)은 식각정지층(10B)과 상부층(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층(20A)에 식각정지층(10B)을 노출시키는 리세스 영역(R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2)은 상부층(20A)과 식각정지층(10B)의 경계부까지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채널공급층(CS2)에서 식각정지층(10B)은 AlInN층일 수 있고, 상부층(20A)은 AlGaN층일 수 있다. 여기서, AlInN층 및 AlGaN층은 각각 도 1에서 설명한 AlInN층 및 AlGaN층과 동일한 층일 수 있다. 즉, 상기 AlInN층은 AlxIn1 - xN층(0.5≤x≤0.9)일 수 있고, 상기 AlGaN층은 AlxGa1 - xN층(0.1≤x≤0.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lInN층 및 AlGaN층 중 적어도 하나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일 수 있다. 도 1의 채널공급층(CS1)이 AlGaN층/AlInN층 구조를 갖는다면, 도 2의 채널공급층(CS2)은 도 1의 채널공급층(CS1)의 역구조, 즉, AlInN층/AlGaN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식각 가스의 종류에 따라, AlInN층에 대한 AlGaN층의 식각선택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AlInN층을 식각정지층(10B)으로, AlGaN층을 상부층(20A)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식각정지층(10B)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부층(20A)에만 리세스 영역(R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리세스 영역(R2)에서 채널공급층(CS2)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고, 리세스 영역(R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채널공급층(CS2)의 두께는 약 20nm 이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HEMT는 채널공급층(CS3)의 구성에 있어서 도 2의 HEMT와 차이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채널공급층(CS3)은 3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공급층(CS3)은 순차로 적층된 하부층(21A), 식각정지층(11B) 및 상부층(22A)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3)은 상부층(22A)에 형성될 수 있고, 식각정지층(11B)과 상부층(22A)의 계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층(21A), 식각정지층(11B) 및 상부층(22A)은 각각 제1 AlGaN층, AlInN층 및 제2 AlGaN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AlGaN층은 도 1에서 설명한 AlGaN층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고, 상기 AlInN층은 도 1에서 설명한 AlInN층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다. 도 3에서 하부층(21A)과 식각정지층(11B)을 합한 두께는 도 1 또는 도 2의 식각정지층(10A, 10B)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 영역(R3)에서 채널공급층(CS3)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다. 리세스 영역(R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채널공급층(CS3)의 두께는 약 20nm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EM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HEMT는 채널공급층(CS4)의 구성에 있어서 도 3의 HEMT와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채널공급층(CS4)은 순차로 적층된 하부층(21B), 식각정지층(11A) 및 상부층(22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층(21B), 식각정지층(11A) 및 상부층(22B)은 각각 제1 AlInN층, AlGaN층 및 제2 AlInN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AlInN층은 도 1에서 설명한 AlInN층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고, 상기 AlGaN층은 도 1에서 설명한 AlGaN층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다. 도 4에서 하부층(21B)과 식각정지층(11A)을 합한 두께는 도 1 또는 도 2의 식각정지층(10A, 10B)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 영역(R4)에서 채널공급층(CS4)의 두께는 1?20nm 정도일 수 있다. 리세스 영역(R4)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채널공급층(CS4)의 두께는 약 20nm 이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구조에서도 식각정지층(11B, 11A)에 의해 리세스 영역(R3, R4)의 깊이가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즉, 리세스 영역(R3, R4)에서의 채널공급층(CS3, CS4)의 두께가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HEMT의 특성을 용이하게/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HEMT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의 HEMT 구조는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CS4) 사이에 구비된 게이트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3의 HEMT 구조에 게이트절연층(GI1)이 부가된 구조를 보여준다. 게이트절연층(GI1)은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 CS3) 사이에서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 까지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GI1)은, 예컨대, Al2O3, SiOx, SixNy, Sc2O3, AlN, Ga2O3, Gd2O3, AlxGa2 (1-x)O3, MgO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하지 않았더라도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하는 게이트절연층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게이트절연층(GI1)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GI1)을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전극(G1)은 채널공급층(CS1, CS3)과 쇼트키 콘택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게이트전극(G1)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도전체)의 종류는 쇼트키 콘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전극(G1)과 소오스/드레인전극(S1, D1)은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절연층(GI1)은 도 2 및 도 4의 HEMT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HEMT 구조는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CS4) 사이에 구비된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 및 도 3의 HEMT 구조에 디플리션층(DL1)이 부가된 구조를 보여준다. 디플리션층(DL1)은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 CS3) 사이에서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 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디플리션층(DL1)이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디플리션층(DL1)은 p형 반도체층이거나 유전층일 수 있고,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즉, p-도핑층)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디플리션층(DL1)은 GaN, InN, AlGaN, AlInN, InGaN 및 AlInGaN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Mg와 같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디플리션층(DL1)은, 예컨대, 50?200n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플리션층(DL1)은 리세스 영역(R1, R3)에 대응하는 채널층(C1) 부분의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플리션층(DL1)은 채널공급층(CS1, CS3)의 에너지 밴드를 올려주는 역할을 하므로, 디플리션층(DL1)에 의해 채널공급층(CS1, CS3)의 에너지 레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디플리션층(DL1)은 리세스 영역(R1, R3)에 대응하는 채널층(C1) 부분의 2DEG를 공핍(depletion)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리세스 영역(R1, R3) 이외의 채널공급층(CS1, CS3) 부분에 대응하는 채널층(C1) 부분의 2DEG는 디플리션층(DL1)에 의해 공핍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리세스 영역(R1, R3) 이외의 영역에서 채널공급층(CS1, CS3)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채널층(C1)에 대한 디플리션층(DL1)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리세스 영역(R1, R3)에 대응하는 채널층(C1) 부분의 전기적 특성이 리세스에 의해 조절될 뿐 아니라, 디플리션층(DL1)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디플리션층(DL1)은 공간 전하(space charge)에 의해 게이트전극(G1)에 전기장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디플리션층(DL1)에 의해 HEMT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디플리션층(DL1)은 도 2 및 도 4의 HEMT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부가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채널공급층(CS1?CS4)이 적어도 하나의 AlGaN층 및 적어도 하나의 AlInN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였지만, 채널공급층(CS1?CS4)은 AlGaN층 및 AlInN층 이외에 다른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8의 HEMT에서 채널공급층(CS1?CS4)은 AlN층, AlInGaN층 등과 같은 다른 물질층을 한 층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1의 채널공급층(CS1)은 식각정지층(10A)과 채널층(C1) 사이에 AlN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EMT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기판(SUB1) 상에 버퍼층(B1)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SUB1)은, 예컨대, Si, 사파이어(sapphire), SiC, GaN 등으로 구성된 기판일 수 있다. 버퍼층(B1)은, 예컨대, AlN, GaN, AlGaN, AlInN, AlGaInN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B1)이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경우, Al의 함유량(원자%)은 0?30% 정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SUB1)과 버퍼층(B1) 사이에 소정의 씨드층(seed layer)(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버퍼층(B1) 상에 채널층(C1)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C1)은 GaN층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층(C1)은 미도핑된(undoped) GaN층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불순물이 도핑된 GaN층일 수도 있다. 채널층(C1) 상에 채널공급층(CS1)을 형성할 수 있다. 채널공급층(CS1)은 채널층(C1)과 분극 특성이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공급층(CS1)은 채널층(C1)보다 분극률이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공급층(CS1)에 의해 채널층(C1)에 2DEG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공급층(CS1)은 서로 다른 복수의 물질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공급층(CS1)은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각정지층(10A)은 AlGaN층일 수 있고, 상부층(20B)은 AlInN층일 수 있다. 상기 AlGaN층은 AlxGa1 - xN층일 수 있고, 여기서 x는 0.1≤x≤0.5 일 수 있다. 상기 AlInN층은 AlxIn1 - xN층일 수 있고, 여기서 x는 0.5≤x≤0.9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lGaN층 및 AlInN층 중 적어도 하나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상기 n형 불순물은, 예컨대, Si일 수 있다. 식각정지층(10A)의 두께는, 예컨대, 1?20nm 정도일 수 있고, 상부층(20B)의 두께는 수 내지 수백 nm 정도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채널공급층(CS1) 상에 식각마스크(M1)을 형성할 수 있다. 식각마스크(M1)는 채널공급층(CS1)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H1)를 가질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소정의 제1 식각 가스(EG1)를 사용해서 채널공급층(CS1)의 상부층(20B)에 대한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식각마스크(M1)의 개구부(H1)에 해당하는 상부층(20B) 부분이 식각되어, 리세스 영역(R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층(20B)이 AlInN층이고 식각정지층(10A)이 AlGaN층인 경우, 제1 식각 가스(EG1)는, 예컨대, 요오드(I) 계열의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식각 가스(EG1)는 ICl, I2, IB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오드(I) 계열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1 식각 가스(EG1)를 사용하면, 식각정지층(10A)(AlGaN층)에 대한 상부층(20B)(AlInN층)의 식각선택비가 높기 때문에, 식각정지층(10A)이 노출되는 시점에서 식각이 정지될 수 있다. 더욱이,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의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상부층(20B)의 식각이 완료되는 시점(즉, end point)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즉, 타겟 물질(상부층(20B))의 식각 종료 시점을 디텍션(detection)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각 공정에서 상부층(20B)의 원소인 In의 검출량 변화를 측정하면, In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시점이 상부층(20B)의 식각이 완료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층(20B)의 식각이 완료되어 식각정지층(10A)이 노출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이 시점에서 상기 식각 공정을 멈출 수 있다.
위와 같이 리세스 영역(R1)을 형성한 후, 식각마스크(M1)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이 도 9d에 도시되어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리세스 영역(R1)에 게이트전극(G1)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양측의 채널공급층(CS1) 부분에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을 먼저 형성한 후,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을 형성하거나,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을 먼저 형성한 후, 게이트전극(G1)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식각정지층(10A)과 상부층(20B)의 물질이 달라지는 경우, 그에 따라, 사용하는 식각 가스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기판(SUB1) 상에 버퍼층(B1), 채널층(C1) 및 채널공급층(CS2)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SUB1), 버퍼층(B1) 및 채널층(C1)은 각각 도 9a의 기판(SUB1), 버퍼층(B1) 및 채널층(C1)과 동일할 수 있다. 채널공급층(CS2)은 식각정지층(10B) 및 상부층(2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각정지층(10B)은 AlInN층일 수 있고, 상부층(20A)은 AlGaN층일 수 있다. 상기 AlInN층 및 AlGaN층은 도 9a에서 설명한 AlInN층 및 AlGaN층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lInN층 및 AlGaN층 중 적어도 하나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식각정지층(10B)의 두께는, 예컨대, 1?20nm 정도일 수 있고, 상부층(20A)의 두께는 수 내지 수백 nm 정도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채널공급층(CS2) 상에 식각마스크(M2)을 형성할 수 있다. 식각마스크(M2)는 채널공급층(CS2)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H2)를 가질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소정의 제2 식각 가스(EG2)를 사용해서 채널공급층(CS2)의 상부층(20A)에 대한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식각마스크(M2)의 개구부(H2)에 해당하는 상부층(20A) 부분이 식각되어, 리세스 영역(R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층(20A)이 AlGaN층이고 식각정지층(10B)이 AlInN층인 경우, 제2 식각 가스(EG2)는, 예컨대, 불소(F) 계열의 가스, 염소(Cl) 계열의 가스 및 브롬(Br) 계열의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 식각 가스(EG2)는 SF6, CF4, CHF3, BCl3, HBr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식각 가스(EG2)를 사용하면, 식각정지층(10B)(AlInN층)에 대한 상부층(20A)(AlGaN층)의 식각선택비가 높기 때문에, 식각정지층(10B)이 노출되는 시점에서 식각이 정지될 수 있다. 더욱이, 식각정지층(10B)과 상부층(20A)의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상부층(20A)의 식각이 완료되는 시점(즉, end point)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위와 같이 리세스 영역(R2)을 형성한 후,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마스크(M2)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 영역(R2)에 게이트전극(G1)을 형성하고, 그 양측의 채널공급층(CS2) 부분에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도 9a 내지 도 9e의 제조방법 및 도 10a 내지 도 10e의 제조방법에서 상부층(20A, 20B)에 대한 식각 공정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MERIE(magnetically enhanced reactive ion etching) 방법 등 다양한 건식 식각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의 소오스 파워 및 기판에 인가되는 RF(radio frequency) 파워의 세기를 조절하면, 상부층(20A, 20B)의 식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식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도 상부층(20A, 20B)의 식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의 제조방법 및 도 10a 내지 도 10e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채널층(C1)과 식각정지층(10A, 10B) 사이에 하부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층은 AlGaN층이거나 AlInN층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공급층은 AlGaN층/AlInN층/AlGaN층 구조 또는 AlInN층/AlGaN층/AlInN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채널공급층에서 최상부의 층(AlGaN층 또는 AlInN층)을 식각하는 방법은 도 9c 및 도 10c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은 게이트전극(G1)과 채널공급층(CS1, CS2) 사이에 게이트절연층 또는 디플리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절연층 및 디플리션층은 각각 도 5의 게이트절연층(GI1) 및 도 7의 디플리션층(DL1)과 동일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술한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8의 HEMT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채널공급층에 포함되는 하부층, 식각정지층 및 상부층의 물질로 AlGaN 및 AlInN 이외에 다른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고, 채널층의 물질도 GaN 이외에 다른 물질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e의 제조방법 및 도 10a 내지 도 10e의 제조방법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가해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idea)은 HEMT가 아닌 다른 반도체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26)

  1.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하는 채널층;
    상기 채널층에 상기 2DEG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식각정지층 및 상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에 상기 식각정지층을 노출시키는 리세스 영역을 갖는 채널공급층;
    상기 채널공급층의 리세스 영역에 구비된 게이트전극; 및
    상기 게이트전극 양측에 구비된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은 상기 상부층과 상기 식각정지층의 계면까지 형성된 HEMT.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AlGaN층 및 AlInN층을 포함하고,
    상기 AlGa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이고,
    상기 AlInN층은 상기 상부층인 HEMT.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AlIn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고,
    상기 AlIn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이고,
    상기 AlGaN층은 상기 상부층인 HEMT.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구비된 하부층을 더 포함하는 HEMT.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제1 AlGaN층, AlInN층 및 제2 AlGaN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AlGaN층은 상기 하부층이고,
    상기 AlIn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이며,
    상기 제2 AlGaN층은 상기 상부층인 HEMT.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 측으로부터 순차로 적층된 제1 AlInN층, AlGaN층 및 제2 AlInN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AlInN층은 상기 하부층이고,
    상기 AlGaN층은 상기 식각정지층이며,
    상기 제2 AlInN층은 상기 상부층인 HEMT.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정지층과 상기 상부층 중 하나는 AlGaN층이고, 다른 하나는 AlInN층인 HEMT.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구비된 하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은 AlInN층 또는 AlGaN층인 HEMT.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은 AlN층 및 AlInGaN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HEMT.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채널공급층의 두께는 1?20nm인 HEMT.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이 더 구비된 HEMT.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이 더 구비된 HEMT.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리션층은 p형 반도체층 또는 유전층인 HEMT.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리션층은 p-도핑층인 HEMT.
  16.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층 상에 식각정지층과 상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채널공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층의 일부 영역을 상기 식각정지층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공급층의 리세스 영역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전극 양측에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정지층은 AlGa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은 AlInN층으로 형성하는 HEMT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AlInN층을 제1 식각 가스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각 가스는 요오드(I) 계열의 가스를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정지층은 AlIn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은 AlGaN층으로 형성하는 HEMT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AlGaN층을 제2 식각 가스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각 가스는 불소(F) 계열의 가스, 염소(Cl) 계열의 가스 및 브롬(Br) 계열의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21. 제 16 내지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층과 상기 식각정지층 사이에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제1 AlGa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식각정지층은 AlIn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은 제2 AlGaN층으로 형성하는 HEMT의 제조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제1 AlIn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식각정지층은 AlGaN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층은 제2 AlInN층으로 형성하는 HEMT의 제조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채널공급층의 두께는 1?20nm인 HEMT의 제조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공급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디플리션층(deple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EMT의 제조방법.
KR1020110043082A 2011-05-06 2011-05-06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82A KR101813177B1 (ko) 2011-05-06 2011-05-06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13/307,769 US8796737B2 (en) 2011-05-06 2011-11-30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82A KR101813177B1 (ko) 2011-05-06 2011-05-06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41A true KR20120125041A (ko) 2012-11-14
KR101813177B1 KR101813177B1 (ko) 2017-12-29

Family

ID=4708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082A KR101813177B1 (ko) 2011-05-06 2011-05-06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96737B2 (ko)
KR (1) KR101813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800A (ko) * 2012-07-30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KR20170033219A (ko) * 2015-09-15 2017-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1292B2 (ja) * 2010-11-16 2015-09-16 ローム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素子および窒化物半導体パッケージ
US8878188B2 (en) * 2013-02-22 2014-11-04 Translucent, Inc. REO gate dielectric for III-N device on Si substrate
US9231094B2 (en) 2013-05-21 2016-01-05 Globalfoundries Inc. Elemental semiconductor material contact for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US9276077B2 (en) 2013-05-21 2016-03-01 Globalfoundries Inc. Contact metallurgy for self-aligned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KR102021887B1 (ko) * 2013-12-09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US9660064B2 (en) * 2013-12-26 2017-05-23 Intel Corporation Low sheet resistance GaN channel on Si substrates using InAlN and AlGaN bi-layer capping stack
JP6235702B2 (ja) * 2014-05-01 2017-11-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4241400B (zh) * 2014-09-05 2017-03-08 苏州捷芯威半导体有限公司 场效应二极管及其制备方法
TWI670851B (zh) * 2015-10-28 2019-09-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功率元件
US9871067B2 (en) * 2015-11-17 2018-01-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frared image sensor component
US10062776B2 (en) * 2016-02-05 2018-08-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25853B2 (ja) * 2016-08-24 2022-02-25 ローム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窒化物半導体パッケージ
US20180061975A1 (en) 2016-08-24 2018-03-01 Rohm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nitride semiconductor package
CN107331699A (zh) * 2017-08-16 2017-11-07 英诺赛科(珠海)科技有限公司 GaN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516673A (zh) * 2017-08-16 2017-12-26 英诺赛科(珠海)科技有限公司 GaN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121229B2 (en) * 2017-12-28 2021-09-14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KR20210041931A (ko) *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74871A (ko) 2019-12-12 202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2000362A1 (en) * 2020-07-01 2022-01-06 Innoscience (Zhuhai) Technolog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12038227A (zh) * 2020-08-12 2020-12-04 深圳市汇芯通信技术有限公司 栅极无损伤制备方法及基于该制备方法的hemt
US20230134265A1 (en) * 2020-08-13 2023-05-04 Enkris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WO2024086163A1 (en) * 2022-10-17 2024-04-25 Monde Wireless Inc. N-polar hemt structures with n+ contact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4747B1 (en) 1997-09-29 2001-02-27 Nec Corpor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P5084262B2 (ja) * 2004-06-24 2012-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238560B2 (en) * 2004-07-23 2007-07-03 Cree, Inc. Methods of fabricating nitride-based transistors with a cap layer and a recessed gate
TW200627627A (en) 2004-09-24 2006-08-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nhancement-depletion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456443B2 (en) 2004-11-23 2008-11-25 Cree, Inc. Transistors having buried n-type and p-type regions beneath the source region
US7709859B2 (en) 2004-11-23 2010-05-04 Cree, Inc. Cap layers including aluminum nitride for nitride-based transistors
JP4751150B2 (ja) 2005-08-31 2011-08-17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系半導体装置
JP4282708B2 (ja) * 2006-10-20 2009-06-24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系半導体装置
JP2009231396A (ja) 2008-03-19 2009-10-08 Sumitomo Chemical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604704B (zh) * 2008-06-13 2012-09-05 西安能讯微电子有限公司 Hemt器件及其制造方法
US7985986B2 (en) * 2008-07-31 2011-07-26 Cree, Inc. Normally-off semiconductor devices
JP5487615B2 (ja) * 2008-12-24 2014-05-0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電界効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35803B2 (ja) * 2010-05-07 2014-12-03 トランスフォーム・ジャパン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化合物半導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800A (ko) * 2012-07-30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KR20170033219A (ko) * 2015-09-15 2017-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0244A1 (en) 2012-11-08
KR101813177B1 (ko) 2017-12-29
US8796737B2 (en)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177B1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6660975B2 (ja) 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
TWI767726B (zh) 改良之氮化鎵結構
JP6066933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電極構造
US9171730B2 (en) Electrodes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2065115B1 (ko) E-모드를 갖는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9349819B2 (en) Heterojunc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EP279325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chottky diode and a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JP6173661B2 (ja) Iii−窒化物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iii−窒化物デバイス
US20140209922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2065113B1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2120B1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7408B1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5843A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TWI661554B (zh) 增強型高電子遷移率電晶體元件及其形成方法
JP201108239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2470A (ko) 노멀리 오프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TWI661555B (zh) 增強型高電子遷移率電晶體元件
KR101984698B1 (ko) 기판 구조체, 이로부터 제조된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4229767A (ja) ヘテロ接合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9045B1 (ko)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2523A (ko)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N110875379B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12002879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99120A1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