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578A -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578A
KR20120123578A KR1020127024930A KR20127024930A KR20120123578A KR 20120123578 A KR20120123578 A KR 20120123578A KR 1020127024930 A KR1020127024930 A KR 1020127024930A KR 20127024930 A KR20127024930 A KR 20127024930A KR 20120123578 A KR20120123578 A KR 2012012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ligand
substrate
copolymer
ligand immob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036B1 (ko
Inventor
신이치로 나가사와
마사카즈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9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6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8Polymers being grafted on the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8Polymers on the carrier being further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를 제공한다.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은 식 (2)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SUBSTRATE FOR LIGAND IMMOBILIZ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어피니티 리간드(affinity ligand)를 고정화하기 위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으로부터 특정 성분을 제거할 목적으로, 그 특정 성분에 대하여 친화성이 있는 물질, 즉, 리간드를 수불용성 담체에 공유 결합에 의해 고정한 흡착재가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흡착재는, 환자 혈액을 일단 체외로 취출하고, 그 혈액 혹은 혈장 분리기로 분리한 혈장을 흡착재에 흘려 처리한 후, 환자에게 반혈한다고 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흡착재로부터 리간드가 용출되면, 직접 환자 체내에 들어가, 여러가지 생리 작용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리간드의 용리량이 많은 흡착재는, 안전성의 점에서 임상에서 이용할 수 없다. 즉, 이들 흡착재를 실용화하는 데 있어서는, 수불용성 담체와 리간드의 결합을 강고하게 하여, 용리하는 리간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기술 과제이다.
또한, 혈액과의 접촉에 따른 단백질이나 세포(백혈구나 혈소판 등), 그 외 혈중 성분의 표면 흡착이 일어나기 어렵다고 하는 흡착재의 혈액 적합성도 중요하다. 특히, 선택적 흡착재에 있어서는,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키기 위해, 기재 그 자체에 목적 성분 이외의 것의 비특이적인 흡착이 일어나지 않는 기재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등의 의료용 재료는, 단순히 공업용 수지 재료를 의료용으로 전용한 것으로, 혈액 적합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의료용 재료 표면의 친수성 및 소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 의료용 재료 표면에, 방사선, 자외선 등을 조사하거나, 아크, 직류 글로우, 고주파, 마이크로파,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플라즈마 처리하거나, UV-오존 처리하는 등의 방법에 있어서 발생시킨 라디칼을 개시점으로 하여, 이것에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작용시켜 표면에 그래프트 중합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비특허문헌 1에는, 방사선을 이용한 그래프트 중합이, 또한 비특허문헌 2에는, 폴리초산비닐 수용액을 이용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을, 폴리프로필렌 표면 상 혹은 폴리에틸렌 표면 상에서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중합성을 갖는 베타인 화합물로서, 인지질의 극성기인 포스포릴콜린을 고분자쇄의 측쇄에 갖는 폴리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이하, MPC라고 함)이 널리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MPC 폴리머는, 생체막과 같은 양성형의 인지질을 갖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그 표면에 혈장 단백질이 흡착하지 않으며, 혈소판의 점착이나 활성화 등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고 해석되고 있지만, MPC 폴리머를 구성하고 있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은, 그 조제를 위해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고, 더구나 그 순도를 높이는 것이 곤란하며, 생성한 결정이 단시간에 조해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그 취급이 불편한 것 등에 영향을 받아,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비교적 고가이다.
이에 대하여, 비교적 저렴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량으로 조제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글리신형의 양성기를 갖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이하, CMB라고 함)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4 및 5). CMB 및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 폴리머는 단백질이나 혈구 등의 생체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작은 등의 우수한 생체적 합성을 갖고 있다고 하는 보고가 있지만(특허문헌 6), CMB와 리간드 고정화용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기재 표면에 갖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54-6302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951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9-9547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9-9558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22470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0194호 공보
비특허문헌 1: A. Henglein, Angew. Chem., 70, 461(1955) 비특허문헌 2: Y. Ogiwara, et. al., Poym. Sci., PolymLetter Ed., 19, 457(1981)
세포를 흡착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흡착 기재에 선택적인 세포 흡착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기재 표면에 양이온성 작용기(예컨대,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3급 아미노기, 4급 암모늄기)나 음이온성 작용기(예컨대, 황산에스테르기, 설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에스테르기)를 밸런스 좋게 고정화하여 세포의 선택 흡착을 행하는 기술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목표로 하는 높은 세포 선택성을 발현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하여, 높은 세포 선택 흡착성을 얻기 위해 목적 세포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나 당쇄에 특이적인 친화성을 갖는 어피니티 리간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이다. 특히 세포 표면의 단백질이나 당쇄에 강한 친화성이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나,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항체 단편(F(ab)', Fab, Fab' 등), 또한 그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펩티드, 또는 이들의 수식 펩티드가 효과적이고, 이들을 흡착 기재에 공유 결합으로 고정화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세포 흡착재에 한정되지 않고, 혈액 중에서 선택적으로 목적 물질을 제거 또는 회수하는 선택 흡착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흡착재로부터의 리간드의 누출이 매우 적은 등의 안전성도 중요하다. 즉, 비특이 흡착이 일어나기 어려운 흡착재에의 리간드의 고정화를 공유 결합으로 대략 달성하여, 리간드의 물리적인 비공유 결합을 충분히 저감시켜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백질이나 혈구 등의 생체 성분과의 비특이적 상호 작용이 적은 등의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리간드를 강고하게 결합하며, 고정화한 리간드와의 특이적 상호 작용에 기초한 높은 흡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리간드와 강고하게 결합하여 리간드가 용출하는 리스크가 적으며, 고정화한 리간드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기재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진행시킨 결과,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CMB와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Figure pct00001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
Figure pct00002
를 나타낸다.]
[2]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결합하고 있고,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의 몰 조성비가 0.1 이상 0.45 이하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일반식 (3)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3] 상기 공중합체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4] 상기 공중합체에 의한 상기 수불용성 담체 표면의 피복률이 27% 이상인 [1]에서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5] 상기 수불용성 담체가 다공막 또는 입자인 [1]에서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6]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의 용도.
Figure pct00005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일반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
Figure pct00006
을 나타낸다.]
[7] 상기 공중합체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6]에 기재된 공중합체의 용도.
[8] (i) 수불용성 담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과, (ii)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용액에, 공정 (i)에서 얻어진 수불용성 담체를 침지하여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일반식 (3)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9] 상기 중합성 모노머가 에폭시기를 갖는 [8]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10] 상기 수불용성 담체가 다공막 또는 입자인 [8] 또는 [9]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11] [1]에서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에, 항체, 단백질, 펩티드 및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리간드가 결합한 흡착재.
[12] 내부에 혈액을 도입하기 위한 입구와 그 혈액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한 용기의 내부에, [11]에 기재된 흡착재가 충전된 혈액 처리기.
본 발명에 따르면, 단백질이나 혈구 등의 생체 성분과의 비특이적 상호 작용이 적은 등의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리간드를 강고하게 결합하며, 고정화한 리간드와의 특이적 상호 작용에 기초한 높은 흡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착재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처리기의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는,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일반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
Figure pct00010
을 나타낸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는, 반복수가 m인 반복 단위와, 반복수가 n인 반복 단위의 랜덤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주기적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는, 식 (2)로 표시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CMB)과,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일반식 (3)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랜덤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주기적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일반식 (1)에서 반복 수가 m인 반복 단위는 CMB 유래의 잔기(이하, 베타인기라고 함)이고, 반복 수가 n인 반복 단위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잔기이다.
식 (2)로 표시되는 CMB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9-954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955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2247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고순도로 조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친전자 작용기」란 친전자적으로 반응하는 작용기를 의미하고,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혹은 알데히드기 등을 분자 내(일반식 (1) 및 일반식 (3) 중, R2)에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아미드,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메타크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소르베이트, 글리시딜메타이타코네이트, 에틸글리시딜말레에이트, 글리시딜비닐술포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분자 내에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로일옥시메틸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릴로일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또한, 알데히드기를 분자 내에 갖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신남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입수의 용이함, 비용, 취급의 용이함으로부터,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갖는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공중합체가 어떠한 양식으로 결합하고 있는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유 결합, 이온 결합, 물리 흡착 등의 어느 결합 양식이어도 좋다. 결합 방법으로서는, 그래프트법, 불용화 침전법 등, 모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화합물이나 그 모노머를 방사선 혹은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그래프트 중합하거나, 공유 결합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표면 개질을 실시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성1-2490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3-502094호 공보)은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을 이용하는 경우, 여러가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담체 상에 활성점을 도입하기 위한 전리성 방사선은, α선, β선, γ선, 가속 전자선, X선,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실용적으로는 가속 전자선 또는 γ선이 바람직하다. 가속 전자선 또는 γ선의 조사량은 담체의 성질, 중합성 모노머의 성질, 고정화량 등에 따라 임의로 바꿀 수 있지만, 10 k㏉에서 200 k㏉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담체와 중합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담체와 중합성 모노머의 공존 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동시 조사법과, 담체에만 미리 방사선을 조사한 후, 중합성 모노머와 담체를 접촉시키는 전조사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지만, 전조사법이, 그래프트 중합 이외의 부반응을 생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성 모노머 농도는 통상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반응 온도는 5℃ 이상 40℃ 이하의 범위에서, 중합성 모노머와 담체의 반응을 행할 수 있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설정하여도 좋다. 중합성 모노머와 담체의 반응 시의 용매는, 무용매 혹은 물, 메탄올, 에탄올, 그 외 알코올, 아세톤 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이며, 중합성 모노머가 용해, 분산되는 것이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조사 그래프트 중합법을 이용하는 경우, 담체에의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율(G)은 5% 이상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상 1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래프트율이 5% 미만이면, 담체 표면의 그래프트쇄에 의한 피복이 불충분해지기 쉬워, 담체 표면의 개질이 불충분해질 우려나, 리간드의 고정화량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그래프트율이 300%를 넘으면, 담체 자체의 물리 특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어, 흡착재의 설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그래프트율(G)은,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값이다.
G(%)=[(그래프트 후 담체 중량-그래프트 전 담체 중량)/(그래프트 전 담체 중량)]×100 (4)
중합 반응 후는, 과잉의 모노머나 연쇄 이동 반응에 의해 생성한 그래프트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를 적당한 용제로 충분히 세정 제거하면 좋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CMB)의 몰 조성비는, 0.1 이상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타인기의 몰 조성비가 0.1 미만이면, 생체 적합성의 성질이 발휘되지 않게 된다. 또한 베타인기의 몰 조성비가 0.45를 넘으면, 생체 적합성의 성질은 충분히 발휘되지만, 필연적으로 친전자 작용기의 함유량이 낮아져, 리간드의 고정화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 시의 각 중합성 모노머의 혼합량은, 선택하는 용매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공중합체에 의한 수불용성 담체 표면의 피복률은 27%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이상 75% 이하이다. 담체 표면의 피복률이 27% 미만이면, 담체의 표면 성질이 잔존하기 쉬운 경향이 있어, 비특이적 흡착이 증가할 우려나, 리간드의 고정화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불용성 담체를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재생 고분자 등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유리나 금속으로 대표되는 무기 화합물, 또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공성의 면에서는, 유기 고분자 소재가 특히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류, 폴리카보네이트류, 폴리우레탄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발(EVAL)),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스티렌, 폴리술폰류,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류, 폴리페닐렌에테르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불화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등, 및 이들을 구성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한 상기 고분자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수불용성 담체로서는, 의료용 흡착재의 담체로서 주지의 것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공막이나 입자가 바람직하고, 다공질 입자, 부직포, 중공사막이 체외 순환 시의 체액의 유통성에서 가장 바람직하며, 세포 흡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부직포 또는 입자가 바람직하다.
다공막으로서는, 이들 소재로부터 얻어지는 섬유상물(중실 섬유나 중공 섬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부직포, 직포, 편직물, 메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고분자 소재나 무기 고분자 소재를 열용융시킨 상태, 용매에 의해 용해한 용액 상태, 가소제를 이용하여 가소화한 상태 등으로부터, 발포법, 상분리법(열유기 상분리법이나 습식 상분리법), 연신법, 소결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시트상 막(평막)이나 중공사막도 사용할 수 있다.
다공막에 있어서는, 연통 구멍을 가지고, 연통 구멍의 적어도 표면 부분에 존재하는 어피니티 리간드와의 접촉에 의해 목적 성분이 흡착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여도 상관없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통 구멍이란, 지지 다공막의 한쪽의 막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막면에 걸쳐 연통한 구멍을 말하며, 그 연통 구멍을 통하여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멍의 막 표면의 형상이나 막 내부의 구조는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특히, 목적 흡착 성분이 세포인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세포 부유액의 투과성, 및 세포 포착성의 관점에서, 각종 섬유상물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 직포, 편직물, 메쉬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부직포는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다공막이다. 부직포 형상의 경우, 그 평균 섬유 직경(평균 섬유 직경)은 0.1 ㎛?50 ㎛가 바람직하다. 더욱 평균 섬유 직경은 0.5 ㎛?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2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 ㎛?1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직경이 0.1 ㎛ 미만이면,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나 세포 선택 흡착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기 쉽다. 또한 50 ㎛를 넘으면 세포 선택 흡착재로 한 경우의 흡착 표면적이 작아져 세포 포착성이 저하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입자는 목적 흡착 성분에 의해, 무공질, 다공질, 또한 다공질에 있어서는 그 구멍 직경을 선택하면 좋다. 평균 입자 직경은, 25 ㎛ 이상 2500 ㎛ 이하의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비표면적(흡착재로서의 흡착 능력)과 체액의 유통성을 고려하면, 50 ㎛ 이상 1500 ㎛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모식 단면도이다.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100)는, 수불용성 담체(1)와, 수불용성 담체(1)의 적어도 표면에 결합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2)를 구비한다. 공중합체(2)는, 결합 부분(10)에서 수불용성 담체(1)와 결합하고,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100)의 표면에 R3기(20) 및 R2기(30)를 갖고 있다. 여기서 R3기(20) 및 R2기(30)는, 상기 일반식 (1) 중 R3기 및 R2기와 동의이다. 즉, R3기(20)는,
Figure pct00013
을 나타내고, R2기(30)는 친전자 작용기를 나타낸다. 또한, 결합 부분(10)은, 주로 공중합체(2)의 주쇄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흡착재에 있어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에 고정화되는 리간드는, 특정 혈액 성분에 대하여 선택적 어피니티를 갖는 어피니티 리간드로 할 수 있다. 어피니티 리간드는, 친전자 작용기와 화학 결합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분자량이 500 Da 이하 정도인 저분자 화합물, 단백질, 또한 우수한 흡착능을 발현시키는 것이면, 타겟 성분에 매우 높은 어피니티를 갖는 항체나 키메라 항체, 항체가 갖는 중쇄 또는 경쇄의 가변 영역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F(ab')2, Fab, Fab', 및 그 외 펩티드 또는 그 수식 펩티드형의 리간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흡착재의 모식 단면도이다. 흡착재(110)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100)의 R2기(30)와, 리간드(40)가 화학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리간드(40)로서는 전술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처리기는, 내부에 혈액을 도입하기 위한 입구와 내부의 혈액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한 용기의 내부에, 상기 흡착재가 충전된 것이다. 상기 흡착재가 선택적으로 타겟 성분을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혈액으로부터 특정 성분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접 혈액 관류용의 혈액 성분 흡착기나 특이적 세포 흡착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처리기의 모식 단면도이다. 혈액 처리기(200)는, 용기(50)와, 용기(50)의 내부에 충전된 복수의 흡착재(110)를 갖는다. 용기(50)의 양단부에는, 헤더 캡(60a, 60b)이 마련되어 있다. 헤더 캡(60a)은 내부에 혈액을 도입하기 위한 입구(도입구)가 되며, 헤더 캡(60b)은 혈액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출구(도출구)가 된다. 헤더 캡(60a)의 도입구에서 화살표(F)의 방향으로부터 혈액 처리기(200)의 내부에 유입된 혈액이, 흡착재(110)와 접함으로써, 리간드(40)와 상호 작용하는 혈액 중의 성분이 흡착된다. 이에 의해, 헤더 캡(60b)의 도출구로부터 유출하였을 때에는 혈액 중으로부터 상기 성분이 제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는, 혈액으로부터 특정 성분(리간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재 또는 혈액 처리기에 이용되는 리간드를 고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지만, 어느 것도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방법
(1) γ선 조사
담체로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평균 섬유 직경 3.8 ㎛ 단위 중량 80 g/㎡) 0.108 ㎡를 탈산소제와 함께 산소 저투과성 주머니에 봉입하여 충분히 산소를 제거한 후, -78℃에서 25 k㏉의 γ선을 조사하였다.
(2) 그래프트 반응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10.8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 26.3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40℃에서 60분간 질소를 통기하였다.
내압 유리 용기에 상기 부직포를 재빠르게 넣고, 감압 후, 상기 용액을 인입하여 4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취출한 부직포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에 의해 세정하고, 4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를 얻었다.
(3) 세포 흡착 필터(흡착재)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직경 0.68 ㎝의 원형으로 절단하였다(이하, 「원형 부직포형 기재」라고 함). 다음에, 항인간 CD4 모노클로널 항체(16 ㎍) 및 황산암모늄(26 ㎎)을 용해한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지 않는 인산 완충 생리 식염액(이하, 「PBS(-)」라고 함) 400 μL에, 얻어진 원형 부직포상 기재 4장을 37℃에서 16시간 침지하고, 그 모노클로널 항체를 원형 부직포상 기재에 고정하였다. 그 후, 이 모노클로널 항체를 고정화한 원형 부직포상 기재(이하, 「항체 고정화 원형 부직포」라고 함)를 PBS(-) 2 ㎖로 세정하였다. 다음에, 0.2%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PBS(-) 용액(이하, 「Tween20 용액」이라고 함)에 그 항체 고정화 원형 부직포를 상온에서 2.5시간 침지하고, 블로킹을 행하였다. 그 후, 그 항체 고정화 원형 부직포를 PBS(-) 2 ㎖로 세정함으로써, 세포 흡착 필터를 제작하였다.
(4) 세포 흡착 필터의 세정
2% 도데실황산나트륨/PBS(-)(이하, 「SDS 용액」이라고 함)에 의해 세포 흡착 필터 4장을 95℃에서 10분간 침지하였다. 이것을 3회 반복한 후, 그 세포 흡착 필터를 PBS(-) 2 ㎖로 세정하였다.
(5) 세포 흡착기(혈액 처리기)의 제작
입구와 출구를 갖는 용량 1 ㎖의 용기에, 상기에서 얻어진 세포 흡착 필터 4장과 충전액으로서 PBS(-) 용액을 충전하여,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였다.
(6) 세포 흡착기의 세포 흡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세포 흡착기의 입구로부터, ACD-A 첨가 인간 신선 혈액 8 ㎖(혈액:ACD-A=8:1)를 시린지 펌프로 유속 0.2 ㎖/분으로 송액하였다. 세포 흡착기의 출구로부터 회수되는 세포 흡착 후 용액 중, 전반 4 mL분을 프랙션 1(이하, 「F1」이라고 함), 후반 4 mL분을 프랙션 2(이하, 「F2」라고 함)가 되도록 분취하였다. 그 후, 세포 흡착기의 출구로부터 세포 흡착 후의 용액을 회수하였다.
(B) 결과
(1) X선 광전자 분광법(XPS)에 의한 표면 해석
상기에서 얻어진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의 표면을 X선 광전자 분광법(XPS ESCA)에 의해 해석하였다. XPS로부터 얻어지는 탄소, 산소, 질소의 각 상대 원소 농도를 각각 C1, C2, C3이라고 하면, 기재 표면에 존재하는 CMB 상대 몰농도(X), GMA 상대 몰농도(Y), 담체 구성 폴리머 상대 몰농도(Z)는 각각 하기 식 (5)에서 (7)로 나타내어진다.
X=x/(x+y+z) (5)
Y=y/(x+y+z) (6)
Z=z/(x+y+z) (7)
단, x=C3, y=(C2-4x)/3, z={C1-(10x+7y)}/A로서, A는 담체 구성 폴리머의 단위 탄소 조성이며, 예컨대, 폴리에틸렌의 경우 A=2,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A=3이다.
상기에서 얻어지는 상대 몰농도로부터 공중합 폴리머 중의 CMB의 몰 조성비(R)는 다음 식 (8)로 나타내어진다.
R=m/(n+m)=X/(X+Y) (8)
또한, CMB 폴리머의 단위 분자량(MX), GMA 폴리머 단위 분자량(MY), 담체 구성 폴리머 단위 분자량(MZ)으로 하면, 피복률(S)(%)은 하기 식 (9)로 나타내어진다.
S=100{1-ZMZ/(XMX+YMY+ZMZ)} (9)
이들 계산식에 기초하여, CMB 몰 조성비(R) 및 피복률(S)을 산출한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1, 피복률(S)은 75%였다.
(2) 비표면적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의 비표면적은 자동 비표면적/세공 분포 측정 장치(SHIMADZU사 제조 MICRIMERITICS TRISTAR 3000)를 이용하여 BET법에 의한 다점법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표면적은 0.60 ㎡/g이었다.
(3) 항체 고정화량의 정량
상기에서 얻어진 세포 흡착 필터에 있어서의 항인간 CD4 모노클로널 항체의 고정화량은 BCA 단백질 정량 시약(PIERCE사 제조 Micro BCA(등록 상표) Protein Assay Reagent Kit 23235)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광 광도계(Molecular Devices사 제조 SPECTRA MAX340PC, 해석 소프트 SOFT max PRO)에 의해 흡광도 측정을 행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4장)에는 10.0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8.0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4) CD4 양성 세포 및 혈소판의 흡착률
플로우사이트미터(BECTON DICKINSON사 제조 FACSCALIBUR)를 이용한 유동 세포 분석법에 의해, 세포 흡착 전의 ACD-A 첨가 인간 신선 혈액 및 세포 흡착 후의 용액(F1 및 F2) 중의 CD4 양성 세포수를 측정하고, 세포 흡착기에의 세포의 흡착률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3.2%(F1) 및 60.1%(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35.6%(8 mL 평균)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21.5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6.3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26, 피복률(S)은 54%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50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11.6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8.4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9.7%(F1) 및 89.0%(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21.4%(8 mL 평균)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43.1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6.3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32, 피복률(S)은 54%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51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9.6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8.8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5.1%(F1) 및 86.0%(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12.4%(8 mL 평균)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68.9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1.1 mL를 4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45, 피복률(S)은 55%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37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9.2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7.8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2.5%(F1) 및 52.4%(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4.6%(8 mL 평균)였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입자 직경 320 ㎛의 입자를 탈산소제와 함께 산소 저투과성 주머니에 봉입하여 충분히 산소를 제거한 후, -78℃에서 25 k㏉의 γ선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21.5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6.3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입자(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25, 피복률(S)은 44%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027 ㎡/g이었다. 그 리간드 고정화용 입자 360 μL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15.2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10.1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또한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84.8%(F1) 및 73.5%(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2.0%(8 mL 평균)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10.8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3.2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27, 피복률(S)은 27%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56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11.0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8.2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9.3%(F1) 및 87.1%(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21.0%(8 mL 평균)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6.3 mL를 50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 피복률(S)은 64%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51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10.6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7.5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91.9%(F1) 및 34.4%(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81.2%(8 mL 평균)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 103.3 g,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5.8 mL를 350 mL의 메탄올에 용해한 것을 반응액으로 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행하여, 리간드 고정화용 부직포를 얻었다. XPS에 의한 표면 해석의 결과, CMB의 몰 조성비(R)는 0.56, 피복률(S)은 56%였다. 또한 비표면적을 측정한 바 0.36 ㎡/g이었다. 그 부직포로부터 세포 흡착 필터를 작성하고, 그 항체 고정화량을 측정한 결과, 세정 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0.5 ㎎, SDS 세정 후의 세포 흡착 필터에는 0.1 ㎎의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었다. 그 세포 흡착 필터로부터 세포 흡착기를 작성하고, 세포의 흡착률을 측정한 결과, CD4 양성 세포의 흡착률은 23.2%(F1) 및 0.2%(F2)였다. 또한 혈소판의 흡착률은 5.9%(8 mL 평균)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1…수불용성 담체, 2…공중합체, 10…결합 부분, 20…R3기, 30…R2기(친전자 작용기), 40…리간드, 50…용기, 60a, 60b…헤더 캡, F…혈액의 흐름 방향, 100…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110…흡착재, 200…혈액 처리기.

Claims (12)

  1.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Figure pct00016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
    Figure pct00017

    를 나타낸다.]
  2. 수불용성 담체의 적어도 표면에,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결합하고 있고,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의 몰 조성비가 0.1 이상 0.45 이하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일반식 (3)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 의한 상기 수불용성 담체 표면의 피복률이 27% 이상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담체가 다공막 또는 입자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6.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의 용도.
    Figure pct00020

    [일반식 (1) 중, n 및 m은 플러스의 정수를 나타내고, m/(n+m)의 값은 0.1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일반식 (1)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 R3
    Figure pct00021

    을 나타낸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용도.
  8. (i) 수불용성 담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과,
    (ii)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용액에, 공정 (i)에서 얻어진 수불용성 담체를 침지하여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일반식 (3) 중, R1은 H 또는 CH3, R2는 친전자 작용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모노머가 에폭시기를 갖는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담체가 다공막 또는 입자인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에, 항체, 단백질, 펩티드 및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리간드가 결합한 흡착재.
  12. 내부에 혈액을 도입하기 위한 입구와 그 혈액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한 용기의 내부에, 제11항에 기재된 흡착재가 충전된 혈액 처리기.
KR1020127024930A 2010-03-31 2011-03-28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0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3455 2010-03-31
JPJP-P-2010-083455 2010-03-31
PCT/JP2011/057678 WO2011125618A1 (ja) 2010-03-31 2011-03-28 リガンド固定化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578A true KR20120123578A (ko) 2012-11-08
KR101420036B1 KR101420036B1 (ko) 2014-07-15

Family

ID=4476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930A KR101420036B1 (ko) 2010-03-31 2011-03-28 리간드 고정화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092616A1 (ko)
EP (1) EP2554252B1 (ko)
JP (1) JP5784008B2 (ko)
KR (1) KR101420036B1 (ko)
CN (1) CN102844110B (ko)
AU (1) AU2011236772B2 (ko)
TW (1) TWI496798B (ko)
WO (1) WO2011125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132B2 (ja) * 2011-09-28 2015-09-24 旭化成株式会社 リガンド固定化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特異的細胞分離材並びに血液処理器
JP5940788B2 (ja) * 2011-09-28 2016-06-29 旭化成株式会社 選択的分離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血液処理器
CN103275269B (zh) * 2013-06-22 2015-09-23 西安科技大学 一种含醛基的磷酰胆碱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6140216A1 (ja) * 2015-03-02 2016-09-09 Jsr株式会社 固相担体、リガンド結合固相担体、標的物質の検出又は分離方法、及び前記固相担体の製造方法
WO2019073992A1 (ja) * 2017-10-11 2019-04-1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抗体修飾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1502A (en) * 1970-11-12 1972-06-20 Kendall & Co Betaine copolymers with hydroxyalkylacrylates and hydroxyalkylmethacrylates
JPS53282A (en) * 1976-06-24 1978-01-05 Nippon Paint Co Ltd Thermosetting resin,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s main component
JPS6021599B2 (ja) 1977-10-28 1985-05-28 株式会社クラレ 2−メタクリルオキシエチルホスホリルコリン
JPS5917354A (ja) * 1982-07-22 1984-01-28 旭化成株式会社 アフイニテイ−クロマトグラフイ−用吸着体
IL88081A0 (en) 1987-10-20 1989-06-30 Pall Corp Device and method for depletion of the leucocyte content of blood and blood components
CA1335713C (en) 1988-02-17 1995-05-30 David Boris Pall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leucocytes from platelet concentrate
CA2277953C (en) * 1991-07-05 2001-01-16 Biocompatibles Limited Polymeric surface coatings
JPH07300513A (ja) * 1994-05-09 1995-11-14 Nippon Oil & Fats Co Ltd 表面グラフト化材料
JPH0995586A (ja) 1995-07-21 1997-04-08 Osaka Organic Chem Ind Ltd 水溶性整髪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JP3032155B2 (ja) 1995-07-21 2000-04-10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ベタインモノマーの製法
JP3878315B2 (ja) 1998-02-02 2007-02-07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グリシンベタインモノマーの製法
JP4712924B2 (ja) 1999-03-30 2011-06-29 日油株式会社 医療用材料および製造方法
DE19959264A1 (de) * 1999-12-03 2001-07-12 Elipsa Gmbh Templat-geprägte Kompositmaterialien mit hoher Bindungsspezifität und Selektiv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4154613A (ja) * 2002-11-01 2004-06-03 Asahi Kasei Corp 機能性多孔膜の製造方法
US8142844B2 (en) * 2003-09-17 2012-03-27 Gambro Lundia Ab Separating material
CA2619361C (en) * 2005-08-25 2015-10-20 University Of Washington Super-low fouling sulfobetaine and carboxybetaine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JP4961133B2 (ja) * 2005-11-10 2012-06-27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材料
WO2008066381A1 (en) * 2006-11-29 2008-06-05 Procornea Holding B.V. Hydrogel contact lens comprising a polymer comprising a carboxy betaine ester monomer
JP5332613B2 (ja) * 2007-02-20 2013-11-06 東レ株式会社 樹脂成型体の製造方法
JP5279357B2 (ja) * 2008-06-12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粒子、その製造方法、分散液、磁気バイオ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磁気バイオセンシング方法
JP5349873B2 (ja) * 2008-09-04 2013-11-20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4252A4 (en) 2014-05-28
AU2011236772A1 (en) 2012-11-08
TWI496798B (zh) 2015-08-21
CN102844110B (zh) 2014-12-03
JPWO2011125618A1 (ja) 2013-07-08
CN102844110A (zh) 2012-12-26
WO2011125618A1 (ja) 2011-10-13
TW201141887A (en) 2011-12-01
US20130092616A1 (en) 2013-04-18
KR101420036B1 (ko) 2014-07-15
EP2554252B1 (en) 2019-02-27
JP5784008B2 (ja) 2015-09-24
AU2011236772B2 (en) 2013-11-14
EP2554252A1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174B2 (en) Temperature responsive adsorbent having a strong cation exchange group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9562219B (zh) 用于净化血液的材料
EP2741605B1 (en) Polymeric sorbent for removal of impurities from whole blood and blood products
JP5784008B2 (ja) リガンド固定化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26564B1 (ko) 작용화된 미립자 지지체 물질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H0949830A (ja) 刺激応答型分離材料および分離精製方法
JP4942015B2 (ja) リガンド固定化用基材および細胞選択吸着材
JP5784132B2 (ja) リガンド固定化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特異的細胞分離材並びに血液処理器
JP5940788B2 (ja) 選択的分離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血液処理器
JPS59186558A (ja) リウマチ因子および/またはその免疫複合体の吸着材
JPS59186559A (ja) 自己抗体および/または免疫複合体吸着材
JPH1033668A (ja) 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及び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装置
JP6064402B2 (ja) 抗体単量体の分離用分離剤及び分離方法
US20050036979A1 (en) Fibrinogen adsorber III
JP2023081326A (ja) 血液浄化用担体及び血液浄化カラム
JPS6361025B2 (ko)
JPS59189859A (ja) 自己抗体、免疫複合体を吸着する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