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501A -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501A
KR20120123501A KR1020127022767A KR20127022767A KR20120123501A KR 20120123501 A KR20120123501 A KR 20120123501A KR 1020127022767 A KR1020127022767 A KR 1020127022767A KR 20127022767 A KR20127022767 A KR 20127022767A KR 20120123501 A KR20120123501 A KR 2012012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ire
section
self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957B1 (ko
Inventor
마사후미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정지했을 경우에, 후방 카가 화재층의 주변을 피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운행 제어를 실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여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 3D1)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 3D2)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 정지를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 3D4)와, 주행 가능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3U3, 3D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MULTI-CAR 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 시의 운전 제어를 실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통상의 운행을 정지하고, 승객을 피난층으로 유도한다는 관제 운전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1개의 승강로에 1개의 카만 주행하는 싱글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의 각 층에는 화재 센서 등의 화재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정치층 선택 수단은 화재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와 미리 순위 매겨진 우선 정지층을 기억한 우선 정지층 기억 수단의 출력 신호를 조합하고, 엘리베이터의 피난층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발생층에의 정지를 회피한 긴급 관제 운전이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승객의 원활하고 안전한 피난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 끼리 충돌하지 않도록 운전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어,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재 관제 운전의 예로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에서는, 재해 발생 시에 있어서의 관제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에, 하부 카의 관제 운전이 완료된 후, 하부 카를 피난층으부터 하방층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부 카의 관제 운전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지진 관제 운전시 및 화재 관제 운전시에 신속한 관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18202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44123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081542 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에서는, 전방을 달리는 카(전방 카)가 화재층 부근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 후방 카의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멀티 카 시스템의 화재 관제 운전이나 화재 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전방 카가 화재층보다 조금 아래층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에, 후방 카가 화재층이나 화재 바로 위층에 정지해야만 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후방 카의 승객이 전방 카의 정지에 의해서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정지했을 경우에, 후방 카가 화재층의 주변을 피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운행 제어를 실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여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의 정지를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와, 주행 가능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가 1대 밖에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다른 카를 제어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여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정지를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와, 주행 가능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를 구비한다. 정지 가능 범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의 층이 항상 포함되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화재층 근방의 층에 정지했을 경우라도, 후방 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가 1대 밖에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다른 카를 제어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부를 구비한다. 화재층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인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밖에 존재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화재층 근방의 층에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라도, 후방 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서,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멀티 카 시스템에 있어서의 충돌 회피 운행 제어의 개념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실시형태 1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실시형태 1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8은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실시형태 3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3은 실시형태 3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4는 실시형태 3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실시형태 4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6은 실시형태 4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실시형태 5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8은 실시형태 5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실시형태 5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실시형태 6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화재 시의 운행 제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1은 실시형태 6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2는 실시형태 6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실시형태 1)
<전제 기술>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081542 호와 같이 동일 샤프트 내의 카끼리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층과 층 사이에 카가 정지하지 않도록 충돌 회피 운행 제어를 실행한다.
충돌 회피 운행 제어의 개념을 도 1에 도시한다. 도면에서, 8F를 주행 중인 카를 셀프 카로 하여, 셀프 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 셀프 카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카, 구체적으로는 직전의 카를 구속 상대 카로 한다. 그리고, 셀프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정지 가능한 바로 가까운 층까지의 구간을 셀프 카 점유 구간(여기에서는, 8F 내지 7F)으로 한다. 다음, 구속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정지 가능한 바로 가까운 층까지의 구간을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여기에서는 3F 내지 2F)으로 한다. 또한,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셀프 카가 존재하는 방향의 인접층(여기에서는 4F)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안전 여유 거리(여기에서는 1F 만큼) 바로 앞의 위치까지의 구간을 안전 여유 구간(여기에서는 4F)으로 정한다. 안전 여유 구간의 셀프 카가 존재하는 방향의 인접층(여기에서는 5F)으로부터 셀프 카 점유 구간의 전방층(여기에서는 6F)까지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 하고, 주행을 계속했을 경우의 셀프 카 점유 구간이 현재의 주행 가능 구간이 되는 한, 셀프 카의 주행을 허가한다. 셀프 카 점유 구간이 안전 여유 구간과 중복되는 경우에는 셀프 카의 정지 결정을 실행한다.
다음,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화재 시의 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재 시에 엘리베이터가 주행하는 모드로서, 화재 관제 운전, 피난 운전, 소방 운전이 있다. 화재 관제 운전에서는, 화재 발생 시에 이미 승차하고 있는 승객을 피난층으로 피난시킨 후, 카를 피난층에서 휴지시킨다. 피난 운전에서는, 계속적으로 상방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승객을 구출 운전한다. 소방 운전은 소방사 등의 조작에 의해서 실행되며, 소화 활동이나 구조 활동을 위해서 엘리베이터가 이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층이나 화재 바로 위층은 위험한 층으로 여겨지고 있어, 적어도 화재층이나 화재 바로 위층에서 카를 부주의하게 정지시키는 것은 극히 피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술의 충돌 회피 운행 제어가 이용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구속 상대 카가 화재층의 바로 아래층에서 정지했을 경우에, 셀프 카는 구속 상대 카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화재층이나 화재 바로 위층, 혹은 그 근방의 층에 정지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어, 위험한 상황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화재층 주변의 구간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정의하고, 주행을 계속하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서만 정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카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성>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 3에 도시한다. 승강로(1)에 상부 카(2U)와 하부 카(2D)가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카(2U)의 운행을 제어하는 상부 카 제어 장치(3U), 하부 카(2D)의 운행을 제어하는 하부 카 제어 장치(3D)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카 제어 장치(3U)는, 하부 카 제어 장치(3D)와 통신을 실행하여 하부 카(2D)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카 통신 수단(3U5),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 화재층의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3U3),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카 제어 장치(3D)도 마찬가지로, 상부 카 제어 장치(3U)의 카 사이 통신 수단(3U5)과 통신을 실행하는 카 통신 수단(3D5)의 이외,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D1), 화재층 정보 취득부(3D2), 주행 가부 판단부(3D3),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D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카 제어 장치(3U)에 있어서, 상부 카(2U)가 셀프 카이며, 하부 카(2D)가 구속 상대 카가 된다.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빌딩에 구비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나 열 감지기, 화재 경보기 등의 방재 기기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층의 정보(화재층 정보)를 얻는다.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가 얻은 화재층 정보와, 미리 운용이나 건물의 내화 성능 등에 근거하여 정해진 화재층으로부터 상하 방향별 거리에 근거하여,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한다. 여기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란, 화재 시에 카의 정지를 금지하는 구간이다.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는, 카 사이 통신 수단(3U5)을 통하여 하부 카(구속 상대 카)(2D)의 점유 구간을 취득하고, 이것과 셀프 카 점유 구간에 근거하여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한다. 주행 가부 판단부(3U3)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로부터 주행 가능 구간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로부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취득하고, 이들에 근거하여 상부 카(셀프 카)(2U)의 주행 가부를 판단한다.
하부 카 제어 장치(3D)에 있어서도, 상부 카 제어 장치(3U)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서 하부 카(2D)의 주행 가부가 판단된다.
<동작>
도 2를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5F로부터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화재층과 화재 바로 위층의 5F 내지 6F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2a는 카가 8F로부터 7F로 주행 중이며, 구속 상대 카가 3F로부터 2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셀프 카 점유 구간은 8F와 7F,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3F와 2F, 안전 여유 구간은 4F가 된다. 따라서, 주행 가능 구간은 5F 내지 6F가 된다. 주행 가능 구간 중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되지 않는 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셀프 카에는 정지 지령이 나와 7F에서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만일 구속 상대 카가 어떠한 이유로 3F에서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정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b는, 셀프 카가 8F로부터 7F로 주행 중이며, 구속 상대 카가 2F 내지 1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셀프 카 점유 구간은 8F와 7F,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2F와 1F, 안전 여유 구간은 3F, 주행 가능 구간은 4F 내지 6F가 된다. 따라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되지 않는 층으로서 4F가 있다. 이 경우, 구속 상대 카가 2F에서 긴급 정지했을 경우에, 셀프 카는 안전 여유 구간인 3F를 건너뛰고 4F에 정지할 수 있어서, 구속 상대 카에 충돌하는 일도, 화재의 영향을 받는 일도 없다. 따라서, 셀프 카는 주행을 계속하여 7F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c는, 셀프 카가 3F로부터 4F로 주행 중이며, 구속 상대 카가 8F로부터 9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셀프 카 점유 구간은 3F와 4F,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8F와 9F, 안전 여유 구간은 7F, 주행 가능 구간은 5F와 6F이다. 주행 가능 구간 중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되지 않는 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셀프 카에는 정지 지령이 나와 4F에서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만일 구속 상대 카가 어떠한 이유로 8F에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정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d는, 셀프 카가 2F로부터 3F로 주행 중이며, 구속 상대 카가 9F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셀프 카 점유 구간은 2F와 3F,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9F, 안전 여유 구간은 8F가 되며, 주행 가능 구간은 4F 내지 7F이다.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되지 않는 층으로서 4F와 7F가 있다. 따라서, 셀프 카는 안전 여유 구간인 8F를 건너뛰고 4F 또는 7F에 정지할 수 있어서, 구속 상대 카에 충돌하는 일도, 화재의 영향을 받는 일도 없다. 그 때문에, 셀프 카는 주행을 계속하여 3F를 통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고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화재층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층을 카의 정지를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와, 주행 가능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3U3)를 구비한다. 정지 가능 범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가 항상 포함되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는, 화재층 정보에 포함되는 화재층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더한 범위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한다. 정지 가능 범위가, 이와 같이 정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를 항상 포함하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도 4에 상술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행 가부 판단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에 있어서, 셀프 카의 주행 방향 전방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카를 구속 상대 카로 결정한다[단계(S1)]. 단, 전방에 카가 없으면 구속 카는 없음으로 결정한다. 다음,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는 구속 상대 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S2)], 없을 경우는 주행 가부 판단부(3U3)가 계속하여 주행 가능하다고 판단하여[단계(S3)],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2)에서 구속 상대 카가 있는 경우,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는 셀프 카 점유 구간의 연산을 실행한다[단계(S4)]. 여기서 셀프 카 점유 구간은, 셀프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정지 가능 위치보다 전방의 바로 가까운 층까지의 구간이다. 또한,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는 카 통신 수단(3U5)을 통하여 구속 상대 카의 제어 장치로부터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을 취득한다[단계 (S5)]. 여기서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구속 상대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정지 가능 위치로부터 전방의 바로 가까운 층까지의 구간이며, 구속 상대나 제어 장치에서 연산되는 것이다. 그 후,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는 셀프 카 점유 구간과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으로부터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한다[단계(S6)].
다음,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가,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에서 취득된 화재층 정보로부터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7)].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한다[단계(S8)]. 여기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은, 미리 운용이나 건물의 내화 성능 등에 근거하여 정해진 화재층으로부터 상하 방향별의 거리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화재층을 F, 상부 방향의 거리를 α, 하부 방향의 거리를 β로 하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은 F-β층 내지 F+α층 까지의 구간이 된다.
다음, 주행 가부 판단부(3U3)는 주행 가능 구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의 층이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S10)], 포함되지 않으면 단계(S11)에서 카를 정지시켜, 처리를 종료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S7)에서 No]나, 단계(S10)에서 주행 가능 구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의 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재층의 전방이 주행 가능 구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S9)], 주행 가능 구간인 경우에는 주행 가능이라고 판단하여[단계(S3)], 처리를 종료한다. 주행 가능 구간이 아닌 경우는 카를 정지하여[단계(S11)],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상부 카(2U)의 주행 가부 판단을 실행하는 상부 카 제어 장치(3U)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하부 카 제어 장치(3D)도 동일한 동작에 의해 하부 카(2D)의 주행 가부 판단을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상하 카 제어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화재 시에 구속 상대 카의 정지에 의해서, 셀프 카가 화재층 부근의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정지해야만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카 사이의 거리를 안전상 필요한 거리를 초과하여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1개의 승강로에 2개의 카가 주행하는 것을 상정하여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1개의 승강로를 주행하는 카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가 3개 있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상부 카(2U), 중간 카(2M), 하부 카(2D)의 각각에 상술한 구성의 카 제어 장치를 마련하면 좋다. 카가 4개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주행 가부 판단부,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 화재층 정보 취득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는, 카마다 마련한 카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로 하는 것이 아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마다 마련된 승강로 제어 장치(4)의 구성 요소로 해도 좋다. 승강로 제어 장치(4)의 구성 요소로 함으로써, 화재층 정보 취득부(43)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44)는 카의 수 만큼 마련할 필요가 없이 1개로 끝나, 카 제어 장치간의 통신을 실행하는 카 통신 수단도 불필요해진다.
<효과>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며,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여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3U2)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화재층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층을 카의 정지로서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와, 주행 가능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3U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지 가능 범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가 항상 포함되도록 카를 제어하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3U4)는, 화재층 정보에 포함되는 화재층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더한 범위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한다. 정지 가능 범위가, 이와 같이 정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를 항상 포함하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했을 경우라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구성>
도 9에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은, 1개의 승강로(1)에 상부 카(2U), 중간 카(2M), 하부 카(2D)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카(2U)에는, 상부 카(2U)의 운행을 제어하는 상부 카 제어 장치(3U)가, 중간 카(2M)에는, 중간 카(2M)의 운행을 제어하는 중간 카 제어 장치(3M)가, 하부 카(2D)에는, 하부 카(2D)의 운행을 제어하는 하부 카 제어 장치(3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1개의 승강로 내의 카 대수는 3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2대 이상의 임의의 대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승강로(1)에 마련된 승강로 제어 장치(4)는, 각 카(2U, 2M, 2D)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고, 그것을 카 제어 장치(3U, 3M, 3D)에 전달한다. 승강로 제어 장치(4)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43)와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를 구비하고 있다.
화재층 정보 취득부(43)는 실시형태 1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43)로부터 얻은 화재층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한다. 화재 시 폐색 구간이란, 화재 시에 카를 1대 밖에 주행시키지 않는 구간이다.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는,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밖에 주행하지 않도록 승강로(1) 내의 카를 제어한다. 실제로는, 각 카 제어 장치(3U, 3M, 3D)에 주행 가부의 판단 결과를 전달한다.
<동작>
도 7 및 도 8을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도시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대하여, 카의 주행 방향 측에 안전 여유 거리를 더한 구간을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하여 설정하고, 화재 시 폐색 구간에는 카를 1대 밖에 주행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는 실시형태 1와 마찬가지로 충돌 회피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도 7a는 셀프 카는 7F, 전방 카가 4F로부터 3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화재층은 5F이며, 화재층과 화재 바로 위층인 5F, 6F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설정된다. 안전 여유 거리가 1F 만큼으로 정해져 있으면, 화재 시 폐색 구간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하방에 안전 여유 거리만큼만 연장한 4F 내지 6F로 설정된다. 이 경우, 이미 전방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 내를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셀프 카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인 6F로 진행될 수 없으며, 7F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도 7b에서는, 도 7a와 마찬가지로 화재가 5F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화재 정지 금지 구간이 5F, 6F에, 화재 시 폐색 구간이 4F 내지 6F로 설정되어 있다. 셀프 카는 7F에 있으며, 전방 카는 3F 내지 2F로 주행 중이다. 이 경우,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 카는 1대도 주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셀프 카는 6F로 진행될 수 있다.
화재 관제 운전과 같이 모든 카가 피난층 방향으로만 주행하지 않는 경우는, 도 7과 같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일단측(피난층 방향)에만 안전 여유 거리를 부가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하면 좋다. 그렇지만, 피난 운전이나 소방 운전과 같이 카가 왕복하는 경우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양단에 안전 여유 거리를 부가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할 필요가 있다.
도 8에서는 화재층이 5F이며, 화재층과 화재 바로 위층 5F와 6F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설정된다. 안전 여유 거리가 1F만큼으로 정해져 있으면, 화재 시 폐색 구간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상하 양 방향에 안전 여유 거리 만큼만 연장한 4F 내지 7F로 설정된다. 도 8a는 셀프 카는 8F에 있고 전방 카는 4F로부터 3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전방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 내를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셀프 카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인 7F로 진행될 수 없으며, 8F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도 8b는, 셀프 카가 8F에 있고 전방 카는 3F로부터 2F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서 카가 1대도 주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셀프 카는 7F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며,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43)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가 1대 밖에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다른 카를 제어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를 구비한다. 화재층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있는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밖에 존재하지 않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화재층 근방의 층에 정지했을 경우라도, 후방 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도 10에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가 실행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는,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화재층 정보 취득부(43)가 취득한 화재층 정보로부터 판단한다[단계(S20)].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화재 시 폐색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의 충돌 회피 운행 제어를 실행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면,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21)].
여기서, 화재 시 폐색 구간은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가 화재층 정보 취득부(43)로부터 얻어지는 화재층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다. 우선, 미리 운용이나 건물의 내화 성능 등에 근거하여 정해진 화재층으로부터 상하 방향별의 거리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화재층 정지 금지 구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화재층을 F, 상부 방향의 거리를 α, 하부 방향의 거리를 β로 하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은 F-β층으로부터 F+α층까지의 구간이 된다. 다음,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카의 주행 방향 또는 양 방향에, 안전 여유 거리만큼만 연장한 구간을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안전 여유 거리를 γ로 하면, F-β-γ층으로부터 F+α+γ층이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설정된다.
단계(S21)에 있어서,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는,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있는지 아닌지를 각 카 제어 장치(3U, 3M, 3D)를 가지는 카 위치 정보로부터 판단하고, 화재 시 폐색 구간에 1대도 카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있으면, 카 점유 구간의 주행 방향측의 단부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의 어느 한 단부에 인접한 층에 있는 카 제어 장치(3U, 3M, 3D)에 대하여 정지 지령을 송신하고[단계(S22)], 처리를 종료한다. 정지 지령을 받은 카 제어 장치(3U, 3M, 3D)는 카를 정지시킨다.
근방의 카 사이에 마련되는 안전 여유 거리는, 양 카의 속도 및 가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 때문에, 각 카의 속도나 가속도가 다르면, 카 사이 마다 안전 여유 거리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안전 요구 거리는 동일 샤프트 내를 주행하는 카 끼리에 설정되는 안전 여유 거리 중 최대의 것을 일괄하여 모든 카 사이의 안전 여유 거리로 설정해도 좋다. 혹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 제어 장치(4)에 구비한 카 안전 여유 거리 선택부(47)에 의해, 근방의 양 카의 속도와 가속도(이것이 마이너스인 경우는 감속도)로부터 정해지는 소정의 안전 여유 거리를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안전 여유 거리를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에 부여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효과>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며,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43)와,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가 1대 밖에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다른 카를 제어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부(46)를 구비한다. 화재층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있는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밖에 존재하지 않도록 카를 제어함으로써,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화재층 근방의 층에 정지했을 경우라도, 후방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층에 대하여 고정된 거리의 구간을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로직을 가진 전자적 회로 뿐만이 아니라, 릴레이 등의 전기적 회로로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나 화재 시 폐색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45)는, 화재층을 포함한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층인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소정의 안전 여유 거리를 더한 구간을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설정하므로,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화재층 근방의 층에 정지했을 경우라도, 후방 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폐색 구간을 구성하는 상술의 안전 여유 거리는, 카의 속도 및 가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전방 카가 어떠한 이유로 화재층 근방의 층에 정지했을 경우에, 후방 카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에 정지하여, 카의 외부로 승객을 피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없지만 안전 여유 구간이 있는 경우에, 셀프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낮춰 안전 여유 구간을 단축하고,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금지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전 여유 구간은,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셀프 카가 존재하는 방향의 인접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안전 여유 거리 만큼 바로 앞의 위치까지의 구간으로 정해져 있다. 안전 여유 거리는, 셀프 카 구속 상대 카의 속도 및 감속도에 근거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안전 여유 구간은 셀프 카 구속 상대 카의 속도 및 감속도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도 12a에서는, 화재가 5F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구속 상대 카가 2F에 정차 중인 예를 도시한다.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2F이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은 5, 6F로 설정된다. 셀프 카는 8F를 속도(X1)로 주행 중이며, 그 감속도는 Y1로 한다. 이 때, 셀프 카의 점유 구간은 7, 8F이다. 구속 상대가 정지하고 있으며, 셀프 카의 속도가 X1, 감속도가 Y1 일 때의 안전 여유 거리가 2층 만큼이라고 하면, 안전 여유 구간은 3, 4F가 되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을 설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프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X1, Y1 보다 각각 작은 값인 X2, Y2로 변경함으로써, 안전 여유 거리를 1층 만큼으로 단축한다. 여기서 안전 여유 거리는, 셀프 카 구속 상대 카의 속도, 감속도, 카 상태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것이다. 그 결과, 안전 여유 구간이 2F 내지 3F로부터 3F로 단축되기 때문에, 4F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사이의 주행 가능 구간으로 설정되며, 셀프 카는 4F를 향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 여유 거리는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작게함으로써 단축되지만, 카의 속도 및 감속도가 너무 작으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셀프 카가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승객의 불안감이 증대한다. 그래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설정되는 셀프 카의 속도, 감속도의 조합 중에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 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것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부 카 제어 장치(3U)에 있어서,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 통과 시간 연산부(3U7), 속도?감속도 선택부(3U8)를 더 구비한 것이다.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는, 주행 가능 구간이 모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었을 경우에, 안전 여유 구간을 좁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주행 가능 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 셀프 카 [즉 상부 카(2U)]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한다. 여기에서는, 미리 부여된 셀프 카의 속도, 감속도의 조합 중에서 후보를 선택하여도 좋다. 통과 시간 연산부(3U7)는, 속도?감속 후보 제시부(3U6)에서 제시한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각 후보를 적용했을 경우에, 셀프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시간(통과 시간)을 연산한다. 속도?감속 선택부(3U8)는, 통과 시간 연산부(3U7)에서 연산된 통과 시간이 가장 짧은 후보를 셀프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선택한다.
또한, 하부 카 제어 장치(3D)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속도?감속 후보 제시부(3D6), 통과 시간 연산부(3D7), 속도?감속도 선택부(3D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주행 가부 판단의 흐름도이다. 단계(S10A 내지 S10C) 이외의 동작은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 1의 흐름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부카가 셀프 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을 실행한다.
주행 가능 구간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이외의 층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단계(S10)에서 NO],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이외의 속도 및 감속도의 후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그 이외의 후보가 있으면 단계(S10B)로 진행된다. 없으면 카를 정지시킨다[단계(S11)].
단계(S10B)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셀프 카의 속도, 감속도를 변경한다.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는, 카 사이 통신 수단(3U5)을 통하여 얻어진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셀프 카의 카 위치, 속도 등의 상태에 근거하여 미리 부여된 셀프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 중에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후보를 선택한다. 통과 시간 연산부(3U7)에서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에서 선택된 셀프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후보의 각각에 대하여,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시간(통과 시간)을 연산한다. 속도?감속도 선택부(3U8)에서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에서 선택된 셀프 카의 속도,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 중에서, 통과 시간 연산부(3U7)에서 연산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 시간이 최소가 되는 속도 및 감속도를 선택하고, 이것을 셀프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설정한다.
다음, 변경된 속도 및 감속도를 따라서 셀프 카의 주행 가능 구간을 다시 연산하고[단계(S10C)], 단계(S10)로 되돌아온다.
<효과>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3U1, 3D1)는, 전방 카 점유 구간의 셀프 카 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안전 여유 구간과 셀프 카 점유 구간의 사이의 구간을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고, 안전 여유 구간은, 카의 속도 및 감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며, 주행 가부 판단부(3U3, 3D3)는, 주행 가능 구간 중,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있을 경우에만 주행을 허가하고, 주행 가능 구간이 모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었을 경우에, 안전 여유 구간을 좁히는 카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하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3U6, 3D6)와, 상기 후보를 이용했을 경우에 전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통과 시간 연산부(3U1, 3D1)와, 상기 통과 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후보를, 셀프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선택하는 속도?감속도 선택부(3U8, 3D8)를 더 구비하므로, 카를 보다 빠르게,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보다 전방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셀프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조정하는 기술을, 실시형태 2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적용한 것이다. 즉, 도 7a나 도 8a와 같이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존재하는 경우에, 점유 구간의 주행 방향단에 인접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을 가지는 카, 즉, 도 7a에 있어서의 7F의 카나, 도 8a에 있어서의 8F의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낮춰 안전 여유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화재 시 폐색 구간을 단축하여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 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의 속도 및 감속도를 조정하는 대상이 된 카를 폐색 정지 대상 카로 정의한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4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한 실시형태 2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하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48), 폐색 정지 대상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을 연산하는 통과 시간 연산부(49),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을 결정하는 속도?감속도 선택부(410)를 구비한 것이다.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단계(SA2A, SA2B) 이외는 실시형태 2의 도 12와 동일하기 때문에, 단계(SA2A, SA2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있는 경우[단계(SA2)에서 Yes], 폐색 정지 대상 카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이외의 속도 및 감속도의 후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단계(SA2A)], 이외에도 후보가 있으면 단계(SA2B)로 진행되고, 후보가 없으면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제어 장치에 정지 지령을 송신한다[단계(SA3)]. 단계(SA2B)에서는 이하와 같이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변경한 후, 단계(SA2)로 되돌아온다.
단계(SA2B)에 있어서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48)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단축 가능한 조합의 후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면, 화재 시 폐색 구간과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카 위치 및 속도 등의 상태에 근거하여 미리 부여된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감속도의 조합 중에서 후보를 선택해도 좋다. 통과 시간 연산부(49)에서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48)에서 제시된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감속도의 후보의 각각을 이용했을 경우에, 폐색 정지 대상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통과 시간)을 연산한다. 속도?감속도 선택부(410)에서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48)에서 선택된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 중, 통과 시간 연산부(49)에서 연산된 통과 시간이 최소가 되는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선택하고, 이것을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가속도로 설정한다.
<효과>
실시형태 4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좁히는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하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48)와, 상기 후보를 이용했을 경우에 폐색 정지 대상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통과 시간 연산부(49)와, 상기 통과 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후보를,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선택하는 속도?감속도 선택부(410)를 더 구비하므로,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의해서 카가 정지해야만 하는 상황을 삭감하면서, 폐색 정지 대상 카를 보다 빠르게,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보다 전방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화재 시 출발 제어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의해서 카가 도중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셀프 카의 위치, 구속 상대 카의 위치, 속도, 방향, 문 상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부터 셀프 카 구속 상대 카의 장래의 위치를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근거하여 셀프 카의 출발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17a에서는, 화재가 5F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구속 상대 카가 6F로부터 5F로 이동중인 예를 도시한다.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은 5, 6F이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도 5, 6F로 설정된다. 셀프 카는 9F에서 정지하고 있으며, 셀프 카 점유 구간은 9F이다. 안전 여유 거리가 1층 만큼이라고 하면, 안전 여유 구간은 7F가 되고, 주행 가능 구간은 8F가 된다.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8F가 있기 때문에 셀프 카는 9F를 출발하여 8F를 향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인접한 7F에 도착했을 때에,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없으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바로 위층인 7F에서 정지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생기는 타이밍에 셀프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침입하도록, 셀프 카의 출발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출발 후는 정지하는 일 없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통과시킨다.
도 18은 실시형태 5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5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부 카 제어 장치(3U)에 있어서, 셀프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3U9),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구속 상대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구속 상대 카 위치 예측부(3U10), 셀프 카의 출발 타이밍을 제어하는 카 판단부(3U11)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9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화재 시 출발 제어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상부 카가 셀프 카인 예에 대하여 설명을 실행한다.
우선,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단계(SB1)],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셀프 카가 정지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B2)]. 셀프 카가 주행 중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셀프 카가 정지 중인 경우에는, 셀프 카의 전방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B4)로 진행된다.
단계(SB4)에서는, 셀프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T1)을 도착 시각 예측부(3U9)에서 예측 연산한다. 본 예측은, 셀프 카의 문 개폐 상태, 셀프 카의 위치, 셀프 카의 속도, 셀프 카의 정지 예정층 등으로 실행한다.
다음, 시각(T1) 시점에서의 구속 상대 카의 위치를 구속 상대 카 위치 예측부(3U10)에서 예측한다[단계(SB5)]. 본 예측은, 구속 상대 카의 문 개폐 상태, 위치, 속도, 정지 예정층 등으로 실행한다.
그 후, 시각(T1) 시점에서의 셀프 카의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하여[단계 (SB6)], 시각(T1) 시점에서 셀프 카가 정지할 필요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B7)]. 구체적으로는, 시각(T1) 시점에서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있으면 정지할 필요가 없고, 구속 상대 카 점유 구간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사이에 주행 가능 구간이 없으면 정지할 필요가 있다.
셀프 카가 정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면, 셀프 카에 출발 지령을 실행한다[단계(SB8)]. 셀프 카가 정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T2) 만큼 출발을 대기하고[단계(SB9)], 단계(SB4)로 되돌아와 처리를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의 도달 시각에 있어서의 주행 가능 구간 중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생길 때까지, 셀프 카는 출발 대기를 하게 된다. 단계(SB6 내지 SB9)까지의 처리는 카 출발 판단부(3U11)가 실행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을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실시형태 5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하면, 출발 예정인 셀프 카가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3U9, 3D9)와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구속 상대 카(전방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구속 상대나 위치 예측부(3U10, 3D10)(전방 카 위치 예측부)와, 상기 도착 시각 및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셀프 카의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하여, 주행 가능 구간 중에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생길 때까지 셀프 카의 출발 대기를 실행하는 카 출발 판단부(3U11)를 구비하므로, 주행 도중에 화재층에 가까운 층에서 카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져, 카 내의 승객의 초조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6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화재 시 출발 제어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의해서 카가 도중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셀프 카의 위치, 전방 카의 위치, 속도, 방향, 문 상태,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부터 셀프 카 전방 카의 장래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근거하여, 셀프 카의 주행 개시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20a에서는, 화재가 5F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하부 카(2D)가 7F를 이동 중인 예를 도시한다.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은 5, 6F으로 설정되고, 안전 여유 거리가 1층 만큼이라고 하면, 화재 시 폐색 구간은 4 내지 6F가 된다. 9F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부 카(2U)는 8F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7F에 도착했을 때에 아직 하부 카(2D)가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 있으면, 상부 카(2U)는 7F에서 정지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카(2D)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을 다 통과한 타이밍에 상부 카(2U)가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 침입하도록, 상부 카(2U)의 출발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출발 후는 정지하는 일 없이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통과시킨다.
도 21은 실시형태 6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6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실시형태 2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부 카 제어 장치(3U)에 있어서, 셀프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3U12),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전방 카 위치 예측부(3U13), 셀프 카의 출발 타이밍을 제어하는 카 출발 판단부(3U1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중간 카 제어 장치(3M) 및 하부 카 제어 장치에도 각각, 도착 시각 예측부, 전방 카 위치 예측부, 카 출발 판단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실시형태 6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화재 시 출발 제어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재 시 출발 제어의 대상인 셀프 카는 상부 카인 예에 대하여 설명을 실행한다.
우선,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단계(SC1)],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셀프 카가 정지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C2)]. 셀프 카가 주행 중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셀프 카가 정지 중인 경우에는 셀프 카의 전방에 화재 시 폐색 구간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C3)]. 화재 시 폐색 구간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어떤 경우에는 단계(SC4)로 진행된다.
단계(SC4)에 있어서, 셀프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T3)을 도착 시각 예측부(3U12)에서 예측 연산한다. 본 예측에 있어서는, 셀프 카의 문 개폐 상태, 셀프 카의 위치, 셀프 카의 속도, 셀프 카의 정지 예정층, 전방 카의 문 개폐 상태, 위치, 속도, 정지 예정층 등으로 예측을 실행한다.
다음, 시각(T3) 시점에서의 전방 카의 위치를 전방 카 위치 예측부(3U13)에서 예측한다[단계(SC5)]. 본 예측은, 전방 카의 문 개폐 상태, 위치, 속도, 정지 예정층 등으로 실행한다.
그 후, 시각(T3) 시점에서 전방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을 통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SC6)]. 시각(T3) 시점에서 전방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을 통과하고 있으면, 셀프 카에 출발 지령을 실행한다[단계(SC7)]. 통과하고 있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시간(T4) 만큼 전방 카에 출발 대기시키고(단계 SC8), 단계(SC4)로 되돌아온다. 또한, SC6 내지 SC8까지의 처리는 카 출발 판단부(3U14)가 실행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을 본 실시형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화재 시 출발 제어 기능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시 폐색 구간에 기인하는 정지가 필요 없어질 때까지, 카 출발의 대기를 실행하기 위해, 주행 도중에 화재층에 가까운 층에서 카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져, 카 내의 승객의 초조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6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하면, 출발 예정인 셀프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T3)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3U12)와, 도착 시각(T3)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전방 카 위치 예측부(3U13)와, 전방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을 통과하는 타이밍에, 셀프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도록, 적절히 셀프 카의 출발 대기를 실행하는 카 출발 판단부(3U14)를 구비하므로, 화재층의 근방층에서 카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져, 카 내의 승객의 초조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 : 승강로 2U, 2M, 2D : 카
3U, 3M, 3D : 카 제어 장치
3U1, 3M1, 3D1, 42U, 42M, 42D :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
3U2, 3M2, 3D2, 43 : 화재층 정보 취득부
3U3, 3M3, 3D3, 41U, 41M, 41D : 주행 가부 판단부
3U4, 3M4, 3D4, 44 :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
3U5, 3M5, 3D5 : 카 사이 통신 수단
3U6, 3D6, 48 :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
3U7, 3D7, 49 : 통과 시간 연산부
3U8, 3D8, 410 : 속도?감속도 선택부
3U9, 3D9, 3U12 : 도착 시각 예측부
3U10, 3D10 : 구속 상대 카 위치 예측부
3U11, 3D11, 3U14 : 카 출발 판단부
3U13 : 전방 카 위치 예측부 4 : 승강로 제어 장치
45 :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 46 : 화재 시 폐색 제어부
47 : 카 안전 여유 거리 선택부

Claims (9)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정지한 전방 카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여 문을 열 수 있는 층의 범위를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와,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상기 화재층 정보로부터 화재층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층을 카의 정지를 금지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서 연산하는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와,
상기 주행 가능 구간과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주행 가부를 판단하는 주행 가부 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 연산부는, 상기 화재층 정보에 포함되는 화재층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에 소정 거리를 더한 범위를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개의 승강로에 복수의 카가 주행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재층 정보를 취득하는 화재층 정보 취득부와,
상기 화재층 정보로부터, 카가 1대 밖에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와,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카가 1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카가 화재 시 폐색 구간에 침입하지 않도록 다른 카를 제어하는 화재 시 폐색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 설정부는, 화재층을 포함한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층인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소정의 안전 여유 거리를 더한 구간을 화재 시 폐색 구간으로 설정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여유 거리는 카의 속도 및 가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구간 연산부는, 전방 카 점유 구간의 셀프 카 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안전 여유 구간과 셀프 카 점유 구간의 사이의 구간을 상기 주행 가능 구간으로서 연산하고,
상기 안전 여유 구간은 카의 속도 및 감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상기 주행 가부 판단부는, 상기 주행 가능 구간 중,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있는 경우에만 주행을 허가하며,
상기 주행 가능 구간이 전부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었을 경우에, 상기 안전 여유 구간을 좁히는 카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하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와,
상기 후보를 이용했을 경우에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통과 시간 연산부와,
상기 통과 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후보를, 셀프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선택하는 속도?감속도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 내에 카가 존재하는 경우에, 점유 구간의 주행 방향단에 인접하여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을 가지는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를 조정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을 좁히는 상기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속도 및 감속도의 조합의 후보를 제시하는 속도?감속도 후보 제시부와,
상기 후보를 이용했을 경우에 상기 폐색 정지 대상 카가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통과 시간을 연산하는 통과 시간 연산부와,
상기 통과 시간이 가장 짧은 상기 후보를, 상기 폐색 정지 대상 카의 새로운 속도 및 감속도로 선택하는 속도?감속도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출발 예정인 셀프 카가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와,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전방 카 위치 예측부와,
상기 도착 시각 및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로부터,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셀프 카의 주행 가능 구간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 가능 구간 안에 상기 화재 시 정지 금지 구간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생길 때까지 셀프 카의 출발 대기를 실행하는 카 출발 판단부를 구비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출발 예정인 셀프 카가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는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와,
상기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전방 카의 위치를 예측하는 전방 카 위치 예측부와,
전방 카가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을 통과하는 타이밍에, 셀프 카가 상기 화재 시 폐색 구간에 도착하도록, 적절히 셀프 카의 출발 대기를 실행하는 카 출발 판단부를 구비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127022767A 2010-03-01 2010-12-20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393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3742 2010-03-01
JPJP-P-2010-043742 2010-03-01
PCT/JP2010/072877 WO2011108171A1 (ja) 2010-03-01 2010-12-20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501A true KR20120123501A (ko) 2012-11-08
KR101393957B1 KR101393957B1 (ko) 2014-05-12

Family

ID=4454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67A KR101393957B1 (ko) 2010-03-01 2010-12-20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6410B2 (ko)
JP (1) JP5404907B2 (ko)
KR (1) KR101393957B1 (ko)
CN (1) CN102781803B (ko)
DE (1) DE112010005335T5 (ko)
WO (1) WO2011108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6872B2 (ja) * 2012-11-12 2016-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WO2014112079A1 (ja) * 2013-01-17 2014-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DE112013007235B4 (de) * 2013-07-10 2019-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teuervorrichtung
KR101808971B1 (ko) * 2013-09-03 2018-01-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DE102014017486A1 (de) *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Fahrkörben sowie einem dezentralen Sicherheitssystem
JP6429676B2 (ja) * 2015-02-27 2018-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94229B2 (en) * 2017-01-30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JP6912429B2 (ja) * 2018-07-31 2021-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JP6966391B2 (ja) * 2018-07-31 2021-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168B2 (ja) * 1993-04-22 2000-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8133611A (ja) * 1994-11-09 1996-05-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ATE256625T1 (de) 1995-10-17 2004-01-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 aufzugsgruppen
JPH10182029A (ja) 1996-12-25 1998-07-07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4086565B2 (ja) * 2001-07-06 2008-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ングル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システム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JP2004244123A (ja) 2003-02-10 2004-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ATE350327T1 (de) * 2003-04-30 2007-01-15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US7487861B2 (en) 2003-08-06 2009-02-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raffic control
JP4311632B2 (ja) 2003-09-29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137545A (ja) 2005-11-15 2007-06-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008983B2 (ja) * 2006-01-20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FI118465B (fi) * 2006-03-03 2007-11-30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1370728B (zh) * 2006-07-06 2013-03-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避难支援装置
JP2008063017A (ja) 2006-09-04 2008-03-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EP2096072B1 (en) * 2006-12-15 2015-0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ire evacuation support system and fire door control device
US7688212B2 (en) * 2007-07-26 2010-03-30 Simplexgrinnell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ccupancy information in a fire alarm system
EP2192074A4 (en) 2007-10-26 2013-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REFUGE SUPPORT SYSTEM FOR LIFT CABIN
US8297409B2 (en) 2007-11-30 2012-10-30 Otis Elevator Company Coordin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a hoistway
US8839914B2 (en) * 2009-01-19 2014-09-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including fire evacuation prior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0005335T5 (de) 2012-12-06
CN102781803B (zh) 2014-11-05
JPWO2011108171A1 (ja) 2013-06-20
US9096410B2 (en) 2015-08-04
KR101393957B1 (ko) 2014-05-12
WO2011108171A1 (ja) 2011-09-09
US20120279804A1 (en) 2012-11-08
JP5404907B2 (ja) 2014-02-05
CN102781803A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957B1 (ko)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US7669695B2 (en) Fire evacuation operation system for group controlled elevators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JP5646047B2 (ja)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5800918B2 (ja) 乗場領域におけるエレベータかごの移動制御
CN107922151B (zh) 电梯装置
JP5518388B2 (ja) 免震構造部を有する建築物の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6414297B (zh) 使用电梯系统的方法以及电梯系统
JP2005330083A (ja) シングルシャフト構成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非干渉制御装置
JP200423818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23021788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3059006B2 (ja) 縦横自走式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110844728A (zh) 避免危险状况的电梯控制
KR2019002568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33158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
JP484126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7654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4882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閉じ込め救出運転方法
JP5966872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9476450B (zh) 电梯的控制装置
CN114341040B (zh) 根据关闭状态信号和轿厢位置将轿厢转移到安全运行状态的电梯设备
JP546284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4627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JP201706137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衝突回避方法
JP2024092099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