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688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688A
KR20190025688A KR1020197003154A KR20197003154A KR20190025688A KR 20190025688 A KR20190025688 A KR 20190025688A KR 1020197003154 A KR1020197003154 A KR 1020197003154A KR 20197003154 A KR20197003154 A KR 20197003154A KR 20190025688 A KR20190025688 A KR 2019002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ntrol device
operation mode
braking
dri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오 구기야
마사유키 가키오
노리카즈 이토우
구니미츠 기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로서 카끼리가 서로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독립 운전 모드와, 카끼리가 서로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카를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주행시키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를 포함하며, 운전 모드를 전환할 때에는, 한쪽 카를 제동한 다음 다른쪽 카를 접근 또는 이격시키고 운전 모드의 전환이 실행된 후, 그 제동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공통의 승강로 내에 복수의 카가 마련되어 있는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고속화하는 동시에 대용량화하여, 수송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망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2층 건물의 카를 갖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또한, 공통의 승강로 내를 복수의 카가 독립적으로 주행하는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는 왕복 운행 운전시의 대량 수송에는 적합하지만, 운행의 자유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승객이 복수의 층에서 기다리고 있을 때의 수송량을 크게 할 수 없다.
한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는, 카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각 카의 움직임이 제약되므로, 한 번에 대량의 승객을 운반하는 왕복 운행 운전에는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2개의 카가 동일 방향을 향하여 주행할 때에, 속도 상승에 따라서 긴급시의 정지 거리가 늘어나는 것을 상정하여, 미리 주행 개시에 시간 차이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로서, 왕복 운행 운전시에 있어서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만큼의 수송량을 실현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표 제 2010-538948 호 공보
여기에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카가 동일 방향을 향하여 주행할 때에, 속도 상승에 따라서 긴급시의 정지 거리가 늘어나는 것을 상정하여, 미리 주행 개시에 시간 차이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송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왕복 운행 운전시에 있어도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와 동등의 수송량을 실현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공통의 승강로를 주행하는, 제 1 카 및 제 1 카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카와, 제 1 카 및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와, 제 1 카 및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제동 장치와, 구동 장치 및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동 장치는, 제 1 카를 제동하는 비상 정지장치(safety gear)를 포함하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제 1 카 및 제 2 카가 서로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제 1 카 및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독립 운전 모드와, 제 1 카 및 제 2 카가 서로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제 1 카 및 제 2 카를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주행시키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하고,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제 1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를 제동한 다음,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를 제 1 카에 접근시키고 제 1 전환을 실행한 후,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로의 제동을 해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 운행 운전시에 있어서도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와 동등한 수송량을 실현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2 구동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 2 구동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카로서 2개의 카를 구비한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카(11) 및 제 1 카(1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카(21)는 공통의 승강로(1)를 주행한다. 공통의 승강로(1) 내에는, 제 1 카(11)와, 제 1 카(11)에 대응하는 제 1 균형추(12)와, 제 2 카(21)와, 제 2 카(21)에 대응하는 제 2 균형추(22)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카(11) 및 제 1 균형추(12)는 제 1 현가체(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2 카(21) 및 제 2 균형추(22)는 제 2 현가체(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현가체(13) 및 제 2 현가체(23)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된다. 제 2 카(21)는 제 1 카(1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 및 제 2 권상기(24)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카(11) 및 제 1 균형추(12)를 승강시키는 제 1 권상기(14)와, 제 2 카(21) 및 제 2 균형추(22)를 승강시키는 제 2 권상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권상기(14) 및 제 2 권상기(24)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로서의 브레이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 1 권상기(14) 및 제 2 권상기(24)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는 제동 장치로서의 브레이크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권상기(14)의 구동 시브에는, 제 1 현가체(13)가 감겨지고, 제 2 권상기(24)의 구동 시브에는, 제 2 현가체(23)가 감겨져 있다. 제 1 카(11) 및 제 2 카(21)는, 제 1 권상기(14) 및 제 2 권상기(24)에 의해, 승강로(1) 내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와, 제 1 균형추(12) 및 제 2 균형추(22)를, 1 : 1 로핑(roping) 방식으로 매달려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카(11)에는, 제 1 카(11)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제동 장치로서의 비상 정지장치(15)가 장착되어 있다. 비상 정지장치(15)가 동작하면, 비상 정지장치(15)에 마련되어 있는 제동 슈재(braking shoe member)가 레일에 가압된다. 비상 정지장치(15)는, 비상 정지장치(15)의 동작 중에 제 1 카(11)가 낙하하면, 제동 슈재를 레일에 가압하는 힘이 강해져, 성장한 마찰력에 의해 제 1 카(11)의 낙하를 저지하는 제동력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카(11)에 마련되어 있는 제동 장치로서의 비상 정지장치(15)는 제 1 카(11)를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카(21)에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충돌을 완화하는 카간 완충기(inter-car buffer)(26)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카(21)의 상부에는, 카간 완충기(26)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카(11)의 하부에는, 카간 완충기(26)가 부딪치는 완충기 받침대(buffer abutment member)(16)가 장착되어 있다. 만일, 제 1 카(11)와 제 2 카(21)가 충돌했을 때에는, 카간 완충기(26)가 완충기 받침대(16)에 충돌하여, 충격이 완화된다.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승강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제 1 권상기(14)를 구동 제어하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와, 제 2 권상기(24)를 구동 제어하는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와, 승강장 또는 카로부터의 호출에 대하여 제 1 카(11) 또는 제 2 카(21)를 할당하는 운행 제어 장치(13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에는, 제 1 카(1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신호(P10)와, 제 1 카(11)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신호(V10)가 입력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입력된 위치 정보 신호(P10) 및 속도 정보 신호(V10)를 이용하여, 제 1 권상기(14)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의 승강을 제어한다.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는, 제 2 카(2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신호(P20)와, 제 2 카(21)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신호(V20)가 입력된다.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입력된 위치 정보 신호(P20) 및 속도 정보 신호(V20)를 이용하여, 제 2 권상기(24)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21)의 승강을 제어한다.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각각의 위치 정보 신호(P10, P20) 및 속도 정보 신호(V10, V20)로서는, 예를 들면 권상기 인코더, 조속기 인코더,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각각 탑재된 센서, 또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센서 등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서로의 정보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서로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구동 제어를 실행한다.
운행 제어 장치(13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 상태와, 호출의 유무를 감시하여,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목적지를 결정한다.
즉, 운행 제어 장치(130)는 승강장의 호출 버튼 또는 카 내의 목적지 버튼이 조작되면, 그 조작에 관한 정보와, 제 1 카(11)의 위치 및 속도, 제 2 카(21)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카(11) 및 제 2 카(21) 중 어느 카를 할당할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는, 할당한 카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장치로서,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또는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운행 지령을 송신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만일, 엘리베이터 구성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충돌에 대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여기서, 안전 제어 장치(200)의 기능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에 기능의 일부로 하여 편입하여도 상관없다. 또는, 안전 제어 장치(200)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와는 독립된 장치로 하여 구비하여도 상관없다. 또는, 안전 제어 장치(200)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와는 독립된 장치로 하여 구비한 후에, 추가로 그 기능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에 기능의 일부로 하여 편입하여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안전 제어 장치(200)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와는 독립된 장치로 하여 구비하는 것에 의해,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와는 독립된 장치로서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면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의 위치 및 속도와, 제 2 카(21)의 위치 및 속도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와는 독립적으로 감시하며, 감시 결과,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충돌을 저지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에는, 제 1 카(11)의 위치 정보 신호(P10)와, 제 1 카(11)의 속도 정보 신호(V10)와, 제 2 카(21)의 위치 정보 신호(P20)와, 제 2 카(21)의 속도 정보 신호(V20)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입력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입력된 위치 정보 신호(P10), 속도 정보 신호(V10), 위치 정보 신호(P20) 및 속도 정보 신호(V20)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충돌에 이어지는 이상을 감시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에서 이용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 또는 운행 제어 장치(130)에서 이용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는 다른 독립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다만, 안전 제어 장치(200)에서 이용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 또는 운행 제어 장치(130)에서 이용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동일한 마이크로 컴퓨터라도 좋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의 운전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의 운전 모드에는,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가 포함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을 실행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독립 운전 모드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서로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제 1 카(11) 및 제 2 카(21)를 각각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운전 모드이다. 근접 동기 운전 모드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서로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주행시키는 운전 모드이다.
운행 제어 장치(130)는,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 중에서 적절한 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한 운전 모드를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 및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운행 제어 장치(130),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 및 안전 제어 장치(200)의 각각에 있어서의 운전 모드가 연동하여 변경된다.
운전 모드가 독립 운전 모드일 때, 운행 제어 장치(130)는, 호출에 따라서 최적인 카로서 제 1 카(11) 또는 제 2 카(21)를 선택하고, 선택한 카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 장치로서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또는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지령을 송신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호출 또는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주행 제어를 실행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운전 모드가 독립 운전 모드일 때,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감시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각각의 위치 및 속도를 감시하여, 제 1 카(11) 상태가 제 1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지령으로서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각각의 위치 및 속도를 감시하여, 제 2 카(21) 상태가 제 2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지령으로서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송신한다.
제 1 권상기(14)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는 제동 동작을 개시하여, 제 1 카(11)를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권상기(24)는,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는 제동 동작을 개시하여, 제 2 카(21)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고,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독립 운전 모드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되는 감시 기준이 나타나 있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의 위치 및 속도(도면 중, (P10, V10)에 대응)로부터, 제 1 카(11)가 정지 가능한 위치(도면 중, (P11, 0)에 대응)를 계산하여, 제 1 카의 배타 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설정한 제 1 카의 배타 구간에 진입하는 것보다 먼저 정지 가능한 제 2 카(21)의 접근시 감시 기준 속도를,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 설정하여, 제 2 카(21)의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의 속도가 제 2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제 1 카(11)의 정지 거리는 제 1 카(11)의 속도에 따라서 상이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카(11)의 속도가 높을 때에는, 제 1 카(11)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긴 배타 구간이 마련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카(11)의 속도가 낮을 때에는, 제 1 카(11)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짧은 배타 구간이 마련되게 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독립 운전 모드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되는 감시 기준이 도시되어 있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의 위치 및 속도(도면 중, (P20, V20)에 대응)로부터, 제 2 카(21)가 정지 가능한 위치(도면 중, (P21, 0)에 대응)를 계산하여, 제 2 카의 배타 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설정한 제 2 카의 배타 구간에 진입하는 것보다 먼저 정지 가능한 제 1 카(11)의 접근시 감시 기준 속도를 제 1 카의 감시 기준으로 설정하여, 제 1 카(11)의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의 속도가 제 1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제 2 카(21)의 정지 거리는 제 2 카(21)의 속도에 따라서 상이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카(21)의 속도가 높을 때에는, 제 2 카(21)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긴 배타 구간이 마련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카(21)의 속도가 낮을 때에는, 제 2 카(21)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짧은 배타 구간이 마련되게 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독립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독립 운전 모드로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되는 감시 기준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가 선행하고 있는 경우, 제 1 카(11)의 전방에 제 1 카의 배타 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가 제 1 카의 배타 구간보다 바로 앞에 정지하도록 제 2 카의 감시 기준을 설정하여, 제 2 카(21)의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의 속도가 제 2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가 선행하고 있는 경우, 제 2 카(21)의 전방에 제 2 카의 배타 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가 제 2 카의 배타 구간보다 바로 앞에 정지하도록 제 1 카의 감시 기준을 설정하여, 제 1 카(11)의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의 속도가 제 1 카의 감시 기준을 초과한 경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운전 모드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일 때,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호출 또는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 1 카(11)와 제 2 카(21)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동일한 속도로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주행을 제어한다. 감시 기준 거리(Lcr)는 안전 제어 장치(200)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와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서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수신하여, 서로 동기를 취한다. 또한, 층간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를 미조정하여 대응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운전 모드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일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만일 제 1 카(11)와 제 2 카(21)가 충돌할 때의 충격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감시를 실행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설정되는 감시 기준 거리(Lcr)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제어 장치(200)에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감시 기준 거리(Lcr)가 설정되어 있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각각의 위치를 감시하여, 서로의 거리, 즉 카간 완충기(26)와 완충기 받침대(16) 사이의 거리 |P10-P20|가 감시 기준 거리(Lcr)를 초과한 경우(즉, |P10-P20|>Lcr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송신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가 0이 된 경우(즉, |P10-P20|=0이 성립하는 경우)에도,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브레이크 작동 지령을 송신한다.
감시 기준 거리(Lcr)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 사이의 거리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속도로 제 1 카(11)와 제 2 카(21)가 충돌하여도, 그 최대 속도가 카간 완충기(26)에 의해 충격을 안전하게 완화 가능한 속도 이하가 되는 거리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현상의 일 예로서 제 1 카(11)의 자유 낙하를 고려하여, 제 1 카(11)의 자유 낙하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고려한 경우, 감시 기준 거리(Lcr)를 카간 완충기(26)의 완충 스트로크와 동등한 거리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의 운전 모드의 전환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운전 모드의 전환은, 운행 제어 장치(130)가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지령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운행 제어 장치(130)는, 예를 들면 운전 모드의 전환 지령 신호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경우, 미리 결정된 시간이 된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용 상황이 미리 설정된 이용 상황이 된 경우 등에, 운전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전체 이용 횟수 중 중간층의 이용 횟수의 비율이 문턱값보다 적은 경우에 근접 동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 전체 이용 횟수 중 중간층의 이용 횟수의 비율이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 독립 운전 모드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우선,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독립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를 정지시킨다(Step 101 내지 Step 103).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제 1 카(11)의 정지를 확인 후,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104).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독립 운전 모드시에,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정지시킨다(Step 201 내지 Step 203).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의 정지를 확인 후,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204).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Step 301 내지 Step 303).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동작이 제지되며, 만일 제 1 카(11)가 하강한 경우에는 비상 정지장치(15)가 제동한다.
즉, 만일 제 1 균형추(12), 제 1 현가체(13),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1 권상기(14)와 같은 제 1 카(11)의 주행에 관한 기기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제 1 카(11)가 제 2 카(2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 및 비상 정지장치(1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제동한다.
또한, 제동 장치는 제 1 카(11)를 제동하는 비상 정지장치(15)와, 구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제 1 카(11)에 접속되는 제 1 현가체(13)가 파단된 경우, 또는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가 고장난 경우라도, 제 1 카(11)가 제 2 카(21)에 높은 속도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접근시킬 때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를 설정한다(Step 304).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되는 제 2 카의 감시 기준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는, 카간 완충기(26)에 의해 충격을 안전하게 완화 가능한 속도, 예를 들면, 카간 완충기(26)의 완충 스트로크의 거리로 평균 감속도가 중력 가속도로 정지 가능한 속도(도면 중, 완충기의 허용 충돌 속도라 표기)보다 낮은 일정한 속도로 설정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근 기준 속도는, 제 2 카(21)가 제 1 카(11)에 충돌할 때의 속도가 카간 완충기(26)에서 충격을 안전하게 완화 가능한 속도 이하가 되도록, 충돌까지의 남은 거리에 따라서 가변이 되는 속도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만일 정지되어 있는 제 1 카(11)에 제 2 카(21)가 충돌하여도, 충격을 안전한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접근시키고 있을 때의 제 1 카(11)로부터 본 제 2 카(21)의 접근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감시하고 있는 접근 속도에서 이상을 검출하면, 제동 장치로서의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21)를 제동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감시하고 있는 접근 속도가 접근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접근 속도에서 이상을 검출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305).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접근 기준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제 1 카(11)에 접근시킨다. 또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충돌할 때까지의 남은 거리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감시 기준 거리(Lcr) 이하가 되고 나서 정지시킨다(Step 205, Step 206).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안전 제어 장치(200)가 제 1 카(11)를 제동한 다음, 구동 장치로서의 제 2 권상기(2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접근시켜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 이하가 되며,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정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감시 기준을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변경하고,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한다(Step 306 내지 Step 310).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의 제동 동작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접근시켜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한 후,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 및 비상 정지장치(1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로의 제동을 해제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311).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제어를 개시한다(Step 105, Step 106, Step 207, Step 208).
다음에,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를 정지시킨다(Step 107).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정지시킨다(Step 209).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제 1 카(11)의 정지를 확인 후,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108).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의 정지를 확인 후,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210).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Step 312).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동작이 제지되며, 만일 제 1 카(11)가 하강한 경우에는 비상 정지장치(15)가 제동한다.
즉, 만일 제 1 균형추(12), 제 1 현가체(13),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제 1 권상기(14)와 같은 제 1 카(11)의 주행에 관한 기기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제 1 카(11)가 제 2 카(2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 및 비상 정지장치(1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제동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를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킬 때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이격 기준 속도를 설정한다(Step 313).
또한,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이격 기준 속도는,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설정되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접근 기준 속도와 동등하게 된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 2 카(21)를 제 1 카(11)로 이격시키고 있을 때의 제 1 카(11)로부터 본 제 2 카(21)의 이격 속도를 감시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감시하고 있는 이격 속도에서 이상을 검출하면, 제동 장치로서의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21)를 제동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감시하고 있는 이격 속도가 이격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이격 속도에서 이상을 검출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314).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이격 기준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를, 도 6에 도시하는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에 의해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격시키고 나서 정지시킨다(Step 211, Step 212).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안전 제어 장치(200)가 제 1 카(11)를 제동한 다음, 구동 장치로서의 제 2 권상기(2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카(21)를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키고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한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가, 도 6에 도시하는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에 의해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는 상태,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정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감시 기준을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변경하고,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한다(Step 315 내지 Step 319).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비상 정지장치(15)의 제동 동작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제 2 카(21)를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켜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한 후,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 및 비상 정지장치(1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로의 제동을 해제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320).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제어를 개시한다(Step 109, Step 110, Step 213, Step 214).
또한,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Step 103 및 Step 107에 있어서, 제 1 카(11)의 정지를 확인 후, 제 1 카(11)의 도어를 폐쇄하거나, 혹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처리를 추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상 정지장치(15)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 1 카(11)의 부하 조건의 변화에 의한 가라앉음을 없애, 비상 정지장치(15)가 불필요하게 제 1 카(11)를 제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카(11)를 제동하는 제동 장치로서, 비상 정지장치(15) 및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비상 정지장치(15)는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조합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카를 제동하는 카 브레이크와 조합하여도 좋고, 제 1 현가체(13)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와 조합하여도 좋다. 특히, 비상 정지장치(15) 및 카 브레이크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 제 1 현가체(13)의 신축에 의한 제 1 카(11)의 상하동을 없애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장치(15)가 불필요하게 제 1 카(11)를 제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상 정지장치는 카의 오버 스피드 또는 로프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 구비하는 안전 장치이므로, 일반적으로는 동작 지연이 짧은 것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실시형태 1에서는, 운전 모드 전환 중에 있어서는, 로프 파단에 대한 사전의 대책으로서 비상 정지장치(15)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 조건과는 달리, 동작 지연을 짧게 할 필요는 없다. 동작 지연이 짧은 비상 정지장치는 동작음이 큰 경향이 있지만, 동작 모드의 전환 중에 있어서는, 큰 동작음이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비상 정지장치와는 별도로, 조용한 동작을 하는 비상 정지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동작음 저감을 위해서 유효하다.
또한,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해당 전환 전에, 독립 운전 모드로 가능한 한 제 1 카(11)와 제 2 카(21)를 접근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로서 독립 운전 모드일 때에는, 2개의 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카간의 거리를 확보하는 안전 감시를 실시하고,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일 때에는, 카 충돌시의 충돌 속도가 커지지 않도록 카간의 거리를 넓히지 않는 안전 감시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로서 포함되는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 상이한 이상의 판정 기준이 설정되며, 특히, 인접하는 카끼리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카간 완충기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운전 모드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일 때에, 카간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를 초과한 경우에 이상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 만일 카끼리가 충돌했다고 하여도, 충돌 속도를 낮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를 전환할 때에는, 인접하는 카 중 한쪽을 제동 장치에 의해 제동하여 안전 상태로 한 후에 또 다른 한쪽 카를 접근 또는 이격시켜 운전 모드의 전환이 실행된 후, 제동 장치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의 제어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카끼리의 높은 속도로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행하는 한쪽 카와 후속의 또 다른 한쪽 카의 주행을 동시 또는 거의 동시에 개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의해, 인접하는 카끼리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카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구도 이용하지 않고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와 동등하게 한번에 대용량 수송을 실행하는 왕복 운행 운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독립 운전 모드에 의해 운행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2개의 카가 독립적으로 주행하는 운행 형태와 2개의 카가 근접 동기하여 주행하는 운행 형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왕복 운행 운전시에 있어서도,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와 동등의 수송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엘리베이터 장치와 비교하여 승강로 수를 15% 정도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는, 이전의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이전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점의 설명을 생략하고, 이전의 실시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특징은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 방식이며,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특히 운전 모드의 전환 방식을 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이전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운전 모드로서,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각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의 각 기능은 이전의 실시형태 1과 동등하다.
도 15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이전의 실시형태 1의 구성에 대해, 승강로(1)에 마련된 완충기(17)와, 제 1 카(11)의 하부에 마련되며, 완충기(17)가 부딪치는 완충기 받침대(18)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만일, 제 1 카(11)가 승객이 승강 가능한 가장 낮은 층을 통과하여, 더욱 승강로의 저부를 향하여 주행한 경우에, 완충기 받침대(18)가 완충기(17)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제 1 카(11)의 승강로 하부로 지나치게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 1 카(11)에 높은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2의 특징인 운전 모드의 전환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1개의 흐름도를 2개의 도면으로 나누어 기재한 것이다. 운전 모드의 전환은, 이전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운행 제어 장치(130)가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와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지령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독립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를 정지시킨다(Step 401 내지 Step 403).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제 1 카(11)의 정지를 확인 후,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404).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독립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최하층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정지시킨다(Step 501 내지 Step 503).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의 최하층에서의 정지를 확인 후,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504).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Step 601 내지 Step 603). 이에 의해, 제 2 권상기(24)의 동작이 제지되어, 제 2 카(21)의 상승이 저지되게 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 1 카(11)를 완충기(17)에 접근시킬 때의 제 1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를 설정한다(Step 604).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운전 모드 전환시에 이용되는 안전 감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횡축은 제 1 카(11) 및 제 2 카(21)의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되는 제 1 카의 감시 기준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는, 완충기(17)에 의해 충격을 안전하게 완화 가능한 속도, 예를 들면 완충기(17)의 완충 스트로크의 거리로 평균 감속도가 중력 가속도로 정지 가능한 속도(도면 중, 완충기의 허용 충돌 속도라 표기)보다 낮은 일정한 속도로 설정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근 기준 속도는, 제 1 카(11)가 완충기(17)에 충돌할 때의 속도가 완충기(17)에서 충격을 안전하게 완화 가능한 속도 이하가 되도록, 충돌까지의 남은 거리에 따라서 가변이 되는 속도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만일 제 1 카(11)가 완충기(17)에 충돌하여도, 충격을 안전한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접근시킬 때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를 설정한다(Step 604). 또한,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접근 기준 속도는 이전의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접근 기준 속도와 동등하게 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에 대하여,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605).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를,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접근 기준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완충기(17)에 접근시켜, 완충기(17)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다(Step 405, Step 406). 또한, 설정 거리는 미리 설정해 두면 좋으며, 예를 들면, 제 1 카(11)가 완충기(17)의 충돌면에 접하는 위치, 또는 그 위치의 직전 위치가 설정 위치가 되도록, 설정 거리를 설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구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완충기(17)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다.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가 설정 위치에 정지한 것을 인식하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Step 606, Step 607).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동작이 제지되어, 제 1 카(11)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만일, 제 1 현가체(13)의 이상에 의해 제 1 카(11)가 낙하를 개시하여도, 제 1 카(11)는 완충기(17)에 속도가 올라갈 때까지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제 1 카(11)를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제동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하고, 또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608, Step 609).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접근 기준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제 1 카(11)에 접근시킨다. 또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를, 제 1 카(11)에 충돌할 때까지의 남은 거리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감시 기준 거리(Lcr) 이하가 되고 나서 정지시킨다(Step 505, Step 506).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 이하가 되며,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정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감시 기준을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변경하고,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한다(Step 610 내지 Step 614).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의 제동 동작은 해제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615).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근접 동기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제어를 개시한다(Step 407, Step 408, Step 507, Step 508).
다음에,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를 완충기(17)에 접근시켜, 완충기(17)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다(Step 409).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구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완충기(17)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운행 제어 장치(13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카(11)와의 사이의 거리가 감시 기준 거리(Lcr) 이하가 되는 위치에 제 2 카(21)를 정지시킨다(Step 509).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는, 제 1 카(11)의 정지를 확인 후,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410).
마찬가지로,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제 2 카(21)의 정지를 확인 후,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안전 제어 장치(200)에 송신한다(Step 510).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 지령을 수신하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와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송신한다(Step 616).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 및 제 2 권상기(24)의 동작이 제지되어, 제 1 카(11)와 제 2 카(21)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만일 제 1 현가체(13)의 이상에 의해 제 1 카(11)가 낙하를 개시하여도, 제 1 카(11)는 완충기(17)에 속도가 올라갈 때까지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 제어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가 제 1 카(11)를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제동 장치로서의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카(11)를 제동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를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킬 때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이격 기준 속도를 설정한다(Step 617). 또한,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권상기(2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한다(Step 618).
또한, 제 2 카의 감시 기준으로서의 이격 기준 속도는,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설정되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접근 기준 속도와 동등하면 좋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619).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제 2 카(21)를, 안전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이격 기준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제 1 카(11)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에 의해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격시키고 나서 정지시킨다(Step 511, Step 512).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2 카(21)가, 도 6에 도시하는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제 2 카의 감시 기준에 의해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는 상태, 또한 제 1 카(11) 및 제 2 카(21)가 정지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감시 기준을 독립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기준으로 변경하고,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에 대하여, 제동 동작 지령을 해제한다(Step 620 내지 Step 624). 이에 의해, 제 1 권상기(14)의 브레이크의 제동 동작은 해제된다.
다음에, 안전 제어 장치(200)는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에 대하여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송신한다(Step 625).
제 1 구동 제어 장치(110) 및 제 2 구동 제어 장치(120)는, 안전 제어 장치(200)로부터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을 허가하는 지령을 수신하면,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주행 제어를 개시한다(Step 411, Step 412, Step 513, Step 514).
이상, 본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이전의 실시형태 1의 구성에 대하여, 독립 운전 모드와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제 1 카를 완충기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제 1 카를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서도, 이전의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 2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 1, 2의 각각으로 개시한 구성예는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승강로 11: 제 1 카
12: 제 1 균형추 13: 제 1 현가체
14: 제 1 권상기 15: 비상 정지장치
16: 완충기 받침대 17: 완충기
18: 완충기 받침대 21: 제 2 카
22: 제 2 균형추 23: 제 2 현가체
24: 제 2 권상기 26: 카간 완충기
1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10: 제 1 구동 제어 장치
120: 제 2 구동 제어 장치 130: 운행 제어 장치
200: 안전 제어 장치

Claims (6)

  1. 공통의 승강로를 주행하는, 제 1 카 및 상기 제 1 카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카와,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제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제 1 카를 제동하는 비상 정지장치(safety gear)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가 서로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를 각각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독립 운전 모드와,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가 서로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 1 카 및 상기 제 2 카를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주행시키는 근접 동기 운전 모드의 전환을 실행하고,
    상기 독립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의 제 1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를 제동한 다음,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카를 상기 제 1 카에 접근시켜 상기 제 1 전환을 실행한 후, 상기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로의 제동을 해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상기 제 1 전환을 실행할 때에 제어하는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비상 정지장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동기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독립 운전 모드로의 제 2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를 제동한 다음, 상기 제 2 카를 상기 제 1 카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 2 전환을 실행한 후, 상기 제 1 카로의 제동을 해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를 상기 제 1 카로부터 이격시키고 있을 때의 상기 제 1 카로부터 본 상기 제 2 카의 이격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이격 속도에 있어서 이상을 검출하면, 상기 제 2 카를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를 상기 제 1 카에 접근시키고 있을 때의 상기 제 1 카로부터 본 상기 제 2 카의 접근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접근 속도에 있어서 이상을 검출하면, 상기 제 2 카를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의 상기 승강로의 하방향으로의 지나치게 나아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를 상기 완충기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멀어진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상기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를 제동하고,
    상기 제 2 전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를 상기 설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상기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카를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97003154A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KR20190025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1115A KR102326645B1 (ko)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7470 2016-08-10
JP2016157470 2016-08-10
PCT/JP2017/022409 WO2018029986A1 (ja) 2016-08-10 2017-06-16 エレベータ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15A Division KR102326645B1 (ko)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688A true KR20190025688A (ko) 2019-03-11

Family

ID=611618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15A KR102326645B1 (ko)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97003154A KR20190025688A (ko)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15A KR102326645B1 (ko) 2016-08-10 2017-06-1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24640B1 (ko)
KR (2) KR102326645B1 (ko)
CN (1) CN109562906B (ko)
DE (1) DE112017004022T5 (ko)
WO (1) WO2018029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12B1 (ko) * 2019-06-05 2020-09-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9245A1 (en) * 2019-11-08 2021-05-12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948A (ja) 2007-09-18 2010-12-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かご離間制御を含む多かご昇降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793B2 (ja) * 2005-07-22 2010-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SG138530A1 (en) * 2006-06-19 2008-01-28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EP2072445A1 (de) * 2007-12-21 2009-06-24 Inventio Ag Betriebsverfahren für einen Aufzug mit zwei Aufzugskabinen und einem Gegengewicht
JP5610974B2 (ja) * 2010-10-21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693723B2 (ja) * 2011-06-27 2015-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20140003809U (ko) * 2012-12-12 2014-06-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고정장치
JP6138348B2 (ja) * 2014-04-03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948A (ja) 2007-09-18 2010-12-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かご離間制御を含む多かご昇降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12B1 (ko) * 2019-06-05 2020-09-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20246677A1 (ko) * 2019-06-05 2020-12-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29986A1 (ja) 2018-08-09
KR102326645B1 (ko) 2021-11-15
CN109562906A (zh) 2019-04-02
WO2018029986A1 (ja) 2018-02-15
JP6324640B1 (ja) 2018-05-16
CN109562906B (zh) 2021-07-13
KR20210008167A (ko) 2021-01-20
DE112017004022T5 (de)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047B2 (ja)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109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11880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osing doors of an elevator of a multi-car elevator shaft system
JP564606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031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5662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462836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90025688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914188B1 (en) Elevator device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3834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23180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8133091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速度制御システム
CN114955759A (zh) 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