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012B1 -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012B1
KR102160012B1 KR1020190066445A KR20190066445A KR102160012B1 KR 102160012 B1 KR102160012 B1 KR 102160012B1 KR 1020190066445 A KR1020190066445 A KR 1020190066445A KR 20190066445 A KR20190066445 A KR 20190066445A KR 102160012 B1 KR102160012 B1 KR 102160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system
coupling member
control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태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012B1/ko
Priority to PCT/KR2019/018371 priority patent/WO202024667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1 카와 제1 카와 동일 승강로에서 제1 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결합부재와 결합/분리되는 제2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2 카, 그리고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분리 동작 및 운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 및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 중 하나의 운행모드로 제1 카 및 제2 카가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객 수가 적은 시간대에는 상하 카 간에 서로 결합되어 더블데크 방식으로 운행되어 탑승객이 목표 층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운행효율이 증대되되, 탑승객 수가 적은 시간대에는 상하 카 간에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행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DOUBLE DECK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승강로에 상하 배치된 두 개의 카가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함께 운행되거나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발달에 의한 건물의 고층화 대용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원활한 층간 이동을 위해 다수의 엘리베이터 설치가 요구되지만, 무턱대고 엘리베이터의 설치 대수를 늘리는 것은 시공 비용과 운행 비용의 증대 및 건물의 공간 활용성 면에서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층빌딩 또는 대형의 빌딩에 두 대의 카가 상하 연결되어 하나의 승강로에서 운행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는 탑승객이 목표 층별로 분류되어 다른 카에 탑승되기 때문에 정지 층이 감소하여 탑승객이 목표 층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승강로당 한 번에 수용 가능한 탑승 인원이 증가하여 운행효율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는 탑승객 수가 적은 시간대에도 두 대의 카가 동시에 운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294호 (2013.08.13)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동일 승강로에 상하 배치된 두 개의 카가 서로 간에 결합되어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와 분리되어 개별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행 가능하도록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분리 시와 각 운행모드 별 운행 시의 안전성이 향상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내의 유동인구에 따른 운행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뤄질 수 있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1 카와 제1 카와 동일 승강로에서 제1 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결합부재와 결합/분리되는 제2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2 카, 그리고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분리 동작 및 운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 및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 중 하나의 운행모드로 제1 카 및 제2 카가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카 및 제2 카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제1 카 및 제2 카를 승하강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권상기와 제1 카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서스펜션 시브, 그리고 제1 권상기의 작동에 따라 제1 카가 견인 이동되도록 제1 권상기와 제1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제1 로프를 포함하고, 제2 구동부는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권상기와 제2 카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서스펜션 시브, 그리고 제2 권상기의 작동에 따라 제2 카가 견인 이동되도록 제2 권상기와 제2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제2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가 제1 권상기로부터 제1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제1 카 및 제2 카의 승하강 경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서스펜션 시브는 제1 카의 폭 방향 양끝단에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제2 카의 폭 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제2 로프가 제2 권상기로부터 제2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제1 로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제1 서스펜션 시브의 사이 간격보다 더 좁은 이격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제2 카의 폭 방향 양 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제2 로프가 상기 제2 권상기로부터 제2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제1 로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제1 서스펜션 시브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배열방향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운행모드에서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동기화하여 동일 회전수로 회전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운행모드에서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하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제1 카 및 제2 카는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분리되는 전환모드 상태가 수행되도록 제1 카 및 제2 카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환모드 상태에서 제1 카 및 제2 카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환모드는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되는 결합 전환모드와,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되는 분리 전환모드로 분리되고, 제어부는 결합 전환모드에서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 기준 거리보다 더 큰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1단계 이동과, 제1 카 및 제2 카가 대기 기준 거리 상태에서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2단계 이동 과정이 수행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2단계 이동 과정에서 제1 카 및 제2 카의 이동 속도가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리 전환모드에서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 기준 거리 상태에서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리 전환모드에서 제1 카 및 제2 카의 이동 속도가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기계식 결합방식, 유압식 결합방식, 그리고 전자석에 의한 결합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분리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 또는 출입구의 유동인구 수를 감지하는 별도의 유동인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유동인구 감지센서로부터 유동인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운행모드 또는 제2 운행모드로 전환되어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카 및 제2 카의 탑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별도의 탑승객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탑승객 감지센서의 탑승객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탑승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카 및 제2 카에 탑승객이 존재하면 운행모드의 전환이 보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카 및 제2 카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별도의 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거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운행모드에서 카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최소거리를 초과하여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행모드에서, 제어부는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 정보가 설정된 최대거리를 초과하면,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 간의 결합/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별도의 상태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의 상면 또는 제2 카의 하면에는 카 간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객 수가 적은 시간대에는 상하 카 간에 서로 결합되어 더블데크 방식으로 운행되어 탑승객이 목표 층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운행효율이 증대되되, 탑승객 수가 적은 시간대에는 상하 카 간에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행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행모드 전환 시, 제1 카 및 제2 카 내에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제1 카 및 제2 카가 저속으로 이동되어 결합/분리되도록 하고,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분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제1 카 및 제2 카가 독립적으로 운행될 때 서로 간의 최소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의 유동인구에 따라 운행모드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건물 내의 유동인구 수 변동에도 효율적으로 운행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운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이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라 한다.)은 하나의 승강로에서 상하 배치되는 두 개의 카가 서로 간에 결합되어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 또는 하나의 승강로에서 상하 배치되는 두 개의 카가 서로 간에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카(100), 제2 카(200), 제1 구동부(300), 제2 구동부(400), 제어부(500) 및 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100)는 제2 카(200)와 동일한 승강로에서 제2 카(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2 카(2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제2 카(200)는 제1 카(100)와 동일한 승강로에서 제1 카(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카(1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부(300)는 제1 카를 승하강 구동하도록 제1 카(100)와 연결되고, 제2 구동부(400)는 제2 카(200)를 승하강 구동하도록 제2 카(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300) 및 제2 구동부(4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결합 또는 분리 동작을 제어하고, 제1 구동부(300) 및 제2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운행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 및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 중 하나의 운행모드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감지부(600)는 제어부(500)가 운행모드를 선택하는 판단 기준이 되는 건물 내의 유동인구 수를 감지하고,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의 안전성과 운행모드 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거리와 결합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500)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600)는 유동인구 감지센서, 탑승객 감지센서, 거리 감지센서 및 상태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인구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 내의 유동인구 수를 감지하기 위해, 건물의 출입구 또는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정 범위 내의 객체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유동인구 감지센서로부터 유동인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유동인구 수 이상일 경우 제1 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설정된 유동인구 수 미만일 경우 제2 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탑승객 감지센서는, 제1 카 및 제2 카의 탑승공간의 탑승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제1 카 및 제2 카의 탑승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탑승공간 내의 객체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열감지 센서 중 하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탑승객 감지센서의 탑승객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탑승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카(100) 및 제2 카(200)에 탑승객이 없는 경우에만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제1 카(100)의 상면 또는 제2 카(200)의 하면에서 제2 카(200)의 하면 또는 제1 카(100)의 상면을 향해 객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레벨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로 제어부(500)는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카 칸의 거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운행모드 및 제2 운행모드에서 카 간의 최소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운행모드 별 카 간 최소거리는 상이하게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에서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정보가 설정된 최대 거리를 초과하면,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운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기 마련된 제1 카(100)와 제2 카(200)의 위치 감지 수단에 의해 각각의 위치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제1 카(100)와 제2 카(200) 간의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태 감지센서는 후술될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결합 또는 분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결합부재(110) 또는 제2 결합부재(210) 근방에서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의 결합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결합/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 결합부재(110) 또는 제2 결합부재(210)가 전기적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제1 결합부재(110) 또는 제2 결합부재(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결합을 위한 전기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써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의 결합/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태 감지센서로부터 결합/분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결합/분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결합/분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운행모드가 전환되며 운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 및 제2 운행모드 중 하나의 운행모드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100)와 제2 카(200)가 제2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2 운행모드 상태에서 탑승객이 제1 카(100) 및 제2 카(200)를 호출할 때 행선 층을 미리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행선 층과 제1 카 및 제2 카의 현재 층 그리고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 상황에 따라 제1 카(100) 및 제2 카(200) 중 행선 층을 입력한 탑승객이 타야 할 엘리베이터를 배정하여, 제1 카(100) 및 제2 카(200)를 운영하는 군(群)관리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 층은 제어부(500)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정되며, 제어부(5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최소 안전거리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2 운행모드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운행 층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 5층에서 10층까지 마련된 건물에서 제2 운행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제1 카(100)는 지하 5층에서 지상 1층까지 운행되도록 하고, 제2 카(200)는 지상 1층에서 10층까지 운행되도록 하여, 탑승객이 행선지에 맞추어 카를 선택하여 탑승하게 하고,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모두 운행되는 1층에서는 다른 카로 환승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2 운행모드에서 필요에 따라, 제1 카(100)는 최하층에 정차되도록 하고, 제2 카(200)는 최하층의 상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운행되도록 하는 제3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내의 유동인구가 가장 적은 시간대를 설정하여 제3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하거나, 설정된 시간동안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3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운행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최하층에 제1 카(100)가 정차되도록 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최고층의 이용자가 더 적은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2 카(200)가 최상층에 정차된 상태로 제1 카(1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500)는 제3 운행모드로 운행되는 도중에, 최하층으로 이동하려는 탑승객이 존재하거나, 최하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려는 탑승객이 존재하는 경우 제3 운행모드가 종료되고 제2 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하 근접 이동함에 따라 후술 될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130)가 상호 결합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기준 거리란,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130)가 상호 결합이 가능할 정도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서로 근접한 거리로 근접한 상태이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운행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분리되는 전환모드 상태가 수행되도록 제1 카(100) 및 제2 카(20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환모드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되는 결합 전환모드와,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분리되는 분리 전환모드로 분리되고, 제어부(500)는 결합 전환모드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 기준 거리보다 더 큰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1단계 이동과, 상기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상기 대기 기준 거리 상태에서 상기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2단계 이동 과정이 수행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2단계 이동 과정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이동 속도가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는 평균 운행 속도를 의미하며, 2단계 이동 과정에서의 이동 속도 역시 평균 이동 속도를 의미한다.
제어부(500)는 결합 전환모드에서 제1 카(100)가 최하층에 정차되도록 하고, 제2 카(200)가 제1 카(100)를 향해 근접이동 하도록 하여, 카 간의 결합이 최하층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결합 전환모드에서의 카 간의 결합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2의 c를 참조하여 결합 전환모드에서의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어부(500)는 결합 전환모드에서 제1 카(100)가 최하층에 정차되도록 하고, 제2 카(200)가 제1 카(100)를 향해 하측으로 근접이동 하도록 하되, 제1 카(100)까지의 대기 기준 거리가 되는 위치(S2)까지는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1단계 이동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1 카(100)까지의 결합 기준 거리가 되는 위치(S1)까지는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2단계 이동 과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 카(100)와 제2 카(200)가 기준 거리 상태가 되도록 하고, 기준 거리 상태에서 서로 간에 결합되도록 동작 제어함으로써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분리 전환모드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 기준 거리 상태에서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분리 전환모드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이동 속도가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결합 전환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카(100) 및 제2 카가 최하층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 카(200)가 제1 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승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함으로써 카 간에 상호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행모드 상태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 층이 짝수 층 및 홀수 층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층의 구분과는 상관없이 최하층은 제1 카(100)가, 최상층은 제2 카(2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제2 카(200)가 짝수 층에 운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도 최상층이 11층인 경우, 제2 카(200)가 10층 및 11층에 모두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카(100) 및 제2 카(200)는 동일한 가이드 레일(G)에 상하 배치되어 서로 간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 카(100)는 상측면에 제2 카(200)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제1 결합부재(110)가 마련되고, 제2 카(200)는 하측면에 제2 카(200)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제2 결합부재(210)가 마련되어,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가 서로 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재(110)와 제2 결합부재(210)는 서로 암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마련되며,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결합/분리 방식은 기계식 결합방식, 유압식 결합방식 또는 전자석에 의한 결합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해 결합/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재(110)는 제1 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결합부재(210)는 제2 카(20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결합부재(110)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재(210)는 제1 결합부재(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제1 결합부재(110)의 둘레에 전자코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전자력을 이용하여 제1 결합부재(11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제1 결합부재(110)가 제2 결합부재(210)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간의 거리가 유동적일 수 있도록 결합하여, 제1 카 및 제2 카의 착상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가 전자석에 의한 결합/분리 방식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2 결합부재(210)는 높이별로 서로 다른 전자코일이 배치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전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코일을 달리하여 전자력의 발생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결합부재(110)가 제2 결합부재(210)에 결합되는 결합위치가 유동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에서 카 간의 거리가 유동적이도록 결합된 경우,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구동부(300) 및 제2 구동부(400)를 각각 제어하여 제1 카 및 제2 카의 착상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카(100)에는 제1 카(100) 및 제2 카(200) 간의 충돌이 발생된 경우, 충돌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하 방향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는 완충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는 제1 카(100)뿐만 아니라 제2 카(2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거리 하향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카(100) 및 제2 카(200)에는 종래의 하나의 승강로에 하나의 카가 배치되는 일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완충기, 비상정지장치, 조속기 등의 안전장치들이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인 운행 시에도 안전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300)는 제1 카(100)의 승하강 구동을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제1 구동부(300)는 제1 권상기(310), 제1 서스펜션 시브(330), 제1 로프(350), 제1 균형추(370) 및 제1 균형추 시브(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상기(310)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카(100)가 승하강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1 서스펜션 시브(330)는 제1 카(10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로프(350)는 제1 권상기(310)의 작동에 따라 제1 카(100)가 견인 이동되도록 제1 권상기(310)와 제1 서스펜션 시브(330)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균형추(370)는 제1 카(100) 및 제1 카의 탑승객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 제1 카에 작용하는 견인력과 반대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제1 로프(350)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균형추 시브(390)는 제1 균형추(370)가 제1 로프(350)에 연결되도록 제1 균형추(370)가 연결된 상태로 제1 로프(350)에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로프(3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승강로에 고정된 상태로 일측에 제1 균형추 시브(390)가 권취되고, 타측에 제1 서스펜션 시브(330)가 권취되며, 제1 균형추(370)와 제1 서스펜션 시브(330)의 사이에서 제1 권상기(310)에 권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400)는 제2 카(200)의 승하강 구동을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제2 구동부(400)는 제2 권상기(410), 제2 서스펜션 시브(430), 제2 로프(450), 제2 균형추(470) 및 제2 균형추 시브(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권상기(410)는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제2 카(400)가 승하강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2 서스펜션 시브(430)는 제2 카(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로프(450)는 제2 권상기(410)의 작동에 따라 제2 카(200)가 견인 이동되도록 제2 권상기(410)와 제2 서스펜션 시브(430)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균형추(470)는 제2 카(200) 및 제2 카의 탑승객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 제2 카에 작용하는 견인력과 반대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제2 로프(45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균형추 시브(490)는 제2 균형추(470)가 제2 로프(450)에 연결되도록 제2 균형추(470)가 연결된 상태로 제2 로프(450)에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로프(4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승강로에 고정된 상태로 일측에 제2 서스펜션 시브(430)가 권취되고, 타측에 제2 균형추 시브(490)가 권취되며, 제2 균형추(470)와 제2 서스펜션 시브(430)의 사이에서 제2 권상기(410)에 권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시브(33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한 쌍의 제1 서스펜션 시브는 제1 카(100)의 폭 방향 양끝단에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됨으로써 제1 로프(350)가 제1 권상기(310)로부터 제1 서스펜션 시브(330)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제1 카(100) 및 제2 카(200)의 승하강 경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시브(43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한 쌍의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제2 카(200)의 폭 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제2 서스펜션 시브(430)는 제1 서스펜션 시브(330)의 사이 간격보다 더 좁은 이격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로프(350)가 제1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구간(d1)보다 제2 로프(450)가 제2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구간(d2)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어, 제2 로프(450)가 제2 권상기(410)로부터 제2 서스펜션 시브(430)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제1 로프(3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2 서스펜션 시브(430)가 두 개를 초과하여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제2 서스펜션 시브를 제외한 나머지 제2 서스펜션 시브는 한 쌍의 제2 서스펜션 시브의 사이 배치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2 서스펜션 시브(430)는 제1 서스펜션 시브(410)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열되게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로프(350, 45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서스펜션 시브(430)와 제2 서스팬션 시브(450)의 배치는 제1 및 제2 로프(350, 45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2 서스펜션 시브(430)는 제1 서스펜션 시브(410)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열되게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로프(350, 45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서스펜션 시브(430)와 제2 서스팬션 시브(450)의 배치는 제1 및 제2 로프(350, 45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에서는 제1 권상기(310) 및 제2 권상기(410)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동기화하여 동일 회전수로 회전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고, 제2 운행모드에서는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4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에서 제1 권상기(310) 및 제2 권상기(410)가 동기화되어 동일한 견인력을 제1 카(100) 및 제2 카(200)에 각각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제1 카(100)와 제2 카(200)가 함께 결합되어 운행되는 과정에서 동일한 방향의 동일한 힘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운행모드 상태에서 결합된 상태인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의 결합력이 비교적 크지 못하더라도 제1 운행모드로 운행 중에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모드는 수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고, 설정된 시간, 건물 내의 유동인구 수에 따라 제어부(500)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어부(500)가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5).
여기서, 설정된 시간이란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이 많은 시간이 설정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500)가 과거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결정한 시간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다 판단되면(S505-Y), 제1 운행모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S520).
반면, 제어부(500)는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S505-N), 유동인구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유동인구를 감지하고(S510), 제어부(500)는 유동인구 감지센서로부터 유동인구 정보를 인가받아, 유동인구가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15).
제어부(500)는 인가받은 유동인구 정보가 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S515-N), 제2 운행모드로 운행중인지를 판단하고(S540), 인가받은 유동인구 정보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515-Y), 제1 운행모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S520).
그리고 제어부(5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1 운행모드로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S520-Y), 기존의 운행모드를 유지하도록 하지만, 제1 운행모드로 운행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520-N), 탑승객 감지센서로부터 탑승객 정보를 인가받아 탑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25).
만약, 탑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525-Y),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운행모드 전환을 보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설정된 시간동안 탑승객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제1 카 및 제2 카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하차 알림 수단을 통해 탑승객에게 하차를 촉구하고, 운행모드가 전환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에 응하지 않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탑승객이 존재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525-N),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가 결합되도록 하여, 제1 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S530), 제1 운행모드로 전환이 완료되면, 제1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S535).
이때, 제어부(500)는 상태 감지센서로부터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결합/분리 상태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거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거리 정보가 설정된 거리 미만일 경우에 제1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제1 카 및 제2 카의 제어, 군관리, 안전 등의 기본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시스템을 역시 제1 운행모드에 맞게 설정된 시스템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동인구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S515-N), 제어부(5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2 운행모드로 운행 중인지 판단하고(S540), 제2 운행모드로 운행 중인 경우(S540-Y)에는, 기존의 운행모드를 유지하도록 하지만, 제2 운행모드로 운행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540-N), 탑승객 감지센서로부터 탑승객 정보를 인가받아 탑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45).
만약, 탑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545-Y), 탑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운행모드 전환을 보류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탑승객이 존재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545-N),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가 분리되도록 하여, 제2 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S550), 제2 운행모드로 전환이 완료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2 운행모드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S555).
이때, 제어부(500)는 상태 감지센서로부터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결합/분리 상태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제1 결합부재(110) 및 제2 결합부재(210) 간의 거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거리 정보가 설정된 거리 초과일 경우에 제2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2 운행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제1 카 및 제2 카의 제어, 군관리, 안전 등의 기본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시스템을 역시 제2 운행모드에 맞게 설정된 시스템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카
110: 제1 결합부재
130: 완충부재
200: 제2 카
210: 제2 결합부재
300: 제1 구동부
310: 제1 권상기
330: 제1 서스펜션 시브
350: 제1 로프
370: 제1 균형추
390: 제1 균형추 시브
400: 제2 구동부
410: 제2 권상기
430: 제2 서스펜션 시브
450: 제2 로프
470: 제2 균형추
490: 제2 균형추 시브
500: 제어부
600: 감지부

Claims (22)

  1. 제1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1 카;
    상기 제1 카와 동일 승강로에서 상기 제1 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결합/분리되는 제2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제2 카;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결합/분리 동작 및 운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탑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탑승객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운행되는 제1 운행모드 및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제2 운행모드 중 하나의 운행모드로 선택적으로 운행되도록 상기 제1 카 및 제2 카를 동작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객 감지센서의 탑승객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탑승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에 탑승객이 존재하면 운행모드의 전환이 보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카 및 제2 카를 승하강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권상기;
    상기 제1 카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서스펜션 시브; 및
    상기 제1 권상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카가 견인 이동되도록 상기 제1 권상기와 상기 제1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제1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승강로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권상기;
    상기 제2 카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서스펜션 시브; 및
    상기 제2 권상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카가 견인 이동되도록 상기 제2 권상기와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에 권취되는 제2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가 상기 제1 권상기로부터 상기 제1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승하강 경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1 카의 폭 방향 양끝단에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2 카의 폭 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2 로프가 상기 제2 권상기로부터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로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1 서스펜션 시브의 사이 간격보다 더 좁은 이격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2 카의 폭 방향 양 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2 로프가 상기 제2 권상기로부터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로프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서스펜션 시브는 상기 제1 서스펜션 시브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배열방향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행모드에서 상기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동기화하여 동일 회전수로 회전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행모드에서 상기 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하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카 및 제2 카는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분리되는 전환모드 상태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1 카 및 제2 카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모드는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결합되는 결합 전환모드와,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분리되는 분리 전환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 전환모드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상기 결합 기준 거리보다 더 큰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1단계 이동과,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상기 대기 기준 거리 상태에서 상기 결합 기준 거리 상태로 상호 근접 이동하는 2단계 이동 과정이 수행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전환모드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가 상기 결합 기준 거리 상태에서 상기 대기 기준 거리 상태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전환모드에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및 제2 운행모드에서의 운행 속도보다 저속이 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기계식 결합방식, 유압식 결합방식, 그리고 전자석에 의한 결합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건물의 내부 또는 출입구의 유동인구 수를 감지하는 별도의 유동인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동인구 감지센서로부터 유동인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유동인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운행모드 또는 제2 운행모드로 전환되어 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 및 제2 카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별도의 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거리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운행모드에서 상기 카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최소거리를 초과하여 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카 간의 거리 정보가 설정된 최대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카 및 제2 카의 운행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 간의 결합/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별도의 상태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의 상면 또는 제2 카의 하면에는 카 간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90066445A 2019-06-05 2019-06-05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60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45A KR102160012B1 (ko) 2019-06-05 2019-06-05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PCT/KR2019/018371 WO2020246677A1 (ko) 2019-06-05 2019-12-24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45A KR102160012B1 (ko) 2019-06-05 2019-06-05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012B1 true KR102160012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45A KR102160012B1 (ko) 2019-06-05 2019-06-05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0012B1 (ko)
WO (1) WO202024667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487A (ja) * 2004-07-28 2006-02-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39285A (ko) * 2006-10-31 2008-05-07 인벤티오 아게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JP4158306B2 (ja) * 2000-02-15 2008-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98294B1 (ko) 2009-11-09 2013-08-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KR20190025688A (ko) * 2016-08-10 2019-03-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203B2 (ja) * 2012-08-14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8306B2 (ja) * 2000-02-15 2008-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6036487A (ja) * 2004-07-28 2006-02-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039285A (ko) * 2006-10-31 2008-05-07 인벤티오 아게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KR101298294B1 (ko) 2009-11-09 2013-08-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KR20190025688A (ko) * 2016-08-10 2019-03-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677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34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to move at least two elevator cars independently in at least one hoistway
US107933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for self-propelled elevator system
JP56109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459050A (zh) 功率有限的升降机救援操作中的重力驱动的起动阶段
US20200102186A1 (en) Elevator system
US5660249A (en) Elevator cabs transferred horizontally between double deck elevators
JP200603648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60012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20023120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CN100371231C (zh) 双层电梯
JP200517059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215024A (ja) テールコード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JPH0711287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324640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95560B1 (ko) 다중 승강로에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
JP4836287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騒音低減方法
JPH06917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200523180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WO2022049736A1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WO2015151257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94964B1 (ko) 가변속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8734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7819322A (zh) 一种群控电梯系统的运行方法
JPH04189286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