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285A -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285A
KR20080039285A KR1020070109406A KR20070109406A KR20080039285A KR 20080039285 A KR20080039285 A KR 20080039285A KR 1020070109406 A KR1020070109406 A KR 1020070109406A KR 20070109406 A KR20070109406 A KR 20070109406A KR 20080039285 A KR20080039285 A KR 2008003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elevator
lift
rollers
dr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코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3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원 출원에 따른 승강기는 상하로 둘 이상의 승강실 (7a, 7b) 이 배치되는데, 승강실 (7a, 7b) 은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각각의 승강실 (7a, 7b) 은 각자의 구동기 (A1, A2), 각자의 평형추 (12a, 12b), 각자의 견인 수단 (Z1, Z2) 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상기 구동기 (A1, A2) 는, 구동기 (A1) 는 제 1 승강로 벽에 고정되고 구동기 (A2) 는 반대편의 제 2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승강로 헤드 영역에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기 (A1, A2) 는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 (1a, 1b) 를 갖고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가 한 구동기 (A1, A2) 와 연관되어 있고, 이 구동기 (A1, A2) 와 연관된 평형추 (12a, 12b) 의 상방에서, 상기 구동기 (A1, A2) 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또는 제 1 승강로 벽에 위치한다. 견인 수단 (Z1, Z2) 은 평형추 (12a, 12b) 로부터 방향전환 롤러 (2a, 2b) 를 지나 구동 풀리 (1a, 1b) 로 이어지고, 이 구동 풀리 (1a, 1b) 로부터 승강실 (7a, 7b) 로 이어진다.
승강기

Description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LIFT SHAFT}
본 발명은 승강로에서 상하로 배치되고 수직 이동이 가능한 둘 이상의 승강실이 있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정의되어 있다.
승강기는, 승강로 안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건물의 원하는 층으로 승객들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승객들을 태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승강기는 다음과 같은 승강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게 된다 : 구동기, 방향전환 롤러, 견인 요소, 평형추 및 승강실과 평형추의 안내를 위한 개별적인 한 쌍의 레일.
이러한 경우 구동기는 승강실 내에 있는 승객의 운반을 위해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가 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 전기 모터는 견인 요소와 마찰 접촉을 하고 있는 구동 풀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시킨다. 견인 요소는 벨트 또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견인 요소는 승강실과 평형추를 이동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이것들을 매다는 역할을 하는데, 이 승강실과 평형추는 중력이 견인 요소를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매달려 있다. 따라서, 구동기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는 결과적인 중력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견인 요소와 구동 풀리의 접촉력 (Contact Force) 이 더욱 커지게 되면, 구동 풀리에서 견인 요소로 더 큰 구동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다. 견인 요소는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안내된다.
승강기 건설에 있어 승강로 부피를 최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건물의 이용도가 높은 고층 건물의 경우, 주어진 승강로 부피에서 승객을 운송하는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관리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첫 번째로 공간 절약적인 최적의 승강기 요소의 배치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를 통해 더 큰 승강실을 설치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하나의 승강로에서 독립된 수 개의 승강실의 수직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기 컨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동일 승강로에서 한 승강실이 다른 승강실 위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승강실로 이루어져 있는 승강기가 EP 1 489 033 에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승강실은 각자의 구동기와 각자의 평형추를 가지고 있다. 구동기는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 평형추 또한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 근처에서 관련 구동기 아래, 구동 케이블이나 유지 케이블에 매달려 있다. 구동기의 구동 풀리의 축선은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과 직각이다.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승강실은 높은 운송 성능을 보장한다. 제 1 또는 제 2 벽 부근에서 승강로에 구동기를 배치하여, 여분의 별도의 엔진실을 만들고 승강로 헤드에 서 공간 절약적이고 컴팩트한 구동 요소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해 준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승강로에서 수 개의 승강실의 수직 이동을 위한 승강기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을 한층 개선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승강로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승강실을 가진 승강기로서 승강실은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각각의 승강실은 각자의 구동기, 각자의 평형추와 각자의 견인 수단을 가지고, 상기 구동기는, 한 구동기는 제 1 승강로 벽에 고정되고 다른 구동기는 반대편의 제 2 승강로 벽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승강로 헤드 영역에 고정되며 각각의 구동기는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를 가지고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방향전환 풀리가 한 구동기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와 연관된 평형추의 상방에서, 상기 구동기의 반대 편에 있는 제 2 또는 제 1 승강로 벽에 위치한다. 견인 수단은 평형추로부터 방향전환 롤러를 지나 구동 풀리로 이어지고, 이 구동 풀리로부터 승강실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방향전환 롤러는 두 개의 구동기 각각과 연관되어 있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 근처에서 구동기를 승강로 헤드에 공간을 절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견인 수단은 승강실 상방의 승강로 헤드에서 좌우측 위치를 변경할 때, 제 1 승강로 측부에서 제 2 승강로 측부로,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있는 구동기와 제 1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서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평형추는 제 1 방향전환 롤러 밑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매달릴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은 승강실의 상방에서 구동 풀리와 제 1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견인 수단은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과 예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 각은 대개 20°를 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실은 승강실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고 평형추는 승강실 가이드 레일과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 사이에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실 가이드 레일과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 사이에 평형추를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은 복합도르래 (block-and-tackle) 방식으로 매달려 있게 된다. 이 경우 승강실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제 2 및 제 3 방향전환 롤러에 매달려 있게 된다. 견인 수단은 구동 풀리와 제 1 고정점 사이에서 제 2 및 제 3 방향전환 롤러를 거친다. 승강실은 보통 상부 또는 하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려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견인 수단은 하부 복합도르래 방식에 의해 구동 풀리에서부터 승강실 옆을 따라 아래쪽으로 제 2 방향전환 롤러로 이어진다. 제 2 방향전환 롤러에서부터, 견인 수단은 승강실 아래에서 제 3 방향전환 롤러로 이어지고, 제 3 방향전환 롤러에서부터 승강실 옆을 따라 위로 견인 수단의 제 1 고정점까지 이어진다. 견인수단이 상응하게 안내되는 상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려 있는 경우에도 제 2 및 제 3 방향전환 롤러의 배치가 비슷하게 이루어진다. 견인 수단은 구동 풀리에서부터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을 따라 제 2 방향전환 롤러로 이어진다. 제 2 방향전환 롤러에서부터 견인 수단은 승강실 상방으로 제 3 방향전환 롤러로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제 2 또는 제 1 승강로 벽을 따라 제 1 고정점으로 이어진다.
본원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승강실을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기 때문에 더 작은 견인 모멘트로도 승강기 구동에 충분하고 이에 상응하여 더 작고 더 경제적인 구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이점으로는, 승강실의 옆 및 아래에서 견인 수단이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 사이에서 구동 풀리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있는 제 2 및 제 3 방향전환 롤러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점까지 공간 절약적으로 좌우측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승강기에는 평형추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리게 되는 제 4 방향전환 롤러를 갖는다. 이 경우, 견인 수단은 제 1 방향전환 롤러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제 4 방향전환 롤러까지 이어지고, 제 4 방향전환 롤러에서 다시 위로 견인 수단의 제 2 고정점까지 이어지게 된다.
본원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평형추를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기 때문에 더 작은 견인 모멘트로도 승강기 구동에 충분하고 이에 상응하여 더 작고 더 경제적인 구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과 연관된 고정점은 관련 승강실의 같은 측에 놓이게 된다.
본원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견인 수단의 고정점을 더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견인 수단의 두 고정점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 덕분에 엔지니어들이 이 고정점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고정점을 하나의 요소에 통합할 수 있게 된 덕분에, 승강기의 각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은 구동 풀리와 적어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벨트이다. 그리고 견인 수단은 일측에서만 구동 풀리 및 방향전환 롤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벨트는 실질적으로 비틀림이 없이 구동 풀리, 방향전환 롤러와 그 고정점 사이에서 안내된다.
본원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리브, 치형, 쐐기 등과 같이 일측에서만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벨트를 간단하게 사용하는 이점이 있다. 견인 수단이 실질적으로 비틀림 없이 안내되기 때문에, 구동 풀리와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벨트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측의 구조물과 구동 풀리 및 방향전환 롤러와의 결합이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벨트의 비틀림 없이 가능하게 된다. 벨트는 견인 방향에 횡방향으로 두 개의 치수를 갖게 되는데, 즉 상대적으로 넓은 제 1 치수와, 상대적으로 좁은 제 2 치수를 갖는다. 이것은 벨트가 승강기 승강로에서 제 2 치수보다 제 1 치수에서 견인 방향에 횡으로 실질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벨트를 비틀림 없이 같은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우에, 벨트의 넓은 제 1 치수는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과 평행하고 오직 짧은 제 2 치수만이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에 수직하게 승강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는 승강로 공간에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비틀림 없이 벨트를 안내하는 승강기의 배치를 통해 특히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비틀림 없이 안내되는 벨트는 더 작은 마찰력과 횡방향 힘을 받게 되며, 더 긴 수명을 갖게 된다. 따라서, 승강기는 또한 더욱 유지관리 친화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는 승강로 헤드 영역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승강실 상방에서 견인 수단을 구동 풀리 및 이와 연관된 제 1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서 안내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동기는 다른 높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동기 및 이와 연관된 제 1 방향전환 롤러는 제 1 높이에 고정되고 제 2 구동기 및 이와 연관된 제 1 방향전환 롤러는 제 1 높이의 위 또는 아래의 제 2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응해서, 제 1 및 제 2 승강실의 견인 수단은 서로 상이한 두 개의 높이에서 안내된다.
본원 출원의 이 실시 형태는 구동기 및 이와 연관된 제 1 방향전환 롤러를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충돌 없이, 즉 접촉 없이 견인 수단을 승강실 상방에서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는 승강로 헤드 영역에 위치하고, 구동기는 동일한 높이에 고정되어 있다.
본원 출원의 이 실시 형태는 승강로 헤드에서 구동기 및 이와 연관된 제 1 방향전환 롤러를 서로 인접시켜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하고, 그래서 승강로 헤드 높이가 최소한으로 방해받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충돌 없이, 즉 접촉 없이 견인 수단을 승강실 상방에서 안내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구동기는 공통의 빔에 고정된다. 다르게는, 각각의 구동기는 각자의 빔에 고정된다.
본원 출원의 이 실시 형태는 승강로 헤드에서 구동기를 단순하고, 유연하며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는 승강로 도어와 승강실 도어를 가지며, 승강로 도어는 두 개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승강실 도어는 둘 이상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 출원의 이 실시 형태는 승강실의 평형추를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 근처에서, 승강실의 가이드 레일와 제 3 또는 제 4 승강로 벽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원 발명의 요소들, 둘 이상의 구동기, 방향전환 롤러 및 평형추의 위치선정, 그리고 견인수단이, 특히 벨트의 경우 실질적으로 비틀림 없이 안내된다는 점의 협력 작용을 통해, 승강기 승강로에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구성 요소를 매우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의 구동기 (A1, A2) 를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승강실의 승강기를 나타낸다. 구동기 (A1, A2) 는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의 부근에서 승강실 위의 승강로 헤드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승강로 벽은 승강로 도어가 없는 상호 반대 방향의 승강로 벽이다. 이 경우 구동기 (A1, A2) 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데, 따라서 승강실 (A1, A2) 이 매달려 있는 두 개의 견인 수단 (Z1, Z2) 이 충돌하지 않고 상호 접촉 없이 안내될 수 있다.
본원의 견지에서, 당업자들에게 있어서는 승강로에 구동기 (A1, A2) 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다. 당업자들은 또한 두 개의 구동기 (A1, A2) 를 같은 높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순전히 공간상의 이유로 나타내지 않은 것은 아닌데, 서로 앞뒤로 놓이는 구동기 (A1, A2) 의 측면도는 제한된 중요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4 의 평면도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상이한 높이에서 구동기 (A1, A2) 를 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기 (A1, A2) 의 배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배치는 주로 승강로 헤드내의 공간 조건이 특별히 타이트한 경우 이점이 있다. 더욱이, 이 변형예의 경우 견인 수단 (Z1, Z2) 이 충돌하지 않고 안내되는 것 또한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 (A1, A2) 는 각각의 빔에 장착되고, 이로써 구동기 (A1, A2) 의 배향의 상당한 자유가 부여된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구동기 (A1, A2) 를 동일한 빔에 장착시키는데, 즉 상부 구동기 (A1) 를 빔의 상측에 배치하고, 하부 구동기 (A2) 를 빔의 하측에 배치한다. 이러한 구동기 (A1, A2) 의 배치는 매우 콤팩트해서 승강로 헤드에서 가능한 거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구동기 (A1. A2) 는 견인 수단 (Z1, Z2) 의 구동을 위한 구동 풀리 (1a, 1b) 와 함께 구동 모듈을 형성한다. 구동 풀리 (1a, 1b) 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견인 수단 (Z1,Z2) 의 수용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견인 수단 (Z1, Z2) 은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리브가 있는 쐐기 리브형 벨트와 같은 벨트인데, 이러한 리브는 구동 풀리 측에 있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와 결합한다. 매끄러운 벨트나 일측, 또는 양측에 치형부가 있는 벨트와 같은 벨트도 상응하는 구동 풀리 (2a, 2b) 와 함께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케이블, 이중 케이블 또는 다중 케이블과 같은 다른 종류의 케이블도 사용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강 와이어나 아라미드 섬유 스트랜드로 되어 있다.
견인 수단 (Z1, Z2) 은 도 1 에서 복합도르래 (block-and-tackle) 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 이상의 승강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평형추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견인 수단 (Z1, Z2) 은 제 1 고정점 (13a, 13b) 으로부터 제 2 고정점 (14a, 14b) 으로 이어져서 견인 수단 (Z1, Z2) 은 구동 풀리 (1a, 1b) 뿐만 아니라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2a, 2b, 3a, 3b, 4a, 4b, 5a, 5b) 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비틀림 없이 안내된다.
이러한 경우 견인 수단 (Z1, Z2) 은 제 1 고정점 (13a, 13b) 으로부터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로 이어지고 있어서, 각각의 승강실과 연관된 각각의 평형추는 롤러 (3a, 3b) 에 복합 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그리하여 견인 수단 (Z1, Z2) 은 제 1 고정점 (13a, 13b) 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롤러 (3a, 3b) 까지 연장되고, 견인 수단 (Z1, Z2) 은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대략 180°의 각으로 롤러 (3a, 3b) 주위를 감고 제 1 또는 제 2 승강 로 벽을 따라 위쪽으로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까지 이어진다.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는 제 2 또는 제 1 승강로 벽 부근에서 관련 구동 풀리 (1a, 1b) 의 반대 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는 바 형태의 강성 로드에 의해 구동 모듈과 연결된 방향전환 모듈의 구성 요소이고, 이 방향전환 모듈은 구동 모듈과 함께 부조립체를 형성한다. 이 실시 형태의 이점은 구성 요소의 개수가 줄어들고 그와 연결된 조립체가 간단하다는 데 있다. 또한, 부조립체의 길이를 승강로의 실제 치수에 유연하게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 모듈과 방향전환 모듈은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이점은 부조립체의 모듈러 구축에 있는데, 이는 부조립체의 바람직한 유지보수나 교체를 가능케 한다.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로부터 견인 수단 (Z1, Z2) 은 승강로 지붕을 따라 구동 풀리 (1a, 1b) 로 이어지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90°에서 180°의 감음각으로 상기 구동 풀리 (1a, 1b) 를 감는다. 그 다음에는, 견인 수단 (Z1, Z2) 이 구동 풀리 (1a, 1b) 에서부터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을 따라 내려가 제 2 방향전환 롤러 (4a, 4b) 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견인 수단 (Z1, Z2) 은 구동 풀리 (1a, 1b) 의 하부에서 제 2 방향전환 롤러 (4a, 4b) 와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와 함께 승강실의 복합 도르래 서스펜션을 형성하게 된다. 견인 수단 (Z1, Z2) 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대략 90°의 감음각으로 방향전환 롤러 (4a, 4b) 를 감고 수평으로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까지 이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견인 수단 (Z1, Z2) 은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대략 90°의 감음각으로 감은 후 제 1 또는 제 2 승강로 벽을 따라서 제 2 고정점 (14a, 14b) 까지 위로 이어진다.
조정 풀리 (6a, 6b) 는 구동 모듈에서 임의적인 요소이다. 구동 풀리 (1a, 1b) 부터 견인 수단 (A1, A2) 에 원하는 견인력 (traction force) 을 전달하기 위하여, 이 조정 풀리 (6a, 6b) 를 통해 구동 풀리 (1a, 1b) 에서 견인 수단의 감음각을 조절하거나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서 볼 때, 구동기 (A1, A2) 와 방향전환 롤러 (2a, 2b) 로 형성된 두 개의 축선은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됨이 명백하다.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은 승강로에서 하나 이상의 승강로 도어 (8) 를 가지고 있는 서로 반대 방향의 벽이다. 따라서, 제 1 고정점 (13a, 13b) 과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에 복합 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린 관련된 평형추 (12a, 12b) 는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과 승강실 (7a, 7b) 의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동기 (A1, A2) 와 방향전환 롤러 (2a, 2b) 의 배치는 공간을 절약하고 평형추 (12a, 12b) 를 간단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평형추 (12a, 12b) 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 (11a, 11b) 에 의해 안내된다.
더욱이, 승강실 (7a, 7b) 이 매달려 있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5a, 5b) 와 방향전환 롤러 (4a, 4b) 에 의해 형성되는 축선은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근처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스펜션 힘에 의해 견인 수단 (Z1, Z2) 으로부터 승강실 (7a, 7b) 을 경유하여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에 전달되는 모멘트는 매우 작게 유지된다.
도 3 및 도 4 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두 가지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승강실 (7a, 7b) 이 매달려 있는 방향전환 롤러 (4a, 4b) 와 방향전환 롤러 (5a, 5b) 로 형성되는 서스펜션 축선은 양자 모두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앞에 있거나 또는 하나는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앞, 하나는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뒤에 놓여있게 된다. 승강로 내의 개별적인 공간 조건에 따라서, 당업자들은 두 가지 중 어느 하나의 방안을 선호할 수 있을 것인데, 그 중에서 첫 번째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대칭적으로 매다는 방식이 승강실 (7a, 7b) 에 의해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에 가해지는 모멘트에 관해서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의 서스펜션 축선과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고, 따라서 모멘트가 감소되고, 또한 상호 반대로 작용하는 모멘트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쇄된다. 전술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변형예 (나타내지는 않았음) 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두 개의 서스펜션 축선을 승강실 가이드 레일 뒤에 위치시킬 수 있다.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과 제 3 또는 제 4 승강로 벽 사이에 하나 이상의 평형추 (12a, 12b) 의 공간 절약적인 배치는 승강실 도어 (9) 의 특별한 배치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승강기의 일반적인 운행에서, 각 층으로부터 승강실 (7a, 7b) 에 승객들이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승강실 (7a, 7b) 은 각 층에 멈출 때 각 층과 높이를 같게 하고, 승강실 도어 (9) 는 승강로 도어 (8) 와 같이 열린다. 승강실 도어 (9) 가 열릴 때, 이 도어의 슬라이딩 요소가 승강로 공간내로 돌출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되지 아니하는 승강로 공간을 어느 정도 차지하게 된다. 만약 일반적인 경우처럼 승강실 도어 (9) 가 두 개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신축자재하게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는 넷 이상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된다면, 승강실 도어 (9) 가 열리는 과정에서 더 적은 승강로 공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더 짧은 슬라이딩 요소를 사용하면 승강실 도어 (9) 가 열려 있는 동안 이러한 슬라이딩 요소는 승강로 공간내로 더 적게 돌출되고, 따라서 평형추 (12a, 12b) 또는 전기설비, 센서, 안전장치나 단자함과 같은 다른 것을 위해 더 많은 공간이 승강로 내에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당업자들은 승강실 (7a, 7b) 을 매달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갖게 된다. 개별적인 승강로 헤드, 승강로 피트 (pit), 또는 층 사이의 공간 이용 가능성에 따라 최적의 매닮방식이 선택된다.
도 5 및 도 6 은 복합 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린 두 개의 승강실 (7a, 7b) 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5 에서 상부 승강실 (7a) 은 상부 복합도르래로서 매달려 있고 승강실 (7b) 은 하부 복합도르래로서 매달려 있다. 이러한 매닮방식은 예를 들어 층간 간격이 작아서 승강실 사이에 최소한의 접근을 원할 경우 바람직하다. 도 6 에 따르면, 두 개의 승강실 (7a, 7b) 은 상부 복합 도르래로서 매달려 있다. 이러한 매닮방식은 승강로 피트내 공간 조건이 타이트한 경우 바람직하다. 또한, 이 두 가지 실시 예에서 상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이루어진 상부 승강실 (7a) 은 견인 수단 (Z1, Z2) 에 의해 승강로 헤드 안으로 강제될 수 없다.
도 7 및 도 8 은 상부 승강실 (7a) 이 1:1 로 매달려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승강실 (7b) 은 복합 도르래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승강기 승강로내의 개별적인 공간 조건에 따라서 하부 승강실 (7b) 은 상부 복합 도르래 또는 하부 복합 도르래로서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도 1 은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및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측면도.
도 2 는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및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평면도.
도 3 은 두 개의 승강실, 승강실 가이드 레일 앞에 위치하는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 네 부분의 승강실 도어 및 승강로 도어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 는 두 개의 승강실, 승강실 가이드 레일 앞 뒤에 위치하는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 네 부분의 승강실 도어 및 승강로 도어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는 하부 복합도르래 (block-and-tackle) 나 상부 복합도르래로서 매달린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및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 은 상부 복합 도르래로서 매달린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및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 은 꼭대기에서 1:1 로 매달리고 바닥에서는 하부 복합도르래로서 매달린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및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8 은 꼭대기에서 1:1 로 매달리고 바닥에서는 하부 복합도르래로서 매달린 두 개의 승강실, 두 개의 구동기, 두 개의 구동 풀리, 두 개의 견인 수단, 수 개의 방향전환 롤러, 두 개의 평형추 및 두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Claims (21)

  1. 승강로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승강실 (7a, 7b) 을 가진 승강기로서, 승강실은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각각의 승강실은 각자의 구동기 (A1, A2), 각자의 평형추 (12a, 12b) 와 각자의 견인 수단 (Z1, Z2) 을 가지고, 상기 구동기 (A1, A2) 는, 한 구동기 (A1) 는 제 1 승강로 벽에 고정되고 다른 구동기 (A2) 는 반대편의 제 2 승강로 벽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승강로 헤드 영역에 고정되며 각각의 구동기는 하나 이상의 구동 풀리 (1a, 1b)를 가지고 있는 상기 승강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가 한 구동기 (A1, A2) 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 (A1, A2) 와 연관된 평형추 (12a, 12b) 의 상방에서, 상기 구동기 (A1, A2) 의 반대 편에 있는 제 2 또는 제 1 승강로 벽에 위치하며,
    견인 수단 (Z1, Z2) 은 평형추 (12a, 12b) 로부터 방향전환 롤러 (12a, 12b) 를 지나 구동 풀리 (1a, 1b) 로 이어지며, 이 구동 풀리 (1a, 1b) 로부터 승강실 (7a, 7b) 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는 두 구동기 (A1, A2) 각각과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견인 수단 (Z1, Z2) 은 승강실 (7a, 7b) 의 상방에서 구동 풀리 (1a, 1b) 와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에 의해 안내되어, 견인 수단 (Z1, Z2) 이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과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각이 최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실 (7a, 7b) 은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에 의해 안내되고, 평형추 (12a, 12b) 는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과 제 3 및 제 4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승강실 (7a, 7b) 은 복합도르래 (block-and-tackle) 방식으로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승강실 (7a, 7b) 은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제 2 방향전환 롤러 (4a, 4b) 와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에 매달려 있고,
    견인 수단 (Z1, Z2) 은 구동 풀리 (1a, 1b) 와 제 1 고정점 (13a, 13b) 사이에서 제 2 방향전환 롤러 (4a, 4b) 와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형추 (10) 는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제 4 방향전환 롤러 (3a, 3b) 에 매달려 있고, 견인 수단 (Z1, Z2) 은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로부터 아래쪽으로 제 4 방향전환 롤러 (3a, 3b) 까지 이어지고, 제 4 방향전환 롤러 (3a, 3b) 로부터 다시 위로 견인 수단 (Z1, Z2) 의 제 2 고정점 (14a, 14b) 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 (Z1, Z2) 의 연관된 고정점 (13a, 13b, 14a, 14b) 이 승강실 (7a, 7b) 의 같은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 (Z1, Z2) 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나 이중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 (Z1, Z2) 은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 (Z1, Z2) 은 일측에서 구조화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견인 수단 (Z1, Z2) 은 톱니형 벨트, 리브형 벨트나 V 형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는 구동 풀리 (1a, 1b) 와 적어도 제 1 방향전환 롤러 (2a, 2b), 제 2 방향전환 롤러 (4a, 4b), 제 3 방향전환 롤러 (5a, 5b) 및 제 4 방향전환 롤러 (3a, 3b) 에 의해 안내되고, 일측에서만 구동 풀리 (1a, 1b) 및 방향전환 롤러 (2a, 2b, 3a, 3b, 4a, 4b, 5a, 5b) 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벨트는 실질적으로 비틀림이 없이 구동 풀리 (1a, 1b), 방향전환 롤러 (2a, 2b, 3a, 3b, 4a, 4b, 5a, 5b) 와 그 고정점 (13a, 13b, 14a, 14b) 사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기 (A1, A2) 는 승강로 헤드 영역에 위치하고, 구동기 (A1, A2) 는 상이한 높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기 (A1, A2) 는 승강로 헤드 영역에 위치하고, 구동기 (A1, A2) 는 동일한 높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기 (A1, A2) 는 동일한 빔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기 (A1, A2) 는 각각의 빔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로 도어 (8) 와 승강실 도어 (9) 를 갖고, 승강로 도어 (8) 는 두 개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되며, 승강실 도어 (9) 는 둘 이상의 슬라이딩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실 (7a, 7b) 은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에 의해 안내되고, 두 개의 구 동 모듈과 두 개의 연관된 방향전환 모듈은 각각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연결 라인의 각각의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실 (7a, 7b) 은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에 의해 안내되고, 두 개의 구동 모듈과 두 개의 연관된 방향전환 모듈은 각각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 의 연결 라인의 같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KR1020070109406A 2006-10-31 2007-10-30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KR20080039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3294.8 2006-10-31
EP06123294 2006-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285A true KR20080039285A (ko) 2008-05-07

Family

ID=378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06A KR20080039285A (ko) 2006-10-31 2007-10-30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762376B2 (ko)
JP (1) JP5330666B2 (ko)
KR (1) KR20080039285A (ko)
CN (1) CN101172557B (ko)
AR (1) AR063728A1 (ko)
AT (1) ATE501078T1 (ko)
AU (1) AU2007231749A1 (ko)
BR (1) BRPI0704046A (ko)
CL (1) CL2007002913A1 (ko)
CO (1) CO6030026A1 (ko)
DE (1) DE502007006652D1 (ko)
HK (1) HK1120013A1 (ko)
MX (1) MX2007012961A (ko)
MY (1) MY147026A (ko)
NO (1) NO332452B1 (ko)
NZ (1) NZ562338A (ko)
RU (1) RU2453489C2 (ko)
SG (1) SG142287A1 (ko)
TW (1) TWI386359B (ko)
ZA (1) ZA20070908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66B1 (ko) * 2008-04-28 2009-02-13 (주)포테이토밸리 신품종 고구밸리 감자를 이용한 암 예방을 위한건강기능식품
KR102160012B1 (ko) * 2019-06-05 2020-09-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3818B2 (en) * 2006-12-22 2011-03-29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US7882934B2 (en) * 2006-12-22 2011-02-0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JP2012525309A (ja) * 2009-04-29 2012-10-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単一の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含むエレベータシステム
DE102013110778A1 (de)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EP3000759B1 (en) * 2014-09-25 2017-06-07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08100831A (zh) * 2017-12-29 2018-06-01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电梯
CN114867678A (zh) * 2019-12-20 2022-08-05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多个不同吊具的电梯设备
CN116823327B (zh) * 2023-06-22 2024-04-02 青岛中沃兴牧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猪肉专卖网点销售量的预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1837643A (en) * 1931-03-28 1931-12-22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JPH033885A (ja) * 1989-05-29 1991-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412984A (ja) * 1990-05-07 1992-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高速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US5584364A (en) * 1995-08-28 1996-12-17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US5857545A (en) * 1997-03-20 1999-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verlapped roped-coupler segments
US6247557B1 (en) * 1998-04-28 2001-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2000072344A (ja) * 1998-09-03 2000-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EP1006071A1 (de) *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Aufzug mit zwei Antrieben
JP2001146370A (ja) * 1999-11-19 2001-05-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310833A (ja) * 2000-02-22 2001-11-06 Canon Inc 記録装置
JP2001335259A (ja) 2000-05-24 2001-12-0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二層形エレベータ
JP4786121B2 (ja) * 2000-10-10 2011-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A2465031C (en) * 2001-11-23 2011-05-10 Inventio Ag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CN1298605C (zh) * 2002-07-11 2007-02-0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JP4113760B2 (ja) * 2002-11-01 200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MY136077A (en) * 2002-11-05 2008-08-29 Inventio Ag Drive-capable support or traction mean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1564177B1 (en) * 2002-11-18 2012-1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equipment
DE50209398D1 (de) 2002-11-26 2007-03-15 Thyssenkrupp Elevator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fzuganlage sowie aufzug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6519742A (ja) * 2003-03-06 2006-08-31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
JP2005008414A (ja) * 2003-06-18 2005-01-13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設備、このエレベーター設備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設備を最新化する方法
EP1489033B2 (de) 2003-06-18 2015-05-27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n einem Schacht übereinander angeordneten Kabinen
JP2005089086A (ja) * 2003-09-17 2005-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036487A (ja) * 2004-07-28 2006-02-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CN100584724C (zh) * 2004-12-16 2010-01-27 奥蒂斯电梯公司 在井道内具有多个轿厢的电梯系统
DE502005009483D1 (de) * 2005-03-12 2010-06-10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JP2006290575A (ja) * 2005-04-13 2006-10-2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66B1 (ko) * 2008-04-28 2009-02-13 (주)포테이토밸리 신품종 고구밸리 감자를 이용한 암 예방을 위한건강기능식품
KR102160012B1 (ko) * 2019-06-05 2020-09-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20246677A1 (ko) * 2019-06-05 2020-12-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75493L (no) 2008-05-02
AU2007231749A1 (en) 2008-05-15
CO6030026A1 (es) 2009-04-30
CN101172557B (zh) 2013-01-30
SG142287A1 (en) 2008-05-28
DE502007006652D1 (de) 2011-04-21
US20080302610A1 (en) 2008-12-11
RU2007140302A (ru) 2009-05-20
HK1120013A1 (en) 2009-03-20
CL2007002913A1 (es) 2008-01-18
MY147026A (en) 2012-10-15
NO332452B1 (no) 2012-09-17
ZA200709083B (en) 2009-03-25
TWI386359B (zh) 2013-02-21
BRPI0704046A (pt) 2008-06-24
ATE501078T1 (de) 2011-03-15
JP5330666B2 (ja) 2013-10-30
RU2453489C2 (ru) 2012-06-20
US7762376B2 (en) 2010-07-27
MX2007012961A (es) 2009-02-13
TW200900343A (en) 2009-01-01
CN101172557A (zh) 2008-05-07
NZ562338A (en) 2009-07-31
JP2008115015A (ja) 2008-05-22
AR063728A1 (es)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285A (ko)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US7117977B2 (e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car with suspending pulley devices on opposite sides of the car
JP5889412B2 (ja) エレベータの懸架構造およびガイドシュー構造
KR20080058280A (ko) 하나의 승강기 통로에 상하로 배치된 두 승강실을 구비한승강기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JP2007501756A (ja) エレベータ
US7156209B2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EP2390219B1 (en) Elevator apparatus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US7413055B2 (en) Elevator
US20080277207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CN101128384A (zh) 具有不对称的导轨的升降机
KR101130160B1 (ko)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EP1828044A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05645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139259A (ja) エレベーター
KR200600060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176286A (ja) エレベータ装置
CA2608895A1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lift shaft
KR20040019492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