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052A -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052A
KR20120118052A KR1020127022436A KR20127022436A KR20120118052A KR 20120118052 A KR20120118052 A KR 20120118052A KR 1020127022436 A KR1020127022436 A KR 1020127022436A KR 20127022436 A KR20127022436 A KR 20127022436A KR 20120118052 A KR20120118052 A KR 2012011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lade
opening
trailing blade
t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925B1 (ko
Inventor
요이치 나카노
히데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G03B9/40Double plate
    • G03B9/42Double plate with adjustable slot; with mechanism controlling relative movement of plates to form sl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와 리딩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제1 레버와, 제1 레버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리딩 블레이드가 개구를 열도록 제1 레버를 압압 가능하게 제1 레버에 맞닿는 계합부를 가지는 제2 레버와, 리딩 블레이드가 개구를 연 상태로 되도록 제1 레버를 무통전으로 보유 가능한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와,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를 각각 통전에 의해 보유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과,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각각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에 맞닿도록 세트하는 세트 레버를 구비하고,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개구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1 모드와, 리딩 블레이드가 개구를 닫고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개구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초점면 셔터이다.

Description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FOCAL-PLANE SHUTTER AND OPTICAL EQUIPMENT}
본 발명은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에 더하여 리딩 블레이드를 개폐하는 레버(lever)를 무통전으로 보유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4-317589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액츄에이터(actuator)는 고정자(stator), 코일(coil), 회전자(rotor)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초점면 셔터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형화가 억제된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기판을 가진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리딩(leading) 블레이드(blade) 및 트레일링(trailing) 블레이드와,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열도록 상기 제1 레버를 압압 가능하게 상기 제1 레버에 맞닿는 계합부를 가지는 제2 레버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제1 레버를 무통전으로 보유 가능한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2 레버 및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를 각각 통전에 의해 보유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과,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각각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에 맞닿도록 세트하는 세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1 모드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닫고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초점면 셔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자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대신에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초점면 셔터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초점면 셔터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화가 억제된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레버, 제2 레버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는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초점면 셔터(1)는 기판(10), 리딩 블레이드(20a), 트레일링 블레이드(20b), 암(arm)(31a, 31b), 제1 레버(40),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이하, 전자석이라고 칭함)(70a),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이하, 전자석이라고 칭함)(70b),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이하, 솔레노이드라고 칭함)(80), 세트 레버(90)를 가지고 있다. 기판(10)은 합성 수지제이다. 기판(10)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11)를 가지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는 4매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지만, 도면에 있어서 1매의 블레이드(21a)만을 나타내고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도 마찬가지로 4매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지만, 도면에 있어서 1매의 블레이드(21b)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리딩 블레이드(20a),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각각 5매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고, 3매 또는 2매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리딩 블레이드(20a)가 중첩 상태이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전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를 열도록 개구(11)로부터 퇴피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폐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리딩 블레이드(20a)는 2개의 암에 연결되어 있지만, 도면에 있어서 1개의 암(31a)만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2개의 암에 연결되어 있지만, 도면에 있어서 1개의 암(31b)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암(31a, 31b)은 각각 기판(10)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기판(10)에는 암(31a)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레버(40), 제2 레버(50), 암(31b)을 구동하기 위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레버(40), 제2 레버(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통부(筒部)(65)를 가지고 있다. 통부(65)는 기판(10)에 형성된 축부(15b)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기판(10)에 소정 범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에는 구동 핀(63)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10)에는 구동 핀(63)의 이동을 허용하는 빠져나감 구멍(13b)이 설치되어 있다. 빠져나감 구멍(escape slot)(13b)은 원호상(arc shape)이다. 구동 핀(63)은 암(31b)의 감합 구멍에 감합하고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요동함으로써 암(31b)이 요동하고,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이동한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가동 철편(67)을 보유하고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가동 철편(67)이 전자석(70b)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가동 철편(67)이 전자석(70b)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통부(65) 주위에는 미도시의 부세(付勢) 스프링이 감합하고 있다. 부세 스프링은 가동 철편(67)이 전자석(70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부세하고 있다. 즉, 부세 스프링은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닫도록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부세하고 있다.
전자석(70b)은 통전됨으로써 가동 철편(67)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전자석(70b)은 철심(71b)과 철심(71b)을 여자하기 위해서 철심(71b)에 감겨진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철심(71b)만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이 통전됨으로써 철심(71b)이 자기적 흡인력을 일으켜 철심(71b)은 가동 철편(67)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가동 철편(67)이 철심(71b)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11)를 연다.
다음에, 제1 레버(40), 제2 레버(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제1 레버(40), 제2 레버(50)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3, 도 4는 제1 레버(40), 제2 레버(50)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레버(40), 제2 레버(50)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도 4에 있어서는 제1 레버(40)에 해칭(hatching)을 하고 있다.
제1 레버(40)는 암(31a)에 감합한 구동 핀(43)을 가지고 있다. 기판(10)에는 구동 핀(43)의 이동을 허용하는 원호상의 빠져나감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레버(40)에는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45)에는 기판(10)에 형성된 축부(15a)가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레버(40)는 축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다. 제1 레버(40)는 가동 철편(47)을 보유하고 있다.
스프링 S1은 코일 모양의 스프링이고, 스프링 S1의 일단 S11은 기판(10)에 형성된 계지부(18)에 의해 계지되어 있다. 스프링 S1의 타단 S12는, 도 2, 도 5에 나타내듯이, 제1 레버(40)에 계합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스프링 S1은 제1 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환언하면, 스프링 S1은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를 닫도록 제1 레버(40)를 부세하고 있다. 스프링 S1은 제1 부세 부재에 상당한다. 제1 레버(40)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계합부(48)를 가지고 있다.
제2 레버(50)는 제1 레버(4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레버(50)는 제1 레버(40)가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는 축부(15a)와 공통으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다. 제2 레버(50)는 축부(15a)에 감합하는 통부(55)를 가지고 있다. 축부(15a)에 제1 레버(40)의 구멍(45)이 감합하고 제2 레버(50)의 통부(55)가 감합함으로써 제1 레버(40), 제2 레버(50)는 동축 상에 배치된다. 제2 레버는 가동 철편(57)을 보유하고 있다. 스프링 S2는 통부(55)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S2는 코일 모양의 스프링이다. 스프링 S2의 선 직경은 스프링 S1의 선 직경보다 크고, 또 스프링 S2의 전체 길이는 스프링 S1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 동일한 변형량에 대해서 스프링 S2의 탄성 복원력은 스프링 S1의 탄성 복원력보다 크다.
스프링 S2의 일단 S21은 도 5에 나타내는 래칫(ratchet) 톱니바퀴(100a)에 계지되어 있다. 래칫 톱니바퀴(100a)는 축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다. 래칫 톱니바퀴(100a)는 외주부에 복수의 치부(tooth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판(110)에는 치부에 계합 가능한 미도시의 계지조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조가 래칫 톱니바퀴(100a)의 치부를 계지함으로써 래칫 톱니바퀴(100a)가 스프링 S2의 부세력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계지조가 래칫 톱니바퀴(100a)를 고정하고 있다. 타단 S22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제2 레버(50)에 계지되어 있다. 스프링 S2는 제2 레버(50)를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래칫 톱니바퀴(100a)의 회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 S2의 부세력을 조정할 수가 있다. 스프링 S2는 제2 부세 부재에 상당한다.
제2 레버(50)는 제1 레버(40)의 계합부(48)와 맞닿음 가능한 계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48)와 계합부(58)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 레버(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레버(50)와 함께 제1 레버(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1 레버(40), 제2 레버(50)는 계합부(48, 58)가 이간하도록 제2 레버(50)가 제1 레버(40)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전자석(70a)은 전자석(70b)과 대략 같은 구성이고, 철심(71a)과 철심(71a)을 여자하기 위해서 철심(71a)에 감겨진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코일은 생략되어 있다. 철심(71a)은 대략 コ자형이다. 철심(71a)에 감겨진 코일이 통전됨으로써 철심(71a)은 제2 레버(50)의 가동 철편(57)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80)는 무통전으로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을 흡착 보유 가능하다. 솔레노이드(80)는 측면시로 대략 コ자형의 요크(yoke)(81), 요크(81)에 조립된 영구자석(85), 요크(81)에 감겨진 미도시의 코일을 포함한다. 요크(81)에는 영구자석(85)이 조립되어 있으므로 영구자석(85)의 영향에 의해 요크(81)에는 소정의 극성이 생기고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80)는 무통전으로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을 흡착할 수가 있다. 또, 영구자석(85)에 의해 요크(81)에 생기고 있는 극성을 상쇄하도록 솔레노이드(80)의 요크(81)에 감겨진 코일에 통전하여 요크(81)가 여자되면, 요크(81)와 가동 철편(47)의 사이의 자기적 흡인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이 요크(81)에 맞닿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80)의 코일이 통전되면, 요크(81)와 가동 철편(47)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적 흡인력이 스프링 S1의 부세력을 하회하고, 제1 레버(40)는 스프링 S1의 부세력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솔레노이드(80)로부터 퇴피한다.
다음에, 세트 레버(9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트 레버(90)는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각각 전자석(70a, 70b)에 맞닿도록 세트하기 위한 것이다. 세트 레버(90)는 기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세트 레버(90)는 카메라측에 설치된 챠지(charge)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93)를 가지고 있다. 세트 레버(90)는 압압부(94, 96)를 가지고 있다. 피압압부(93), 압압부(94, 96)는 세트 레버(90)의 회전 중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각각 롤러(54, 64)를 가지고 있다.
피압압부(93)가 카메라측의 챠지(charge) 부재에 눌림으로써 세트 레버(9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압압부(94, 96)가 각각 롤러(54, 64)에 맞닿아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각각 전자석(70a, 70b)에 맞닿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세트 레버(90)에는 세트 레버(9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은 세트 레버(90)를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세트 레버(90)는 초기 위치에 자리 매김되어 있다. 기판(10)에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된 세트 레버(90)를 초기 위치에 자리 매김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초점면 셔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점면 셔터(1)는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다. 제1 모드에서는 리딩 블레이드(20a)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50)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세트된다. 제2 모드에서는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를 닫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50)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세트된다. 먼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모드에 대해서 도 1, 도 6~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1)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이 솔레노이드(80)에 보유되고,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로부터 퇴피한 개구(11)를 열고 있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11)를 닫고 있다. 초기 상태로부터 세트 레버(9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되면, 도 7에 나타내듯이, 세트 레버(90)의 압압부(94, 96)는 각각 제2 레버(50)의 롤러(54),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의 롤러(64)에 맞닿고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세트 레버(90)는 제2 레버(50)의 가동 철편(57)이 전자석(70a)에 맞닿고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의 가동 철편(67)이 전자석(70b)에 맞닿을 때까지,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은 솔레노이드(80)에 흡착 보유된 상태인 채, 제2 레버(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게 된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듯이,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를 연 상태인 채이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11)로부터 퇴피하여 개구(11)를 연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의 세트는 종료한다. 도 9는 제1 모드에서의 세트 상태에서의 제1 레버(40), 제2 레버(50)의 주변의 확대도이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57)이 전자석(70a)에 맞닿고 가동 철편(47)은 솔레노이드(80)에 맞닿아 있다. 도 1, 도 7~도 9의 상태는 도 6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1의 개방 상태에 상당한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의 릴리즈(release) 스위치가 눌리면, 솔레노이드(80)의 코일이 통전시켜지게 된다. 이에 의해 요크(81)와 가동 철편(47)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던 자기적 흡인력이 스프링 S1의 부세력을 하회하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1 레버(40)는 스프링 S1의 부세력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를 닫는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레버(40), 제2 레버(50)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계합부(48, 58)가 맞닿아 있다. 도 10, 도 11의 상태는 도 6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2의 닫힌 상태에 상당한다.
다음에, 전자석(70a, 70b)이 통전된다. 이에 의해 가동 철편(57, 67)은 각각 전자석(70a, 70b)에 흡착되고,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듯이, 세트 레버(90)를 압압하고 있던 카메라측의 챠지(charge) 부재가 세트 레버(90)로부터 퇴피하고, 세트 레버(90)는 복귀 스프링의 부세력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이에 의해 압압부(94, 96)는 각각 롤러(54, 64)로부터 퇴피한다. 도 12에 나타낸 상태는 도 6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3의 닫힌 상태에 상당한다.
다음에, 전자석(70a)의 통전이 차단되고,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1 레버(40), 제2 레버(50)는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11)로부터 퇴피하여 개구(11)를 연다. 제1 레버(40), 제2 레버(50)는 스프링 S2의 부세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스프링 S2는 제2 레버(50)에만 작용하고 있지만,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레버(40)의 계합부(48)와 제2 레버(50)의 계합부(58)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레버(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계합부(58)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계합부(48)를 시계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제2 레버(50)와 함께 제1 레버(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3은 노출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상태는 도 6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4의 개방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이 때에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은 솔레노이드(80)의 요크(81)에 맞닿는다. 솔레노이드(80)가 무통전인 경우에, 솔레노이드(80)의 요크(81)와 가동 철편(47)의 사이에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요크(81)에 가동 철편(47)이 맞닿았 때의 제1 레버(40)의 바운드(bound)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제1 레버(40)가 바운드하여 리딩 블레이드(20a)가 다시 개구(11)의 일부를 덮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버(40)의 바운드에 기인하는 화질에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석(70b)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는 미도시의 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11)를 닫는다. 이에 의해 초점면 셔터(1)의 상태는 도 1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모드에서의 노출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제1 모드에 있어서는 개구(11)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세트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촬상 소자로부터의 출력을 액정 모니터 등에 실시간으로 비추는 라이브뷰(live view) 모드시에 사진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모드가 적합하다.
다음에, 제2 모드에 대해서 도 1, 도 14~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2 모드에서의 초점면 셔터(1)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부터 영구자석(85)에 의해 요크(81)에 생기고 있는 극성을 상쇄하도록 솔레노이드(80)의 요크(81)에 감겨진 코일에 통전한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80)의 요크(81)와 제1 레버(40)의 가동 철편(47)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자기적 흡착력이 약해진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측의 챠지(charge) 부재에 의해 세트 레버(9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세트 레버(90)의 압압부(94, 96)는 각각 롤러(54, 64)에 맞닿아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에 요크(81)와 가동 철편(47)의 사이의 자기적 흡인력은 약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레버(40)는 스프링 S1의 부세력에 따라서 제2 레버(5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듯이, 가동 철편(57, 67)은 각각 철심(71a, 71b)에 맞닿는다. 제1 레버(40)는 제2 레버(50)에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를 닫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연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를 닫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연 상태에서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세트된다. 도 1, 도 15, 도 16의 상태는 도 14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1의 닫힌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도 16은 도 10과 같다.
다음에, 릴리즈 스위치가 눌리면, 소정 기간 경과후에 전자석(70a, 70b)이 통전되어 가동 철편(57, 67)은 각각 철심(71a, 71b)에 흡착된다(도 14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2에 상당).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듯이, 카메라측의 챠지(charge) 부재가 세트 레버(90)로부터 퇴피하고 세트 레버(90)는 미도시의 복귀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도 17의 상태는 도 14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상태 3의 닫힌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도 17은 도 12와 같다.
다음에, 전자석(70a)에의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철심(71a)과 가동 철편(57)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던 자기적 흡인력이 저감하고, 도 18에 나타내듯이, 제2 레버(50)는 스프링 S2의 부세력에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때에 제1 레버(40)도 제2 레버(50)에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로부터 퇴피하여 개구(11)를 연다. 도 18의 상태는 도 14의 타이밍 차트의 상태 4의 개방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도 18은 도 13과 같다.
다음에, 전자석(70b)에의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11)를 닫는다. 이에 의해 초점면 셔터(1)의 상태는 도 1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모드에서의 노출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제2 모드에 있어서는 개구(11)를 닫은 상태에서 제2 레버(50),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60)가 세트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연속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할 때마다 촬상 소자로부터의 출력을 액정 모니터 등에 표시할 필요성은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 촬영시에 있어서는 제2 모드가 적합하다.
또, 제1 모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개구(11)가 열려 있는 세트 상태로부터 개구(11)를 닫도록 리딩 블레이드(20a)를 이동시켜, 그 후에 리딩 블레이드(20a)를 개구(11)로부터 퇴피시켜 개구(11)를 열고, 다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에 의해 개구(11)를 닫음으로써 촬영이 행해진다. 그렇지만,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리딩 블레이드(20a)에 의해 개구(11)가 닫힌 세트 상태로부터 리딩 블레이드(20a)를 개구(11)로부터 퇴피시켜 개구(11)를 열고, 다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에 의해 개구(11)를 닫음으로서 촬영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1 모드에 있어서는 제2 모드와 비교하여 세트 완료후 리딩 블레이드(20a)로 한 번 개구(11)를 닫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연속 촬영시에 있어서는 제1 모드보다 제2 모드의 쪽이 일정 기간 내에 많은 촬영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솔레노이드(80)에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단일의 초점면 셔터로 촬영 태양에 적절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솔레노이드(80)를 채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80) 대신에 고정자, 코일, 회전자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하면 장치 전체가 대형화한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무통전으로 제1 레버(40)를 흡착 보유 가능한 솔레노이드(80)를 채용함으로써 장치 전체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회전자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경우, 회전자의 회전 토크(torque)는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이 때문에 회전자의 회전 토크의 변동에 의해 회전자에 의해 구동하는 블레이드의 이동 속도의 변동 정도도 커져 화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S2의 부세력에 의해 제1 레버(40)가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레버(40)의 이동 속도가 대략 일정하고,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의 이동 속도도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화질에의 영향은 적다.
또,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경우,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자를 회전시킬 때마다 코일을 통전할 필요가 있고, 소비 전력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의 경우, 솔레노이드(80)는 무통전으로 제1 레버(40)를 흡착 보유 가능하고, 제1 레버(40)를 솔레노이드(80)로부터 퇴피시키고 싶은 경우에 한정하여 솔레노이드(80)를 통전함으로써, 제1 레버(40)는 스프링 S1의 부세력에 따라서 솔레노이드(80)로부터 퇴피한다. 이 때문에 소비 전력이 억제된다.
또,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경우, 회전자를 정역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에의 통전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코일에의 통전 제어가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솔레노이드(80)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80)의 코일에의 통전 방향은 한 흐름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80)의 코일의 통전 제어가 간이화된다.
또,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경우, 무통전시에는 디텐트(detent) 토크에 의해 회전자가 소망의 위치에 보유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회전자가 회전하여 소망 위치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솔레노이드(80)와 제1 레버(40)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적 흡인력은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회전자에 작용하는 디텐트 토크보다 큰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제1 모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개구(11)가 열려 있는 세트 상태로부터 개구(11)를 닫도록 리딩 블레이드(20a)를 이동시켜, 그 후에 리딩 블레이드(20a)를 개구(11)로부터 퇴피시켜 개구(11)를 열고, 다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에 의해 개구(11)를 닫음으로써 촬영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리딩 블레이드(20a) 대신에 카메라측에 설치된 화상 센서의 전자 리딩 블레이드를 이용하고, 메카니컬인 셔터는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의 동작만으로 촬상을 행하는 전자 리딩 블레이드 모드로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개구(11)가 열려 있는 세트 상태로부터 리딩 블레이드(20a)를 이동시키지 않고, 화상 센서가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라인마다 차례차례 화상 신호를 축적해 나감과 아울러, 소망의 노출 시간 경과후에 개구(11)를 닫는 메카니컬인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와 동조하여 노광함으로써 촬영이 이루어져도 좋다. 이에 의해 라이브뷰모드시에 셔터 전개로부터의 메카니컬 작동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의 주행만으로 노광 제어하므로 매우 조용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전자 리딩 블레이드 모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1 레버(40)에 의한 리딩 블레이드(20a)의 개구(11)의 폐동작의 유무,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80)의 코일에의 통전의 유무만이 다른 모드이다. 상술한 것처럼, 솔레노이드(80)의 코일에의 통전 방향은 한 흐름으로 좋고, 또 그 통전 제어가 간이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점면 셔터는 제1 모드 제2 모드에 더하여 카메라측의 전자 리딩 블레이드 촬영 모드에도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S1은 리딩 블레이드(20a)가 개구(11)를 닫도록 리딩 블레이드(20a)를 부세하고 있다. 스프링 S1의 일단 S11은 기판(10) 측에 계지되고, 타단 S12는 제1 레버(40) 측에 계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스프링 S1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프링 S1의 일단 S11은 제2 레버(50)측에 계지되고, 스프링 S1의 타단 S12가 제1 레버(40) 측에 계지되고, 제2 레버(50)가 세트된 상태에서 제1 레버(40)가 제2 레버(50)를 향해 회전하도록 부세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스프링 S1의 일단 S11을 계합부(58)에 계지시키고, 스프링 S1의 타단 S12를 계합부(48)에 계지시켜 스프링 S1가 계합부(48)와 계합부(58)가 맞닿도록 부세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를 구비한 광학 기기는, 예를 들면 일안(single) 렌즈(lens) 리플렉스(reflex)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이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할 수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은염(銀鹽) 필름식 카메라에도 채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는 디지털 카메라 및 은염 필름식 카메라의 어느 쪽에도 채용할 수 있고 양쪽 카메라 사이에 셔터를 공통화할 수 있다.

Claims (7)

  1. 기판을 가진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와,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열도록 상기 제1 레버를 압압 가능하게 상기 제1 레버에 맞닿는 계합부를 가지는 제2 레버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제1 레버를 무통전으로 보유 가능한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2 레버 및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를 각각 통전에 의해 보유 가능한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과,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각각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에 맞닿도록 세트하는 세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리딩 블레이드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1 모드와,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닫고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 및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초점면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에 의해 보유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가 세트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로부터 퇴피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레버가 세트되는 초점면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닫도록 제1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있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열도록 상기 제1 레버를 압압하도록 제2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있는 초점면 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가 세트된 후,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에 보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제1 레버가 이동하여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닫은 후,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으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상기 제2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이동하여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열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레버가 세트된 후,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으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상기 제2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이동하여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여는 초점면 셔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에 흡착 보유된 상태로부터 상기 리딩 블레이드 전자석으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상기 제2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회전하여 무통전 상태의 상기 자기 보유형 솔레노이드에 맞닿는 초점면 셔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트레일링 블레이드 레버가 세트된 후, 상기 리딩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연 상태에서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 전자석으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상기 트레일링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닫는 초점면 셔터.
  7. 제1항의 초점면 셔터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20127022436A 2010-09-14 2011-06-02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KR101302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6013 2010-09-14
JP2010206013A JP5191518B2 (ja) 2010-09-14 2010-09-14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PCT/JP2011/062654 WO2012035831A1 (ja) 2010-09-14 2011-06-02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52A true KR20120118052A (ko) 2012-10-25
KR101302925B1 KR101302925B1 (ko) 2013-09-06

Family

ID=4583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436A KR101302925B1 (ko) 2010-09-14 2011-06-02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5217B2 (ko)
JP (1) JP5191518B2 (ko)
KR (1) KR101302925B1 (ko)
CN (1) CN102822737B (ko)
WO (1) WO2012035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658A (ja) * 2011-03-31 2012-11-08 Seiko Precision Inc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6153362B2 (ja) 2013-03-27 2017-06-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5941030B2 (ja) * 2013-09-27 2016-06-2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6630996B2 (ja) * 2014-02-27 2020-01-15 株式会社ニコン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カメラ
US10567680B2 (en) * 2014-03-26 2020-02-18 Nikon Corporation Shutter device and image-capturing device
JP6421080B2 (ja) * 2015-05-29 2018-11-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6228628B2 (ja) * 2016-05-17 2017-11-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2019045544A (ja) * 2017-08-30 2019-03-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撮像装置
JP2020101644A (ja) * 2018-12-21 2020-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6703B2 (ja) * 2003-04-11 2008-05-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4086702B2 (ja) 2003-04-11 2008-05-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2005070454A (ja) * 2003-08-25 2005-03-17 Seiko Precision Inc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US7492410B2 (en) * 2003-11-25 2009-02-17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US7513702B2 (en) * 2005-11-16 2009-04-07 Va, Inc. Non-contact shutter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JP4628387B2 (ja) * 2006-03-31 2011-02-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931471B2 (ja) * 2006-04-27 2012-05-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909019B2 (ja) * 2006-11-2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0034818A (ja) * 2008-07-29 2010-02-12 Sony Corp シャッタ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0152000A (ja) * 2008-12-24 2010-07-08 Sony Corp 撮像装置
JP5484229B2 (ja) * 2010-07-12 2014-05-0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91518B2 (ja) 2013-05-08
CN102822737B (zh) 2015-04-01
KR101302925B1 (ko) 2013-09-06
US8465217B2 (en) 2013-06-18
US20120328280A1 (en) 2012-12-27
JP2012063448A (ja) 2012-03-29
CN102822737A (zh) 2012-12-12
WO2012035831A1 (ja)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925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US8449206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apparatus
WO2013094278A1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4667657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6098909A (ja) シャッタ装置及び撮像装置
US9241107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focal plane shutter
US8485742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apparatus
JP6235240B2 (ja)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7038108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
JP2583632Y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4450492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20173324A (ja) シャッ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
JP6313055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6529361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4450489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6460786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493733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7211848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6133761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6133740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689036B2 (ja) 絞り機構付シャッタ装置
JP2020173325A (ja) 撮像装置
JP2005024639A (ja) カメラ用羽根駆動機構
JP2010271360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6099415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