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644A -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644A
KR20120106644A KR1020120027089A KR20120027089A KR20120106644A KR 20120106644 A KR20120106644 A KR 20120106644A KR 1020120027089 A KR1020120027089 A KR 1020120027089A KR 20120027089 A KR20120027089 A KR 20120027089A KR 20120106644 A KR20120106644 A KR 20120106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link
check
door
press shoe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하루 셋쯔
도시히사 니시조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25Means acting between hinged edge and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98Form or shape having inden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은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파형 정지부가 형성되는 긴형상부, 및 상기 긴형상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형 스토퍼를 구비하는 체크 링크, 및 차량 도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체크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박스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돌출된 가이드 벽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는 체크 링크에 제공되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가이드 벽 사이에는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의 폭은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DOOR CHECKER UNIT OF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도어를 절반-개방 위치 및 완전 개방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체킹력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폐 피봇 운동을 제공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바퀴달린 자동차 분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 체커 유닛이 제안되어 실제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공지된 형태의 도어 체커 유닛 중 하나가 미국 특허 제7,383,6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도어 체커 유닛은 일반적으로, 차체측 브래킷에 고정되는 베이스 단부와 도어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로부터 차량 도어 내로 철회 가능하게 안내되는 긴형상 리딩부를 갖는 체크 링크와, 편향 부재의 도움으로 체크 링크의 정지면 부분을 홀드시키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press shoe)를 가지며 도어 내에 설치되는 체크 박스를 포함한다. 체크 링크의 긴형상 리딩부는 그 선단부에 헤드형 스토퍼를 갖는다.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소위 절반-개방 위치로 스윙되면, 체크 박스의 두 개의 프레스 슈는 체크 링크의 상면과 하면 상을 미끄러져 체크 링크의 정지면 부분에 도달한다. 이때, 두 개의 프레스 슈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의 정지면 부분을 편향 부재의 도움으로 타이트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도어를 절반-개방 위치로 유지시킨다. 도어가 외측으로 더 스윙되면, 체크 박스의 두 개의 프레스 슈는 체크 링크의 헤드형 스토퍼와 맞닿는다. 이때, 도어의 추가적인 외측 스윙이 억제된다. 즉, 도어의 완전-개방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공지된 도어 체커 유닛에서는, 체크 링크와 일체적인 헤드형 스토퍼의 설비로 인한 고유 구조로 인해,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를 베이스 단부가 차체측 브래킷에 연결되기 전 체크 박스의 두 개의 프레스 슈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수동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를 두 개의 프레스 슈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수동 작업은,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와 두 개의 프레스 슈 각각의 사이의 치수 관계가 거의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복잡하고 힘들었다. 실제로, 상기 특허의 도어 체커 유닛에 있어서,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체크 링크의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넓다. 사실, 넓은 폭으로 인해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두 개의 프레스 슈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체크 박스에 재밍(jam)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었다. 물론,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의 이러한 재밍은 도어 체커 유닛의 조립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이 없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가 그 사이에 체크 링크를 삽입하도록 배치된,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체크 링크는 차체에 연결되는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파형 정지부가 형성되는 긴형상부, 및 상기 긴형상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형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파형 정지부는 체크 링크에 제공되는 상부 및 하부 파형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단부의 폭은 상기 긴형상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체크 링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면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 및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그 돌출된 슬라이딩부 사이에 체크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벽 사이에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차체와 차량 도어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파형 정지부가 형성된 긴형상부, 및 상기 긴형상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형 스토퍼를 구비하는 체크 링크와, 차체와 차량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 박스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서 편향하기 위한 편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돌출된 가이드 벽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는 체크 링크에 제공되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가이드 벽 사이에는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의 폭은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도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개구가 관통 형성된 케이스와,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서 헤드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단부로 연장되는 체크 링크와, 체크 링크가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 편향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 링크는 긴형상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에 성형 플라스틱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을 구성하도록 금속판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이 제공되는 부분에서 폭이 체크 링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보스부의 두께는 보스부와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체크 링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체크 링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면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프레스 슈의 돌출된 슬라이딩부 사이에 체크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벽 사이에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도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개구가 관통 형성된 케이스와,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서 헤드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선단부로 연장되는 체크 링크와, 체크 링크가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 편향하기 위해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체크 링크는 긴형상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에 성형 플라스틱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을 구성하도록 금속판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이 제공되는 부분에서 폭이 체크 링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꺼운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두꺼운 보스부의 두께는 보스부와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체크 링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체크 링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면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벽과,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타단부로부터 오목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프레스 슈의 돌출된 슬라이딩부 사이에 체크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벽 사이에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 벽이 각 파트너의 프레스 슈의 가이드 홈 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차량 도어를 주어진 개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유닛이 실제 사용되는 부분에서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어가 그 완전-개방 위치를 취한 상태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3과 유사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의 요소인 체크 링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에 사용되는 한 쌍의 프레스 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Ⅶ-Ⅶ 라인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체크 링크의 보스 단부가 한 쌍의 프레스 슈 사이에 막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의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체크 링크의 보스 단부가 한 쌍의 프레스 슈 사이에 깊이 삽입된 상태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8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X-X 라인을 따라서 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라인을 따라서 취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체크 링크의 보스 단부의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에 사용되는 한 쌍의 프레스 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에 사용되는 체크 박스를 도시한 점을 제하고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5는 제2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에 사용되는 체크 박스를 도시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과 유사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하기 설명은 개방 위치를 취할 때 전방으로 피봇되고 폐쇄 위치를 취할 때 후방으로 피봇되는, 자동차의 전방-우측 도어 "D"에 실제 적용되는 도어 체커 유닛에 대해 이루어졌다.
추가로, 하기 설명에서는, 우, 좌, 상, 하, 우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용어는 대응 요소, 부분 또는 일부를 도시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도면과 관련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1)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와 차량 도어가 각각 B와 D로 지칭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차량 도어(D)는 개방 위치를 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는 완전-폐쇄 위치와 완전-개방 위치 사이를 수평적으로 스윙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힌지(H, H)를 통해서 차체(B)에 피봇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힌지(H)는 차체(B)에 고정되는 차체측 브래킷(도면부호 없음), 차량 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측 브래킷(도면부호 없음), 및 상기 차체측 브래킷과 도어측 브래킷이 이를 통해서 피봇 연결되는 피봇 핀(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한다.
따라서, 완전-개방 위치와 완전-폐쇄 위치를 취하기 위해 차량 도어(D)는 주어진 곡선 트랙을 취하면서 스윙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어 체커 유닛(1)은 차량 도어(D)를 절반-개방 위치 및 완전-개방 위치(또는 개방 한계)로 유지하기 위해 체킹력을 차량 도어(D)의 개폐 스윙 운동에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체커 유닛(1)은 차체(B)에 고정되는 브래킷(2), 수직 연장되는 피봇 핀(3)을 통해서 브래킷(2)에 피봇 연결되는 천공된 베이스 단부(42)(도 5 참조)와 차량 도어(D)의 전방 단부벽에 형성된 장방형 가이드 개구(81)로부터 차량 도어(D)에 삽입되는 리딩부를 갖는 체크 링크(4), 및 차량 도어(D)에 설치되고 그 안에 체크 링크(4)의 리딩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체크 박스(5)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에 삽입되는, 체크 링크(4)의 리딩부는, 차량 도어(D)의 전방 단부벽에 고정되는 체크 박스(5)와 연관된다.
체크 링크(4)의 선단부에는 헤드형 스토퍼(43)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가 완전-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즉, "개방"으로 지칭되는 방향)으로 피봇될 때, 체크 박스(5)는 체크 링크(4)의 선단부에 형성된 헤드형 스토퍼(43)를 향해서 체크 링크(4) 상에서 진행하는 동안 차체(B)로부터 차량 도어(D)와 함께 멀리 이동된다.
차량 도어(D)의 추가 개방 이동으로 인해 체크 박스(5)가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형 스토퍼(43)와 접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때, 차량 도어(D)의 추가 개방 스윙은 정지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7)로 커버된 긴형상 금속판(6)이다.
실제로, 체크 링크(4)는 상부 및 하부 성형 다이를 구비하는 분할(split)-공동 몰드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다. 즉, 먼저 긴형상 금속판(6)이 분할-공동 몰드 내에 세팅되고, 이후 플라스틱 커버(7)의 용융 재료가 분할-공동 몰드 내에 사출된다. 재료가 경화되어 충분한 레벨로 경화되면, 생산된 체크 링크(4)를 몰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부 몰딩 다이가 하부 몰딩 다이로부터 제거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에는, 금속판(6)에 대한 플라스틱 커버(7)의 접합을 보장하기 위해 플라스틱 커버(7)의 용융 재료가 유입되는 개구(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의 베이스 단부에는 피봇 핀(3)이 관통하는 원형 개구(61)가 형성되며, 금속판(6)의 선단부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네 개의 굴곡 브랜치(branch)(62)가 형성된다. 굴곡 브랜치(62)가 설치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헤드형 스토퍼(43)는 금속판(6)에 타이트하게 고정된다. 원형 개구(61)는 배제 방법(barring method)에 의해 형성되어, 원형 개구(61)에 환형 릿지(63)가 제공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 상의 성형 플라스틱 커버(7)에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41)이 제공되며, 각각의 정지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번갈아 배치되는 세 개의 라운드형 돌출부(411)와 세 개의 라운드형 오목부(412)를 구비한다.
플라스틱 커버(7)의 베이스 단부에는, 피봇 핀(3)이 관통하기 위한 금속판(6)의 상술한 원형 개구(61)와 동축인 천공된 보스부(42)가 형성된다.
체크 링크(4)의 헤드형 스토퍼(43)는 돌출부(411)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네크부(413)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커버(7)의 천공된 보스부(42)는 원형 개구(61)를 제외하고 금속판(6)의 베이스 단부를 커버한다.
도 2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된 보스부(42)의 횡방향 크기(또는 폭)(W1)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41)이 제공되는 부분에서 성형 플라스틱 커버(7)의 횡방향 크기(또는 폭)(W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된 보스부(42)의 두께(H1)[즉, 피봇 핀(3)의 축방향으로의 보스부(42)의 크기]는 돌출부(411)의 두께(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천공된 보스부(42)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다. 이러한 사출 성형에 의해, 천공된 보스부(42)는 금속판(6)의 원형 개구(61)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플라스틱 커버(7)의 정지면(41)의 횡방향 크기(W2)에 대해 보스부(42)의 횡방향 크기(W1)를 확대시키지 않고도 천공된 보스부(42)에 의해 만족스러운 기계적 강도가 얻어진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개구(61)의 내부 원통형면에는, 플라스틱 커버(7)의 재료로 제조되는 복수의 돌출부(71)가 배치된다. 이들 돌출부(71)는 분할-공동 몰드를 사용하여 상술한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생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71)는 대체로 H-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71)가 설치됨으로써, 피봇 핀(3) 주위로의 천공된 보스부(42)의 피봇 선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의 베이스 단부는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향하는 테이퍼진 단부(64)를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진 단부(64)가 설치됨으로써, 도어 체커 유닛(1)의 사전 조립시에 체크 박스(5)의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차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의 헤드형 스토퍼(43)는 금속판(6)의 굴곡 브랜치(62)를 플라스틱 커버(7)의 용융 재료로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생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형 스토퍼(43)의 횡방향 크기(W3)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7)의 정지면(41)의 횡방향 크기(W2)보다 크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43)의 두께(H4)는 각각의 돌출부(411)의 두께(H2)보다 크다.
차후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가 완전-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어 체커 유닛(1)은 도 4에 도시된 상태를 취한다.
이 상태에서, 체커 박스(5)의 케이스(8)의 후방면이 헤드형 스토퍼(43)의 편평한 전방면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차량 도어(D)가 더 개방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헤드형 스토퍼(43)에 매립되는 금속판(6)의 굴곡 브랜치(62)가 설치됨으로써, 스토퍼(43)는 도어 개방력에 대항하여 만족스러운 반력을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체크 박스(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박스(5)는, 차량 도어(D)에 설치되고 전방 단부벽의 장방형 가이드 개구(81)와 대면하는 방식으로 차량 도어(D)의 전방 단부벽에 고정되는 케이스(8)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8)를 도어(D)의 전방 단부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스(8)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트 구멍(도면부호 없음)을 통과하는 연결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케이스(8)의 바닥 벽에는 체크 링크(4)가 관통하는 장방형 개구(8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체커 유닛(1)의 작동 하에서, 체크 링크(4)는 두 개의 장방형 개구(81, 82)를 통과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4)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케이스(8) 내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41)을 구비하는 체크 링크(4)의 상면 및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탄성체(11)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를 체크 링크(4)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스(8) 내에 설치된다. 탄성체(11)는 고무 등으로 제조된다. 필요할 경우, 탄성체(11) 대신에,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스 슈(9 또는 10)에는, 체크 링크(4)의 상면 또는 하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라운드형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91 또는 101)가 형성된다.
라운드형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91, 101)가 설치됨으로써, 도어 체커 유닛(1)의 사전 조립시에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스 슈(9, 10)의 라운드형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91, 101)의 각각과 천공된 보스부(42)의 테이퍼진 단부(64) 사이의 서로 상보적인 교합은 이러한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을 촉진하거나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4)가 배치되도록 상호 점대칭적으로 케이스(8) 내에 배열된다.
상부 프레스 슈(9)는 체크 링크(4)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91),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91)의 우측 부분(도 7에서)으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체크 링크(4)의 우측 에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이드 벽(92), 및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91)의 좌측 부분(도 7에서)으로부터 오목한 가이드 홈(9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92)은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홈(103)에 수용되며 가이드 홈(93)에는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이 수용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92)의 우측면은 케이스(8)의 우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며, 가이드 홈(93)의 바닥부의 좌측면은 케이스(8)의 좌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상부 프레스 슈(9)는 상하 이동 중에 케이스(8) 내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즉, 상부 프레스 슈(9)는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벽(92)의 내부면은, 체크 링크(4)의 우측 에지 및 하부 프레스 슈(10)의 돌출된 슬라이딩부(101)의 우측면 양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릿지를 갖는 지붕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하부 프레스 슈(10)는 체크 링크(4)의 하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101),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101)의 좌측 부분(도 7에서)으로부터 상향 돌출하고 체크 링크(4)의 좌측 에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이드 벽(102), 및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101)의 우측 부분(도 7에서)으로부터 오목한 가이드 홈(103)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102)의 좌측면은 케이스(8)의 좌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며, 가이드 홈(103)의 바닥부의 우측면은 케이스(8)의 우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하부 프레스 슈(10)는 상하 이동 중에 케이스(8) 내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즉, 상술한 상부 프레스 슈(9)와 같이, 하부 프레스 슈(10)는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벽(102)의 내부면은, 체크 링크(4)의 좌측 에지 및 상부 프레스 슈(9)의 돌출된 슬라이딩부(91)의 좌측면 양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릿지를 갖는 지붕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탄성체(11)는 상부 프레스 슈(9)를 체크 링크(4)를 향해 편향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스(8)의 상부벽과 상부 프레스 슈(9)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 탄성체(11)는 하부 프레스 슈(10)를 체크 링크(4)를 향해 편향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스(8)의 하부벽과 하부 프레스 슈(1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도어 체커 유닛(1)을 관련 자동차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이하의 단계가 실행된다.
먼저, 체크 박스(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의 전방 단부벽에 고정된다.
이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는, 그 테이퍼진 단부(64)를 체크 박스(5)의 개구(82) 내로 이동 및 안내시키는 체크 박스(5)로 이동된다.
이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는 전방으로 즉 도 9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푸시되어,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가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를 상부 및 하부 탄성체(11)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푸시하게 한다.
체크 링크(4)의 많은 부품들 사이의 상술한 치수 관계 및 천공된 보스부(42)의 테이퍼진 단부(64)가 구비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 방향 푸시 작업은 천공된 보스부(42)가 가이드 개구(81)를 통해서 체크 박스(5)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천공된 보스부(42)는 도어(D)의 가이드 개구(8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천공된 보스부(42)와 정지면 부분(41) 사이에 제공되는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를 그 사이에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로 온다.
이후, 도어(D)의 가이드 개구(81)로부터 돌출되는 천공된 보스부(42)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에 고정된 브래킷(2)에 피봇 핀(3)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 체커 유닛(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가 완전-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 체커 유닛(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지 상태를 취한다.
휴지 상태 하에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사이에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를 배치하여 그 사이에서 체크 링크(4)의 자유로운 이동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도어 체커 유닛(1)은 도어 체킹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 도어(D)를 래칭시키기 위해 도어 래치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기 때문에 도어 체킹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차량 도어(D)가 언래칭되고 절반-개방 위치로 스윙되면, 체크 박스(5) 내의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도 4에서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의 오목부(412) 중 하나로 이동된다. 이때, 두 개의 프레스 슈(9, 10)는 탄성체(11)의 편향력의 도움으로 체크 링크(4)를 선택된 오목부(412)에 타이트하게 유지한다. 이 상태 하에서, 차량 도어(D)는 선택된 절반-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차량 도어(D)가 도 2에 쇄선으로 도시된 완전-개방 위치로 외측으로 더 스윙되면, 두 개의 프레스 슈(9, 10)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링크(4)의 헤드형 스토퍼(53)의 네크부(413) 상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체크 박스(5)의 케이스(8)는 헤드형 스토퍼(43)에 대해 맞닿으며, 따라서 차량 도어(D)의 추가적인 개방 스윙이 억제된다.
이하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의 높이는 천공된 보스부(42)에서 상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보다 크며,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의 높이도 천공된 보스부(42)에서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보다 크다. 천공된 보스부(42)에서의 상부 또는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는 도 5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벽(92 또는 102)의 높이와 체크 링크(4)의 상부 또는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 사이의 이러한 치수 관계로 인해,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1)에 있어서, 천공된 보스부(42)의 횡방향 크기(W1)는 플라스틱 커버(7)의 정지면 부분(41)의 횡방향 크기(W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천공된 보스부(42)의 측면에 대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 각각의 접촉 영역은 상술한 공지된 도어 체커에 비해 수직 방향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벽(92)의 전방 단부면과 돌출된 슬라이딩부(101) 사이의 거리 및 가이드 벽(102)의 전방 단부면과 돌출된 슬라이딩부(91) 사이의 거리가 모두 추론되며, 따라서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에 놓일 때,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는 보장되거나 확실한 경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수동 작업에 의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벽(92 또는 102)의 높이가 천공된 보스부(42)에서 상부 또는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 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또는 하부 플라스틱 커버(7)는, 체크 링크(4)가 두 개의 프레스 슈(9, 10)의 가이드 벽(92, 102)에 의해 횡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될 때에도 금속판(6)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스크랩(scrap)되는 것이 억제된다.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D)가 완전-폐쇄 위치를 취할 때, 즉 체크 박스(5)의 두 개의 프레스 슈(9, 10)가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를 홀드시킬 때, 두 개의 프레스 슈(9, 10)와 얇은 편평부(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취한다. 즉, 이 상태에서,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은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의 하면을 지나서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홈(103) 내로 하향 돌출하며, 동시에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은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의 상면을 지나서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홈(93) 내로 상향 돌출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은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의 우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동시에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은 체크 링크(4)의 얇은 편평부(44)의 좌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에 간섭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체크 링크(4)의 횡방향 변위가 억제된다.
또한,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의 우측면은 케이스(8)의 우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홈(93)의 바닥부는 케이스(8)의 좌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며, 동시에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의 좌측면은 케이스(8)의 좌측벽의 내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홈(103)의 바닥 벽은 케이스(8)의 우측벽의 내벽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상하 이동 중에 케이스(8)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차량 도어(D)가 완전-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체크 링크(4)를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홀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자동차의 주행 하에서도, 체크 링크(4)의 진동에 의해 초래될 바람직하지 않은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어 체커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체크 박스에 사용되는 한 쌍의 프레스 슈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7과 유사하지만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체크 박스를 도시하며, 도 15는 도 10과 유사하지만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체크 박스를 도시한다.
도 13을 도 6과 비교할 때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체크 박스(5')의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의 가이드 홈(93, 103)에 대응하는 수단을 갖지 않는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가이드 벽(92', 102')만을 가지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는 그 사이에 체크 링크(4)가 배치되도록 케이스(8) 내에 점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스 슈(9', 10')가 체크 링크(4)의 두꺼운 편평부(44)를 홀드시키기 위한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은 체크 링크(4)의 우측 에지 및 하부 프레스 슈(10')의 우측면 양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은 체크 링크(4)의 좌측 에지 및 상부 프레스 슈(9')의 좌측면 양자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스 슈(9')의 가이드 벽(92')의 높이는 천공된 보스부(42)에서 상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보다 크며, 하부 프레스 슈(10')의 가이드 벽(102')의 높이도 천공된 보스부(42)에서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보다 크다.
체크 링크(4)의 상부 또는 하부 플라스틱 커버(7)의 두께(H3)와 벽(92' 또는 102')의 높이 사이의 이러한 관계로 인해, 두 개의 프레스 슈(9', 10') 사이로의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의 고유 구조로 인해, 가이드 벽(92', 102')의 돌출 정도가 제1 실시예의 가이드 벽(92, 102)의 돌출 정도에 비해 높으며, 이는 체크 링크(4)의 천공된 보스부(42)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9', 10')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될 때 체크 링크(4)로의 확실한 안내를 촉진한다.
2011년 3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59237호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당업자라면 이러한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며,
    차체와 차량 도어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 상기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파형 정지부가 형성되는 긴형상부, 및 상기 긴형상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형 스토퍼를 구비하는 체크 링크와,
    상기 차체와 차량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체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박스는 체크 링크를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서 편향하기 위한 편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돌출된 가이드 벽이 형성되고,
    상기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는 상기 체크 링크에 제공되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가이드 벽 사이에는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의 폭은 체크 링크의 파형 정지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어 체커 유닛.
  2.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며,
    도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개구가 관통 형성된 케이스와,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서 헤드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단부로 연장되는 체크 링크와,
    체크 링크가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 편향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 링크는 긴형상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에 성형 플라스틱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금속판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이 제공되는 부분에서 폭이 체크 링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보스부의 두께는 보스부와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체크 링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체크 링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면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프레스 슈의 돌출된 슬라이딩부 사이에 체크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벽 사이에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도어 체커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상호 점대칭적으로 보이도록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도어 체커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슈 중 하나의 가이드 벽은 다른 프레스 슈의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측방 단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내부면을 갖도록 크기를 갖는, 도어 체커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슈의 가이드 벽 각각의 내부면은 체크 링크의 측방 에지부 및 대응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측방 단부면 양자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릿지를 갖는 지붕 형상인, 도어 체커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가이드 벽이 제공되는 측단부와 대향하는 횡방향 측단부로부터 오목한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파트너의 슈의 가이드 벽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도어 체커 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의 높이는 보스부가 제공되는 부분에서 체크 링크의 플라스틱 커버의 두께보다 큰, 도어 체커 유닛.
  8.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이며,
    도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개구가 관통 형성된 케이스와,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서 헤드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선단부로 연장되는 체크 링크와,
    체크 링크가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를 체크 링크를 향해 편향하기 위해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 링크는 긴형상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에 성형 플라스틱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을 구성하도록 금속판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링크의 베이스 단부는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이 제공되는 부분에서 폭이 체크 링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꺼운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두꺼운 보스부의 두께는 보스부와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파형 정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체크 링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의 각각에는, 체크 링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면하는 돌출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일단부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 벽과, 상기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타단부로부터 오목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프레스 슈의 돌출된 슬라이딩부 사이에 체크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벽 사이에 체크 링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 벽이 각 파트너의 프레스 슈의 가이드 홈 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도어 체커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슈는 상호 점대칭적으로 보이도록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도어 체커 유닛.
KR1020120027089A 2011-03-17 2012-03-16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KR20120106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9237A JP2012193567A (ja) 2011-03-17 2011-03-17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JP-P-2011-059237 2011-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644A true KR20120106644A (ko) 2012-09-26

Family

ID=4682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89A KR20120106644A (ko) 2011-03-17 2012-03-16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33813A1 (ko)
JP (1) JP2012193567A (ko)
KR (1) KR20120106644A (ko)
CN (1) CN20257823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7624B1 (fr) * 2010-03-17 2021-01-22 Exsto Dispositif d’ecartement d’un element ouvrant par rapport a un element fixe, notamment d’un vehicule automobile
US8414062B2 (en) * 2011-08-04 2013-04-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hase closure check link mechanism
JP6064239B2 (ja) * 2012-08-10 2017-01-2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6007745B2 (ja) * 2012-11-20 2016-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駆動装置
US9068388B2 (en) * 2013-04-30 2015-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rain distribution check link assembly
RO129003B1 (ro) 2013-05-27 2015-08-28 Aka Automotiv S.R.L. Opritor de uşă în trepte
US9316032B2 (en) 2014-03-04 2016-04-19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checker
TWI584972B (zh) * 2014-04-08 2017-06-01 信昌機械廠股份有限公司 限制結構及具有該結構的車門限位裝置
JP6374256B2 (ja) * 2014-07-25 2018-08-1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チェッカ
JP6725870B2 (ja) * 2016-02-26 2020-07-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US9822570B2 (en) * 2016-03-29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ally closing vehicle door
JP6578548B2 (ja) * 2016-04-26 2019-09-2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CN106088867A (zh) * 2016-06-30 2016-11-09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防异响的限位器滑块结构
US10487555B2 (en) * 2017-08-10 201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eck link assembly and a vehicle that utilizes the check lin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7046A (en) * 1940-07-17 1941-04-01 Adolph H Breitenwischer Releasable holding device for closures
JPS5838135Y2 (ja) * 1978-10-28 1983-08-29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ク機構におけるチェック装置
JPH0423171Y2 (ko) * 1986-09-30 1992-05-28
US5074010A (en) * 1989-09-18 1991-12-24 Thunderline Corporation Vehicle door check mechanism
GB2266338B (en) * 1992-03-21 1996-05-15 Ihw Eng Ltd Door check mechanism
US5474344A (en) * 1994-03-30 1995-12-12 Bloxwich Korea Co., Ltd. Multi-stage door opening device
JP3052059B2 (ja) * 1996-03-22 2000-06-12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3655725B2 (ja) * 1997-03-07 2005-06-0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チェック装置
GB2358673B (en) * 1999-12-09 2003-03-12 Bloxwich En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 checks
DE10025185C2 (de) * 2000-05-20 2002-12-19 Edscha Ag Kugeldruckgleiter-Türfeststeller
US6446305B1 (en) * 2000-08-29 2002-09-10 Dura Global Technologies Rollerless door check mechanism
JP2002249003A (ja) * 2001-02-22 2002-09-03 Yazaki Corp ドアチェッカハーネス
KR20030016658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JP3542343B2 (ja) * 2001-10-16 2004-07-14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3742036B2 (ja) * 2002-07-11 2006-02-01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20040060150A1 (en) * 2002-09-30 2004-04-01 Krozek Jeffrey C. Door jig assembly for use during manufacture of a vehicle
DE10302552A1 (de) * 2003-01-22 2004-08-12 Edscha Ag Türfeststeller
DE10302549B4 (de) * 2003-01-22 2013-05-08 Edscha Engineering Gmbh Türfeststeller
JP2004316299A (ja) * 2003-04-17 2004-11-11 Riken Kaki Kogyo Kk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7793387B2 (en) * 2004-08-30 2010-09-14 M.T.M. Pty Ltd. Door check
US7383614B2 (en) * 2005-01-13 2008-06-10 Rikenkaki Kogyo Kabushiki Kaisha Door checker for automobile
US7143473B2 (en) * 2005-01-13 2006-12-05 Rikenkaki Kogyo Kabushiki Kaisha Door checker for automobile
DE102005030699A1 (de) * 2005-06-29 2007-01-04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Türfeststeller für Kraftfahrzeuge
JP4364171B2 (ja) * 2005-07-15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4474339B2 (ja) * 2005-07-1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4590326B2 (ja) * 2005-08-22 2010-12-01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7469944B2 (en) * 2006-04-04 2008-12-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checker having a water management dam
KR100797615B1 (ko) * 2006-04-21 2008-01-28 주식회사 동아오토모티브 복합형 도어 체커
US7908709B2 (en) * 2007-02-01 2011-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eck link assembly
JP4857440B2 (ja) * 2007-05-28 2012-01-1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チェッカ
JP5004058B2 (ja) * 2008-11-11 2012-08-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チェックリンク装置
US8366175B2 (en) * 2010-04-29 2013-02-05 Honda Motor Co., Ltd. Door checker drive mechanism
JP5239101B2 (ja) * 2011-03-29 2013-07-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93567A (ja) 2012-10-11
US20120233813A1 (en) 2012-09-20
CN202578232U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6644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유닛
KR101342350B1 (ko) 차량용 도어 체크 링크 장치
JP5146620B2 (ja) 車両ドアの固定装置
JP7053251B2 (ja)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JP4761482B2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36169B2 (en) Door weather strip
WO2012018078A1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US20210078391A1 (en) Vehicle opening-closing structure
EP2937498A1 (en) Fixing device for vehicle doors
US20160185196A1 (en) Vehicle sunroof device
US8534749B2 (en) Roof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042407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US10897095B2 (en) Terminal cover
KR20130042408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13004240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6925096B2 (ja) 射出成形金型
JP2017140891A (ja) 車両用ピラートリムアッセンブリ
JP2603878Y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ー
JP6690824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CN112004982B (zh) 汽车用车门开度限位装置
JP5154614B2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US20190315205A1 (en) Sunroof device
CN112041181B (zh) 车辆的侧门构造
JP7183999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装置
CN216128112U (zh) 车辆用车门开度限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