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006A -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006A
KR20120101006A KR1020127013087A KR20127013087A KR20120101006A KR 20120101006 A KR20120101006 A KR 20120101006A KR 1020127013087 A KR1020127013087 A KR 1020127013087A KR 20127013087 A KR20127013087 A KR 20127013087A KR 20120101006 A KR20120101006 A KR 2012010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cket
frame sleeve
sleeve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432B1 (ko
Inventor
귀도 바부케-룬테
안드레아스 카틀러
안드레아스 슈투펠
헬무트 마이어
베른트 마이어
데니스 미헬스비르트
로만 헤르촉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0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1Drawers being constructed from two or mo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2Drawers with hollow lateral walls in two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U-형상 또는 개략적으로 U-형상 횡단면 및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6)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5)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래킷 어댑터는 플러그 연결부(7)에 의해 브래킷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내부면 상에서 상기 슬리브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연결부(7) 각각은 실질적으로 측부 림(5a) 상에 제공된 포켓(8) 및 상기 포켓(8)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슬리브(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래킷 어댑터(6) 상의 설형부(9)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형부(9) 각각은 리세스(10)의 구역에 위치되고 각각의 리세스(10)에는 설형부(9)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지부(10a)가 제공되고, 상기 정지부는 포켓(8)의 제 1 측면 구획 리브(8a)에 대해 놓여, 각각의 리세스(10)는 제 2 측면 구획 리브(8b)에 결합하여 포켓(8)의 제 2 측면 구획 리브(8b)에 놓이는 고정 로브(10b)를 가짐으로써 설형부(9)가 포켓(8)으로부터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BRACKET SLEEVE HAVING AT LEAST ONE BRACKET ADAPTER}
본 발명은 U-형상 또는 개략적으로 U-형상 횡단면 및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를 가지는 프레임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는 플러그-인 연결부(plug-in connection)에 의해 프레임 슬리브의 측부 림의 내측면 상에서 프레임 슬리브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측부 림 상에 제공된 포켓 및 상기 포켓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프레임 슬리브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어댑터 상의 설형부(tongue)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형부는 각각 리세스의 구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를 구비한 프레임 슬리브가 공지된다.
프레임 슬리브 내의 프레임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은 예를 들면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의 작동 레일과 서랍의 프레임 슬리브를 커플링하기 위한 연결 또는 터미널 부품을 형성하며 높이 조정 디바이스, 자동 수축 장치, 댐퍼 등과 같은 추가의 기능적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로 제공된다.
장착의 단순화가 일반적으로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한 프레임 슬리브와 프레임 어댑터의 연결에 의해 달성된다.
현재의 공지된 구성에서, 삽입 방향에 대한 각각의 프레임 어댑터의 이동 및 이에 의한 프레임 슬리브로부터의 프레임 어댑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포켓 내로 설형부의 완전한 삽입 후 프레임 슬리브에 대해 설형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한번 더 프레임 어댑터를 변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가 고정 이동은 최종 소비자에 의한 수동 조립에 대해 그리고 또한 제조자에 의한 기계적 장착에서 단점이 되며, 이는 각각의 경우 프레임 슬리브에 대한프레임 어댑터의 제 2 운동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슬리브 상의 프레임 어댑터의 고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든 리세스에 설형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지부(stop)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달성되며, 상기 정지부는 포켓의 제 1의 측면 구획 리브(first lateral delimiting lib) 상에 놓여 각각의 리세스는 제 2 측면 구획 리브 뒤로 결합되는 포켓의 제 2 측면 구획 리브 상에 놓이는 고정 로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설형부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프레임 슬리브와 단지 하나의 연결 방향으로 프레임 어댑터를 연결하는것을 허용하고, 프레임 어댑터 및 선택적으로 프레임 슬리브의 재료의 탄력성(resilient capability)이 포켓의 에지 구역 너머 외부 상의 각각의 고정 로브를 고정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고정 로브는 따라서 연장된 포켓의 각각의 에지 구역 위로 포켓 내로 설형부의 삽입 동안 안내되고 이에 따라 약간 리프팅된다. 각각의 고정 로브가 각각의 포켓의 에지 구역 너머로 이동하면, 고정 로브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평면으로 다시 역으로 안내되고 이어서 포켓의 제 2 구획 리브 뒤에 결합함으로써 포켓의 제 2 구획 리브 상에 놓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프레임 어댑터는 프레임 슬리브에 대해 변위에 대한 3개의 좌표 방향으로 고정된다. 설형부는 유용하게는 직각 굽힘부가 상부 구역에 제공되며, 연결 후 프레임 슬리브의 내부 상에 놓여 경사 모멘트에 대해 작용한다. 모든 체결 수단이 프레임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따라서 외부로부터 볼 수 없고 이에 따라 프레임 슬리브의 외관을 부정적으로 손상시키기 않는다.
프레임 슬리브에 대한 프레임 어댑터의 추가 고정은 예를 들면, 접착, 프레싱 또는 용접에 의해 재료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록킹 및/또는 형상-조립 방식으로 장착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슬리브로부터 프레임 어댑터의 분리가 선택된 연결 타입의 결과로서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강제적이지 않다. 그러나, 부가 고정은 연결 영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임의의 헐거움(play)이 프레임 어댑터와 프레임 슬리브 사이의 임의의 상대적인 운동을 형성할 수 없어, 잠재적으로 혼란스러운 소음 발전이 회피될 수 있도록 하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포켓의 제 2 구획 리브가 고정 로브를 포켓 너머 고정 위치 내로 전달하기 위한 가이드를 형성할 때 특히 유용하다.
일 실시예는 제 2 구획 리브가 설형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식으로(in an oblique manner) 그리고 프레임 슬리브의 측면 리브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in an inclined manner) 연장하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다.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리세스의 구획 에지는 설형부가 또한 제공되는 리세스 내의 프레임 어댑터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구획 에지가 연결 프로세스 동안 제 2 구획 리브를 따라 이동하여 한편으로 연결 프로세스 동안 감소된 마찰력의 결과로서 고정 로브의 약간의 리프팅을 생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소정의 거리 후 포켓에 대한 설형부의 위치결정을 지지한다.
추가의 삽입 운동의 결과로서, 각각의 고정 로브는 고정 로브가 포켓을 통과한 후 원래 위치로 역으로 되튈 수 있을 때까지(spring back) 원래 위치로부터 느리게 상승하는 방식으로 리프트되고 포켓의 외부에 걸쳐 안내될 것이다.
슬라이딩 리프팅의 결과로서, 프레임 슬리브 및/또는 프레임 어댑터의 구역에서의 표면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어, 두 개의 부품들의 연결에 의해 표면 처리를손상하지 않고 연결하기 전에 요구되는 경우 양 부품이 표면-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피쳐는 추가의 종속 청구항들의 주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동봉된 도면에 도시되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프레임 슬리브를 구비한 서랍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화살표(II)의 방향으로 도 1에 따른 서랍의 프레임 슬리브의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라인(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양 부품들의 연결 전의 프레임 슬리브 및 프레임 슬리브에 연결될 수있는 프레임 어댑터의 단순화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프레임 슬리브 및 프레임 어댑터의 조립 후 도 4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라인(VI-VI)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프레임 슬리브와 프레임 어댑터 사이의 연결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도면 부호 VIII로 표시된 상세부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4의 도면부호 ΙΧ로 표시된 상세부의 확대도이다.
도 1은 전체가 도면부호 1로 표시되고 정면 패널(2), 후방 패널(3) 및 두 개의 측면 패널(4)을 포함하는 서랍을 보여주며, 상기 측면 패널은 각각 도 3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6)를 구비한 프레임 슬리브 또는 측면 패널 케어링(caring)(5)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슬리브(5)는 개략적으로 U-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6)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7로 표시되는 두 개 이상의 플러그-인 연결부(특히 도 5 참조)에 의해 프레임 슬리브(5)에 연결된다.
플러그-인 연결부(7)는 실질적으로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에 형성된 포켓(8) 및 프레임 어댑터(6) 상의 포켓(9)에 의해 형성되며, 설형부(9)는 프레임 슬리브(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포켓(8) 내로 삽입가능하다.
프레임 어댑터(6)의 설형부(9)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10)의 구역에 각각 배치된다.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 상의 포켓(8)은 접혀진 재료 스트립(5b)의 구역 내에 배치되고 접혀진 재료 스트립(5b)로부터 돌출한다. 설형부(9)의 재료 두께 내의 공동이 측부 림(5a)을 향하여 생성되는 정도로 포켓(8)이 펀칭된다. 측부 림(5a)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에 대한 프레임 어댑터(6)의 고정은 따라서 포켓(8) 내에 결합되는 설형부(9)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형부(9)에는 재료 스트립(5b)의 재료 두께에 개략적으로 대응하는 굽혀진 부분(9a)이 전방 구역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설형부(9)가 삽입될 때 설형부(9)의 자유 단부(9b)는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내부에 놓이며 따라서 측부 림(5a)의 방향으로 프레임 어댑터(6)의 잠재적인 경사 운동을 방지한다.
포켓(8)에는 각각 제 1 구획 리브(8a) 및 제 2 구획 리브(8b)가 제공된다. 제 1 구획 리브(8a)는 측부 림(5a)의 바닥 구획 에지(5c)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반면 각각의 포켓(8)의 제 2 구획 리브(8b)가 바닥 구획 에지(5c)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연장한다. 포켓(8) 내로의 설형부(9)의 삽입 방향이 또한 측부 림(5a)의 하부 구획 에지(5c)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포켓(8)의 제 1 구획 리브(8a)가 삽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포켓(8)의 제 2 구획 리브(8b)는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식으로 연장한다고 언급될 수 있다.
노칭(notching; 8c)은 제 1 구획 리브(8a)의 바닥 단부에서 정지면(8d)을 형성하는 제 1 구획 리브(8)의 영역에 제공된다.
정지부(10a)는 프레임 어댑터(6)의 리세스(10)의 구역에 제공되며, 상기 정지부는 설형부(9)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포켓(8) 내로 설형부(9)의 삽입 완료 후 포켓(8)의 제 1 구획 리브(8a)의 정지면(8d) 상에 놓인다.
고정 로브(10b)는 프레임 어댑터(6)의 리세스(10)의 구역 내에 추가로 제공된다.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식으로 그리고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연장하며 상기 고정 로브(10b)가 제 2 구획 리브(8b)의 안내 영역으로부터 이동될 때까지 고정 로브의 원래 평면으로부터 약간 리프팅되는 제 2 구획 리브(8b)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 로브(10b)가 포켓(8) 위로 안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고정 로브(10b)는 재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의 포켓(8) 뒤에 결합되어, 이제 프레임 어댑터(6)의 설형부(9), 및 이에 따라 명백하게 또한 전체 프레임 어댑터(6)가 프레임 슬리브(5)로부터 우연히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 로브(10b)의 구역에 인접한 구획 에지(10c 및 10d)는 포켓의 구획 리브(8b)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즉 상기 구획 에지(10c 및 10d)가 언급한 구획 리브(8b)와 프레임 어댑터(6)의 삽입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연장한다. 특히 리세스(10)의 상부 구획 에지(10c)의 기울어진 배치의 결과로서, 고정 로브(10b)의 구역에는 포켓(8)을 넘어 가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한 탄력성이 제공된다.
설형부(9)의 폭은 포켓(8)의 삽입 개구(8e)의 폭에 대응하여, 프레임 어댑터(6)가 프레임 어댑터(6) 및 프레임 슬리브(5)의 조립 후 상술된 구성에 의해 3개의 좌표 방향으로 프레임 슬리브(5)에 대해 고정된다.
이는 DIY 광을 위한 그리고 또한 기계적 제조의 경우 모두 프레임 어댑터(6) 및 프레임 슬리브(5)의 간단한 장착을 초래하는데, 이는 단지 하나의 연결 방향이 고려 및 수행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출발하여, 포켓(8)이 펀칭되는 접혀진 재료 스트립(5b)은 또한 측부 림(5) 상으로 용접되거나 또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개별 재료 스트립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슬리브(5) 및 프레임 어댑터(6)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다. 또한 플라스틱으로부터 프레임 슬리브(5) 및/또는 프레임 어댑터(6)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모든 측면 상의 프레임 슬리브(5)에 대한 프레임 어댑터(6)의 고정은 단지 하나의 미리결정된 연결 방향에도 불구하고 다시 설명된다:
측부 림(5a)에 대해 수직한 프레임 어댑터(6)의 고정은 포켓(8) 내로 설형부(8)를 삽입함으로써 발생되며; 삽입 방향으로의 정지 제한부는 정지부(10a) 및 정지면(8d)에 의해 제공되며; 프레임 슬리브(5)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프레임 어댑터(6)의 변위가 삽입 개구(8e) 및 설형부(9)의 동일한 폭에 의해 방지되며; 그리고 연결 후 프레임 어댑터(6)의 수축은 상부 측 상의 포켓(8)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 로브(10b)에 의해 방지될 것이다.
소정 양의 헐거움이 제조 이유 때문에 전체 연결 시스템에 남아 있는 경우 그리고 이러한 헐거움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제조에 의해 발생된 헐거움을 제거하기 위한 부가 조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슬리브(5)와 프레임 어댑터(6) 사이가 접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한편에 있어서 임의의 지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요구되지 않는 용접 또는 스탬핑이 발생될 수 있다.
1 서랍
2 전방 패널
3 후방 패널
4 측면 패널
5 프레임 슬리브
5a 측부 림
5b 재료 스트립
5c 구획 에지
6 프레임 어댑터
7 플러그-인 연결부
8 포켓
8a 구획 리브
8b 구획 리브
8c 노칭
8d 정지면
8e 삽입 개구
9 설형부
9a 굽혀진 부분
9b 자유 단부
10 리세스
10a 정지부
10b 고정 로브
10c 구획 에지
10d 구획 에지

Claims (12)

  1. U-형상 또는 개략적으로 U-형상 횡단면 및 하나 이상의 프레임 어댑터(6)를 가지는 프레임 슬리브(5)로서,
    상기 프레임 어댑터는 플러그-인(plug-in) 연결부(7)에 의해 상기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내측면 상에서 상기 프레임 슬리브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7)는 실질적으로 상기 측부 림(5a) 상에 제공된 포켓(8) 및 상기 포켓(8)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슬리브(5)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프레임 어댑터(6) 상의 설형부(tongue; 9)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형부(9)는 리세스(10)의 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9)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지부(10a)가 모든 리세스(10)에 제공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포켓(8)의 제 1 측면 구획 리브(8a)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리세스(10)는 상기 포켓(8)의 제 2 측면 구획 리브(8b) 상에 놓여 상기 제 2 측면 구획 리브 뒤에 결합되는 고정 로브(10b)를 가짐으로써, 상기 설형부(9)가 상기 포켓(8)으로부터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켓(8)의 제 2 구획 리브(8b)는 상기 고정 로브(10b)가 상기 포켓(8)을 넘어 상기 고정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획 리브(8b)는 상기 설형부(9)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9)는 삽입 개구(8e)를 통하여 상기 포켓(8)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8e)의 폭은 상기 설형부(9)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 리브(8a)의 바닥 단부 구역에 노칭(8c)이 제공되며, 상기 노칭에 의해 상기 정지부(10a)를 위한 정지면(8d)이 상기 제 1 측면 구획 리브(8a)의 바닥 단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7)에 부가하여, 상기 프레임 어댑터(6)가 재료 연결, 인터록킹 및/또는 형상 조립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슬리브(5)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8)은 상기 프레임 슬리브(5)의 측부 림(5a)의 구획 에지(5c)에 대해 접혀지는 재료 스트립(5b)의 구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8)은 상기 프레임 슬리브(5)의 구획 에지(5c)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측부 림(5a)과 연결되는 개별 재료 스트립(5b)의 구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슬리브(5) 및/또는 상기 프레임 어댑터(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스트립(5b)의 재료 두께에 대응하는 굽혀진 부분(9a)이 모든 설형부(9)에 제공되어, 상기 설형부(9)의 자유 단부(9b)가 상기 장착 상태로 상기 측부 림(5a)의 내부면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로브(10b)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리세스(10)의 구획 에지(10c)가 상기 포켓(8)의 제 2 구획 리브(8b)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개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슬리브.
KR1020127013087A 2009-10-21 2010-10-14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KR101743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13393U DE202009013393U1 (de) 2009-10-21 2009-10-21 Zargenhülle mit mindestens einem Zargenadapter
DE202009013393.1 2009-10-21
PCT/EP2010/065410 WO2011048003A1 (de) 2009-10-21 2010-10-14 Zargenhülle mit mindestens einem zargen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006A true KR20120101006A (ko) 2012-09-12
KR101743432B1 KR101743432B1 (ko) 2017-06-05

Family

ID=4341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087A KR101743432B1 (ko) 2009-10-21 2010-10-14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490570B1 (ko)
JP (1) JP5668246B2 (ko)
KR (1) KR101743432B1 (ko)
CN (1) CN102665487B (ko)
AU (1) AU2010309984B2 (ko)
DE (1) DE202009013393U1 (ko)
ES (1) ES2524125T3 (ko)
PL (1) PL2490570T3 (ko)
RU (1) RU2521318C2 (ko)
TW (1) TW201117751A (ko)
WO (1) WO2011048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4023A1 (de) * 2011-09-28 2013-03-28 Paul Hettich Gmbh & Co. Kg Zargenhülle mit mindestens einem Zargenadapter
AT515527B1 (de) 2014-05-14 2015-10-15 Blum Gmbh Julius Schubladenseitenwand
DE202014104923U1 (de) * 2014-10-16 2016-01-19 Grass Gmbh Wandelement für eine Zarge sowie Zarge, Schublade und Möbel
DE202015100769U1 (de) * 2015-02-18 2016-05-19 Grass Gmbh Abdeckelement für Befestigungsorgan Modul i
DE202015001489U1 (de) * 2015-02-25 2016-05-30 Grass Gmbh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in einem Möbelkorpus über eine Führungseinheit beweglich geführten Möbelauszugs mit der Führungseinheit
AT518076B1 (de) * 2015-12-22 2017-07-15 Blum Gmbh Julius Schubladenseitenwand
DE202017100445U1 (de) * 2017-01-27 2018-04-30 Grass Gmbh Wandelement für eine Zarge einer Schublade
DE102018102381A1 (de) * 2018-02-02 2019-08-08 Paul Hettich Gmbh & Co. Kg Zarge für einen Schubkasten
DE102019122860A1 (de) * 2019-08-26 2021-03-04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WO2021032539A1 (de) 2019-08-21 2021-02-25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2828U1 (ko) * 1991-03-09 1991-05-29 Bene Bueromoebel Kg, Waidhofen, At
DE9305716U1 (ko) * 1993-04-16 1993-07-29 Grass Ag, Hoechst, Vorarlberg, At
JP3734319B2 (ja) * 1996-10-18 2006-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引出し装置
AT409069B (de) * 1997-07-03 2002-05-27 Blum Gmbh Julius Schubladenzarge
DE20209416U1 (de) * 2002-06-17 2003-10-30 Alfit Ag Goetzis Anordnung für die Verbindung einer Schubladenzarge mit dem Boden einer Schublade
DE20304159U1 (de) * 2003-03-15 2003-05-28 Hettich Paul Gmbh & Co Aus mehreren Einzelteilen bestehender Aufsatz eines Schubkastens
AT6773U1 (de) * 2003-05-22 2004-04-26 Blum Gmbh Julius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frontblende an einer schublade
DE20308936U1 (de) * 2003-06-07 2003-08-28 Jul Niederdrenk Gmbh & Co Kg Möbel
AT7533U1 (de) * 2004-07-09 2005-05-25 Blum Gmbh Julius Schubkasten, insbesondere für einen spülenunterschrank
AT7847U1 (de) * 2004-09-03 2005-10-17 Blum Gmbh Julius Schubladenzarge
DE202005001281U1 (de) * 2005-01-27 2005-03-31 Hettich Paul Gmbh & Co Kg Schubkasten mit zwei Seitenzargen und einer Blende
DE102005021593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eleskopauszugsanordung
DE202005018788U1 (de) * 2005-12-01 2007-04-12 Hettich Paul Gmbh & Co Kg Teleskopführung für ein in einem Möbelkorpus verschiebbar angeordnetes Möbelteil
DE202007001783U1 (de) * 2006-09-08 2008-01-10 Paul Hettich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an einem Schubkasten
DE202007001782U1 (de) * 2006-09-08 2008-01-10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DE202007001781U1 (de) * 2006-09-08 2008-01-10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DE202007001780U1 (de) * 2006-09-08 2008-01-10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DE602007005908D1 (de) * 2006-12-15 2010-05-27 Harn Marketing Sdn Bhd Eckbeschlag
DE102008024673A1 (de) * 2008-05-21 2009-11-26 Lautenschläger, Horst Seitenzarge für eine Möbelschublade
CN201295002Y (zh) * 2008-11-10 2009-08-26 伍志勇 抽屉壁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19730A (ru) 2013-11-27
DE202009013393U1 (de) 2011-03-03
TW201117751A (en) 2011-06-01
EP2490570B1 (de) 2014-08-20
KR101743432B1 (ko) 2017-06-05
EP2490570A1 (de) 2012-08-29
CN102665487A (zh) 2012-09-12
AU2010309984B2 (en) 2014-11-06
JP5668246B2 (ja) 2015-02-12
ES2524125T3 (es) 2014-12-04
WO2011048003A1 (de) 2011-04-28
CN102665487B (zh) 2014-11-12
PL2490570T3 (pl) 2015-02-27
RU2521318C2 (ru) 2014-06-27
JP2013508044A (ja) 2013-03-07
AU2010309984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432B1 (ko) 하나 이상의 브래킷 어댑터를 가지는 브래킷 슬리브
CN101020439B (zh) 雨水传感器的固定夹
CN110267568B (zh) 抽屉
CN111629633B (zh) 用于抽屉的前面板
JP2013508044A5 (ko)
CN117052760A (zh) 紧固夹
JP6470962B2 (ja) 照明装置の取付構造、車両用内装部品及びドアパネル
JP2013533033A (ja) 引抜き部分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家具
JP5258794B2 (ja) 家具本体の中の固定装置
JP2012191081A (ja) 壁掛け金具取付け部材の装着部構造
JP6002327B2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JP5995859B2 (ja) 引き出し容器の容器レール
EP2489887B1 (en)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tool
US2023029291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walled drawer frame by hand and/or by machine
CN110234250B (zh) 用于组装抽屉的适配器和方法
US20200072535A1 (en) Door Rack Having a Bottom Latched on a Basic Body,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oor Rack
CN104363793A (zh) 抽屉后壁
JP3302831B2 (ja) 電気機器取付装置
KR200457449Y1 (ko) 단자 이중 지지 및 작업성 향상 구조를 갖는 커넥터
CN111629632B (zh) 抽屉侧壁
CN218832333U (zh) 一种适用于抽屉导轨的功能盒外挂安装结构
JP4690847B2 (ja) パネル保持具
JP2014005624A (ja) 棚取付用壁付金具
JP2016120736A (ja) バンパークリップ
JP3528790B2 (ja) 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