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307A -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307A
KR20120093307A KR1020127013416A KR20127013416A KR20120093307A KR 20120093307 A KR20120093307 A KR 20120093307A KR 1020127013416 A KR1020127013416 A KR 1020127013416A KR 20127013416 A KR20127013416 A KR 20127013416A KR 20120093307 A KR20120093307 A KR 2012009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processing aid
alkyl methacrylat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618B1 (ko
Inventor
신야 히라이
요우코 하타에
마사아키 기우라
도시히로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용융 장력, 유동성 및 지게미(目脂) 억제 효과가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제공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1만 5000 내지 14만 500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PROCESSING AID FOR POLYOLEFIN RESINS,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PRODUCTS}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경량이며, 강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리사이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계적,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용 부재, 가전용 부재, 의료용 부재, 건축용 부재, 포장용 자재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성형 가공성은 결코 만족할 수 없는 것이어서,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고분자량화하여 용융 장력을 높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고분자량화에 의해 성형 가공성의 하나의 지표인 유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우수한 용융 장력과 우수한 유동성이 양립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질량 평균 분자량 15만 내지 2000만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서 제안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융 장력과 유동성은 개선되었지만, 고도화되는 용융 장력과 유동성의 요구 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국제공개 제2009/060936호 팜플렛 일본 특허공개 평11-10047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즉 용융 장력, 유동성 및 지게미(目脂) 억제 효과가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1만 5000 내지 14만 500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B)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는 분체 취급성이 우수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B)에 배합함으로써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즉 용융 장력, 유동성 및 지게미 억제 효과가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22, 23, 비교예 24 내지 27에서 이용하는 이형 다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8 내지 10, 비교예 10 내지 12에서의 질량 평균 분자량과 MFR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8 내지 10, 비교예 10 내지 12에서의 질량 평균 분자량과 용융 장력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가 주성분이다.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는 전체 단량체 단위 100질량%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이며, (a1) 단위의 함유율이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a1) 단위의 함유율이 8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의 함유율이 5 O질량% 이상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어 용융 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뷰틸메타크릴레이트, i-뷰틸메타크릴레이트, sec-뷰틸메타크릴레이트, t-뷰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틸뷰틸메타크릴레이트, 3-메틸뷰틸메타크릴레이트, 3-펜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t-뷰틸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분체 취급성이 우수하다는 것 때문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어 용융 장력이 우수하다는 것 때문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4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과 유동성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 때문에, i-뷰틸메타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a)으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이외에, 필요에 따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a2)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른 단량체(a2)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이상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단량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뷰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시안화바이닐 단량체; 바이닐메틸에터, 바이닐에틸에터 등의 바이닐에터 단량체; 아세트산바이닐, 뷰티르산바이닐 등의 카복실산바이닐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뷰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다이메틸뷰타다이엔 등의 다이엔계 단량체;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트)아크릴로일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광 안정화능기 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성이 좋고,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열분해를 억제한다는 것 때문에, 알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낸다.
단량체 성분(a)의 조성비로서는, 단량체 성분(a) 10O질량%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 다른 단량체(a2)의 함유율이 50질량% 이하이며, (a1)의 함유율이 70질량% 이상, (a2)의 함유율이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a1)의 함유율이 80질량% 이상, (a2)의 함유율이 2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어 용융 장력이 우수하다.
다른 단량체(a2)의 함유율이 50질량% 이하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어 용융 장력이 우수하다.
단량체 성분(a)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 이온 중합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생산성이 양호하다는 것 때문에, 라디칼 중합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a)의 중합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유화 중합, 무-비누(soap free) 중합, 미세 현탁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용액 중합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분체 형상 또는 과립 형상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유화 중합, 현탁 중합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a)을 유화 중합으로 중합할 때에 이용하는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고분자 유화제,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설폰산계 염 화합물, 황산계 염 화합물, 인산에스터계 염 화합물 등의 음이온성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a)을 현탁 중합으로 중합할 때 이용하는 분산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전분말 실리카 등의 수난용성 무기 화합물;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스 유도체 등의 비이온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메트)아크릴산 및 그의 염, 메타크릴산에스터와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염의 공중합체 등의 음이온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극소량으로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음이온계 고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a)의 중합에 이용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계 화합물;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페닐아조-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등의 지용성 아조계 화합물;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메틸-N-[2-(1-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메틸-N-[2-(1-하이드록시뷰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2-(3,4,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일)프로페인]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2-메틸프로핀아미딘) 및 그 염류, 2,2'-아조비스[N-(2-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 및 그 염류 등의 수용성 아조계 화합물;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등의 유기 과산화물; 상기 과황산염계 화합물 또는 유기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각종 중합법에 의해 중합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는, 각각의 중합법에 적합한 방법으로, 분체 또는 과립으로서 중합계로부터 취출(取出)하면 좋다.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유화 중합으로 중합한 경우에서, 중합체(A)의 라텍스로부터 중합체(A)를 취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응석법(凝析法), 스프레이 드라이법, 원심 분리법, 동결 건조법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수득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분체의 균일성이 양호하게 된다는 것 때문에, 응석법, 스프레이 드라이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석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 라텍스를 응석제에 접촉시켜, 교반하면서 응석시켜 슬러리로 하고, 탈수 건조시키는 것으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분체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응석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류; 개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류; 황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의 무기염류; 아세트산칼슘 등의 유기염류를 들 수 있다.
스프레이 드라이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 라텍스를, 입구 온도 120℃ 내지 220℃, 출구 온도 40 내지 90℃의 조건으로, 스프레이 건조기에 의해 분무 건조시키는 것으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분체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스프레이 드라이법에서의 출구 온도로서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분체의 일차 입자로의 해쇄성(解碎性)이 우수하다는 것 때문에, 4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현탁 중합으로 중합한 경우에서는, 여과하여 중합체(A)를 취출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만 5000 내지 14만 5000이며, 2만 내지 13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만 5000 내지 1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1만 5000 이상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용융 장력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14만 5000 이하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질량 평균 분자량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합 개시제 양을 조정하는 방법, 연쇄 이동제 양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n-옥틸머캅탄, n-테트라데실머캅탄, n-헥실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사염화탄소, 브롬화에틸렌 등의 할로젠화물; α-메틸스타이렌 다이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 이용하는 연쇄 이동제의 종류, 단량체 성분(a)의 구성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는, 동일한 중합체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조성, 분자량, 입자 직경 등이 다른 중합체를 2종 이상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는, 본 발명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 이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B)의 본래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충전제, 난연제, 안정화제, 윤활제, 발포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는, 후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첨가제의 예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우위량(優位量)의 올레핀계 단량체와 열위량(劣位量)의 바이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올레핀계 단량체와 다이엔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올레핀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1-옥텐, 1-데센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수득되는 성형체의 범용성의 관점에서, 에틸렌,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뷰텐,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수득되는 성형체의 범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바 테크HD HJ360」, 「노바 테크HD HY420」,「노바 테크HD HE421」, 「노바 테크HD JF313」(상품명, 니폰폴리에틸렌(주)제); 「하이젝스」(상품명, (주)프라임폴리머제); 「미네론」, 「미네에스」,「미네판」(상품명, 산쿄폴리에틸렌(주)제)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바 테크PP FY4」, 「노바 테크PP MA3」, 「노바 테크PP BC03B」, 「노바 테크PP BC06C」, 「윈테크」, 「뉴콘」, 「뉴포머」(상품명, 니폰폴리프로(주)제); 「프라임폴리프로 J105G」, 「프라임폴리프로 B241」(상품명, (주)프라임폴리머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폴리아이소뷰틸렌, 폴리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뷰틸 고무, 나이트릴 뷰틸 고무 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것들 중에서도, 수득되는 성형체의 범용성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의 비결정성 또는 미결정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뷰텐;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EPDM을 가교한 부분 가교물 또는 완전 가교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IS), 스타이렌-아이소프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IBS) 등의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공중합체(SEBS), 수첨 SEBS,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EPS), 스타이렌-뷰타다이엔?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부분 수첨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의 부분 또는 완전 수첨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B)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함유율로서는, 수득되는 성형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이용하는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이미 배합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미라스토머 5030N」, 「미라스토머 6030N」, 「미라스토머 7030N」, 「미라스토머 8030N」, 「미라스토머 2600B」(상품명, 미쓰이화학(주)제); 「사모란 5800B」, 「사모란 5850N」, 「사모란 3855B」(상품명, 미쓰비시화학(주)제); 「에스폴렉스 3785」,「에스폴렉스 820」,「에스폴렉스 822」(상품명, 스미토모화학(주)제); 「산토프레인 101-55」, 「산토프레인 121-68W228」, 「산토프레인 121-50M100」(상품명, 엑손 모빌사제)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배합량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상기 배합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과 유동성이 우수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상기 배합량이 2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B)의 본래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0질량부인 경우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충전제, 난연제, 안정화제, 윤활제, 발포제, 가소제, 고무용 연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할 수도 있다.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타이타늄 화이트, 화이트 카본, 카본 플래크, 유리 섬유, 탄소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충전제의 배합량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상기 배합량이 O.1질량부 이상이면, 충전제의 배합 효과가 충분히 발현한다. 또한, 충전제의 상기 배합량이 40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B)의 본래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뷰틸포스페이트, 트라이옥틸포스페이트, 트라이뷰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질포스페이트, 크레질페닐포스페이트, 옥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알콕시 치환 비스페놀A 비스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논비스포스페이트, 레졸신비스포스페이트, 트라이옥시벤젠트라이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터 화합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옥타브로모다이페닐에터,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트라이브로모페놀, 할로젠화 비스페놀A와 에피할로하이드린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할로젠화 에폭시 올리고머, 할로젠화 비스페놀A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카보네이트 올리고머, 할로젠화 폴리스타이렌,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바이닐 등의 할로젠 함유 화합물; 금속 산화물: 설파민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난연제의 배합량으로서는, 난연제의 종류에도 좌우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3-(3-t-뷰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트리스(모노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산화 방지제; 다이라우릴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황계 산화 방지제; 「티누빈 770」(상품명, 시바?재팬(주)제), 「아데카스타브 LA-57」(상품명, (주) ADEKA사제) 등의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 「티누빈 1577FF」(상품명, 시바?재팬(주)제), 「아데카스타브 LA-32」(상품명, (주) ADEKA사제)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윤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나트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을 들 수 있다.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발포제, 휘발성 발포제, 분해형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무기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공기, 질소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페인, n-뷰테인, i-뷰테인, 펜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뷰테인, 사이클로펜테인 등의 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트라이클로로플로로메테인, 다이클로로다이플로로메테인, 다이클로로테트라플로로에테인, 메틸클로라이드, 에틸클로라이드,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할로젠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분해형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다이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중탄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들 발포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발포제의 배합량으로서는, 발포제의 종류에도 좌우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용 연화제란, 일반적으로, 방향족 환, 나프텐 환 및 파라핀 쇄의 3개가 조합된 혼합물이다. 고무용 연화제로서는, 광물유계 고무용 연화제 중에 파라핀계로 호칭되고 있는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로서 호칭되고 있는 프로세스 오일이 사용되고, 이들 이외에도, 화이트 오일, 미네랄 오일,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올리고머, 저분자량 폴리뷰타다이엔, 저분자량 폴리뷰타다이엔,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라핀계의 프로세스 오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무용 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니폰유지(주)제의 NA 솔벤트(아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 상품명), 이데미쓰고산(주)의 PW-90(n-(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상품명), 이데미쓰석유화학(주)제의 IP-솔벤트2835(합성 아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99.8질량% 이상의 아이소파라핀, 상품명), 산코화학공업(주)제의 네오티오졸(n-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상품명)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고무용 연화제의 배합량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질량부이다.
고무용 연화제의 상기 배합량이 10질량부 이상이면, 유연성 부여 효과가 충분히 발현한다. 또한, 고무용 연화제의 상기 배합량이 30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B)의 본래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충전제, 난연제, 안정화제, 윤활제, 발포제, 가소제, 고무용 연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 충분히 분산하지 않고 있는 경우, 배합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배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수지(B) 중에서의 각종 첨가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추가적인 배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배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의 상용성이 낮은 각종 첨가제의 블리드 아웃(bleed out)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B),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각종 첨가제를 배합한 후, 압출 혼련, 롤 혼련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용융 혼련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용융 혼련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B),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각종 첨가제를 일괄하여 용융 혼련하여도 좋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일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한 후, 잔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일부,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는 다단계로 혼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캘린더 성형법, 플로우 성형, 열 성형, 발포 성형, 용융 방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수득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과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용 부재, 가전용 부재, 의료용 부재, 건축용 부재, 포장용 자재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실시예 중의「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에서의 각 물성의 측정은, 이하의 (1) 내지 (6)의 방법에 의한다.
(1) 질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을,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가용분을 시료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기종명 「HLC-8220」, 도소(주)제), 컬럼(상품명 「TSK-GEL SUPER MULTIPORE HZ-H」, 도소(주)제, 내경 4.6mm×길이 15cm×2개)를 이용하여,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측정 온도 40℃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여, 표준 폴리스타이렌에 의한 검량선으로부터 구했다.
또한, 하기의 식으로부터 분자량 분포를 산출했다.
분자량 분포 = (질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
(2) 분체 취급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8 메시의 체에 통과시켜, 이하의 기준에 의해 분체로서의 취급성을 평가했다.
○: 체 통과량이 80% 이상
△: 체 통과량이 10% 이상 내지 80% 미만
×: 체 통과량이 10% 미만
(3) 용융 장력
수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모세관(capillary)식 레오미터(기종명 「트윈 캐필러리 레오미터 RH-7형」, ROSAND사제)를 이용하여, 다이스 직경=φ1mm, L/D=16, 온도 190℃의 조건으로 일정량(1.57cm3/분)으로 압출하고, 스트랜드를 일정 속도(3m/분)로 인취(引取)하여, 용융 장력을 측정했다.
한편, 용융 장력은, 압출 성형성, 블로우 성형성, 발포 성형성 등의 성형 가공성을 판단하는 지표의 하나이며, 용융 장력의 향상은, 성형 가공성의 향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4) MFR(용융 유량)
수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멜트 인덱서(기종명 「L-243-1531」, (주) 테크노?세븐제)를 이용하여, 하중 2.16kg, 측정 온도 230℃의 조건으로, ASTM D1238에 준거하여 MFR을 측정했다.
(5) 성형 가공성
수득된 이형(異型) 압출 성형품의 엣지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며, 이하의 기준에 의해 성형 가공성을 평가했다.
○: 도 1의 [1] 내지 [4]에서 엣지 조각이 없다.
×: 도 1의 [1] 내지 [3]에서 엣지 조각이 없고, [4]에서 엣지 조각이 있다.
(6) 지게미 평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이 낮고, 또한 윤활성이 낮은 경우, 압출기의 다이스 주변에 지게미가 발생하고, 이형 압출 성형품에 지게미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수득된 이형 압출 성형품 20cm 중의 [3]의 엣지에 부착된 지게미의 개수를 계측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지게미 평가를 행했다.
○: 지게미 없음
△: 지게미의 수가 1개 내지 5개
×: 지게미의 수가 6개 이상
[실시예 1]
온도계,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갖춘 세퍼러블 플라스크(용량 5리터)에, 탈이온수 300부(3,000g), i-뷰틸메타크릴레이트 98부, n-뷰틸아크릴레이트 2부, n-옥틸머캅탄 0.22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1부를 투입하고, 이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질소 기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플라스크 내 분위기의 질소 치환을 행했다. 이어서,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과황산칼륨 0.15부, 탈이온수 5부를 가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여 중합을 종료하고,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의 라텍스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의 라텍스를, 아세트산칼슘 5부를 포함하는 70℃의 온수 400부 중에 적하한 후, 90℃까지 승온시켜 응석시켰다. 수득된 응석물을 분리 세정 후, 60℃에서 16시간 건조시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를 수득했다. 중합체(A1)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1만이며, 분자량 분포는 1.9였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로 했다. 가공 조제(1)의 분체 취급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7, 비교예 1 내지 6]
단량체 성분의 조성, 연쇄 이동제 양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2) 내지 (A13)을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2) 내지 (A13)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2) 내지 (13)으로 했다.
[비교예 7]
탈이온수 300부,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98부, n-뷰틸아크릴레이트 2부, n-옥틸머캅탄 0.7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1부,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부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10,000rpm으로 2분간 교반한 후,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압력 200kg/cm2으로 강제 유화하여, 유화 혼합물을 수득했다.
이 유화 혼합물을 온도계,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황산 제1철 0.0001부, 에틸렌다이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염 0.0003부,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5부를 투입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여 중합을 종료하고,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4)의 라텍스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4)의 라텍스를, 아세트산칼슘 5부를 포함하는 25℃의 냉수 400부 중에 적하하여 응석시켰다. 수득된 응석물을 분리 세정 후, 50℃에서 16시간 건조시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4)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4)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4)로 했다.
[비교예 8]
단량체 성분의 조성, 연쇄 이동제 양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5)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5)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5)로 했다.
[비교예 9]
탈이온수 300부,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70부, n-옥틸머캅탄 0.49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1부,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7부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10,000rpm으로 2분간 교반한 후,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압력 200kg/cm2으로 강제 유화하여, 유화 혼합물을 수득했다.
이 유화 혼합물을 온도계,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황산 제1철 0.0001부, 에틸렌다이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염 0.0003부, 롱갈리트 0.21부, 탈이온수 5부를 투입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여 중합을 종료하고, 1 단계의 중합을 종료했다.
그 후, 내부 온도를 60℃로 유지한 후, 롱갈리트 0.09부, 탈이온수 5부를 투입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부, n-옥틸머캅탄 0.21부,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3부의 혼합물을 30분간에 걸쳐 적하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여 중합을 종료하고,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6)의 라텍스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6)의 라텍스를, 아세트산칼슘 5부를 포함하는 70℃의 온수 400부 중에 적하한 후, 90℃까지 승온시키고 응석시켰다. 수득된 응석물을 분리 세정 후, 60℃에서 16시간 건조시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6)를 수득했다.
수득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16)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6)로 했다.
Figure pct00001
한편, 표 1 중의 약호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i-BMA: i-뷰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EMA: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BMA: n-뷰틸메타크릴레이트
LMA: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n-BA: n-뷰틸아크릴레이트
i-BA: i-뷰틸아크릴레이트
tBH: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nOM: n-옥틸머캅탄
[실시예 8 내지 17, 비교예 10 내지 17]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상품명 「노바 테크PP FY4」, 니폰폴리프로(주)제) 100부(2,000g)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 내지 (13), (16)을 표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배합하고, 수작업 블렌드로 혼합했다. 한편, 가공 조제(8)는 괴상이었기 때문에, 분쇄한 것을 이용했다.
그 후, φ30mm 동일 방향 이축 압출기(기종명 「BT-30」, (주)플라스틱공학연구소제, L/D=30)를 이용하여, 스크류 회전수 200rpm, 실린더 온도 200℃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수득했다.
수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 및 MFR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8 내지 21, 비교예 18 내지 23]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상품명「노바 테크PP FY4」, 니폰폴리프로(주)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서 수첨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상품명 「터프테크 H1062」, 아사히화성케미컬(주)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 내지 (3), (7) 내지 (10), (12), (13)를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합하고, 수작업 블렌드로 혼합했다. 한편, 가공 조제(8)는 괴상이었기 때문에, 분쇄한 것을 이용했다.
그 후, Φ 30mm 동일 방향 이축 압출기(기종명 「BT-30」, (주) 플라스틱공학연구소제, L/D=30)를 이용하여, 스크류 회전수 200rpm, 실린더 온도 200℃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수득했다.
수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장력 및 MFR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22, 23, 비교예 24 내지 27]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포함하는 수지로서「산토프레인 121-68W228」(상품명, 엑손 모빌사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 (2), (9), (10), (16)를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수득했다.
수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형 다이스(도 1)를 설치한 30mm 단축 압출기(기종명 「GM-30」, (주) 지?엠?엔지니어링제, L/D=35)를 이용하여, 스크류 회전수 30rpm, 배럴 온도 190℃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이형 압출 성형품을 수득했다.
한편, 이형 다이스로부터 압출한 성형품은, 압출 방향과 평행하게 일정 속도로 인취하여, 20cm 인취한 곳에서 절단했다.
수득된 이형 압출 성형품의 성형 가공성 및 지게미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 내지 (7)은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했다. 가공 조제(1) 내지 (7)은 수작업 블렌드했을 때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되기 쉽고, 또한 공급기(feeder) 등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균일하게 혼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8)는 괴상이 되어,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나빴다(비교예 1).
단량체 단위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위 밖으로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4) 및 (15)는 고점도의 풀 형상 물질이기 때문에,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나빴다(비교예 7, 8). 수작업 블렌드나 공급기에 의한 공급이 곤란하여, 가공 조제로서의 사용이 곤란했다.
표 2,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 내지 (7)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장력 및 MFR이 우수하다(실시예 8 내지 21).
폴리올레핀계 가공 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장력 및 MFR의 밸런스가 충분하지 않아, 성형 가공성이 열등했다(비교예 17, 23).
질량 평균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하회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8)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장력이 향상되지 않았다(비교예 10, 18).
질량 평균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9) 내지 (12)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장력 및 MFR의 밸런스가 충분하지 않아, 성형 가공성이 열등했다(비교예 11 내지 14, 19 내지 21).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본 발명의 범위 밖으로 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3)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불충분했다(비교예 15, 22). 비교예 15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의 상용성이 낮아서 스트랜드를 인취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용융 장력은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22에서는 용융 장력이 낮았다.
단량체 단위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위 밖이고, 2단으로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6)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장력 및 MFR의 밸런스가 충분하지 않아, 성형 가공성이 열등했다(비교예 16).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첨가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의 향상과 함께 지게미의 억제 효과도 우수하다(실시예 22, 23).
질량 평균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상회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9), (10)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단량체 단위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위 밖이고, 2단으로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16)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 지게미의 억제 효과가 열등했다(비교예 24 내지 26).
표 2로부터,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10 내지 12의 질량 평균 분자량과 MFR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10 내지 12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는 동일한 단량체 성분으로 구성되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하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의 질량 평균 분자량과, 폴리올레핀계 가공 조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의 관계에서,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하게 질량 평균 분자량과 용융 장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량 평균 분자량의 범위에서는, 특이적으로 용융 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를 배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즉 용융 장력, 유동성 및 지게미 억제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수득되는 성형품은 자동차용 부재, 가전용 부재, 의료용 부재, 건축용 부재, 포장용 자재에 적합하다.

Claims (8)

  1.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a1)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1만 5000 내지 14만 5000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위가 알킬기의 탄소수가 4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위가 i-뷰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A)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2만 내지 10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B)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7. 제 5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
  8. 제 6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
KR1020127013416A 2009-11-26 2010-11-24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419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8539 2009-11-26
JP2009268539 2009-11-26
JPJP-P-2010-233387 2010-10-18
JP2010233387 2010-10-18
PCT/JP2010/070936 WO2011065382A1 (ja) 2009-11-26 2010-11-24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加工助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307A true KR20120093307A (ko) 2012-08-22
KR101419618B1 KR101419618B1 (ko) 2014-07-14

Family

ID=4406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416A KR101419618B1 (ko) 2009-11-26 2010-11-24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77379A1 (ko)
EP (1) EP2505605B1 (ko)
JP (2) JP6150266B2 (ko)
KR (1) KR101419618B1 (ko)
CN (1) CN102648241B (ko)
TW (1) TWI612063B (ko)
WO (1) WO2011065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5230B1 (en) * 2010-04-27 2015-09-09 Mitsubishi Rayon Co., Ltd. Dispersant for additive for polyolefin resi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N103189441B (zh) * 2011-04-14 2015-08-05 北京印刷学院 聚烯烃的改性剂组合物、包装用聚烯烃以及软包装薄膜
JP6260480B2 (ja) * 2014-07-14 2018-01-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アクリル系エラストマー樹脂用加工助剤、アクリル系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EP3344692B1 (en) * 2015-08-31 2021-08-18 Rohm and Haas Company A processing aid for foam molding, a vinyl chloride resin-based foam molding compositon comprising the same and a foam molded product
WO2021240694A1 (ja) * 2020-05-27 2021-12-02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WO2021039400A1 (ko) * 2019-08-27 2021-03-04
CN110655726A (zh) * 2019-10-09 2020-01-07 佛山市丰正科技有限公司 橡胶用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679669B (zh) * 2020-12-25 2023-03-24 广州熵能创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vc树脂加工外润滑剂及其制备方法
CN114369197B (zh) * 2022-01-18 2022-10-11 熵能创新材料(珠海)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酸烷烃酯类加工助剂以及包含该加工助剂的可熔融加工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9263A (ja) * 1986-10-16 1988-04-30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用加工助剤
US4912169A (en) * 1987-10-14 1990-03-27 Rohm And Haa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additives
ATE74368T1 (de) * 1987-10-14 1992-04-15 Rohm & Haas Polymeradditive zum gebrauch in klebstoffzusammensetzungen.
JP2887478B2 (ja) * 1988-03-29 1999-04-2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用加工助剤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571581A (en) * 1991-06-14 1996-11-05 Toyoda Gosei Co., Ltd. Long sandwich molded article
JPH0693049A (ja) * 1992-09-09 1994-04-0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メタクリル系ランダム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515697T2 (de) * 1994-12-22 2000-11-02 Mitsubishi Rayon Co Blockcopolymer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H11100479A (ja) 1997-07-30 1999-04-13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マスターバッチ
WO1999010431A1 (fr) * 1997-08-22 1999-03-04 Mitsubishi Rayon Co., Ltd. Ameliorant de la tension de fusion de resines de polyolefines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H11106438A (ja) * 1997-10-08 1999-04-20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用流動性改質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120075B2 (ja) * 1998-12-02 2008-07-16 東ソー株式会社 高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0319516A (ja) * 1999-03-08 2000-11-21 Mitsubishi Rayon Co Ltd 樹脂用加工助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04215B2 (ja) * 1999-05-19 2004-03-0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加工助剤、それを用いた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の製造法
JP5128736B2 (ja) * 2001-07-10 2013-01-23 株式会社カネカ 加工性改良剤およびそれを含む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TW200641030A (en) * 2005-03-30 2006-12-01 Kaneka Corp (Meth) acrylic polymer and 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1432369A (zh) * 2006-04-26 2009-05-13 株式会社钟化 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8037955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CN101589112B (zh) * 2006-11-24 2012-06-27 三菱丽阳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用稳定剂及被稳定化的聚烯烃系树脂组合物
JP2009060936A (ja) 2007-09-04 2009-03-2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生体信号解析装置及び生体信号解析装置のプログラム
EP2206743B1 (en) * 2007-11-07 2013-08-14 Mitsubishi Rayon Co., Ltd. Powdery processing aid for polyolefin resin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esin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
TWI568784B (zh) * 2009-04-10 2017-02-01 三菱麗陽股份有限公司 熱可塑性樹脂用添加劑及其製造方法、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成形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8241A (zh) 2012-08-22
EP2505605A1 (en) 2012-10-03
EP2505605A4 (en) 2013-11-06
TW201120062A (en) 2011-06-16
US20120277379A1 (en) 2012-11-01
CN102648241B (zh) 2014-12-03
JP6150266B2 (ja) 2017-06-21
WO2011065382A1 (ja) 2011-06-03
JP2015155555A (ja) 2015-08-27
TWI612063B (zh) 2018-01-21
EP2505605B1 (en) 2015-06-10
KR101419618B1 (ko) 2014-07-14
JPWO2011065382A1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30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54423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980009369A (k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함유 분말 혼합물, 그것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제조된 성형체
KR101484829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첨가제를 위한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20180136990A (ko) 개선된 균열 및 화학적 내성을 갖는 abs 몰딩 조성물 및 그의 사용
KR101385375B1 (ko) 열가소성 수지용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5144307B2 (ja) グラフト共重合体、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50142906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N106715594A (zh) 表面物性改良剂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树脂成型品
CN112041359B (zh) 接枝共聚物粉末的制备方法
JP5673991B2 (ja) 分散性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627324B2 (ja) Pc/abs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JP5348970B2 (ja) スチレン系エラストマー用加工助剤、スチレ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AU2006320634B2 (en) Weatherable, high modulus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
JP2003277571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成形体
JP2014224207A (ja) 艶消し効果調整剤、艶消し剤組成物、艶消し効果調整剤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WO2022176852A1 (ja) 樹脂添加剤、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11252177A (ja)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マスターバッチ、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4091799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用加工助剤、改質された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1246688A (ja) 難燃剤分散性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508963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