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279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279A
KR20120089279A KR1020127008493A KR20127008493A KR20120089279A KR 20120089279 A KR20120089279 A KR 20120089279A KR 1020127008493 A KR1020127008493 A KR 1020127008493A KR 20127008493 A KR20127008493 A KR 20127008493A KR 20120089279 A KR20120089279 A KR 2012008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lid
cover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아키 오야
소시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차양과, 차양이 개구부를 통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수납부재와, 수납부재에 대하여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차양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열림 자세와 닫힘 자세 사이에 축부의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덮개와, 덮개를 회동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는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덮개가 열림 자세 상태로 덮개에 대하여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덮개가 닫힘 자세 상태로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양장치{SHADE SEVICE}
본 발명은 윈도우를 차폐하는 차양장치(shade device)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를 차폐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차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차광장치는 창을 차광하는 차광 스크린과, 차광 스크린을 격납하는 격납부를 갖고, 격납부에는, 차광 스크린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설치됨과 함께,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가 장착되어 있다. 이 개폐 덮개는 장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회동 동작에 의해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광장치에는,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 유지하는 판스프링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체는 개폐 덮개의 장착축 둘레의 캠면의 각 맞닿음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4-30690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판스프링체는 2개소의 굴곡부를 갖고, 캠면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그 선단부(先端部)를 캠면에 누르기 위해 필요한 스프링력을 얻고 있다. 즉, 판스프링체는 개폐 덮개가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동일 방향(상하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켜,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서는, 개폐 덮개는 열림 위치에서 열려 방향으로, 닫힘 위치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付勢)되지 않고, 차량의 주행시, 도어의 개폐 시 등에 생기는 진동에 의해 개폐 덮개가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서 덜거덕거릴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납부재의 덮개를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에서 보다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차양과, 상기 차양이 통로를 통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대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차양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열림 자세와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회동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상기 덮개가 열림 자세 상태에서 상기 덮개에 대하여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상기 덮개가 닫힘 자세 상태에서 상기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덮개는 회동축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접리(接籬) 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에 고정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와 상기 덮개의 회동축을 잇는 선을 넘을 때마다, 상기 덮개에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1 또는 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차양의 전개측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차양의 전개시에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차양의 수납시에 상기 스테이의 기단부(基端部)에 맞닿을 수 있는 제2 맞닿음부를 갖고 있다.
제4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제 1 맞닿음부는 상기 덮개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맞닿음부는 상기 덮개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5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2?4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덮개의 회동축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다.
제6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3?5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차양의 전개측 단부에 설치된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연결되어, 상기 차양의 수납시에, 상기 수납부재의 차양을 수납하는 부세력에 의해 상기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7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는, 제6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로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의 차양을 수납하는 부세력에 의해, 닫힘 자세의 상기 덮개를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압압 가능한 압압부를 갖고 있다.
제1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가 차양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른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어, 덮개를 열림 자세 상태에서 열림 방향으로 회동 부세함과 함께 닫힘 자세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납부재의 덮개를 보다 안정되게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부에 고정된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가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와 덮개의 회동축을 잇는 선을 넘을 때마다 덮개에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된다. 즉, 덮개는 차양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회동되어, 스프링 부재에 의한 회동 부세력이 전환된 위치로부터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까지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을 향하여 회동 부세된다. 이 때문에, 덮개를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까지 보다 확실하게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양 전개시에는, 차양을 덮개에 간섭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전개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양의 전개 수납시에 스테이가 덮개의 제1 맞닿음부 및 제2 맞닿음부에 직접 맞닿음으로써 덮개가 회동하기 시작하므로, 덮개의 초기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다.
제4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양의 전개시에는, 스프링 부재가 덮개에 대하여 열림 방향으로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킬 때까지 제1 맞닿음부가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한다. 또한, 차양의 수납시에는, 스프링 부재가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킬 때까지 제2 맞닿음부가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의 개폐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이드부에 의하여 규제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을 덮개의 회동 방향으로 안정되게 작용시킬 수 있어, 덮개의 개폐를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제6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양의 수납시에, 맞닿음 부재가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기 때문에, 덮개를 보다 확실하게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제7 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의하면, 덮개가 닫힘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 부재의 압압부가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기 때문에, 덮개의 닫힘 자세 상태에서의 덜거덕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차양 수납 상태의 차양장치의 차 실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차양 전개 상태의 차양장치의 차 실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차양 수납 상태의 차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차양 전개 상태의 차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차양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닫힘 자세의 덮개와 스프링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열림 자세의 덮개와 스프링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테이가 제1 맞닿음부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테이가 제2 맞닿음부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손잡이 부재가 덮개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창을 차양을 이용하여 차광하기 위한 장치이다.
<1. 차양장치의 구성>
먼저, 차양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 도 2 참조).
본 차양장치(10)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100)(뒷좌석의 도어)의 윈도우(1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차광 가능하도록, 창의 바닥측의 내장(內裝)의 수지 패널(트림 등)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차양장치(10)를 리어 도어(100)의 트림(112)에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하 이 예로 설명한다. 무엇보다, 차양장치(10)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창의 차폐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양장치(10)는 도어 이외에 배치된 사이드 윈도우, 리어 윈도우 등, 또한 자동차 이외의 차량의 윈도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는, 차양장치(10)는 차양(20)을 수납부재(40)의 개구부(46)를 통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고, 그 개구부(46)를 개폐 가능하게 덮개(50)가 배치된 구성이다. 그리고, 차양장치(10)는 이 덮개(50)를, 차양(20)의 전개 수납 동작 및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회동 부세력에 의해,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시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양장치(10)는 차양(20)과, 스테이(30)와, 수납부재(40)와, 덮개(50)와, 스프링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차양(20)은 대상이 되는 자동차의 윈도우(110)의 형상, 크기에 따라 메쉬 형상의 천, 수지 시트 등의 재료를 재단, 봉제 등으로 하여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이 차양(20)은 자동차의 윈도우(110)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차광 가능한 포재(布材)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차양(20)은 수납부재(40)에 대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부재(40)는 본체부(42)와, 본체부(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시 생략한 코일 스프링 등의 부세부재에 의해 회전 부세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권취축부(44)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본체부(42)는 개구부(46)가 형성된 하우징이며, 그 내부에 권취축부(44)가 배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차양(20)은 일단부가 권취축부(44)에 대하여 고정되어, 권취 방향을 향하여 부세(권취 부세)된 상태로 수납부재(40)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시 생략한 부세부재에 의한 권취축부(44)의 부세력이 수납부재(40)의 차양(20)에 대한 권취력으로서 발휘된다. 그리고, 차양(20)은 전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본체부(42) 내에 권취된 수납 상태(도 1, 도 3 참조)로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양(20)의 전개측 단부에는, 스테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30)는 차양(20)의 전개측 단부의 폭 치수에 따른 치수의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스테이(30)는 차양(20)의 수납 상태에서는,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30)가 수납부재(40)에 대하여 전개 수납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차양(20)이 전개 수납 동작한다.
또한, 스테이(30)에는, 차양(20)의 전개 수납 조작용의 손잡이 부재(34)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34)는 조작부(34a)와 연결부(34b)를 갖고 있고, 연결부(34b)가 스테이(30)의 긴 방향 중간부에(여기에서는, 스테이(30)의 긴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이다. 또한, 손잡이 부재(34)는 차양(20)의 수납 상태에서는, 조작부(34a)가 본체부(42)의 외부에 배치되어, 연결부(34b)가 스테이(30)와 함께 본체부(42)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이 손잡이 부재(34)는 차양(20)의 전개 상태로 차량의 일부에 지지 가능(예를 들면, 차량의 천정 부분에 지지부를 마련하고, 이에 걸림 가능한 형상)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차양(20)은 손잡이 부재(34)에 대한 전개 수납 조작에 의해,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 내로부터 개구부(46)를 통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46)는 차양(20)의 폭 치수보다 큰 폭 치수이고, 또한 스테이(30)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재(40)는 리어 도어(100)의 트림(112)에 대하여, 윈도우(110)를 따라 차양(20)을 전개 수납 가능한(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른) 자세로, 또한 개구부(46)가 차량의 천정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덮개(50)는 수납부재(40)에 대하여 개구부(46)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차양(20)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열림 자세(도 4 참조)와 닫힘 자세(도 3 참조) 사이에서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50)는 중심축을 회동 축으로 하는 축부(55)를 갖고, 닫힘 자세에서 개구부(46)를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차폐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50)는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의 양측 단부에 대하여 축부(55)가 지지됨으로써, 그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덮개(50)는 닫힘 자세에서 차 실내(천정측)에 접하는 외면부(51)가 개구부(46)의 주연부(周緣部)를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또한, 덮개(50)는 차양(20)(및 스테이(30))의 전개 수납 동작 가능하도록, 열림 자세에서 개구부(46)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50)(여기에서는, 후술하는 제1 맞닿음부(54))에는, 닫힘 자세 상태에서, 손잡이 부재(34)의 연결부(34b)를 배치 가능한 절결부(59)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손잡이 부재(34)는 차양(20)의 수납 상태에서, 연결부(34b)가 덮개(50)의 절결부(59)를 통하여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 내에 배치된다.
덮개(50)는 축부(55)의 회동축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52)를 갖고 있다(도 3, 도 4 참조). 이 슬라이딩부(52)는 덮개(50)의 양측 단부로부터 긴 방향을 따라 돌출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재(40)에는, 슬라이딩부(52)를 안내하는 가이드부(48)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48)는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의 양측 단부에, 덮개(50)의 축부(55)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호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슬라이딩부(52)보다 약간 큰 폭 치수를 갖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48)에 의한 슬라이딩부(52)의 가이드 범위(둘레 방향 치수)는, 덮개(50)가 닫힘 자세와 열림 자세 사이에 자세 변경될 때에 슬라이딩부(52)가 회동축 둘레로 이동하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를 회동 방향으로 부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70)는 일단부(70a)와 타단부(70b)와의 접리 방향(여기에서는, 이반(이반(離反)) 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일단부(70a)가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70b)가 슬라이딩부(52)에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부(52)에 연결된 타단부(70b)가 덮개(50)의 회동축 둘레로 이동되어, 일단부(70a)와 타단부(70b)와의 위치 관계가 변화함으로써, 그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스프링 부재(70)는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의 측단부(側端部)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는 본체부(42)의 측단부 중, 그 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덮개(50)의 축부(55)에 대하여 가이드부(48)(여기에서는, 대략 중간부)를 끼운 위치(연결용의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에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덮개(50)의 축부(55)의 회동축과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의 연결 위치를 잇는 선(L) 상에, 가이드부(48)의 중간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70b)는 본체부(42)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48)를 통하여 그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딩부(52)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스프링 부재(70)의 타단부(70b)는 일단부(70a)에 대하여, 슬라이딩부(52)(중심축)가 상기 선(L) 상에 위치(도 5 참조)하는 상태로 가장 근접하여, 그 위치로부터 슬라이딩부(52)가 가이드부(48)의 양단 측으로 이동함(덮개(50)가 열림 자세 혹은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함)에 따라 점차 이간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와 타단부(70b)를 이반시키는 부세력은 덮개(50)에 대한 회동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즉,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부(52)에 고정된 타단부(70b)가 일단부(70a)와 덮개(50)의 회동축을 잇는 선(L)을 넘을 때마다, 덮개(50)에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50)가 열림 자세로부터 닫힘 자세를 향하여 자세 변경될 때에 슬라이딩부(52)가 닫힘 방향을 향하여 선(L)을 넘어가면,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회동 부세한 상태로 된다(도 6 참조). 또한, 덮개(50)가 닫힘 자세로부터 열림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될 때에 슬라이딩부(52)가 열림 방향으로 향하여 선(L)을 넘어가면,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를 열림 방향으로 향하여 회동 부세한 상태로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스프링 부재(70)는 덮개(50)가 열림 자세 상태로 덮개(50)에 대하여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덮개(50)가 닫힘 자세 상태로 덮개(50)에 대하여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스프링 부재(70)는 타단부(70b)(슬라이딩부(52))가 선(L)을 넘은 위치로부터, 덮개(50)에 대하여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계속 작용시켜, 덮개(50)가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된 상태에서도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여기에서는, 스프링 부재(70)에는, 토글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스프링 부재(70)는 토글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를 이반 방향으로 부세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70)에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부재(70)에 의해 회동 부세 되는 덮개(50)는 차양(20)의 전개시에 스테이(30)의 선단부(30a)에 맞닿을 수 있는 제1 맞닿음부(54)와, 차양(20)의 수납시에 스테이(30)의 기단부(30b)에 맞닿을 수 있는 제2 맞닿음부(56)를 갖고 있다(도 8, 도 9 참조). 즉, 제1 맞닿음부(54)는 덮개(50)가 닫힘 자세 상태에서, 수납부재(40)의 본체부(42) 내에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30)의 전개 방향의 이동 궤적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맞닿음부(56)는 덮개(50)의 열림 자세 상태에서, 스테이(30)의 수납 방향의 이동 궤적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맞닿음부(54)는 개구부(46)를 막고 있는 외면부(5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무엇보다, 제1 맞닿음부(54)는 덮개(50)의 외면부(51)와는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맞닿음부(54)는 덮개(50)에 대하여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스테이(3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맞닿음부(56)는 덮개(50)에 대하여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스테이(3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스프링 부재(70)에 의해 덮개(50)에 대하여 열림 자세 혹은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는 스테이(30)의 전개 수납 방향의 이동에 의한 압동력(押動力)에 의해 덮개(50)를 자세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손잡이 부재(34)(맞닿음 부재)는 차양(20)의 수납시에,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덮개(50)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맞닿음 부재로서의 손잡이 부재(34)는 열림 자세로부터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도중(途中)의 덮개(50)의 제1 맞닿음부(54)에 맞닿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34)가 제1 맞닿음부(54)에 맞닿는 위치는 덮개(50)가 열림 자세로부터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도중에, 슬라이딩부(52)(스프링 부재(70)의 타단부(70b))가 선(L) 위를 닫힘 방향으로 넘은(여기에서는, 직후의) 위치이다. 또한, 맞닿음 부재로서의 손잡이 부재(34)는 아래와 같은 압압부(35)가 제1 맞닿음부(54)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손잡이 부재(34)는 수납부재(40)의 권취력(卷取力)에 의해, 닫힘 자세의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압압 가능한 압압부(35)를 갖고 있다(도 3 참조). 이 압압부(35)는 차양(20)의 수납 상태에서의 손잡이 부재(34)의 수납측 부분 중, 닫힘 자세의 덮개(50)의 제1 맞닿음부(54)측의 외면부(51)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 차양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차양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양(20)의 인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 도 8, 도 4의 순서로 동작). 또한, 차양장치(10)는 초기 상태로서 차양(20)의 수납 상태(도 3 참조)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용자에 의해, 손잡이 부재(34)가 차양(20)의 전개 방향으로 수동 조작되면, 스테이(30)가 전개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선단부(30a)가 덮개(50)의 제1 맞닿음부(54)에 맞닿는다. 스테이(30)의 선단부(30a)가 제1 맞닿음부(54)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스테이(30)가 전개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테이(30)에 의해 제1 맞닿음부(54)가 서서히 밀어 올려져, 덮개(50)가 열림 방향으로 자세 변경하여 간다(도 8 참조). 또한, 덮개(50)의 자세 변경과 함께, 스프링 부재(70)의 자세가 변화하고, 그 일단부(70a)와 타단부(70b)를 이반하는 부세력의 방향도 변화하여 간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해 덮개(50)에 대하여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은 닫힘 방향을 향하여 작용하고 있다(도 6 참조).
스테이(30)에 의해 제1 맞닿음부(54)가 더 밀어 올려져, 슬라이딩부(52)(스프링 부재(70)의 타단부(70b))가 덮개(50)의 회동축과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를 잇는 선(L)을 열림 방향으로 향하여 넘어가면, 스프링 부재(70)의 덮개(50)에 대한 회동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되어 열림 방향으로 작용한다(도 7 참조). 또한, 슬라이딩부(52)가 선(L) 위에 있는 상태, 즉, 스프링 부재(70)의 힘의 방향이 선(L)과 대략 일치하는 상태에서는, 덮개(50)에 대하여 회동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슬라이딩부(52)가 선(L)을 넘은 위치로부터,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회동 부세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자세 변경된다. 무엇보다, 제1 맞닿음부(54)가 전개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테이(3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는 동안은 덮개(50)가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 부세력에 더하여, 스테이(30)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후,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열림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덮개(50)는 차양(20)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용자는 덮개(50)의 자세 변경 후도, 손잡이 부재(34)를 전개 방향으로 조작하여 차양(20)을 전개 상태까지 전개시킨다. 차양(20)이 전개 상태까지 전개되면, 이용자는 손잡이 부재(34)를 차체(내장 등)에 지지하여 전개 상태를 유지하면 좋다.
상기 순서에 의해, 차양장치(10)는 차양(20)의 전개 상태로 된다. 이 전개 상태에서는,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안정되게 열림 자세로 유지된다(도 4, 도 7 참조).
다음으로, 차양(20)의 수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 도 9, 도 10, 도 3의 순서로 동작). 또한, 초기 조건으로서, 차양장치(10)는 도 4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이용자는 차체에 지지된 손잡이 부재(34)를 분리하여, 수납 방향을 향하여 수동 조작한다.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손잡이 부재(34)의 조작에 따라,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차양(20)이 수납부재(40)에 대하여 수납되고, 스테이(30) 및 손잡이 부재(34)가 수납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다.
스테이(30)의 기단부(30b)가 덮개(50)의 제2 맞닿음부(56)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스테이(30)가 수납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테이(30)에 의해 제2 맞닿음부(56)가 서서히 눌러 내려져, 덮개(50)가 닫힘 방향으로 자세 변경하여 간다(도 9 참조). 또한, 덮개(50)의 자세 변경과 함께, 스프링 부재(70)의 자세가 변화하고, 그 일단부(70a)와 타단부(70b)를 이반하는 부세력의 방향도 변화하여 간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해 덮개(50)에 대하여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은 열림 방향을 향하여 작용하고 있다(도 7 참조).
스테이(30)에 의해 제2 맞닿음부(56)가 더 눌러 내려지고, 슬라이딩부(52)(스프링 부재(70)의 타단부(70b))가 덮개(50)의 회동축과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를 잇는 선(L)을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넘어가면, 스프링 부재(70)의 덮개(50)에 대한 회동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되어 닫힘 방향으로 작용한다(도 6 참조).
이 차양(20)의 수납 동작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딩부(52)가 선(L)을 넘은(여기에서는, 직후의 위치) 위치, 즉, 스프링 부재(70)의 덮개(50)에 대한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미소한 위치에서, 손잡이 부재(34)의 수납측 부분이 덮개(50)의 외면부(51)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는다(도 10 참조). 이 맞닿은 위치로부터, 손잡이 부재(34)는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압동(押動)한다. 즉, 슬라이딩부(52)가 선(L)을 넘은 위치로부터,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회동 부세력 및 손잡이 부재(34)의 압동력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자세 변경된다.
그 후,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도 3 참조).
상기 순서에 의해, 차양장치(10)는 차양(20)의 수납 상태로 된다. 이 수납 상태에서는,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수납 방향으로 인장되는 손잡이 부재(34)의 압압부(35)가 닫힘 자세의 덮개(50)의 외면부(51)에 대하여 맞닿아, 압압 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덮개(50)는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안정되게 닫힘 자세로 유지된다(도 3, 도 6 참조).
상기 구성의 차양장치(10)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70)가 차양(20)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른 덮개(50)의 회동 동작에 따라, 그 일단부(70a)와 타단부(70b)를 이반하는 방향의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어, 덮개(50)를 열림 자세 상태에서 열림 방향으로 회동 부세함과 함께 닫힘 자세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덮개(50)에 대하여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70)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덮개(50)가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수납부재(40)에 배치된 덮개(50)를 보다 안정되게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50)가 차양(20)에 대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차양(20)의 전개 수납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70)의 회동 부세력에 의해, 덮개(50)를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2)에 고정된 스프링 부재(70)의 타단부(70b)가 스프링 부재(70)의 일단부(70a)와 덮개(50)의 축부(55)의 회동축을 잇는 선(L)을 넘을 때마다 덮개(50)에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의 방향이 전환된다. 즉, 덮개(50)는 차양(20)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회동되어, 스프링 부재(70)에 의한 회동 부세력이 전환된 위치로부터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까지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회동 부세된다. 이 때문에, 덮개(50)를 열림 자세 또는 닫힘 자세까지 보다 확실하게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양(20) 전개시에는, 차양(20)을 덮개(50)에 간섭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원활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의 전개 수납시에 스테이(30)가 덮개(50)의 제1 맞닿음부(54)및 제2 맞닿음부(56)에 직접 맞닿음으로써 덮개(50)가 회동하기 시작하므로, 덮개(50)의 초기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20)의 전개시에는, 스프링 부재(70)가 덮개(50)에 대하여 열림 방향으로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킬 때까지 제1 맞닿음부(54)가 스테이(3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한다. 또한, 차양(20)의 수납시에는, 스프링 부재(70)가 덮개(50)에 대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킬 때까지 제2 맞닿음부(56)가 스테이(3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50)의 개폐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2)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이드부(48)에 의하여 규제됨으로써, 스프링 부재(70)의 회동 부세력을 덮개(50)의 회동 방향으로 안정되게 작용시킬 수 있어, 덮개(50)의 개폐를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의 수납시에, 맞닿음 부재로서의 손잡이 부재(34)가 덮개(50)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기 때문에, 덮개(50)를 보다 확실하게 닫힘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50)가 닫힘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 부재(34)의 압압부(35)가 덮개(50)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기 때문에, 덮개(50)의 닫힘 자세 상태에서의 덜거덕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의 전개 수납 조작용의 손잡이 부재(34)를, 수납부재(40)의 권취력에 의해 덮개(50)에 맞닿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닫힘 자세의 덮개(50)의 덜거덕거림을 누르기 위하여 별도 전용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차양장치(10)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정될 수 있다고 해석된다.
10 : 차양장치
20 : 차양
30 : 스테이
34 : 손잡이 부재
35 : 압압부
40 : 수납부재
46 : 개구부
48 : 가이드부
50 : 덮개
52 : 슬라이딩부
55 : 축부
70 : 스프링 부재
70a : 일 1단부
70b : 타단부

Claims (7)

  1. 차량의 창을 차폐하기 위한 차양장치로서,
    차양과,
    상기 차양이 통로를 통하여 전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대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차양의 전개 수납 동작에 따라 열림 자세와 닫힘 자세 사이에서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회동 방향으로 부세(付勢) 가능한 스프링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상기 덮개가 열림 자세 상태에서 상기 덮개에 대하여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킴과 함께, 상기 덮개가 닫힘 자세 상태에서 상기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을 작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회동축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접리(接籬) 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에 고정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와 상기 덮개의 회동축을 잇는 선을 넘을 때마다, 상기 덮개에 작용하는 회동 부세력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전개측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차양의 전개시에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先端部)에 맞닿을 수 있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차양의 수납시에 상기 스테이의 기단부(基端部)에 맞닿을 수 있는 제2 맞닿음부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닿음부는 상기 덮개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열림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맞닿음부는 상기 덮개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닫힘 방향의 회동 부세력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스테이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덮개의 회동축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전개측 단부(端部)에 설치된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연결되고, 상기 차양의 수납시에, 상기 수납부재의 차양을 수납하는 부세력에 의해 상기 덮개에 대하여 닫힘 방향을 향하여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의 차양을 수납하는 부세력에 의해, 닫힘 자세의 상기 덮개를 닫힘 방향으로 향하여 압압(押壓) 가능한 압압부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KR1020127008493A 2009-11-18 2010-10-21 차양장치 KR20120089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2739A JP5340891B2 (ja) 2009-11-18 2009-11-18 シェード装置
JPJP-P-2009-262739 2009-11-18
PCT/JP2010/068579 WO2011062022A1 (ja) 2009-11-18 2010-10-21 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279A true KR20120089279A (ko) 2012-08-09

Family

ID=4405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493A KR20120089279A (ko) 2009-11-18 2010-10-21 차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80960A1 (ko)
EP (1) EP2502769A1 (ko)
JP (1) JP5340891B2 (ko)
KR (1) KR20120089279A (ko)
CN (1) CN102596605A (ko)
WO (1) WO2011062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176B1 (ko) * 2012-12-24 2014-05-19 한일이화주식회사 도어트림에 장착된 수동커튼의 쉐이드바 자동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990B2 (ja) * 2010-02-01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587138B2 (ja) * 2010-10-29 2014-09-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12200259A1 (de) * 2012-01-10 2013-07-11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14094652A (ja) * 2012-11-08 2014-05-22 Ashimori Ind Co Ltd シェード装置
KR101567213B1 (ko) 2014-05-12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커튼용 커버 개폐 장치
JP6306432B2 (ja) * 2014-05-23 2018-04-04 林テレンプ株式会社 巻取装置
DE102015208441B3 (de) * 2015-05-06 2016-05-12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10093A1 (de) * 2015-06-01 2016-12-01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oder einen Glasdachbereich eines Fahrzeuginnenraums
DE102015211293A1 (de) * 2015-06-18 2016-12-22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EP3310600B1 (de) * 2015-06-19 2020-08-05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KR101734248B1 (ko) * 2015-12-08 2017-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DE102016203382B4 (de) * 2016-03-02 2017-11-23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9982484B2 (en) * 2016-07-21 2018-05-29 Stoebich Brandschutz Gmbh Closure member control system
DE102017101017B4 (de) * 2017-01-19 2019-01-03 Lisa Dräxlmaier GmbH Sonnenschutzrollo mit seil für eine fahrzeugscheibe
DE102017116296B4 (de) * 2017-07-19 2020-04-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bdeckvorrichtung zur Abdeckung eines Kofferraums
CN107599794A (zh) * 2017-09-07 2018-01-19 芜湖皖江知识产权运营中心有限公司 电动汽车前风挡遮阳方法
DE102018008376A1 (de) * 2018-10-24 2020-04-3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JP7338124B2 (ja) * 2019-11-15 2023-09-05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車両のドア構造
CN114571961A (zh) * 2021-02-23 2022-06-0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遮阳帘盖板及车辆遮阳帘盖板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50U (ja) * 1983-06-22 1985-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設けられる小物収納ボツクス
JPH0527191Y2 (ko) * 1988-03-11 1993-07-09
DE19736170C1 (de) * 1997-08-20 1999-04-29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rollo mit Hebelmechanik
DE19835257C2 (de) * 1998-08-04 2002-06-13 Baumeister & Ostler Gmbh Co Fensterrollo mit versenkbaren Führungselementen
US6191886B1 (en) * 1998-08-24 2001-02-20 Vutec Corp. Video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6502889B2 (en) * 1999-04-16 2003-01-07 Yoshiharu Fukagawa Body cover device for car
US6213186B1 (en) * 1999-05-27 2001-04-10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Unitary cassette assembly with integral package tray
US7204291B2 (en) * 2001-04-10 2007-04-17 Last Harry J Modular lid and actuator for underwater pool cover drum enclosure
JP2002362232A (ja) * 2001-06-06 2002-12-1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に備えたポケット構造
DE10228028B3 (de) * 2002-06-24 2004-02-19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Hubkassette
DE10248591B4 (de) * 2002-10-17 2006-04-20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Deckel auf dem Auszugschlitz
JP4300849B2 (ja) 2003-04-10 2009-07-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300856B2 (ja) * 2003-04-17 2009-07-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5067364A (ja) * 2003-08-22 2005-03-17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DE102005057248B4 (de) * 2005-11-29 2010-09-16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Flächenbündig um die Brüstung einer Seitenverkleidung eines Kraftfahrzeuges integriertes Sonnenschutzrollo
DE102007012259A1 (de) * 2007-03-12 2008-09-18 Bos Gmbh & Co. Kg Sonnenschutzrollo für Kraftfahrzeuge
DE202007012982U1 (de) * 2007-09-11 2009-02-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US8403392B2 (en) * 2009-07-21 2013-03-26 Honda Motor Co., Ltd. Glove box for vehicle
DE102009037824A1 (de) * 2009-08-10 2011-02-17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5646934B2 (ja) * 2010-09-24 2014-12-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US8215697B1 (en) * 2011-01-28 2012-07-1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ing apparatus mountable on a rear window of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176B1 (ko) * 2012-12-24 2014-05-19 한일이화주식회사 도어트림에 장착된 수동커튼의 쉐이드바 자동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2769A1 (en) 2012-09-26
US20120180960A1 (en) 2012-07-19
JP2011105152A (ja) 2011-06-02
CN102596605A (zh) 2012-07-18
JP5340891B2 (ja) 2013-11-13
WO2011062022A1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9279A (ko) 차양장치
JP5727501B2 (ja) 機械的強度を向上したインサート収納可能キー
JP541026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WO2015199042A1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WO2011024717A1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629049B2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KR101583912B1 (ko) 자동차의 회전형 선바이저 미러 장치
JP5013166B2 (ja) 容器ホルダ装置
JP2010179794A (ja)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US11913263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2005104173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5119536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CN218471104U (zh) 柔光箱的卡盘组件及柔光箱
KR101926878B1 (ko) 도어 엣지 프로텍터
JP566209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4456133B2 (ja) 巻取装置のハウジング
JP6591275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CN218907116U (zh) 保持装置及装饰元件
KR100950605B1 (ko) 카고스크린
JP4876961B2 (ja) サンバイザ
JP5053757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7145243A (ja) 車両用雨除け装置
JPH11348640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5090956B2 (ja) ミラー装置
JP2012148676A (ja) 自動車用雨よ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