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686A - 약제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686A
KR20120086686A KR1020127003937A KR20127003937A KR20120086686A KR 20120086686 A KR20120086686 A KR 20120086686A KR 1020127003937 A KR1020127003937 A KR 1020127003937A KR 20127003937 A KR20127003937 A KR 20127003937A KR 20120086686 A KR20120086686 A KR 2012008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tray
drug
chemical
medic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801B1 (ko
Inventor
에이지 나카이
다카시 우에노
유키나가 요시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8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선반본체(28)와, 선반본체(28)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트레이 지지대(30)와, 트레이 지지대(30)에 분리 가능하게 재치되고, 인출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약제(D)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약제 트레이(10)와, 선반본체(28)에 설치되고, 약제(D)를 수용한 상태에서 약제 트레이(10)를 트레이 지지대(30)와 함께 선반본체(28) 내로 압입했을 때에, 수용된 약제(D)를 인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배출장치{MEDICATION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배출장치(藥劑排出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약제배출장치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 공지(公知)되어 있다.
특허문헌1 및 2에는, 약품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수용한 복수개의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카세트 홀더를 선반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약품수납장치가 개시(開示)되어있다. 이 약품수납장치에서는 카세트로부터 약품을 꺼내거나 카세트로 약품을 반환하거나 할 때에, 카세트의 선두(先頭)에 설치한 센서에 의하여 검출하여 미리 기억시킨 데이터로부터 가감(加減)함으로써 수용수(收容數)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 및 2에 기재된 구성으로는, 부품수(部品數)가 많아 그것들을 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조립 정밀도도 요구된다. 또한 약품에는 사이즈가 서로 다른 다양한 것이 있고, 각각에 대해서 전용 카세트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카세트 홀더도 그것에 맞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비용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배치상의 자유도(自由度)가 별로 없다. 또한 약품의 수량을 데이터의 관리에 의하여 취급하고 있으므로, 초기설정에서 데이터의 입력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무엇인가의 트러블에 의하여 데이터가 소실되어 버리면, 다시 한번 데이터의 입력을 다시 할 필요가 있어 힘들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1-25899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1-198193호 공보
본 발명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장치본체로부터 약제 트레이를 떼어내어 약제의 충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약제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약제배출장치를, 선반본체와, 상기 선반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트레이 지지대(tray 支持臺)와, 상기 트레이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재치되고, 인출방향(引出方向)을 따라 복수개의 약제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약제 트레이(藥劑 tray)와, 상기 선반본체에 설치되고, 약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지지대와 함께 상기 선반본체 내로 압입(壓入)했을 때에, 수용된 약제를 인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제 트레이만을 떼어내어 복수종류(複數種類)의 약제의 충전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약제를 수용한 약제 트레이는, 선반본체로부터 인출한 트레이 지지대에 재치하고, 선반본체 내로 압입함으로써 세트 할 수 있다. 이 세트 상태에서, 약제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는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되어 정렬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약제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가압하여 정렬시킨 상태에서, 그 수량을 계수하는 계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제 트레이를 세트 하는 것만으로, 약제 트레이 내에 수용된 약제의 수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수용 수량을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약제의 현재 재고수(現在 在庫數)를 리얼타임(real time)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오검출(誤檢出)되는 일도 없다.
상기 약제 트레이는, 인출방향을 따라 복수열(複數列)로 구획 가능한 구획 플레이트(區劃 plate)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의하여 구획된 각 열에 대응하여 상기 선반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구획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이즈가 서로 다른 약제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용된 약제를 직접 가압 가능한 약제 가이드 부재(藥劑 guide 部材)를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각 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가이드 부재는, 일단부(一端部)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단(他端)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제 가이드 부재의 부착방향을 틀리는 일이 없다.
상기 약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각 열에 배치되는 가이드축(guide軸)과, 상기 가이드축을 왕복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 됨으로써 약제를 가압하는 푸셔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커버(脫落防止 cover)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는, 트레이 지지대의 인출방향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표시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입력조건에 따른 소정의 표시를 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입력조건에 따라서 표시부에서의 표시형태를 다르게 함에 따라, 유저(user)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좋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조건으로서 약제의 배출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해당하는 약제가 정렬된 열에서 표시부를 점등시키도록 하면 좋다.
상기 표시부는, 처방 데이터(處方 data)에 의거하여 배출대상이 되는 약제가 수용된 열(列)인 것, 약제를 반환하는 경우의 반환처(返還處)의 열인 것, 또는 약제의 품절(品切)이 발생한 열인 것 중, 적어도 어느 2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상기 선반본체의 전면에 개폐문을 구비하고, 상기 선반본체의 측부에, 상기 개폐판이 접어진 상태에서 수납 가능한 문수납부(門收納部)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문은, 서로 인접하는 일방의 가장자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평판과 제2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평판은, 타방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문수납부로 들어가도록 가이드 되고, 상기 제2평판은, 타방의 가장자리부의 상방측에 설치한 슬라이드 유닛이, 선반본체의 상방부(上方部)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선반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접히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문에 의하여 선반본체를 전폐로 하여 함부로 약제가 출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극약이나 마약 등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약제이더라도 안심하고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선반본체에 수용하는 약제 트레이를, 전폐쇄위치의 개폐문의 배면근방(背面近方)까지 배치하여도, 개폐문의 개폐시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슬라이드 유닛이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문이 함부로 전폐쇄위치로부터 개방되는 것도 방지가능하다.
상기 개폐문은, 접혔을 때에 제1평판과 제2평판의 경계부분으로 돌출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는 탄성 가이드편(彈性 guide片)으로 이루어진 손가락 끼임 방지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개폐문의 개폐시에, 제1평판과 제2평판의 경계부분에 손가락이 끼이는 일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문은, 슬라이드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와, 상기 제1평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편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은, 선반본체의 전면을 폐쇄하는 전폐쇄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부가 결합되는 결합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간단 또한 저렴한 방법으로, 개폐문이 전폐쇄위치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인인증장치와, 상기 가압부재의 계수부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약제의 현재 재고수를 산출하는 재고수 산출수단(在庫數 算出手段)과,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특정된 개인 데이터(個人 data)와, 상기 재고수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약제의 현재 재고수에 의거하여 약제의 배출수(排出數) 또는 반환수(返還數)를 관리하는 재고관리수단(在庫管理手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제의 현재 재고수 뿐만 아니라, 약제의 출납이 누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약제의 배출위치, 배출수, 반환위치 또는 반환수가 적절하게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관리하고, 부적절한 경우에는 경고수단을 통하여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배출이나 반환이 틀리게 이루어지는 일이 없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상기 약제 트레이로부터 배출한 약제를 폐기(廢棄) 또는 파손(破損) 하는 경우에,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개인이 특정되고, 상기 약제가 포함되는 처방 데이터가 특정되고, 상기 약제가 선택된 후에 폐기파손이유가 입력되고, 다시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개인이 특정됨으로써 폐기파손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폐기파손처리와 같이 중요한 처리에서의 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고, 트러블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폐기 또는 파손된 약제의 대체약제(代替藥劑)가 있을 경우에, 상기 폐기파손이유의 입력후에 대체약제의 배출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트레이만을 떼어내어 약제의 충전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충전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제의 충전이 완료된 약제 트레이는, 선반본체로부터 인출한 트레이 지지대에 재치하고 선반본체 내로 밀어넣는 것만으로 세트 할 수 있다. 또한, 이 세트 상태에서는, 가압부재(加壓部材)에 의하여 약제 트레이 내의 약제는 전방(前方)으로 가압되어 정렬되므로 약제의 배출작업을 즉시 또한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본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약제수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으로부터 개폐문을 전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개폐문의 상방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의 개폐문의 상방부분 및 상방측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7은, 도4의 개폐문의 상방부분, 상방측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드 레일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4의 개폐문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9는, 도4의 개폐문의 하방부분 및 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10(a)는, 개폐문이 완전히 열렸을 때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1은, 도4에 나타내는 트레이 선반으로부터 트레이 지지대에 재치한 약제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로부터 약제 트레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a)는, 도11의 약제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약제 가이드 부재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고, (b)는 그 약제 트레이에 약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4(a)는, 도11로부터 약제 트레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그 약제 가이드 부재 및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a)는, 도13(a)의 구획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구획 플레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평면 단면도이고, (c)는 구획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에 의한 약제배출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3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는,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환자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는,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환자선택화면(지시모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배출업무화면(지시모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7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배출업무화면(베드번호 선택모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8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반환업무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9는,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폐기파손 업무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0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폐기파손 명세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1은, 도2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충전리스트 출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밑)」, 「측」, 「단」 을 포함하는 용어)을 사용하지만, 그 용어들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 용어들의 의미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배출장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약제배출장치는, 본체 유닛(1)과 2개의 약제수용 유닛(2)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 유닛(1)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최상단에 표시장치(3)가 설치되고, 중간단에 처방정보 인쇄프린터(4), 저널 프린터(5), 지문인증장치(6) 및 바코드리더(7)가 설치되고, 하단에 냉장고(8)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장치(3)에는 후술(後述)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표시가 이루어지면, 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처방정보 인쇄프린터(4)는 환자명이나 바코드를 인쇄한 시트를 배출한다. 저널 프린터(5)는 환자정보나 배출약제의 정보 등을 인쇄한 라벨을 배출한다. 지문인증장치(6)는, 약제배출장치의 이용자가 누구인가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 지문인증장치(6)를 대신하여, 정맥인증장치(靜脈認證裝置)나 ID나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등 개인인증이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가능하다. 바코드리더(7)는 처방전(處方箋), 처방정보 인쇄프린터(4)로 인쇄된 시트, 저널 프린터(5)로 인쇄된 라벨 등의 바코드를 읽어내어 처방 데이터, 약제 등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냉장고(8)에는, 냉장보존이 필요한 약제(예를 들면 우테메린 주사액(Utemerin Injection), 아토닌(atonin), 산도스타틴(sandostatin) 등)이 수용되어 있다.
약제수용 유닛(2)은,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트레이 선반(9)을 설치하고, 각 트레이 선반(9)에 약제(D)를 수용한 약제 트레이(10)를 재치한 것이다.
약제수용 유닛(2)은 대략 직육면체 모양이고, 전면개구부(前面開口部)가 개폐문(11)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약제수용 유닛(2)의 전면개구부의 상하 테두리부에는, 도5, 도6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측 가이드레일(12) 및 하방측 가이드레일(1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방측 가이드레일(12)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한 쌍의 레일(12a, 12b)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측 가이드레일(13)은, 전면측에서 기립한 기립벽(起立壁)을 구비하고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약제수용 유닛(2)의 일방(一方)의 가장자리부에는, 도7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上下)로, 후방(後方)을 향해서 연장되는 수납 레일(1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수납 레일(14)은 홈(groove) 모양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어진 상태의 개폐문(11)의 상하단부(上下端部)를 가이드 한다. 수납 레일(14)의 후단측(後端側)에는, 개폐문(11)의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15)가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15)는 우레탄(urethane) 등의 탄성재료(彈性材料)로 이루어지고, 개폐문(11)에 충격력(衝擊力)을 주지않고 정지시킨다. 상방측 수납 레일의 전방측 하방에는 수납 커버(16)가 설치되어 개폐문(11)의 상단부에 설치한 슬라이드 유닛(20)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하의 수납 레일(14)의 사이에는, 3개의 보조 가이드레일(17)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수납 레일(14)의 근방에는, 접어진 상태의 개폐문(11)의 양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14a)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4a)는, 개폐문(11)이 전폐위치(全閉位置)에 위치할 때에, 제2평판(19)이 수납위치 측으로 압입(壓入)되더라도 그 침입을 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문(11)을 접음으로써 제2평판(19)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경첩(19a)에 의하여 개폐문(11)과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문(11)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hinge)(11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한 쌍의 평판(제1평판(18) 및 제2평판(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평판(18) 및 제2평판(19)의 상방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수평벽(水平壁)(18a) 및 수평벽(1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평판(18)의 수평벽(18a)에는, 제2평판(19)의 연결 부분과는 반대측에 절단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평판(18)의 테두리 상부에는 슬라이드 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유닛(20)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21)를 2조 구비하고 있어, 상기 약제수용 유닛(2)의 상방측 가이드레일(12)상을 개폐문(11)의 전폐위치(全閉位置)로부터 전개위치(全開位置)까지 굴러간다. 슬라이드 유닛(20)은 롤러(21)가 개폐문(11)의 전개위치까지 굴러갔을 때에, 상기 수납 커버(16)에 의하여 덮히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유닛(20)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축부(軸部)(22)가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22)는, 제1평판(18)의 가장자리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한 복수개의 회전편(23)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폐문(11)을 전개위치로부터 전폐위치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유닛(20)의 롤러(21)가 상방측 가이드레일(12)상을 굴러가고, 제1평판(18)의 수평벽(18a)에 형성된 절단부(18b)에 축부(22)가 결합되도록 되어있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문(11)은 슬라이드 유닛(20)이 상방측 가이드레일(12)에 의하여, 제1평판(18)의 하단부는 하방측 가이드레일(13)에 의하여, 각각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받아 축부(22)가 절단부(18b)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전폐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개폐문(11)을 전폐위치로부터 전개위치로 회전시키면(문개방동작), 축부(22)가 회전이동하여 절단부(18b)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유닛(20)의 위치가 문개방동작에 의하여 변경되는 일이 없이,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2)의 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평판(18)의 전면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24)는 개폐문(11)을 전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정면에서 봤을 때에, 상부 가장자리부 및 왼쪽 가장자리부에 각각 손가락과 결합하여 개폐문(11)을 동작시키기 위한 개방파지부(開放把指部)(25) 및 인출파지부(引出把指部)(26)를 각각 구비한다. 개방파지부(25)는 개폐문(11)을 평탄하게 하는 전폐위치와, 2단접이로 접은 전개인출위치의 사이에서 동작시킬 때에 파지(把持)하는데 적합하다. 인출파지부(26)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수납위치로부터 전개인출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파지하는데 적합하다.
제1평판(18)과 제2평판(19)의 경계부분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 끼임 방지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이 손가락 끼임 방지구조에서는, 제1평판(18)과 제2평판(19)이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에 경사면(18c) 및 경사면(19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평판(18)과 제2평판(19)의 틈에는, 탄성 가이드편(27)이 배치되어 있다. 탄성 가이드편(27)은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개폐문(11)을 접을 때에 제1평판(18)과 제2평판(19)이 인접하는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서서히 볼록하게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문(11)을 전개위치로부터 전폐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제1평판(18)과 제2평판(19)의 틈에는 탄성 가이드편(27)이 볼록하게 돌출하여 손가락을 삽입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트레이 선반(9)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본체(28)와 그 양측의 내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29)에 의하여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프레임(frame) 모양의 트레이 지지대(30)를 구비한다. 선반본체(28)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압부재(31)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압부재(31)는, 도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구(開口)하는 장척(長尺)의 케이싱(casing)(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가압부(33)를 설치한 것이다. 가압부(33)는 케이싱(32)의 일방의 측면부에 가이드 되면서, 전방측 단부에 설치한 정하중 스프링(定荷重 spring;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장척의 판스프링으로서, 직선으로 늘렸을 때에 생기는 복원력은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의 가압력을 받아서 전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부재(31)의 전방부에는, 표시부로서 LED(34)(Light Emitting Diode)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색채로 점등, 점멸 혹은 소등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1)에는 정하중 스프링, LED등이 일체화되고, 선반본체(28)에 대응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약제 트레이(10)의 구획 플레이트(37)의 부착위치에 따라서 자유롭게 부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1)는, 구획 플레이트(37)와의 간섭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구획 플레이트(37)의 간격이 넓은 곳(폭치수가 큰 약제(D)의 경우)에서는 가압부재(31)가 복수개 배치되므로, 가령 중량이 커도 약제의 가압상태를 안정시켜서, 선두(先頭)의 약제를 꺼내기 쉬운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개의 약제 가이드 부재(38)에 대하여, 큰 1개의 푸셔부(44)를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 1개의 약제수용 공간에 복수개의 가압부재(31)가 배치될 경우에, 약제(D)의 수량을 계수(計數)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그 중에 1개이면 좋다.
트레이 지지대(30)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단 플레이트(35)를 구비한다. 후단 플레이트(35)에는 복수개의 송풍구멍(36)이 형성되고, 냉장고(8)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기의 유입을 위하여 이용된다.
트레이 선반(9)에 수용된 약제(D)(앰플(ampoule), 약병, 또는 상자에 수용된 것 등)의 수는, 정하중 스프링의 띠모양 스프링의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부위의 길이(인출치수)의 차이에 의한 전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연산한다. 즉 도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48)의 기억부에는 미리 전기저항의 차이에 의한 띠모양 스프링의 인출치수와, 수용되는 약제(D)의 폭치수에 의거하여 수용되는 약제(D)의 개수를 연산한다.
또한 약제 트레이(10)가 사전에 정해진 트레이 지지대(30)에 장착 되도록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오설치 방지수단(誤設置 防止手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설치 방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약제 트레이(10)에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의 장착용 돌기를 형성하고, 각 트레이 지지대(30)에 상기 각 약제 트레이(10)의 돌기에 대응하는 장착 구멍을 각각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작업 등에서 트레이 지지대(30)로부터 약제 트레이(10)를 떼어내어 약제를 충전한 후에, 다른 트레이 지지대(30)에 장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약제 트레이(10)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선반(9)으로부터 인출된 트레이 지지대(30)에 분리 가능하게 재치되는 사각형의 프레임 모양의 것이다. 약제 트레이(10)는, 복수개의 구획 플레이트(37)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칸을 나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획 플레이트(37)는 탈착이 가능하고, 그 부착위치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구획 플레이트(37)의 사이에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제 가이드 부재(38)가 구획 플레이트(37)와 마찬가지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약제 가이드 부재(38)는, 상기 가압부재(31)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고 선단에 형성된 돌기(또는 홈부)가 후술하는 탈락방지 커버(37a)에 결합하여, 약제 트레이(10)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약제 트레이(10)는 테이블 등에 재치했을 때에,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후단측의 하면에 돌기(3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약제(D)를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정렬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후단 측의 약제(D)는, 약제 가이드 부재(38)에 의하여 전방측에 가이드 되어 쓰러지는 일이 없다.
구획 플레이트(37)는 두께가 약3mm로 형성되고,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측(一端側)에는 결합부가 결합되는 오목부(40)가 형성되고, 타단측(他端側)에는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볼록부(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 플레이트(37)의 부착방향을 틀리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구획 플레이트(37)는 인접하는 상호간의 간격이 가능한 한 좁아질 수 있도록 배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요철의 위치를 양단부에서 교대로 배치하면, 구획 플레이트(37)의 간격을 더욱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틈이 발생할 만큼 외경치수(外徑寸法)가 작은 앰플 등이라면, 도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사이즈에 따른 두께가 큰 구획 플레이트(37)를 배치하거나 또는, 구획 플레이트(37)의 대향면(약제(D)와의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배치하거나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약3mm인 구획 플레이트(37)를 사용하는 경우에 약제 트레이(10)의 결합부와 결합구멍(10a)을 이용하게 되므로, 도1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폭치수가 12mm의 약제(D)이면 인접하는 구획 플레이트(37) 사이의 간격을 15mm로 설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약제(D)가 구불구불하게 구부러져서 배치되게 되고, 계수결과에 오차가 발생해버린다. 그래서, 도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획 플레이트(37)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하고, 양단부의 결합구조를 요철모양(양단부에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위치가 역(逆))으로 하고 인접하는 구획 플레이트(37)의 간격을 12mm로 함으로써 약제(D)를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어, 약제(D)의 수량을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 트레이(10) 내를 구획 플레이트(37)에 의하여 나누도록 했으므로, 앰플 등의 외경치수가 작은 약제(D)이더라도 구획 플레이트(37)를 그 측면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고, 약제(D)가 구불구불 구부러져서 배치되는(약제(D) 상호간의 열의 폭방향으로 겹친다) 일이 없으므로, 계수부(31a)에 의한 적절한 계수를 할 수 없게 되는 불량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또 구획 플레이트(37)에는 약제용의 빠짐방지 가이드편(42)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빠짐방지 가이드편(42)은 구획 플레이트(37)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수평방향으로 굴곡한 대략 L자형의 것으로서, 수평부분에서 약제(D)의 상단면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약제 트레이(10)의 전단내면(前端內面)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후단내면(後端內面)에는 도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구멍(1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부 및 결합구멍(10a)은, 약제(D)의 사이즈에 맞춘 임의의 위치에서 구획 플레이트(37)를 약제 트레이(10)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또한 약제 트레이(10)의 전단 및 후단에는 구획 플레이트(37)용의 탈락방지 커버(37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약제 트레이(10)를 트레이 지지대(30)로부터 떼어내어 테이블 등에 재치한다고 하더라도, 구획 플레이트(37)가 약제 트레이(10)로부터 떠올라서 빠지는 불량을 발생시킬 일이 없다.
약제 가이드 부재(38)는, 도1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43)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푸셔부(44)를 부착한 것이다. 가이드축(43)의 선단부에는 제1결합부(45)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제2결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45) 및 제2결합부(46)는 모두 단면이 대략 C자형이지만, 제1결합부 (45)의 선단부분은 단순한 볼록한 모양인 것에 비해, 제2결합부(46)의 선단부분은 폭방향으로 분기(分岐)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약제 트레이(10)로의 부착방향을 틀리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푸셔부(44)의 저면(底面)에는 결합 받침부(47)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31)의 가압부(33)와 결합 또는 접촉하여 가압 됨으로써 푸셔부(44)는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약제 트레이(10)는 트레이 지지대(30)로부터 떼어내어 테이블 등에 재치한 상태에서, 도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제(D)가 수용된다. 약제 트레이(10)를 트레이 지지대(30)에 재치하고 선반본체(28) 내로 이동시키면, 가압부재(31)의 가압부(33)가 정하중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압입된다. 그리고 가압부(33)와 결합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푸셔부(44)가, 각 약제(D)를 배치열의 후방으로부터 최후단에 위치하는 약제(D)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약제 트레이(10)에 수용된 약제는 틈이 없이 전방측으로부터 정렬된 상태로 된다.
상기 가압부재(31)의 계수부(31a)에 의한 약제(D)의 계수처리는,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48)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장치(48)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입력되었거나 또는 키보드 등으로 직접 입력된 처방 데이터, 약제 데이터 또는 프리 모드(free mode)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벨이나 약품 부족표를 인쇄시키거나, 가압부재(31)의 LED(34)의 점등상태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표시장치(3)에서의 표시상태를 변경하거나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한 약제배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17에서부터 도21의 플로차트를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약제배출장치의 전원이 투입되면(스텝S1), 표시장치(3)에는 기동화면을 표시하고, 계속해서 도22에 나타내는 메뉴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2). 그리고 메뉴화면에서 각 버튼을 터치 조작 함으로써(스텝S3), 이하에서 설명하는 대로 약제(D)의 배출처리, 약제(D)의 반환처리, 약제(D)의 폐기?파손처리, 약제(D)의 충전처리, 도어록 처리(door lock 處理) 및 인터럽트 처리(interrupt processing)를 실행한다.
(약제배출처리)
약제배출처리에서는, 처방단위로 약제(D)를 배출하는 경우이거나, 약제단위로 배출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자유롭게 배출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처방단위로 배출할 경우에, 메뉴화면에서 지시 배출 버튼이 터치 조작되면,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인인증을 촉구하는 인증지시화면을 팝업 표시(pop-up 表示)시킨다(스텝S4). 그래서 지문인증장치(6)에 의하여 집게 손가락의 지문이 읽히면, 등록되어 있는 유저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스텝S5).
등록되어 있는 유저인 것이 인증되면, 도25에 나타내는 환자선택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6). 그리고 해당하는 환자가 선택(터치 조작)되면(스텝S7), 도26에 나타내는 배출화면으로 전환하여(스텝S8) 약제(D)의 배출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스텝S9). 단, 처방전이 있을 경우에는 거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바코드리더(7)로 읽어내거나, 키보드에 의하여 처방전번호를 입력하거나 함으로써 처방 데이터를 특정하고, 약제(D)의 배출처리를 실행하게 하여도 좋다.
약제(D)의 배출에서는, 배출화면에 약제명이 일람으로 표시되어, 상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해당하는 약제가 정렬된 열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표시부인 LED(34)를 녹색으로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약사 또는 간호사가 어느쪽의 열로부터 약제(D)를 배출하면 좋은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배출대상이 되는 약제(D)가 복수개 있을 경우에, 해당하는 열의 모든 LED(34)를 점등시키면 좋다. 또한 표시부를 세그먼트 표시(segment 表示)하여 배출하는 약제(D)의 잔량을 표시하게 하여도 좋다.
약사 또는 간호사의 수작업에 의하여 해당하는 약제(D)가 약제 트레이(10)의 선두부분(先頭部分)으로부터 꺼내지면, 가압부재(31)에 의하여 후방측의 약제(D)가 전방으로 압출(壓出)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31)에 의한 약제(D)의 계수처리가 실행되어, 약제(D)가 1개 꺼내진 것이 검출된다. 이 경우에, 구획 플레이트(37)에 의하여 약제(D)는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저항의 변화로부터라고 하더라도 정확하게 약제(D)의 잔량을 특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약제(D)의 배출이 완료되면(스텝S10), 처방정보 인쇄프린터(4)를 구동함으로써 배출한 약제(D)(약병 등)에 관한 정보와 환자정보 등에 관한 라벨을 인쇄시킨다(스텝S11). 또한 약제(D)의 잔량이 0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부족 약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스텝S12), 부족 약제가 있으면, 약국 등의 프린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어느쪽의 약제가 부족한지를 인쇄시킨다(스텝S13). 이에 따라 어느쪽의 약제(D)를 보충하면 좋은지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열의 LED(34)를 적색으로 점등시키면, 한눈에 어느 열에 약제(D)를 보충하면 좋은지를 알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 후에, 다음 환자의 처방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등에 의거하여 약제배출처리를 종료할지 안 할지를 판단한다(스텝S14). 다음 환자의 처방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스텝S6으로 되돌아가서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약제배출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뉴화면으로 전환하여 대기상태로 된다.
구급처치 등에서, 처방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약제(D)를 배출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와 동일하게 지시 배출 버튼을 터치 조작하여 개인인증을 하고, 환자선택화면에서 환자를 선택하여 도26에 나타내는 배출업무화면으로 전환하고, 배출할 약제(D)를 특정한 후에, 약제(D)의 배출을 시작하면 좋다. 이 경우에, 환자명을 특별히 지정할 수 없으면, 환자선택화면으로 바꿔서 도27에 나타내는 베드번호 선택화면을 표시하고, 환자가 수용되어 있는 베드번호에 의하여 환자를 특정하여도 좋다.
또한 처방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환자선택화면에서 환자를 선택해도 배출업무화면으로 전환되지 않으(전환될 데이터가 없다)므로, 그대로 트레이 선반(9)으로부터 해당하는 약제(D)를 배출하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에, 가압부재(31)의 계수부(31a)에 의하여 약제(D)가 배출된 것을 검출하여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기 약제배출처리에서는, 각 열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계수부(31a)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현재 재고수의 증감수를 관리하고 있다.
즉 도22의 플로차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재고수가 감소했는지 또는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스텝S61). 현재 재고수가 감소하였을 경우에, 지시배출의 대상 외인 열로부터의 약제(D)(지시 외)의 배출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62). 지시 외의 배출인지 아닌지는, 처방전에서 추려낸 대상이 아닌 약제(D)가 수용된 어느 하나의 열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계수부(31a)에서 약제(D)가 배출되었던 것이 검출됐었는지 안 됐었는지에 의하여 판단한다. 지시 외의 배출이라고 판단되면, 표시장치(3)에 경고표시 한다(스텝S63). 지시배출의 대상이 되는 열로부터의 약제(D)의 배출이면, 그 배출수가 지정된 배출수를 넘지 않았는지 넘었는지(배출수의 초과)를 판단한다(스텝S64). 배출수가 초과되었는지 아닌지는 해당하는 열의 계수부(31a)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약제(D)가 처방 데이터의 배출수를 넘어서 배출되었을 경우에, 배출수가 초과된 것을 경고표시한다(스텝S65). 지시 외의 배출이 아니고, 배출수도 처방전에서 지시된 수량을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현재 재고수를 갱신한다(스텝S66).
현재 재고수가 증가하였을 경우에, 반환이 지시된 열 이외로의 반환(지시 외 반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67). 이 판단은, 상기 스텝S62에서 한 것과 같이, 약제(D)를 반환해야 할 열 이외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계수부(31a)에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한다. 지시 외 반환이면, 표시장치(3)에 그 취지를 경고표시 한다(스텝S68). 지시 외 반환이 아니면, 반환수가 배출된 약제(D)의 수량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69). 이 판단은, 상기 스텝S64에서 한 것과 같이, 약제(D)를 반환해야 할 열의 계수부(31a)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한다. 초과됐다고 판단하면, 반환수가 초과되어 있는 것을 표시장치(3)에 경고표시한다 (스텝S70). 반환처 및 반환수가 맞으면 적절한 반환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현재 재고수를 갱신한다(스텝S66).
이와 같이 각 열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계수부(31a)에서 현재 재고수의 증감을 검출하고, 그 수량을 계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오배출 혹은 오반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고표시 하였을 경우에, 배출 또는 반환이 적절하게 다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작업자의 ID와 함께 그 내용을 기억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약제(D)의 배출 및 반환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약제반환처리)
일단 배출한 약제(D)를 약제 트레이(10)로 반환하는 경우에, 상기 스텝S3에서, 반환 버튼이 터치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인인증화면을 표시하여(스텝S21), 개인인증을 거친 후(스텝S22)에, 환자선택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23). 그리고 반환하려고 하는 약제(D)가 기재된 처방전의 바코드가 바코드리더(7)에 의하여 읽히거나, 환자(배출처방)선택화면에서, 해당하는 환자(처방)가 특정(터치 조작)되거나 함으로써(스텝S24), 도28에 나타내는 반환업무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25). 반환업무화면에서, 반환하려고 하는 약제(D)가 특정되면 반환처리를 실행한다(스텝S26). 여기에서는, 반환해야 할 열의 LED(34)를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약제(D)의 반환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반환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하는 열에 약제(D)가 반환되면, 그 수량이 계수되므로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 후에 반환처리가 완료되면(스텝S27), 저널 프린터(5)로 반환 리스트를 인쇄시킨 후(스텝S28)에 메뉴화면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약제반환처리에서는, 처방전이나 환자의 특정 등에 의하여 반환하려고 하는 약제(D)가, 어느 환자의 처방에 의거하는 것인지를 특정한 후에, 해당하는 열로 반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D)를, 확실하게 원래의 장소로 반환할 수 있다.
(약제폐기?파손처리)
앰플이 손상되거나 하여 폐기할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스텝S3에서 폐기파손 버튼이 터치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개인인증화면을 표시시켜(스텝S31), 개인인증을 거친 후(스텝S32)에, 환자(배출처방)선택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33). 그리고 처방전 등의 바코드가 바코드리더(7)에 의하여 읽히거나, 해당하는 환자(처방)가 선택되거나 하면(스텝S34), 도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환자의 처방에 관한 폐기파손 업무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35). 폐기파손 업무화면에서, 폐기하려고 하는 약제(D) 또는 파손된 약제(D)가 선택되면, 도30에 나타내는 폐기파손 명세입력화면으로 전환하고(스텝S36), 폐기파손수, 폐기파손이유 등의 입력을 촉구한다. 이들의 입력이 완료되면, 그 내용을 기억하여(스텝S37), 다시 개인인증을 한다(스텝S38). 여기에서 대체약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해(스텝S39-1), 있으면 배출처리를 실행한 후(스텝S39-2)에 갱신하고, 없으면 그대로 약제(D)의 폐기파손에 의한 데이터의 갱신을 한다(스텝S39-3).
그런데 상기 약제폐기?파손처리에서는, 대체약제(D)의 배출이 필요하면, 해당하는 약제(D)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폐기 또는 파손된 약제(D)에 대해서, 해당하는 열의 LED(34)를 점등하여 배출장소를 나타내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LED(34)는, 폐기 또는 파손된 수량분만큼 약제(D)가 배출된 시점에서 소등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폐기되거나 또는 파손된 약제(D)만을 배출할 수 있다.
(약제충전처리)
약제(D)가 배출되어서 보충할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 즉 상기 스텝S3에서 충전 버튼이 터치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개인인증화면을 표시시켜(스텝S41), 개인인증을 거친 후(스텝S42)에, 도31에 나타내는 충전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43). 충전 리스트 화면에는, 각 열의 가압부재(31)에 설치한 계수부(31a)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약제(D)를 표시장치(3)에 일람표시 시킨다(스텝S44). 또한 일람표시의 대상이 된 약제(D)에 대해서, 그 리스트를 저널 프린터(5)에 의하여 인쇄시킨다(스텝S45). 리스트가 인쇄된 용지에는, 약제명 외에 각 약제(D)에 대응하여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코드가 바코드리더(7)에 의하여 읽히면, 표시장치(3)의 표시내용을 충전업무화면으로 전환한다(스텝S46). 여기에서, 충전하려고 하는 약제(D)에 붙힌 라벨의 바코드를 읽어내고, 그 약제(D)가 충전하는데에 적절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스텝S47)에, 해당하는 약제(D)이면 충전작업을 한다. 이때에, 실제 충전시의 미스(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대상인 약제(D)의 열의 LED(34)를 점등하여 충전장소를 나타내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충전하는 약제에 관해서도 확인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약제(D)가 잘못 충전되는 미스(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처(充塡處)를 틀렸을 경우에, 원래 충전해야 할 열과는 다른 열에서 약제(D)의 수용수가 많아진 것이 계수된다. 이 경우에, 표시장치(3)에 그 취지 즉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처는 맞아도, 충전수가 초과되는 것도 상정(想定)된다. 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약제(D)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에러표시를 하면 좋다.
또, 상기 스텝S42에 의하여 개인인증을 한 후에, 충전 리스트 화면을 표시시켜, 충전리스트를 인쇄시키도록 했지만, 이들의 처리를 생략하고, 바코드리더(7)에 의하여 충전하려고 하는 약제(D)에 첨부된 용지로부터 바코드를 읽어내고, 즉시 충전업무화면으로 전환함으로써, 적절하게 약제 트레이(10)의 각 열에 약제(D)를 충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바코드를 읽어내는 것에 의하여 해당하는 열의 LED(34)를 점멸시키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충전장소를 틀리는 일이 없다.
(도어록 처리)
상기 각 처리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개인인증이 완료될 때까지는, 개폐문(11)을 전폐의 록 상태로 해 두어도 좋다. 예를 들면 취급하는 약제(D)가 극약이나 마약 등과 같이, 간단하게 꺼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개인인증의 완료 후에, 개폐문(11)의 록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구성으로서는, 개폐문(11)이 닫혀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도어 센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닫혀 있는 개폐문(11)을 록 상태로 하는 록 기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록 상태를 검출하는 록 센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저는, 약제배출장치에서의 각 처리가 종료됐을 때에 유저의 개인인증을 종료시킨다(log out). 로그 아웃(log out)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 센서 혹은 록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 통지(error notification)를 한다. 에러 통지로서는, 개폐문(11)이 전폐에서 록 상태가 아니라는 취지를 표시장치(3) 또는 장치 상부의 LED에 의하여 하던지, 또는 그 양쪽에 의해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여 유저는 로그 아웃(log out)했을 때에는 반드시 전폐의 록 상태로 해 둘 수 있다. 또한 개폐문(11)을 닫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록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유저는 록 기구가 고장난 가능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취급에 주의가 필요한 약제(D)를 이동하는 등 하여 관리를 엄중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 센서에서 검출될 때까지 로그 아웃(log out)할 수 없게 하여도 좋다.
(인터럽트 처리)
상기 약제배출처리 등을 실행중일 때에, 수술이나 구급 환자가 있고, 긴급하게 약제를 배출할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화면(예를 들면 배출업무화면)에는, 인터럽트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 인터럽트 버튼이 터치 조작되면, 인터럽트 처리를 시작한다. 이 경우에, 다른 처리는 모두 실행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인터럽트 처리에서는, 상기 약제배출처리와 같은 처리를 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약제의 배출작업이 완료되면, 개인인증처리를 한 후에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하고, 원래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본체 유닛(1)과, 2개의 약제수용 유닛(2)을 구비한 구성을 했지만, 약제수용 유닛(2)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 혹은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체 유닛(1)에 트레이 선반(9)을 설치하도록 하면, 약제수용 유닛(2)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로서 LED(34)가 가압부재(3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트레이 지지대(30)의 전면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하면, 유저는 트레이(10)를 떼어내지 않고 트레이 지지대(30) 채로 인출했을 경우이더라도 트레이 지지대(30)의 전면부로부터 LED(34)를 용이하게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0)를 검출하는 트레이 센서를 각 트레이 지지대(30)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트레이 센서는, 약제배출처리에서 해당 약제(D)를 수용한 트레이(10)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트레이(1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취지를 에러 통지하면 좋다. 유저는 약제(D)가 배출될 수 없는 원인으로서 트레이(10)가 미장착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ED(34)의 폭은 가장 작은 약제(D)의 폭과 동일하던가, 그것보다도 작은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LED(34)의 수는 트레이 지지대(30)의 폭방향으로 최대 17개 설치할 수 있고, 약제(D)의 배치에 따라서 설치하면 좋다. 또한 약제(D)의 폭의 중앙위치에 설치하면, 유저는 어느 약제(D)가 대상이 될지 눈으로 보고 확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각 LED(34)의 주위를 차광부재(遮光部材) 등으로 둘러싸도 좋다. 그 경우에, 발광하고 있지 않는 LED(34)가 있는 곳까지 빛이 새는 일이 없으므로, 유저는 발광하고 있는 LED(34)를 정확하게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폐문이 접어진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도 좋다. 접혔을 때에만 약제배출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폐문(11)과 약제(D) 및 약제수용 유닛(2)이 간섭하는 일이 없다.
1 : 본체 유닛
2 : 약제수용 유닛
3 : 표시장치
4 : 처방정보 인쇄프린터
5 : 저널 프린터
6 : 지문인증장치
7 : 바코드리더
8 : 냉장고
9 : 트레이 선반
10 : 약제 트레이
10a : 결합구멍
11 : 개폐문
11a : 힌지
12 : 상방측 가이드레일
12a, 12b : 레일
13 : 하방측 가이드레일
14 : 수납 레일
14a : 가이드 롤러
15 : 스토퍼
16 : 수납 커버
17 : 보조 가이드레일
18 : 제1평판
18a, 18b : 수평벽
18c : 경사면
19 : 제2평판
19a, 19b : 수평벽
19c : 경사면
20 : 슬라이드 유닛
21 : 롤러
22 : 축부
23 : 회전편
24 : 손잡이
25 : 개방파지부
26 : 인출파지부
27 : 탄성 가이드편
28 : 선반본체
29 : 슬라이드 레일
30 : 트레이 지지대
31 : 가압부재
31a : 계수부
32 : 케이싱
33 : 가압부
34 : LED
35 : 후단 플레이트
36 : 송풍구멍
37 : 구획 플레이트
37a : 탈락방지 커버
38 : 약제 가이드 부재
39 : 돌기
40 : 오목부
41 : 볼록부
42 : 빠짐방지 가이드편
43 : 가이드축
44 : 푸셔부
45 : 제1결합부
46 : 제2결합부
47 : 결합 받침부
48 : 제어장치

Claims (18)

  1. 선반본체와,
    상기 선반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트레이 지지대(tray 支持臺)와,
    상기 트레이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재치되고, 인출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약제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약제 트레이(藥劑 tray)와,
    상기 선반본체에 설치되고, 약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지지대와 함께 상기 선반본체 내로 압입(壓入)했을 때에, 수용된 약제를 인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藥劑排出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加壓部材)는, 상기 약제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가압하여 정렬시킨 상태에서, 그 수량을 계수(計數)하는 계수부(計數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트레이는, 인출방향(引出方向)을 따라 복수열(複數列)로 구획 가능한 구획 플레이트(區劃 plate)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의하여 구획된 각 열에 대응하여 상기 선반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용된 약제를 직접 가압 가능한 약제 가이드 부재(藥劑 guide 部材)를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각 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가이드 부재는, 일단부(一端部)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단(他端)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각 열에 배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왕복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약제를 가압하는 푸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트레이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커버(脫落防止 co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트레이 지지대의 인출방향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표시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입력조건에 따른 소정의 표시를 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처방 데이터(處方 data)에 의거하여 배출대상이 되는 약제가 수용된 열(列)인 것, 약제를 반환하는 경우의 반환처(返還處)의 열인 것, 또는 약제의 품절(品切)이 발생한 열인 것 중에서 적어도 어느 2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본체의 전면(前面)에 개폐문(開閉門)을 구비하고,
    상기 선반본체의 측부에, 상기 개폐판이 접어진 상태에서 수납 가능한 문수납부(門收納部)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문은, 서로 인접하는 일방의 가장자리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평판과 제2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평판은 타방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문수납부로 들어가도록 가이드 되고, 상기 제2평판은 타방의 가장자리부의 상방측에 설치한 슬라이드 유닛이 선반본체의 상방부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선반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접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접어졌을 때에 제1평판과 제2평판의 경계부분으로 돌출하여 손가락의 끼임을 방지하고 탄성 가이드편(彈性 guide片)으로 이루어지는 손가락 끼임 방지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슬라이드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와, 상기 제1평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편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문은, 선반본체의 전면을 폐쇄하는 전폐쇄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부가 결합되는 결합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인증장치(個人認證裝置)와,
    상기 가압부재의 계수부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약제의 현재 재고수(現在 在庫數)를 산출하는 재고수 산출수단(在庫數 算出手段)과,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특정된 개인 데이터(個人 data)와 상기 재고수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약제의 현재 재고수에 의거하여 약제의 배출수(排出數) 또는 반환수(返還數)를 관리하는 재고관리수단(在庫管理手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약제의 배출위치, 배출수, 반환위치 또는 반환수가 적절하게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관리하고, 부적절한 경우에 경고수단을 통하여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6. 제2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계수부에서의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약제의 현재 재고수를 산출하는 재고수 산출수단과,
    상기 재고수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약제의 현재 재고수와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약제의 배출위치, 배출수, 반환위치 또는 반환수가 적절하게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관리하고, 부적절한 경우에 경고수단을 통하여 경고하는 재고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상기 약제 트레이로부터 배출한 약제를 폐기(廢棄) 또는 파손(破損) 하는 경우에,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개인이 특정되고, 상기 약제가 포함되는 처방 데이터가 특정되고, 상기 약제가 선택된 후에 폐기파손이유가 입력되고, 다시 상기 개인인증장치에 의하여 개인이 특정됨으로써 폐기파손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수단은, 폐기 또는 파손된 약제의 대체약제(代替藥劑)가 있을 경우에, 상기 폐기파손이유의 입력후에 대체약제의 배출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배출장치.
KR1020127003937A 2009-10-21 2010-10-21 약제배출장치 KR101828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2887 2009-10-21
JP2009242887 2009-10-21
PCT/JP2010/068594 WO2011049167A1 (ja) 2009-10-21 2010-10-21 薬剤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686A true KR20120086686A (ko) 2012-08-03
KR101828801B1 KR101828801B1 (ko) 2018-02-13

Family

ID=4390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937A KR101828801B1 (ko) 2009-10-21 2010-10-21 약제배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6) JP4821938B2 (ko)
KR (1) KR101828801B1 (ko)
CN (1) CN102596147B (ko)
WO (1) WO2011049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2607B2 (en) * 2011-05-02 2015-05-26 Omnicell,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access of dispensing unit
JP6170907B2 (ja) * 2011-05-02 2017-07-26 オムニ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施設規模の薬剤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5451693B2 (ja) * 2011-06-30 2014-03-26 キ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原薬の急速冷凍システム
WO2013006905A1 (en) * 2011-07-13 2013-01-17 White Cell Rx Holdings Pty Lt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CN103142372B (zh) * 2012-08-31 2016-01-20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药架
CN103142371B (zh) * 2012-08-31 2016-03-30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药架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CA2910157C (en) 2013-04-23 2021-05-25 Mark T. Cosgrove Controlled inventory refrigerated dispensing system
JP5564136B1 (ja) * 2013-07-23 2014-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6267058B2 (ja) * 2014-05-27 2018-01-2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品払出ユニットと、それを備えた薬品払出装置および薬品払出方法
AU2015346537A1 (en) * 2014-11-10 2017-05-18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Management of medication preparation with dynamic processing
CN105984654A (zh) * 2015-01-29 2016-10-05 Hmh株式会社 药品匣以及包括药品匣的药品存储柜
KR101768982B1 (ko) * 2016-01-15 2017-08-17 대덕밸리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시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087576B2 (ja) * 2018-03-30 2022-06-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取り揃え支援システム、取り揃え支援方法、取り揃え支援プログラム、照合支援システム、及び照合支援プログラム
CN108741765B (zh) * 2018-05-27 2019-12-31 陈志娟 一种精准计量药物数量的储药柜
KR20200034143A (ko)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9381317A (zh) * 2018-12-18 2019-02-26 无锡市儿童医院 便于管理的医用抢救药车
TW202039314A (zh) * 2019-01-31 2020-11-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盒子處理裝置和藥劑處理裝置
JP7311875B2 (ja) * 2019-02-04 2023-07-20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分包装置
IT202100024902A1 (it) 2021-09-29 2023-03-29 Velomat S R L Apparato e metodo per piegare un tapp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85A (ja) * 1998-07-14 2000-01-25 Tosho:Kk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4462690B2 (ja) * 2000-01-18 2010-05-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収納装置
JP4601116B2 (ja) * 2000-03-17 2010-12-2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収納装置
JP2002011073A (ja) * 2000-06-29 2002-01-15 Tosho Inc 薬剤カセット
JP4462726B2 (ja) * 2000-06-29 2010-05-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収納装置
JP2005237566A (ja) * 2004-02-25 2005-09-08 Sanko Spring Kk 商品前出し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商品前出し陳列装置
JP4935353B2 (ja) * 2004-05-19 2012-05-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JP4961791B2 (ja) * 2006-03-27 2012-06-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ート
JP2008284392A (ja) * 2008-08-26 2008-11-27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20476B2 (ja) 2013-01-16
JP2011136214A (ja) 2011-07-14
WO2011049167A1 (ja) 2011-04-28
CN102596147B (zh) 2014-07-16
JP2011136212A (ja) 2011-07-14
JP4826684B2 (ja) 2011-11-30
JP4826683B2 (ja) 2011-11-30
JP2011125750A (ja) 2011-06-30
JP2011136213A (ja) 2011-07-14
CN102596147A (zh) 2012-07-18
KR101828801B1 (ko) 2018-02-13
JP2011240188A (ja) 2011-12-01
JPWO2011049167A1 (ja) 2013-03-14
JP4821938B2 (ja) 2011-11-24
JP5360168B2 (ja)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6686A (ko) 약제배출장치
KR100852493B1 (ko) 약제 공급 장치
CA2533754C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AU776450B2 (en) Medicine storage apparatus
US5852911A (en) Tablet dispenser
KR102666501B1 (ko) 정제 분포 장치
CN111787900B (zh) 发药装置
US20060272976A1 (en) Container for use in a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JP2001198194A (ja) 薬品収納装置
JP2002011072A (ja) 薬品収納装置
US9977871B2 (en) Cassette control including presence sensing and verification
JP2002011073A (ja) 薬剤カセット
JP4601115B2 (ja) 薬剤カセット
JP3542166B2 (ja) 薬品払出し装置及び薬品払出し方法
JP2011078598A (ja) 自動薬剤供給装置
JP2011078599A (ja) 自動薬剤供給装置および薬剤供給方法
KR101186101B1 (ko) 약품 관리 장치의 약품 수납용 빈 및 상기 빈을 구비하는 상기 약품 관리 장치
JP2006109860A (ja) 調剤システム及び調剤方法
JP2002011075A (ja) 薬品収納装置
JP2001258994A (ja) 薬品収納装置
JP2002035087A (ja) 薬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