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259A -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259A
KR20120086259A KR1020120006499A KR20120006499A KR20120086259A KR 20120086259 A KR20120086259 A KR 20120086259A KR 1020120006499 A KR1020120006499 A KR 1020120006499A KR 20120006499 A KR20120006499 A KR 20120006499A KR 20120086259 A KR20120086259 A KR 2012008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double
sided adhesive
waterproof doubl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야마모토
타카요시 호리
Original Assignee
마쿠세루스리온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쿠세루스리온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쿠세루스리온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협폭화하여도 방수성이 저하되지 않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3)가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재(3)의 표리 양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 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2, 4)의 위에는, 박리 라이너(1, 5)가 각각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휴대용 디바이스나 옥외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부품의 고정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WATERPROOF 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被着體)에 붙이기 전에 타발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함이 가능하여,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부품의 고정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명판(銘板)이나 표시부는,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함께 소형화되고, 복잡한 형상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접합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 휴대 전화 단말에서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휴대 전화 단말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의 케이스의 내부에 액정 표시 소자가 장착되고, 아크릴 수지, 유리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이, 액정 표시 소자를 덮도록 케이스에 장착된다. 이때, 표면판은, 틀형에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표면판과 케이스와의 고정에 부가하여, 방수와 내충격성 및 충격 흡수라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표면판과 케이스의 사이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표면판에 가해진 충격력에 대해, 테이프가 파손됨 없이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표면판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휴대 전화 단말의 케이스와 표면판을 고정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상기와 같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지의 발포체를 기재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2010-15596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9-10831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9-084367호 공보
휴대 전화 단말의 액정화면은 매년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틀형에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폭은 협폭(狹幅)화되고 있다(도 4를 참조). 그리고, 최근에 있어서는, 폭을 1mm, 또는 1mm 미만까지 좁게 함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基材)를 구성하는 수지의 발포체는, 기포의 최대 직경이 O.5mm 미만임을 충분히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협폭화에 의해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방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즉, 도 4 중 원으로 둘러싸인 A부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포의 직경이 O.5mm 이상인 것이 존재한 경우에는, 2개의 기포가 연결되면, 연결된 2개의 기포에 의해, 폭이 1mm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관통구멍이 형성되면, 거기를 통해서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에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방수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한 방수성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폭은, 발포체의 기포의 직경의 2배보다 크게 할 필요성이 있지만, 기재의 전체폭, 전체길이에 걸쳐, 또한 로트?품질의 불균일함에 있어서, 기포의 최대 직경이 O.5mm 미만이고, 또한, 형성된 기포가 전부 독립 기포임이 100% 보증된 발포체 기재는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재로서 발포체를 사용하는 한, 폭 1mm, 또는 1mm 미만이라는 협폭화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휴대 전화 단말의 액정화면의 대형화에도 지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협폭화하여도 방수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내충격성 및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폭화하여도 방수성과 내충격성 및 충격 흡수성을 양립할 수 있는 발포체 이외의 기재를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재의 표리 양면에 배치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포터블 디바이스나 옥외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를 기재로서 사용하므로, 협폭화해도 방수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충격성 및 충격 흡수성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변형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휴대 전화 단말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틀형에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협폭화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충격 흡수성 시험의 측정 데이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3)가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재(3)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 가공을 실시한 것이어도 좋고, 앵커 코트제를 도포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 기재(3)의 표리 양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층(2, 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2, 4)의 위에는, 박리 라이너(1, 5)가 각각 적층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도 1과 같이, 박리처리가 한쪽 면에 실시된 박리 라이너(1, 5)가 표리 표면에 적층되어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박리처리가 양면에 실시된 박리 라이너(6)가 한쪽 면에만 적층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3)는, 엘라스토머의 비(非)발포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를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예를 들면 1mm이하로 협폭화한다고 해도,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기포에 의해 형성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방수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또한, 기재(3)가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충격성 및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부품의 고정에 이용 가능하고, 특히 전자기기 등과 같이 방수성이 요구되는 기기에 있어서의 부품의 고정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면, 포터블 디바이스나 옥외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빗물 등의 물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방수성이 요구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품의 고정을 행하면, 이 기기에 우수한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의 종류는, 통상은 휴대하여 갖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타입의 전자기기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예로서는,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휴대형 통신 단말,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휴대형 녹화 장치, 휴대형 음악 재생장치, 포터블 텔레비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게임기, 전자 사전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화 단말에 있어서의 부품의 고정에 사용한 예를,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배경 기술의 항 및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의 항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틀로서 타발하여, 틀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폭은, 1mm로 되어 있다. 이 틀형에 형성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의 케이스에 표면판을 고정한다.
이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3)가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포를 갖추지 않기 때문에, 방수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표면판과 케이스 사이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면, 고정에 사용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폭을 협폭화해도 방수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협폭화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의 액정화면의 대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3)가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므로, 내충격 및 충격 흡수라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표면판에 가해진 충격력에 견디고, 또한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표면판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기재(3)에 대해 설명한다.
기재(3)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시트이다. 엘라스토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류(加硫) 고무, 열경화성 수지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니트릴 고무(NBR),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코폴리머(SBR), 불소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를 미분산시킨 것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는 EPDM이나 EVA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엘라스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한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1 종류 혹은 2 종류 이상의 엘라스토머의 적층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아울러, 탄성 재료이면, 엘라스토머 이외의 재료의 비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기재 (3)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휴대 전화 단말의 케이스에 표면판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50㎛ 이상 1000㎛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엘라스토머의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엘라스토머로서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류 고무, 미가류 고무 모두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단, 내환경성(내광성(耐光性) 등)이나 크리프 성능을 고려하면, 가류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무색이어도 좋고 유색이어도 좋다. 또한, 투명(광투과성)이어도 좋고, 불투명(광불투과성)이어도 좋다. 엘라스토머에 착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면에 인쇄법 등에 의해 도막(塗膜)을 형성하여도 좋고, 엘라스토머 자체에 착색료, 안료, 염료 등을 혼합하여도 좋다.
또한, 엘라스토머에는, 소망에 따라 첨가제를 혼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를 혼합해도 좋다.
또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적, 용도 등에 따라서는 미세한 요철을 다수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점착층(2, 4)을 구성하는 점착제에 대해 설명한다. 점착층(2, 4)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테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핫 멜트(Hot melt) 타입의 점착제를 사용하여도 지장이 없다. 단, 내열성, 내환경성, 비용면을 고려하면, 아크릴계 점착제가 더 바람직하고, 에틸 아크릴레이트(EA), 부틸아크릴레이트(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등을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더 바람직하다. 아울러, 점착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와 점착층(4)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동종이어도 좋고, 별종이어도 좋다.
또한, 점착층(2, 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2㎛이상 200㎛이하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점착층(2)의 두께와 점착층(4)의 두께는,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또한, 점착제는, 가교 타입인 것, 미가교 타입인 것 모두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단, 내환경성(내광성 등)이나 크리프 성능을 고려하면, 가교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는, 무색이어도 좋고 유색이어도 좋다. 또한, 투명(광투과성)이어도 좋고, 불투명(광불투과성)이어도 좋다. 점착제로 착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에 착색료, 안료, 염료 등을 혼합해도 좋다.
또한, 점착제에는, 소망에 따라 첨가제를 혼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를 혼합해도 좋다.
다음으로, 박리 라이너(1, 5, 6)에 대해서 설명한다. 박리 라이너(1, 5, 6)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종이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1, 5, 6)에는,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박리처리가 행해져 있다. 도 2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는, 박리 라이너(6)의 양면에 박리처리가 행해져 있다.
아울러,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띠 형상의 긴 것이어도 좋고, 용도에 따른 길이, 형상이 짧은 것(시트형상인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1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우선, 박리 라이너(1)의 박리처리면을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딥 코트법, 롤 코트법, 커텐 코트법, 다이코트법, 슬릿 코트법 등의 공지 방법을 문제없이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2)의 위에, 예를 들면 EPDM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3)를 적층하여, 3층 구조물로 한다. 한편, 박리 라이너(5)의 박리처리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4)의 위에 상기의 3층 구조물을, 기재(3)와 점착층(4)이 접하도록 적층하여, 5층 구조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한다.
또한, 도 1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박리 라이너(1)의 박리처리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2)의 위에, 예를 들면 EPDM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3)를 적층하여, 3층 구조물로 한다. 이 3층 구조물의 기재 (3)의 점착층(2)이 설치된 면과는 반대인 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4)의 위에 박리 라이너(5)를 적층하여, 5층 구조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한다.
또한, 도 1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PDM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3)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2)의 위에 예를 들면 박리 라이너(1)을 적층하여, 3층 구조물로 한다. 이 3층 구조물의 기재(3)의 점착층(2) 형성면과는 반대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4)의 위에 박리 라이너(5)를 적층하여, 5층 구조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한다.
또한, 도 2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양면에 박리처리가 실시된 박리 라이너(6)의 한쪽 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2)의 위에, 예를 들면 EPDM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3)를 적층하여, 3층 구조물로 한다. 다음으로, 기재(3)의 점착층(2)이 설치된 면과는 반대측인 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해서, 점착층(4)을 형성하여, 4층 구조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한다.
또한, 도 2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예를 들면 EPDM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3)의 한쪽 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 (2)의 위에, 양면에 박리처리가 실시된 박리 라이너(6)를 적층하여, 3층 구조물로 한다. 다음으로, 기재(3)의 점착층(2)이 설치된 면과는 반대측인 면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건조해서, 점착층(4)을 형성하여, 4층 구조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한다.
[ 실시예 ]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제품, 닛세츠 KP-2514) 100 질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제품, CK-117) 0.25 질량부를 첨가한 점착제 용액을, 닥터 코터로 박리 라이너에 도포하고, 약 110℃에서 건조시켜 두께 5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박리 라이너에 형성된 점착제층의 위에,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 EPDM 고무 시트(두께 100㎛, 인장 강도 10MPa , 신장률 440%)를 맞붙여서 편면(片面)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박리 라이너상에 두께 5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편면 점착 테이프의 EPDM 고무 시트측에 이 점착제층을 맞붙여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EPDM 고무 시트 대신에 우레탄고무 시트(두께 100㎛, 인장 강도 40MPa, 신장률 75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EPDM 고무 시트 대신에 EVA 엘라스토머 시트(두께 100㎛, 인장 강도 14MPa, 신장률 44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EPDM 고무 시트 대신에 폴리에틸렌(PE) 발포체 기재(두께 100㎛, 인장 강도 8MPa, 신장률 6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 시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수성 시험)
IPX7 규격(JIS C 0920/IEC60529)에 기초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양면 점착 테이프를 외형 50mm×100mm, 폭 O.9mm, 1mm, 또는 2mm의 틀형으로 타발하며, 외형 60mm×120mm의 2매의 아크릴 판에 끼우고, 질량 1kg의 하중을 얹어 23℃에서 24시간 방치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깊이 1m의 수중에 30분간 방치한 후, 시험편을 꺼내서, 틀형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측으로의 침수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충격 흡수성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외형 25mm×25mm, 폭 O.9mm, 1mm, 또는 2mm의 틀형으로 타발하며, 외형 50mm×50mm의 2매의 아크릴 판에 끼우고, 질량 1kg의 하중을 얹어 23℃에서 24시간 방치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의 중앙에 높이 150mm의 위치로부터 질량 16g의 철구(鐵球)를 낙하시켜서, 시험편에 걸리는 충격력을 측정하였다. 충격력의 측정에는 가속도계(SHOWA SOKKI CORPORATION 제품, 2304A)를 사용하고, 가속도계는, 철구를 낙하시키는 면의 반대면에 설치하였다.
평가방법으로서는, 도 6과 같이 측정된 가속도의 감쇠곡선의 제1 파(波)의 피크 높이에 착안하여, 그 피크 높이가 낮을수록, 충격을 더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표 1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 기재를 구비한 실시예 1?3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종래의 발포체 기재를 구비하는 비교예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와 비교해서, 협폭화하여도 우수한 방수성과 충격 흡수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충격성 시험)
양면 테이프를 외형 50mm×1OOmm, 폭 O.9mm, 1mm, 또는 2mm의 틀형으로 타발하며, 외형 60mm×120mm의 2매의 아크릴 판에 끼우고, 질량 1kg의 하중을 얹어 23℃에서 24시간 방치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높이 1m의 위치로부터 콘크리트제의 바닥면에 낙하시켜, 시험편이 분리될 때까지의 낙하 횟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1 : 박리 라이너
2 : 점착층
3 : 기재
4 : 점착층
5 : 박리 라이너
6 : 박리 라이너

Claims (3)

  1. 엘라스토머의 비발포체(非發泡體)로 이루어지는 기재(基材)와, 점착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기재의 표리 양면에 배치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포터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옥외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20006499A 2011-01-25 2012-01-20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20086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3262 2011-01-25
JP2011013262 2011-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259A true KR20120086259A (ko) 2012-08-02

Family

ID=4655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499A KR20120086259A (ko) 2011-01-25 2012-01-20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881391B2 (ko)
KR (1) KR20120086259A (ko)
CN (1) CN102618182A (ko)
TW (1) TW2012453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0668B2 (ja) * 2010-12-01 2016-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6294775B2 (ja) 2014-06-30 2018-03-14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用基材
CN106794678B (zh) * 2014-07-15 2019-02-01 捷恩智株式会社 层叠体、表面保护物品、层叠体的制造方法
JP2016160276A (ja) * 2015-02-26 2016-09-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07429136B (zh) * 2015-02-27 2020-07-17 3M创新有限公司 双面涂布胶带
JP6010721B1 (ja) * 2015-08-25 2016-10-19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JP6901665B2 (ja) * 2016-01-22 2021-07-14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積層体
JP2017177315A (ja) * 2016-03-31 2017-10-0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の切断方法、接着フィルム、及び巻装体
CN106833408B (zh) * 2016-12-23 2020-02-18 福建和其昌树脂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粘结复合板材的胶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WO2018174068A1 (ja) * 2017-03-23 2020-01-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体
CN110337743B (zh) * 2017-03-30 2022-06-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卷绕型电池
US20200247092A1 (en) * 2017-09-29 2020-08-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235987B1 (ko) 2018-06-05 2021-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축성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678796B1 (ja) * 2019-04-08 2020-04-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用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46791Y (zh) * 1998-11-13 1999-11-03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复合绝缘防水胶带
JP2006083235A (ja)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防水用粘着テープ
KR101133001B1 (ko) * 2006-10-20 2012-04-09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기재 및 점착 테이프
WO2008117685A1 (ja) * 2007-03-26 2008-10-0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粘着テープ
JP5190222B2 (ja) * 2007-06-01 2013-04-2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発泡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78726B2 (ja) * 2007-08-30 2013-04-10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623198B2 (ja) * 2007-10-12 2011-02-02 Dic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0218794A (ja) * 2009-03-16 2010-09-30 Tocad Energy Co Ltd Led自動調光照明装置
JP2010220791A (ja) * 2009-03-24 2010-10-07 Fujifilm Corp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5679641B2 (ja) * 2009-06-26 2015-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5578835B2 (ja) * 2009-11-16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5740124B2 (ja) * 2010-09-29 2015-06-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637792B2 (ja) * 2010-09-30 2014-1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890668B2 (ja) * 2010-12-01 2016-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67247A (ja) 2012-09-06
CN102618182A (zh) 2012-08-01
JP2016000822A (ja) 2016-01-07
JP5881391B2 (ja) 2016-03-09
TW201245385A (en)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6259A (ko)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TWI682983B (zh) 可攜式電子機器用黏著片材
KR102148789B1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US8642173B2 (en) Screen protector film
CN101619198B (zh) 用于粘结电子组件的双面泡沫背衬的胶带
TWI419790B (zh) 可再剝離之保護面板的安裝結構及用於其之安裝用片材
KR20140090617A (ko) 점착 테이프
JP5740124B2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700178B2 (ja)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KR20190128620A (ko) 양면 점착 테이프
TWI565598B (zh) 平面顯示器用膠帶
WO2016154181A1 (en) Double-sided tap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tape
KR102325869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용 기재
KR101869928B1 (ko) 충격 분산성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60242B1 (ko) 내충격성과 방수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 모듈 고정용 점착 필름
KR20210075252A (ko) 이차 점착층에 미세 엠보를 포함하는 방수 특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56567A (ja) 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20170023602A (ko) 양면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200720735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conductive 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