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620A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620A
KR20190128620A KR1020197014889A KR20197014889A KR20190128620A KR 20190128620 A KR20190128620 A KR 20190128620A KR 1020197014889 A KR1020197014889 A KR 1020197014889A KR 20197014889 A KR20197014889 A KR 20197014889A KR 20190128620 A KR20190128620 A KR 2019012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adhesive tape
resin layer
sided adhesiv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378B1 (ko
Inventor
도모야 가와모토
시게키 마츠키
노리유키 우치다
사토시 도이
야스시 이시도
히로유키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2201/128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1 점착제층 사이, 및,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2 점착제층 사이에, 인장 파단점 응력이 4 ㎫ 이상인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은,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조립을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또, 차재용 패널 등의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을 차량 본체에 고정시키는 용도에도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8274호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높은 점착력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휴대 전자 기기, 차재용 전자 기기 등은,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형상이 보다 복잡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차, 모서리, 비평면부 등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변형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 즉, 복원력이나 반발력이 작용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양면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부품을 변형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경우, 부품 자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에 복원력이나 반발력이 가해져, 고정이 불충분하거나, 양면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복원력이나 반발력에 의한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우수한 응력 완화성이 요구된다. 또,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었다.
우수한 응력 완화성을 갖고, 내충격성도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가고정의 용도에 사용한 경우나, 어떠한 사정으로 첩합 (貼合) 후에 박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박리시에 발포체 기재가 갈라져, 피착체에 잔류물이 남아 버리는 경우가 있어, 리워크성이 열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1 점착제층 사이, 및,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2 점착제층 사이에, 인장 파단점 응력이 4 ㎫ 이상인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발포체 기재와 그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와 제 1 점착제층 사이, 및, 발포체 기재와 제 2 점착제층 사이에, 인장 파단점 응력이 일정 이상인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배치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배치함으로써,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발포체 기재를 채용하면서, 양 점착면이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 에,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1 의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 (1) 는, 발포체 기재 (2) 의 양면에 제 1 점착제층 (31) 과 제 2 점착제층 (32) 을 갖는다. 그리고, 발포체 기재 (2) 와 제 1 점착제층 (31) 사이에 제 1 수지층 (41) 이 배치되어 있고, 발포체 기재 (2) 와 제 2 점착제층 (32) 사이에 제 2 수지층 (42) 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와 그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연속 기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독립 기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연속 기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기포 구조를 갖는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올레핀 발포체, 고무계 수지 발포체, 아크릴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속 기포 구조를 형성하기 쉽고,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3 g/㎤, 바람직한 상한은 0.8 g/㎤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밀도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강도,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1 g/㎤,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7 g/㎤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15 g/㎤,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5 g/㎤ 이고,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0.2 g/㎤,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4 g/㎤ 이다.
또한, 밀도는, JIS K 6767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예를 들어, 미라주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 압축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 압축 강도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강도,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25 % 압축 강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40 ㎪ 이다.
또한, 25 % 압축 강도는, JIS K 6254 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전단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동적 점탄성 장치에 의해 측정하여 기준 온도 23 ℃ 에서 합성된 마스터 커브에 있어서의 주파수 1.0 × 10-4 ∼ 1.0 × 10-5 Hz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의 최대값이 1.0 × 105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파수 영역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복원력이나 반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발생하는 저속에서의 박리 응력에 대응한 주파수이다.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의 최대값이 1.0 × 105 Pa 이하이면, 양면 점착 테이프에 복원력이나 반발력이 가해졌을 때의 응력을 상기 발포체 기재에 의해 완화하여, 점착제층에 잘 전달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단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예를 들어, 아이티 계측사 제조의 DVA-200 등) 를 사용하고 승온 속도를 5 ℃/min 로 하여 -60 ℃ ∼ 250 ℃ 의 범위에서 측정할 수 있다. 전단 저장 탄성률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 중에 시료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기재의 양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기재의 양측에 도포된 점착제의 두께가 상기 기재의 두께의 15 %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점착제의 두께를 상기 기재의 두께의 15 %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고 상기 기재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2 ㎜, 바람직한 상한은 2.9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 이다.
상기 제 1 점착제층과 제 2 점착제층 (이하, 양자를 아울러 간단히 「점착제층」이라고도 한다) 은 동일한 조성이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조성이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제층, 고무계 점착제층, 우레탄 점착제층, 실리콘계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 열, 수분 등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적이고, 여러 가지 피착체에 접착이 가능한 (피착체 선택성이 낮은) 점에서, 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이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과 택성을 양립할 수 있다. 전체 모노머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40 중량% 이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3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3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 18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定溫)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한 하한이 40 만, 바람직한 상한이 150 만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높은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만,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40 만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바람직한 상한이 10.0 이다. Mw/Mn 이 10.0 을 초과하면, 저분자 성분이 많아지고, 상기 아크릴 점착제층이 고온 하에서 연화되고, 벌크 강도가 낮아져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Mw/Mn 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부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점착제층이 단단해져 점착력 또는 택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 수지 등) 중의 알코올성 수산기가 반응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가교가 느슨해진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속적으로 가해지는 박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7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폭시실란류, 아크릴실란류, 메타크릴실란류, 아미노실란류, 이소시아네이트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차광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착색재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착색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화학적으로 안정된 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면의 점착제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 ㎜, 바람직한 상한은 0.1 ㎜ 이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등의 고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9 ㎜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와 제 1 점착제층 사이, 및 상기 발포체 기재와 제 2 점착제층 사이에,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갖는다 (이하, 양자를 아울러 간단히 「수지층」이라고도 한다). 상기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채용하면서, 박리시에는 상기 발포체 기재가 갈라지거나 하지 않아, 피착체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박리할 수 있어, 양 점착면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인장 파단점 응력이 4 ㎫ 이상이다. 인장 파단점 응력이 4 ㎫ 이상인 수지층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리워크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층의 인장 파단점 응력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의 인장 파단점 응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200 ㎫ 정도가 상한이다.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은, 인장 파단점 신장이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파단점 신장이 200 % 이상인 수지층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리워크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층의 인장 파단점 신장은 3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의 인장 파단점 신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1500 % 정도가 상한이다.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은, 인장 탄성률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을 인장 탄성률이 200 ㎫ 이하인 유연한 수지층으로 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 전체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롤상으로 감는 것이 용이해져, 취급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장 파단점 응력, 인장 파단점 신장 및 인장 탄성률은, 수지층의 기계 특성을 의미하고,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고분자 계기사 제조의 타발 (打拔) 날 「인장 1 호형 덤벨상(狀)」 등을 사용하여, 상기 수지층을 덤벨 상에 타발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얻어진 시험편을, 예를 들어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그래프 AGS-X」 등을 사용하고, 인장 속도 100 ㎜/min 으로 측정하여 시험편을 파단시킨다. 시험편이 파단되었을 때의 단위 면적당의 파단 강도로부터 인장 파단 응력을 산출한다. 시험편이 파단되었을 때의 신장으로부터, 「(파단시 그리퍼간 거리/초기 그리퍼간 거리) × 100」으로 인장 파단점 신장을 산출한다. 1 ∼ 3 % 의 변형 사이의 인장 강도의 기울기로부터 인장 탄성률을 산출한다.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는, 응력 완화성, 내충격성 및 리워크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트리블록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우레탄계 (공)중합체, 아미드계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탄성체로서의 강도, 신장, 유연성, 자기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하면서,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응력 완화성, 내충격성 및 리워크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체로서의 강도, 신장, 유연성, 자기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하면서,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트리블록계 공중합체, 우레탄계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아미드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은, 1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중량% 이상, 65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 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수지층의 상기 발포체 기재,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의 상기 발포체 기재,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10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인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밀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상기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를 밀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얻어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응력 완화성, 내충격성 및 리워크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와 디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여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하드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알킬,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n-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n-아크릴산부틸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n-아크릴산부틸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경우, 그 트리블록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22 중량% 이다. 또,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 이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4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8 중량% 이다. 상기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이 범위 내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에 대한 특히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어, 상기 발포체 기재와 수지층 사이에 들뜸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우수한 내열성, 내열 수축성을 발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100 ∼ 200 ℃, 10 ∼ 30 분간 정도의 열처리를 실시한 경우라도, 용융되어 버리거나, 주름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롤상체로 한 후에 전개하려고 했을 때, 블로킹에 의해 전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없다.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n-아크릴산부틸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경우, 그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 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 만 이상임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에 대한 특히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 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급성 등을 고려하면 20 만 정도가 상한이다.
상기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을 착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카본 블랙, 산화티탄 등의 입자 또는 미세한 기포를 반죽하는 방법,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등의 종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지로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보다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리워크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발포체 기재, 상기 점착제층 및 상기 수지층 이외의 다른 층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3 ㎜, 바람직한 상한은 3 ㎜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가 복원력이나 반발력에 견디지 못하고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접착이나 고정을 실현하면서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양면 테이프의 박리 억제 및 리워크성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4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 ㎜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발포체 기재와 제 1 수지층의 적층체를 제조하고, 이 적층체에 제 2 수지층을 적층하여, 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를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수지층에 자기 점착성 (택성) 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온시킨 라미네이터에 의해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를 압착함으로써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기재 원료를 발포시켜 발포체 기재를 얻는 공정시에 수지층을 끼워 넣음으로써 보다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지층으로서 사용하는 수지 시트의 표면, 또는 발포체 기재에 표면 처리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 를 실시함으로써도,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에 자기 점착성이 없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발포체 기재와 수지층 사이에 형성하여 적층시켜도 된다. 수지층의 폴리머 사슬을 반응점이 되는 수산기나 산기로 수식함으로써,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여, 그 점착제 용액을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히 건조 제거하여 제 1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 제 1 점착제층을 상기 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 1 수지층측의 표면에, 제 1 점착제층이 제 1 수지층측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킨다. 한편, 상기 이형 필름과는 다른 이형 필름을 준비하고, 이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히 건조 제거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표면에 제 2 점착제층이 형성된 적층 필름을 제작한다. 얻어진 적층 필름을 상기 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 2 수지층측의 표면에, 제 2 점착제층이 제 2 수지층측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켜, 제 1 점착제층/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제 2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제 1 점착제층/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제 2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양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필름으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또, 롤에 감을 때에는 제 2 점착제층에 접하는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제 2 점착제층을 내측에 감을 수 있다. 이 때, 제 1 점착제층에 접하는 이형 필름은 양면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 부품, 차재용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고정에 사용된다. 이들 용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방형, 액자상,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복원력이나 반발력과 같은 저속에서의 박리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우수한 점에서, 단차, 모서리, 비평면부 등에 첩부되거나, 부품을 변형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에서, 가고정의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사정으로 첩합 후에 박리하고자 하는 경우라도, 박리시에 발포체 기재가 갈라져 피착체에 잔류물이 남아 버리는 경우도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예를 들어, TV, 모니터,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휴대 전자 기기의 카메라 모듈, 휴대 전자 기기의 내부 부재, 차량용 내장, 가전 (예를 들어, TV, 에어콘, 냉장고 등) 의 내외장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의 사이드 패널, 배면 패널, 각종 명판, 가식 필름, 장식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제 1 수지층의 준비
제 1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 (토레사 제조, X30) 를 준비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PET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8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138 %, 인장 탄성률이 4360 ㎫ 였다.
(2) 폴리우레탄 (PU) 발포체 기재의 제조
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중량 평균 분자량 6000, 수산기수 3, 수산기가 48 ㎎KOH/g) 100 중량부에 아민 촉매 (다브코 LV33, 산쿄 에어 프로덕트사 제조) 를 0.7 중량부, 정포제 (SZ5740M, 토레·다우코닝사 제조) 를 1 중량부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거기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코스모네이트 TM-20, 미츠이 화학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8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그 후, 0.2 g/㎤ 가 되도록 질소 가스와 혼합 교반하여,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얻었다. 그 용액을 제 1 수지층인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 (토레사 제조, X30)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발포체 원료를 반응시켜, 두께 450 ㎛ 의 폴리우레탄 (PU) 발포체 기재와 제 1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PU 발포체 기재의 밀도를, JIS K-6767 에 준거하여 전자 비중계 (미라주사 제조, 「ED120T」)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0.3 g/㎤ 였다. 또한, 얻어진 PU 발포체 기재의 25 % 압축 강도를, JIS K 6254 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한 결과, 15 ㎪ 였다.
(3) 제 2 수지층의 준비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a (아크릴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 (쿠라레사 제조, LA2250) 를 준비하였다.
그 아크릴 TPE-a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30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70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59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8.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493 %, 인장 탄성률이 10.1 ㎫ 였다.
(4) 점착제 용액의 조제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7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7 중량부, 아크릴산 3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1 시간 30 분에 걸쳐, 균등하게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희석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고형분 40 중량% 의 아크릴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에 대해, 칼럼으로서 Water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el」을 사용하고 GPC 법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1 만이었다.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Mw/Mn) 는 5.5 였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화점 150 ℃ 의 중합 로진에스테르 15 중량부, 연화점 145 ℃ 의 테르펜페놀 10 중량부, 연화점 70 ℃ 의 로진에스테르 1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아세트산에틸 (후지 화학 약품사 제조) 3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45」)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5)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얻어진 PU 발포체 기재와 제 1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PU 발포체 기재측에 제 2 수지층으로서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a 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적층하고, 80 ℃ 에서 열 라미네이트하여, 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을 두께 100 ㎛ 의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 (PE)/상질지/폴리에틸렌 (PE) 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라이너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하고,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50 ㎛ 의 제 1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점착제 용액을 두께 100 ㎛ 의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 (PE)/상질지/폴리에틸렌 (PE) 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라이너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하고,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50 ㎛ 의 제 2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 2 점착제층이 형성된 이형 라이너를, 상기 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 2 수지층측의 표면에, 제 2 점착제층이 제 2 수지층측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켜, 제 1 점착제층/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제 2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롤러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제 1 점착제층/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제 2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각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라이너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b (아크릴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 (쿠라레사 제조, LA2140e)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아크릴 TPE-b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21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79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73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5.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602 %, 인장 탄성률이 1.0 ㎫ 였다.
(실시예 3)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c (아크릴 TPE-c) 로 이루어지는 시트 (쿠라레사 제조, LA2330)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아크릴 TPE-c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23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77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2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c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4.6 ㎫, 인장 파단점 신장이 550 %, 인장 탄성률이 0.6 ㎫ 였다.
(실시예 4)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d (아크릴 TPE-d) 로 이루어지는 시트 (쿠라레사 제조, LA428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아크릴 TPE-d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55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45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d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8.1 ㎫, 인장 파단점 신장이 232 %, 인장 탄성률이 275.1 ㎫ 였다.
(실시예 5)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e (아크릴 TPE-e) 로 이루어지는 시트 (쿠라레사 제조, LA2270)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아크릴 TPE-e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40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60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e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1.4 ㎫, 인장 파단점 신장이 434 %, 인장 탄성률이 51.8 ㎫ 였다.
(실시예 6)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e (아크릴 TPE-e) (쿠라레사 제조, LA2270) 와 아크릴계 디블록 공중합체 f (아크릴 TPE-f) (쿠라레사 제조, LA1114) 의 중량비 85/15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아크릴 TPE-e 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40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60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e 및 아크릴 TPE-f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4.3 ㎫, 인장 파단점 신장이 660 %, 인장 탄성률이 0.8 ㎫ 였다.
(실시예 7)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스티렌/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 TPE) 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스티렌/아크릴 TPE 는, 폴리스티렌 수지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17 중량%, 폴리아크릴산부틸 수지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83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240000 이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스티렌/아크릴 TPE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7.6 ㎫, 인장 파단점 신장이 650 %, 인장 탄성률이 1.9 ㎫ 였다.
(실시예 8)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스티렌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a (스티렌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 (닛폰 제온사 제조, #3620)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스티렌 TPE-a 는,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14 중량%,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86 중량% 이다. 또 동 조성의 디블록 성분을 GPC 면적비로 12 % 포함한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스티렌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24.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1200 %, 인장 탄성률이 40.0 ㎫ 였다.
(실시예 9)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스티렌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b (스티렌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 (닛폰 제온사 제조, #3421)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스티렌 TPE-b 는,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14 중량%, 이소프렌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86 중량% 이다. 또 동 조성의 디블록 성분을 GPC 면적비로 26 % 포함한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스티렌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9.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1300 %, 인장 탄성률이 38.0 ㎫ 였다.
(실시예 10)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블록 공중합체 a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 (토레·듀퐁사 제조, #555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a 는, PBT 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a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31.4 ㎫, 인장 파단점 신장이 390 %, 인장 탄성률이 137.0 ㎫ 였다.
(실시예 11)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블록 공중합체 b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 (토레·듀퐁사 제조, #724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b 는, PBT 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에테르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TPE-b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36.3 ㎫, 인장 파단점 신장이 260 %, 인장 탄성률이 422.0 ㎫ 였다.
(실시예 12)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60 ㎛ 의 우레탄계 블록 공중합체 (우레탄 TPE) 로 이루어지는 시트 (BASF 사 제조, 1198ATR)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우레탄 TPE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57.1 ㎫, 인장 파단점 신장이 406 %, 인장 탄성률이 108.0 ㎫ 였다.
(실시예 13)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60 ㎛ 의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OPP) 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토요보사 제조, #60) 를 사용하고, 제 2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적층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OPP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40.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210 %, 인장 탄성률이 2100.0 ㎫ 였다.
(실시예 14)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2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로 이루어지는 시트 (토요보사 제조, #25) 를 사용하고, 제 2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적층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PET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77.0 ㎫, 인장 파단점 신장이 132 %, 인장 탄성률이 2376.0 ㎫ 였다.
(비교예 1)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펄프 부직포 시트 (릿토쇼 회사 제조, SPC) 를 사용하고, 제 2 수지층과 발포체 기재의 적층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펄프 부직포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3.7 ㎫, 인장 파단점 신장이 102 %, 인장 탄성률이 160.0 ㎫ 였다.
(비교예 2)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은, 인장 파단점 응력이 0.5 ㎫, 인장 파단점 신장이 825 %, 인장 탄성률이 0.2 ㎫ 였다.
또한, 아크릴 점착제는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 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모노머 혼합물 (아크릴산부틸 (BA) 60 중량부, 아크릴산2-에틸헥실 (2EHA) 36.9 중량부, 아크릴산 (AAc) 3 중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2HEA) 0.1 중량부) 을 1 시간 30 분에 걸쳐, 균등하게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추가로 5 시간 중합 반응시키고,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희석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아크릴 공중합체 함유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함유 용액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점착 부여 수지를 합계 30 중량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10 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10 부, 테르펜페놀 수지 10 부) 첨가하고 교반하여, 불휘발분 30 중량% 의 점착제를 얻었다.
(비교예 3)
제 2 수지층으로서, 두께 50 ㎛ 의 아크릴계 디블록 공중합체 f (아크릴 TPE-f) (쿠라레사 제조, LA1114) 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그 아크릴 TPE-f 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인장 파단점 응력이 1.2 ㎫, 인장 파단점 신장이 990 %, 인장 탄성률이 0.3 ㎫ 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1) 유연성의 평가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 (이형 라이너/제 1 점착제층/제 1 수지층/발포체 기재/제 2 수지층/제 2 점착제층) 를 직경 3 인치의 종이심에, 제 2 점착제층측이 내측이 되도록 감아 롤상체를 얻었다.
얻어진 롤상체의 측면과 표층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롤상체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잡아 뺀 후, 제 2 점착제층측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확인한 모든 지점에 주름이나 접힘이 확인되지 않았다.
△ : 확인한 일부 지점에 주름이나 접힘이 확인되었다.
× : 확인한 모든 지점에 주름이나 접힘이 확인되었다.
(2) 리워크성의 평가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 5 ㎜ × 길이 100 ㎜, 및 폭 10 ㎜ × 길이 100 ㎜ 의 크기로 각각 잘라내어, 5 ㎜ 폭 샘플 및 10 ㎜ 폭 샘플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샘플의 제 1 점착제층측의 이형 라이너를 박리하여, 두께 2 ㎜ 의 유리판 (폭 50 ㎜, 길이 125 ㎜) 에 제 1 점착제층측을 첩합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 상에 2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1 왕복시킨 후, 23 ℃,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 24 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발포체 기재의 층 사이를 갈라,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제 2 점착제층과 제 2 수지층, 및 발포체 기재의 일부를 제거한 후, 양면 점착 테이프가 남은 부분을 수평 방향에서 30°의 각도 방향으로 300 ㎜/분의 속도로 잡아당겨, 유리판으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가 남은 부분을 박리하였다. 제 1 점착제층측의 리워크성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제 2 점착제층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 : 양면 점착 테이프가 남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었다.
△ : 박리 도중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부가 파단되었지만, 제거할 수 있었다.
× : 양면 점착 테이프가 남은 부분을 제거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또한, 양 점착면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 : 양면 점착 테이프
2 : 발포체 기재
31 : 제 1 점착제층
32 : 제 2 점착제층
41 : 제 1 수지층
42 : 제 2 수지층

Claims (12)

  1.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각각 제 1 점착제층 및 제 2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1 점착제층 사이, 및,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제 2 점착제층 사이에, 인장 파단점 응력이 4 ㎫ 이상인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은, 인장 파단점 신장이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은, 인장 탄성률이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1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7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이고,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n-아크릴산부틸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상기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22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이고, 또한, 상기 아크릴계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 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2.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97014889A 2017-03-29 2018-03-27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56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6007 2017-03-29
JPJP-P-2017-066007 2017-03-29
PCT/JP2018/012468 WO2018181336A1 (ja) 2017-03-29 2018-03-27 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620A true KR20190128620A (ko) 2019-11-18
KR102561378B1 KR102561378B1 (ko) 2023-07-28

Family

ID=6367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889A KR102561378B1 (ko) 2017-03-29 2018-03-27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36715B2 (ko)
KR (1) KR102561378B1 (ko)
CN (1) CN110023439B (ko)
TW (1) TWI802564B (ko)
WO (1) WO2018181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210B2 (ja) 2018-09-21 2023-1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7431590B2 (ja) * 2019-02-15 2024-02-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表示部材の固定・接合方法
KR20220104105A (ko) * 2019-11-26 2022-07-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CN114787308A (zh) * 2020-01-10 2022-07-22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带
WO2021187368A1 (ja) * 2020-03-17 2021-09-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KR20210147758A (ko) * 2020-05-29 2021-12-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양면 접착 테이프
CN113444466B (zh) * 2021-05-17 2022-09-02 江阴通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返工双面泡棉胶带、返工方法和制备方法
JP7355096B2 (ja) * 2021-10-05 2023-10-03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粘着テープを用いた物品及びその解体方法
CN115466577A (zh) * 2021-10-28 2022-12-13 苏州寅利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遮光胶带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5375A (en) * 1980-02-15 1981-09-10 Nitto Electric Ind Co Ltd Rubber foam adhesive tap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WO2016137793A1 (en) * 2015-02-27 2016-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uble coated tap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1251A1 (de) * 1987-12-05 1989-06-15 Lohmann Gmbh & Co Kg Polymerbeschichteter schaumstoff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711200A (ja) * 1993-06-29 1995-01-13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JP2005001261A (ja) * 2003-06-12 2005-01-06 Toyo Tire & Rubber Co Ltd 粘着性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0852887B1 (ko) * 2006-12-27 2008-08-19 한국스카파테이프(주) 기재층을 갖는 핸드폰용 양면 아크릴폼 테이프
JP5543439B2 (ja) * 2008-05-30 2014-07-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複数の粘着付与剤を有する接着剤組成物
CN102863920A (zh) * 2011-07-07 2013-01-09 3M创新有限公司 一种低伸长率双面粘合胶带
JP6269034B2 (ja) * 2013-12-20 2018-01-31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6314341B2 (ja) * 2014-06-26 2018-04-25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WO2016093133A1 (ja) * 2014-12-10 2016-06-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衝撃吸収粘着シート、前面板固定用衝撃吸収両面粘着シート、背面板固定用衝撃吸収両面粘着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固定用衝撃吸収両面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5375A (en) * 1980-02-15 1981-09-10 Nitto Electric Ind Co Ltd Rubber foam adhesive tap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WO2016137793A1 (en) * 2015-02-27 2016-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uble coated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1336A1 (ja) 2018-10-04
JP7036715B2 (ja) 2022-03-15
KR102561378B1 (ko) 2023-07-28
CN110023439A (zh) 2019-07-16
CN110023439B (zh) 2022-05-24
TW201840771A (zh) 2018-11-16
TWI802564B (zh) 2023-05-21
JPWO2018181336A1 (ja)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620A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653984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6B1 (ko) 점착 테이프
KR102506412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점착 시트
KR101653985B1 (ko) 점착 테이프
CN106471276B (zh) 冲击吸收片、冲击吸收粘合片、前面板、背面板及背光单元固定用冲击吸收双面粘合片
KR101824852B1 (ko) 점착 시트
KR102148789B1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CN107109148B (zh) 具有发泡树脂基材的粘着带及其制造方法
JP5607565B2 (ja) 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10188494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20160011614A (ko) 양면 점착 테이프
CN110691828B (zh) 粘合片
JP5845591B2 (ja) 剛体貼り合わせ用両面粘着テープ
JP7323360B2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15029834A1 (ja) 粘着シート、物品及び電子機器
KR102295036B1 (ko)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JP7377210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6778562B2 (ja)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WO2021187368A1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17155140A (ja) 両面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