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105A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105A
KR20220104105A KR1020217031356A KR20217031356A KR20220104105A KR 20220104105 A KR20220104105 A KR 20220104105A KR 1020217031356 A KR1020217031356 A KR 1020217031356A KR 20217031356 A KR20217031356 A KR 20217031356A KR 20220104105 A KR20220104105 A KR 2022010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less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야 가와모토
사토시 도이
모모코 하라다
유키나 마츠이
히로아키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4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08G18/348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92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체적 분율이 40 체적% 이상 75 체적% 이하이며, 전단 파단 강도가 200 N/inch2 이상 500 N/inch2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는, 전자 부품의 고정용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표면의 커버 패널을 케이싱에 고정시키기 위해 점착 테이프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액연상 (額緣狀) 등의 형상으로, 표시 화면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최근, 디자인이나 기능성을 추구한 결과,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연 협소화가 진행되어,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서는, 커버 패널을 끼워넣기나 나사 고정에 의해 케이싱에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었지만, 액연 협소화가 진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끼워넣기나 나사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에 의한 고정에 더욱더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점착 테이프의 박형화 및 세폭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는,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고, 그 기재층이 특정한 가교도 및 기포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인 충격 흡수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58274호
그러나,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커버 패널, 케이싱 등의 피고정 부재의 중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 테이프에는 전단 방향으로 종래 이상의 매우 큰 하중이 걸려, 점착 테이프를 박형 또한 세폭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수송시의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기재의 층간 파괴 또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 대형화에 수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표시 불균일도 발생하기 쉬워지고 있다. 표시 불균일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점착 테이프, 특히 점착 테이프의 기재에는, 응력을 해방할 수 있는 적당한 유연성이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서는, 최근, 전자 부품은 고가로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부품 고정 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등에는, 부품을 리워크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부품을 리워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커터 칼날로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 기재를 인열 (引裂) 하여, 층간 파괴시켜 부품을 분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기재가 지나치게 딱딱하지 않고,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수송시의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 견디기 위해서는 기재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한편, 표시 불균일의 저감 및 인열 용이함을 위해서는 기재의 유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재의 강도와 유연성은 상반되는 성질이기 때문에, 이들을 양립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체적 분율이 40 체적% 이상 75 체적% 이하이며, 전단 파단 강도가 200 N/inch2 이상 500 N/inch2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발포체 기재와, 그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X 선 CT (X-ray Computed Tomography ; 컴퓨터 단층 촬영법) 장치 및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발포체 기재의 기포 구조를 분석하고, 기포 구조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성능에 주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발포체 기재의 기포 체적 분율을 특정 범위로 조정하고, 나아가서는 발포체 기재의 전단 파단 강도를 특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발포체 기재의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높일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로써,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적당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응력을 해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가짐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응력 완화성이 향상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체적 분율의 하한이 40 체적%, 상한이 75 체적% 이다.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높여, 동시에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이 40 체적% 이상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상기 발포체 기재를 인열할 수 있다.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이 75 체적%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이 75 체적%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방진성 및 방수성도 확보되기 쉽다.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42 체적%, 바람직한 상한은 70 체적%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6 체적%,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7 체적%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8 체적%,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3 체적% 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50 체적%,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60 체적% 이다.
또한, 기포 체적 분율은, X 선 CT 장치 및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한다.
기포 체적 분율 (체적%) = 기포 체적/발포체 기재의 체적 × 100 (1)
식 (1) 중, 기포 체적이란, 측정 대상 시료의 발포체 기재에 포함되는 모든 기포의 체적의 합계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의 바람직한 상한이 55 ㎛, 기포의 장경 분포의 표준 편차의 바람직한 상한이 30 ㎛ 이다.
상기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기포의 크기 및 기포의 크기의 편차를 일정 레벨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더욱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함과 함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다.
또, 기포가 지나치게 크거나 기포의 크기에 편차가 있거나 하면, 양면 점착 테이프를 박형 또한 세폭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발포체 기재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특히 강도가 낮은 지점이 존재하게 되어, 수송시의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지점을 기점으로 상기 발포체 기재의 층간 파괴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발생한다. 상기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기포의 크기 및 기포의 크기의 편차를 일정 레벨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국소적으로 특히 강도가 낮은 지점이 존재하는 것을 억제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장경 분포의 평균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3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1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49 ㎛ 이다. 상기 장경 분포의 평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 체적 분율 및 두께에도 의존하여 결정되지만, 실질적인 하한은 10 ㎛ 이다.
상기 장경 분포의 표준 편차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7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24 ㎛ 이다. 상기 장경 분포의 표준 편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을수록 기포의 크기에 편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실질적인 하한은 5 ㎛ 이다.
또한,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는, X 선 CT 장치 및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포의 장경 분포를 구하고, 얻어진 장경 분포로부터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의 연포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경우, 기포의 연포율의 바람직한 상한은 95 체적% 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연포 구조를 취하고, 연포율은 100 체적% 에 가까운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경우, 상기 범위의 연포율을 갖는 것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중에서는 비교적 연포율이 낮고, 독립 기포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연포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독립 기포를 늘림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더욱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함과 함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상기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다.
또, 상기 연포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독립 기포를 늘림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국소적으로 특히 강도가 낮은 지점이 존재하는 것을 억제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포율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3 체적%,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91 체적% 이다. 상기 연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연포율의 일반적인 하한은 90 체적% 이다.
또한, 기포의 연포율은, X 선 CT 장치 및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하기 식 (2) 에 의해 산출한다.
연포율 (체적%) = 연통 기포 체적/기포 체적 × 100 (2)
식 (2) 중, 연통 기포 체적이란, 측정 대상 시료의 발포체 기재에 포함되는 모든 연통한 기포의 체적의 합계이며, 기포 체적이란, 측정 대상 시료의 발포체 기재에 포함되는 모든 기포의 체적의 합계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의 편평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상한은 0.2 이다. 상기 편평률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모든 각도로부터의 낙하에 대한 충격 완화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편평률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18,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16,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0.14 이다. 상기 편평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 에 가까워질수록 기포가 진구에 가까워져, 모든 각도로부터의 낙하에 대한 충격 완화가 보다 균일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실질적인 하한은 0.05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의 애스펙트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상한은 1.5 이다. 상기 애스펙트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모든 각도로부터의 낙하에 대한 충격 완화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애스펙트비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1,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09,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1.07 이다. 상기 애스펙트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에 가까워질수록 기포가 진원에 가까워져, 모든 각도로부터의 낙하에 대한 충격 완화가 보다 균일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실질적인 하한은 1.01 이다.
또한, 기포의 애스펙트비 및 편평률은, X 선 CT 장치 및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하기 식 (3) 및 (4) 에 의해 산출한다.
애스펙트비 = x/y (3)
편평률 = {(x + y)/2 - z} / z (4)
(x = 장경, y = 중경, z = 단경, x ≥ y ≥ z)
상기 X 선 CT 장치 및 상기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X 선 CT 장치 및 상기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분석은,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된다.
발포체 기재를 절단하여 얻은 측정 샘플의 중심부를, X 선 CT 장치 (예를 들어, 야마토 과학사 제조,「TDM1000H-II (2K)」, 해상도 1.5 ㎛/1 픽셀 정도) 에 의해 촬상하고, 길이 1.5 ㎜, 폭 1.2 ㎜, 높이 0.3 ㎜ 의 직방체상 3D 화상을 얻는다. 얻어진 화상에 대해,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FEI 사 제조,「Avizo9.2.0」) 에 의해 노이즈 제거 및 2 치화를 실시하고, 발포체 기재의 기포 구조를 나타내는 각 수치 (기포 체적 분율,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 기포의 연포율, 기포의 애스펙트비 및 기포의 편평률 등) 를 구한다. X 선원으로는, Mo 를 사용하고, 렌즈 (L0270) 를 사용하여, 비닝 2, 노광 시간 10 초, 촬영 장수 1200 장의 조건으로 촬영을 실시한다.
화상 해석 시에는, 먼저 Median Filter (Neighborhood 치 26) 기능에 의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 후, Interactive Thresholding 기능으로 2 치화를 실시한다. 임계값은 256 계조 중 90 으로 한다. 2 치화 후의 화상에 있어서, 기포가 독립 기포인지 연포인지는, 화소의 연속 부분의 끊김 유무에 따라 판단한다. 또, 장경, 중경, 단경을 산출할 때에는, 먼저 기포 끼리를 접점으로 분할하여, 기포의 무게 중심을 구한다. 이어서, 당해 무게 중심과 같은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갖고, 또한, 기포에 내접하는 직방체를 설정하고, 직교하는 3 변의 길이에 대해 긴 것으로부터 각각 장경, 중경, 단경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장경이 10 ㎛ 미만인 기포는 제외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기포 구조를 나타내는 각 수치 (기포 체적 분율,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 기포의 연포율, 기포의 애스펙트비 및 기포의 편평률 등)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경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종류 및 함유량,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공기, 질소 등을 혼합할 때의 조건,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킬 때의 반응 조건 등을 조정하면 된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을 늘려 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등에 의해 우레탄화 반응을 완만하게 진행시킴으로써, 보다 균일한 크기의 기포를 생성시켜 기포 구조를 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포 체적 분율은,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종류 및 함유량, 그리고, 발포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원료가 동일한 경우여도,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공기, 질소 등을 혼합할 때의 조건,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킬 때의 반응 조건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는, 우레탄화 반응을 완만하게 진행시켜 조정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올레핀 발포체, 아크릴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기포 구조를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로서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 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 개 갖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임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유리 전이점 (Tg) 이 비교적 낮아지기 때문에, 신장하기 쉬운 발포체가 되어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일반적으로「MDI」또는「2 핵체 모노메릭 MDI」라고도 불린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가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1 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3 개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예를 들어, 폴리메릭 M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레폴리머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사용되는 폴리올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올로서 3 관능 폴리에테르 폴리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올 성분과 산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단사슬 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이 상기 단사슬 디올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보다 균일한 크기의 기포를 생성시켜 기포 구조를 조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을 늘려 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등에 의해 우레탄화 반응을 완만하게 진행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단사슬 디올로서 예를 들어, 1,5-펜탄디올, 1,6-헥사메틸렌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사슬 디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고강도의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1,5-펜탄디올 또는 1,6-헥사메틸렌디올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포율을 낮게 하기 쉬운 점에서, 네오펜틸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 이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하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0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00 이다.
또한, 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시료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을 조제 후, GPC 장치 (예를 들어, 토소사 제조, 제품명「HLC-8220」, 칼럼 : TSKgelSurper HZM-N (4 개))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GPC 측정에서는, 측정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40 ℃, 유량 0.5 mL/min 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70, 바람직한 상한은 120 이다.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란, 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의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에 관한 지수이다.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수산기 등의 반응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보다 과잉이며,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수산기 등의 반응기보다 과잉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70 이상이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가교가 충분해져, 기포 구조를 조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적당한 밀도를 가질 수 있어,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20 이하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유리 전이점 (Tg) 이 비교적 낮아지기 때문에, 신장하기 쉬운 발포체가 되어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을 늘려 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는 등에 의해 우레탄화 반응을 완만하게 진행시킴으로써, 보다 균일한 크기의 기포를 생성시켜 기포 구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 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이 30 중량% 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이 5 중량% 이상이면, 우레탄화 반응을 완만하게 진행시켜 보다 균일한 크기의 기포를 생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포 구조를 조정하기 쉬워져,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이 30 중량% 이하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유리 전이점 (Tg) 이 비교적 낮아지기 때문에, 신장하기 쉬운 발포체가 되어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 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촉매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촉매로서 예를 들어,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아연 화합물, 유기 니켈 화합물, 유기 철 화합물, 금속 촉매, 3 급 아민계 촉매,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주석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촉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 중량부이다.
상기 유기 주석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아연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옥틸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니켈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니켈아세틸아세트에이트, 니켈디아세틸아세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철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철 아세틸아세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촉매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알콕시드, 페녹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 급 아민계 촉매로서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N-메틸모르폴린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이미다졸,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발포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발포제로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사용되는 발포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 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탄산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양으로 되지만, 상기 발포제가 물인 경우에는, 통상,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0.1 ∼ 3 중량부 정도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정포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정포제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디메틸실록산, 페닐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정포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테르디메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디메틸실록산 중에서도, 디메틸폴리실록산과 폴리에테르의 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정포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정포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0.2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7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 중량부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착색제 등의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공기, 질소 등을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기포를 일으킨 우레탄 수지 조성물 (액체) 을 이형 라이너 또는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고, 도포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킴으로써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메카니컬 프로스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에,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화학적 발포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카니컬 프로스법이 바람직하다. 메카니컬 프로스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화학적 발포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비교해서 고밀도가 되기 쉽고, 또한, 기포 구조가 미세하여 균일해지기 쉽다.
폴리올레핀 발포체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발포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한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 기재는, 전단 파단 강도의 하한이 200 N/inch2, 상한이 500 N/inch2 이다. 상기 전단 파단 강도가 200 N/inch2 이상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강도가 충분히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전단 파단 강도가 500 N/inch2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상기 발포체 기재를 인열할 수 있다. 상기 전단 파단 강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20 N/inch2, 바람직한 상한은 470 N/inch2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40 N/inch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50 N/inch2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70 N/inch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15 N/inch2 이다.
또한, 전단 파단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도 1 에, 전단 파단 강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먼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25 ㎜ × 25 ㎜ 의 시험편 (18) , 및, 2 장의 사이즈 125 ㎜ × 50 ㎜, 두께 2 ㎜ 의 SUS 판 (19) 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한다. 이 적층체를 5 ㎏, 10 초의 조건으로 누름돌을 사용하여 압착한 후, 24 시간 정치하고, 시험편 (18) 을 개재하여 2 장의 SUS 판 (19) 을 첩합한 시험용 샘플을 제작한다. 이 시험용 샘플의 일방의 SUS 판 (19) 을 고정한 후, 23 ℃ 의 조건하, 타방의 SUS 판 (19) 의 상방 일방을, SUS 판의 적층 방향과 수직인 방향 (도면 중, 화살표 방향) 으로 12.7 ㎜/min 의 조건으로 인장하고, 시험편 (18) 이 파단될 때에 시험편 (18) 에 걸리는 힘 (파단점 강도) 을 측정한다. 또한, 시험편 (18) 이 파단된다는 것은, 발포체 기재가 층간 파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전단 파단 강도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종류 및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원료가 동일한 경우여도, 기포 체적 분율,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 등을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 압축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5 ㎫, 바람직한 상한은 0.08 ㎫ 이다. 상기 25 % 압축 강도가 0.015 ㎫ 이상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강도가 충분히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25 % 압축 강도가 0.08 ㎫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양호하게 압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상기 발포체 기재를 인열할 수 있다. 상기 25 % 압축 강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2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7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025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065 ㎫ 이며,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은 0.03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0.06 ㎫ 이다.
또한, 25 % 압축 강도는, JIS K 6254 : 2010 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 압축 강도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종류 및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원료가 동일한 경우여도, 기포 체적 분율,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 등을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30 ℃, 바람직한 상한은 3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리 전이점이 -30 ℃ 이상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가 양호한 저반발성을 나타내어,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리 전이점이 30 ℃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또, 신장하기 쉬운 발포체가 되어 강도와 유연성이 높아진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유리 전이점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 이다.
또한, 유리 전이점은, 점탄성 측정 장치 (예를 들어, 레오메트릭스사 제조「Rheometrics Dynamic Analyze RDA-700) 를 사용하여, 측정 온도 -30 ∼ 100 ℃, 승온 속도 3 ℃/min, 주파수 1 Hz 의 조건하에서 구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가 100 ㎛ 이상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가 1000 ㎛ 이하이면, 기포의 크기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또, 수송시의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발포체 기재가 신장하여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5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50 ㎛ 이며,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은 450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700 ㎛ 이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다이얼 두께계 (예를 들어, Mitutoyo 사 제조,「ABS 디지매틱 인디케이터」)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또한,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편측에 수지 시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취급시에 상기 발포체 기재가 신장하여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리워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편측에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여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계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트리블록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우레탄계 (공)중합체, 아미드계 (공)중합체,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성체로서의 강도, 신장, 유연성, 자기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휘하면서, 수지 시트와 발포체 기재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스티렌계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 상기 수지 시트는, 인장 탄성률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이 200 ㎫ 이하인 유연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 전체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용이해져, 취급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인장 탄성률은, JIS K 7161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고분자 계기사 제조의 타발 칼날「인장 1 호형 덤벨 형상」등을 사용하여, 수지 시트를 덤벨 형상으로 타발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얻어진 시험편의 인장 탄성률을, 예를 들어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오토 그래프 AGS-X」등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 ㎜/min 로 측정한다. 1 ∼ 3 % 의 변형 사이의 인장 강도의 기울기로부터 인장 탄성률을 산출한다.
상기 수지 시트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 적어도 일방의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시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제 1 면에 적층된 제 1 수지 시트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제 2 면에 적층된 제 2 수지 시트를 갖고, 상기 제 1 수지 시트 및 상기 제 2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가 10 ㎛ 이상이면, 상기 수지 시트를 인장했을 때에도 상기 수지 시트가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가 100 ㎛ 이하이면, 피착체에 대한 추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0 ㎛,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은 25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수지 시트는,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시트를 착색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를 착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에 카본 블랙, 산화티탄 등의 입자 또는 미세한 기포를 혼입하는 방법, 상기 수지 시트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은, 같은 조성이어도 되고, 각각 상이한 조성이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력의 조절이 용이하고, 광, 열, 수분 등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이며, 여러 가지 피착체에 적용 가능한 점에서, 아크릴 공중합체 및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으려면,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키는 방법, 즉, 중합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비점 중합 또는 정온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킬 때의 반응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리빙 라디칼 중합, 프리 라디칼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비 (분자량 분포, Mw/Mn)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5, 바람직한 상한은 5.0 이다. 상기 분자량 분포 (Mw/Mn) 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저분자량 성분 등의 함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분자량 분포 (Mw/Mn) 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5,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3 이다. 상기 분자량 분포 (Mw/Mn)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 중합 온도 등의 중합 조건을 조정하면 된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 (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이다. GPC 에서는, 예를 들어, 2690 Separations Model (Waters 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GPC 장치 (예를 들어, 토소사 제조, 제품명「HLC-8220」, 칼럼 : TSKgelSurper HZM-N (4 개)) 등도 사용할 수 있고,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할 수 있고, 측정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40 ℃, 유량 0.5 mL/min 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하인 경우,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하인 경우,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98 중량% 이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80 중량% 이상이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점이 낮아지고, 상기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98 중량%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7 중량% 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상인 경우,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상인 경우, 상기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이들 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상인 경우, 상기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 이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80 중량%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상인 경우에도 역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 가 2.5 이상인 경우,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40 중량% 이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상기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탄소수 13 ∼ 18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3 ∼ 18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가교제와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조정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수산기나 카르복실기와 같은 극성 관능기를 갖는 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수산기를 갖는 관능성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한 하한이 30 만, 바람직한 상한이 200 만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 만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이 적당한 경도가 되어 응집력이 충분해지고, 점착력이 높아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만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충분해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만,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40 만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중합 개시제, 중합 온도 등의 중합 조건을 조정하면 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서, 예를 들어,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조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조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1-[(1-시아노-1-메틸에틸)아조]포름아미드,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디메틸-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2-프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부틸-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시클로헥실-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4수화물, 2,2'-아조비스(1-이미노-1-피롤리디노-2-메틸프로판)2염산염,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 리빙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텔루르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킬 때에는, 분산 안정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분산 안정제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라디칼 반응시킬 때에 중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그 중합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헥산, 시클로헥산, 옥탄, 톨루엔, 자일렌 등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고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온도는, 중합 속도의 관점에서 0 ∼ 110 ℃ 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 예를 들어, 로진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 수소계 수지, C5 계 석유 수지, C9 계 석유 수지,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로진계 수지 또는 테르펜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수산기를 함유하는 로진계 수지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테르펜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연화 온도의 바람직한 하한이 70 ℃, 바람직한 상한이 170 ℃ 이다. 상기 연화 온도가 70 ℃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연화 온도가 170 ℃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연화 온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20 ℃ 이다.
또한, 연화 온도란, JIS K 2207 환구법에 의해 측정한 연화 온도이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수산기가의 바람직한 하한이 25, 바람직한 상한이 160 이다. 상기 수산기가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수산기가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0 이다.
또한, 수산기가는, JIS K 1557 (무수 프탈산법)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부이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10 중량부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높아진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60 중량부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져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가 첨가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상기 점착 부여제 등) 의 주사슬 사이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이 0.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3 중량부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폭시실란류, 아크릴실란류, 메타크릴실란류, 아미노실란류, 이소시아네이트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차광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착색재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착색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이 1 중량%, 바람직한 상한이 90 중량% 이다. 상기 겔분율이 1 중량%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져,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겔분율이 90 중량% 이하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내낙하 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겔분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 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를 50 ㎜ × 100 ㎜ 의 평면 장방형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23 ℃ 에서 24 시간 침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꺼내어,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 (5) 를 사용하여 겔분율을 산출한다. 또한, 시험편에는,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은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겔분율 (중량%) = 100 × (W2-W0)/(W1-W0) (5)
(W0 : 기재의 중량, W1 : 침지 전의 시험편의 중량, W2 : 침지,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측의 점착제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이 20 ㎛, 바람직한 상한이 100 ㎛ 이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충분해진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00 ㎛ 이하이면, 상기 발포체 기재의 응력 완화성이 양면 점착 테이프 전체로서의 응력 완화성에도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며,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은 35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65 ㎛ 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다이얼 두께계 (예를 들어, Mitutoyo 사 제조,「ABS 디지매틱 인디케이터」)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바람직한 상한은 1200 ㎛ 이다. 상기 두께가 100 ㎛ 이상이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충분해지고, 또, 응력 완화성도 충분해진다. 상기 두께가 1200 ㎛ 이하이면,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한 충분한 접착 및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0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5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0 ㎛ 이며, 더욱더 바람직한 하한은 400 ㎛,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은 650 ㎛ 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발포체 기재의 표면 상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발포체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상기 수지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아크릴 공중합체,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교제 등에 용제를 첨가하여 점착제 A 의 용액을 제작하고, 이 점착제 A 의 용액을 발포체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하게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 A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형성된 점착제층 A 위에 이형 필름을 그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 A 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한다.
이어서, 상기 이형 필름과는 다른 이형 필름을 준비하고, 이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 B 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액 중의 용제를 완전하게 건조 제거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 B 가 형성된 적층 필름을 제작한다. 얻어진 적층 필름을 점착제층 A 가 형성된 발포체 기재의 이면에, 점착제층 B 가 발포체 기재의 이면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하여 적층체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한다. 이로써,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필름으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또, 동일한 요령으로 적층 필름을 2 세트 제작하고, 이들 적층 필름을 발포체 기재의 양측의 각각에, 적층 필름의 점착제층을 발포체 기재에 대향시킨 상태로 중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해도 된다. 이로써,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이 이형 필름으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부품 고정에 사용된다. 상기 전자 기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 전자 기기, 차재용 전자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비교적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부품 고정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표면의 커버 패널을 케이싱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비교적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세폭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부품을 고정하는 경우여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세폭이어도 되고, 그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00 ㎛, 바람직한 상한은 10000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00 ㎛ 이다. 이들 용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방형, 액연상, 원형, 타원형, 도너츠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차량용 내장, 가전 (예를 들어, TV, 에어컨, 냉장고 등) 의 내외장 등에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전단 파단 강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층간 인열 시험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텀블 시험용 샘플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면 굴곡 시험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5-펜탄디올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폴리올의 합계 100 중량부에 아민 촉매 (다브코 LV33, 산쿄 에어프로덕트사 제조) 를 0.7 중량부, 정포제 (SZ5740M, 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를 1 중량부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거기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8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그 후, 0.2 g/㎤ 가 되도록 질소 가스와 혼합 교반하고,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얻었다. 그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고, 발포체 원료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전단 파단 강도, 25 % 압축 강도,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절단하여 얻은 측정 샘플의 중심부를, X 선 CT 장치 (야마토 과학사 제조,「TDM1000H-II (2K)」, 해상도 1.5 ㎛ /1 픽셀 정도) 에 의해 촬상하고, 길이 1.5 ㎜, 폭 1.2 ㎜, 높이 0.3 ㎜ 의 직방체상 3D 화상을 얻었다. 얻어진 화상에 대해,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FEI 사 제조,「Avizo9.2.0」) 에 의해 노이즈 제거 및 2 치화를 실시하고, 기포 체적 분율,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 및 표준 편차, 기포의 연포율, 기포의 애스펙트비 및 기포의 편평률을 구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2 (PU1-2)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5-펜탄디올 5 중량부, 1,6-헥사메틸렌디올 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8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3 (PU1-3)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5-펜탄디올 5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2 (PU2)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85 중량부, 1,6-헥사메틸렌디올 3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3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9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3-1 (PU3-1)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1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3] 혼합하는 질소 가스를 조정함과 함께,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도포할 때의 두께를 변경하였다 (얇게 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3-2 (PU3-2)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1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3-3 (PU3-3)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1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3] 혼합하는 질소 가스를 조정함과 함께,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도포할 때의 두께를 변경하였다 (두껍게 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4 (PU4)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5-펜탄디올 5 중량부, 1,6-헥사메틸렌디올 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7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5 (PU5)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6-헥사메틸렌디올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9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6 (PU6)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0 중량부, 1,5-펜탄디올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7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7 (PU7)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1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1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8 (PU8)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3-1 (PU3-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91 중량부, ε-카프로락톤 9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8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9 (PU9)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8 (PU8)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9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0 (PU10)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 핵체 모노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70 이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2] 혼합하는 질소 가스를 조정함과 함께,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도포할 때의 두께를 변경하였다 (두껍게 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3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3100) 60 중량부, 1,5-펜탄디올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6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3] 혼합하는 질소 가스를 조정함과 함께,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도포할 때의 두께를 변경하였다 (두껍게 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12 (PU12) 의 제조)
이하의 점 이외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PU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었다.
[1] 폴리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2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중량 평균 분자량 3100) 70 중량부, 1,5-펜탄디올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토소사 제조)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65 가 되도록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3] 혼합하는 질소 가스를 조정함과 함께, 미세한 기포가 혼입된 용액을 두께 50 ㎛ 의 PET 세퍼레이터 (니파 제조, V-2) 위에 도포할 때의 두께를 변경하였다 (두껍게 하였다).
(폴리에틸렌 발포체 1 (PE1))
폴리에틸렌 발포체로서 XLIM#15003 (세키스이 화학공업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점착제 I 의 제조 (라디칼 중합))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트산에틸 52 중량부를 넣고, 질소 치환한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이 비등하고 나서, 30 분후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8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여기에 모노머 혼합물 (아크릴산부틸 (BA) 60 중량부, 아크릴산2-에틸헥실 (2 EHA) 36.9 중량부, 아크릴산 (AAc) 3 중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2 HEA) 0.1 중량부) 을 1 시간 30 분 들여, 균등 또한 서서히 적하하여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30 분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나아가 5 시간 중합 반응시켜, 반응기 내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아크릴 공중합체 함유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분자량 분포 (Mw/Mn) 를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함유 용액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에 의해 50 배 희석하여 얻어진 희석액을 필터 (재질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포어 직경 : 0.2 ㎛) 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 (Waters 사 제조, 2690 Separations Model) 에 공급하고, 샘플 유량 1 밀리리터/min, 칼럼 온도 40 ℃ 의 조건으로 GPC 측정을 실시하고, 아크릴 공중합체의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을 측정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Mw/Mn) 를 구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 만, 분자량 분포 (Mw/Mn) 는 2.6 이었다. 칼럼으로는 GPCKF-806L (쇼와전공사 제조) 을 사용하고, 검출기로는 시차 굴절계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함유 용액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콜로네이트 L-55E, 토소사 제조) 5 중량부, 점착 부여제의 합계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불휘발분 30 중량% 의 점착제 I 을 얻었다. 점착 부여제로는,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연화점 100 ℃, 수산기가 40 mgKOH/g) 10 중량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연화점 150 ℃, 수산기가 40 mgKOH/g) 10 중량부, 테르펜페놀계 수지 (연화점 150 ℃, 수산기가 40 mgKOH/g)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12, 비교예 1 ∼ 5)
지지층 1 (수지 시트) 에 점착제 I 을 도포하고,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20 ㎛ 의 점착제층 1 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 1 에 발포체 기재의 편면을 압착시켜, 지지층 1 과 발포체 기재가 점착제층 1 을 개재하여 적층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지지층 1 (수지 시트) 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X30, 도레이사 제조, 두께 50 ㎛) 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발포체 기재의 다른 일방의 면에 지지층 2 (수지 시트) 를 열융착시켜, 지지층 1, 점착제층 1, 발포체 기재, 지지층 2 가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지지층 2 (수지 시트) 로는, 아크릴계 수지 (LA2250, 쿠라레사 제조, 두께 50 ㎛) 또는 우레탄계 블록 공중합체 (TPU) 로 이루어지는 시트 (1198ATR, BASF 사 제조, 두께 20 ㎛) 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두께 150 ㎛ 의 이형지를 준비하고, 이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 I 을 도포하고, 10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50 ㎛, 55 ㎛ 또는 60 ㎛ 의 점착제층 2 를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 2 를, 발포체 기재에 적층된 지지층 1 (수지 시트) 의 표면과 첩합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요령으로, 발포체 기재의 반대의 지지층 2 (수지 시트) 의 표면에도, 상기 점착제층 2 와 동일한 구성의 점착제층 3 을 첩합하였다. 그 후, 40 ℃ 에서 48 시간 가열함으로써 양생을 실시하였다. 이로써, 이형지로 덮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또한, 지지층 2 (수지 시트) 의 인장 탄성률은, 각각 10 ㎫, 108 ㎫ 였다.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를 50 ㎜ × 100 ㎜ 의 평면 장방형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23 ℃에서 24 시간 침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꺼내고,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 (5) 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산출한 바,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42 중량% 였다.
겔분율 (중량%) = 100 × (W2 - W0)/(W1 - W0) (5)
(W0 : 기재의 중량, W1 : 침지 전의 시험편의 중량, W2 : 침지,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 2 에 나타냈다.
(1) 리워크 (층간 인열 시험)
도 2 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층간 인열 시험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 (a) 는 정면도, 도 2 (b) 는 측면도이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사이즈 50 ㎜ × 5 ㎜ 의 시험편 (2) , 및, 2 장의 사이즈 100 ㎜ × 20 ㎜, 두께 2 ㎜ 의 PC 판 (1) 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하였다. 이 적층체를 5 ㎏, 10 초의 조건으로 누름돌을 사용하여 압착한 후, 24 시간 방치하고, 시험편 (2) 을 개재하여 2 장의 PC 판 (1) 을 첩합한 인열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인열 시험용 샘플의 일방의 PC 판을 고정한 후, 스테인리스제의 철사 (3) (0.3φ, TRUSCO 사 제조「TYWS-03」) 를 시험편 (2) 의 아래로부터 걸어 도 2 의 화살표 방향으로 300 ㎜/min 의 조건으로 인장하였다. 시험편 (2) 의 기재층간이 철사 (3) 에 의해 인열될 때의 시험력을 측정하였다. 시험력이 10 N/5 ㎜ 미만이었을 경우를 ◎, 10 N/5 ㎜ 이상 15 N/5 ㎜ 미만이었을 경우를 ○, 15 N/5 ㎜ 이상이었을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2) 내낙하 충격 (텀블 시험)
도 3 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텀블 시험용 샘플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장변 23 ㎜ × 단변 13.3 ㎜, 폭 3.2 ㎜ 의 액연상의 시험편 (6) 을, 사이즈 55 ㎜ × 65 ㎜, 두께 10 ㎜, 무게 42 g 의 PMMA 판 (5) 과 사이즈 70 ㎜ × 130 ㎜, 두께 2 ㎜, 무게 137 g 의 SUS 판 (4) 사이에 끼우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하였다. 이 적층체를 5 ㎏, 10 초의 조건으로 누름돌을 사용하여 압착한 후, 24 시간 방치하고, 시험편 (6) 을 개재하여 PMMA 판 (5) 과 SUS 판 (4) 을 첩합한 텀블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텀블 시험용 샘플을 텀블 시험기 (신에이 전자계측기사 제조, TDR-1000 A-SC01) 에 넣고, 10 회 낙하/min 의 빈도로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낙하 충격을 반복하여 부여하였다. 양면 점착 테이프가 파단하여 텀블 시험용 샘플이 분리될 때까지의 낙하 횟수를 측정하였다. 낙하 횟수가 30 회 이상이었을 경우를 ◎, 10 회 이상 30 회 미만이었을 경우를 ○, 10 회 미만이었을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3) 표시 불균일 (면 굴곡 시험)
도 4 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면 굴곡 시험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a) 는 상면도, 도 4(b) 는 단면도이다. 사이즈 256 ㎜ × 182 ㎜, 두께 4 ㎜ 의 유리판 (10) 위에, 폭 15 ㎜, 두께 50 ㎛ 의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8) 를 15 ㎜ 간격을 두고 적층하여 단차를 만들었다. 동일하게 유리판 (10) 위에, 폭 15 ㎜, 두께 100 ㎛ 의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9) 를 적층하여 단차를 만들었다. 이들 단차 위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폭 10 ㎜ 의 시험편 (7) 을 유리판 (10) 의 4 변에 적층하였다. 시험편 (7) 위에 사이즈 256 ㎜ × 182 ㎜, 두께 1 ㎜ 의 유리판 (12) 을 적층하고, 시험편 (7) 을 개재하여 유리판 (10) 과 유리판 (12) 을 첩합하였다. 또한, 유리판 (12) 위에 두께 100 ㎛ 의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13) 를 적층하고, 면 굴곡 시험용 샘플을 얻었다. JIS B 0601 : 2001 에 준거하여, 면 굴곡 시험용 샘플에 있어서의 210 ㎜ × 105 ㎜ 의 측정 영역 (11) 에 대해, 레이저 현미경 (키엔스사 제조, VR-3000 형) 을 사용하여 표면 거칠기의 최대 높이 Sz 를 측정하였다. 최대 높이 Sz 가 120 ㎛ 미만이었을 경우를 ◎, 120 ㎛ 이상 200 ㎛ 미만이었을 경우를 ○, 200 ㎛ 이상이었을 경우를 × 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내낙하 충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발포체 기재를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 : PC 판
2 : 시험편 (양면 점착 테이프)
3 : 철사
4 : SUS 판
5 : PMMA 판
6 : 액연상의 시험편 (양면 점착 테이프)
7 : 시험편 (양면 점착 테이프)
8 :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폭 15 ㎜, 두께 50 ㎛)
9 :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폭 15 ㎜, 두께 100 ㎛)
10 : 유리판
11 : 측정 영역
12 : 유리판
13 : 편면 흑색 차광 테이프
18 : 시험편 (양면 점착 테이프)
19 : SUS 판

Claims (13)

  1. 발포체 기재와,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측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는, 기포 체적 분율이 40 체적% 이상 75 체적% 이하이며, 전단 파단 강도가 200 N/inch2 이상 500 N/inch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25 % 압축 강도가 0.015 ㎫ 이상 0.08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장경 분포의 평균이 5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장경 분포의 표준 편차가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편평률이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기포의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며, 기포의 연포율이 95 체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는, 두께가 10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아크릴 공중합체 및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겔분율이 1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이며,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함유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 만 이상 200 만 이하, 분자량 분포 (Mw/Mn) 가 1.05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로진계 수지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테르펜계 수지이며, 연화 온도가 70 ℃ 이상 170 ℃ 이하, 수산기가가 25 이상 1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편측에 수지 시트를 갖고, 상기 수지 시트의 두께가 1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의 제 1 면에 적층된 제 1 수지 시트와, 발포체 기재의 제 2 면에 적층된 제 2 수지 시트를 갖고, 상기 제 1 수지 시트 및 상기 제 2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2.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3.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100 ㎛ 이상 1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217031356A 2019-11-26 2020-11-26 양면 점착 테이프 KR20220104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3359 2019-11-26
JPJP-P-2019-213359 2019-11-26
PCT/JP2020/043990 WO2021106997A1 (ja) 2019-11-26 2020-11-26 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105A true KR20220104105A (ko) 2022-07-26

Family

ID=7613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356A KR20220104105A (ko) 2019-11-26 2020-11-26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106997A1 (ko)
KR (1) KR20220104105A (ko)
CN (1) CN113924350A (ko)
TW (1) TW202136450A (ko)
WO (1) WO2021106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5113A (zh) * 2021-09-15 2021-12-07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833A (en) * 1976-01-19 1976-1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urethane foam-bac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20150060085A (ko) * 2013-11-25 2015-06-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재작업성이 우수한 양면 코팅 테이프
DE112015000743T5 (de) * 2014-02-11 2016-12-29 Rogers Corporation Doppelseitiges Klebeba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fahren zur Verwendung und dadurch zusammengebaute Gegenstände
JP6424034B2 (ja) * 2014-07-18 2018-11-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US11046871B2 (en) * 2015-11-30 2021-06-29 Sekisui Chemical Co., Ltd. Polyolefin resin foam sheet and adhesive tape
JP6687515B2 (ja) * 2016-01-21 2020-04-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7078427B2 (ja) * 2017-03-15 2022-05-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10023439B (zh) * 2017-03-29 2022-05-2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双面粘合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JP2009258274A (ja)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6997A1 (ja) 2021-06-03
TW202136450A (zh) 2021-10-01
JPWO2021106997A1 (ko) 2021-06-03
CN113924350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651B1 (ko) 발포수지 기재를 가지는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6294541B1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2153375B1 (ko) 점착제 및 그 응용
JP2006309114A (ja)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66650B2 (ja) 粘着テープ
KR20140102130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JP7078427B2 (ja) 粘着テープ
KR20220104105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2006124528A (ja) 粘着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セル用部材
WO2021161990A1 (ja) 粘着テープ
JP7431590B2 (ja) 粘着テープ及び表示部材の固定・接合方法
JPWO2020071328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260999B2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22065392A1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22129106A (ja) 粘着テープ
JP2018135453A (ja) 遮光粘着テープ
JP2019157011A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1994568B1 (ko) 점착 시트
JP2020193338A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表示デバイス
WO2021187368A1 (ja) 両面粘着テープ
JP7044878B2 (ja) 両面粘着テープ、電子機器部品及び電子機器
JP2024003794A (ja) 両面粘着テープ
TW202043341A (zh) 硬化性組成物、硬化物、具備硬化物之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