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924A -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 Google Patents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924A
KR20120082924A KR1020127012461A KR20127012461A KR20120082924A KR 20120082924 A KR20120082924 A KR 20120082924A KR 1020127012461 A KR1020127012461 A KR 1020127012461A KR 20127012461 A KR20127012461 A KR 20127012461A KR 20120082924 A KR20120082924 A KR 20120082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lide
lift
lev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631B1 (ko
Inventor
마사오 가츠타
시게키 다나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82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for office machines, e.g. PC's, portable computers, typewriters,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Abstract

제1 슬라이드부(12)와 제2 슬라이드부(14)와 로크 아암부(48)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부는 제1 로크부(50)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2 슬라이드부는 제2 로크부(52)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드부를 지지하며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와 별개로 이동 가능하다. 로크 아암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와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와 로크 위치에서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저지한다.

Description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LOCK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LOCK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와, 포트 리플리케이터(port replicator)나 도킹 스테이션 등의 전자 기기와의 결합을 로크하는 로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난 방지 와이어 플러그 등의 로크 부재에 의해 분리 저지를 하는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는 기능 확장을 위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면 포트 리플리케이터나 도킹 스테이션과 착탈되어, 기능 확장이나 배선 접속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포트 리플리케이터에서는 PS/2 포트, USB 포트, 외부 표시 출력 포트 등의 입출력 커넥터 외에, 휴대시에는 불필요한 커넥터가 탑재되어 있다. 도킹 스테이션에서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드라이브 장치, 확장 슬롯 등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 확장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래치 구조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와 도킹 스테이션의 결합을 로크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127522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전자 기기간의 결합에 있어서는, 휴대용 컴퓨터의 휴대성때문에 착탈이 용이하며, 커넥터간 결합의 신뢰성의 유지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자 기기간의 결합에 로크 구조를 부가함으로써, 도난 방지를 도모한다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그 결합 구조나 로크 구조를 아는 자는, 신변의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의 목적은,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로크 해제를 곤란화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결합의 안정화나 방호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로크 장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제2 슬라이드부와, 로크 아암부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부는, 제1 로크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2 슬라이드부는, 제2 로크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드부를 지지하며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와 별개로 이동 가능하다. 로크 아암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와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와 로크 위치에서 걸어맞춰져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저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상술한 로크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로크 방법은, 슬라이드부 이동 스텝과, 로크 아암부 이동 스텝과, 로크 아암부 걸어맞춤 스텝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 이동 스텝에서는, 제1 슬라이드부의 제1 로크부와, 제2 슬라이드부의 제2 로크부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로크 아암부 이동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와 교차 방향으로 로크 아암부를 이동시킨다. 로크 아암부 걸어맞춤 스텝에서는,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에 상기 로크 위치에서 로크 아암부를 걸어맞춰서, 당해 로크 아암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저지한다.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로크 해제를 곤란화할 수 있다.
(2) 커넥터 결합을 외력으로부터 방호하고, 커넥터 결합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로크 해제의 곤란화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의 도난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로크 아암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로크 기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의 로크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의 로크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의 로크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레버부의 각도 θ=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레버부의 각도 θ=θ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레버부의 각도 θ≤θ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리프트 기구부의 리프트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리프트 기구부의 리프트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로크 유닛과 기기의 착탈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로크 전의 로크 아암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로크 아암부에 의한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로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트 리플리케이터 및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상면부에서 본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배면측에서 본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배면측에서 본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상(上)케이스부를 분리한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로크 기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결합 전의 포트 리플리케이터 및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결합 직전의 포트 리플리케이터 및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후크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레버부의 각도 θ=O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레버부의 각도 θ=O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레버부의 각도 θ=O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레버부의 각도 θ=θ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레버부의 각도 θ=θ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레버부의 각도 θ=θ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레버부의 각도 θ≤θ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레버부의 각도 θ≤θ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레버부의 각도 θ≤θ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로크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로크 기구부에 의한 로크부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휴대용 컴퓨터의 착탈 및 로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2는 휴대용 컴퓨터의 착탈 및 로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3은 어저스터(adjuster)부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다른 휴대용 컴퓨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로크 지그를 이용하여 로크된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은 로크 장치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로크 장치에서 로크한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는, 로크 장치의 일례로서 로크 유닛의 착탈 기구 및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구성은 일례로서,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로크 유닛(2)은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의 일례이다. 이 로크 유닛(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탈 기구부(4)와 로크 기구부(6)를 구비하고 있다.
착탈 기구부(4)는 로크 유닛(2)을 구비하는 제1 기기(3)(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와, 제2 기기(5)(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휴대용 컴퓨터(204))를 착탈시키는 기구이다. 이 착탈 기구부(4)는 구속 기구부(8)와 리프트 기구부(10A, 10B)를 구비한다. 구속 기구부(8)는 제1 기기(3)에 제2 기기(5)를 결합하여 구속(拘束)하고, 또는 그 구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리프트 기구부(10A, 10B)는 구속 해제시에, 제1 기기로부터 제2 기기를 끌어올려, 이탈 상태로 한다.
그래서, 착탈 기구부(4)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2, 14)와 레버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부(12, 1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화살표 a, b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며, 슬라이드부(12)는 슬라이드부(14)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레버부(16)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레버 지지축(18)을 지지점으로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도시된 상태는 시점(始點) 위치(각도 θ=O)이다.
레버부(16)에는 레버 지지축(18)을 중심으로, 제1 로드부(20)와 제2 로드부(22)가 슬라이드부(12, 14)측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12)의 단부(端部)에는 로드부(20)와 걸어맞춰지는 캠부(24), 슬라이드부(14)의 단부에는 로드부(22)와 걸어맞춰지는 캠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부(16)의 로드부(20, 22)와 캠부(24, 26)에 의해, 캠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캠부(24)는 로드부(20)에 접촉하여 로드부(20)로부터 힘을 받는 작용부(24A)와, 로드부(20)를 해제하는 해제부(24B)를 구비한다. 레버부(16)의 회동에 의해, 각 로드부(20, 22)가 회동한다. 각 로드부(20, 22)의 회전 반경을 r1, r2(도 2)로 하면 r1>r2이며, 레버부(16)를 기준으로 그 회전 중심(O)의 중심 각도를 β1, β2(도 2)로 하면 시계 방향을 향하여 β12이며, 로드부(20)측의 각도가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즉, 로드부(22)는 시계 방향을 향하여 로드부(20)보다 후퇴한 위치에 있다.
그래서, 레버부(16)를 θ=O으로부터 θ=θ1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부(20)의 선단이 슬라이드부(12)의 캠부(24)에 닿아, 슬라이드부(12)를 시점 위치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부(16)를 θ=θ1로부터 θ=θ2로 회전시키면, 로드부(22)의 선단이 슬라이드부(14)의 캠부(26)에 닿아, 슬라이드부(14)를 시점 위치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레버부(16)의 회전 각도 θ에 의해 슬라이드부(12, 14)의 슬라이딩 개시 타이밍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슬라이드부(12)의 상면부에는 한 쌍의 후크부(28)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또한, 슬라이드부(14)에는, 리프트 기구부(10A), 리프트 기구부(10B)의 리프트 조작부(30)가 일정한 간격으로 후크부(28)를 사이에 끼워 형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부(12, 1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이다. 이 실시형태의 후크부(28)와, 리프트 조작부(30)는 접촉하지 않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각 리프트 기구부(10A, 10B)는 리프트 조작부(30)를 구비하고, 기기(3) 위에 설치된 기기(5)가 로크 유닛(2)으로부터 로크 해제되었을 때에, 기기(3) 위로 밀어올리는 수단이다. 그래서, 리프트 기구부(10A, 10B)에는, 각 리프트 조작부(30)의 각각에 대응하는 밀어올림부로서의 리프트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로크 유닛(2)을 탑재하는 기기(3)측의 본체부(34)에 상(上)케이스부(36)가 설치되고, 이 상케이스부(36)에 설치된 베어링부(37)에는, 리프트 조작부(30)가 지지축(3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리프트 조작부(30)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경우, 즉 리프트 조작부(30)가 리프트부(32)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는, 리프트부(32)는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 상태로 유지된다. 이 리프트부(32)의 상면에는 리프트 돌기부(40)가 형성되고, 리프트 조작부(30)의 조작을 받지 않을 경우, 리프트 돌기부(40)가 상케이스부(36)의 창부(窓部)(42)로부터 돌출된다. 이것이 리프트 상태이다.
이러한 착탈 기구부(4)에서는, 레버부(16)가 시점 위치(θ=0)에 있을 때, 슬라이드부(12)는 스프링(44)의 복원력을 받고, 슬라이드부(14)는 스프링(46)(도 2)의 복원력을 받아, 각각 시점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시점 위치가 각 후크부(28)를 구동 위치에 유지하고, 각 리프트 조작부(30)는 리프트부(32)의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 그래서, 레버부(16)를 θ=θ1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드부(1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후크부(28)가 구속을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이것이 구속 해제 상태이다.
또한, 레버부(16)를 θ=θ2로 회동을 진행시키면, 각 리프트 조작부(3O)가 리프트부(32)에 닿는다. 레버부(16)의 회동이 진행됨에 따라, 상케이스부(36)의 창부(42)로부터 돌출되는 리프트 돌기부(40)의 돌출 높이가 증가하여, 후크부(28)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난 기기가 밀어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레버부(16)를 θ=0으로 되돌리면, 슬라이드부(12)는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또한 슬라이드부(14)는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시점 위치로 되돌아간다. 리프트 돌기부(40)에 기기의 중량이 작용하므로, 리프트부(32)와 함께 리프트 돌기부(40)가 하강한다. 이 경우, 각 후크부(28)는 구속 위치로 복귀한다. 즉, 다시 구속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기를 구속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레버부(16)의 조작에 의해, 일단(一端) 구속 해제 상태로 하여 위치 맞춤을 하고, 레버부(16)를 θ=0의 위치로 되돌리면 된다.
그리고, 로크 기구부(6)는 슬라이드부(12, 14)가 상술한 구속 상태 즉, 시점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부(12, 14)를 그 위치에 로크하여, 이동을 저지하는 기구이다. 이 로크 기구부(6)에는 화살표 f, g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2, 14)와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크 아암부(4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로크 아암부(48)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부(12, 14)의 로크부(50, 52)(도 4)에 걸어맞춤으로써, 슬라이드부(12, 14)의 슬라이딩을 시점 위치에 로크한다. 로크부(52)에는 오목부(53)(도 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53)에 로크부(50)가 삽입된다. 그래서, 로크부(50, 52)가 일괄되어 하나의 로크 아암부(48)에서 로크된다. 이 로크에 의해 레버부(16)의 회전 조작도 저지된다. 이와 같은 로크 상태에 있어서는, 착탈 기구부(4)가 시점 위치에 유지되고, 기기가 구속 상태가 된다. 로크 아암부(48)를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부(12, 14)의 로크부(50, 52)(도 4)와의 걸어맞춤을 해소하면, 로크부(50, 52)의 로크 아암부(4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로크 유닛(2)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로크 유닛(2)에는 본체부(34) 하(下)케이스부(54)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하케이스부(5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성형체이며, 하케이스부(54)에는 레일부(56, 58),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 로크 아암 지지축(66, 68), 레버 지지축(18)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레일부(56)는 하케이스부(54)에 형성된 리브로 형성되며, 슬라이드부(1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레일부(56)에는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벽(70)이 슬라이드부(14)보다 넓은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어 있다. 각 가이드벽(70)이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 가이드벽(70)의 정부(頂部)에는, 커버부(71)를 고정하는 복수의 커버 고정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고정부(73)에는 커버부(71)가 고정되고, 이 커버부(71)에서 가이드벽(70)과 함께 슬라이드부(12, 14)가 포위되어, 레일부(56)로부터 슬라이드부(12, 14)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은 슬라이드부(12, 14)의 지지 수단으로서, 슬라이드부(12)에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구멍(72, 74, 76), 슬라이드부(14)에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구멍(78, 80, 8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구멍(72, 74, 76)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 슬라이드 구멍(78, 80, 82)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이 삽입되고, 각 슬라이드부(12, 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부(12)는 슬라이드 구멍(76)의 긴 지름(M1)에 의해 슬라이드 길이가 규제되고, 슬라이드부(14)는 슬라이드 구멍(78)의 긴 지름(M2)에 의해, 슬라이드 길이가 규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과 슬라이드 구멍(78, 80, 82)의 걸어맞춤 관계 및 레일부(56)와 슬라이드부(14)의 걸어맞춤 관계가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딩 방향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12)의 슬라이딩은 슬라이드부(14)에 있는 한 쌍의 가이드벽(84)에 의해 가이드된다.
슬라이드부(12)에는 스프링(44), 슬라이드부(14)에는 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44)은 그 일단이 슬라이드부(12)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 지지축(62)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부(12)와 슬라이드 지지축(62) 사이에는, 스프링(44)의 수축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결과, 슬라이드부(12)는 그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72)이 슬라이드 지지축(60)에 닿은 위치(시점)에 유지된다.
스프링(46)은, 그 일단이 슬라이드부(14)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 지지축(64)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부(14)와 슬라이드 지지축(64) 사이에는, 스프링(46)의 수축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결과, 슬라이드부(14)는 그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78)이 슬라이드 지지축(60)에 닿은 위치(시점)에 유지된다.
레버 지지축(18)에는 레버부(1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레버부(16)에는 레버 지지축(18)에 부착되는 베어링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부(16)의 설치부에는, 레버 지지축(18)에 인접하여 입벽(立壁)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벽부(88)의 정부에는 커버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 지지축(66, 68)은 로크 아암부(48)의 지지 수단으로서, 로크 아암부(48)의 슬라이드 구멍(92, 94)에는 로크 아암 지지축(66, 68)이 삽입되어 있다. 로크 아암부(48)는 레일부(5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아암부(48)에는 스프링(9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96)은 그 일단이 로크 아암부(48)의 걸림부(98)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배면 패널부(100)의 걸림부(102)에 고정되어 있다. 로크 아암부(48)와 배면 패널부(100) 사이에는, 스프링(96)의 수축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다(도 4). 이 결과, 로크 아암부(48)는 그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92, 94)이 로크 아암 지지축(66, 68)에 닿는 위치에 유지된다.
배면 패널부(100)는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걸림부(102)는 그 잘라세우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케이스부(54)에 돌출 설치된 고정 돌기부(104)에는, 배면 패널부(100)로부터 돌출시킨 고정편(10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 지지축(18)에 부착되는 고정 나사(108), 슬라이드 지지축(60, 62, 64)에 부착되는 고정 나사(110, 112, 114), 로크 아암 지지축(66, 68)에 부착되는 고정 나사(116, 118)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부(48)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로크 아암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크 아암부(48)는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20)와 제지부(拘止部)(122)와 조작부(124)를 구비하고, 이 로크 아암부(48)의 경량화와 함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 가장자리부에는 리브(125)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0)는 레일부(58)(도 2)에 지지되며, 조작부(124)와 제지부(122)의 간격을 확보하는 부분이다. 이 본체부(120)에는, 로크 아암 지지축(66, 68)을 삽입 통과시키는 슬라이드 구멍(92, 94)과, 스프링(96)을 거는 걸림부(98)를 구비한다. 스프링(96)은 로크 아암부(48)를 로크부(50, 52)(도 4)로부터 떼어놓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의 일례이다.
제지부(122)는 본체부(120)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각 로크부(50, 52)(도 4)를 일괄하여 제지하는 수단이다. 그래서, 제지부(122)는 본체부(120)로부터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부(130)와, 이 평탄부(130)로부터 L자형으로 굴곡시켜 입설되는 한 쌍의 입벽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평탄부(130)와 한 쌍의 입벽부(132)로 L자형 프레임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조작부(124)는 본체부(120)의 후단에 형성되고, 배면 패널부(100)의 로크 창부(136)(도 2)로부터 조작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조작부(124)에는, 스프링(96)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3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크 기구부(6) 및 그 로크 동작에 대해서,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4는 로크 기구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로크부가 시점 위치로부터 이동 중인 로크 기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로크부가 시점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로크 상태에 있는 로크 기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로크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로크 기구부(6)는 상술한 슬라이드부(12)에 있는 로크부(50)와 슬라이드부(14)에 있는 로크부(52)가 로크 위치 즉, 이동 시점에 있을 때, 이들을 일괄하여 로크 아암부(48)에서 로크하는 구성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50)는 슬라이드부(12)의 하면측에 돌출된 단면 C자형 리브(140)로 구성되고, 로크부(52)는 슬라이드부(14)의 하면측에 돌출된 단면 C자형 통 형상의 리브(14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리브(142)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14)에는 입벽부(143)가 형성되고, 이 입벽부(143)와 리브(142) 사이에는 극간(145)이 형성되어 있다. 입벽부(143)는 슬라이드부(14)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며, 극간(145)은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의 한쪽 입벽부(132)를 삽입하는 수단이다. 이 극간(145)이 있기 때문에,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의 입벽부(132) 사이에 리브(142)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로크부(50, 52)가 이동 시점에 있을 때, 즉 로크 위치에서 로크부(50)가 로크부(52)의 내부에 삽입된다. 로크 상태에서는, 리브(142)의 내부에 리브(140)가 삽입되어 구속 상태가 되므로, 결합 강도가 높고, 이탈하기 어려운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부(48)는 스프링(96)의 압축 방향의 복원력에 의해 배면 패널부(100)측으로 후퇴하고, 그 조작부(124)가 배면 패널부(100)에 맞닿아 있다. 이때,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로크부(50, 5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여, 슬라이드부(12, 14)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패널부(100)의 배면측에 상케이스부(36)가 설치되고, 이 상케이스부(36)에는 배면 패널부(100)와 공통으로 로크 창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가 도 5,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로크 상태로 이행하고,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부(12, 14)의 로크부(50, 52)에 걸어맞춰진다. 즉, 제지부(122)의 입벽부(132) 사이에 로크부(50, 52)의 각 리브(140, 142)가 구속된다. 슬라이드부(12, 14)는 자유로운 이동을 할 수 없는 구속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착탈 동작에 대해서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한다. 도 10은 각도 θ=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각도 θ=θ1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각도 θ≤θ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리프트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각도 θ=0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 14)가 이동 시점에 유지되기 때문에, 각 후크부(28)는 기기(5)의 하케이스부(146)에 있는 고정 구멍(148)에 결합되어 기기(5)를 걸어, 로크 유닛(2)과 기기(5)가 고정 상태이다. 이 경우, 리프트 돌기부(40)는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
(2) 각도 0<θ≤θ1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 14)가 이동 시점으로부터 화살표 b 방향(도 1)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각 후크부(28)의 기기(5)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부(14)도 이동하지만, 리프트 돌기부(40)는 돌출될 때까지에 이르지 않고, 후퇴 위치에 있다. 레버부(16)가 각도 θ=θ1에 도달하면, 슬라이드부(12)의 슬라이드 구멍(72)은 슬라이드 지지축(60)에 닿아, 이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어, 정지 상태가 된다.
(3) 각도 θ1<θ≤θ2의 상태
레버부(16)를 각도 θ=θ1에서 θ≤θ2까지 회동시키면, 후크부(28)의 기기(51)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4)가 이동 시점으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레버부(16)의 각도 θ=θ2에서 슬라이드부(14)는, 슬라이드 구멍(78)의 가장자리부가 슬라이드 지지축(60)에 닿아 정지한다. 이 정지까지의 동안, 슬라이드부(14)의 이동에 의해 각 리프트부(32)가 조작되고, 리프트 돌기부(40)가 진출한다. 이 리프트 돌기부(40)의 돌출에 따라, 기기(5)가 로크 유닛(2)으로부터 이탈한다.
리프트부(3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4)가 이동하면, 리프트 조작부(30)가 리프트부(32)의 돌기부(149)에 닿는다. 리프트 조작부(30)는 예를 들면 만곡(灣曲)하여 일어나는 만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부(14)의 이동에 따라 그 만곡면을 따라 상승한다. 이 결과, 리프트부(32)가 지지축(38)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 돌기부(40)가 밀어올려져, 창부(42)로부터 돌출된다.
이 경우, 돌기부(149)는 예를 들면, 예각 형상의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리프트 조작부(30)의 정부에는, 그 정점에 스토퍼(151)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151)보다 근소하게 낮은 높이의 평탄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리프트부(32)의 돌기부(149)가 리프트 조작부(30)의 정점의 스토퍼(151)를 넘어서 평탄부(153)에 도달하고, 리프트 돌기부(40)가 돌출 상태가 된다. 리프트 돌기부(40)에 가해지는 부하는, 리프트 조작부(30)의 평탄부(153)측에서 받아들여진다. 이 결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 기구부(10A, 10B)는, 이러한 부하를 받아 리프트 상태로 유지된다. 이 부하가 해제되면, 스프링(46)의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부(14)가 슬라이드하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레버부(16)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12)의 이동에 의해, 후크부(28)의 걸림이 해제되고, 계속해서, 리프트 기구부(10A, 10B)가 동작하여, 기기(5)를 리프트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크 유닛(2)과 기기(5)의 착탈 관계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한다. 도 15는 로크 유닛과 기기의 착탈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크 유닛(2)의 각 후크부(28)가 삽입되는 기기(5)측의 고정 구멍(148)의 간격, 로크 유닛(2)측의 상케이스부(36)의 슬라이드 구멍(150)의 간격을 L1, 고정 구멍(148) 및 슬라이드 구멍(150)의 개구폭을 L2로 한다. 또한, 로크 유닛(2)측의 후크부(28)의 설치 간격을 L3, 후크부(28)의 본체부(15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비크(beak)부(154)의 돌출 길이를 L4로 한다. 고정 구멍(148)에 삽입되는 후크부(28)의 본체부(152)의 폭을 L5, 레버부(16)의 회동 각도 θ=θ1에서의 후크부(28)의 슬라이드폭을 L6, 이 슬라이드폭(L6)에 본체부(152)의 폭(L5)을 더한 폭을 L7로 한다.
이와 같은 설정에 있어서, 간격(L1, L3)은 L1≒L3으로서 L1>L3으로 설정하면, 고정 구멍(148)에 후크부(28)의 삽입이 가능하며, 기기(5)측과 로크 유닛(2)의 결합이 가능하다. 비크부(154)의 돌출 길이(L4)는 슬라이드부(12)에 의한 후크부(28)의 슬라이드폭(L6)에 대하여 L4<L6으로 한다. 또한, 고정 구멍(148) 및 슬라이드 구멍(150)의 개구폭(L2)은 슬라이드폭(L6)과 후크부(28)의 본체부(152)의 폭(L5)을 더한 폭(L7)에 대하여 L2>L7로 한다.
기기(5)측의 하케이스부(146)의 두께를 L8로 하고, 로크 유닛(2)측의 상케이스부(36)의 상면과, 후크부(28)의 비크부(154)의 간격을 L9로 하면 L9≒L8로서, L9>L8로 하면 된다.
이 경우, 비크부(154)의 상면에는, 하케이스부(146)의 고정 구멍(148)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경사면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부(155)는, 하케이스부(146)의 고정 구멍(148)의 가장자리부의 하강을 받아, 후크부(28)에 받은 힘으로 슬라이드부(1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다음으로, 로크 동작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한다. 도 16은 로크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로크 유닛(2)의 로크에는 예를 들면, 로크 부재로서 시큐리티 플러그(156)를 이용하면 된다. 이 시큐리티 플러그(156)는, 키(도시 생략)에 의하여 로크 샤프트부(158)의 회전에 의해, 로크 플랜지(160)를 횡방향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은 키만으로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슬라이드부(12)의 로크부(50), 슬라이드부(14)의 로크부(52)가 로크 위치에 있을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창부(136)로부터 화살표 e 방향으로 시큐리티 플러그(156)의 로크 샤프트부(158)를 삽입한다.
이 로크 샤프트부(158)를 삽입하면, 그 선단부에서 로크 아암부(48)가 스프링(96)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시큐리티 플러그(156)의 로크 샤프트부(158)를 회전시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샤프트부(158)의 로크 플랜지(160)와 베이스부(162) 사이에 상케이스부(36) 및 배면 패널부(100)가 끼워넣어진다. 시큐리티 플러그(156)로부터 키(도시 생략)를 뽑으면, 이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레버부(16)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기기(5)는 기기(3)측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로크 동작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한다. 도 18은 로크 동작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로크 동작의 공정은, 본 개시의 로크 방법의 일례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50, 52)의 이동 공정(스텝 S11), 로크 아암부(48)의 이동 공정(스텝 S12), 이동 저지 공정(스텝 S13)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이 로크 동작의 공정에서는, 슬라이드부(12)의 로크부(50)와, 슬라이드부(14)의 로크부(52)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11). 다음으로, 슬라이드부(12, 14)와 교차 방향으로 로크 아암부(48)를 이동시킨다(스텝 S12).
그리고, 로크부(50, 52)에 로크 위치에서 로크 아암부(48)를 걸어맞추고, 로크 아암부(48)에서 슬라이드부(12, 14)의 이동을 저지한다(스텝 S13).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로크 유닛(2)을 구비하는 기기(3)와 다른 기기(5)의 결합을 로크할 수 있고, 기기(3, 5)간의 결합의 안정화나, 기기(3)에 기기(5)가 결합되어 로크됨으로써, 기기(5)나 기기(3)의 도난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는, 상술한 로크 유닛(제1 실시형태)을 구비하는 포트 리플리케이터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한다. 도 19는 포트 리플리케이터 및 휴대용 컴퓨터(PC)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저면(底面)측에서 본 PC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배면측에서 본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상케이스부를 제외한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로크 기구부 및 레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5에서 도 1,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는,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또는 로크 방법의 일례로서, 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는 본체부(34)를 구비한다. 이 본체부(34)에는 상술한 로크 유닛(2)(도 1, 도 2)이 내장되고, 상면부에 PC(204)를 재치(載置)하는 재치면부(206)를 구비한다. 이 재치면부(206)의 한쪽의 측방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 가장자리부에 이르는 부분에 지지벽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PC(204)는 지지벽부(208)에 의해 재치면부(206)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재치면부(206)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210), 후크부(28), 리프트부(32), 접지부(212), 완충부(214), 어저스터부(21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부(208)에는, 재치면부(206) 위의 PC(204)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오목부(218), 전원 버튼(220)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210)는 PC(204)(도 21)의 하케이스부(146)에 있는 커넥터부(224)(도 21)와 접속된다. 후크부(28)는 PC(204)에 걸어맞춰서, 고정하는 수단이다. 리프트부(32)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PC(204)를 이탈시키는 수단이며, 상술한 대로이다. 접지부(212)는, PC(204)측의 접지 단자(226)와 접촉하고, 동(同)전위화하는 수단이다. 완충부(214)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PC(204)를 재치면부(206) 위에 탄성적으로 받아들이는 수단이다. 어저스터부(216)는, 상케이스부(36)의 상면부에 형성된 수납부(215)로부터 입설 가능하게 부착되며, PC(204)의 폭(WL)보다 작은 폭(Ws)의 PC를 위치 결정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34)에는 전면 돌출부(227)가 형성되고, 이 전면 돌출부(227)의 상면부에 커넥터부(210)를 중심으로 좌우에 후크부(28), 리프트부(32) 및 접지부(212)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배면 패널부(100)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창부(136), 외부 접속 커넥터 그룹(228), 전원 접속부(2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접속 커넥터 그룹(228)에는 USB 커넥터(228A, 228B, 228C, 228D), 외부 디스플레이 커넥터(228E), 디지털용 외부 디스플레이 커넥터(228F), LAN 커넥터(228G),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228H), 시리얼 포트(228I), 패러럴 포트(228J), eSATA(External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228K)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용 외부 디스플레이 커넥터(228F)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전용 DVI(Digital VisUal lnterface) 단자(DVI-D)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커넥터 그룹(228)은 상술한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본체부(34)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케이스부(36)와 하케이스부(54)를 구비한다. 상케이스부(36)에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232)이 설치되고, 이 회로 기판(232)에는 상술한 커넥터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210)는 상케이스부(36)의 창부(234)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케이스부(36)로부터 돌출시킨 접지부(212)는, 회로 기판(232)의 접지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하케이스부(54)에는 상술한 로크 유닛(2)이 설치된다. 이 로크 유닛(2)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케이스부(54)의 전면 돌출부(227)측에 배치된다. 또한, 로크 기구부(6)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유닛(2)의 슬라이드부(12, 14)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 방향, 예를 들면, 직교 방향에 배치된다. 이 로크 기구부(6)의 근방, 이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4)의 측부에 레버부(16)가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서 θ는 레버부(16)를 시점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각도를 나타낸다. 각도 θ=0은 PC(204)의 장착 위치(고정 위치)이다. 각도 θ=θ1는 PC(204)로부터 후크부(28)의 이탈 위치이다. 또한, 각도 θ≥θ2는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 위치이다. 그 밖에, 로크 유닛(2)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므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착탈 동작 및 로크 동작에 대해서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한다.
(1) 장착 동작
이 장착 동작은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대한 PC(204)의 장착하는 동작이다.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면(236) 위에 재치하고, 수평으로 유지한다. 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상방으로부터, PC(204)를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재치 위치에 맞추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PC(204)를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재치하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커넥터부(210)와 PC(204)의 커넥터부(224)를 합치시킨다. PC(204)로부터 수평면(236)과 직교 방향 예를 들면 수직 방향으로 압력(P)을 작용시키면, 커넥터부(210)와 커넥터부(224)가 접합된다. 이 경우, 커넥터부(224)는, PC(204)의 하케이스부(146)와 상케이스부(22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227)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후크부(28)는 그 압력(P)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28)의 비크부(154)의 상면부에는 경사면부(155)가 있고, 이 경사면부(155)에는, PC(204)의 하케이스부(146)의 고정 구멍(148)의 가장자리부가 닿는다. 압력(P)은 하케이스부(146)의 고정 구멍(148)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경사면부(155)에 작용한다. 이 결과,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스프링(44)을 신장시켜, 슬라이드부(12)와 함께 후크부(28)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PC(204)를 하강시켜, 이윽고,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상케이스부(36)에 PC(204)의 하케이스부(146)가 도달한다. 이때, 각 후크부(28)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PC(204)의 고정 구멍(148)을 통과하여, 그 하케이스부(146)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후크부(28)는 슬라이드부(12)와 함께,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결과,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204)가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재치면부(206)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PC(204)에 대한 압력(P)의 작용에 의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PC(204)를 자동 장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레버부(16)를 PC(204)의 장착시에 각도 θ=θ1까지 회동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28)가 슬라이드부(12)와 함께 장착 위치까지 이동하고, 각도 θ=0까지 레버부(16)를 되돌리면, 마찬가지로, 포트 리플리케이터(200) 위에 PC(204)를 고정할 수 있다.
(2) 분리 동작
이 분리 동작은,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장착 상태(고정 상태)에 있는 PC(204)를 이탈시키는 동작이다.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PC(204)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16)의 각도 θ는, θ=0인 고정 위치(기준 위치)에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12, 14)는 모두 기준 위치에 있고, 각 후크부(28)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204)의 고정 구멍(148)에 삽입되며, 그 하케이스부(146)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이다. 즉, 비크부(154)는 하케이스부(146)의 상측에 있으므로,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PC(204)의 이탈이 저지된다. 또한, 리프트 기구부(10A, 1OB)도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상케이스부(36)의 하측으로 하강하고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16)를 각도 θ=θ1까지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가 이동하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부(12)의 이동과 함께 후크부(28)가 이동한다. 이 경우, 후크부(28)는 PC(204)의 고정 구멍(148)의 중앙부까지 이동하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크부(154)는, PC(204)의 하케이스부(146)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PC(204)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재치면부(206)에 재치된 상태이지만,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와 분리 상태가 된다.
(3) 리프트 동작
이 리프트 동작은,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분리 상태에 있는 PC(204)를 들어올리는 동작이다. 각도 θ=θ1의 상태에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θ≥θ2까지 회동시킨다. 이때,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와 함께 후크부(28)의 위치가 이동하고,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 돌기부(40)는 창부(42)로부터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재치면부(206) 위에 돌출된다. 이 돌출에 의해,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204)의 하케이스부(146)가 들어올려진다. 유저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PC(204)를 용이하게 집어올릴 수 있다.
(4) 로크 동작
이 로크 동작은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재치되어, 장착되어 있는 PC(204)의 이탈을 저지하는 동작이다. 이 로크에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켄싱턴 장치(Kensington device) 등의 로크 장치(24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로크 장치(240)는, 상술한 로크 샤프트부(158), 로크 플랜지(160) 등을 구비하고, 로크 플랜지(160)와 베이스부(162) 사이에는, 로크에 필요한 간격(Lx)이 설정되어 있다. 이 로크 장치(240)에서는 키(2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키(242)로 로크 샤프트부(158)를 로크 위치로 회전시키고, 키(242)를 이탈시키면, 로크 위치에 로크 샤프트부(158)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로크 창부(136)로부터 로크 장치(240)의 로크 샤프트부(158)를 삽입한다. 이 경우, 로크 플랜지(160)와 베이스부(162) 사이에 상케이스부(36) 및 배면 패널부(100)를 사이에 끼워, 로크 샤프트부(158)를 돌출 상태로 유지하고,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상태가 된다.
로크 샤프트부(158)가 삽입되면, 로크 아암부(48)가 스프링(96)을 신장시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지부(122)가 로크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부(12)의 로크부(50)의 리브(140), 슬라이드부(14)의 로크부(52)의 리브(142)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지부(122)의 입벽부(132)의 간격 내에 각 리브(140, 142)가 일괄하여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12, 14)의 이동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착탈, 로크 동작 및 로크 해제의 순서에 대해서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한다.
이 순서는 본 개시의 로크 방법의 일례이다. 그래서, 이 장착 및 로크에서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소정 위치에 PC(204)를 재치한다(스텝 S21). PC(204)의 커넥터부(224)를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측의 커넥터부(210)에 접속함과 함께,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PC(204)를 결합한다(스텝 S22). 로크 아암부(48)를 로크 위치로 이동하고, 로크 아암부(48)를 고정한다(스텝 S23).
또한, 로크 해제에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부(48)를 되돌려, 로크를 해제한다(스텝 S31). 레버부(16)를 로크 위치로부터 각도 θ=θ1까지 회동하고,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와 PC(204)의 결합을 해제한다(스텝 S32). 레버부(16)를 각도 θ≥θ1에서 θ=θ2까지 회동하고,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로부터 PC(204)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스텝 S33).
다음으로, 어저스터 동작에 대해서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한다. 도 43은 어저스터부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어저스터부에서 위치 결정된 휴대용 컴퓨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어저스터부(216)를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운다. 이에 따라, 재치면부(206)의 지지벽부(208)에 의한 지지 위치는, 어저스터부(216)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재치면부(206)에는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PC(244)가 어저스터부(216)와 지지벽부(208)의 배면측 지지면 사이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PC(244)에는 후크부(28) 및 커넥터부(210)에 대응한 위치에 고정 구멍(148) 및 커넥터부(224)를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A4 사이즈의 PC(204)와, 예를 들면 B5 사이즈의 PC(244)를 공통의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장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한다. 도 45는 로크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로크 지그를 이용하여 로크된 포트 리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로서 로크 장치(240)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로크 지그(246)는 예를 들면,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로크 샤프트부(158)와 한 쌍의 로크 플랜지(160)를 구비하고, 로크 샤프트부(158)에는 손잡이부(248)가 구비되어 있다. 각 로크 플랜지(160)는 로크 샤프트부(158)에 그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플랜지(160)의 정부간의 폭은, 배면 패널부(100)의 장방형 로크 창부(136)에 삽입 가능하고, 로크 창부(136)의 단변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손잡이부(248)와 로크 플랜지(160) 사이에는, 배면 패널부(100)와 상케이스부(36)를 가산한 두께를 사이에 끼워넣을 정도의 간격(Lx)(도 38)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크 지그(246)를 이용하면,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부착함으로써, 로크 아암부(48)를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유지할 수 있다.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장착된 PC(20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제1,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특징적 사항이나 이점 등을 이하에 열거한다.
(1) 슬라이드부(12)와 로크 아암부(48)로 제1 로크 기구, 슬라이드부(14)와 로크 아암부(48)로 제2 로크 기구가 구성되고, 공통의 로크 아암부(48)의 조작에 의해 2개의 슬라이드부(12, 14)가 로크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2) 로크부(50)는 리브(140), 로크부(52)는 리브(142)로 구성되고, 각 리브(140, 142)가 로크시,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에 의해 제지되며, 구속된다.
(3) 슬라이드부(12)의 로크부(50)는 슬라이드부(14)측의 로크부(52)의 오목부(53)에 삽입되어 있다. 오목부(53)는 슬라이드부(14)의 진행 방향측이 폐쇄되고, 이 오목부(53)의 벽부에 슬라이드부(12)측의 로크부(50)가 맞닿게 된다. 각 로크부(50, 52)는 슬라이드부(12, 14)의 이동 개시 위치가 로크 위치에 설정되고, 이 위치에서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에 제지된다.
(4) 로크 유닛(2) 또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PC(204)를 도킹하고, 시큐리티 플러그(156)를 삽입하면, 로크 유닛(2) 또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와 PC(204)를 분리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 플러그(156)를 빼면, 레버부(16)의 조작으로, 로크 유닛(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5) PC(204)의 확장 I/O 유닛인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는, 커넥터부(210)와 PC(204)측의 커넥터부(224)를 포트 리플리케이터(200) 위에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부(210, 224)의 결합만으로는 용이하게 빠지지만, 로크 유닛(2)의 후크부(28)에서 PC(204)가 고정되므로, 이 고정이 커넥터부(210, 224)의 결합 상태를 보강한다. 슬라이드부(12, 14)는 스프링(44, 46)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레버부(16)의 각도 θ=0∼θ1에서 슬라이드부(12, 14)가 모두 슬라이딩하고, 이것이 후크부(28)의 걸어맞춤 내지 해제의 구간이다. 또한, 레버부(16)의 각도 θ=θ1에서 슬라이드부(12)가 정지하고, 각도 θ=θ1∼θ2에서 슬라이드부(14)가 슬라이딩한다. 이것이 리프트 기구부(10A, 1OB)에의 돌출 구간이다.
(6) 슬라이드부(12)의 슬라이딩폭(M1)은, 슬라이드 구멍(76)의 긴 지름에 의해 결정되고, 이동 개시점 및 로크 위치는, 슬라이드 구멍(72)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드 지지축(60)의 접촉 위치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폭(M1)은 레버부(16)의 각도 θ=0∼θ1의 각도 구간이다. 이 경우, 레버부(16)의 로드부(20)의 회전에 의해, 로드부(20)로부터 슬라이드부(12)의 캠부(24)로 이동력이 가해지는 구간이다. 각도 θ1에 도달하면, 슬라이드 구멍(72)의 내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지지축(60)이 충돌하여, 슬라이드부(12)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레버부(16)의 각도 θ=0∼θ1의 각도 구간에서는, 로드부(22)로부터 슬라이드부(14)의 캠부(26)에 힘이 가해져, 슬라이드부(14)도 이동한다. 이 이동에서는,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부(32)의 돌출은 없고, 리프트를 위한 준비 구간이다.
(7)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딩폭(M2)은, 슬라이드 구멍(78)의 긴 지름에 의해 결정되고, 이동 개시점 및 로크 위치는, 슬라이드 구멍(78)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드 지지축(60)의 접촉 위치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폭(M2)은 레버부(16)의 각도 θ=O∼θ2의 각도 구간이다. 이 경우, 레버부(16)의 로드부(22)의 회전에 의해, 로드부(22)로부터 슬라이드부(14)의 캠부(26)로 이동력이 가해지는 구간이다. 레버부(16)의 각도 θ=θ1∼θ2의 각도 구간에서는,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부(32)가 상승하여, 돌출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부(210, 224)가 떼어놓아진다.
(8) 레버부(16)가 각도 θ=θ2에 도달하면, 리프트부(32)의 돌기부(149)가 스토퍼(151)를 넘어서 평탄부(153)에 이른다. PC(204)의 자중에 의해,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부(32)에 상방으로부터 부하가 가해져 있으면, 그 리프트 상태가 유지된다. 그 부하가 리프트부(32)의 복귀력 즉, 스프링(44, 46)의 복원력을 개시하고, 스토퍼(151)를 넘는 돌기부(149)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PC(204)를 집어올려, 부하가 해제되면, 리프트 기구부(10A, 10B)는 그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자동 복귀가 실행된다.
(9) 이와 같이, PC(204)의 분리에서는, 레버부(16)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부(12)를 이동시켜, 후크부(28)가 PC(204)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레버부(16)의 조작에 의해, 레버부(16)만이 슬라이드하고, PC(204)가 들어올려져, 커넥터 접속이 해제된다.
(10) 슬라이드부(12, 14)는 상하로 겹쳐져, 슬라이드부(14)는 레일부(56) 위를 슬라이드 하고, 슬라이드부(12)는 슬라이드부(14) 위를 슬라이드 한다. 슬라이드부(12)와 슬라이드부(14)는 레버부(16)의 회전 각도에 의해, 시간차를 갖고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조작이 단일의 레버부(16)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11) 로크 기구부(6)에서 로크되는 슬라이드부(12, 14)의 로크 부분은, 슬라이드부(12, 14)에 의해 은폐되어 있어, 용이하게 로크 해제를 할 수 없다.
(1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내부 구조 부품인 슬라이드부(12, 14)의 슬라이드 기구부에 로크부(50, 52)로서 예를 들면, 리브(140, 142)를 구비하고, 이들 리브(140, 142)를 로크 아암부(48)에 의해 로크한다. 이 때문에,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에 대하여 로크 기구부(6)는 작아, 포트 리플리케이터(200)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13) 켄싱턴 로크 등, 시큐리티 플러그(156)를 이용하여 로크할 수 있어, 도난 방지에 기여한다.
〔비교예〕
비교예는, 2매의 슬라이드부의 한쪽만을 로크하는 구조이다.
이 비교예에 대해서 도 47,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한다. 도 47은 슬라이드부 및 로크 아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슬라이드부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로크 상태를 슬라이드부에서 본 도면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 리플리케이터(300)에는 슬라이드부(312) 및 슬라이드부(314)가 겹치고, 레일부(356)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드부(312)측에는 휴대용 컴퓨터(304)에 걸리게 하는 클로(claw)부(328)가 구비되어 있다. 이 클로부(328)는 상술한 후크부(28)에 대응한다. 슬라이드부(314)에는 리브(3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클로부(328)가 상방에 있고, 리브(342)가 하방에 있다.
액추에이터로서 로크 아암부(348)가 설치되고, 이 로크 아암부(348)의 전단측에는 제지부(322), 그 후단부에는 조작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제지부(322)는 슬라이드부(314)의 리브(342)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조작부(330)에는 스프링(396)이 부착되어 있다. 즉, 로크 아암부(348)에는, 리브(342)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스프링(396)에 의해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난 방지를 위해,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켄싱턴 로크 등, 시큐리티 와이어(455)가 접속된 시큐리티 플러그(456)를 이용할 수 있다. 시큐리티 플러그(456)를 부착하면, 로크 아암부(348)는 스프링(396)이 신장 상태가 되어 리브(342)측으로 이동하고,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제지부(322)가 리브(342)를 감싼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314)의 조작을 저지한다. 즉, 로크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로크 아암부(348)는 스프링(396)의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큐리티 플러그(456)를 분리하면,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396)이 수축하고, 로크 아암부(348)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즉, 로크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314)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로크 구조를 도난 방지 구조로 할 경우, 로크 상태에서 슬라이드부(314)의 슬라이드 조작을 저지할 수 있지만, 클로부(328)를 구비한 슬라이드부(312)는 로크되어 있지 않다. 시큐리티 플러그(456)를 부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312)의 클로부(328)에 휴대용 컴퓨터(304)를 착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슬라이드부(312)가 로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포트 리플리케이터(300)와 휴대용 컴퓨터(304)의 극간으로부터 얇은 부재를 삽입하고, 클로부(328)의 이동이 가능하다. 클로부(328)가 이동하면, 휴대용 컴퓨터(304)를 포트 리플리케이터(3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해소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50)에 단면 C자형의 리브(140), 로크부(52)에 단면 C자형의 통 형상(예를 들면, 블록 형상)의 리브(142)를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로부터 판 형상의 리브(440), 슬라이드부(14)로부터 마찬가지인 리브(442)를 돌출시켜, 슬라이드부(12)에 창부(147)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로크 위치에서 각 리브(440, 442)를 인접시켜, 로크 아암부(48)의 제지부(122)의 입벽부(132)에서 제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로크 아암부(48)의 제지에 의해, 슬라이드부(12, 14)를 로크 위치에서 로크할 수 있다.
(2) 로크 기구부(6)는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50, 52)로서의 리브(440, 442)에 관통 구멍(250)을 형성하고, 이들 관통 구멍(250)에 로크 아암부(48)를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드부(12, 14)를 제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로크 아암부(48)는 관통 구멍(250)에 삽입 가능한 샤프트부(252)로 구성하면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레버부(16)의 회전 각도 θ로서 θ1, θ2를 설정하고, 후크부(28)가 빠지는 위치에 θ1, 리프트 기구부(10A, 10B)가 리프트 상태가 되는 위치에 θ2를 설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크부(28)가 빠지는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리프트 기구부(10A, 10B)의 리프트를 개시해도 되고, 각도 설정은 임의이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포트 리플리케이터(200)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 유닛(2)을 구비하여 기기간을 결합하는 구성이면, 전화기의 모(親)기와 자(子)기, 전화기와 크래들 등이어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또는 로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며,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의거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개시의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또는 로크 방법은, 포트 리플리케이터와 휴대용 컴퓨터 등, 기기간의 착탈에 이용됨과 함께, 결합의 로크에 의해, 커넥터 결합의 안정화나, 도난 방지 등에 이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2 : 로크 유닛 4 : 착탈 기구부
6 : 로크 기구부 8 : 구속 기구부
10A, 10B : 리프트 기구부 12 : 제1 슬라이드부
14 : 제2 슬라이드부 28 : 후크부
32 : 리프트부 48 : 로크 아암부
50, 52 : 로크부 53 : 오목부
96 : 스프링 140, 142 : 리브
200 : 포트 리플리케이터 204 : 휴대용 컴퓨터

Claims (7)

  1. 제1 로크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슬라이드부와,
    제2 로크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드부를 지지하며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와 별개로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와 교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와 로크 위치에서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아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와,
    이 레버부의 회동 조작을 받아,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부를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떼어놓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항하여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로크 아암부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크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돌출시킨 제1 리브이며, 상기 제2 로크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에 돌출시키고, 상기 제1 리브에 인접하며 또는 상기 제1 리브를 삽입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제2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부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밀어올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로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와 결합되는 전자 기기.
  7. 제1 슬라이드부의 제1 로크부와, 제2 슬라이드부의 제2 로크부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와 교차 방향으로 로크 아암부를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1 로크부 및 상기 제2 로크부에 상기 로크 위치에서 상기 로크 아암부를 걸어맞추고, 당해 로크 아암부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방법.
KR1020127012461A 2009-12-11 2009-12-11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KR101301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0785 WO2011070684A1 (ja) 2009-12-11 2009-12-11 ロック装置、電子機器及びロッ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924A true KR20120082924A (ko) 2012-07-24
KR101301631B1 KR101301631B1 (ko) 2013-08-29

Family

ID=4414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461A KR101301631B1 (ko) 2009-12-11 2009-12-11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7203B2 (ko)
EP (1) EP2511788B1 (ko)
JP (1) JP5314162B2 (ko)
KR (1) KR101301631B1 (ko)
CN (1) CN102640071B (ko)
WO (1) WO20110706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61B1 (ko) 2019-04-22 2020-02-03 권정희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9926B (zh) * 2012-06-27 2015-06-2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可攜式電子裝置之擴充平台
CN103670062A (zh) * 2012-09-20 2014-03-26 金泰工业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的锁固装置及锁固配件
BR112015008007A2 (pt) * 2012-10-11 2017-07-04 Thomson Licensing mecanismo de encaixe para travar e destravar vários instrumentos eletrônicos
JP6025560B2 (ja) * 2012-12-28 2016-11-16 Idec株式会社 筐体連結構造
JP5782471B2 (ja) * 2013-03-04 2015-09-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ドッキング装置及び着脱構造
JP5684855B2 (ja) * 2013-05-20 2015-03-1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ドッキング構造、ドッキング装置、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JP6102514B2 (ja) * 2013-05-24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取付装置、電子機器、及びロック構造
US9927838B2 (en) 2013-12-31 2018-03-27 Henge Docks Llc Sensor system for docking station
US9650814B2 (en) * 2013-12-31 2017-05-16 Henge Docks Llc Alignment and drive system for motorized horizontal docking station
TWI507854B (zh) * 2014-01-15 2015-11-11 Wistron Corp 具可調整角度承載座之保護殼
CN104375579B (zh) * 2014-11-28 2017-11-2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TWI558299B (zh) * 2014-12-10 2016-11-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554181B (zh) * 2014-12-10 2016-10-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6650565B2 (ja) * 2014-12-26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の開閉機構、電子機器
JP6389774B2 (ja) * 2015-02-10 2018-09-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6470659B2 (ja) * 2015-08-18 2019-02-13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機能拡張装置
JP6457907B2 (ja) * 2015-09-11 2019-01-23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727084B2 (en) 2015-10-23 2017-08-08 Henge Docks Llc Drivetrain for a motorized docking station
US9575510B1 (en) 2015-10-23 2017-02-21 Matthew Leigh Vroom Precision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retention mechanism
US9811118B2 (en) 2015-10-23 2017-11-07 Henge Docks Llc Secure assembly for a docking station
JP2017107444A (ja) * 2015-12-10 2017-06-1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拡張ユニット及び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
JP6125605B1 (ja) 2015-12-21 2017-05-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US9785196B1 (en) * 2016-08-18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ture connector for actuated locking devices
WO2018155365A1 (ja) * 2017-02-24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外部ロック装置
WO2019028003A1 (en) * 2017-07-31 2019-0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STING STATIONS COMPRISING SUPPORTS
JP6480990B2 (ja) * 2017-08-07 2019-03-1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09542164B (zh) * 2017-09-22 2022-04-26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对接装置以及电子设备
US10248162B1 (en) * 2018-07-19 2019-04-02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Linking-up mechanism module and docking station
EP3864942A4 (en) * 2018-10-10 2022-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S WITH LINEAR MOVING JAWS
US11339816B2 (en) * 2018-10-11 2022-05-2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Fastening and releasing pushing module
TWI739698B (zh) * 2020-12-24 2021-09-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擴充裝置及電子系統
CN114706452A (zh) * 2021-10-07 2022-07-05 神基投资控股股份有限公司 具有功能扩充机制的电脑以及免拆卸电脑的功能扩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070B1 (en) * 1995-11-24 2003-04-1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Connecting apparatus
EP0818597B1 (en) * 1996-07-12 2002-10-02 ACCURIDE INTERNATIONAL, Inc. Rod-based file interlock system
JPH10198459A (ja) * 1996-12-24 1998-07-3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US6560103B1 (en) 1998-09-22 2003-05-06 Sanyo Electric Co., Ltd. Accessory of electronic device
JP2000112566A (ja) * 1998-09-30 2000-04-21 Sanyo Electric Co Ltd 付属装置
IL128626A (en) * 1999-02-21 2001-08-26 Gad Alexander Avganim Adjustable lock device such as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JP2002353642A (ja) * 2001-05-28 2002-12-06 Hitachi Ltd 電子機器の筐体
US20050109072A1 (en) * 2003-11-21 2005-05-26 Ling Renny T. Double locking device
KR100745709B1 (ko) * 2004-06-28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도난방지장치
US7139168B2 (en) 2004-10-28 2006-1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king station
JP4472750B2 (ja) * 2005-04-27 2010-06-0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
DE112008001203B4 (de) * 2007-05-07 2011-1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dockstation
JP2009026234A (ja) * 2007-07-23 2009-02-05 Fujitsu Ltd 機能拡張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61B1 (ko) 2019-04-22 2020-02-03 권정희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788B1 (en) 2015-10-28
JP5314162B2 (ja) 2013-10-16
US8867203B2 (en) 2014-10-21
JPWO2011070684A1 (ja) 2013-04-22
CN102640071B (zh) 2015-06-24
US20120212910A1 (en) 2012-08-23
WO2011070684A1 (ja) 2011-06-16
EP2511788A1 (en) 2012-10-17
EP2511788A4 (en) 2014-06-25
CN102640071A (zh) 2012-08-15
KR101301631B1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31B1 (ko)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US7505265B2 (en) Docking device having a hook to be engaged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JP2006127522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6493215B1 (en) Keyboard device fixed on a portable computer
US6776632B2 (en) Card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US20100320884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nti-theft anchor plate
JP4720605B2 (ja) 電子機器
JP2010250699A (ja) ドッキング装置
US7294002B2 (en) Connector device
KR20070089041A (ko)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WO2007143256A2 (en) Locking mechanism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326397B2 (en) Attachmen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locking mechanism
JP4173155B2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EP3309652B1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JP2009158137A (ja) 電子機器
JP2007172513A (ja) ポータブル電子機器、ポータブル電子機器用ドッキング装置及びポータブル電子機器セット
TW318219B (en) The electron processing system
CN211295615U (zh) 一种用于连接器上的二次锁结构
TW490698B (en) Circuit interrupter with secure base and terminal connection
JP200307758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2118178A (ja) 電気的接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13197346U (zh) 一种助拔器及通信设备
JPH0720971A (ja) 携帯型電子機器と機能拡張用ボックスとの着脱構造
JP201818182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0737312A (zh) 固定装置及采用该固定装置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