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041A -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041A
KR20070089041A KR1020060137460A KR20060137460A KR20070089041A KR 20070089041 A KR20070089041 A KR 20070089041A KR 1020060137460 A KR1020060137460 A KR 1020060137460A KR 20060137460 A KR20060137460 A KR 20060137460A KR 20070089041 A KR20070089041 A KR 2007008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lectronic device
lock
type electronic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383B1 (ko
Inventor
야스후미 야히로
겐타로 토다
도시유키 모리타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Abstract

록 힘이 강력하고, 또한 쉽게 파손되기 어려운 록 장치로서, 기능 확장 카드의 후단면에 대하여 접근·격리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판 스프링부가 하우징에 설치되고, 이 판 스프링부에 기능 확장 카드를 록하는 록 부를 결합하고, 판 스프링부의 바깥쪽 단부를 판 스프링부의 휘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하우징에 설치한다.
록 장치, 커넥터장치

Description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LOCKING DEVICE AND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록 장치를 구비한 카드형 전자장치용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커넥터 장치에 기능 확장 카드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동 록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 록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동 록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동 록 장치의 측면도.
도 8A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기 전의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B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한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C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嵌合)시킨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시킨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시킨 커넥터 장치의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록 장치 5: 하우징
6: 록 부재 8: 기능 확장 카드(카드형 전자장치)
9: 프린트 배선판(기초판) 31: 하우징
51: 기반부 52b: 위치 결정핀(제1 위치 결정핀)
52d: 위치 결정핀(제2 위치 결정핀) 52e: 위치 결정핀(제2 위치 결정핀)
53: 가이드 벽부 53a: 가이드면(제1 가이드면)
53b: 유도면(제2 가이드면) 61: 판 스프링부(스프링부)
62: 록 부 62a: 걸림부
62b: 맞물림부 63: 가이드부
63a: 가이드 구멍 67: 삽입부
본 발명은 카드형 전자장치용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형 전자장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우징과 아래쪽 콘택트, 위쪽 콘택트와 록 기구를 구비한 엣지 커 넥터(edge connector)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평 8-250238호 공보의 단락 0011~ 0017, 0020, 도 1 참조).
하우징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완부(腕部)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에는 기초판(base plate) 수용홈(受容溝)이 형성되어 있다.
기초판 수용홈의 윗벽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콘택트(contact) 수용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초판 수용홈의 아래쪽에는 콘택트 배열면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배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콘택트 수용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콘택트는 아래쪽 콘택트 수용홈 내에 유지되어 있다.
아래쪽 콘택트의 후단은 기초판 수용홈 내에 도달한다.
위쪽 콘택트는 위쪽 콘택트 수용홈 내에 유지되어 있다.
위쪽 콘택트의 후단은 아래쪽 콘택트의 후단 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록 기구는 하우징의 완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된 해제 레버와, 이 해제 레버와 일체가 되어서 좌우 방향으로 열리는 걸림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는 대개 훅(hook) 형상이다.
이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장치인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정의 삽입 각도로 메모리 모듈의 일단부를 커넥터에 삽입한다.
이 때, 메모리 모듈 일단부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패드가 아래쪽 콘택트와 위쪽 콘택트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삽입 각도가 작아지도록, 메모리 모듈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메모리 모듈의 일단부가 아래쪽 콘택트와 위쪽 콘택트의 간격을 넓히도록 아래쪽 콘택트와 위쪽 콘택트를 누른다.
또한, 록 기구의 걸림부는 메모리 모듈의 측면에 의해서 밀어젖혀짐으로써 해제 레버는 메모리 모듈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휘어진다.
그 다음, 삽입 각도가 거의 0°가 될 때까지 메모리 모듈을 회전시키면, 메모리 모듈의 일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된 아래쪽 콘택트 및 위쪽 콘택트는, 메모리 모듈 일단부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패드(pad)에 압접(壓接)하여 도통(導通)한다.
또한, 삽입 각도가 거의 0°가 될 때까지 메모리 모듈을 회전시키면, 메모리 모듈의 측면은 걸림부 사이를 빠져나가고, 해제 레버의 스프링 힘(力)에 의하여 걸림부는 원(元) 위치로 되돌아와 메모리 모듈의 상면에 맞물린다.
이 결과, 삽입 각도가 커지는 방향의 메모리 모듈의 회전이 저지되어, 메모리 모듈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제 레버를 메모리 모듈로부터 떨어진 쪽으로 눌러서 걸림부를 메모리 모듈의 상면으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메모리 모듈을 소정의 삽입 각도까지 회전시킨다.
이 때, 아래쪽 콘택트 및 위쪽 콘택트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메모리 모듈은 회전한다.
마지막으로, 메모리 모듈이 대개 소정 삽입 각도까지 회전하면, 메모리 모듈을 커넥터로부터 뽑으면 된다.
상술한 커넥터에서는, 대개 훅 형상의 걸림부에서 메모리 모듈의 상면을 걸리게 함으로써 메모리 모듈을 록하므로, 잘못된 조작(操作)으로 인하여 록을 해제하지 않고 메모리 모듈을 회전시키려고 하거나, 메모리 모듈을 회전시키려는 외부의 힘이 메모리 모듈에 가해지면, 록이 빠지거나 록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목적)는, 록 힘이 강하고, 또한 쉽게 파손되지 않는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초판의 표면에 고정된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감합(嵌合)되었을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를 유지하는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의 표면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에 감합되어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에 대하여 힘이 가해지게 작용하는 스프링부와, 이 스프링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의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에 맞물려 그 타단부가 들리는 것을 저지하는 록 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부를 소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록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부의 일부를 소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므로, 록 부에 이것을 해제하려는 강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은 가이드부를 통해서 하우징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록 장치는, 록의 힘이 강해지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 상기 록 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1개의 금속박판에 펀칭(punching) 가공 및 벤딩(bending)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핀을 가지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초판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제2 위치 결정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위치 결정핀이 복수개 있고, 이 복수개의 제2 위치 결정핀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에 안내하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상기 제1 가이드면으로 유도하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 벽부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 부는,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감합될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에 의해서 밀려 제쳐지는 맞물림부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감합될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기초판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가이드면과 대개 평행으로 상기 제2 가이드면 보다도 상기 기초판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리게 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상에 늘어선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어느 하나의 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장치는 강력한 힘으로 록되며, 또한 그 록 장치는 쉽게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상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따른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록 장치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커넥터 장치에 기능 확장 카드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커넥터 장치는 기능 확장 카드(카드형 전자장치)(8)용 커넥터 장치로서, 프린트 배선판(기초판)(9)에 실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본체(커넥터)(3)와 록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기능 확장 카드(8)의 선단부(일단부)에는 접속부(81)가 설치되어 있다.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타단부) 쪽 양 각부(角部)의 상하면(上下面)에는 오목부(凹部)(82, 83)가 형성되는데, 이들은 박육부(薄肉部)(84)를 개재하여 표리(表裏) 관계에 있다.
오목부(82)는 후술하는 록 부(62)를 수용하고, 오목부(83)는 후술하는 판상부(52a)를 수용한다. 박육부(84)에는 위치 결정 구멍(84a)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3)는 하우징(31)과 복수개의 위쪽 콘택트(32) 및 복수개의 아래쪽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1)은 기능 확장 카드(8)의 접속부(81)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31a)(도 8 참조)을 가진다. 하우징(31)에는 잘못된 감합을 방지하기 위한 키(31b)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위쪽 콘택트(32) 및 아래쪽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는 하우징(31)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위쪽 콘택트(32)의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와 아래쪽 콘택트의 접촉부(도시하지 않음)는 수용 구멍(31a)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드형 전자장치용 커넥터의 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동 록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 록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동 록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동 록 장치 측면도이다.
도 3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장치(4)는 하우징(5)과 록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은 기반부(基盤部)(51)와 한 쌍의 위치 결정부(52), 가이드 벽부(53) 및 천정부(54)를 가지며, 이들은 수지(樹脂)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기반부(51)는 판형상으로, 이 기반부(51)의 양쪽 단부의 배면에는 홈(51a)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위치 결정부(52)는 판형상부(52a)와 위치 결정핀(제1 위치 결정핀)(52b)을 가지고 있다. 판형상부(52a)는 기반부(51)의 양쪽 단부의 정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판형상부(52a)의 하면에는 홈(52c)이 형성되어 있다. 홈(52c)은 전후 방향(Dl)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위치 결정핀(52b)은 기능 확장 카드(8)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판형상부(52a)의 상면에 설치되어, 기능 확장 카드(8)의 박육부(84)의 위치 결정 구멍(84a)에 삽입된다(도 2 참조).
한 쌍의 판형상부(52a) 중 한쪽의 판형상부(52a)의 하면에는 위치 결정핀(제2 위치 결정핀)(52d)이 설치되고, 다른쪽 판형상부(52a)의 하면에는 위치 결정핀(제2 위치 결정핀)(52e)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핀(52d, 52e)은 록 장치(4)를 프린트 배선판(9)에 대해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핀(52d)의 굵기와 위치 결정핀(52e)의 굵기가 다른 것은 프린트 배선판(9)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벽부(壁部)(53)는 기반부(51) 상면의 앞테두리에 형성되고, 기반 부(51)에 대하여 직각이다.
가이드 벽부(53)의 정면은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를 위치 결정부(52)에 안내하는 가이드면(제1 가이드면)(53a)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벽부(53)의 상단에는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내고, 이 부분은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를 가이드면(53a)으로 유도(誘導)하는 유도면(제2 가이드면)(53b)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벽부(53)의 중앙 하부에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53c)이 형성되어 있다.
록 부재(6)는 한 쌍의 판 스프링부(스프링부)(61)와 한 쌍의 록 부(62) 및 한 쌍의 가이드부(63)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후술하는 결합부(64)와 배면판(65) 및 각부(脚剖)(66)와 삽입부(67), 그랜드 단자(68)와 홀드다운(hold down)(69)과 함께,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1장의 금속판에 펀칭 가공 및 벤딩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61)는 커넥터 본체(3)에 접속된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면에 대하여 접근·격리(隔離)하는 방향을 따라서 휘어질 수가 있다.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는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한 쌍의 판 스프링부(61)는 대개 역(逆)U자형으로 절곡된 결합부(64)(도 7 참조)로써 배면판(65)에 결합되어 있다.
배면판(65)의 하단에는 각부(脚部)(66)가 결합되어 있다.
각부(脚部)(66)에 의하여 배면판(65)은 기반부(51) 상에 직각으로 서 있다.
각부(脚部)(66)의 중앙부에는 볼록부(凸部)(66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6a)는 위치 결정 구멍(53c)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록 부재(6)는 하우징(5)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배면판(65)의 양 끝에는 삽입부(67)가 결합되어 있다.
이 삽입부(67)는 기반부(51)의 홈(51a)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록 부재(6)는 기반부(51)에 고정되어 있다.
록 부(62)는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 근방에 결합되어 있다.
록 부(62)는 그랜드용 접점을 겸하고 있다. 록 부(62)는 걸림부(62a)와 맞물림부(62b)를 가진다(도 7 참조).
걸림부(62a)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면(기초판에 대향하는 면)(62c)과 수직면(커넥터에 대향하는 면)(62d)을 가진다.
수평면(62c) 및 수직면(62d)은 기능 확장 카드(8)의 박육부(84)의 각부(角部)에 형성된 그랜드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된다.
또한, 수직면(62d)은 기능 확장 카드(8)가 록되었을 때, 가이드면(53a)과 동일 평면(도시하지 않음) 위에 늘어서도록 되어 있다.
맞물림부(62b)는 걸림부(62a)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부(62b)는 경사면(62e)을 가진다.
경사면(62e)은 가이드 벽부(53)의 유도면(53b)에 면접촉하는 가상면(假想面)(도시하지 않음)과 대개 평행하며, 가상면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한, 경사면(62e)의 상단부는 가이드 벽부(53)의 가이드면(53a) 보다도 후방(커넥터 본체(3)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위치하고, 천정부(天井部)(54)의 천정면(54a)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가이드부(63)는 삽입부(67)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63)는 판 스프링부(61)의 대개 휘어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63)에는 가이드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63a)은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를 수용한다.
이로써, 가이드부(63)는, 판 스프링부(61)가 휘어지거나, 원래 상태로 되돌아왔을 때, 바깥쪽 단부(61a)를 판 스프링부(61)의 휘어진 방향과 평행인 방향(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삽입부(67)에는 그랜드(grand) 단자(68)가 결합되어 있다.
이 그랜드 단자(68)는 록 부(62)에 도통(導通)되어 있다.
그랜드 단자(68)는 그 선단부를 제외하고, 판형상부(52a)의 홈(52c)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랜드 단자(68)의 선단부는 홈(52c)으로부터 돌출(突出)되어 있다.
삽입부(67)에는 홀드다운(hold down)(69)(도 9 참조)이 결합되어 있다.
홀드다운(69)을 프린트 배선판(9)에 고정함으로써 록 장치(4)는 프린트 배선판(9)에 고정되어 있다.
도 8A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기 전(前)의 상태를 나타내 는 개념도, 도 8B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C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嵌合)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시킨 상태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기능 확장 카드를 커넥터에 완전히 감합시킨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기능 확장 카드(8)를 카드형 전자장치용 커넥터에 접속하는 작업에 대하여 도 8 ~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 ~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기능 확장 카드(8)의 접속부(81)를 커넥터 본체(3)의 수용 구멍(31a)에 소정의 삽입 각도로 삽입한다.
그리고 도 8B의 2점 쇄선(鎖線)과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확장 카드(8)를 삽입 각도가 작아지도록 회전시킨다.
기능 확장 카드(8)를 회전시키면, 우선,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는 가이드 벽부(53)의 유도면(53b)에 접촉되고, 가이드면(53a)으로 유도된다.
그 다음, 기능 확장 카드(8)의 박육부(84)가 록 부(62)의 맞물림부(62b)에 접촉되고, 맞물림부(62b)의 경사면(62e) 위를 미끄러져 내려온다.
이 때, 맞물림부(62b)는 후방(커넥터 본체(3)로부터 떨어진 쪽)으로 밀려, 기능 확장 카드(8)의 궤도로부터 밀림과 동시에 판 스프링부(61)는 후방으로 휘어진다.
그 다음, 박육부(84)가 맞물림부(62b)를 통과하고, 박육부(84)와 맞물림부(62b)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解除)된다.
이 때, 판 스프링부(61)의 스프링 힘이 해방되어, 록 부(62)가 원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 결과, 록 부(62)의 걸림부(62a)가 박육부(84)의 상면에 밀착하여, 기능 확장 카드(8)가 록 부(62)에 의해서 록된다.
이 때, 록 부(62)의 걸림부(62a)의 수평면(62c) 및 수직면(62d)(도 7 참조)은 박육부(84)의 각부(角部)에 형성된 그랜드 패드에 밀착된다.
록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부(62a)와 박육부(84)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기능 확장 카드(8)의 취급자(取扱者)가 록을 해제하지 않고,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거나, 혹은 어떠한 외부의 힘에 의해서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가 들어 올려진 경우,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를 들어올리는 힘은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나 가이드부(63)를 개재하여 기반부(51) 등으로 분산되므로, 록 장치(4)가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이와 같이, 록 부(62)에 가해지는 힘을 기반부(51) 등으로 분산시키게 하였으므로, 록의 힘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실수로 인한 록 해제의 우려가 적다.
또한, 록 부(62)의 걸림부(62a)의 수평면(62c), 수직면(62d)을 기능 확장 카드(8)의 박육부(84)의 각부에 형성된 그랜드 패드에 밀착되게 하였으므로, 기능 확장 카드(8)의 그랜드 패드와의 접촉 저항이 작아서 전기(電氣) 특성이 양호해 진다.
또한, 가이드면(53a), 유도면(53b) 및 천정면(54a)에 대한 경사면(62e)의 위 치 관계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였으므로, 기능 확장 카드(8)를 록할 때, 기능 확장 카드(8)는 유도면(53b)이나 가이드면(53a)에 접촉한 다음에 록 부(62)의 경사면(62e)에 접촉하기 때문에, 기능 확장 카드(8)의 록 조작 시, 록 부재(6)가 기능 확장 카드(8)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적다.
또한, 기능 확장 카드(8)의 접속부(81)가 수용 구멍(31a)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능 확장 카드(8)를 록하려 할 경우, 기능 확장 카드(8)의 후단부는 유도면(53b)에 부딪쳐, 그 이상 밀어넣을 수가 없으므로, 불충분한 감합(嵌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확장 카드(8)의 박육부(84)가 상술한 경사면(62e)에 부딪치지 않고 유도면(53b)에 부딪침으로써, 록 부(6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할 때, 기능 확장 카드(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록 부(62)의 수직면(62d)이 가이드면(53a)과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들어가므로, 그 외부의 힘은 가이드면(53a)에서 막아낼 수 있어 수직면(62d)에서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기능 확장 카드(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록 부재(6)가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는 기능 확장 카드(8)용 커넥터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기능 확장 카드(8)용에 한정되지 않고, 기초판용 등의 커넥터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록 부재(6)를 1매의 금속판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고, 록 부재(6)를 복수개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판 스프링부(61), 록 부(62) 및 가이드부(63)는 각각 한 쌍이지만, 이것들은 한 쌍일 필요는 없고,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관계없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를 가이드부(63)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였으나, 판 스프링부(61)의 바깥쪽 단부(61a) 이외의 부분을 가이드부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판 스프링부(61), 록 부(62), 가이드부(63) 등의 배치 관계는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판 스프링부(61)를 기능 확장 카드(8)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3)와 록 장치(4)는 별체(別體)이지만, 커넥터 본체(3)와 록 장치(4)를 일체로 해도 좋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기초판의 표면에 고정된 커넥터에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감합되었을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를 유지하는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에 감합되어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는 스프링부와,
    이 스프링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의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에 맞물려서, 그 타단부가 들리는 것을 저지하는 록 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부를 소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 상기 록 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1개의 금속박판에 펀칭(punching) 가공 및 벤딩(bending)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핀이 있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초판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제2 위치 결정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핀이 복수개 있고, 이 복수개의 제2 위치 결정핀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상기 제1 가이드면으로 유도하는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 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는,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감합할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에 의해 밀려 제쳐지는 맞물림부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감합했을 때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기초판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가이드면과 대개 평행으로 상기 제2 가이드면 보다도 상기 기초판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상기 커넥터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카드형 전자장치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렸을 때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상에 늘어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9. 제1항 ~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060137460A 2006-02-27 2006-12-29 잠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100916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0623A JP4246208B2 (ja) 2006-02-27 2006-02-27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JP-P-2006-00050623 200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041A true KR20070089041A (ko) 2007-08-30
KR100916383B1 KR100916383B1 (ko) 2009-09-07

Family

ID=3844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460A KR100916383B1 (ko) 2006-02-27 2006-12-29 잠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0136B2 (ko)
JP (1) JP4246208B2 (ko)
KR (1) KR100916383B1 (ko)
CN (1) CN101030679B (ko)
TW (1) TW2008061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93555U (en) * 2006-02-07 2006-07-0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ompact card connector
JP4756598B2 (ja) * 2006-04-21 2011-08-2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カード基板ラッチ
US7626826B2 (en) * 2007-01-31 2009-12-01 Sun Microsystems, Inc.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TW200838403A (en) * 2007-03-15 2008-09-16 T Conn Prec Corp A modified structure of a rigid jointed adapter
WO2009044446A1 (ja) * 2007-10-01 2009-04-09 Fujitsu Limited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US20090111296A1 (en) * 2007-10-26 2009-04-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tching device used for locking two daughter printed circuit boards in connector set
CN101453067B (zh) * 2007-12-03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TWI359347B (en) * 2008-01-09 2012-03-01 Asustek Comp Inc Expansion card module
JP2009176607A (ja) * 2008-01-25 2009-08-06 Fujitsu Ltd 部品支持装置
CN201191692Y (zh) * 2008-02-29 2009-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扣装置
US8083534B2 (en) * 2008-04-28 2011-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ical connectors configured to prevent improper connection of a component module
US7682179B1 (en) * 2008-09-09 2010-03-23 Chou Hsien Tsai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astic card-ejecting member
US8559180B2 (en) * 2010-03-23 2013-10-15 Alcatel Lucent Removable IC package stiffening brace and method
CN102544939B (zh) * 2010-12-24 2014-07-09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卡固定装置及电子设备
TWI429149B (zh) * 2011-05-10 2014-03-01 Wistron Corp 用來連接板卡之連接器機構
EP2580814B1 (en) 2011-07-01 2024-02-14 Samtec, Inc. Transceiver and interconn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TWI423760B (zh) * 2011-07-12 2014-01-11 Wistron Corp 用來固定板體之固定機構與其電子裝置
US8475195B2 (en) * 2011-08-02 2013-07-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 for a card edge connector system
USD733145S1 (en) * 2014-03-14 2015-06-30 Kingston Digital, Inc. Memory module
USD735201S1 (en) * 2014-07-30 2015-07-28 Kingston Digital, Inc. Memory module
WO2016018326A1 (en) * 2014-07-30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tention assembly
US9553624B2 (en) 2014-08-14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d socke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297963B2 (en) 2016-09-15 2019-05-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US10490919B2 (en) * 2017-03-14 2019-11-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US10264675B2 (en) 2017-04-18 2019-04-1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US10290962B2 (en) 2017-04-20 2019-05-14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US10367282B2 (en) 2017-04-20 2019-07-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US9991615B1 (en) * 2017-09-01 2018-06-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Dual connector system having a securing anchor
US10312633B2 (en) 2017-10-03 2019-06-04 Te Connectivity Dual connector system having a securing strap
CN109659727B (zh) * 2018-12-21 2020-06-0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扣持装置组合
JP2021190152A (ja) * 2020-06-04 2021-12-13 船井電機株式会社 記憶装置の着脱構造および表示装置
TWM604995U (zh) * 2020-07-27 2020-12-01 康揚企業股份有限公司 用於電子裝置之固定器(六)
US11889643B2 (en) * 2020-08-13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nsion kit and storage devi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20048559A (ko) * 2020-10-13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지 장치, 래치 어셈블리 및 스토리지 장치 어셈블리
TWI820858B (zh) * 2022-08-11 2023-11-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彈性扣持件及應用其之電子裝置
CN115241695B (zh) * 2022-09-24 2022-11-29 苏州长江睿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快拆式io扩展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082B2 (ja) 1995-03-10 1998-07-16 ケル株式会社 エッジコネクタ
JPH08273747A (ja) * 1995-03-31 1996-10-18 Amp Japan Ltd エッジコネクタ
JP3562762B2 (ja) 2000-12-27 2004-09-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型デバイス用コネクタ
JP2003178846A (ja) * 2001-12-12 2003-06-27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コネクタ
CN1732723A (zh) * 2002-12-27 2006-02-08 Fci亚洲技术有限公司 板固定装置
JP2004235142A (ja) * 2003-01-08 2004-08-19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用ラッチ
US6971899B1 (en) * 2004-05-14 2005-12-06 Chin-Ching Liu Fastening device for card
US7134896B1 (en) * 2005-09-30 2006-11-14 Egbon Electronics Ltd. Latch of a card edge connector
US7241159B1 (en) * 2006-08-07 2007-07-10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Fixing/grounding unit for electronic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6153A (en) 2008-01-16
KR100916383B1 (ko) 2009-09-07
TWI302818B (ko) 2008-11-01
US7470136B2 (en) 2008-12-30
JP4246208B2 (ja) 2009-04-02
CN101030679A (zh) 2007-09-05
US20070202732A1 (en) 2007-08-30
CN101030679B (zh) 2010-05-19
JP2007234231A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9041A (ko) 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100895547B1 (ko) 커넥터 요소를 위한 고정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커넥터
JP200135173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328764B2 (ja) エッジコネクタ
TWI479746B (zh) 連接器
US6149450A (en) Smart card adapter latch
US20080287004A1 (en) Card connector
US11043764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TWI425724B (zh) 連接器
US2010010523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ally movable cover
US7445489B2 (en) Locking construction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JP4184881B2 (ja) 電気コネクタ
US7118408B2 (en) Flat cable coupl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30025810A (ko) 커넥터
US7234966B2 (en) IC card connector equipped with respective cover doors and associated anti-mismating device
TWI472094B (zh) 連接器
JP34725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716383B2 (ja) コネクタ
KR100558604B1 (ko) 전기 커넥터
JPH0217308B2 (ko)
JP2777082B2 (ja) エッジコネクタ
JP2001196134A (ja) 嵌合検知用コネクタおよび、嵌合検知用端子
JP427599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897659B2 (ja) コネクタ
JP2000100507A (ja) Fpc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