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81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810A
KR20130025810A KR1020120091001A KR20120091001A KR20130025810A KR 20130025810 A KR20130025810 A KR 20130025810A KR 1020120091001 A KR1020120091001 A KR 1020120091001A KR 20120091001 A KR20120091001 A KR 20120091001A KR 20130025810 A KR20130025810 A KR 2013002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ousing
connector
lock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052B1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피계지부(locked portion)를 구비한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대상물(예를 들면, FPC)이 삽입되면, 당해 대상물과 접속된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계지부와 재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대상물을 삽입 가능한 열림 위치와, 삽입된 대상물이 액츄에이터와 재치부와의 사이에서 끼워넣음되는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回動) 가능해지도록 하우징에 지지(holding)되어 있다. 계지부는, 대상물이 삽입되었을 때에 피계지부와 계지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라도, 대상물의 빠짐이 일시적으로 방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타입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대상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7131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5052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179760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449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71314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50524호의 커넥터는, 돌기가 형성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를 회동(回動) 조작하면, 대상물과 커넥터가 서로 접속됨과 함께 액츄에이터의 돌기가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대상물의 빠짐이 방지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179760호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부착된 금구(metallic member)를 구비하고 있다. 금구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대상물의 단부에 형성된 이부(耳部;protrusion)가 오목부에 수용되면, 대상물의 빠짐이 방지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44987호의 커넥터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폭 방향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탄성 걸어맞춤편(engaging pieces)을 갖고 있다. 대상물은, 탄성 걸어맞춤편사이에 끼워져 커넥터에 지지(holding)된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71314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50524호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가 회동하기 전에는, 대상물의 빠짐을 막을 수 없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179760호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대상물을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커넥터의 삽입구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삽입구가 좁은 경우에는, 대상물을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대상물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삽입구를 넓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커넥터의 사이즈는 커진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44987호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7131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5052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17976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44987호
그래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가 회동하기 전이라도 대상물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는 경우라도 대상물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접점부 및 피계지부(被係止部;locked portion)를 구비한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삽입구와,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입구는, 상기 커넥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front end)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삽입구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계지부(lock portion)와 재치부(mount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피계지부를 계지(係止;lock)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피계지부의 계지가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열림 위치와,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재치부와의 사이에서 끼워넣어지는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접점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대상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열림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액츄에이터는 닫힘 위치에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대상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및 대상물을 Ⅴ-Ⅴ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계지부 부근의 외형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셸을 Ⅷ-Ⅷ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츄에이터를 Ⅹ-Ⅹ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커넥터 및 대상물을, 도 4의 XI-XI선과 대응하는 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의 계지부는, 대상물의 피계지부를 계지하고 있다.
도 12는, 도 5의 커넥터의 재치부 및 누름부(pressing portion)와, 대상물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커넥터의 재치부 및 계지부와, 대상물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FPC/FFC와 같은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대상물(20)과 접속 가능하다. 커넥터(10)는, 삽입구(30)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30)는, 커넥터(10)의 X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구(30)는, 대상물(20)이 X방향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즉, -X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상물(20)은, Z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면(주면(principal surface))(210)과 하면(220)을 갖고 있다. 상면(210)에는, 그라운드 패턴(ground pattern;2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22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신호 패턴(접점부)이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20)은, 대상물(20)의 전단(즉, -X측의 단부)인 삽입단(230)을 갖고 있다. 대상물(20)은, 삽입단(230)을 선두로 하여, 커넥터(10)의 삽입구(30)에 삽입된다. 대상물(20)은, 2개의 피계지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대상물(20)은, Y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오목부(240)를 갖고 있다. 오목부(240)의 각각은, X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테두리부(edge portion)(즉, 전측의 테두리부 및 후측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Y방향을 따라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오목부(24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오목부(240)의 전측의 테두리부(즉, 삽입단(230)에 가까운 테두리)는, 피계지부(250)로서 기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상물(20)을 삽입구(30)로부터 삽입하면, 피계지부(250)는, 커넥터(10)의 내부에서 로크(lock)된다(도 11 참조).
도 1 내지 3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110)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0)과, 금속제의 셸(400)과,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500)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10)는, 하우징(300)에 지지되어 있다. 셸(400)은, 하우징(3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액츄에이터(500)는, 열림 위치(도 1, 3 및 5 참조)와 닫힘 위치(도 2 참조)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해지도록 하우징(300)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110)의 각각은, 음차(音叉;tuning-fork)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110)는, 단자부(120)와, 피지지부(130)와, 상악부(上顎部;upper-jaw portion; 140)와, 하악부(下顎部;lower-jaw portion; 150)를 갖고 있다. 커넥터(10)가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될 때, 단자부(120)는, 기판의 회로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피지지부(130)는, 하우징(300)에 지지·고정되어 있다. 상악부(140) 및 하악부(150)는, 서로 Z방향에 대향하도록 하여, 피지지부(130)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악부(150)의 선단부에는, 접점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0)은, 지지부(310)와, 2개의 측부(320)와, 저부(340)와, 전부(360)를 갖고 있다. 지지부(310)는, 콘택트(110)의 피지지부(130)를 지지하고 있다. 측부(320)는, 하우징(3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측부(320)의 각각에는, 지지부(330)와, 돌부(突部;protruding portion; 37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30)는, 액츄에이터(500)를 지지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부(370)는, 액츄에이터(500)를 닫힘 위치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부(front portion;360)는, 삽입구(3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300)의 저부(340)에는, 재치부(342)와, 안내부(34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재치부(342)는, XY 평면과 평행한 평면이다. 안내부(344)는, 대상물(20)을 삽입구(3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구(30)로부터 삽입된 대상물(20)은, 재치부(342)에 올려놓여진다. 지지부(310)에는, X방향과 직교하는 전벽(front wall;346)이 형성되어 있다. 전벽(346)은, 삽입된 대상물(20)의 후방으로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고 있다. 하우징(300)에는, 계지부(35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350)는, Z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재치부(342)의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하우징(300)은, 2개의 계지부(35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계지부(350)는, 대상물(20)의 피계지부(250)와 대응하도록 하여, Y방향에 있어서의 재치부(342)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지부(350)의 각각은, 정부(top portion; 352)와, 경사부(354)와, 후방 경사부(356)와, 계지면(358)을 갖고 있다. 정부(352)는, 계지부(350) 중, 재치부(342)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위이다. 경사부(354)는, 대상물(20)을 재치부(342)에서 정부(352)까지 안내하도록, 정부(352)에서 재치부(342)까지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계지면(358)은, 정부(35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후방 경사부(356)는, 정부(352)에서 계지면(358)까지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즉, 계지면(358)은, 계지부(350)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계지면(358)은, X방향에 직교하는 면(즉, X방향과 교차하는 면)이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부(352)는, 계지부(35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점(midpoint; M)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354)를 원만하게 경사지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상물(20)을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경사부(354)의 경사 각도는, 안내부(34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경사부(354)의 각도가 안내부(344)의 각도보다 작은 경우, 계지부(350)의 높이는, 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커넥터(10)를 박형(reduction of height)화할 수 있는 한편, 계지부(350)에 의한 피계지부(250)의 계지가 해제되기 쉬워진다. 경사부(354)의 각도가 안내부(344)의 각도보다 큰 경우, 계지부(350)의 높이는, 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피계지부(250)는, 계지부(3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계지된다. 그러나, 커넥터(10)의 두께는 커진다. 또한, 대상물(20)을 삽입할 때, 대상물(20)이 안내부(344)와 경사부(354)와의 사이의 경계에서 걸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의 두께, 계지의 확실성 및 삽입의 용이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경사부(354)의 경사 각도가 안내부(34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400)은, 하우징(300)과 동일하게,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셸(400)은, 상부(410)와, 하부(420)와, 2개의 측부(430)와, 2개의 홀드 다운(hold down;440)을 갖고 있다. 셸(400)의 상부(410)는, 하우징(300)의 저부(340)와 함께 삽입구(30)를 규정하도록 하여, 하우징(300)의 전부(360)(도 5 참조)를 덮고 있다. 하부(420)는, 하우징(300)의 저부(34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410)와 하부(42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측부(430)의 각각은, 상부(410)와 하부(420)를 Z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홀드 다운(440)의 각각은, 상부(410)로부터 Y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셸(400)의 상부(410)에는, 복수의 누름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412)는, 상부(410)와 일체로(즉, 셸(4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412)는, 삽입구(30)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부(41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 그리고 하방을 향하여(즉, 재치부(34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누름부(412)는, Z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해지도록, 상부(410)에 지지되어 있다. 누름부(412)의 각각은, 맞닿음부(414)를 갖고 있다. 맞닿음부(414)는, 누름부(41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414)는, 대상물(20)의 상면(210)과 맞닿아, 그라운드 패턴(2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400)은, 2개의 고정부(442)와, 2개의 압입부(446)를 추가로 갖고 있다. 고정부(442)는, 상부(410)의 Y방향의 양 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어 있다. 압입부(446)의 각각은, 홀드 다운(44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부(442) 및 압입부(446)는, 하우징(300)의 측부(320)에 삽입되어 있고(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셸(400)이 하우징(300)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420)는, 복수의 단자(422)를 갖고 있다. 커넥터(10)가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될 때, 단자(422)는,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홀드 다운(440)은, 커넥터(10)가 탑재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00)는,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액츄에이터(500)는, 조작부(510)와, 콘택트(110)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밀어올림부(520)와, 2개의 회동축(530)과, 2개의 끼워넣음부(540)와, 수용부(550)와, 2개의 돌부(회동 방지부)(570)를 갖고 있다. 조작부(510)는, 액츄에이터(500)를 회동시키기 위해 조작된다. 밀어올림부(520)의 각각은, 대응하는 콘택트(110)의 상악부(140)를 밀어 올리도록 탑재되어 있다. 회동축(530)은, 하우징(300)의 지지부(33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끼워넣음부(540)는, 재치부(342)와 함께 대상물(20)을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550)는, 콘택트(110)의 각각의 상악부(14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부(570)는, 조작부(51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510)는 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대상물(20)을, 안내부(344)를 따라서 삽입구(30)에 삽입할 수 있다. 대상물(20)을 계속 삽입하면, 계지부(350)의 경사부(354)(도 6 참조)는, 대상물(20)의 삽입단(230)의 양 단을, 정부(352)까지 각각 안내한다. 대상물(20)의 피계지부(250)(도 4 참조)가 정부(352)를 넘어서 추가로 삽입되면, 대상물(20)은 삽입 위치에 도달하고, 대상물(20)의 하면(220)(도 4 참조)이 재치부(342)와 접촉한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상물(20)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계지부(350)는 오목부(240) 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삽입 위치에 있는 대상물(20)이 전방을 향하는 힘(즉, +X방향을 따른 힘)을 받은 경우, 대상물(20)의 피계지부(250)가 계지부(350)의 계지면(358)과 맞닿는다. 계지면(358)과 피계지부(250)와의 맞닿음에 의해, 대상물(2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계지부(350)는, 대상물(20)이 삽입구(30)로부터 삽입되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피계지부(250)와 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상물(20)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0) 및 대상물(20)은, 계지부(350)에 의한 피계지부(250)의 계지가 대상물(2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가(假)지지 상태에 있다.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부(412)는,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대상물(20)의 상면(210)을 재치부(342)를 향하여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물(2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누름부(412)의 맞닿음부(414)와 하우징(300)의 재치부(342)와의 사이의 Z방향에 있어서의 거리(T2)는, 대상물(20)의 두께(T1)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대상물(20)이 삽입 위치을 향하여 삽입될 때, 대상물(20)의 상면(210)은, 누름부(412)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바꾸어 말하면, 삽입된 대상물(20)은, 재치부(342)를 향하여 눌려 있다. 피계지부(250)가 정부(352)를 타고 넘으면, 대상물(20)은 낙하하여 재치부(342)와 접촉한다. 이때에 클릭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대상물(20)이 삽입 위치에 있는 것(즉, 커넥터(10) 및 대상물(20)이 가지지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물(20)은, 가지지 상태에 있어서도 누름부(412)로부터의 힘을 받는다. 누름부(412)로부터의 힘이, 눌린 대상물(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방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지지 상태에 있어서, 대상물(20)이 계지부(350)를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넥터(10)가 기울어져 있다고 해도, 가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라도, 계지부(350)가 피계지부(250)를 계지하고, 이에 따라 대상물(20)은 재치부(342) 상에 일시적으로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로 회동하기 전에 있어서도, 대상물(20)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500)를 닫힘 위치로 회동하도록 조작할 때, 조작자 자신이 대상물(20)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대상물(20)을 -X방향을 따라서 삽입구(3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계지부(350)는 피계지부(250)를 계지한다. 즉, 대상물(20)은, 용이하게 커넥터(10)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넥터(10)의 대형화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510)를 커넥터(10)의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액츄에이터(500)는,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한다. 도 5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밀어올림부(520)는, X방향으로 긴 단면을 갖고 있다.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밀어올림부(520)의 전술한 단면은, 그 방향을 바꾼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밀어올림부(520)는, Z방향으로 긴 단면을 갖고 있다. 밀어올림부(5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지지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밀어올림부(520)는, 콘택트(110)의 상악부(1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림과 함께 누름부(412)를 하향으로(즉, 재치부(342)를 향하여) 압압(pressing)한다. 상악부(140)가 밀어올려짐(즉, 탄성 변형됨)에 수반하여 하악부(150)가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이 때문에, 접점부(160)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대상물(20)의 하면(220)에 형성된 신호 패턴(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콘택트(110)는,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삽입구(30)로부터 삽입된 대상물(20)의 접점부(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도록 하우징(300)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대상물(20)은, 탄성 변형된 누름부(412)와 재치부(342)와의 사이에 끼워져, 보다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삽입구(30)로부터 삽입된 대상물(20)은, 액츄에이터(500)의 끼워넣음부(540)와 재치부(342)와의 사이에서 끼워넣음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누름부(412)로부터의 하방을 향하는 압압과, 끼워넣음부(540) 및 재치부(342)에 의한 끼워넣음이, 대상물(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물(20)의 피계지부(250)는, 계지부(350)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대상물(20)의 빠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500)에 형성된 돌부(570)는, 하우징(300)에 형성된 돌부(370)와 각각 걸어맞춤하고 있다. 하우징(300)과 돌부(570)와의 전술한 걸어맞춤이, 액츄에이터(500)의 열림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는 회동을 막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닫힘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를 향하는 힘을 받으면, 돌부(570)가 돌부(370)와 맞닿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500)의 회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닫힘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500)에 의도하지 않는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커넥터(10)와 대상물(20)과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츄에이터(500)의 돌부(570)는, 열림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는 회동을 막는 회동 방지부(570)로서 기능한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지부(350)의 재치부(342)로부터의 높이(즉, 정부(352)와 재치부(342)와의 사이의 거리)(T3)는, 대상물(20)의 두께(T1)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계지부(350)의 높이(T3)가 낮음으로써, 대상물(20)은, 매끄럽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의도적인 힘에 의해 매끄럽게 빠지게 된다. 계지부(350)의 높이(T3)의 하한값은, 대상물(20)의 피계지부(250)의 로크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T3)의 하한값은, 예를 들면, 대상물(20)의 두께(T1)의 1/3~1/2로 하면 좋다. 도 5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누름부(412)는, 대상물(20)의 제1 부위를 압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한편, 액츄에이터(500) 및 재치부(342)는, 대상물(20)의 제2 부위(즉, 제1 부위와 상이한 부위)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부위 및 제2 부위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의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하는 액츄에이터(500)로부터 다양한 힘을 받은 대상물(20)이, 틀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2011년 9월 2일에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191893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접점부 및 피계지부(locked portion)를 구비한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삽입구와,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커넥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front end)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대상물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계지부(lock portion)와 재치부(mount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피계지부를 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피계지부의 계지가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열림 위치와,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재치부와의 사이에서 끼워넣음되는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回動) 가능해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holding)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접점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재치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정부(top portion)와 경사부와 계지면을 갖고 있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재치부에서 상기 정부까지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계지면은, 상기 정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계지면과 상기 피계지부와의 맞닿음에 의해 상기 대상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대상물을 상기 삽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갖고 있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 각도는, 상기 안내부의 경사 각도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대상물의 주면(principal surface)을 상기 재치부를 향하여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눌린 상기 대상물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방지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누름부는 맞닿음부를 갖고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재치부와의 사이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대상물의 두께보다도 작은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셸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삽입구를 규정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셸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삽입구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 그리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대상물의 제1 부위를 압압(pressing)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재치부는, 상기 대상물의 제2 부위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의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2개의 상기 계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재치부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해져 있고, 상기 테투리부는 상기 피계지부로서 기능하는 커넥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의 상기 재치부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대상물의 두께보다도 작은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는, 상기 계지부의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점(midpoint)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회동 방지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회동 방지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동 방지부와의 걸어맞춤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열림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는 회동을 방지하는 커넥터.

KR1020120091001A 2011-09-02 2012-08-21 커넥터 KR10136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1893A JP5826568B2 (ja) 2011-09-02 2011-09-02 コネクタ
JPJP-P-2011-191893 2011-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810A true KR20130025810A (ko) 2013-03-12
KR101366052B1 KR101366052B1 (ko) 2014-02-21

Family

ID=4785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001A KR101366052B1 (ko) 2011-09-02 2012-08-21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26568B2 (ko)
KR (1) KR101366052B1 (ko)
CN (1) CN102983457B (ko)
TW (1) TWI5159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833A (ko) * 2015-05-22 2016-12-0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가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62465U (zh) * 2013-03-29 2013-09-21 Tarng Yu Entpr Co Ltd 連接器組合及電連接器
JP6437182B2 (ja) * 2013-05-17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93634B2 (ja) 2014-10-03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3980B2 (ja) * 2016-07-07 2016-12-2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043A (ja) * 1997-08-29 1999-03-16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におけるロック構造
JP2001266978A (ja) * 2000-03-22 2001-09-28 Shoji Kinoshit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044939B2 (ja) * 2005-03-24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226524A (ja) * 2007-03-09 2008-09-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KR100951073B1 (ko) * 2007-03-22 2010-04-05 주식회사 후성테크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JP4548803B2 (ja) * 2008-04-24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107455B1 (ko) * 2009-11-04 2012-01-1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양면 연성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5501788B2 (ja) * 2010-02-17 2014-05-2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120908B1 (ko) * 2010-04-27 2012-02-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5362765B2 (ja) * 2011-04-19 2013-12-11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833A (ko) * 2015-05-22 2016-12-0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가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052B1 (ko) 2014-02-21
TWI515976B (zh) 2016-01-01
JP2013054886A (ja) 2013-03-21
CN102983457A (zh) 2013-03-20
TW201330387A (zh) 2013-07-16
JP5826568B2 (ja) 2015-12-02
CN102983457B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3774B2 (ja) コネクタ
JP451480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290130B1 (ko)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
WO2016047251A1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645312B2 (ja) コネクタ
TWI552448B (zh) 連接器
KR101366052B1 (ko) 커넥터
KR101735944B1 (ko) 플러그 커넥터
JP2010238512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552447B (zh) 連接器
JP5010043B1 (ja) コネクタ
KR101531609B1 (ko) 커넥터
KR20020068955A (ko) 전기 커넥터
CN109478746B (zh) 连接器
KR101219621B1 (ko) 커넥터
TWI445256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JP202106444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66614B2 (ja) コネクタ
KR100572884B1 (ko) 전기 커넥터
JP519997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050015939A (ko) 전기 커넥터
JP6464292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05524B2 (ja) 電気コネクタ
JP5391295B2 (ja) コネクタ
JP2011146266A (ja) 平型導体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有する平型導体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