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884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884B1
KR100572884B1 KR1020040022919A KR20040022919A KR100572884B1 KR 100572884 B1 KR100572884 B1 KR 100572884B1 KR 1020040022919 A KR1020040022919 A KR 1020040022919A KR 20040022919 A KR20040022919 A KR 20040022919A KR 100572884 B1 KR100572884 B1 KR 10057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exible cable
flat flexibl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820A (ko
Inventor
야마네히로시
후나코시아키히토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4Stencil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기판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을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되어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이 커버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하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에 대향하는 수용부를 갖고,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압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케이블 삽입방향을 따라 소정의 잠금위치까지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와 맞물려 상기 수용부를 규제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c)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2(a)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2(b)는 도 2(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c)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3(a)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 도 3(b)는 도 3(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3(c)는 커버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4(a)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5(a)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 도 5(b)는 도 5(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5(c)는 커버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하우징
3 … 보강탭 4 … 커버
5 … 제 1 접속부 6 … 제 2 접속부
7 … 평형 유연 케이블 8 … 배선 기판
21 … 상판부 22 … 하판부
23 … 좌우측 판부 24 … 내부공간
25 … 압입구멍 26 … 개구부
27 … 삽입공간 28 … 압입구멍
31 … 압입부 32 … 주체부
33 … 고정부 34 … 걸림 돌기
35 … 안내 구멍 41 … 회동축
42 … 금속판 43,47 … 맞물림부
44 … 오목부 45 … 수용부
48 … 슬라이딩규제부 51,61 … 고정편부(固定片部)
52,62 … 탄성 변형부 53,63 … 가동편부(可動片部)
54,64 … 리드부 55,65 … 압입부
56,66 … 접촉부 57 … 스토퍼
58,68 … 접촉면 67 … 접촉부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을 배선 기판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접속부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됨으로써 그 평형 유연 케이블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되는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중에는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회동시켜 개방함으로써 복수의 접촉부의 압접위치에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간 내에 무삽입력으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소위 ZIF (Zero Insertion Force)타입인 것으로서, 평형 유연 케이블 삽입후에 커버를 폐쇄하면 복수의 접속부가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 커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커버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시, 운반 중 및 사용 중 등에 전기 커넥터에 외력(진동 등)이 작용한 경우에는 커버가 개방되어 버려, 장착하고 있던 평형 유연 케이블이 빠지거나 커버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폐쇄상태에서 커버를 소정의 잠금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커버에 설치된 맞물림부를 전기 커넥터의 소정 위치(예컨대, 금속제의 보강 탭)에 맞물리게 하여,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2-25206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커버가 설치되는 개구부 근방에 잠금기구를 위한 부품을 설치하거나 보강탭을 연장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는 기구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공간에 삽입하기 위해 커버를 개방할 때, 커버가 잠금위치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커버를 개방해야만 하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하기 어렵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의 전기기기(휴대전화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아날로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지만 소형(박형)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히 상기 문제가 현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하기 쉬운 전기 커넥 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선 기판(8)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1,101)에 관한 것이다. 이 전기 커넥터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6)를 갖는 하우징(2)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되어 그 평형 유연 케이블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5,6)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4)와, 이 커버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하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57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에 대향하는 수용부(45)를 갖고,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압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27)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 (5)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케이블 삽입방향(D)을 따라 소정의 잠금위치까지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와 맞물려 그 수용부를 규제한다.
또한, 괄호 안의 영숫자는 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요소 등을 표시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해서 해석되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 사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에 잠금부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잠금부와 커버의 수용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용 부를 규제하여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속부(5,6) 중 1개이상의 접속부(5)는 상기 삽입공간(27)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4)의 잠금방향(케이블 삽입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는 상기 수용부(45)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두께에 따른 소정량만큼 상기 복수의 접속부가 상기 압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수용부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커버를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스토퍼(571)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가 스토퍼에 규제되어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버를 폐쇄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공간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하기 쉽다.
또한,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를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커버를 잠글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수용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접속부에 상기 수용부가 규제됨으로써 커버가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커버가 용이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조시나 운반 중 등에 커버가 개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72) 및 상기 스토퍼(571)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5)에 설치된 돌출부(57)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45)는 상기 삽입공간(27)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4)의 잠금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돌출부(57)의 상기 스토퍼(571)에 규제되는 한편,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잠금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돌출부와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공간(46) 내에 들어가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잠금부(572)에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4)는 그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전기 커넥터(1,101)의 돌출부(36,37)(소정 위치)에 맞물려,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맞물림부(43,4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커버와 전기 커넥터의 돌출부의 맞물림에 의해 커버를 보다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2)에 압입(壓入)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 (1,101)의 상기 배선 기판(8)으로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탭(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맞물림부(43,47)는 상기 보강탭에 맞물려 상기 커버(4)의 개방상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이어도 좋다.
보강탭은, 예컨대, 그 배선 기판측의 끝면이 배선 기판에 접촉되고, 그 접촉부에 납땜이 행해짐으로써 그 접촉부의 주위가 땜납 필렛(fillet)으로 덮여져서 전기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이 보강된다. 이와 같이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이 보강된 보강탭과 맞물림부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의 개방상태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맞물림부를 안정하게 규제할 수 있고,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4)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방향 (케이블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슬라이딩 규제부(4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딩 규제부의 규제에 의해서 커버를 수동으로 변위시키지 않으면 잠금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사용 중 등에, 진동 등에 의해서 커버가 부주의로 잠금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커버가 개방되어 평형 유연 케이블이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위치에서 커버의 개폐를 잠글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규제부(48)에 의해 커버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장착주사(裝着走査) 완료를 보다 인식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2)에 압입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 (1, 101)의 상기 배선 기판(8)으로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탭(3)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규제부(48)는 상기 커버(4)와 상기 보강탭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커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이 보강된 보강탭과 슬라이딩 규제부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의 변위를 안정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72)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5,6) 중 소정의 제 1 접속부(5)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상기 제 1 접속부와는 다른 제 2 접속부(6)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27)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커버(4)를, 상기 잠금위치를 초과하여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잠금위치 규제부(66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5)는 상기 하우징(2)에 대해서 상기 커버(4)의 잠금방향으로 압입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6)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커버의 잠금해제방향으로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접속부(5)와 상기 제 2 접속부(6)가 일방향(케이블 삽입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교대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부의 배선 기판(8)에 대한 리드부(54)(제 1 고정부)와, 제 2 접속부의 배선 기판에 대한 리드부(64)(제 2 고정부)가 상기 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나열되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의 간격(피치)이 좁은 경우에도 각 고정부를 배선 기판에 납땜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 고정부의 주위에 형성된 땜납 필렛이 서로 간섭하여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장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의, 또는 또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1(d)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단, 도 1(a)~(c)에서는 전기 커넥터(1)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예컨대, 휴대전화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아날로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비교적 소형 전기기기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 좌우방향의 길이가 13mm정도, 전후방향의 길이가 약 5mm정도, 높이가 1mm정도이다. 전기 커넥터(1)는, 예컨대, 상판부(21), 하판부(22) 및 좌우측 판부(23)에 의해서 구획된 내부공간(24)을 갖는 합성수지제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이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배선 기판과, 하우징(2)의 전방으로부터 내부공간 (24)으로 삽입방향(D)을 따라 삽입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2)의 좌우측 판부(23)에는 각각 앞끝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압입구멍(25)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압입구멍(25)에는 상기 전기 커넥터(1)의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탭(3)이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각 보강탭(3)은, 예컨대, 금속판에 대해서 펀칭가공 및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제작된 것으로서, 압입구멍(25)에 압입되는 압입부(31)와, 설치상태에서 하우징(2)의 좌우측판부(2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주체부(32)를 갖고 있다.
주체부(32)의 하측 가장자리는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부(33)를 구성하고 있고, 이 고정부(33)와 배선 기판의 접촉부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기 고정부(33)의 전체 둘레가 땜납 필렛으로 덮여져서 전기 커넥터(1)의 배선 기판에 대한 고정이 보강된다. 또한, 압입부(3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압입구멍(25)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 압입부(31)를 상기 압입구멍(25)에 걸기 위한 걸림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예컨대, 그 상판부(21)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하판부(22)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약 절반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의 상측의 전방 절반[1쌍의 보강탭(3)의 주체부(32)에 의해서 끼워진 부분]이 평형 유연 케이블을 내부공간(24)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6)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개구부(26)는, 예컨대, 좌우방향을 따라 동축으로 연장되는 금속제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합성수지제 커버(4)에 의해서 개폐된다. 커버(4) 내에는, 예컨대, 이 커버(4)를 보강하기 위한 금속판(42)이 매설되어 있다.
각 회동축(41)은 커버(4)의 좌우 양 끝면의 후단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이들 회동축(41)이, 대응하는 보강탭(3)의 주체부(32)의 상부 후방측에 형성된 안내구멍(35)에 삽입됨으로써 커버(4)가 보강탭(3)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구멍(3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개방된 노치부로서, 회동축(41)이 안내구멍(35)을 따르도록 하여 커버(4)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4)의 좌우 양 끝면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하부에는, 예컨대, 맞물림부 (43)가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보강탭(3)의 주체부(32)의 상부의 전단부에는, 예컨대, 개구부(26)측에 대략 사다리꼴로(예컨대, 0.15mm정도) 돌출하도록 굽혀져 형성된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4)를 개방하여 개구부(26)를 통해서 하우징(2) 내에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한 후, 커버(4)를 폐쇄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경우, 커버(4)의 각 맞물림부(43)는, 대응하는 보강탭(3)의 돌출부 (36)의 하방에서 슬라이딩한다. 또한, 커버(4)를 가장 후방측까지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는, 예컨대, 평면으로 바라봐서 맞물림부(43)가 그 전후방향의 길이(예컨대, 0.4mm정도) 전체에 걸쳐서 돌출부(36)와 상하에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커버(4)를 가장 후방측까지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맞물림부(43)가 각 보강탭(3)의 돌출부(36)에 의해서 상방으로부터 규제됨으로써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강탭(3)은 배선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4)의 맞물림부 (43)를 안정하게 규제할 수 있고,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단, 예컨대, 커버(4)와 보강탭(3) 중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가 맞물리는 구성에 의해서도 커버(4)의 개방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4)의 맞물림부(43)는 보강탭(3)에 맞물리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커넥터(1)의 다른 부분[예컨대, 하우징(2)]에 맞물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하우징(2)에는 삽입공간(27)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되어 이 평형 유연 케이블과 배선 기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5,6)(예 컨대, 합계 35개)가 개구부(26)에 면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각 접속부(5,6)는, 예컨대, 금속판의 펀치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복수의 접속부(5,6)는, 예컨대, 평면으로 바라봐서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예컨대, 0.3mm피치정도)을 두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1(a)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접속부(5,6)는, 예컨대, 하우징(2)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 1 접속부(5)와, 하우징(2)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 2 접속부(6)의 2종류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 접속부(5,6)가 좌우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단,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의 하우징(2)에 대한 압입방향은 상기와 같은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접속부(5)가 하우징(2)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제 2 접속부(6)가 하우징(2)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접속부(5)와 제 2 접속부(6)가 동일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2 및 도 3은 도 1(c)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도 1(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도 5를 참조하여 각 접촉부[도 2, 3에 도시하는 제 1 접속부(5) 및 도 4, 5에 도시하는 제 2 접속부(6)]는 그 선단부[가동편부(53,63)의 선단부]가 하우징(2)의 상판부(21)의 전방[커버(4)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4)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각 접속부(5,6)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4)가 그 개폐시에 각 접속부(5,6)의 선단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4) 내에, 예컨대, 단면 대략 타원형상의 캠형상을 갖는 수용부(45)가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수용부(45)는 그 타원 단면의 장축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평형 유연 케이블(7)을 하우징(2) 내에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도 2(a) 및 도 4(a)]에서는 각 접속부(5,6)의 선단부의 하면이 대응하는 수용부(45)의 상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있어서 이 상태에서는 각 접속부(5,6)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수용부 (45)의 형상은 단면 대략 타원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캠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 2(a) 및 도 4(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하면 접속부(5,6)가, 회전하는 수용부(45)에 의해서 잡아올려짐으로써 접속부(5,6)의 압접위치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높이의 삽입공간(27)이 형성된다[도 2(b) 및 도 4(b) 참조]. 이 삽입공간(27)을 통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접속부(5,6)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1)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무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소위 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의 것이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커버(4)의 개폐 및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삽입에 수반되는 제 1 접속부(5)의 동작 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2(b)는 도 2(a)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a)는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한 상태, 도 3(b)는 도 3(a)의 상 태로부터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3(c)는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 1 접속부(5)는, 예컨대, 하우징(2)의 내부공간(24)의 저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51)와, 이 고정편부(5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전방측으로 만곡한 형상의 탄성 변형부(52)와, 탄성 변형부(52)에 연이어 설치되어 상판부(21)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가동편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51)의 전단부에는 하방[배선 기판(8)측]으로 돌출하는 리드부(5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리드부(54)와, 배선 기판(8)의 실장면 상의 랜드(land)의 접촉부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의 주위가 땜납 필렛으로 덮여진다. 이로써 제 1 접속부(5)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제 1 접속부(5)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고정편부(51)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압입부(55)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2)에 형성된 압입구멍(28) 내에 압입부(55)가 전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제 1 접속부(5)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압입부(55)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압입구멍(28)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 압입부(55)를 상기 압입구멍(28)에 걸기 위한 걸림 돌기(551)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편부(53)의 중앙부로부터는, 예컨대, 삽입공간(27)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되는(소위, 상부 접점 타입의) 접촉부(56)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고정편부(51)의 중앙부에는 접촉부(56)에 대향하는 위치보다 약간 앞부근의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5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편부(53)의 선단부[수용부(45)의 후방측]에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지 않는 상태[도 2(a)의 상태]에서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없도록 수용부(45)를 규제하기 위한 돌출부(57)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하우징(2) 내에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켰더라도 접촉면(58)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수용부(45)가 돌출부(57)의 앞면[스토퍼 (571)]에 의해서 규제되고, 그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다. 도 2(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하면 커버(4)의 회동에 수반하여 수용부(45)가 회전한다[도 2(b) 참조]. 수용부(45)는 단면 대략 타원의 캠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수용부(45)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동편부(53)의 선단부가 잡아올려짐으로써 가동편부(53)와 고정편부(51) 사이[접촉부(56)와 가압부(511) 사이]에 평형 유연 케이블 (7)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높이의 삽입공간(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를 최대한 개방한 상태에서는 수용부 (45)의 단면 길이방향(타원 단면의 장축방향)과 가동편부(53)의 선단부의 하면[접촉면(58)]이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향하여 가압되는 가동편부(53)의 접촉면(58)으로부터 수용부(45)에 작용하는 힘은 그 수용부(45)가 회전하는 방향[커버(4)가 폐쇄하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4)를 최대한 개방하였을 때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전방으로부터 삽입공간(27)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고, 커버(4)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가동편부(53)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접촉면(58)으로부터 수용부(45)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도 3(b)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가동편부(53)의 접촉부(56)의 선단이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된다. 이와 함께 가압부(511)가 압접위치의 약간 앞부근의 위치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제 1 접속부 (5)에 단단히 끼워져 지지되고, 이들 간의 전기접속이 달성된다.
도 3(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접촉부(56)가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압접되어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두께분만큼 가동편부(53)가 잡아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돌출부(57)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상면 사이에는 수용부(45)가 통과하기 위해 충분한 높이의 공간(46)이 형성되고, 도 3(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돌출부(57)의 하방에 형성된 공간(46) 내에 수용부(45)가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3(c) 참조].
도 3(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커버(4)를 개방하도록 하여도 커버(4)의 후단 가장자리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상면에 접하고, 수용부(45)의 상면이 돌출부 (57)의 하면[잠금부(572)]에 접하게 되므로 수용부(45)를 회전시킬 수 없고, 커버(4)를 개방할 수 없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접속부(5)에 돌출부(57)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커버(4)를 슬라이딩시켜 돌출부(57)를 커버(4)의 수용부(45)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용부(45)의 회전을 규제하고, 커버(4)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4)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다.
또한, 평형 유연 케이블(7)이 하우징(2)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2(a) 및(b)의 상태]에서는 수용부(45)가 돌출부(57)에 규제되어 커버(4)가 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버(4)를 개폐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하우징(2)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커버 (4)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삽입공간(27)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설치하기 쉽다.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삽입공간(27)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 (4)를 슬라이딩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커버(4)를 잠글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수용부(45)에 대향하는 복수의 접속부(5,6)에 상기 수용부(45)가 규제됨으로써 커버(4)가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커버(4)가 용이하게 개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의 제조시나 운반 중 등에 커버(4)가 부주의로 개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슬라이딩규제면)(571)과 잠금부(회동 규제면)(572)이 동일 부재[돌출부(57)]에 구비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비된 구성이어도 좋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커버(4)의 개폐 및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삽입에 수반되는 제 2 접속부(6)의 동작 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a)는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한 상태, 도 5(b)는 도 5(a)의 상 태로부터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5(c)는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 2 접속부(6)는, 예컨대, 하우징(2)의 내부공간(24)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그 높이가 내부공간(24)의 높이와 대략 일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압입부(65)와, 이 압입부(65)의 하부 전단으로부터 내부공간(24)의 저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61)와, 압입부(65)의 상단부의 전단으로부터 탄성 변형부(62)를 통해서 상판부(21)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가동편부(6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공간(24)에 제 2 접속부(6)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압입부(65)가 하우징(2)에 압입되고, 제 2 접속부(6)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압입부(65)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내부공간(24)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된 제 2 접속부(6)의 압입부(65)를 하우징(2)의 내면에 걸기 위한 걸림 돌기(651)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65)의 후단 하부에는 하방[배선 기판(8)측]으로 돌출하는 리드부(제2고정부) (6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리드부(64)와, 배선기판(8)의 실장면 상의 랜드의 접촉부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의 주위가 땜납 필렛으로 덮여진다. 이로써, 제 2 접속부(6)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제 2 접속부(6)가 배선기판 (8)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부(5)의 리드부(제1고정부)(54)가 하우징(2)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 2 접속부(6)의 리드부(64)가 하우징(2)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를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각 접속부(5,6)의 리드부(54,64)가 좌우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도 1(b) 및(c) 참조]. 이로써 제 1 접속부(5)와 제 2 접속부(6)의 간격(피치)이 좁은 경우에도 각 리드부(54,64)를 배선 기판(8)에 납땜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 리드부(54,64)의 주위에 형성된 땜납 필렛이 서로 간섭하여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장 밀도를 높일 수 있다.
가동편부(63)의 선단부는, 예컨대, 대략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공간 (27)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되는(소위, 상부 접점 타입의) 접촉부(66)와, 접촉부(66)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그 하면이 수용부(45)에 접촉하는 접촉면(68)을 구성하는 접촉부(67)를 포함하는 대략 L자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편부(61)의 전단부에는 접촉부(66)에 대향하는 위치보다 약간 앞부근의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하우징(2) 내에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하면 커버(4)의 회동에 수반하여 수용부(45)가 회전한다[도 4(b) 참조]. 수용부(45)는 단면 대략 타원의 캠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수용부(45)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동편부(63)의 선단부가 잡아올려짐으로써 가동편부(63)와 고정편부(61) 사이[접촉부(66)와 가압부(611) 사이]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높이의 삽입공간(27)이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를 최대한 개방한 상태에서는 수용부 (45)의 단면 길이방향(타원 단면의 장축방향)과 가동편부(63)의 선단부의 하면[접 촉면(68)]이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하방을 향하여 가압되는 가동편부(63)의 접촉면(68)으로부터 수용부(45)에 작용하는 힘은 이 수용부(45)가 회전하는 방향 [커버(4)가 폐쇄되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4)를 최대한 개방하였을 때에는 도 4(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전방으로부터 삽입공간(27)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고, 커버(4)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가동편부(63)에 작동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접촉면(68)으로부터 수용부(45)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커버(4)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도 5(b)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가동편부(63)의 접촉부(66)의 선단이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된다. 이와 함께 가압부(611)가 압접위치의 약간 앞부근의 위치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제 2 접속부 (6)에 단단히 끼워져 지지되고, 이들 사이의 전기접속이 달성된다.
도 5(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4)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도 5(c) 참조] 수용부(45)가 접촉부(66)의 앞면[잠금위치 규제부(661)]에 접촉하고, 커버 (4)를 그 이상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때, 제 1 접속부(5)에서는 돌출부(57)가 수용부(45)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 커넥터(1)에 접속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떼어낼 경우에는 상기 형태와는 반대의 형태로 커버(4)를 변위시키면 좋다. 즉, 커버(4)를 전방으로 변위시켜서 커버(4)를 개폐가능한 상태로 한 후, 커버(4)를 개방하여 제 1 및 제 2 접속부(5,6)를 잡아올림으로써 각 접속부(5,6)의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한 압접을 해제하고,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전기 커넥터(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0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상기 전기 커넥터(101)의 평면도이다. 단, 도 7에서는 전기 커넥터(101)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01)는, 예컨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FPC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배선 기판(8)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무삽입력으로 삽입공간(27)에 삽입할 수 있다. 소위 ZIF 타입의 것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101)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와 다른 점은 커버(4)와 보강탭(3)의 맞물림 위치의 구성뿐이므로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4)의 좌우 양 끝면의 하부에는, 예컨대, 그 중앙부로부터 전단에 걸쳐서 맞물림부(47)가 측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보강탭(3)의 주체부(32)의 상부의 전단부에는, 예컨대, 개구부(26)측으로 대략 V자형상으로(예컨대, 0.13mm정도) 돌출하도록 굽혀져 형성된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4)를 개방하여 개구부(26)를 통해서 하우징(2) 내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한 후, 커버(4)를 폐쇄하여 후방(삽입방향 D)으로 눌러넣으면 커버(4)의 각 맞물림부(47)는 대응하는 보강탭(3)의 돌출부(37)의 하방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커버(4)를 가장 후방측(잠금 위치)까지 눌러넣은 상태에서는, 예컨대, 평면으로 바라봐서 맞물림부 (47)의 후단부(예컨대, 0.3mm정도)가 돌출부(37)와 상하로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커버(4)를 가장 후방측까지 눌러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맞물림부(47)가 각 보강탭(3)의 돌출부(37)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이므로 커버 (4)가 개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강탭(3)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4)의 맞물림부(47)를 안정하게 규제할 수 있고,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커버(4)의 좌우 양 끝면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상부에는, 예컨대, 평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삼각형상의 슬라이딩규제부(48)가 측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가 가장 전방에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딩규제부(48)가 보강탭(3)의 돌출부(37)의 전방의 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커버(4)를 후방으로 눌러넣으면 슬라이딩규제부(48)에 의해서 돌출부(37)가 외측으로 압압되고, 보강탭(3)이 탄성 변형된다. 또한, 커버(4)를 후방으로 더욱 눌러넣으면 슬라이딩 규제부(48)가 돌출부(37)를 타고넘어서 돌출부(37)의 후방측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보강탭(3)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돌출부(37)가 슬라이딩 규제부(48)에 걸려서 커버(4)의 전방(잠금 해제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는 것이므로 커버(4)에 외력을 가해 변위시키지 않으면 전방에 슬라이딩시킬 수 없다.
상기 전기 커넥터(101)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커버(4)가 가장 전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커버(4)를 개방할 수 있지만 커버(4)가 가장 안측(잠금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커버(4)를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4)가 가장 안측에 눌러넣어진 상태에서는 커버 (4)에 외력을 가하여 변위시키지 않으면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1)의 사용 중 등에, 진동 등에 의해서 커버(4)가 부주의로 전방에 슬라이딩하고, 커버(4)가 개방되어 평형 유연 케이블(7)이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배선 기판(8)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된 보강탭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4)가 전방에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정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위치에서 커버(4)의 개폐를 잠글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규제부(48)에 의해 커버(4)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장착 조작의 완료감을 높일 수 있다.
단, 커버(4)로부터 돌출하는 맞물림부(47)와, 보강탭(3)의 돌출부(37)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규제하거나 커버(4)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딩 규제부(48)와, 보강탭(3)의 돌출부(37)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4)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커버(4)와 보강탭(3) 중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4)의 개폐 또는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커버(4)의 맞물림부(47)나 슬라이딩 규제부(48)는 보강탭(3)에 맞물리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커넥터(1)의 다른 부분[예컨대, 하우징(2)]에 맞물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삽입공간(27)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4)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57)와, 이 돌출부(57)와 커버(4)의 수용부(45)의 맞물림에 의해서 잠금 위치에서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기구가 모두 제 1 접속부(5)에 설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 및 잠금 기구 중 적어도 한쪽을 제 2 접속부에 설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접속부 모두가 제 1 접속부(5)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는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되는, 소위 상부 접점 타입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되는, 소위 하부 접점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일예로서 FPC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1,101)는, 예컨대,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다른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설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여 왔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해서 해석되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3년 4월 3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허출원 2003-100744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병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를 폐쇄상태로 잠글 수 있으며, 또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하기 쉬운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Claims (11)

  1. 배선 기판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하여 그 평형 유연 케이블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로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에 대향하는 수용부를 갖고,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압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케이블 삽입방향을 따라 소정의 잠금위치까지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와 맞물려 그 수용부를 규제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하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잠금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는 상기 수용부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삽 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두께에 따른 소정량만큼 상기 복수의 접속부가 상기 압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수용부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커버를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1개이상의 접속부에 설치된 돌출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잠금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돌출부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에 규제되는 한편,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잠금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돌출부와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들어가고, 상기 돌출부에 설치된 상기 잠금부에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구비되고, 그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소정 위치에 맞물리고,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맞물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배선 기판으로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보강탭에 맞물려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슬라이딩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배선 기판으로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규제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보강탭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커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소정의 제 1 접속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접속부 중 상기 제 1 접속부와는 다른 제 2 접속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기 커버를, 상기 잠금위치를 초과하여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잠금위치 규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커버의 잠금방향으로 압입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커버의 잠금해제방향으로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가 소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제 1 고정부를 갖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배선 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제 2 고정부를 갖고,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0022919A 2003-04-03 2004-04-02 전기 커넥터 KR100572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0744A JP3884721B2 (ja) 2003-04-03 2003-04-03 電気コネクタ
JPJP-P-2003-00100744 2003-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20A KR20040086820A (ko) 2004-10-12
KR100572884B1 true KR100572884B1 (ko) 2006-04-24

Family

ID=3346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19A KR100572884B1 (ko) 2003-04-03 2004-04-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84721B2 (ko)
KR (1) KR100572884B1 (ko)
CN (1) CN1316683C (ko)
TW (1) TWI229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24B1 (ko) * 2005-11-25 2007-08-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084244B2 (ja) * 2006-12-18 2012-11-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7852B2 (ja) * 2007-03-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02010039187A1 (de) * 2010-08-11 2012-02-1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JP5885594B2 (ja) 2012-06-04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588272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038597B2 (ja) * 2018-04-25 2022-03-1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JP3098944B2 (ja) * 1995-11-09 2000-10-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747264B2 (ja) * 1995-12-19 1998-05-06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3005497B2 (ja) * 1997-05-29 2000-01-31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762216B2 (ja) * 2000-12-07 2006-04-05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472559B2 (ja) * 2001-02-22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329536A (ja) * 2001-04-27 2002-11-15 Kyocera Elco Corp Fpc/ffc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9476B (en) 2005-03-11
JP3884721B2 (ja) 2007-02-21
CN1538569A (zh) 2004-10-20
JP2004311113A (ja) 2004-11-04
KR20040086820A (ko) 2004-10-12
CN1316683C (zh) 2007-05-16
TW200428705A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9316B2 (en) Connector
KR100963726B1 (ko) 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US651410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board
KR100885862B1 (ko) 전기 커넥터
KR100885863B1 (ko) 전기 커넥터
KR102076174B1 (ko) 커넥터
JP2009187733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7867011B2 (en) Connector assembly
JP200402228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7173043A (ja) コネクタ
KR100572884B1 (ko) 전기 커넥터
JP6947195B2 (ja) 電気コネクタ
JP7229125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841290B2 (ja) 電気コネクタ
JP4109978B2 (ja) Fpc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20136087A (ja) 電気コネクタ
JP5185543B2 (ja) コネクタ
KR20040087891A (ko) 전기 커넥터
KR10157071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US20030134533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flexible substrates
JP5422144B2 (ja) Fpc/ffcコネクタ
JP2007280785A (ja) コネクタ
JP2019102158A (ja) コネクタ組立体
JP6967974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