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891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891A
KR20040087891A KR1020040023415A KR20040023415A KR20040087891A KR 20040087891 A KR20040087891 A KR 20040087891A KR 1020040023415 A KR1020040023415 A KR 1020040023415A KR 20040023415 A KR20040023415 A KR 20040023415A KR 20040087891 A KR20040087891 A KR 2004008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pair
flat flexible
guide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기하라와타루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배선 기판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설치된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규제하여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단차면과,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상기 단차면을 통해 상기 수용부보다 높게 배치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1 가이드면과, 이 1쌍의 제 1 가이드면에 대해서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2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을 배선 기판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접속부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됨으로써 그 평형 유연 케이블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되는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11-32961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8-180940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중에는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를 회동시켜 개방함으로써 복수의 접속부의 압접위치에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간 내에 무삽입력으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0-21478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소위 ZIF(Zero Insertion Force)타입인 것으로서, 평형 유연 케이블 삽입후에 커버를 폐쇄하면 복수의 접속부가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에 압접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중에는, 예컨대,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하방(배선 기판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 수용부에 선단부가 수용되도록 평형 유연 케이블을 개구부로부터 삽입함으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압접위치에 도입하고, 그 후에 커버를 폐쇄함으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전기 커넥터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수용부에 대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연이어 설치되고, 수용부로 삽입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설치된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1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다. 1쌍의 가이드면은 수용부보다 1단 높게 배치되어 있다.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전기 커넥터에 설치할 때에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 근방보다 바로앞측을 잡고서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바로앞측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개구부를 향하게 하여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1쌍의 가이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의 선단의 폭방향(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달성된다.
또한,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1쌍의 가이드면을 따르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더욱 수용부측에 도입하면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가이드면으로부터 수용부에 낙하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에 의해서 수용되게 된다. 그 후, 평형 유연 케이블을 배선 기판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게 하면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수용부와 가이드면의 단차면에 걸리고, 평형 유연 케이블을 바로앞측으로 잡아당겨도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의 삽입방향의 위치결정이 달성되고, 이 상태에서 커버를 폐쇄하면 평형 유연 케이블을 전기 커넥터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평형 유연 케이블이 거의 휘는 일이 없고, 그 선단부를 바로앞측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개구부에 향하게 하므로 1쌍의가이드용 돌출부가 대응하는 가이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로부터 가이드면에 대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의 휨에 의한 가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후에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가이드면을 따르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더욱 수용부측에 도입되고,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로 낙하할 때, 평형 유연 케이블의 휨상태로부터의 되돌림량이 작게 된다.
이 경우,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에 낙하할 때의 클릭음(장착음)이 거의 생기지 않으므로 확실하게 위치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알기 어렵고, 위치결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의 전기기기(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화에 따라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지만 소형(박형)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히 평형 유연 케이블의 위치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할 때의 위치결정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2(a)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2(b)는 도 2(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3(a)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 도 3(b)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한 후의 상태, 도 3(c)는 도 3(b)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4(a)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를 폐쇄한 상태,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1(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5(a)는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 도 5(b)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삽입한 후의 상태, 도 5(c)는 도 5(b)의 상태로부터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하우징
3 … 보강탭 4 … 커버
5 … 제 1 접속부 6 … 제 2 접속부
7 … 평형 유연 케이블 8 … 배선 기판
21 … 상판부 22 … 하판부
23 … 좌우측 판부 24 … 내부공간
25 … 압입구멍 26 … 개구부
27 … 삽입공간 28 … 압입구멍
31 … 압입부 32 … 주체부
34 … 걸림 돌기 35 … 삽입통과구멍
41 … 회동축 42 … 돌출부
43 … 맞물림 클로(claw)부 45 … 접촉부
51,61 … 고정편부(固定片部) 52 … 커버 누름부
53,63 … 가동편부(可動片部) 54,64 … 리드부
55,65 … 압입부 56,66 … 접촉부
441,442 … 오목부
본 발명은 배선 기판(8)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10)에 관한 것이다. 이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설치된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71)를 케이블 삽입방향(D) 바로앞측으로부터 규제하여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단차면(297)과,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상기 단차면을 통해서 상기 수용부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로 향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1 가이드면(293)과,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에 대해서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상기 수용부로 향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을 포함한다.
또한, 괄호 안의 영숫자는 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요소 등을 표시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해서 해석되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 사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전기 커넥터에 설치할 때에는 제 1 가이드면과 제 2 가이드면 사이의 공간(안내 오목부) 내를 평형 유연 케이블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통하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바로앞측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배선 기판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수용부측으로 향하게 한다. 통상, 배선 기판의 표면과 제 1 가이드면의 거리는 짧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 근방보다 바로앞측을 잡아서 그 잡은 부분으로부터 바로앞측(선단부와 반대측)의 부분을 상방(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 많이 휘게 하지 않으면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바로앞측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수용부측을 향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 안내 오목부 내에 도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의 가이드용 돌출부는 제 1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로부터 제 1 가이드면에 대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의 휨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그 후에 가이드용 돌출부가 제 1 가이드면을 따르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측에 도입되고,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제 1 가이드면으로부터 수용부로 낙하할 때, 평형 유연 케이블의 휨량이 많으므로 휨상태로부터 되돌아오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에 대해서 강하게 부딪힌다. 이 경우,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가 수용부에 부딪힐 때에 클릭음이 생기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위치결정이 달성된 것을 작업자가 알기 쉽다. 따라서, 위치결정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비교적 소형(박형)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히 평형 유연 케이블의 위치결정이 곤란하므로 상기 효과가 더욱 크다.
또한, 1쌍의 제 2 가이드면을 구성하는 부재(차폐 부재)가 전기 커넥터의 전단 상부의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안내 오목부로 향하게 할 때, 차폐 부재를 목표로 하면 보다 용이하게 평형 유연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은 상기 단차면(297)에 의해서 위치결정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71)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바로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제 2 가이드면이 단차면에 의해서 위치결정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수용부에 의해 수용된 평형 유연 케이블의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상방(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위치결정이 확실하게 달성된 것을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을 더욱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293)은 상기 케이블 삽입방향(D) 바로앞측의 단부가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과의 대향위치를 초과하여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까지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제 1 가이드면의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의 단부가 1쌍의 제 2 가이드면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을 갖고 있으므로 배선 기판을 내려다보는 평면으로 바라봐서는 제 1 가이드면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안내 오목부로 향하게 할 때, 그 선단부의 위치가 약간 상방(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제 2 가이드면이 제 1 가이드면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부분(노치부)을 통해서 안내 오목부(제 1 가이드면측)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의 폭방향(케이블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결정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을 구성하는 1쌍의 차폐 부재(294)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차폐 부재의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노치부(2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부에 의해서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의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의 단부에,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의, 또는 또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커버(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단,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전기 커넥터(1)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기기기에 이용되는 비교적 소형(박형)의 커넥터로서, 좌우방향의 길이가 29mm정도, 전후방향의 길이가 약 7mm정도, 높이가 2.5mm정도이다. 전기 커넥터(1)는, 예컨대, 상판부(21), 하판부(22) 및 좌우측 판부(23)에 의해서 구획된 내부공간(24)을 갖는 합성수지제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이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배선 기판과, 하우징(2)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삽입방향(D)으로 삽입되는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2)의 좌우측 판부(23)에는 각각 앞끝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압입구멍(2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압입구멍(25)에는, 예컨대, 금속제 보강 탭(tab)(3)이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각 보강탭(3)은, 예컨대, 금속판에 대해서 펀칭가공을 행함으로써 제작된 것으로서, 압입구멍(25)에 압입되는 압입부(31)와, 설치상태에서 하우징(2)의 측판부(2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주체부(32)를 갖고 있다.
주체부(32)의 상단 가장자리는 하우징(2)의 측판부(23)와 거의 동일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1(c) 참조]. 주체부(32)의 후방 가장자리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21)는 상기 보강탭(3)이 하우징(2)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 상태에서 하우징(2)의 측판부(23)의 전방 가장자리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2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한다. 압입부(3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압입구멍(25)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 압입부(31)를 상기 압입구멍(25)에 걸기 위한 걸림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예컨대, 그 상판부(21) 및 측판부(23)보다 하판부(22)가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하우징(2)의 상측의 전단부[1쌍의 보강탭(3)의 주체부(32)에 의해서 끼워진 부분]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6)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26)는, 예컨대, 좌우방향을 따라 동축으로 연장되는 금속제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합성수지제 커버(4)에 의해서 개폐된다.
각 회동축(41)은 커버(4)의 좌우 양 끝면의 후단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강탭(3)의 주체부(32)의 후단 가장자리와, 이것에 대향하는 측판부 (23)의 전단 가장자리와, 주체부(32) 및 측판부(23)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321,211)로 둘러싸인 공간은 커버(4)의 회동축(41)을 삽입통과하기 위한 삽입통과구멍(35)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4)의 각 회동축(41)이 대응하는 삽입통과구멍(35)에 삽입됨으로써 커버(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2)에는,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에 압접되어 이 평형 유연 케이블(7)과 배선 기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5,6)(예컨대, 합계 80개)가 개구부(26)에 면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각 접속부(5,6)는, 예컨대, 금속판의 펀치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복수의 접속부(5,6)는, 예컨대, 평면으로 바라봐서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예컨대, 0.3mm피치정도)을 두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접속부(5,6)는, 예컨대, 하우징(2)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 1 접속부(5)와, 하우징(2)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 2 접속부(6)의 2종류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 접속부(5,6)가 좌우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단,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의 하우징(2)에 대한 압입방향은 상기와 같은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접속부(5)가 하우징(2)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제 2 접속부(6)가 하우징(2)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구성이어도 좋고, 제 1 접속부(5)와 제 2 접속부(6)가 동일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하우징(2)의 하판부(22)의 전단부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1)에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할 때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9)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안내부(29)는, 예컨대, 하우징(2)의 측판부(23)와 거의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면(291)의 상부에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오목부(292)가 전후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1)에 설치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폭(좌우방향의 길이)은 양 안내부(29)의 내면(291) 사이의 거리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안내 오목부(292) 내에 통과시켜 상기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용 돌출부(7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292)의 내측 저면은 이 안내 오목부(292) 내를 통과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가이드용 돌출부(71)를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면(29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안내 오목부(292)의 내측 상면은 안내부(29)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좌우방향)으로 돌출하는 차폐 부재(294)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고, 안내 오목부(292) 내를 통과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가이드용 돌출부(71)를 상방으로부터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가이드면(295)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가이드면(293)과 제 2 가이드면(295)은 일정한 간격(예컨대, 0.7mm정도)을 두어서 대향하고 있다.
커버(4)의 전방측[회동축(41)과 반대측]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양 안내부(29)의 차폐 부재(294)의 선단 사이의 거리와 대략 일치하고 있으므로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커버(4)의 전단부의 하면이 제 1 가이드면(293)에 의해서 수용되고, 안내 오목부(292)가 커버(4)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4)의 좌우 양 측면의 전단부에는 각각 상기 커버(4)를 폐쇄상태로 잠그기 위한 맞물림 클로부(43)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4)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면 맞물림 클로부(43)가 차폐 부재(294)에 부딪힌 후, 이들 각 부(43,294)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맞물림 클로부(43)가 차폐 부재(294)를 하방으로 넘음으로써 맞물림 클로부(43)가 차폐 부재(294)의 하면[제 2 가이드면(295)]에 맞물려 커버(4)가 폐쇄상태로 잠겨진다.
커버(4)의 후방측[회동축(41)측]의 좌우 양 단부는 상기 커버(4)의 전방측의 좌우 양 단부보다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42)로 되어 있다. 커버(4)의 후방측 [돌출부(42)가 설치된 부분]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1쌍의 보강탭(3) 간의 거리와 대략 일치하고 있어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개구부(26) 전체가 커버(4)에 의해 덮여진다.
도 2 및 도 3은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2(b)는 도 2(a)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 도 3(b)는 평형 유연 케이블 (7)을 삽입한 후의 상태, 도 3(c)는 도 3(b)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폐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도 1(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지 않고 커버(4)를 폐쇄한 상태,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 도 5(b)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한 후의 상태, 도 5(c)는 도 5(b)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폐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도 5를 참조하여 각 접속부[도 2, 3에 도시하는 제 1 접속부(5) 및 도 4, 5에 도시하는 제 2 접속부(6)]는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압접되는 접촉부(56,6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접촉부(56,66)가 개구부(26)까지 돌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4(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하면 각 접촉부 (56,66)의 상방이 개방되어 접속부(5,6)의 압접위치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높이의 삽입공간(27)이 형성되고[도 2(b) 및 도 4(b) 참조], 이 삽입공간(27)을 통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1)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무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소위 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의 것이다.
제 1 접속부(5)의 접촉부(56) 및 제 2 접속부(6)의 접촉부(66)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접속부(5,6)의 접촉부(56,66)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좌우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들 각 접속부(5,6)의 접촉부(56,66)의 선단에 의해 전기 커넥터(1)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9)의 제 1 가이드면(293)은 상기 수용부(9)보다 1단 높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접속부(5)는, 예컨대, 하우징(2)의 내부공간(24)의 저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51)와, 이 고정편부(51)의 후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후, 전방측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가동편부(53)와, 고정편부(51)의 상기 가동편부(53)보다 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후, 내부공간(24)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굴곡하고, 상판부(21)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커버 누름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편부(53)의 선단부로부터는 삽입공간(27)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되는(소위, 하부 접점 타입의) 접촉부(56)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편부(51)의 전단부는 하우징(2)의 하판부(2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에는 하방[배선기판(8)측]으로 돌출하는 리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부(54)와, 배선기판(8)의 실장면 상의 랜드(land)와의 접촉부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의 주위가 땜납 필렛(fillet)으로 덮여지고, 제 1 접속부(5)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접속부(5)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고정편부(51)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압입부(55)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2)에 형성된 압입구멍(281) 내에 압입부(55)가 전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제 1 접속부(5)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압입부(55)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압입구멍(281)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된 압입부(55)를 상기 압입구멍(281)에 걸기 위한 걸림 돌기(551)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4)에는 커버 누름부(52)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4)를 개폐할 때에 커버 누름부(52)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4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41) 내에는 커버 누름부(52)의 선단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위(45)의 커버 누름부(52)측의 둘레면[접촉면(451)]은 단면 대략 원형상의 둘레면으로 되어 있어서 커버(4)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접촉부(45)를 상기 접촉면(451)에 접촉하는 커버 누름부(52)에 대해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 누름부(52)의 선단부에는 대향하는 접촉부(45)의 접촉면(451)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접속부(6)는, 예컨대, 하우징(2)의 내부공간 (24)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그 높이가 내부공간(24)의 높이와 대략 일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고정편부(61)와, 이 고정편부(61)의 하부 전단으로부터 내부공간(24)의 저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동편부(63)와, 고정편부(61)의 상단부의 전단으로부터 상판부(21)의 전방까지 똑바로 연장되는 압입부(65)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편부(63)의 선단부로부터는 내부공간(27)에 삽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되는(소위, 하부 접점 타입의) 접촉부(66)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2)의 내부공간(24)에 제 2 접속부(6)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압입부(65)가 하우징(2) 내에 형성된 압입구멍(282)에 압입되고, 제 2 접속부(6)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압입부(65)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압입구멍(282)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된 제 2 접속부(6)의 압입부(65)를 걸기 위한 걸림 돌기(651)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4)에는 압입부(65)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4)를 개폐할 때에 압입부(65)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부(61)의 후단 하부에는 하방[배선 기판(8)측]으로 돌출하는 리드부 (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드부(64)와, 배선 기판(8)의 실장면 상의 랜드와의 접촉부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속부위의 주위가 땜납 필렛으로 덮여짐으로써 제 2 접속부(6)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제 2 접속부(6)가 배선 기판(8)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부(5)의 리드부(54)가 하우징(2)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 2 접속부(6)의 리드부(64)가 하우징(2)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를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각 접속부(5,6)의 리드부(54,64)가 좌우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나열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접속부(5)와 제 2 접속부(6)의 간격(피치)이 좁은 경우에도 각 리드부(54,64)를 배선 기판(8)에 납땜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 리드부(54,64)의 주위에 형성된 땜납 필렛이 서로를 간섭하여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장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커버(4)를 개방하면 수용부(9)[각 접속부(5,6)의 접촉부(56,66)]와 커버(4) 사이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높이의 삽입공간(27)이 형성됨과 아울러 커버(4)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안내 오목부(292)가 개방된다[도 2(b) 및 도 4(b) 참조].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상기 전기 커넥터(1)에 설치할 때에는, 도 2(b)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를 개방한 상태에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바로앞측으로부터 거의 수평한[배선 기판(8)의 표면과 거의 평행한) 삽입방향(D)을 따라서 안내 오목부(292)측으로 향하게 하고,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 (71)를 각각 대응하는 제 1 가이드면(293)에 접촉시킨다[도 3(a) 및 도 5(a) 참조]. 이로써,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71)의 선단의 폭방향[삽입방향(D)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7)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차폐 부재(294)의 전단부에 노치부(29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가이드면(293)의 전단부가 제 2 가이드면(295)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을 갖고 있다. 즉, 제 1 가이드면(293)은 그 케이블 삽입방향(D) 바로앞측의 단부가 제 2 가이드면(295)과의 대향위치를 초과하여 케이블 삽입방향(D) 바로앞측까지 연장된 연장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평면으로 바라봐서는 제 1 가이드면(293)의 전단부가 노치부(296)를 통해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안내 오목부(292)측으로 향하게 할 때, 그 선단부의 위치가 안내 오목부(292)보다 약간 상방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가이드용 돌출부(71)를 상기 노치부 (296)를 통해서 안내 오목부(292)[제 1 가이드면(293)측]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보다 용이하다.
그 후, 가이드용 돌출부(71)가 안내 오목부(292) 내를 통과하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더욱 후방(안쪽)으로 도입하면 가이드용 돌출부(71)가제 1 가이드면(293)으로부터 수용부(9)에 낙하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수용부(9)에 의해서 수용되게 된다. 그 후, 도 3(b)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배선 기판(8)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게 하면 가이드용 돌출부(71)는 수용부(9)와 제 1 가이드면(293)의 단차면(297)에 걸리고, 평형 유연 케이블(7)을 바로앞측으로 잡아당겨도 빠지지 않게 된다. 이로써,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삽입방향(D)의 위치결정이 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기판(8)의 표면과 제 1 가이드면(293)의 거리가 짧으므로(예컨대, 1.5mm정도)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 근방보다 바로앞측을 잡아서 그 잡은 부분으로부터 바로앞측(선단부와 반대측)의 부분을 상방으로 많이 휘게 하지 않으면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바로앞측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안내 오목부(292)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 안내 오목부(292) 내에 도입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의 가이드용 돌출부(71)는 제 1 가이드면(293)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71)로부터 제 1 가이드면(293)에 대해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휨에 기초하여 가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그 후에 가이드용 돌출부(71)가 제 1 가이드면(293)을 따르도록 하여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수용부(9)측으로 도입되고,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제 1 가이드면(293)으로부터 수용부(9)에 낙하할 때, 평형 유연 케이블(7)의 휨량이 많으므로 휨상태로부터 되돌아오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수용부(9)에 대해서 강하게 부딪힌다. 이 경우,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수용부(9)에 부딪힐 때에 클릭음(장착음)이 생기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위치결정이 달성된 것을 작업자가 알기 쉽다. 따라서, 위치결정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1)와 같이 비교적 소형(박형)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히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위치결정이 곤란하므로 상기 효과가 더욱 크다.
또한, 차폐 부재(294)가 전기 커넥터(1)의 전단 상부의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안내 오목부(292)로 향하게 할 때, 차폐 부재(294)를 목표로 하면 보다 용이하게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은 대응하는 제 1 가이드면(293)에만 대향하고, 수용부(9)에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1쌍의 제 2 가이드면(295)은 단차면(297)에 의해서 위치결정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71)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D)의 바로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수용부(9)의 좌우 양단[단차면(297)의 후방]에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상방에 면하는 노치부(91)가 형성되어 있어서[도 1(a) 참조] 수용부(9)에 의해 수용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71)는 노치부(91)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위치결정이 확실하게 달성된 것을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을 더욱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5(b)의 상태로부터 커버(4)를 폐쇄하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전기 커넥터(1)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삽입공간(27)에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커버(4)를 폐쇄하고자 하면 그 회동하는 커버(4)의 후단 가장자리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커버(4)를 더욱 회동시키면 커버(4)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해 평형 유연 케이블(7)을 통해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의 가동편부(53,63)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다. 그 후, 도 3(c)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가 폐쇄된 상태로 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의 가동편부(53,63)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 상태에서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의 상면이 커버(4)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커버(4)의 하면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압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c)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가압부(30)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므로 평형 유연 케이블(7)이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는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의 접촉부(56,66)의 선단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 1 가이드면(293)보다 1단 낮게 배치된 수용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가이드면(293)과 제 2 가이드면(295)은 동일 부재[안내부(29)]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는 평형 유연 케이블(7)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되는, 소위 하부 접점 타입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형 유연 케이블 (7)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접되는, 소위 상부 접점 타입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접속부가 2종류의 접속부[제 1 접속부(5) 및 제 2 접속부(6)]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종류의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유연 케이블(7)의 일예로서 FPC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1)는, 예컨대,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다른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설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여 왔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하여 해석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3년 4월 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허출원 2003-102882호에 대응하고 있고, 본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조립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설치할 때의 위치결정을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Claims (4)

  1. 배선 기판에 실장되고, 평형 유연 케이블을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접속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선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설치된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으로부터 규제하여 상기 평형 유연 케이블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단차면;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상기 단차면을 통해서 상기 수용부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배선 기판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로 향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1 가이드면; 및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에 대해서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상기 수용부로 향하는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를 상기 배선 기판과 반대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1쌍의 제 2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은 상기 단차면에 의해서 위치결정된 평형 유연 케이블의 상기 1쌍의 가이드용 돌출부에 대해서 케이블 삽입방향바로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은 상기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의 단부가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과의 대향위치를 초과하여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까지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 2 가이드면은 상기 1쌍의 제 1 가이드면에 대향 배치된 1쌍의 차폐 부재의 상기 제 1 가이드면에 대향하는 표면이고,
    상기 차폐 부재에는 케이블 삽입방향 바로앞측에, 상기 연장부에 대응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0023415A 2003-04-07 2004-04-06 전기 커넥터 KR20040087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2882 2003-04-07
JP2003102882A JP2004311204A (ja) 2003-04-07 2003-04-07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91A true KR20040087891A (ko) 2004-10-15

Family

ID=3346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415A KR20040087891A (ko) 2003-04-07 2004-04-0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11204A (ko)
KR (1) KR20040087891A (ko)
CN (1) CN1538570A (ko)
TW (1) TWI2417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103B1 (ko) 2016-06-20 2017-01-06 김승제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83592B2 (ja) * 2009-06-09 2012-02-2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5108053B2 (ja) * 2010-04-30 2012-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650287B2 (ja) * 2013-07-19 2015-01-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7037373B2 (ja) * 2018-01-19 2022-03-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103B1 (ko) 2016-06-20 2017-01-06 김승제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3357A (en) 2005-01-16
TWI241755B (en) 2005-10-11
JP2004311204A (ja) 2004-11-04
CN1538570A (zh)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US8038467B2 (en)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806702B2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TWI556511B (zh) 插頭連接器
US6558187B2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440122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6629859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2012151021A (ja) コネクタ
JP20022520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93949A (ja) コネクタ
US20110318963A1 (en) Shield connector
JP5303309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TWI445256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KR20040087891A (ko) 전기 커넥터
JP4510581B2 (ja) コネクタ
JP513200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US9252516B2 (en) Connector
JP4671854B2 (ja) シールド付fpcアダプタ
JP374361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KR100572884B1 (ko) 전기 커넥터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17272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