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662A -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 Google Patents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662A
KR20120082662A KR1020110004078A KR20110004078A KR20120082662A KR 20120082662 A KR20120082662 A KR 20120082662A KR 1020110004078 A KR1020110004078 A KR 1020110004078A KR 20110004078 A KR20110004078 A KR 20110004078A KR 20120082662 A KR20120082662 A KR 2012008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wire
stent
zigzag
diago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825B1 (ko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0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825B1/ko
Priority to PCT/KR2012/000238 priority patent/WO2012096497A2/ko
Priority to US13/978,020 priority patent/US9320624B2/en
Priority to JP2013548364A priority patent/JP5777012B2/ja
Publication of KR2012008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1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medical instruments, e.g. stents, corneal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지그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교차가 둔각과 예각을 번갈아 가면서 교차 엮음에 의해 좌, 우 및 상, 하에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을 형성하여 별 모양 셀 내부에 상호 크로스되는 와이어 간의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직경 및 길이방향의 신축 유연성에 의한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를 제공하여 피막의 코팅 후에도 심한 굽힘에도 꺾임이 없이 유연한 굽힘특성을 갖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A MAKING METHOD FOR THE STENT AND THE STENT THEREOF}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굽힘 특성이 양호하여 심한 굴곡에도 꺾임이 없이 유연하게 굽힘 특성이 제공되어 코팅 처리 후에도 양호한 굽힘과 와이어의 꺽임 변형이 없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담관이나 각종 장기의 냅 또는 그 주변의 암세포와 같은 종양으로 인하여 담관이나 장기에 발생하는 협착진행이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의료용 스텐트의 시술을 행하고 있다.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의 의료용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테인레스 와이어(1)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되게 엮어 다수의 마름모 모양의 공간부(셀)(2)를 갖는 일정한 길이의 중공식 원통형 몸체(3)를 형성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시술부위의 자라나는 세포, 암세포가 스텐트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통형 몸체(3)의 내, 외부에 인체에 무해한 PTFE나 실리콘 등으로 피막코팅 구조의 스텐트도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테인레스 와이어(1)를 이용하여 설정된 직경(Ø)과 길이(L)을 갖도록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돌출핀(11)이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조립 구성된 기초지그(10)를 이용하여 와이어(2)를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절곡 교차시켜 마름모 모양의 셀(2)을 형성시켜 상호 교차된 부분에서 직경방향 및 길이방향의 신축이 가능케 제조되고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억압되지 않는 한 기초지그(10)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상의 초기상태로 복귀하려는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기초지그(10)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10-2001-18024호 내지 제10-2001-18026호에서도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종래의 스텐트는 셀 형성을 위한 와이어의 절곡이 직각방향으로 제조됨으로써, 신체의 협착, 흡착부위의 혈관이 완만한 굴곡부위의 사용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삽입되는 혈관부위의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굴곡률에 대응하여 굽힘성이 유연하게 제공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테인레스 와이어의 엮음구조에 의해 형성된 셀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코팅처리 구조의 경우에는 굽힘성이 더욱 떨어져 심한 굴곡 부분에서 유연한 휨에 의한 굽힘 특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의 교차가 둔각과 예각을 번갈아 가면서 교차 엮음에 의해 좌, 우 및 상, 하에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을 형성하여 별 모양 셀 내부에 상호 크로스되는 와이어 간의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직경 및 길이방향의 신축 유연성에 의한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은,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 지름과 길이를 갖는 원통체의 원주율과 길이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을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돌출핀을 조립한 기초지그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한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테인레스 와이어에 의해 상부의 시작점에서 상부헤드 형성 거리만큼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 방향의 위치점(돌출핀)으로 내려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기준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둔각(2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에 위치시키는 하강절곡 과정의 반복으로 와이어를 일정거리 하강 절곡하여 위치시키는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와이어를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5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 방향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 방향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을 갖는 하부헤드를 형성하는 하부헤드 형성단계;
상기 하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와이어를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7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둔각(2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둔각(2칸씩)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7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에 위치시키는 상승절곡 과정의 반복으로 와이어를 일정거리 상승 절곡하되,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의 위치점과 겹치는 위치점(절곡 꼭지점)에서 엇걸기하여 상승 절곡하여 위치시키는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
상기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와이어를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 방향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 방향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을 갖는 상부헤드를 형성하는 상부헤드 형성단계;
상기 상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된 와이어를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예각(1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돌출핀)으로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길이 및 원주율 방향에 걸친 대각선 방향의 둔각(2칸씩)으로 한번 위치시키어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절곡 위치된 와이어와 겹친 부분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마무리 연결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는,
교차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셀의 형상이 예각의 절곡된 절곡 꼭지점과 둔각의 절곡된 절곡 꼭지점이 상호 엇걸림되고, 둔각의 절곡된 꼭지점과 예각의 절곡된 꼭지점이 엇걸림 교차로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을 형성하되, 상기 둔각으로 절곡된 와이어는 별 모양의 셀 내부에 단순 교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신축시나 굽힘시에 엇걸림된 절곡 꼭지점 간의 신축과 동시에 내부의 교차와이어 신속한 가변이동으로 유연한 특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가닥의 와이어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예각과 둔각 절곡을 취하여 다시 하부에 상부로 예각과 둔각으로 절곡하면서 기 절곡된 와이어의 절곡 꼭지점에 엇걸기하고 상승하여 각각의 절곡 꼭지점이 대향으로 엇걸림된 별 모양의 셀을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일정 크기의 스텐트이 제조가 신속하다.
그리고 와이어 교차부분에 형성된 셀이 신축 및 굽힘에 대해 꺽임이 없는 독특한 별 모양을 갖도록 함으로서 매우 유연한 굽힘 특성에 의한 코팅 후에도 굽힘에 따른 꺾임이 없이 유연하게 휘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스텐트 제조에 적용되는 기초지그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초지그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와이어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22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신축 및 굽힘에 따른 와이어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한 실물을 촬영한 사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한 실물을 코팅한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
도 27은 도 26의 실물에 대하여 굽힘상태를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의 특징적 핵심요지는 스텐트의 굽힘 특성이 보장되어 코팅 후에도 굴곡이 심해도 꺾임이 없이 유연한 굽힘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적용된 기초지그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기초지그(10)는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 지름(Ø)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의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a2,a3,...a13)과 길이분할선(b1,b2,b3,...b17)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돌출핀(11)을 조립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기초지그의 상세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 제10-2001-18024호 내지 제10-2001-18026호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고, 본 발명에 적용한 기초지그(10)는 원주율(W)과 길이(L)의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a2,a3,...a13)과 길이분할선(b1,b2,b3,...b17)의 수를 증가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기초지그(1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 하부헤드 형성단계,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 상부헤드 형성단계, 와이어의 시작단과 끝단을 연결하는 마무리 연결단계에 의해 제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cm당 주어진 규격의 한 가닥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나 스테인레스 와이어(이하 '와이어'라 약칭한다)만을 가지고 스텐트(100)를 제작한다
먼저, 기초지그(10)의 원주분할선(a1,a2,a3,...a13)중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기준점(a1)으로 설정하고, 이 기준점(a1)에서 와이어(200)를 길이(L) 및 원주율(Ø) 방향에 걸친 4칸의 대각선거리(4ℓ)의 위치점(a5/b2)의 돌출핀(11)으로 내려 위치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상기 상부헤드 형성단계를 취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여기에서, 길이(L) 및 원주율(Ø)의 대각선상으로 와이어(200)을 1칸씩 이동한 길이는 대각선거리(ℓ)로 정의할 수 있고, 하기의 설명에서 위치점은 상기 기초지그(10)에 조립된 돌출핀(11)을 경유하여 절곡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타당하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내려진 위치점(a5/b2)에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8/b3)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a8/b3)에서 대각선거리(2ℓ)의 둔각(2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2/b4)에 위치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음에 와이어(200)를 4칸의 대각선거리(4ℓ)의 돌출핀(11)에서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시작하여 1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는 하강절곡 과정(사이클)의 반복으로 와이어를 일정거리 하강 절곡하여 위치점(a11/b14)에 위치시키는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를 취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a11/b14)에서 다시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5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4/b15)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a4/b15)에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4/b15)에 위치시키어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점(a4/b15)에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6/b15)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의 형성을 위해 다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6/b15)에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갖는 하부헤드를 형성하는 하부헤드 형성단계를 취한다.
여기에서, 위치점(a11/b14)에서 다시 와이어(200)을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5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4/b15)에 위치시키는 것은 처음의 3각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200)가 서로 겹쳐져서 가는 길이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3각의 와이어가 겹쳐지는 길을 형성하여 절곡이동 과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점(a4/b15)에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6/b15)에 위치시키는 것은 나머지 3각 절곡마무리단의 형성을 위해 와이어(200) 상호 간이 겹쳐져서 가는 길을 형성하여 절곡 이동과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a6/b15)에서 다시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7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13/b14)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a13/b14)에서 대각선거리(2ℓ)의 둔각(2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7/b13)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a7/b13)에서 대각선길이(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9/b13)에 위치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위치점(a9/b13)에서 대각선길이(2ℓ)의 둔각(2칸씩)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9/b13)에 위치시킨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헤드 형성단계에서 위치된 위치점에서 이어서 1ℓ의 대각선거리로 7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다시 1ℓ의 대각선거리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6번의 상승절곡 과정(사이클)의 반복으로 와이어(200)를 일정거리 상승 절곡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점(a3/b2)에 위치시키는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를 취한다.
이러한 순차적인 와이어(200)의 상승절곡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의 위치점(절곡 꼭지점)과 겹치는 위치점(절곡 꼭지점)에서 엇걸기 교차하여 상승 절곡하여 위치시키는 단계에 의해 별 모양의 셀(C2)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취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a3/b2)에서 다시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5/b2)에 위치시키고(도 14 참조), 이 위치점(a5/b2)에서 4칸의 대각선길이(4ℓ)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5/b2)에 위치시키어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1)을 형성하고(도 15 및 도 16 참조), 상기 위치점(a5/b2)에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7/b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1)의 형성을 위해 다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7/b2)에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1)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갖는 상부헤드를 형성하는 상부헤드 형성단계를 취한다(도 17 참조).
이러한 상부헤드 형성단계에서도 위치점(a3/b2)에서 다시 와이어(200)을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5/b2)에 위치시키는 것은 처음의 3각 절곡마무리단(211)을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200)가 서로 겹쳐져서 가는 길이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3각의 와이어가 겹쳐지는 길을 형성하기 위해 절곡이동 과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점(a2/b2)에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7/b2)에 위치시키는 것은 나머지 3각 절곡마무리단(211)의 형성을 위해 와이어(200) 상호간이 겹쳐져서 가는 길을 형성하여 절곡 이동과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점(a7/b2)에 위치된 와이어(200)를 대각선길이(1ℓ)의 예각(1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a10/b3:돌출핀)으로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a10/b3)에서 대각선거리(2ℓ)의 둔각(2칸씩)으로 한번 위치시키어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절곡 위치된 와이어(200)와 겹친 부분을 용접(300)으로 연결하여 마무리 연결단계를 취하게 된다.
여기에서, 용접부분을 제외한 와이어(200)의 시작단과 끝단의 남는 부분을 절단한 상태에서 기초지그(10)에서 돌출핀(11)을 분리한 다음 원통형 몸체를 분리하고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간에 별 모양의 셀(C2)을 형성한 중간몸체와 이 중간몸체의 상, 하부에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형성하여 6각의 절곡마무리단을 갖는 상부헤드 및 하부헤드로 형성된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텐트(100)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100)를 열처리하는 것은 중공형상된 원통형 몸체를 형성한 후에 와이어(200)의 탄성을 잃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그 형상을 기억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열처리 기술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에서 상세히 언급하고 있음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100)는, 상호 교차되는 와이어(200)에 의해 형성된 셀의 형상이 예각의 절곡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의 절곡된 둔각절곡 꼭지점(202)이 상호 엇걸림되고, 둔각의 절곡된 둔각절곡 꼭지점(202)과 예각의 절곡된 예각절곡 꼭지점(201)이 엇걸림 교차로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C2)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다시 말하여,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일정의 사이클(순환)로 1ℓ의 대각선거리의 예각(1칸씩)과 2ℓ의 대각선거리의 둔각(2칸씩)으로 하강 절곡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에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에서 일정의 사이클(순환)로 2ℓ의 대각선거리의 둔각(2칸씩)과 1ℓ의 대각선거리의 예각(1칸씩)으로 상승 절곡하는 와이어(200)의 둔각절곡 꼭지점(202)과 예각절곡 꼭지점(201)이 엇걸림한 상태로 엮음되어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C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둔각으로 절곡되어 교차되는 상호 간의 와이어(200)는 별 모양의 셀(C2) 내부에 단순 교차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신축시나 굽힘시에 엇걸림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 간의 신축과 동시에 내부의 교차된 와이어(200) 부분이 신속한 가변이동으로 유연한 굽힘 특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텐트(100)의 신축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엇걸림된 와이어(200)의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의 간격이 넓혀지는 것과 걸림된 상태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공되고,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굽힘되는 방향의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은 수축되고, 반대방향의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은 걸림된 상태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유연한 굽힘동작이 제공된다.
다시말하여, 별 모양의 셀(C2)을 형성하는 와이어(200)의 교차가 예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둔각절곡 꼭지점(202)이 엇걸림 상태가 신축이나 굽힘 시에 둔각으로 절곡된 와이어(200) 상호간이 크로스된 상태로 엇걸림되어 신축이나 굽힘동작 시에 가변이동하면서 지지되어 심한 굽힘동작에도 꺾임이 없이 유연한 동작이 제공되어 피막 코팅 후에도 코팅된 피막이 꺾이지 않게 된다.
물론, 상부헤드와 하부헤드는 마름모 모양의 셀(C1)이 2줄로 형성되고 단순 교차하는 와이어(200)에 의해 형성됨으로 인하여 굽힘동작이나 신장에 큰 응력을 수반하지 않아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실물을 첨부한 도 25에서 촬영한 사진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한 실물을 코팅한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27은 도 26의 실물에 대하여 굽힘상태시 U형상으로 꺽어도 꺽이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를 사진에 의하여 보여주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의 내면 또는 외면에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실리콘이나 피티에프이(PTFE)와 같은 코팅재로 코팅을 행한 상태에서 U형상으로 꺽어도 꺽이지 않아 굽힘상태가 매우 양호한 발명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코팅재의 스텐트의 시술 후에 내강내로 침투하는 병변새포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
10: 기초지그 11: 돌출핀
100: 스텐트 200: 와이어
201: 예각절곡 꼭지점 202: 둔각절곡 꼭지점
210, 211: 절곡마무리단 300: 용접
C1: 마름모 모양의 셀 C2: 별 모양의 셀

Claims (14)

  1.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 지름(Ø)과 길이(L)를 갖는 원통체의 원주율(W)과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a2,a3,...a13)과 길이분할선(b1,b2,b3,...b17)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돌출핀(11)을 조립하여 상기 길이(L) 및 원주율(Ø)의 대각선상의 거리(ℓ)로 설정한 기초지그(10)을 이용하되, 상기 기초지그(10)의 원주분할선(a1,a2,a3,...a13) 중 어느 하나를 임의의 기준점(a1)으로 하여 와이어(200)을 상기 위치점의 돌출핀(11)을 경유하여 절곡하여 상부에 하부로 이동하면서 와이어 간의 엇걸림이나 교차에 의해 일정의 셀을 갖는 스텐트(100)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한 가닥의 와이어(200)를 상기 기준점(a1)에서 대각선상의 거리(4ℓ)로 내려 위치시키고, 이 위치점에서 예각의 대각선상의 거리(ℓ)와 둔각의 대각선상의 거리(2ℓ)의 지그재그 절곡이동으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을 형성하는 상태로 하강절곡 과정의 반복에 의해 일정거리로 하강이동하여 위치시키는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
    (b)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예각의 대각선상의 거리(ℓ)로 절곡 이동하고 둔각의 대각선상의 거리(4ℓ)로 지그재그 절곡이동의 반복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갖는 하부헤드를 형성하는 하부헤드 형성단계;
    (c) 상기 하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예각의 대각선상의 거리(ℓ)와 둔각의 대각선상의 거리(2ℓ)의 지그재그 절곡이동으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을 형성하는 상태로 상승절곡 과정의 반복에 의해 어를 일정거리 상승이동하되, 상기 와이어(200)의 상승절곡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의 위치점과 겹치는 위치점에서 엇걸기 교차상태로 상승 절곡하여 위치시키는 단계에 의해 별 모양의 셀(C2)을 반복적으로 형성한 중간몸체를 형성하는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
    (d) 상기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예각의 대각선상의 거리(ℓ)로 절곡 이동하고 둔각의 대각선상의 거리(4ℓ)로 지그재그 절곡이동의 반복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1)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갖는 상부헤드를 형성하는 상부헤드 형성단계;
    (e) 상기 상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예각의 대각선상의 거리(ℓ)로 절곡 이동하고 둔각의 대각선상의 거리(2ℓ)로 한번 위치시키어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절곡 위치된 와이어(20)와 겹친 부분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마무리 연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준점(a1)에서 와이어(200)를 4칸의 대각선거리(4ℓ)의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이 위치에서 시작하여 1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돌출핀(11)에 위치시키는 하강절곡 과정(사이클)의 반복으로 와이어를 일정거리 하강 절곡하여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5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에 위치시키어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고, 다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의 형성을 위해 다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하부헤드 형성단계에서 위치된 위치점에서 이어서 1ℓ의 대각선거리로 7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1ℓ의 대각선거리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2ℓ의 대각선거리로 6번의 상승절곡 과정(사이클)의 반복으로 와이어(200)를 일정거리 상승 절곡하여 위치시키되,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형성된 예각절곡 꼭지점(201)에 둔각절곡 꼭지점(202)이 엇걸기 하고 둔각절곡 꼭지점(202)에 예각절곡 꼭지점(201)이 엇걸기 하여 별 모양의 셀(C2)을 반복 형성하여 일정거리 상승이동하여 위치시키어 중간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와이어 절곡 상승단계에 의해 위치된 위치점에서 다시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4칸의 대각선길이(4ℓ)으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어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고, 다시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3각(3개)의 절곡마무리단(210)의 형성을 위해 다시 4칸의 대각선거리(4ℓ)로 6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6각의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하여 마름모 모양의 셀(C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부헤드 형성단계에 의해 위치점에 위치된 와이어(200)를 대각선길이(1ℓ)의 예각(1칸씩)으로 3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다시 대각선거리(2ℓ)의 둔각(2칸씩)으로 한번 위치시키어 상기 와이어 절곡 하강단계에서 절곡 위치된 와이어(200)와 겹친 부분을 용접(300)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5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어 처음의 3각 절곡마무리단(210)을 형성을 위해 와이어 상호 간이 겹쳐지는 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어 나머지 3각 절곡마무리단(210)의 형성을 위해 와이어(200) 상호 간이 겹쳐져서 가는 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어 처음의 3각 절곡마무리단(211)을 형성을 위해 와이어 상호 간이 겹쳐지는 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0)를 대각선거리(1ℓ)의 예각(1칸씩)으로 2번의 지그재그 절곡이동하여 위치시키어 나머지 3각 절곡마무리단(211)의 형성을 위해 와이어(200) 상호 간이 겹쳐져서 가는 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
  11.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 상호 교차되는 와이어(200)에 의해 형성된 셀의 형상이 마름모 모양의 셀(C1)이 형성된 상, 하부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헤드 사이에 예각의 절곡된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의 절곡된 둔각절곡 꼭지점(202)이 상호 엇걸림되고, 둔각의 절곡된 둔각절곡 꼭지점(202)과 예각의 절곡된 예각절곡 꼭지점(201)이 엇걸림 교차로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C2)이 형성된 중간몸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인 별 모양의 셀(C2)은 길이방향 신축시나 굽힘 시에 엇걸림된 상기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에 의해 내부에 둔각 절곡되는 와이어(200) 간이 교차되고, 이 교차된 와이어(200) 부분이 신속한 가변이동으로 상기 예각절곡 꼭지점과 둔각절곡 꼭지점 간의 간격이 넓혀지거나 걸림상태로 당겨지는 것에 신축되고, 굽힘되는 방향의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은 수축되고, 반대방향의 예각절곡 꼭지점(201)과 둔각절곡 꼭지점(202)은 걸림된 상태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유연한 굽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헤드와 하부헤드의 마름모 모양의 셀(C1)은 2줄로 형성되고 상호 간 교차하는 와이어(200)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코팅재를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
KR1020110004078A 2011-01-14 2011-01-14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133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78A KR101330825B1 (ko) 2011-01-14 2011-01-14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PCT/KR2012/000238 WO2012096497A2 (ko) 2011-01-14 2012-01-10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US13/978,020 US9320624B2 (en) 2011-01-14 2012-01-10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JP2013548364A JP5777012B2 (ja) 2011-01-14 2012-01-10 屈曲特性の良好な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78A KR101330825B1 (ko) 2011-01-14 2011-01-14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62A true KR20120082662A (ko) 2012-07-24
KR101330825B1 KR101330825B1 (ko) 2013-11-15

Family

ID=4650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078A KR101330825B1 (ko) 2011-01-14 2011-01-14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20624B2 (ko)
JP (1) JP5777012B2 (ko)
KR (1) KR101330825B1 (ko)
WO (1) WO2012096497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85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KR20160029317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비씨엠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20160040760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20160072651A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20200142910A (ko) * 2019-06-14 2020-12-23 박성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1454A3 (cs) * 2014-01-23 2015-11-04 Ella- Cs, S.R.O. Stent
JP6045036B2 (ja) * 2014-01-28 2016-12-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
JP6177259B2 (ja) * 2015-01-13 2017-08-09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KR101696810B1 (ko) 2015-02-04 2017-02-01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319B1 (ko) * 2015-04-15 2017-04-1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US10179052B2 (en) 2016-07-28 2019-01-15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Total knee implant prosthesis assembly and method
KR102196226B1 (ko) * 2019-01-28 2020-12-29 이재희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AU2020265431A1 (en) 2019-05-02 2021-12-02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Orthopaedic implant placement system and method
US11957591B2 (en) 2019-09-10 2024-04-16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Orthopaedic knee prosthesis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16075282A (zh) 2020-07-10 2023-05-05 德普伊爱尔兰无限公司 内侧稳定整形外科膝关节假体
CN114055098B (zh) * 2021-12-10 2023-11-14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嵌槽钎焊配法的弯曲斜螺线管cct骨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27A (en) * 1994-02-09 1997-03-11 Boston Scientific Technology, Inc. Method for delivering a bifurcated endoluminal prosthesis
RU2157146C2 (ru) * 1995-06-13 2000-10-10 ВИЛЬЯМ КУК Европа, A/S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в сосудах и полых органах (его варианты)
US6241757B1 (en) * 1997-02-04 2001-06-05 Solco Surgical Instrument Co., Ltd.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US6652571B1 (en) * 2000-01-31 2003-11-25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branched, implantable device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457629B1 (ko) 2001-04-04 2004-11-1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24290B1 (ko) 2001-04-04 2004-03-24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4608673B2 (ja) 2001-09-19 2011-01-12 Junken Medical株式会社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2005514155A (ja) * 2001-12-29 2005-05-19 グローバル メディカル サイエンシズ リミテッド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変形形態)
US7001425B2 (en) * 2002-11-15 2006-02-21 Scimed Life Systems, Inc. Braided st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ES2381558T3 (es) * 2004-11-10 2012-05-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prótesis vascular atraumática con fuerza de despliegue reducida y método para fabricar la misma
KR100633020B1 (ko) *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826664B1 (ko) * 2006-11-01 2008-05-02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090038209A (ko) * 2007-10-15 2009-04-20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KR100958578B1 (ko) * 2008-07-16 2010-05-18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혈관용 스텐트
DE102008048416A1 (de) * 2008-08-05 2010-02-11 Acandis Gmbh & Co. Kg Medizi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US8151682B2 (en) * 2009-01-26 2012-04-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traumatic s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8715314B1 (en) * 2013-03-15 2014-05-06 Insera Therapeutics, Inc. Vascular treatment measurement methods
JP6340425B2 (ja) * 2013-08-09 2018-06-0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編組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85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 방법
KR20160029317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비씨엠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20160040760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20160072651A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방법
KR20200142910A (ko) * 2019-06-14 2020-12-23 박성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825B1 (ko) 2013-11-15
US20130282105A1 (en) 2013-10-24
US9320624B2 (en) 2016-04-26
JP5777012B2 (ja) 2015-09-09
WO2012096497A3 (ko) 2012-11-22
JP2014512195A (ja) 2014-05-22
WO2012096497A2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25B1 (ko) 굽힘 특성이 양호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0633020B1 (ko)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JP3708923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JP2020096825A (ja) 減少した短縮および反跳を有するステント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45453A5 (ko)
JP6791974B2 (ja) 形状記憶合金ワイヤーを用いたステント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テント
JP2023106141A (ja) ステント
KR101735702B1 (ko) 셀 확장이 용이한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US20210121308A1 (en) Weaving method for nasal sinus stent and stent obtained thereof
JP2017169990A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20160025349A (ko)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101006990B1 (ko) 굴곡상태 유지가 가능한 굴곡 유지 코팅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KR20020078126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20130111740A (ko) 연동 굴곡 변형이 가능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KR102196226B1 (ko)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1109719B1 (ko) 확장식 스텐트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424291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
KR101645629B1 (ko) 스텐트와 그 스텐트 제조방법
KR101777366B1 (ko) 스텐트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