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366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366B1
KR101777366B1 KR1020150148553A KR20150148553A KR101777366B1 KR 101777366 B1 KR101777366 B1 KR 101777366B1 KR 1020150148553 A KR1020150148553 A KR 1020150148553A KR 20150148553 A KR20150148553 A KR 20150148553A KR 101777366 B1 KR101777366 B1 KR 10177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hooks
wire
band por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896A (ko
Inventor
강수경
김경란
최충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Priority to KR102015014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3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110)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된 제1 밴드부(B1)와 제2 와이어(210)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된 제2 밴드부(B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인체 내강(lumen)을 유지할 목적으로 인체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 의료기구의 총칭이다. 스텐트는 외과적 수술 없이 최소 침습적인 중재의료기술(약과 수술의 중간 수준, 내시경 또는 x-ray 영상장비 활용)을 통해서 시술하기 때문에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회복 속도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의료적 효과도 즉각 나타나는 의료기기이다.
여기서, 스텐트는 용도에 따라 심혈관용, 뇌혈관용, 일반혈관용, 소화기내과용, 호흡기내과용 및 비뇨기과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스텐트의 주재료로는 고분자 또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고, 금속재료인 경우 크게 와이어(Wire)나 튜브(tube) 형상재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스텐트의 제조방식은 와이어인 경우 스텐트 구조에 따라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을 이용하고, 튜브 형상재인 경우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다. 이때, 와이어를 이용하는 스텐트는 주로 지름이 약 5mm 이상인 비혈관 계통에 적용하고, 튜브 형상재를 이용하는 스텐트는 주로 지름이 약 5mm 이하인 혈관계통에 적용하고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하는 스텐트는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질 때 발생하는 구조인 훅(hook)으로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텐트가 훅으로만 구성되면, 스텐트를 전달하는 전달기구(삽입기구, 이동기구, 일반적으로 카테터 등)에 장착하기 위해 압착했을 때 부피가 증가되어 얇은 전달기구에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피로수명에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2011-000238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지는 훅(hook)과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지나가는 크로스(cross)를 특정한 패턴으로 배치하여 전달기구(삽입기구, 이동기구, 일반적으로 카테터 등)에 장착하기 위해 압착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강화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제1 와이어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가 교차하여 마름모형의 제1 메시를 형성하는 제1 밴드부, 및 제2 와이어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가 교차하여 마름모형의 제1 메시를 형성하는 제2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교차하면서 상기 제1 메시가 분할되어, 마름모형의 제2 메시, 평행사변형의 제3 메시, 및 마름모형의 제4 메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메시, 상기 제3 메시, 및 상기 제4 메시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으며, 상기 제2 메시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 메시를 둘러싸도록 제3 메시와 제4 메시가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는 크로스만을 형성하며 교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숫자의 훅과 크로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숫자의 훅과 크로스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훅의 개수가 크로스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2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훅의 개수가 크로스의 개수보다 많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크로스와 크로스 사이에 훅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크로스와 크로스 사이에 훅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원주방향의 특정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밴드부 자체의 크로스 사이에는 상기 제2 밴드부 자체의 훅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 자체의 크로스 사이에는 상기 제1 밴드부 자체의 훅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의 4개의 변은 하나씩 4개의 상기 제3 메시와 공유하고, 상기 제2 메시의 4개의 꼭지점은 하나씩 4개의 상기 제4 메시와 공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3을 갖으며, 상기 제3 메시의 긴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3을 갖고 짧은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1을 갖으며, 상기 제4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1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는 4개의 꼭지점 중,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되거나 1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된 상기 제4 메시의 개수는 1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된 상기 제4 메시의 개수의 2배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형성된 훅을 한쌍의 훅이라고 정의 할 때, 한쌍의 훅을 이루는 2개의 훅간의 거리는 하나의 한쌍의 훅과 다른 하나의 한쌍의 훅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지는 훅(hook)과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지나가는 크로스(cross)를 특정한 패턴으로 배치함으로써, 전달기구(삽입기구, 이동기구, 일반적으로 카테터 등)에 장착하기 위해 압착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적이 서로 상이한 제2 메시, 제3 메시, 제4 메시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원주방향으로 직경이 늘어나기 쉬운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장기에 장착되는 경우 음식물 등이 통과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1 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2 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를 결합한 도면,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스텐트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110)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된 제1 밴드부(B1)와 제2 와이어(210)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된 제2 밴드부(B2)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0)는 원통형의 스텐트 제조용 틀에 의해서 제작되고, 스텐트 제조용 틀에는 외부면에 제1,2 와이어(110, 210)가 밴딩되는 다수의 밴딩 포인트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텐트 제조용 틀은 도 2 내지 도 10과 같이 외부면을 펼친 전개도면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스텐트 제조용 틀은 원주방향(x 방향)을 따라 14개의 눈금(x1, x2, x3,....x14)으로 구획될 수 있고, 길이방향(y 방향)을 따라 12개의 눈금(y1, y2, y3,...y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원주방향이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패턴을 유지하며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텐트 제조용 틀의 외부면에 형성된 밴드 포인트에는 밴딩용 핀이 끼워져, 밴딩용 핀을 기준으로 제1,2 와이어(110, 210)가 밴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지는 것을 훅(H, hook)이라고 정의하고, 두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여 지나가는 것을 크로스(C, cross)라고 정의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1 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제1 와이어(110)로 제1 밴드부(B1)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는 밴딩포인트 x1y1 지점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2y3, x3y1, x4y3, x5y1, x6y3, x7y1, x8y3, x9y1, x10y3, x11y1, x12y3, x13y1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형성한 후, x1y5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된다.
이때, 제1 와이어(1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2개 형성되고, 이후, 제1 길이(L1)의 두배인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는 밴딩포인트 x1y5 지점에서 연장되어, 밴딩포인트 x2y3 지점에서 훅(H)을 걸어주고,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4y7, x5y5, x6y7, x7y5, x8y7, x9y5, x10y7, x11y5, x12y7, x13y5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형성한 후, x1y9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된다.
이때, 제1 와이어(1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된 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는 밴딩포인트 x1y9 지점에서 연장되어, 밴딩포인트 x2y7 지점에서 밴딩된 후,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4y11, x5y9, x6y11, x7y9, x8y11, x9y9, x10y11, x11y9, x12y11, x13y9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제1 와이어(1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1 지점의 길이까지만 연장한다면, x14y11 지점에서 밴딩된 후, x1y9 지점에서 훅(H)을 걸어준다(만약 제1 와이어(1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1 지점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면, x1y13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와이어(1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1개 형성된다(만약 제1 와이어(1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1 지점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면,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된 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는 밴딩포인트 x1y9 지점에서 훅(H)을 걸어주고, 밴딩포인트 x2y11 지점에서 밴딩된 후,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4x7, x5y9, x6y7, x7y9, x8y7, x9y9, x10y7, x11y9, x12y7, x13y9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면서 모두 훅(H)을 걸어주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밴딩포인트 x1y5 지점까지 연장되어 훅(H)을 걸어준다.
이때, 제1 와이어(1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된 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다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는 훅(H)이 걸린 밴딩포인트 x1y5 지점에서 시작하여, 밴딩포인트 x2y7 지점에서 훅(H)을 걸어주고,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4y3, x5y5, x6y3, x7y5, x8y3, x9y5, x10y3, x11y5, x12y3, x13y5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면서 모두 훅(H)을 걸어주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밴딩포인트 x1y1 지점에서 마무리한다.
이때, 제1 와이어(1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된 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 개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1 와이어(110)를 이용하여 제1 밴드부(B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밴드부(B1)는 제1 와이어(110)가 교차하면서 마름모형의 제1 메시(310, mesh)가 동일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1 밴드부(B1)는 동일한 y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1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y3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x12y3, x10y3, x8y3, x6y3, x4y3, x2y3에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x14y3에 1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밴드부(B1)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y 지점)에서 항상 일정한 숫자의 훅(H)과 크로스(C)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훅(H)이 고르게 배열되어 스텐트(100)가 꼬이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스텐트(100)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밴드부(B1)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강한 훅(H)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크로스(C)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부(B1)의 크로스(C)는 y(4N-1) 지점(N은 자연수)에서의 x지점 위치가 서로 동일하고, y(4N+1)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서로 동일하지만, y(4N-1) 지점(N은 자연수)에서의 x지점 위치와 y(4N+1)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밴드부(B1)의 크로스(C)는 y3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와 y7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14 지점으로 동일하고, y5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와 y9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3 지점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제1 밴드부(B1)의 크로스(C)는 y3 지점 및 y7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14 지점인 반면, y5 지점 및 y9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3 지점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밴드부(B1)의 크로스(C)는 길이방향의 제1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와 길이방향의 제2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제1 밴드부(B1)의 원주방향(x 지점)을 따라가면서, 크로스(C)와 크로스(C) 사이에 반드시 훅(H)이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크로스(C)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2 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제2 와이어(210)로 제2 밴드부(B2)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와이어(110)와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와이어(210)의 길이는 제1 와이어(110)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210)는 밴딩포인트 x7y2 지점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8y4, x9y2 x10y4, x11y2, x12y4, x13y2, x14y4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x1y2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된다.
이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8개 형성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210)는 밴딩포인트 x1y2 지점에서 밴딩되어,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2y4, x3y2, x4y4, x5y2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x7y6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된다. 이후, 밴딩포인트 x8y4 지점에서 훅(H)을 걸어준 후,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10y8, x11y6, x12y8, x13y6, x14y8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x1y6 지점에서 밴딩된다.
이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4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 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5개 형성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210)는 밴딩포인트 x1y6 지점에서 밴딩되어,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2y8, x3y6, x4y8, x5y6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x7y10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된다. 이후,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8y8, x10y12, x11y10, x12y12, x13y10, x14y12 지점을 거쳐 밴딩포인트 x1y10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다.
이후, 제2 와이어(210)는 밴딩포인트 x1y10에서 밴딩되어,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2y12, x3y10, x4y12, x5y10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다. 이후, 제2 와이어(2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2 지점의 길이까지만 연장한다면, 밴딩포인트 x6y12 지점에서 밴딩된 후, 밴딩포인트 x7y10 지점에서 훅(H)을 걸어준다(만약 제2 와이어(2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2 지점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면, x7y14 지점까지 연장되어 밴딩될 수 있다).
이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4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1개 형성된다(만약 제2 와이어(210)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y12 지점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한다면,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4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다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210)는 훅(H)이 걸린 밴딩포인트 x7y10 지점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밴딩포인트 x8y12 지점에서 밴딩된 후, 밴딩포인트 x10y8, x11y10, x12y8, x13y10, x14y8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면서 모두 훅(H)을 걸어주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 후, 다시 밴딩포인트 x1y10, x2y8, x3y10, x4y8, x5y10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면서 모두 훅(H)을 걸어주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다. 이후, 제2 와이어(210)는 밴딩포인트 x7y6 지점까지 연장되어 훅(H)을 걸어준 후, 밴딩포인트 x8y8, x10y4, x11y6, x12y4, x13y6, x14y4, x1y6, x2y4, x3y6, x4y4, x5y6 지점에서 순서대로 밴딩되면서 모두 훅(H)을 걸어주어 지그재그 형상을 형성한다. 이후, 밴딩포인트 x7y2 지점에서 마무리한다.
이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1개 형성되고,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되며, 이후 제1 길이(L1)를 갖는 제1 직선부(410)가 9개 형성되며, 이후 제2 길이(L2)를 갖는 제2 직선부(420)가 1개 형성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과정을 거치면서 제2 와이어(210)를 이용하여 제2 밴드부(B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밴드부(B2)는 제2 와이어(210)가 교차하면서 마름모형의 제1 메시(310)가 동일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2 밴드부(B2)는 동일한 y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1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y4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x14y4, x12y4, x10y4, x8y4, x4y4, x2y4 지점에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x6y4 지점에 1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밴드부(B2)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y 지점)에서 항상 일정한 숫자의 훅(H)과 크로스(C)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훅(H)이 고르게 배열되어 스텐트(100)가 꼬이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스텐트(100)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2 밴드부(B2)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강한 훅(H)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크로스(C)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밴드부(B2)의 크로스(C)는 y(4N) 지점(N은 자연수)에서의 x지점 위치가 서로 동일하고, y(4N+2)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서로 동일하지만, y(4N) 지점(N은 자연수)에서의 x지점 위치와 y(4N+2)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밴드부(B2)의 크로스(C)는 y4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와 y8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6 지점으로 동일하고, y6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와 y10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9 지점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제2 밴드부(B2)의 크로스(C)는 y4 지점 및 y8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6 지점인 반면, y6 지점 및 y10 지점에서의 x지점 위치가 x9 지점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밴드부(B2)의 크로스(C)는 길이방향의 제3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와 길이방향의 제4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제2 밴드부(B2)의 원주방향(x 지점)을 따라가면서, 크로스(C)와 크로스(C) 사이에 반드시 훅(H)이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크로스(C)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110)로 형성된 제1 밴드부(B1)와 제2 와이어(210)로 형성된 제2 밴드부(B2)가 밴딩포인트를 기준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는 별도로 형성되어 중첩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스텐트 제조용 틀에서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한 후,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 중 나머지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210)는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크로스(C)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10)를 기준으로 따라갈 때, 제1 와이어(110)는 제2 와이어(210)와 교차하는 제1 지점(P1)에서 제2 와이어(210)보다 내측(스텐트(100)의 내측)으로 통과하고, 바로 다음 제2 와이어(210)와 교차하는 제2 지점(P2)에서 제2 와이어(210)보다 외측(스텐트(100)의 외측)으로 통과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와이어(210)를 기준으로 따라갈 때, 제2 와이어(210)는 제1 와이어(110)와 교차하는 제3 지점(P3)에서 제1 와이어(110)보다 내측(스텐트(100)의 내측)으로 통과하고 바로 다음 제1 와이어(110)와 교차하는 제4 지점(P4)에서 제1 와이어(110)보다 외측(스텐트(100)의 외측)으로 통과한다. 즉,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210)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에서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210)의 배치(내외측 기준)는 반대가 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110)로 형성된 제1 밴드부(B1)와 제2 와이어(210)로 형성된 제2 밴드부(B2)는 스텐트(10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210)가 크로스(C)만을 형성하며 교차하므로, 팽창하는 힘이 강하여 스텐트(100)를 인체에 삽입한 후 기관을 개통하기 용이하다. 게다가, 제1 밴드부(B1)의 제1 와이어(110)와 제2 밴드부(B2)의 제2 와이어(210) 사이에 훅(H)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과정이 복잡하지 않고, 제작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텐트(100)는 동일한 y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1개 형성된다. 따라서, 스텐트(100)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y 지점)를 기준으로 볼 때, 항상 동일한 숫자의 훅(H)과 크로스(C)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훅(H)이 고르게 배열되어 스텐트(100)가 꼬이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규칙적인 훅(H)의 배열로 스텐트(100)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동일한 y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훅(H)이 반드시 6개 형성되고, 크로스(C)가 반드시 1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훅(H)이 6개 이상일 수 있고, 크로스(C)가 1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텐트(100)는 제1 밴드부(B1) 자체의 크로스(C1)(즉, 제1 와이어(110)로만 형성된 크로스(C))와 제2 밴드부(B2) 자체의 크로스(C2)(즉, 제2 와이어(210)로만 형성된 크로스(C))는 x지점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밴드부(B1) 자체의 크로스(C1)는 x3 지점과 x14 지점인 반면, 제2 밴드부(B2) 자체의 크로스(C2)는 x6 지점과 x9 지점이다.
또한,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텐트(100)는 원주방향의 특정위치(동일한 x 지점)를 기준으로 볼 때, 제1 밴드부(B1) 자체의 크로스(C1) 사이에는 반드시 제2 밴드부(B2) 자체의 훅(H2)이 배치되고, 제2 밴드부(B2) 자체의 크로스(C2) 사이에는 반드시 제1 밴드부(B1) 자체의 훅(H1)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x14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밴드부(B1) 자체의 크로스(C1)가 형성된 x14y3 지점과 x14y7 지점 사이에는 제2 밴드부(B2) 자체의 훅(H2)이 형성된 x14y4 지점이 배치된다.
따라서, 스텐트(100)의 원주방향의 특정위치(x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제1 밴드부(B1) 자체의 크로스(C1)와 제2 밴드부(B2) 자체의 크로스(C2)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강한 제2 밴드부(B2) 자체의 훅(H2)과 제1 밴드부(B1) 자체의 훅(H1)이 배치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텐트(100)는 제1 밴드부(B1)와 제2 밴드부(B2)가 y지점을 기준으로 1 단위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210)가 교차하면서 제1 메시(310)가 분할되어, 마름모형의 제2 메시(320), 평행사변형의 제3 메시(330), 및 마름모형의 제4 메시(340)가 각각 일정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면적은 제2 메시(320), 제3 메시(330), 및 제4 메시(340) 순으로 작아진다. 제2 메시(320) 내지 제4 메시(340)의 배치를 살펴보면, 1개의 제2 메시(320)를 중심에 두고 제2 메시(320)를 둘러싸도록 제3 메시(330)와 제4 메시(340)가 교대로 4개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시(320)의 4개의 변은 하나씩 4개의 제3 메시(330)와 공유하고, 제2 메시(320)의 4개의 꼭지점은 하나씩 4개의 제4 메시(34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시(310)의 변은 제1 길이(L1)를 갖고, 이때 제2 메시(320)의 변은 제1 길이(L1)의 4분의 3을 갖으며, 제3 메시(33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은 제1 길이(L1)의 4분의 3을 갖고 상대적으로 짧은 변은 제1 길이(L1)의 4분의 1을 갖으며, 제4 메시(340)의 변은 제1 길이(L1)의 4분의 1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텐트(100)는 면적이 서로 상이한 제2 메시(320), 제3 메시(330), 제4 메시(340)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즉, 3개의 다른 면적을 갖는 메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원주방향으로 직경이 늘어나기 쉬운 구조이므로, 장기에 장착되는 경우 음식물 등이 통과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제4 메시(340)는 4개의 꼭지점 중,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되거나 1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의 개수는 1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의 개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는 20개이고, 1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는 8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보다 2개의 꼭지점에 훅(H)이 형성된 제4 메시(340)가 2배 이상 많으므로, 대다수의 훅(H)은 제4 메시(340)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4 메시(340)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형성된 훅(H)을 한쌍의 훅(HH)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훅(HH)을 이루는 2개의 훅(H) 간의 거리는 제4 메시(340)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 간의 거리로, 하나의 한쌍의 훅(HH)과 다른 하나의 한쌍의 훅(HH) 사이의 최소거리(제2 메시(320)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 간의 거리 또는 제1 메시(310)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한쌍의 훅(HH)에 의해서 스텐트(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하나의 한쌍의 훅(HH)과 다른 하나의 한쌍의 훅(HH)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므로, 스텐트(100)의 유연성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0)는 동일한 각도로 모든 훅(H)을 형성하여 압축하였을 때 길이변화(쇼트닝)이 적어 정확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스텐트 110: 제1 와이어
210: 제2 와이어 310: 제1 메시
320: 제2 메시 330: 제3 메시
340: 제4 메시 410: 제1 직선부
420: 제2 직선부 H: 훅
H1: 제1 와이어로 형성된 훅 H2: 제2 와이어로 형성된 훅
HH: 한쌍의 훅 C: 크로스
C1: 제1 와이어로만 형성된 크로스 C2: 제2 와이어로만 형성된 크로스
P1: 제1 지점 P2: 제2 지점
P3: 제3 지점 P4: 제4 지점
B1: 제1 밴드부 B2: 제2 밴드부
L1: 제1 길이 L2: 제2 길이

Claims (10)

  1. 제1 와이어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가 교차하여 마름모형의 제1 메시를 형성하는 제1 밴드부; 및
    제2 와이어가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밴딩되어 원통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가 교차하여 마름모형의 제1 메시를 형성하는 제2 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교차하면서 상기 제1 메시가 분할되어, 마름모형의 제2 메시, 평행사변형의 제3 메시, 및 마름모형의 제4 메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메시, 상기 제3 메시, 및 상기 제4 메시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으며,
    상기 제2 메시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 메시를 둘러싸도록 제3 메시와 제4 메시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숫자의 훅과 크로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숫자의 훅과 크로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훅의 개수가 크로스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2 밴드부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훅의 개수가 크로스의 개수보다 많으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원주방향의 특정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밴드부 자체의 크로스 사이에는 상기 제2 밴드부 자체의 훅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 자체의 크로스 사이에는 상기 제1 밴드부 자체의 훅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메시의 4개의 변은 하나씩 4개의 상기 제3 메시와 공유하고, 상기 제2 메시의 4개의 꼭지점은 하나씩 4개의 상기 제4 메시와 공유하고,
    상기 제1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3을 갖으며,
    상기 제3 메시의 긴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3을 갖고 짧은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1을 갖으며,
    상기 제4 메시의 변은 상기 제1 길이의 4분의 1을 갖고,
    상기 제1 밴드부의 크로스는 길이방향의 제1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와 길이방향의 제2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상이하고,
    상기 제2 밴드부의 크로스는 길이방향의 제3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와 길이방향의 제4 지점에서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는 크로스만을 형성하며 교차하는 스텐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크로스와 크로스 사이에 훅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크로스와 크로스 사이에 훅이 배치되는 스텐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는 4개의 꼭지점 중,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되거나 1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된 상기 제4 메시의 개수는 1개의 꼭지점에 훅이 형성된 상기 제4 메시의 개수의 2배 이상인 스텐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의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에 형성된 훅을 한쌍의 훅이라고 정의 할 때,
    한쌍의 훅을 이루는 2개의 훅간의 거리는 하나의 한쌍의 훅과 다른 하나의 한쌍의 훅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작은 스텐트.
KR1020150148553A 2015-10-26 2015-10-26 스텐트 KR10177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53A KR1017773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53A KR1017773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96A KR20170047896A (ko) 2017-05-08
KR101777366B1 true KR101777366B1 (ko) 2017-09-12

Family

ID=5992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53A KR101777366B1 (ko) 2015-10-26 2015-10-26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506B1 (ko) * 2020-04-03 2022-05-06 박성욱 의료용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96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6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having superior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manufactured thereby
US5503636A (en) Self-expanding stent for hollow organs
US20110125250A1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125500A1 (en) Intrasacular Aneurysm Occlusion Device with Mesh-Filled Loops
JP6278973B2 (ja) 非対称ステントスプリングを有する血管インプラント
KR20170049351A (ko) 카테터
KR101764420B1 (ko) 스텐트
KR102589090B1 (ko) 색전술 장치 및 그것의 스프링 코일
WO2023140214A1 (ja) ステント
JP6177259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KR20160091965A (ko) 스텐트
CN107847331B (zh) 具有改进的防滑功能的支架
KR101764405B1 (ko) 스텐트
KR101777366B1 (ko) 스텐트
KR20090038209A (ko) 스텐트
US2015012708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and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manufactured by the same
CN103357104A (zh) 导丝
KR101764417B1 (ko) 스텐트
KR101764419B1 (ko) 스텐트
CN104042297B (zh) 使用扁圆技术的编织偏流元件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JP6195382B2 (ja) 医療用チューブ体
US11712354B2 (en) Highly flexible stent
JP2014217487A (ja) ステント
KR101616864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