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046A -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046A
KR20120068046A KR1020127013086A KR20127013086A KR20120068046A KR 20120068046 A KR20120068046 A KR 20120068046A KR 1020127013086 A KR1020127013086 A KR 1020127013086A KR 20127013086 A KR20127013086 A KR 20127013086A KR 20120068046 A KR20120068046 A KR 2012006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slide
switch
tongue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니무라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41Slot and tab or ton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한 이젝터(22)의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는 상부판(42)에 형성된 긴 구멍(63)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 IC 스위치(34)에 근접한 단부에서 슬라이더 부재(24) 상에 영구자석(25)이 장착된다. 한 쌍의 탄성 걸림편(78)은 각각 긴 구멍(63)에 삽입통과해서, 이젝터(22)의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맞춤부(79)에 걸어 맞춰 장착한다.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26)에서, 영구자석(25)에 인접한 위치인 외부판(105)의 프레임 부재(21)에 근접한 단부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 상에 홀 IC 스위치(34)가 끼워 맞추어진다.

Description

버클 장치{BUCKLE DEVICE}
본 발명은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삽입 이탈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텅 플레이트를 버클 본체에 삽입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기구가 마련된 다양한 버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버클장치는 긴 쪽 방향 양단이 개방된 대략 사각 통형상의 커버를 구비한다. 부착편이 일단 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버클 본체에 커버를 부착한다. 스위치의 윙(wing)부는 외측으로 휘게 해서 간격을 넓히고, 부착편의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커버의 타단 측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커버 내에 스위치를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를 버클 본체에 삽입한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클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4909호 참조).
그러나, 상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4909호에 기재되는 버클에서는 버클 본체를 커버 내에 수납한 후, 스위치를 커버와 부착편의 간극으로부터 삽입해서 부착한다. 따라서, 버클 조립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의 걸어 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버클 장치는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가 삽입 이탈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인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한쪽의 외측면 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에 상기 텅 플레이트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텅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래치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 내에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 방향 및 이탈 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에 압압되어 이동하고, 상기 이탈 방향으로의 부세력이 부여되는 이젝터 부재,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한쪽에서 상기 이젝터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을 거쳐 상기 이젝터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이젝터 부재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며, 정면에서 볼 때 문 형상인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두 개의 끝부의 하나에 장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근접하게 위치된 자석측 측벽부의 외측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 중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에서 상기 영구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 상기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상인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긴쪽 방향 양 단면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긴쪽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설치된 제1 및 제2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상기 제1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세워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걸림턱이 끼워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프레임 형상인 돌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상기 제1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세워 마련된 벽면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의 걸림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자석 검출 수단의 삽입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1의 걸림턱을 상기 돌기 지지 프레임에 끼워 삽입하면서, 상기 제2의 걸림턱을 상기 탄성 걸림편 측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2의 걸림턱이 상기 탄성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되어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장치에서. 상기 버클 본체는 상기 자석측 측벽부에 서로 대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근방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슬라이드 브러시의 이동에 의해서 접점의 개폐가 실행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잘라 내어진 가로로 긴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두 개의 끝부의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로 긴 절결부에 삽입통과되고, 또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벽면을 따라 직각으로 연장되며,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인 걸어맞춤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에 대향하는 배면부에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설치된 한 쌍의 돌출편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근방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걸어맞춤 리브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 리브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에 맞닿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접점의 개폐가 실행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해당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클 장치에서 영구자석이 부착된 슬라이더 부재는 텅 플레이트에 눌려 프레임 부재 내를 이동하는 이젝터 부재에 한 쌍의 긴 구멍을 거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텅 플레이트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에서 슬라이더 부재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위치를 베이스 부재의 외측에 부착된 자석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의 걸어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버클 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의 영구자석에 대향하는 자석측 측벽부의 외측에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을 장착한 후, 커버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클 장치의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버클 장치에서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은 제1의 걸림턱을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돌기 지지 프레임에 끼워 삽입하면서, 제2의 걸림턱을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탄성 걸림편측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제2의 걸림턱이 탄성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된다. 그 결과,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을 원터치로 버클 본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클 장치의 조립 작업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버클 장치에서 슬라이드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근방 위치에 장착한 경우에는 슬라이더 부재에 마련된 걸어맞춤 리브가 슬라이드 브러시의 배면부에 소정 간격으로 돌출설치된 한 쌍의 돌출편의 사이에 위치한다.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에 따라 걸어맞춤 리브가 돌출편에 맞닿아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브러시의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슬라이드 스위치의 접점의 개폐가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해당 텅 플레이트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가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텅 플레이트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를 슬라이드 스위치를 거쳐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의 걸어맞춤 해제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석 위치 검출 수단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도, 텅 플레이트와 래치 부재의 걸어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버클 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에 자석 위치 검출 수단과 슬라이드 스위치를 장착한 후, 커버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버클 장치의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의 상하의 커버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X1-X1 화살표 단면도.
도 4는 버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이젝터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6은 슬라이드 버튼을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7은 슬라이더 부재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를 이젝터에 걸어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9는 베이스 부재에 스토퍼 부재와 레버 부재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0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와 래치를 조립하는 설명도.
도 11은 프레임 부재에 베이스 부재를 고정시키는 설명도.
도 12는 각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도 13은 베이스 부재의 일 부분에 홀 IC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홀 IC 스위치의 평면도.
도 15는 홀 IC 스위치의 정면도.
도 16은 홀 IC 스위치의 저면도.
도 17은 도 2의 X2-X2 화살표 단면도.
도 18은 기구적 스위치의 사시도.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기구적 스위치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 20은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의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X3-X3 화살표 단면도.
도 22는 슬라이드 버튼을 압압해서 텅 플레이트가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버클 장치에 대해 구체화한 1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략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 장치(1)의 상하의 커버(2,4)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커버(2)를 벗긴 버클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장치(1)는 합성 수지제의 상부 커버(2), 버클 본체(3)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를 하부 커버(4)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부재(21)의 양 측면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각 돌기부(7)를 하부 커버(4)의 각 위치 결정 홈(8)에 끼워 삽입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버클 본체(3)는 이 하부 커버(4)의 내측 양 측면부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대략 삼각형 단면의 각 걸림부(9)에 프레임 부재(21)의 양 측면부가 걸어 고정되고, 하부 커버(4)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버클 본체(3)의 슬라이드 버튼(11)과 하부 커버(4)의 돌출부(12)가 상부 커버(2)의 개구(13) 내에 삽입되고, 하부 커버(4)는 상부 커버(2)의 하단면에 꽉 누른다. 각각의 돌출부(12)는 하부 커버(4)의 측 위에서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끝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코너부에 형성된 정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하부 커버(4)의 대략 삼각형상 단면의 각 걸림 발톱(14)이 상부 커버(2) 내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하부 커버(4)가 상부 커버(2)에 장착된다. 또, 개구(13)에 대해 길이 방향 타단 측에는 리드선(15)이 인출되는 슬릿 구멍(16)이 형성된다.
또, 개구(13)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하측에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되는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18)는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방향 선단부를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로 안내하도록, 안쪽 측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버클 본체(3)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버클 본체(3)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버클 본체(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는 스틸 등의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21), 합성 수지제의 이젝터(22), 이젝터 스프링(23),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버튼(11),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더 부재(24), 영구자석(25),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 부재(26),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스토퍼 부재(27),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레버 부재(28),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29), 스틸 등의 금속제의 래치(30), 래치 스프링(31), 버튼 스프링(32),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리벳(33), 홀 IC 스위치(34)와 기구적 스위치(35)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
다음에,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젝터(22)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1)는 스틸재 등의 판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단부의 각각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플랜지 홀(38)이 형성된다. 리벳(41)은 한 쌍의 플랜지 홀(38)에 삽입 통과되어 코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커버(2)에 대향하는 상부판(42)과 하부 커버(4)에 대향하는 하부판(43)의 사이에, 플랜지 홀(38)의 높이의 2배의 높이를 갖는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U자 형상으로 절곡된 프레임 부재(21)의 절곡 저부, 즉, 프레임 부재(21)의 개구(13) 측의 단부에는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된 슬릿 형상의 삽입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절곡 선단측, 즉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삽입 구멍(46)에 서로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47)가 상부판(42)과 하부판(43)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웨빙 또는 와이어의 일단측은 개구(47)에 삽입통과되어 장착된다. 웨빙 또는 와이어의 타단측은 차량에 고정된다.
[이젝터와 이젝터 스프링]
또, 프레임 부재(21)의 내측에는 삽입 구멍(46)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이젝터 스프링(23)이 삽입된다. 이 이젝터 스프링(23)은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단면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48) 사이에 신축 자유롭게 삽입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21) 내에는 이젝터(22)가 삽입 구멍(4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젝터(22)는 본체부(50)와 로드(51)를 구비한다. 로드(51)는 본체부(50)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되고, 이젝터 스프링(23)의 일단측에 삽입되고, 삽입 구멍(46) 측을 향해 힘을 가한다. 또, 이젝터(22)는 본체부(50)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걸림편(52)을 구비한다. 한 쌍의 탄성 걸림편(52)은 로드(5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 즉 상부 커버(2)의 슬릿 구멍(16)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걸림편(52)의 길이는 삽입 구멍(46)으로부터 본체부(50)의 전체를 삽입부(45)에 삽입한 경우에, 각 플랜지 홀(38)에 도달하는 길이이다. 또,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 근방에는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상의 걸림턱(53)이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젝터(22)를 삽입 구멍(46)으로부터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안쪽 측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각 걸림턱(53)이 각 플랜지 홀(38)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이젝터(22)와 이젝터 스프링(23)이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되고, 이젝터(22)의 슬라이드 거리가 일정 범위로 제어된다(도 6 참조).
[슬라이드 버튼]
다음에, 슬라이드 버튼(11)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슬라이드 버튼(11)을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버튼(11)은 정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형상의 조작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56)는 개구(13) 측을 향한 압압면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을 슬릿 구멍(16)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조작부(56)의 압압면과 반대 측의 배면부의 길이 방향 양단(도 2 중, 상하 방향 양단임)으로부터는 한 쌍의 측판(57)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측판(57)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상부판(42)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각 측판(57)의 연장 방향의 끝 부분에서 각각 상부판(42)에 대향하는 코너부에는 내측을 향한 발톱편(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발톱편(58)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프레임 부재(21)의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하게 마련된다. 걸어 맞춤 상태에서 발톱편(58)은 슬라이드 버튼(11)을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이탈 불능이고 또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또, 각 측판(57)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래치 지지 프레임(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지지 프레임(61)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62)를 구비한다. 각 측벽(62)은 조작부(56)의 압압면과 반대측의 배면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62)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긴 구멍(63)에 대향하는 간격으에 배치된다. 한 쌍의 긴 구멍(63)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돌출부(48)를 사이에 두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62)의 내면에는 각 측벽(62)의 연장 방향측 끝 부분에 스토퍼(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벽(62)은 스토퍼(65)보다도 조작부(56)측의 측벽(62)의 내면에는 버튼 슬로프(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버튼 슬로프(66)는 조작부(56)와는 반대 방향 측을 향하도록, 즉 개구(47)에 대해 프레임 부재(21)와는 반대 방향 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다. 프레임 부재(21)와는 반대측을 향한 면은 조작부(56) 측을 향해 근접하고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형성된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62)의 내측면에는 조작부(56) 측 기단부의 프레임 부재(21) 측의 코너부에 맞닿음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맞닿음부(67)는 조작부(56)의 배면부에서 버튼 슬로프(66)를 향해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고, 단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맞닿음부(67)는 베이스 부재(26)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 운동된 경우에는 이 레버 부재(28)에 닿고(도 24 참조), 또한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레버 부재(28)의 하측을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2 참조).
또, 각 측벽(62) 사이의 중앙부에는 조작부(56)의 프레임 부재(21) 측 끝 부분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가늘고 긴 부재(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늘고 긴 부재(68)는 프레임 부재(21)의 삽입 구멍(46)으로부터 상부판(42)의 돌출부(48) 내에 삽입되어 이젝터(22)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조작부(56)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에는 프레임 부재(21) 측 끝 부분으로부터 상부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63)에 끼워진 부분의 폭에 대략 동등한 폭으로 연장된 연장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연장부(71)는 연장부(71)의 연장 방향 측 끝 부분의 폭 방향 양단부에 프레임 부재(21)를 향해 돌출한 한 쌍의 다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다리부(72)는 상부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6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긴 구멍(63)을 관통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터 스프링(23)과 이젝터(22)가 장착된 프레임 부재(21)의 각 긴 구멍(63)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다리부(72)를 삽입통과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판(57)에 형성된 각 발톱편(58)을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에 프레임 부재(21)의 외측으로부터 걸어 맞추어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버튼(11)이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이탈 불능이고 또한 상부판(42) 상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7 참조).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가늘고 긴 부재(68)가 이젝터(22)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 맞닿는다(도 3 참조).
[슬라이더 부재]
다음에, 슬라이더 부재(24)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7,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슬라이더 부재(24)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24)를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된 이젝터(22)에 걸어 고정시키는 설명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연장부(71)을 타고 넘도록 정면에서 보아 대략 문(門)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슬라이더 부재(24)의 두께는 길이 방향의 연장부(71)의 길이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상면부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한쪽의 끝 부분(도 2 중, 하측 끝 부분이며, 홀 IC 스위치(34)에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5)내에 대략 직방체 형상의 영구자석(25)이 삽입되어 접착 등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5)내에 영구자석(25)을 삽입한 후, 상기 오목부(75)의 개구측 끝 부분을 용융 등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영구자석(25)을 오목부(75)내에 고정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폭 방향 양측의 각 다리부(76)의 높이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상면부에서 연장부(71)의 표면까지의 높이보다 조금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 부재(24)와 연장부(71)의 사이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이 장착된 한쪽의 다리부(76)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다리부(76)에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 측 끝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또한 위쪽으로 연장된 단면 L자형의 걸어 맞춤 리브(77)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다리부(76)의 상부판(42) 측 단면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걸림편(7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탄성 걸림편(78)의 선단부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에 개방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걸어 맞춤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가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된 경우에는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 맞춤부(79)는 각각 긴 구멍(63)에 대향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25)이 장착된 슬라이더 부재(24)의 각 탄성 걸림편(78)을 연장부(71)를 타고 넘도록 프레임 부재(21)의 각 긴 구멍(63)에 삽입통과해서,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 맞춤부(79)에 걸어 맞춰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한쪽의 끝 부분에 영구자석(25)이 고착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끝 부분에 걸어맞춤 리브(77)가 형성된 슬라이더 부재(24)는 프레임 부재(21)로부터 이탈 불능이고 또한 이젝터(22)와 일체적으로 상부판(42) 상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11 참조).
[베이스 부재]
다음에, 베이스 부재(26)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9 내지 도 11, 도 13,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베이스 부재(26)에 스토퍼 부재(27)와 레버 부재(28)를 조립하는 설명도 이다. 도 10은 프레임 부재(21)에 베이스 부재(26) 및 래치(30)를 조립하는 설명도 이다. 도 11은 프레임 부재(21)에 베이스 부재(26)를 고정시키는 설명도 이다. 도 13은 베이스 부재(26)의 홀 IC 스위치(34)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이다. 도 19는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35)를 장착하는 부분의 확대도 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9,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대략 전체면을 덮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대한 베이스 부재(26)의 폭은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판(57)보다 내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 부재(26)의 슬라이드 버튼(11) 측 끝 부분에는 프레임 부재(21) 측에 개구된 래치 수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수납부(82)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11)의 슬라이드 방향에 교차하는 한 쌍의 유지판(83)을 구비한다. 이들 유지판(83)의 사이에 래치(30)가 배치된다.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대한 각 유지판(83)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삽입홈(8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홈(84)은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각 측벽(62)이 프레임 부재(21) 측으로부터 삽입되게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베이스 부재(26)에 있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에 대향하는 측의 유지판(83)의 하나에는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이 마련된다.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조작부(56) 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레버 지지편(85)의 각각에는 한 쌍의 축 지지홈(87)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 지지홈(87)의 각각은 단면이 대략 원형 형상이고, 레버 지지편(85)의 상단부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형성된다. 한 쌍의 축 지지홈(86) 내에 각각 한 쌍의 레버 회전운동 축(8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레버 부재(28)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레버 부재(28)의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에 더 근접한 레버 부재(28)의 다른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8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28)가 상부판(42)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한 경우, 각 레버 지지편(85)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측의 끝 부분은 각 돌출편(88)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8)는 한 쌍의 회전운동축(86)에 토션 스프링(29)의 자유단이 상측이 되도록 장착한 후, 이 한 쌍의 레버 회전운동축(86)을 각 레버 지지편(85)에 형성된 축 지지홈(86)에 절결부로부터 끼워 넣는 것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 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 된다. 또한,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을 절결부에 끼워 넣을 때, 각 레버 회전운동축(86)의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직선부를 상하 방향, 즉, 레버 부재(28)를 상부판(42)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하여 절결부에 끼워 넣는다. 또, 레버 부재(28)의 한 쌍의 돌출편(88)은 상기 레버 부재(28)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4 참조).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평행한 한 쌍의 삽입홈(84) 상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은 각 레버 지지편(85)보다 상측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 측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한 쌍의 스토퍼 지지편(91)의 각각에는 단면이 반원형이고 위쪽으로 개방된 한 쌍의 축 지지홈(95)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축 지지홈(95)에 끼워진다. 한 쌍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은 스토퍼 부재(27)의 단면이 대략 육각형의 관성 질량체(92)의 상단부에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다(도 13, 도 19 참조). 또, 각 축 지지홈(95)의 프레임 부재(21) 측의 폭 방향 양 외측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각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이 원호형상의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96)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도 19 참조).
또,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끝 부분에서 베이스 부재(26)는 각 스토퍼 지지편(91)에 대향하도록,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규제편(97)을 구비한다(도 13, 도 19 참조). 이 한 쌍의 회전 규제편(97)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최하단에 대향하도록 세워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연장부(101)가 스토퍼 부재(27)의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방향 외측 끝 부분에 마련된다. 각각의 한 쌍의 연장부(101)는 관성 질량체(92)에 대향하고 또한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측면에 대향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대략 부채형의 판형상으로 연장된다. 또, 각각의 연장부(101)의 둘레 방향 내면 상의 끝 부분에 한 쌍의 슬라이딩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102)는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주면에 대향하도록 연장된다. 또, 각 연장부(101)의 축 방향 외측면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끝 부분에는 한 쌍의 돌기(103)가 마련된다. 각각의 돌기(103)는 각각의 회전 규제편(97)의 상단면에 맞닿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7)는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을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축 지지홈(95)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외측 끝 부분에 마련된 각 슬라이딩부(102)를 각 스토퍼 지지편(91)의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 레버 부재(28)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29)의 자유단 측을 관성 질량체(92)의 베이스 부재(26) 측의 단면부에 맞닿게 한다(도 3 및 도 10 참조). 그 결과, 각 슬라이딩부(102)와 각 슬라이딩 안내부(96)에 의해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이 축 지지홈(95)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28)는 토션 스프링(29)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레버 부재(28)의 상단면에 맞닿는 관성 질량체(92)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측의 끝 부분를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한편, 스토퍼 부재(27)는 관성 질량체(92)가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지만,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각 돌기(103)가 각 회전규제편(97)의 상단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8)는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레버 부재(28)의 상단면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의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 측의 단면 대략 V자형으로 돌출된 끝 부분가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또, 관성 질량체(92)의 중력 중심은 각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심으로부터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편심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한다(도 24 참조).
또,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의 개구(13)에 대해 반대 측의 단면에는 각 삽입홈(84)의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양 외측 둘레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외부판(105)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외부판(105)의 각각은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된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외부판(105)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더 부재(24)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는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한 경우,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에 대향하는 외부판(105)에 형성된다.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는 하나의 외부판(105)의 프레임 부재(21)에 근접한 끝 부분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한 경우, 슬라이더 부재(24)의 영구자석(25)에 대해 반대측의 측면부에 대향하는 외부판(105)에는 프레임 부재(21) 측의 끝 부분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가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외부판(105) 측의 기단부에는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이 외부판(105)을 소정 높이 잘라내는 동시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기단부를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 맞춤 리브(77)가 삽입통과 가능한 폭으로 잘라낸 가로로 긴 절결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와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각각의 래치 수납부(82) 측의 끝 부분에는 각 위치결정편(111)이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외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결정편(111)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양 측면부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한 쌍의 절결부(112)(도 5 참조)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와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각 위치결정편(111)에 서로 대향하는 끝 부분에는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의 외측의 끝 부분에서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후, 또 래치 수납부(82) 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각 걸림편(113)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각 걸림편(113)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의 양 측면부에 있어서, 각 돌기부(7)의 근방 위치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U자형의 한 쌍의 절결부(115)(도 5 참조)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토퍼 부재(27)와 레버 부재(28)가 장착된 베이스 부재(26)를 프레임 부재(21)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 내의 천정면의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된 스프링 보스(114)에 래치 스프링(31)의 일단측을 끼워 넣고, 또한, 래치(30)를 프레임 부재(21) 측으로부터 각 유지판(83)의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를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 내에 넣어, 각 삽입홈(84)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벽(62)을 삽입하는 동시에, 가로로 긴 절결부(108)에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를 삽입통과시켜 프레임 부재(21) 측에 밀어 넣는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6)의 각 위치결정편(111)을 프레임 부재(21)의 각 절결부(112)에 끼워 넣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26)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각 걸림편(113)을 프레임 부재(21)의 각 절결부(115)에 밀어 넣어 걸어 맞춘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26)가 래치 수납부(82) 내에 래치(30) 및 래치 스프링(31)을 수납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21) 상에 걸어 고정된다. 또,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는 가로로 긴 절결부(108)를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면을 따라 이젝터(22)와 일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측벽(62)은 베이스 부재(26)의 각 삽입홈(84)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벳(33)을 베이스 부재(26)의 각 리벳 삽입통과 구멍(116)에 삽입통과하여,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관통하는 각 리벳구멍(117)과 하부판(43)의 각 리벳구멍(117)에 대향해서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리벳구멍에 통과시켜 코킹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26)는 프레임 부재(21)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상단부의 폭 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래치 수납부(82)를 향해 세워 마련된 단면 십자형상의 로드(118)에, 버튼 스프링(32)의 일단을 끼워 넣는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의 조작부(56)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연장부(71)측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 위치에 세워 마련된 단면 십자형의 돌출부(121)에 버튼 스프링(32)의 타단을 끼워 넣는다. 또, 이 돌출부(121)의 주위에는 버튼 스프링(32)의 타단의 주위에 맞닿는 커버부(122)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 결과,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에 의해서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지고, 조작부(56)를 압압해서 놓으면,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30)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해 교대(abutment) 편(125)이 연장되어 있다. 또, 래치(30)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는 프레임 부재(21)를 향해 걸어맞춤편(126)이 연장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편(126)은 프레임 부재(21)의 상부판(42)에 형성된 관통구멍(127)(도 3, 도 5 참조) 및 하부판(43)에 형성된 관통구멍(128)(도 3, 도 5 참조)에 대응하고 있고, 하부판(43)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관통구멍(127, 128)을 관통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의 각 유지판(83)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하고,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 방향(도 3 중, 하부 방향 및 상부 방향임)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일단 측이 래치 수납부(82) 내의 천정면에 세워 마련된 스프링 보스(114)에 끼워 넣어진 래치 스프링(31)의 타단측은 래치(30)의 표면의 오목부에 맞닿아 있고, 이 래치(30)를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 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은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마련된 각 스토퍼(65)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각 스토퍼(65)는 각 교대 편(125)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측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 각 스토퍼(65)의 하면과 각 버튼 슬로프(66)는 소정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각 스토퍼(65)의 하면은 래치(30)의 각각의 교대 편(125)의 상면에도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토퍼(65)는 각 교대 편(125)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 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래치(30)의 이동을 저지한다.
[각 스위치]
다음에, 홀 IC 스위치(34) 및 기구적 스위치(35)의 장착에 대해 도 12 내지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각 스위치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설명도 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홀 IC 스위치(34)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이다. 도 17은 도 2의 X2-X2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8은 기구적 스위치(35)의 사시도 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를 각 리벳(33)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 고정시킨 후, 버튼 스프링(32)을 장착한 상태에서, 홀 IC 스위치(34)를 베이스 부재(26)의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상에 걸어 고정시킨다. 또, 기구적 스위치(35)를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걸어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버클 본체(3)가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홀 IC 스위치(34)와 기구적 스위치(35) 중의 한쪽만을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홀 IC 스위치(34)의 베이스 부재(26)에의 장착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에는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대략 긴 사각형이고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131) 내에 자기를 검출하는 홀 소자(132)가 마련된다. 홀 IC 스위치(34)는 홀 소자(132)에의 영구자석(25)의 근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홀 IC 스위치(34)의 내측에서 홀 소자(132)는 케이스(131) 내의 리드선(15)의 인출측인 끝 부분 근방, 즉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의 끝 부분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4)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영구자석(25)이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는 슬라이드 버튼(11)에 근접한 측의 단면의 길이 방향에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의 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33)의 일부분은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측면 에지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면의 하단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외부판(105) 측의 단부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이 단면에는 이 걸림턱(133)에 대해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상단부에서 높이 방향 중앙 위치까지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편(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단면에 서로 대향하는 단면에는 하단 가장자리부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연장된 걸어맞춤 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부의 외부판(105) 측의 측면 에지부 대략 중앙 위치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위치 결정 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돌기(136)의 높이는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두께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외부판(105)의 슬라이드 버튼(11)에 근접한 에지에서 외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면부에 마련된 탄성 걸림편(141)을 구비한다. 탄성 걸림편(141)은 슬라이드 버튼(11) 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판형상의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에 대향하는 부분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또, 이 탄성 걸림편(141)의 하단부와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상면까지의 간극은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의 두께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길이 방향의 걸림편(113) 측의 끝 부분에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걸어맞춤 프레임(142)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프레임(142)에 홀 IC 스위치(34)의 걸어맞춤 돌기(135)가 끼워 넣어진다. 또,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외부판(105) 측의 끝 부분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의 관통구멍(14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43)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부에 세워 마련된 위치 결정 돌기(136)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의 걸어맞춤 돌기(135)를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42)에 끼워 넣으면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의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26)의 탄성 걸림편(141)의 하단부에 걸어 맞춰진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저면에 세워 마련된 위치 결정 돌기(136)가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의 외부판(105) 측의 끝 부분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43)에 끼워 넣어진다.
또, 도 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IC 스위치(34)의 각 리드선(15)은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45)을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주면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된 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홀 IC 스위치(34)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에 이탈 불능으로 장착된다.
다음에, 기구적 스위치(35)의 베이스 부재(26)에의 장착에 대해 도 2, 도 18 및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대략 긴 사각형의 프린트 회로 기판(151), 이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면 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금 도금된 동박 등으로 형성된 직선형상의 2개의 프린트 배선(152, 153), 인 청동 등으로 형성되어 각 프린트 배선(152, 153) 간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브러시(155)를 프린트 회로 기판(151) 측에 누른 상태에서, 이 프린트 기판(151)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걸어 맞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이고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프린트 배선(152, 153) 중의 한쪽의 프린트 배선(152)은 대략 중앙부에서 소정 폭으로 절제되어 전기적으로 절단되고, 일직선상에 배열된 각 프린트 배선(152A, 152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리드선(15)은 프린트 배선(152A)과 프린트 배선(153)에 각각 납땜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브러시(156)가 프린트 배선(152A) 상에 대향한 경우에는 브러시(155)에 의해서 각 프린트 배선(152A, 15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리드선(15)을 거쳐서 회로가 접속된다.
한편, 슬라이드 브러시(156)가 프린트 배선(152B) 상에 대향한 경우에는 각 프린트 배선(152A, 15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단되고, 각 리드선(15)을 거쳐서 회로가 절단된다. 즉, 기구적 스위치(35)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또,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외부판(105)에 대향하는 면의 슬라이드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15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를 베이스 부재(26)에 장착한 경우에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가 각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길이 방향 양 단면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 측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각 걸림턱(161, 16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6)의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길이 방향 양끝 부분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양끝 부분을 도 19 중 위쪽으로부터 끼워 넣는 한 쌍의 끼워 넣음 홈(1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걸림편(113) 측의 끝 부분에 형성된 끼워 넣음 홈(163)의 외측 끝 부분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151)의 걸림턱(161)이 끼워 넣어지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프레임형상의 걸어맞춤 프레임(1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의 슬라이드 버튼(11) 측의 끼워 넣음 홈(163)의 외측 끝 부분에는 프린트 기판(151)의 걸림턱(162)의 높이의 간극을 만들도록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 측을 향해 연장된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걸림편(165)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프린트 배선(152, 153)을 외부판(105)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드 브러시(156)를 슬라이드 버튼(11)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 즉 각 리드선(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기구적 스위치(35)의 걸림턱(161)을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64)에 끼워 넣으면서, 각 걸어맞춤 홈(163)에 양 끝 부분를 끼워 넣어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걸림턱(162)이 탄성 걸림편(165)에 걸어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도 2,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적 스위치(35)의 각 리드선(15)은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67)과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리드 멈춤편(168)을 거쳐, 베이스 부재(26)의 외주면을 대략 따라 절곡된 후,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기구적 스위치(35)는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외측에 이탈 불능으로 장착된다. 또,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슬라이더 부재(24)와 일체적으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2, 도 20 참조).
[텅 플레이트]
여기서, 텅 플레이트(1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도 20 및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텅 플레이트(17)를 삽입할 때의 상부 커버를 벗긴 버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3-X3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고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주위가 합성 수지재에 의해 피복된 텅 본체(171)를 구비하고 있다. 텅 본체(171)에는 슬릿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고, 긴 띠 형상의 웨빙(173)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웨빙(173)의 일단측이 좌석을 거쳐 버클 장치(1)와는 반대측의 차체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도시하지 않음)의 감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권취 드럼에 감겨 있다. 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는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 시에, 권취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웨빙(173)을 소정 길이만 긴축 측에 급격하게 인입하는 프리텐셔너(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승무원을 좌석에 강고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텅 플레이트(17)의 선단측은 삽입 판부(175)로 되어 있고, 개구(13)로부터 버클 본체(3)의 내측, 즉,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사이의 삽입부(45)에 삽입된다. 삽입 판부(175)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176)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구멍(176)은 삽입 판부(175)가 삽입부(45)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에는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대향 방향에 마련된 각 관통구멍(127, 128)과 중첩되고, 각 관통구멍(127, 128)을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관통함으로써,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을 관통한다.
[통상시의 작용/효과]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클 장치(1)의 통상시의 작용/효과에 대해 도 2, 도 3, 도 20 및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하측으로부터 맞닿고 있으므로,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서 래치(30)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를 개구(13)로부터 삽입부(45)에 삽입해 가면, 우선, 삽입 판부(175)가 이젝터(22)의 전단에 형성된 오목부에 걸어 맞춰져 삽입 판부(175)가 이젝터(22)를 압압한다. 계속해서, 삽입 판부(175)를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또한 삽입하여, 이젝터(22)를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키면, 이젝터(22)의 본체부(50)가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다리부(72)에 맞닿고, 각 다리부(72)를 압압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각 다리부(72)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으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래치(30)는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을 받아 걸어 맞춤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 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각 관통구멍(127, 128)을 관통하는 동시에,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을 관통하고,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다.
계속해서, 텅 플레이트(17)의 압압을 해제하면,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상태로 된다. 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상측부터 맞닿아, 래치(30)의 걸어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이 잠금 상태에서는 버클 장치(1)로부터의 텅 플레이트(17)의 빼냄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에 의해 규제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접속되고, ON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근방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N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걸림턱(161) 측, 즉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통해 회로가 단절되고,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버클 장치(1)는 웨빙(173)의 감기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는 관성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레버 부재(28)는 스토퍼 부재(27)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의 버클 본체로부터의 이탈]
다음에, 버클 본체(1)에서 텅 플레이트(17)의 이탈에 대해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슬라이드 버튼(11)을 압압해서 텅 플레이트(17)가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를 버클 본체(3)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를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손가락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버튼 슬로프(66)가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의 하면에 맞닿아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문에,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은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걸어 맞춤 해제 방향, 즉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측벽(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맞닿음부(67)는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의 하측을 통과한다.
따라서,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각 관통구멍(127, 128)으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으로부터 빠져 걸어 맞춤 해제 상태로 된다. 이때, 이젝터(22)의 전단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텅 플레이트(17)는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져 압출된다. 또,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측에 힘이 가해지고, 삽입 구멍(46)측으로 이동하여, 각 관통구멍(127, 128)과 중첩되어 폐색하고,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의 하단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슬라이드 버튼(11)에서 손을 놓으면,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에 힘이 가해지고, 슬라이드 버튼(11)의 통상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래치(30)의 각 교대 편(125)에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스토퍼(65)가 하측부터 맞닿아, 래치 스프링(31)의 부세력에 의해서 래치(30)가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버클 장치(1)는 웨빙(173)의 감기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는 관성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레버 부재(28)는 스토퍼 부재(27) 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도 23 및 도 2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11)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경우, 텅 플레이트(17)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웨빙(173)이 소정 길이만큼 조여지는 방향으로 급격하게 인입된다. 그 때문에,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에는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구멍(176)이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화살표 ‘181’ 방향임.)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하고,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한다.
또, 관성 질량체(92)의 중력 중심은 스토퍼 부재(27)의 스토퍼 회전운동축(93)의 축심보다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는 레버 부재(28)를 거쳐 힘이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측으로(화살표 ‘182’ 방향임) 회전운동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 부재(27)의 관성 질량체(92)의 개구(13)에 근접한 끝 부분은 레버 부재(28)의 상면부를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 레버 부재(28)를 프레임 부재(21) 측으로(화살표 ‘183’ 방향임) 회전운동시킨다.
또, 레버 부재(28)는 프레임 부재(21) 측으로 회전운동된 경우에는 각 돌출편(88)이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의 각 측벽(6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된다.
계속해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클 본체(3)에 대해 웨빙(173) 측에(화살표 ‘181’ 방향임) 급격한 가속도가 작용한 경우, 슬라이드 버튼(11)에도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화살표 ‘185’ 방향임)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고,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즉 텅 플레이트(17)와 래치(30)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은 회전 질량체(92)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은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 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시작한 슬라이드 버튼(11)의 각 맞닿음부(67)를 받아내고, 이 슬라이드 버튼(11)의 개구(13)에 대해 반대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하여, 래치(30)와 텅 플레이트(17)의 걸어맞춤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시에, 버클 본체(3)로부터 텅 플레이트(17)가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슬라이드 버튼(11)은 버튼 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서 개구(13) 측의 통상 위치로 복귀한다. 또, 스토퍼 부재(27)는 레버 부재(28)를 통해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각 돌기(103)가 베이스 부재(26)의 각 회전 규제편(97)에 맞닿는다. 또한, 레버 부재(28)도 토션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버클 장치(1)에 의하면,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프레임 부재(21) 내에 장착한 이젝터(22)의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는 상부판(42)에 형성된 긴 구멍(63)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 IC 스위치(34)에 근접한 단부에서 슬라이더 부재(24) 상에 영구자석(25)이 장착된다. 슬라이더 부재(24)의 한 쌍의 탄성 걸림편(78)은 각각 긴 구멍(63)에 삽입통과해서, 이젝터(22)의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어맞춤부(79)에 걸어 맞춰 장착한다.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26)에서, 영구자석(25)에 인접한 위치인 외부판(105)의 프레임 부재(21)에 근접한 단부에서 대략 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 상에 홀 IC 스위치(34)가 끼워 맞추어진다.
그 결과,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프레임 부재(21)의 삽입부(45)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해당 홀 IC 스위치(34)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근접하기 때문에, 홀 IC 스위치(34)는 ON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홀 IC 스위치(34)의 ON/OFF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텅 플레이트(17)와 래치(30)의 걸어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구적 스위치(35)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베이스 부재(26)의 외부판(105)의 프레임 부재(21)측 에지부에 형성된 가로로 긴 절결부(108)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더 부재(24)의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걸어맞춤 리브(77)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 상에 걸어 고정된다. 즉, 기구적 스위치(35)는 슬라이드 브러시(156)의 한 쌍의 돌출편(157)이 걸어맞춤 리브(77)의 양 측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걸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프레임 부재(21)의 삽입부(45)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따라서,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접속되고, ON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고,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 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걸림턱(161)측, 즉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A, 153)이 전기적으로 절단된다. 그 결과,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차단되고, OFF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기구적 스위치(35)의 ON/OFF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텅 플레이트(17)와 래치(30)의 걸어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홀 IC 스위치(34) 또는 메카니컬 스위치(35)의 한쪽이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도, 텅 플레이트(17)와 래치(30)의 걸어맞춤 해제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홀 IC 스위치(34)의 걸어맞춤 돌기(135)를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42)에 끼워 넣으면서, 홀 IC 스위치용 연장부(106)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홀 IC 스위치(34)의 걸림턱(133)의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26)의 탄성 걸림편(141)의 하단부에 걸어 맞춰진다. 그 결과, 홀 IC 스위치(34)를 원터치로 버클 본체(3)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버클 장치(1)의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를 슬라이드 버튼(11)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이 기구적 스위치(35)의 걸림턱(161)을 베이스 부재(26)의 걸어맞춤 프레임(164)에 끼워 넣으면서, 각 걸어맞춤 홈(163)에 양 단부를 끼워 넣어 기구적 스위치용 연장부(107)상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걸림턱(162)이 탄성 걸림편(165)에 걸어 고정된다. 그 결과, 기구적 스위치(35)를 원터치로 버클 본체(3)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버클 장치(1)의 조립 작업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버클 본체(3)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6)에 홀 IC 스위치(34)와 기구적 스위치(35)를 장착한 후, 하부 커버(4) 및 상부 커버(2)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버클 장치(1)의 조립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 예를 들면, 스토퍼 부재(27)의 회전 질량체(92)에 프레임 부재(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을 직접 장착하는 동시에, 각 맞닿음부(67)의 높이를 회전 질량체(92)가 프레임 부재(21)측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만 맞닿도록 구성하여, 레버 부재(28)를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또, 예를 들면, 레버 부재(28)의 각 돌출편(88)을 삭제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버튼(11)의 조작부(56)의 배면측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21)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만 맞닿음부(67)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레버 부재(28)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C) 또한, 예를 들면, 버클 본체(3)에 홀 IC 스위치(34) 또는 기구적 스위치(35)의 어느 한쪽만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D) 또한, 예를 들면, 홀 IC 스위치(34) 내의 홀 소자(132)를 리드선(15)의 인출측에 대향하는 안쪽측 끝 부분의 근방, 즉, 개구(13) 측의 끝 부분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각 리드선(15)을 프린트 배선(152B)과 프린트 배선(153)에 각각 납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5)에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젝터(22)는 이젝터 스프링(23)에 의해서 개구(13)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슬라이드 버튼(11)의 래치 지지 프레임(61)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N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개구(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B, 153)이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단절되고, OFF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7)가 삽입부(45)에 삽입되어, 래치(30)의 걸어맞춤편(126)이 걸어맞춤 구멍(176)에 걸어맞춰진 잠금 상태에서는 이젝터(22)가 텅 플레이트(17)의 삽입 판부(175)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21)의 길이 방향에서,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있다. 또, 이 이젝터(22)의 각 탄성 걸림편(52)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6)의 래치 수납부(82)에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의 단면 근방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 부재(24)에 고정된 영구자석(25)은 홀 IC 스위치(34)의 홀 소자(132)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홀 IC 스위치(34)는 OFF 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구적 스위치(35)의 슬라이드 브러시(156)는 한 쌍의 돌출편(157)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부재(24)의 걸어맞춤 리브(77)에 의해서 걸림턱(161) 측, 즉 개구(13)에 대해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각 프린트 배선(152B, 153)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문에, 기구적 스위치(35)는 각 리드선(15)을 거쳐 회로가 접속되고, ON 신호를 출력한다.

Claims (3)

  1. 웨빙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가 삽입 이탈되도록 구성된 버클 본체를 구비한 버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인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한쪽의 외측면 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시에 상기 텅 플레이트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텅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래치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 내에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 방향 및 이탈 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에 압압되어 이동하고, 상기 이탈 방향으로의 부세력이 부여되는 이젝터 부재,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한쪽에서 상기 이젝터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을 거쳐 상기 이젝터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이젝터 부재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며, 정면에서 볼 때 문 형상인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두 개의 끝부의 하나에 장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근접하게 위치된 자석측 측벽부의 외측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 중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에서 상기 영구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긴 사각형상인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긴쪽 방향 양 단면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긴쪽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설치된 제1 및 제2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상기 제1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세워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걸림턱이 끼워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프레임 형상인 돌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상기 제1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세워 마련된 벽면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의 걸림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자석 검출 수단의 삽입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1의 걸림턱을 상기 돌기 지지 프레임에 끼워 삽입하면서, 상기 제2의 걸림턱을 상기 탄성 걸림편 측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2의 걸림턱이 상기 탄성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어 고정되어 상기 자석측 측벽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본체는 상기 자석측 측벽부에 서로 대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근방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슬라이드 브러시의 이동에 의해서 접점의 개폐가 실행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잘라 내어진 가로로 긴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두 개의 끝부의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근접한 에지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로 긴 절결부에 삽입통과되고, 또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벽면을 따라 직각으로 연장되며,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인 걸어맞춤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에 대향하는 배면부에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설치된 한 쌍의 돌출편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측 측벽부의 외측 근방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걸어맞춤 리브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 리브가 상기 한 쌍의 돌출편에 맞닿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브러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접점의 개폐가 실행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부재가 걸어 맞춰진 상태 또는 상기 텅 플레이트가 해당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장치.
KR1020127013086A 2009-10-28 2010-10-12 버클 장치 KR20120068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8050 2009-10-28
JPJP-P-2009-248050 2009-10-28
JPJP-P-2010-208940 2010-09-17
JP2010208940A JP5688257B2 (ja) 2009-10-28 2010-09-17 バック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046A true KR20120068046A (ko) 2012-06-26

Family

ID=4341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086A KR20120068046A (ko) 2009-10-28 2010-10-12 버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21729B2 (ko)
EP (1) EP2493728A1 (ko)
JP (1) JP5688257B2 (ko)
KR (1) KR20120068046A (ko)
CN (1) CN102596654A (ko)
AU (1) AU2010312729A1 (ko)
WO (1) WO2011052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5101A2 (de) * 2011-06-03 2012-12-14 Polycontact Ag Gurtschloss mit einem Zustandssensor zur Detektion des Verriegelungszustands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KR101552659B1 (ko) * 2012-08-10 2015-09-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 벨트 버클 장치
US8827026B2 (en) * 2012-10-16 2014-09-09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Barrier for use with seatbelt buckle and system including same
CH707166A2 (de) * 2012-11-07 2014-05-15 Polycontact Ag Detekt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s Verriegelungszustands eines Gurtschlosses, Einbauteil und mit einer Detektoreinrichtung ausgestattetes Gurtschloss.
DE102013003978B4 (de) * 2013-03-08 2022-06-09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chlos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Gurtschlosses
CN103300997B (zh) * 2013-07-02 2015-08-19 迈柯唯医疗设备(苏州)有限公司 快速调节绑带长度的旋转式自锁机构
CN104661881B (zh) * 2013-09-26 2019-03-05 奥托立夫开发公司 用于安全带的锁扣装置
US9433259B2 (en) * 2013-10-24 2016-09-06 Bell Sports, Inc. Self-actuating webbing adjuster and helmet strap system including same
DE102013020618B4 (de) * 2013-12-02 2022-12-29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chloss
EP2958139B1 (de) 2014-06-18 2020-08-05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moduls
JP6563435B2 (ja) * 2017-02-27 2019-08-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JP6475305B1 (ja) * 2017-11-02 2019-0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US10602808B2 (en) * 2018-03-01 2020-03-31 Patrick M. Ardis Buckle assembly
KR101925845B1 (ko) * 2018-05-23 2018-12-06 (주)유프랜드 안전벨트 버클
JP7340490B2 (ja) *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4205D0 (en) * 1989-02-23 1989-04-05 Bsrd Ltd Seat belt buckle
JP3455428B2 (ja) 1998-06-17 2003-10-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US6233794B1 (en) * 1998-06-18 2001-05-2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JP3458351B2 (ja) * 1999-09-21 2003-10-20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
JP4301476B2 (ja) * 2000-02-02 2009-07-22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
CN1292943C (zh) * 2002-09-18 2007-01-03 德尔斐自动化系统星宇株式会社 座椅安全带带扣装置
JP2004135776A (ja) * 2002-10-16 2004-05-13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装置
CN100418812C (zh) * 2003-10-28 2008-09-17 奥托利夫开发有限公司 带扣开关和带扣装置
JP4748709B2 (ja) * 2005-05-19 2011-08-1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5560A (ja) 2011-06-16
WO2011052414A1 (en) 2011-05-05
JP5688257B2 (ja) 2015-03-25
AU2010312729A1 (en) 2012-03-08
EP2493728A1 (en) 2012-09-05
US8621729B2 (en) 2014-01-07
US20120137478A1 (en) 2012-06-07
CN102596654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8046A (ko) 버클 장치
KR20120068039A (ko) 버클 장치
KR1017702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JP3306049B2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
JP3659885B2 (ja) プリテンショナ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AU2008342209A1 (en) Safety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1552659B1 (ko) 시트 벨트 버클 장치
JP5544603B2 (ja) スイッチ付バックル装置
US10441036B2 (en) Buckle device
JP3777091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とともに用いられる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CN109744658B (zh) 扣环装置
JP3207674B2 (ja)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JP3835192B2 (ja) リード線接続構造
JP4605894B2 (ja) インヒビタースイッチ
JP4676104B2 (ja) バックル装置
JPH11139247A (ja) バックル装置
JP3386003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H088644Y2 (ja) バックル装置
JP2001233179A (ja) バックル装置
JPH04101611U (ja) バツクル装置
JPH07286658A (ja)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JPH04112124U (ja) 安全装置付き車載用収納装置
JPH0729451A (ja) 押釦スイッチ
JP2003180408A (ja) バッ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