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008A -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008A
KR20120064008A KR1020110062527A KR20110062527A KR20120064008A KR 20120064008 A KR20120064008 A KR 20120064008A KR 1020110062527 A KR1020110062527 A KR 1020110062527A KR 20110062527 A KR20110062527 A KR 20110062527A KR 20120064008 A KR20120064008 A KR 2012006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re
weight
herb
block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510B1 (ko
Inventor
최면
임재천
김대중
정지윤
김태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산나물박물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산나물박물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6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4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or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곤드레(Cirsium setidens)를 손질하고 세척한 후, 곤드레 전체가 90℃ ~ 100℃의 열수에 잠기도록 하여 5 ~ 10분간 열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열처리된 곤드레를 20 ~ 30분간 냉수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단계; (C)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곤드레, 쪽파, 청고추 및 참깨를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에 상기 바인더를 혼합하여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Cirsium setidens namul block}
본 발명은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기간 보관가능하고 경도가 높으면서 복원력도 매우 뛰어난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언제나 온수에 넣어 1분 이내에 복원시켜 비빕밥용, 무침용 등 다양한 용도로 취식 가능한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곤드레(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높이가 1 m이고, 뿌리는 곧으며, 줄기는 가지가 많고, 잎은 호생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15~35 cm이다. 잎의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흰빛을 띄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홍자색으로 지름이 3~4 cm이고, 줄기나 가지 끝에 두상화서가 1개씩 달리며, 7월~10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11월 익는다.
곤드레는 태백산의 고지에서 자생하는 산채로서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우며 독특한 향이 특징이다. 예부터 구황식물로 많이 먹어온 곤드레는 강원도 정선과 평창의 특산물로 매년 5월에 채취한다. 곤드레의 어린 순은 데쳐서 나물, 장아찌, 튀김으로 먹거나 생으로 쌈을 싸서 먹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곤드레는 탄수화물, 단백질, 칼슘, 비타민 A 등이 많아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고, 곤드레 잎의 생즙은 세척 효과가 있으며, 뿌리는 말려서 달여 먹으면 신경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곤드레는 한방에서 지혈, 소염, 이뇨작용, 지열, 해열, 소종 외에도 민간에서는 부인병에 치료약으로 쓰이고 있다.
한편, 곤드레는 양념과 함께 무치거나 일부 요리에 첨가하는 등 대부분 반찬으로 취식하나, 취식방법이 다양하지 못하고 매우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채취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한정적이어서 특정한 시기에만 취식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반찬의 용도가 아닌 일상적으로 곤드레를 취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성이 우수하여 특정시기가 아니라 사계절 취식이 가능한 새로운 가공 형태의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곤드레를 수확시 상태 그대로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존가능하고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상품으로 대중화할 수 있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곤드레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 곤드레를 다듬고 데치고 조리하는 시간을 줄여 곤드레 제품을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시 별도로 헹구는 작업을 거치지 않도록 하여 조리의 편의성을 개선한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가 매우 높으면서도 본원력이 매우 우수한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결건조를 통하여 얻어진 제품을 알루미늄 포장지에 포장하여 대기중의 산소와 격리시킴으로서 변질(산화)이 방지되어 장기간 보관 유통할 수 있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곤드레(Cirsium setidens)를 손질하고 세척한 후, 곤드레 전체가 90℃ ~ 100℃의 열수에 잠기도록 하여 5 ~ 10분간 열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열처리된 곤드레를 20 ~ 30분간 냉수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단계; (C)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곤드레, 쪽파, 청고추 및 참깨를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에 상기 바인더를 혼합하여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겠다.
(A) 곤드레(Cirsium setidens)를 열처리하는 단계
본 단계는 곤드레(Cirsium setidens)를 손질하고 세척한 후, 곤드레 전체가 90℃ ~ 100℃의 열수에 잠기도록 하여 5 ~ 10분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곤드레의 불가식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한 후 90℃~100℃에서 5~10분간 열처리한다. 이때, 곤드레의 색상을 본연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곤드레의 표면이 산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곤드레 전체가 열수에 모두 담겨지도록 한다. 열처리를 할 때에 곤드레가 물에 안 담기고 위에 뜨게 되면 그 부분은 검게 변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물의 부력 때문에 계속 떠오르는 곤드레를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하는 동안 떠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B) 열처리된 곤드레를 20 ~ 30분간 냉수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열처리된 곤드레를 20 ~ 30분간 냉수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곤드레의 조직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하여 열처리 후 냉수 침지를 거치는데, 바람직하게는 열처리 후 바로 냉수에 담가 곤드레의 조직이 물러지지 않도록 하고 20~30분간 충분히 냉수에 침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에서 침지한 후 건져내어 탈수시키는데, 이로 인하여 다음 단계에서 혼합될 바인더의 농도가 묽어짐으로 인하여 제조된 곤드레 블록의 경도가 낮아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탈수는 특정의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처리로 인하여 연해진 곤드레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이라면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거름망을 이용하여 1~3시간 동안 탈수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탈수시에는 곤드레 조직의 손상이 없도록 물리적인 처리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섭취하기 좋도록 탈수된 곤드레를 5 ~ 10cm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를 혼합하여 저으면서 가열한 후 냉각함으로써 결합력이 좋은 바인더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제수에 산, 검류, 전분류 및 당류를 첨가하여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결합력이 좋은 바인더가 제조되는데,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첨가되지 않는다면 경도가 높은 곤드레 블록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성분의 파괴 없이 바인더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물의 온도는 70 ~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후 강도를 더욱 세게 하기 위하여 바인더 제조시 산을 반드시 첨가한다. 따라서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강도가 매우 좋은 바인더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식용으로 사용되는 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류로는 높은 열과 산, 알카리에 강한 검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풀루란(pullulan)을 사용할 수 있다. 높은 열과, 산, 알칼리에 강한 검류는 바인더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적은 양의 바인더를 사용하여도 건조 후 블록의 강도와 색상이 현격하게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분류와 당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하는 전분류와 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제조된 바인더를 사용함에 따라 소량의 바인더로도 강도가 높은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D)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탈수된 곤드레, 쪽파, 청고추 및 참깨를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에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바인더를 혼합하여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탈수된 곤드레 95 ~ 98중량%, 쪽파 1 ~ 2중량%, 청고추 0.5 ~ 1중량%, 및 참깨 0.5 ~ 1중량%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을 트레이에 충진한 후, 바인더액을 트레이에 채워 곤드레 나물 혼합액을 제조한다.
이때, 트레이에 곤드레 나물을 채우고 곤드레 나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바인더액을 트레이 전체에 채우게 되면 복원시 복원수를 혼탁하게 하여 곤드레 나물을 헹궈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곤드레 나물은 곤드레 뿐만 아니라 쪽파, 청고추, 참깨를 포함하고 있어 상수로 헹궈주게 되면 내용물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헹구는 단계를 없앨 수 있게 바인더를 소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10 ~ 20중량%, 곤드레 나물 80 ~ 90중량%가 되도록 트레이에 채우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 포함하는 바인더를 사용함에 따라 바인더를 소량 사용하여도 최종 블록의 강도를 현격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된 곤드레 95 ~ 98중량%, 쪽파 1 ~ 2중량%, 청고추 0.5 ~ 1중량%, 및 참깨 0.5 ~ 1중량%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을 사용함에 따라 곤드레 고유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린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충진이 완료된 트레이는 -30 ~ -50℃의 냉동고에서 12 ~ 24시간 동안 급속냉동시킨 후 동결건조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결건조 전에 급속냉동시킴으로써 곤드레 블록의 영양성분의 파괴 없이 곤드레 블록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함에 따라 최종 제조된 곤드레 나물 블록은 헹구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조리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밥을 지을 때나 찌개류에 헹구지 않고 바로 넣어서 조리할 수 있다.
(E)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동결건조는 수용액이나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재료를 동결시키고 감압함으로써 얼음을 승화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는 방법이다. 동결건조는 조직을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 수분만 증발시키기 때문에 열에 약한 재료 및 식품의 풍미와 색깔 및 영양성분이 거의 파괴되지 않으며, 그로부터 제조된 건조물은 물을 가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능력이 일반 건조에 비해 뛰어나다.
본 발명은 동결건조기의 조건을 콜드 트랩(Cold Trap) 온도를 -50℃ ~ -80℃로 맞춰주고, 진공도는 1.0Torr ~ 1.0 × 10-3Torr, 셸프 온도(Shelf Temp)는 초기 70 ~ 80℃, 중기 60 ~ 70℃, 후기 50 ~ 60℃로 맞춰준 다음, 최종 품온은 30℃ ~ 60℃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곤드레 나물 혼합물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증발시키면서 복원력이 뛰어난 곤드레 블록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동결건조의 셸프 온도(Shelf Temp) 조건을 초기, 중기, 후기로 변화시킴에 따라 건조물의 외형적 변화, 건조시간의 장기화, 복원력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얻어진 곤드레 나물 블록을 알루미늄 포장지에 포장하여 대기중의 산소와 격리시킴으로서 변질(산화)이 방지되어 장기간 보관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곤드레 나물 블록은 30 ~ 50℃ 온도의 온수에서 10 ~ 30초의 단시간에 복원이 가능하며, 소량의 바인더를 사용하여 블록의 형태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복원시 복원수가 혼탁해지는 문제점이 개선되었고 이에 복원수를 헹궈내어 조리할 필요없이 바로 조리할 수 있어 조리의 간편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곤드레 나물 블록은 복원력이 우수하면서 복원 후에도 곤드레 고유의 풍미가 풍부하고 조직감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은 경도가 높고, 복원력이 우수한 곤드레 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곤드레 블록은 장기간 저장할 수 있어 계절과 무관하게 곤드레를 섭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곤드레 블록은 곤드레의 풍미가 풍부하면서 조직감이 우수하며 곤드레 고유의 맛이 유지되고,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므로 곤드레의 새로운 가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곤드레 블록은 별로로 복원수를 헹궈낼 필요가 없이 바로 조리할 수 있어 조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복원력이 매우 우수하여 온수에서 30초 이내에 완전 복원되므로 곤드레밥 비빔용이나, 무침용 등으로 다양하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열처리시 산소와 접촉하지 않은 곤드레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열처리시 산소와 접촉한 곤드레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 곤드레 블록 제조
곤드레의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세척한 후 90℃~100℃의 열수에서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곤드레가 떠오르지 않도록 하면서 5~10분간 열처리하였다. 이후 바로 냉수에 담근 후 20~30분간 충분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거름망을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자연탈수시킨 후, 5~ 10cm로 절단하였다. 정제수 90~95중량%, 아스코르브산 0.1~0.5중량%, 풀루란 0.1~1중량%, 전분 0.5~2중량%, 포도당 3~10중량%를 혼합하여 점도가 생길 때까지 저으면서 가열해주고 냉각시켜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50mm×70mm×10mm인 트레이(tray)에 상기 곤드레 95~98중량%, 쪽파 1~2중량%, 청고추 0.5~1중량%, 참깨 0.5~1중량%를 혼합한 곤드레 나물을 충진한 후, 상기 곤드레 나물에 바인더 10~20중량%로 버무려 충진한 후, -30 ~ -50℃의 냉동고에서 12~24 시간 동안 급속냉동시킨 후, 콜드 트랩(Cold Trap) -50℃ ~ -80℃, 진공도 1.0Torr ~ 1.0 × 10-3Torr, 셸프 온도(Shelf Temp) 70~80℃(초기), 60~70℃(중기), 50~60℃(후기), 최종 품온 30℃ ~ 60℃의 조건으로 동결건조시켜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열처리시 곤드레와 산소접촉)
곤드레의 열처리과정 중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지 않아 물에 안 잠기고 물위로 떠올라 산소와 접촉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열처리 후 냉수에 헹구지 않고 바로 탈수)
곤드레의 열처리 후 냉수로 충분히 헹구지 않고 바로 탈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 바인더액 제조시 산을 첨가하지 않음)
바인더액 제조시 산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곤드레 나물 블록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열처리 방법에 따른 색도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의 곤드레 나물 블록을 30초간 온수에 담궈 복원시킨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이때, 곤드레 나물의 사진은 도 1, 2에 나타내었다.
색도
L a b
실시예 57.78 -12.31 19.93
비교예 1 48.90755 -1.9347 11.90949
L값(Lightness, 명도) : 색의 밝기를 나타낸 수치로 완벽한 흰색을 100, 완벽한 검정을 0으로 보았을 때의 값.
a값(redness, 적색도) : +값은 빨강색, -값은 녹색의 수치를 나타냄.
b값(yellowness, 황색도) : +값은 노랑색, -값은 청색의 수치를 나타냄.
상기 표 1, 도 1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산소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처리된 곤드레 나물은 비교예의 산소와의 접촉이 차단되지 않은 곤드레 나물에 비하여 명도가 현저하게 높고, 곤드레 고유의 색깔을 그대로 잘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열처리 후 냉수처리에 따른 조직감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2의 곤드레 나물 블록은 30초간 온수에 담궈 복원시킨 후, 20~70대의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조직감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5점척도법(1에 가까울수록 조직감이 낮고, 5에 가까울수록 조직감이 높은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직감
실시예 4.6
비교예 2 2.4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곤드레 나물 블록은 비교예 2의 곤드레 나물 블록에 비하여 곤드레의 조직감이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살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바인더액 제조시 산의 첨가에 따른 강도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3의 곤드레 나물 블록에 대하여 20~70대의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5점척도법(1에 가까울수록 강도가 낮고, 5에 가까울수록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강도
실시예 4.4
비교예 3 3.4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곤드레 나물 블록은 비교예 3의 곤드레 나물 블록에 비하여 강도가 탁월하게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산을 첨가하여 바인더를 제조하면 소량의 바인더 사용으로도 블록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A) 곤드레(Cirsium setidens)를 손질하고 세척한 후, 곤드레 전체가 90℃ ~ 100℃의 열수에 잠기도록 하여 5 ~ 10분간 열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열처리된 곤드레를 20 ~ 30분간 냉수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단계;
    (C) 정제수 90 ~ 95중량%, 산 0.1 ~ 0.5중량%, 검류 0.1 ~ 1중량%, 전분류 0.5 ~ 2중량% 및 당류 3 ~ 10중량%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곤드레, 쪽파, 청고추 및 참깨를 포함하는 곤드레 나물에 상기 바인더를 혼합하여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열처리시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곤드레 전체가 열수에 잠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탈수 후, 곤드레를 5~10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검류는 풀루란(pullul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곤드레 나물 80~90중량% 및 바인더 10~20중량% 혼합하여 곤드레 나물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곤드레 나물은 상기 탈수된 곤드레 95~98중량%, 쪽파 1~2중량%, 청고추 0.5~1중량% 및 참깨 0.5~1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곤드레 나물 혼합물 제조 후, -30℃ ~ -50℃에서 급속냉동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동결건조시 조건은 콜드 트랩(Cold Trap) -50℃ ~ -80℃, 진공도 1.0Torr ~ 1.0 × 10-3Torr, 셸프 온도(Shelf Temp) 70℃ ~ 80℃(초기), 60℃ ~ 70℃(중기), 50℃ ~ 60℃(후기), 최종 품온 3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10062527A 2010-12-08 2011-06-27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KR10121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35 2010-12-08
KR20100124835 201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08A true KR20120064008A (ko) 2012-06-18
KR101214510B1 KR101214510B1 (ko) 2013-01-03

Family

ID=4668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527A KR101214510B1 (ko) 2010-12-08 2011-06-27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54B1 (ko) * 2012-10-10 2014-02-13 주식회사 삼양사 동결건조 야채의 표면 강도 개선용 혼합 당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결건조 야채의 제조방법
KR20170018641A (ko) 2015-08-10 2017-02-20 한규화 곤드레 나물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곤드레 나물 분말
CN108697134A (zh) * 2016-02-15 2018-10-23 金正浩 绿色辣椒粉的制备方法
KR20190102528A (ko) * 2018-02-26 2019-09-04 동림푸드 주식회사 장기 저장을 위한 동결건조된 산채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채 블럭
US10568839B2 (en) 2011-01-11 2020-02-25 Capsugel Belgium Nv Hard capsules
US11319566B2 (en) 2017-04-14 2022-05-03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US11576870B2 (en) 2017-04-14 2023-02-14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KR20230044871A (ko) 2021-09-27 2023-04-04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조미료를 이용한 나물 반찬 밀키트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33B1 (ko) 2014-11-07 2016-08-01 농업회사법인 지원푸드 주식회사 곤드레 칩 제조방법
KR102294912B1 (ko) 2019-10-02 2021-08-26 권혁산 즉석조리용 나물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나물 통조림
KR102612391B1 (ko) 2019-10-02 2023-12-12 강병원 즉석조리용 시래기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시래기 통조림
KR102612392B1 (ko) 2019-10-02 2023-12-12 강병원 즉석조리용 고사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고사리 통조림
KR102612394B1 (ko) 2019-10-02 2023-12-12 강병원 즉석조리용 곤드레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곤드레 통조림
KR102612393B1 (ko) 2019-10-02 2023-12-12 강병원 즉석조리용 고구마순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고구마순 통조림
KR102612395B1 (ko) 2019-10-02 2023-12-12 강병원 즉석조리용 토란대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조리용 토란대 통조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856B1 (ko) * 2002-08-26 2005-05-03 주식회사농심 무를 함유하는 동결 건조 야채 블럭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0747B1 (ko) * 2003-12-15 2005-10-12 주식회사농심 콩나물 동결건조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9649B1 (ko) * 2004-06-07 2006-06-14 이금자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0936799B1 (ko) * 2009-04-16 2010-01-14 강원에프앤비영농조합법인 무청 블록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8839B2 (en) 2011-01-11 2020-02-25 Capsugel Belgium Nv Hard capsules
KR101362354B1 (ko) * 2012-10-10 2014-02-13 주식회사 삼양사 동결건조 야채의 표면 강도 개선용 혼합 당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결건조 야채의 제조방법
KR20170018641A (ko) 2015-08-10 2017-02-20 한규화 곤드레 나물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곤드레 나물 분말
CN108697134A (zh) * 2016-02-15 2018-10-23 金正浩 绿色辣椒粉的制备方法
US11319566B2 (en) 2017-04-14 2022-05-03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US11576870B2 (en) 2017-04-14 2023-02-14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US11878079B2 (en) 2017-04-14 2024-01-23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KR20190102528A (ko) * 2018-02-26 2019-09-04 동림푸드 주식회사 장기 저장을 위한 동결건조된 산채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채 블럭
KR20230044871A (ko) 2021-09-27 2023-04-04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조미료를 이용한 나물 반찬 밀키트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10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10B1 (ko) 곤드레 나물 블록의 제조방법
RU230021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баклажанов
JP3944323B2 (ja) ノンフライ調理法とその用途
BRPI0621881A2 (pt) fatias conservadas de vegetais e frutas e métodos de processamento
KR101761518B1 (ko) 고구마 말랭이 강정 제조방법
CN106261695B (zh) 一种方便粽的制作方法
KR101881261B1 (ko) 밤 파이의 제조방법
CN102415536B (zh) 柿干的制备方法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CN103988953A (zh) 一种低温烘焙的苦瓜茶叶及其制作方法
RU230020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патиссонов
KR101642343B1 (ko) 황태 통조림 가공을 위한 황태 전처리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황태 통조림
KR101456922B1 (ko) 무의 복원력을 증대시킨 황태 건조 블록 제조방법
KR20160066699A (ko) 단호박 분말 및 그를 이용한 단호박 가공식품
KR101206447B1 (ko) 동결건조 야채스낵의 제조방법
KR100846129B1 (ko)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수육 및 이의 제조방법
JP5075610B2 (ja) 乾燥野菜とその製造方法
JPS59156255A (ja) 乾燥食品製造の前処理方法
RU228606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томатов
RU228794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айвы
KR102020808B1 (ko) 꼬시래기 고추장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0522469B1 (ko) 즉석 무말랭이무침
KR101510685B1 (ko) 기호성을 갖는 산채류 및 그의 보존성 연장 방법
KR101347332B1 (ko) 더덕 물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09812A (zh) 一种土豆米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