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931A -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931A
KR20120042931A KR1020127003157A KR20127003157A KR20120042931A KR 20120042931 A KR20120042931 A KR 20120042931A KR 1020127003157 A KR1020127003157 A KR 1020127003157A KR 20127003157 A KR20127003157 A KR 20127003157A KR 20120042931 A KR20120042931 A KR 2012004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ar
car door
door
catch mean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850B1 (ko
Inventor
귄터 레우터
게랄드 스타인즈
토마스 넷저
알렉산드르 겐트너
페트로스 부루트지스
아담 콜라진스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2004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66B13/125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electrical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용 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하는 결합 기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결합 기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동반 수단(110) 및 상기 샤프트 도어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 동반 수단(210)을 포함한다. 카운터 동반 수단은 상기 샤프트 도어를 동반하기 위한 동반 수단(110)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상기 동반 수단(110) 및/또는 상기 카운터 동반 수단(21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 또는 상기 샤프트 도어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Device For Entraining A Shaft Door By Means of An Elevator Car Door}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preamble)에 따른 리프트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디바이스는 또한 결합 전동장치(coupling gearing)로도 불리운다.
리프트 도어는 일반적으로 리프트 카 상에 제공되는 도어는 물론 각각의 층(floor)에 제공되는 샤프트 도어를 구비한다. 리프트 카가 층에 접근할 때, 리프트 도어 및 대응되는 샤프트 도어(이 때 샤프트 도어는 리프트 카 도어의 뒤에 위치됨) 양자는 탑승자가 리프트 내로 들어오거나 리프트 밖으로 나가도록 허용하고 또한 리프트 카가 상태를 계속 지속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고 또한 폐쇄되어야 한다.
리프트 카 도어는 일반적으로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동장치에 의해 리크트 카 도어는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모든 샤프트 도어에 대해 구동장치를 대응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리프트 카 도어는 캐치 또는 동반 이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동반 이동 메커니즘은 리프트 카가 층에 도달할 때 샤프트 도어의 대응되는 카운터-캐치 내에서 연동하며, 또한 샤프트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한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보 제 0 744 373 B1에 기술된 바와 같은 후크 볼트 메커니즘(hook bolt mechanisms)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럽 특허 공보 제 0 744 373 B1에 기술된 후크 볼트 메커니즘의 단점은 리프트 카가 이동할 때 캐치 및 카운터-캐치가 문턱 공간(threshold spacing) 내로, 즉, 샤프트 도어 문턱 및 리프트 카 도어 문턱 사이의 공간 내로 돌출하여, 리프트 카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예를 들어 (정지하지 않고) 층을 통과할 때 캐치 및 카운터-캐치가 서로 매우 근접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덜컹거리거나 바람소리 같은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간의 유효 공간은 문턱 공간에 비해 상당히 작다.
특히, 소위 고전력 리프트 카 도어의 경우, 매우 빠른 이동 속도에서 덜컹거리거나 바람소리 같은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리프트 도어는 가능한 한 빨리 개방 및 폐쇄되어야 한다.
유럽 특허 공보 제 0 744 373 B1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결합 전동장치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샤프트 도어 및 리프트 카 도어 간의 문턱 간격이 카가 이동하는 동안, 특히 정지함이 없이 층을 통과할 때 리프트 카 측 및/또는 샤프트 측 상에 배열된 캐치 수단 및 카운터-캐치 수단의 제공된 변위 가능성(displaceability)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특별한 장점으로 여겨진다. 제공된 메커니즘은 또한 빠르고 신뢰할만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의 빠른 개방 및 폐쇄를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에 대한 고도의 효과적인 결합 전동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유리한 구성이 종속 청구범위의 발명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치 수단은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운터-캐치 수단 상에서 동작하도록 샤프트 도어 내로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카운터-캐치 수단의 특별히 단순한 구성을 허용하는데, 이것은 동시에 문턱 간격, 즉,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해준다.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의 캐치 수단은 편의상 확장기(expander)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을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은 상당한 길이 방향의 확장을 가지게 되어, 샤프트 도어 및 리프트 카 도어 간의 결합이 시작되면 리프트 카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공차 범위(tolerance range)를 실현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 측 상의 카운터-캐치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롤러는 덜컹거리는 소리에 둔감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유지보수가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편의상 샤프트 도어를 록킹하기 위해 카운터-캐치 수단과 협력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이것은 캐치 수단이 카운터-캐치 수단 상에서 동작할 때 록킹 메커니즘이 록킹 해제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형태의 록킹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법률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록킹 및 록킹 해제 동작은 기계적인 조건(mechanical terms)에서 복잡하지 않음을 입증한다.
캐치 수단이 카운터-캐치 수단 상에서 동작할 때, 캐치 수단은 편의상 처음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후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의 문턱 선행 엣지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도면의 설명에서 기술된 메커니즘에 의해 특별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러한 형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카 측 상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리프트 카 도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는 변위가 일어나고 동안(during displacement) 가이드 유닛의 연결 링크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로 구성된다. 캐치 수단은 상기 가이드 유닛에 결합되어 연결 링크에 의해 롤러가 이동하면 캐치 수단이 리프트 도어에 대해 확장한다. 변위 가능한 캐리지(변위 가능한 캐리지의 롤러가 연결 링크에 의해 이동될 수 있음)를 구비한 이러한 형태의 메커니즘은 캐치 수단의, 특히 확장기 스케이트의 매우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동성을 허용한다. 구동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톱니형 벨트(toothed belt)를 구비한 벨트 구동장치, 케이블 풀(cable pull), 스핀들 구동장치, 또는 예를 들어 선형모터인 순수한 전기적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구동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자동 록킹 또는 비자동 록킹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핀들 구동장치의 경우 대응되는 경사각 및/또는 표면 거칠기를 제공함으로써 자동 록킹 수단을 제공한 결과,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의 자동 또는 자동방식의 결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긴급상황과 같은 특정한 요건에 대해, 전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이러한 자동 록킹이 없이 동작하는 것도 또한 장점이 될 수 있다. 만일 전원 고장이 발생한 동안 이러한 형태의 연동이 항상 보장된다면, 예를 들어 구조 서비스를 위해 도어의 개방이 또한 단순화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구동장치는 또한 프로그램 가능하게 구성되어, 예를 들어 연결 링크 및/또는 제한형 가이드 수단(restricted guidance means)의 형태로 예를 들어 구동장치의 기계적 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또한 유리하게는 캐리지 상에 제공되며, 캐리지에 의해 추가로 이동하면 캐치 수단 상에 구성된 레버 상에서 동작하는 드라이버(연동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캐치 수단이 이격되도록 벌어지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레버 메커니즘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열된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을 이격되도록 벌어지게 하는 것은 매우 정밀하며, 동시에 기계적 견고성을 보장하는 것을 입증한다. 이에 대해서, 레버가 예를 들어 대응되는 연결 링크 내에서 이동성을 허용하는 롤러로 구비한 대응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무엇보다도 구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1차원 이동이 복잡한 이동, 즉, 기계적 수단에 의해 특히 상술한 연결 링크 또는 제한형 가이드 수단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동작하는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기계적 수단은 신뢰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필요 없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는 샤프트 도어 측 상에 제공되는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리프트 카 도어록(lift car door lock)이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리프트 카 도어록 메커니즘은 리프트 카 도어가 샤프트 도어에 대해 정렬될 때, 즉, 리프트 카가 층에 위치될 때에만 개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리프트 카 도어의 록킹용 메카니즘은 캐치 수단에 대응하여 샤프트 도어에 대해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간의 최대 문턱 공간을 보장하면서, 리프트 카 도어록이 또한 보장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리프트 카 도어록은 캐치 수단과 함께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것은 리프트 카 도어록의 일부 구성요소가 자신들의 입장에서 샤프트 도어에 대해 확장하기 위해 캐치 수단의 이동을 사용한다(즉, 이들 일부 구성요소가 상기 이동을 추종(follow)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프트 카 도어록은 자신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리프트 카 도어록의 일부 구성요소는 확장될 수 없지만, 추가 구성요소는 리프트 카 도어록의 확장 가능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 카 도어록은 확장될 수 없도록 구성되는 후크 볼트(hook bolt), 연결 로드(connecting rod), 및 록킹 레버를 구비하며, 또한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롤러, 구동 레버, 및 록킹 스케이트 앵글을 구비한다. 캐치 수단의 확장 및 확대 이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러한 형태의 메커니즘은 기계적으로 견고함을 보여주어, 최상의 안전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리프트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그리고 이하에서 기술될 특징들이 각각의 경우에 상기 언급된 결합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결합 상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캐치 수단은 상당한 길이 방향의 확장을 가지게 되어 샤프트 도어 및 리프트 카 도어 간의 결합이 시작되면 리프트 카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공차 범위(tolerance range)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카운터-캐치 수단은 덜컹거리는 소리에 둔감하며 유지보수가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록킹 및 록킹 해제 동작은 복잡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자동 록킹이 없이 동작하는 장점을 가지며, 예를 들어 구조 서비스를 위해 도어의 개방이 또한 단순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프로그램 가능하게 구성되어, 예를 들어 연결 링크 및/또는 제한형 가이드 수단의 형태로 예를 들어 구동장치의 기계적 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구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1차원 이동이 복잡한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간의 최대 문턱 공간을 보장하면서, 리프트 카 도어록이 또한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리프트 카 측 상의 구성요소 또는 캐치 (연동) 수단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의 경우 샤프트 도어 측 상의 카운터-캐치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상이한 동작 위치에서의 상기 도 1에 따른 캐치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내지 도 2c의 동작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이되, 리프트 카 측 상의 캐치 수단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리프트 카 측 상의 구성요소 또는 캐치 수단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내지 도 2c에 대응되는, 샤프트 도어 측 상의 카운터-캐치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도 4에 따른 캐치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내지 도 5c의 동작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 또는 평면도이되, 리프트 카 측 상의 캐치 수단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6d 내지 도 6f는 도 6a 내지 도 6c의 동작 위치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a 내지 도 5c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d 내지 도 6f에 대응되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6a 내지 도 6c에 대응되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된 제 1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 참조부호 100으로 식별된다.
디바이스(100)는 리프트 카 도어를 리프트의 샤프트 도어와 결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는 중괄호 표시에 의해 도 2a 내지 도 2c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부호 80 및 90으로 식별된다. 리프트 카 도어(80) 및 샤프트 도어(90) 사이의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에 의해 리프트 카 도어(80)만이 리프트 카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 구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각각의 샤프트 도어는 자신의 구동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디바이스(100)는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 후술하는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를 결합하기 위해 샤프트 도어 측 상에 부착된 롤러(210)와 협력하는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캐치 수단을 구성하고, 롤러(210)는 카운터-캐치 수단을 구성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 캐리지(102)와 연결되며, 이러한 캐리지(102)를 리프트 카 도어 상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구동장치(101)(특히, 도 1 참조)를 구비한다.
캐리지(102)는 축 장착장치(107)에 의해 리프트 카 도어(도 1에는 미도시됨)에 연결되며, 오로지 구동장치(101)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을 추종한다.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확장시키고(즉, 샤프트 도어의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킴. 도 2b의 화살표 P1 참조), 확대(확장)하며(즉, 샤프트 도어에 평행하게 밀어서 이격시키는 이동. 도 2c의 화살표 P2 참조), 반면에 역으로 상방향 이동은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게 될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접거나 축소시킨다.
캐리지(102)는 롤러(108)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롤러(108)는 캐리지(102)에 부착되어 캐리지(102)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을 추종한다. 이러한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108)는 가이드 유닛(109)의 연결 링크(109a)를 따라 움직인다. 연결 링크(109a)는 제 1 경사부(109b) 및 제 2 평탄부(109c)를 구비한다.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베이스 몸체(110a)는 가이드 유닛(109)에 부착된다. 축 장착장치(107)는 리프트 카 도어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가이드 유닛(109)은 축 방향으로 리프트 카 도어 상에 자유롭게 장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캐리지(102) 상에 제공되는 드라이버(103)에 의해 동작되는 레버(10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확장하고, 확대하며, 접고, 축소시키기 위한 상기 예시된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가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 1,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구동장치(101)는 리프트 카 도어를 따라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을 시작한다. 캐리지(102)에 부착된 롤러(108)가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을 추종하여, 가이드 유닛(109)의 연결 링크(또는 슬롯형 부재)(109a)를 따라 움직인다.
롤러(108)는 초기에 연결 링크(109a)의 경사부(109b)를 따라 움직인다.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및 가이드 유닛(109)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은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경사부(109b)에 의해 해제되어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축 장착장치(107) 상에 제공된 스프링(105)의 힘에 대항하여, 즉 도 2a 내지 도 2 c에 도시된 샤프트 도어 측 상의 롤러(210)의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스프링(105)으로 인해 가요성을 갖는, 리프트 카 도어에 대한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예시된 축 장착장치의 구성에 의해,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 축 상에 제공된 리프트 구성요소와 충돌하는 경우에도 스케이트 앵글(110)의 완충 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결 링크(109a)는 하부 영역에 확대부(109d)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만일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으로 인하여 미리 확장하는 경우, 상술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롤러(108)가 연결 링크(109a)의 경사부(109b)에서 평탄부(109c)로 전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최대로 확장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로부터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이러한 경우 (실질적으로) 완전히 샤프트 도어의 롤러(210) 사이에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리지(102) 및 그 상부에 제공되는 롤러(108)의 추가적인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108)는 연결 링크(109a)의 평탄부(109c)를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추가 확장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는 서로에 대한 확대 이동이 개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술한 추가적인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캐리지(102)에 부착된 드라이버(103)는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레버(104)와 동반 이동하고, 따라서 확장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각각이 레버(104)에 의해 확장기 스케이트 베이스 몸체(110a)에 연결되는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이격되도록 벌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도 2c 및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는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및 롤러(210)의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한 리프트 카 도어의 개방 및 폐쇄는 동반 이동, 즉, 샤프트 도어의 동시 개방 및 동시 폐쇄가 이루어진다.
확장 프로세스는 구동장치(101)가 하방향 이동을 종료할 때, 즉, 롤러(108)가 연결 링크(109a)의 하단부 지점에 도달할 때 종료된다.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상술한 프로세스가 역방향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지(102)의 대응되는 상방향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캐리지(102)는 상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롤러(108)는 초기에 연결 링크(109a)의 평탄부를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각각의 레버(104) 및 캐리지(102)의 드라이버(연동 부재)(103) 간의 접촉이 해제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웨이트(weight), 또는 강제 동반 이동으로 실현될 수 있는 제한된 힘의 결과,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다시 서로 접혀지고 다시 한 번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한다.
롤러(1080)를 연결 링크(109a)의 경사부(109b)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다시 도 1,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위치 내로 이동된다. 그 후, 확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프링(105)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극복되어야 한다.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확장시키기 위한 제한된 힘은 반드시 스프링(105)에 의해 제공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웨이트 및 제한형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구조도 또한 가능하다.
롤러(108)가 연결 링크(109a)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다시 접혀져서 축소된다. 즉,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자신들의 원래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예시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실질적으로 그 기능성에서 상술한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상세한 설명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도록 제공된다. 이하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본적으로 차이가 나는 점이 기술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디바이스는 또한 샤프트 도어 측 상에 부착되며, 리프트 카 도어와 샤프트 도어를 결합하기 위한 롤러(210)와 협력하는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 구비한다.
롤러(108)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캐리지(102)는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공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참조부호 101로 표시되며, 캐리지(102)를 리프트 카 도어 상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미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공되며, 캐리지(102)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108)가 이동하는(travel) 가이드 유닛(109) 내에 구성된 연결 링크(109a)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률(uniform curvature)을 갖도록 구성되어 샤프트 도어의 방향으로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더 큰 확장 이동을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추가 연결 링크(610) 내에서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104)에 의해 동작된다(도 6d 내지 6f 참조).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모드가 이제 좀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4, 도 5, 도 6a 및 도 6d에 예시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구동장치(여기서는 미도시됨)는 리프트 카 도어를 따라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을 시작한다. 롤러(102)가 가이드 유닛(109)의 연결 링크(109a)를 따라 이동하면서 캐리지(102)에 부착된 롤러는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을 추종한다.
경사부(109b)를 따라 이동할 때,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이 경우 도 5b, 도 6b, 및 도 6e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확장된다.
롤러(108)가 연결 링크(109a)의 경사부(109b)에서 하부 평탄부(109c)로의 전환 위치에 도달할 때,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최대로 확장된다(도 5b, 도 6b, 및 도 6e).
캐리지(102)의 추가적인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롤러(108)는 연결 링크(109a)의 하부 평탄부(109c)를 따라 이동하며, 이러한 하방향 이동 부분이 이루어지는 동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서로에 대한 확대 이동이 시작된다.
롤러(108)가 연결 링크(109a)의 경사부(109b)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캐리지(102)의 상부에 제공되는 추가 연결 링크(610)가 레버(104) 상에 구성된 롤러(620)를 따라 슬라이드한다. 이와 관련하여, 롤러(620)의 목적은 추가 연결 링크(610) 내에서 레버(104)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104)는 (참조부호 630에서) 제 1 단부에 의해 제 1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단부(도 6d 내지 도 6f에서 보아 왼쪽 단부)에서 레버(104)는 추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상에서 (참조부호 640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리하게도, 레버(104)는 회전축(650)에 의해 회동(pivot)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e에 도시된 위치에서, 추가 연결 링크(610)의 상부 단부(610a)는 롤러(620)와 충돌하여 캐리지(102)의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레버(104)가 그에 따라 회전축(65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해준다.
레버는 전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러한 추가적인 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2개의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이격되어 벌어진다.
롤러(108)에 의해 연결 링크(109)가 하부 단부에 도달하면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최대 확대가 제공되는, 특히 도 6f에 도시된 레버(104)의 수평 배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단부 상태에서 레버(104)의 수평 배열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의 후속적인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는 동안 유효하며 레버(104) 상에 가해질 수 있는 수평력(horizontal forces)이 구동장치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2가지 실시예에 사용된 상이한 연결 링크들(109)을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연결 링크는 하부에 제 2 실시예의 연결 링크(109a)의 경우에는 제공되지 않는 확대부(109d)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혹시라도 있을 오동작에 기인한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미리 확장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샤프트 측 상에 제공되는 리프트 구성요소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제 2 실시예에서는 캐리지(102)가 스프링(680) 상에 유연하게 장착되므로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항복(yielding)이 보장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연결 링크(109)가 제한형 가이드로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105)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c, 도 6c, 및 도 6f에 제공된 리프트 카 도어 및 도 샤프트 도어 간의 결합은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부품들의 대응하는 복귀에 의해 해제된다.
또한, 안전상의 이유로 샤프트 도어는 일반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에 의해 록킹되어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치는, 만일 리프트 카 또는 리프트 카 도어가 샤프트 도어의 바로 뒤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리프트의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샤프트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의 록킹은 롤러(2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롤러(210) 상의 동작 결과에 따라 상기 예시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 역으로, 이것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롤러(210) 상에서의 동작을 종료할 때 록킹 메커니즘이 다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의 샤프트 도어 록킹 메커니즘은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참조부호 150으로 식별되는) 리프트 카의 문턱 선행 엣지 및 (참조부호 160으로 식별되는) 샤프트 도어의 문턱 선행 엣지가 본 발명과 관련된 장점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엣지(150,160) 간의 간극(gap)은 문턱 공간이라 지칭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비결합 상태인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은 리프트 카 도어의 문턱 선행 엣지(150)로부터 문턱 공간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리프트 카 도어 내에 부분적으로 침투된다. 샤프트 도어의 문턱 선행 엣지(160)에 대한 롤러(21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부분적인 침투는 리프트 카 상의 캐치 수단(본 명세서에서는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및 샤프트 측 상의 카운터-캐치 수단(본 명세서에서는 롤러(210)) 간의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종래 방식의 해결책에서는 캐치 수단 및 카운터-캐치 수단이 각각의 경우 문턱 공간 내로 최대로 돌출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종래 방식의 해결책괴 비교하여 유효 문턱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효 문턱 공간"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샤프트 측 상에 제공된 구성요소 및 리프트 카 측 상에 제공된 구성요소 간의 최소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상술한 이동성은 유리하게는 롤러(210)가 샤프트 도어 내로 완전히 침투되는 것, 즉, 롤러(210)가 도 2a에서 보아 문턱 선행 엣지(160)의 완전히 오른쪽 측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리프트 카가 리프트 샤프트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을 리프트 카 도어 내로 완전히 침투시키는 것, 즉, 도 2a에서 보아 문턱 선행 엣지(150)의 완전히 왼쪽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조치는 리프트 카가 리프트 샤프트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및 롤러(210) 간의 유효 공간을 추가로 최적화할 수 있으며, 특히 최대화할 수 있다. 특히, 리프트 사프트를 통해 매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전력 리프트 카의 경우,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 내로 각각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 및/또는 롤러(210)를 부분적으로 침투시키는 것은 리프트 카 측 상의 구성요소 및 샤프트 측 상의 구성요소 (본 명세서에서는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 및 롤러) 간의 공간이 지나치게 작을 때 발생되는 덜컹거림 및 바람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문의 경우 각각의 도어 개방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도어 개방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도어의 무게 중심에 또는 도어의 무게 중심의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종래 기술에서도 알려져 있다. 특히 고속 도어(high-speed doors)의 경우, 이러한 조치는 특히 덜컹거리는 소음의 방지에 대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기술된 결합 기능에 더하여, 본 실시예는 추가 기능, 즉 리프트 카 도어록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실시예에 관해 사용된 바와 같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또한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공된다.
리프트 카 도어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 카 도어가 샤프트 도어와 결합될 때에만 리프트 카 도어가 (일반적으로) 개방될 수 있음을 보장하여, 결과적으로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가 오로지 함께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리프트 카 도어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처음에 리프트 카 도어(80)(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됨) 상에서 후크 볼트(701), 연결 로드(connecting rod: 702), 및 록킹 레버(703)를 구비한다. 이들 부재는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 부착되어, 본 명세서에서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7a 내지 도 7c) 샤프트 도어 (90)에 대해 확장될 수 없다.
(상기 상세히 기술된 결합 메커니즘과 함께) 샤프트 도어(90)의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부재로, 리프트 카 도어록은 또한 구동(연동) 롤러(704), 구동(연동) 레버(705), 및 이하에서 록킹 스케이트 앵글(706)로 식별되는 추가 스케이트 앵글을 구비하며, 또한 편의상 하부 베어링 레버(707)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프트 카 도어에 대한 작동 수단으로 샤프트 도어 측 상에는 특히 도 8a 내지 도 8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가 결합되지 않을 때 바람직하게는 카운터-캐치 수단의 롤러(210) 중 하나의 수직 아래에 구성되는 추가 롤러(711)가 제공된다.
리프트 카 도어록의 확장 가능한 부재(구동 롤러(104), 구동 레버(105), 록킹 스케이트 앵글(106), 및 하부 베어링 레버(107))는 결합 메커니즘의 확장 가능한 부재에 연결되어 특히 도 7a 내지 도 7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메커니즘의 확장 이동에 참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캐치 수단, 특히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과 카운터-캐치 수단, 특히 롤러(210) 간의 공간은 (예를 들어 도 5c와 유사하게)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이 롤러(210) 사이에 위치될 때까지 감소된다. 확장 가능한 록킹 스케이트 앵글(106)과 추가 롤러(711) 간의 공간은 특히 도 7a 및 도 7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로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과 롤러(210) 간의 접촉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110)의 후속 확대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생성되며(도 7c, 도 8c, 및 도 9c), 이 때 샤프트 도어는 또한 (미도시된 메커니즘에 의해) 록킹 해제 상태에 있다.
동시에, 추가 롤러(711)는 자신(추가 롤러(711))의 수직 상부에 배열된 롤러(210)에 대해 선행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개략적으로 예시된 레버 메커니즘(712)에 의해 록킹 스케이트 앵글(706)을 가압한다(도 8c 및 도 7c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록킹 스케이트 앵글(706)은 특히 도 8c 및 도 9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과적인 리프팅력(resulting lifting force)을 구동 레버(705)를 통해 구동 롤러(704) 상으로 전달한다.
리프팅력은 (확장 가능한) 구동 롤러(704)로부터 록킹 레버(703)(확장 불가능) 상으로 추가로 전달된다. 록킹 레버(703)는 리프팅력을 후크 볼트(701)(도 8c)를 작동하는 연결 로드(702) 상으로 전달하여, 리프트 카 도어를 록킹 해제한다.
이러한 힘의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리프트 카 도어록의 확장 가능한 부재(104,105,1006,107)는 물론 확장 불가능한 부재(101,102,103)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s)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이들 레이디얼 베어링의 일부는 순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부호 720으로 식별된다.
리프트 카 도어록은 편의상 구성되어 결합 디바이스의 후속 접힘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자신의 자중(own weight)의 결과 다시 리프트 카 도어를 록킹한다.
리프트 카 도어를 리프트의 샤프트 도어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상세히 기술한 디바이스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그 확장성으로 인해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의 구성요소와 샤프트 측 상의 구성요소 간의 최대 공간이 실현될 수 있는 상술한 리프트 카 도어 록킹 메커니즘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리프트 카 도어가 제공될 때, 유효 문턱 공간, 즉,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의 구성요소와 샤프트 측 상의 구성요소 간의 공간이 또한 리프트 카가 이동하는 동안 최대화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으로, 그 이유는 전체 리프트 카 도어의 록킹을 위해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의 오직 하나의 구성요소(록킹 스케이트 앵글(706))만이 샤프트 도어 측 상의 오직 하나의 구성요소(추가 롤러(711))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예시된 리프트 카 도어록은 리프트 카 도어와 샤프트 도어를 결합하는 디바이스 내로 일체화되어 자체 기능(확장, 록킹 해제, 록킹, 축소)을 실현하기 위해 이동 및 그 기능(확장, 확대, 접힘, 축소)을 또한 사용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80: 리프트 카 도어 90: 샤프트 도어 100: 디바이스
101: 구동장치 102: 캐리지 103: 드라이버
104: 레버 105,680: 스프링 107: 축 장착장치
108,210,620: 롤러 109: 가이드 유닛 109a: 연결 링크
109b: 경사부 109c: 평탄부 109d: 확대부
110: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 110a: 베이스 몸체
150,160: 문턱 선행 엣지 610: 추가 연결 링크
610a: 상부 단부 650: 회전축 701: 후크 볼트
702: 연결 로드 703: 록킹 레버 704: 구동 롤러
705: 구동 레버 706: 록킹 스케이트 앵글
707: 하부 베어링 레버 711: 추가 롤러
712: 레버 메커니즘 720: 레이디얼 베어링

Claims (15)

  1. 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리프트 설비용 리프트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리프크 카 도어 측 상에 제공되는 캐치 수단(110); 및
    상기 사프트 도어 측 상에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 도어를 동반하도록 상기 캐치 수단(11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카운터-캐치 수단(210)
    을 포함하고,
    상기 캐치 수단(110) 및/또는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은 상기 리프트 카 도어 및 상기 샤프트 도어 내로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될 수 있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수단(110)은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 상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샤프트 도어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되는 디바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수단(110)은 확장기 스케이트 앵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은 상기 샤프트 도어 측 상에 제공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샤프트 도어를 록킹하기 위해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과 협력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상기 캐치 수단(110)이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 상에서 동작할 때 록킹 해제 가능한
    디바이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수단(110)은 상기 카운터-캐치 수단(210) 상에서 동작할 때 상기 리프트 카 도어 및 상기 샤프트 도어의 문턱 선행 엣지(threshold leading edges: 150, 160)에 대해 처음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후 평행하게 이동하는 디바이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구동장치(101)에 의해 리프트 카 도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리프트 카 측 상의 캐리지(102)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102)는 가이드 유닛(109)의 연결 링크(109a)에 의해 변위가 이루어지는 동안 이동하는 롤러(108)로 구성되며,
    상기 캐치 수단(110)은 상기 가이드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 링크(109a)를 통해 상기 롤러(108)의 이동이 상기 리프트 카 도어에 대해 상기 캐치 수단(110)을 확장하는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자동 록킹 또는 비자동 록킹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02)는 상기 캐리지(102)가 계속 추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캐치 수단(110) 상에 제공되는 레버 상에서 동작하여 상기 캐치 수단(110)을 이격하여 벌어지게 하는 드라이버(driver: 10)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복잡한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1차원 이동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리프트 카 도어 측 상에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 도어 측 상에 제공된 작동 수단(71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리프트 카 도어록(701,702,703,704,705,706)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카 도어록은 상기 캐치 수단(110)과 함께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카 도어록은 확장 불가능하도록 구성된 후크 볼트(701), 연결 로드(702), 및 록킹 레버(703)는 물론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 롤러(704), 구동 레버(705), 및 록킹 스케이트 앵글(706)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프트.

KR1020127003157A 2009-12-16 2010-08-16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KR10138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79529.4 2009-12-16
EP09179529 2009-12-16
PCT/EP2010/061911 WO2011072891A1 (de) 2009-12-16 2010-08-16 Vorrichtung zur mitnahme einer schachttür durch eine fahrkorb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931A true KR20120042931A (ko) 2012-05-03
KR101384850B1 KR101384850B1 (ko) 2014-04-29

Family

ID=4303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157A KR101384850B1 (ko) 2009-12-16 2010-08-16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60275B2 (ko)
EP (1) EP2459476B1 (ko)
JP (1) JP5570598B2 (ko)
KR (1) KR101384850B1 (ko)
CN (1) CN102471031B (ko)
BR (1) BR112012000868A2 (ko)
WO (1) WO2011072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78A (ko) 2019-10-14 2021-04-22 서경한 공인중개사가 수행하는 부동산 분양대행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2569B1 (de) * 2010-05-07 2011-07-29 Henseler H Ag Liftschachttür-Entriegelung.
WO2011144957A1 (en) * 2010-05-17 2011-11-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EP2543618A1 (en) * 2011-07-05 2013-01-09 Prisma S.p.A. Elevator door coupling apparatus
AU2012358577B2 (en) * 2011-12-21 2016-06-09 Inventio Ag Cage door-shaft door coupling
EP2650249A1 (de) 2012-04-13 2013-10-16 ThyssenKrupp Elevator AG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von Gegenmitnahmemitteln einer Schachttür einer Aufzuganlage
CN104787651B (zh) * 2015-02-13 2016-06-22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同步门刀
US11046557B2 (en) 2018-05-01 2021-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34548B2 (en) 2018-05-01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155444B2 (en) * 2018-05-01 2021-10-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0852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ntrol to address abnormal passenger behavior
US11040858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EP3566995B1 (en) * 2018-05-09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DE102018215813A1 (de) * 2018-09-18 2020-03-19 Franz Xaver Meiller Fahrzeug- Und Maschinenfabrik - Gmbh & Co Kg Mitnehmer mit Tiefeneinstellung
JP6810916B1 (ja) * 2020-03-03 2021-01-1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ドア用係合装置
CN114644281A (zh) * 2022-03-24 2022-06-21 浙江智菱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机系统
US11760604B1 (en) 2022-05-27 2023-09-19 Otis Elevator Company Versatile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5824A (en) * 1948-11-16 1951-08-01 Marryat & Scott Ltd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lift gates and doors
US3638762A (en) * 1969-08-11 1972-02-01 Otis Elevator Co Door-coupling apparatus for elevators
DE59204394D1 (de) * 1991-05-14 1996-01-04 Inventio Ag Aufzug.
ATE180462T1 (de) * 1994-02-21 1999-06-15 Inventio Ag Mitnehmer- und entriegelungssystem für aufzugstüren
JP2800674B2 (ja) * 1994-03-10 1998-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EP0679602A1 (de) * 1994-04-25 1995-11-02 Inventio Ag Mitnehmereinrichtung an Aufzugstüren
DE29508499U1 (de) 1995-05-22 1996-09-26 Meiller Fahrzeug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ufzugtürkombination
FI101284B (fi) * 1995-09-13 1998-05-29 Kone Oy Järjestely hissin automaattiovien avaamisessa ja sulkemisessa ja mukaa nottaja
US5732796A (en) * 1995-10-31 1998-03-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vacuation deterrent device
EP0829446A1 (de) * 1996-09-12 1998-03-18 Inventio Ag Mitnehmeeinrichtung für Aufzugstüren
KR100336348B1 (ko) * 1999-07-29 2002-05-13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36350B1 (ko) * 1999-07-30 2002-05-13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MY137162A (en) * 2001-06-14 2009-01-30 Inventio Ag Equipment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FR2827266B1 (fr) * 2001-07-12 2003-09-26 Otis Elevator Co Dispositif de couplage entre portes de cabine et portes palieres d'un ascenseur, actionne par un moteur independant du moteur d'entrainement des portes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4708005B2 (ja)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ケージドアリーフを昇降路ドアリーフに一時的に連結し、かつケージドアロック解除手段を作動させるための、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装置
WO2005092772A1 (en) * 2004-03-22 2005-10-06 Otis Elevator Company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car doors and landing doors
JP4802653B2 (ja) * 2005-10-18 2011-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係合装置
JP2007182614A (ja) * 2006-01-10 2007-07-19 Nisshin Steel Co Ltd ブラウン管バンド用高強度Al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088903A (zh) * 2006-06-15 2007-12-19 湖北正野电器电梯有限公司 零距离开关门装置
JP2011063384A (ja) * 2009-09-17 2011-03-3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係合装置
EP2543618A1 (en) * 2011-07-05 2013-01-09 Prisma S.p.A. Elevator door coupling apparatus
EP2650249A1 (de) * 2012-04-13 2013-10-16 ThyssenKrupp Elevator AG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von Gegenmitnahmemitteln einer Schachttür einer Aufzuganl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78A (ko) 2019-10-14 2021-04-22 서경한 공인중개사가 수행하는 부동산 분양대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1031B (zh) 2014-06-04
WO2011072891A1 (de) 2011-06-23
US20130133985A1 (en) 2013-05-30
CN102471031A (zh) 2012-05-23
JP5570598B2 (ja) 2014-08-13
EP2459476B1 (de) 2013-06-05
EP2459476A1 (de) 2012-06-06
US9260275B2 (en) 2016-02-16
JP2013501691A (ja) 2013-01-17
BR112012000868A2 (pt) 2016-11-16
KR101384850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850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JP3343229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KR1011531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로크장치
US6220396B1 (en) Door restrictor apparatus for elevators
JP2011063384A (ja) エレベータドア係合装置
CN105565126A (zh) 一种集成轿门锁同步门刀及同步门刀系统
JPH07285763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EP3460153A1 (en) System for closing and opening at least one leaf of an inward swinging door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JP2951650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11116493A (ja) エレベータの籠ドア装置
JP4001176B1 (ja) 車両用シート
CN216508340U (zh) 轨道车辆
JP2930941B1 (ja) 可動ホーム柵のロック装置
EP3634899B1 (en) Device for actuating elevator doors
EP3524763B1 (en) Secondary retention device for bi-parting doors
JPH119985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CN114274991B (zh) 一种下翻式城轨车辆紧急疏散门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JP2000008330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安全柵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200308995Y1 (ko)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KR20035608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