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995Y1 -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995Y1
KR200308995Y1 KR20-2002-0037641U KR20020037641U KR200308995Y1 KR 200308995 Y1 KR200308995 Y1 KR 200308995Y1 KR 20020037641 U KR20020037641 U KR 20020037641U KR 200308995 Y1 KR200308995 Y1 KR 200308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caffold
movable
scaffold
fixed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춘모
Original Assignee
손춘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춘모 filed Critical 손춘모
Priority to KR20-2002-0037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승강대 하측의 가동발판을 인입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발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부재와, 상기 수평구동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동발판의 측면에 고정되어서 내측에 구름운동부재가 장착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베어링과 맞물려 장착되어 상기 가동발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동발판을 구동하기 위한 힘이 비교적 적게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구동부재인 실린더의 수명이 연장되며 기기 동작시 소음 및 마찰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가동발판{Movable footboard of a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발판을 수평으로 구동시키는 것과 베어링이 장착된 레일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부하가 적게 들면서도 정숙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출입문은 계단 높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에 의하여, 철도차량이 각 역에 정차시 플랫폼과 높이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 승객의 승하차시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의 보조 발판이 고안되었으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철도차량의 차체(1)에는 출입문계단(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문계단(3) 하측에는 실린더브라켓(5)에 실린더(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동발판(9)에는 실린더(7)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발판(9)은 좌우측 고정브라켓(11)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11)의 하단은 상기 출입문계단(3) 하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3)에 힌지연결 된다.
상기 가동발판(9)이 접혀지는 경우,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1스토퍼(15)가 상기 지지브라켓(13) 상측에 돌출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제2스토퍼(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17)와 대응하는 상기 지지브라켓(13)에도 돌출 형성된 걸림편(19)이 구비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동발판(9)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발판(9)이 실린더(7)에 의하여 회전되어 제1스토퍼(15)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가동발판(9)을 사용할 때는,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계단(3) 하측에서 가동발판(9)이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상태를 갖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가동발판(9)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린더(7)의 로드가 신축되어 상기 가동발판(9)을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스토퍼(15)에 가동발판(9)이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가동발판(9)에 선단이 고정된 실린더(7)도 상기 실린더브라켓(5)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발판(9)을 사용할 경우, 상기 실린더(7)의 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가동발판(9)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발판(9)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고정브라켓(11)에 돌출형성된 걸림편(19)이 지지브라켓(1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스토퍼(17)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발판(9)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가동발판(9)의 작동구조는 실린더(7)가 실린더브라켓(5)과 가동발판(9)이 만나는 부분에서 회전되며 작동되는 암(arm)형식으로 동작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7) 동작시 로드가 동작되는 축방향 힘 뿐만 아니라 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도 힘을 받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7)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부하가 상기 실린더(7)에 걸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7)는 로드가 동작되는 축방향으로 동작될 경우에는 최상의 내구성을 가지게 되나, 축방향이 아닌 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작될 경우에는 내구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발판(9)의 동작구조가 회전하면서 동작되는 구조에 의하여, 가동발판(9)의 동작속도가 비교적 느리게 되며, 이에 따른 설치면적도 커지게 된다.
특히, 상기 가동발판(9)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발판(9)의 설치 위치도 비교적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가동발판(9) 동작시 하측에 있는 외부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동발판의 작동구조를 개선하여 실린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동발판의 설치면적이 축소되면서도 가동발판이 동작속도가 향상된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동발판의 장착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작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가동발판의 동작시 외부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을 낮아지는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레일과 레일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20 : 출입문계단 22 : 지지브라켓
24 : 상측가이드 26 : 하측가이드
28 : 가이드레일 30 : 레일부
31 : 베어링 32 : 제1지지편
33 : 제2지지편 34 : 고정편
40 : 가동발판 42 : 절결부
44 : 축지편 46 : 삽입구
48 : 고정핀 50 : 실린더
52 : 고정브라켓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철도차량에서 승강대 하측의 가동발판을 인입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발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부재와, 상기 수평구동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동발판의 측면에 고정되어서 내측에 구름운동부재가 장착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베어링과 맞물려 장착되어 상기 가동발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동발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단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과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편 하단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과 제1지지편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 장착되어 회동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가이드와, 상기 상측가이드와 대응하는 하측에 돌출 형성된 하측가이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발판을 구동하기 위한 힘이 비교적 적게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구동부재인 실린더의 수명이 연장되며기기 동작시 소음 및 마찰이 감소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용 차량의 출입문계단(20) 하측에는 양측으로 지지브라켓(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22)의 내측으로는 상측가이드(24)와 하측가이드(26)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28)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8)과 접하며 회동되도록 베어링(31)이 구비된 레일부(30)는 상기 가이드레일(28)의 상하측 가이드(24,26)와 대응하도록 제1지지편(32)과 제2지지편(3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편(32)과 제2지지편(33)을 연결해주는 고정편(34)은 판재형상으로 된 가동발판(40)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상태에서 회전축(35)의 일단은 고정편(34)과 가동발판(40)의 측면을 차례로 통과하여 너트(36)에 의하여 고정되어 용접되며, 상기 회전축(35)의 타단에는 베어링(31)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30)가 양측면에 설치된 가동발판(40)의 후측 중앙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서 절결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결부(42)에는 양측에 통공이 형성된 축지편(44)이 고정된다.
상기 축지편(44) 사이에는 삽입구(46)가 위치하여서 상기 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48)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삽입구(46)에는 실린더(50)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5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지지브라켓(22)의 사이에는 고정브라켓(52)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50)는 고정브라켓(52)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동작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철도차량이 운행중일 때는 상기 실린더(50)의 로드가 후퇴하는 것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가동발판(40)이 지지브라켓(22)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이동하게 되며, 철도차량이 플랫폼에 정차할 경우, 상기 실린더(50)의 로드가 전진하는 것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가동발판(40)이 지지브라켓(22)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동발판(40)의 동작에 있어서, 레일부(30)와 가이드레일(2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8)과 레일부(30)가 상호 결합되어서, 상기 베어링(31)의 회전에 의하여 가동발판(40)의 동작시 마찰이나 소음등이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베어링(31)이 회전축(35)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접하게 되는 상측가이드(24)와 상기 베어링(31) 사이에는 마찰이 감소되며 더욱 정숙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편(32)은 상측가이드(24)에 올려지고, 상기 제2지지편(33)은 하측가이드(26)에 올려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28)과 레일부(30)가 베어링(31)에 의하여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 기본적 기술사상안에서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가동발판에 의하면, 가동발판이 베어링에 의하여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실린더의 비교적 적은 힘 만으로도 신속하게 가동발판을 구동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동작 신뢰성과 정숙한 운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동발판의 동작거리가 종래 보다 줄어드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동발판의 인출과 인입이 보다 신속하게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동발판의 동작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설치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상기 가동발판의 설치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 설계할 수 하는 것에 의하여 가동발판의 동작시 외부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을 낮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도차량에서 승강대 하측의 가동발판을 인입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발판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부재와,
    상기 수평구동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동발판의 측면에 고정되어서 내측에 구름운동부재가 장착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베어링과 맞물려 장착되어 상기 가동발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동발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단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과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편 하단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과 제1지지편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 장착되어 회동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일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가이드와,
    상기 상측가이드와 대응하는 하측에 돌출 형성된 하측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KR20-2002-0037641U 2002-12-17 2002-12-17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KR200308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41U KR200308995Y1 (ko) 2002-12-17 2002-12-17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41U KR200308995Y1 (ko) 2002-12-17 2002-12-17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995Y1 true KR200308995Y1 (ko) 2003-03-31

Family

ID=4933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641U KR200308995Y1 (ko) 2002-12-17 2002-12-17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9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93B1 (ko) 2009-08-08 2012-02-29 김명선 차량 출입구 틈새 방지장치
CN104802813A (zh) * 2015-04-29 2015-07-29 河南师范大学 一种列车上下车的坡形踏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93B1 (ko) 2009-08-08 2012-02-29 김명선 차량 출입구 틈새 방지장치
CN104802813A (zh) * 2015-04-29 2015-07-29 河南师范大学 一种列车上下车的坡形踏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598B2 (ja) エレベータカー・ドアによって軸ドアをエントレイン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US6186733B1 (en) Low floor vehicle ramp assembly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3942370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JP4130293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3942346B2 (ja) 扉装置
KR200308995Y1 (ko) 철도차량용 가동발판
JP5227299B2 (ja) 軌条車両
JP4990078B2 (ja) 荷台部積み降ろし車両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JPH1126863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JP4527569B2 (ja) 鉄道車両用ステップ装置
CN206187023U (zh) 一种用于轨道交通列车的滑动踏板装置
KR20041194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20210157096A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JP425215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686705B2 (ja) 鉄道車両の踏段装置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EP284452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 access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JP4876763B2 (ja) エレベータの戸係合装置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JP2003165681A (ja) エレベータの空調装置
KR20100093329A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401517Y1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