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96A -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96A
KR20210157096A KR1020200074960A KR20200074960A KR20210157096A KR 20210157096 A KR20210157096 A KR 20210157096A KR 1020200074960 A KR1020200074960 A KR 1020200074960A KR 20200074960 A KR20200074960 A KR 20200074960A KR 20210157096 A KR20210157096 A KR 2021015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movable door
screen door
whee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019B1 (ko
Inventor
김서준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19B1/ko
Priority to PCT/KR2021/004653 priority patent/WO2021256682A1/ko
Publication of KR2021015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을 스크린 도어의 개폐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연동 제어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어 방식 또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에너지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SCREEN DOOR LINKED SAFETY BOARD OF PLATFORM}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을 스크린 도어의 개폐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연동 제어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어 방식 또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에너지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및 지하철 역사 등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설치되며, 선로에 진입하는 전동차와 승강장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승강장은 전동차가 선로에 정차한 상태에서 전동차와 일정 이격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특히, 해당 역사의 특성상 선로 및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설계된 경우에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이격 간격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이격 간격이 발생함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이격 간격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에 다양한 형태의 안전 발판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 안전 발판은 초기에는 단순히 승강장의 선단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이 경우 전동차와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승강장의 선단으로부터 전동차를 향해 돌출 및 인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승강장 안전 발판은 별도의 발판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발판 플레이트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접철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의 경우,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에 연동하여 발판 플레이트의 돌출 및 인입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전원이 끊기거나 신호 오류 등으로 인해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전동차가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하는 과정에서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전동차가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한 이후에도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가 출발하는 전동차와 충돌하거나 또는 후속 진입하는 전동차와 충돌하는 2차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이 경우, 전동차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발판 플레이트가 파손되고, 이 과정에서 주변 대기 승객의 피해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승강장 안전 발판은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에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발판 플레이트를 돌출 및 인입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 상태에 연동하여 제어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연동 제어 방식 또한 복잡하여 설비가 대형화되고, 제어 과정에서 오류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승강장에는 승객의 보호를 위해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스크린 도어 또한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장에서는 승강장 안전 발판 이외에도 스크린 도어 등 다양한 장치들이 전동차의 진입 및 진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그 제어 방식은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지며 개별 구동 제어 방식에 따른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7494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을 스크린 도어의 개폐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연동 제어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어 방식 또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에너지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장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가동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돌출 해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아암; 상기 작동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발판 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 도어가 개폐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 아암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가동 도어와 작동 아암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작동 아암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작동 휠; 및 상기 작동 휠의 기어 치형과 치합되도록 일측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 휠과 기어 치형을 통해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가동 도어와 함께 직선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동 도어에 연결 결합되는 작동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도어의 하단면에는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바는 일측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도어에 대해 일정 구간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가동 도어의 직선 이동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형성되어 상기 가동 도어의 직선 이동 구간 중 마지막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동 도어와 상기 작동 바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도어는 하나의 출입구에 2개 구비되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작동 아암은 2개의 가동 도어에 각각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2개 구비되고, 상기 연동 수단은 각각의 작동 아암과 가동 도어를 연동시키도록 2개 구비되며, 2개의 상기 작동 아암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연동 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작동 휠 및 작동 바의 기어 치형과 동시에 치합되는 기어 치형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아이들러 휠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작동 바와 작동 휠이 상기 아이들러 휠을 통해 상호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아암과 상기 작동 휠은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가동 도어에 결합된 작동 바에 의해 상기 작동 휠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작동 아암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작동 아암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바디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플랜지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장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가동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돌출 해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게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 도어가 개폐 작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도어와 발판 플레이트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발판 플레이트의 작동을 스크린 도어의 개폐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연동 제어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어 방식 또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에너지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 플레이트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작동 구조상 안전하게 발판 플레이트가 승강장에 다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 및 전동차의 손상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한 승하차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설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인입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아암과 작동 휠에 대한 상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설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 장치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이격 간격이 축소되도록 승강장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로서,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돌출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베이스 프레임(100)과, 작동 아암(200)과, 발판 플레이트(300)와, 연동 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러한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10)의 출입구(23) 영역에 베이스 프레임(100)이 설치되고,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승강장(10)에는 스크린 도어(20)가 설치되는데, 스크린 도어(20)는 출입구(23) 영역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도어(21)와, 가동 도어(21)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선로 측으로 진입을 방지하는 고정 도어(22)를 포함한다. 승강장(10)에 전동차가 진입 완료하면, 가동 도어(21)가 개방 작동하여 출입구(23)를 개방하고,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된 후, 승강장(10)으로부터 전동차가 출발하기 이전에 가동 도어(21)가 폐쇄 작동하여 출입구(23)를 폐쇄한다.
발판 플레이트(300)는 가동 도어(21)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거나 인입된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도어(21)가 폐쇄 작동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도어(21)가 개방 작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동차를 향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출입구 영역에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전동차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시 발빠짐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한 승하차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및 인입 작동이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도어의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수행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를 별도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별도의 전기적인 연동 제어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어 방식 또한 단순화되어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며, 제작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되고 에너지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승강장(10)에 설치되며, 전동차를 향한 일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된 하부 베이스(101)가 승강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베이스(101)의 상면에 별도의 상부 베이스(102)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101)의 내부 공간에 다수 부품이 배치된 상태로 상부 베이스(102)가 하부 베이스(101)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베이스(102)는 승강장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승객이 밟는 부분이며, 전동차를 향한 끝단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 패드(110)가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아암(200)은 평판 형태로 일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에 수직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작동 아암(2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양측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2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2개의 작동 아암(200)이 구비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의 출입구(23) 중 하나의 출입구(23)에 대해 가동 도어(21)가 2개 구비되어 서로 근접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2개의 가동 도어(21)에 각각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작동 아암(200) 또한 2개 구비될 수 있다.
발판 플레이트(3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 형태로 폭방향 일측단부가 작동 아암(20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한다. 이때, 발판 플레이트(300)는 2개의 작동 아암(200)에 결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연동 수단(600)은 가동 도어(21)가 개폐 작동함에 따라 작동 아암(200)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가동 도어(21)와 작동 아암(200)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연동 수단(600)은 가동 도어(21)가 개방 작동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동 아암(200)이 회전하도록 하고, 가동 도어(21)가 폐쇄 작동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작동 아암(200)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동 수단(600)은 가동 도어(21)와 작동 아암(200)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기계 요소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동 휠(610)과 작동 바(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 휠(610)은 원판 형상으로 작동 아암(2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기어 치형이 형성된다. 작동 바(6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기둥 형태로 작동 휠(610)의 기어 치형과 치합되도록 일측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어 작동 휠(610)과 기어 치형을 통해 맞물림 결합되며, 가동 도어(21)와 함께 직선 이동하도록 일측이 가동 도어(21)에 연결 결합된다. 작동 바(620)의 일측 끝단에는 가동 도어(21)에 결합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형태의 결합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동 도어(21)는 하나의 출입구(23)에 2개 구비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 이동하여 출입구(23)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므로, 작동 아암(200)은 2개의 가동 도어(21)에 각각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고, 연동 수단(600)은 각각의 작동 아암(200)과 가동 도어(21)를 연동시키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도어(21)의 개폐 작동시 2개의 작동 아암(200)이 각각의 연동 수단(600)에 의해 동시에 회전 작동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가동 도어(21)의 이동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인데,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및 인입을 위해서는 2개의 작동 아암(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해야 하므로, 2개의 연동 수단(600) 중 어느 하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휠(610) 및 작동 바(620)의 기어 치형과 동시에 치합되는 기어 치형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아이들러 휠(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이들러 휠(630)이 더 구비된 경우, 작동 바(620)와 작동 휠(610)은 아이들러 휠(630)을 통해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연동 수단(600)은 작동 바(620)와 작동 휠(610)이 기어 치형을 통해 직접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연동 수단(600)은 작동 바(620)와 작동 휠(610)이 아이들러 휠(630)을 중간 매개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연동 수단(600)의 작동 바(620)가 각 가동 도어(21)와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2개의 작동 아암(200)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스크린 도어(20)의 가동 도어(21)가 개방 작동하면, 연동 수단(600)에 의해 작동 아암(2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되고, 반대로, 전동차가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하기 이전 가동 도어(21)가 폐쇄 작동하면, 연동 수단(600)에 의해 작동 아암(20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동 도어(21)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작동 아암(200)이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반대로, 가동 도어(21)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작동 아암(200)이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발판 플레이트(300)는 2개의 작동 아암(200)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돌출 및 인입된다.
이와 같이 전동차 진입 완료시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됨으로써, 승강장(10)과 전동차 사이 간격이 축소되며, 이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시 승강장(10)과 전동차 사이 간격으로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이때, 발판 플레이트(300)는 돌출된 상태에서 2개의 작동 아암(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에 의한 하중이 발판 플레이트(300)에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 장치는 이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의해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방식으로 돌출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 진입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과 함께 반대로 회전 이동하며 인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동차와의 충돌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이 끊기거나 신호 오류 등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유지된 상태에서 전동차가 진입하여 충돌하게 되더라도, 발판 플레이트(300)가 전동차와의 충돌 과정에서 발생한 외력에 의해 다시 회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의 파손이나 전동차 손상 등의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플레이트(300)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강제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연동 수단(600)에 의해 연결된 가동 도어(21)의 역방향 이동이나 손상없이 발판 플레이트(300)만 단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700)이 구비된다.
작동 아암(200)과 작동 휠(610)은 이러한 마찰 접촉 모듈(700)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마찰 접촉 모듈(700)에 의한 상호 간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 도어(21)의 이동력이 작동 바(620)를 통해 작동 휠(610)에 전달되면, 작동 휠(610)과 작동 아암(200)이 상호 간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또는 인입되고,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작동 휠(610)은 가동 도어(21)에 결합된 작동 바(620)에 의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1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다.
즉, 가동 도어(21)의 이동력이 작동 바(620)를 통해 작동 휠(610)에 전달되면, 작동 휠(610)이 회전하게 되고, 작동 아암(200)은 마찰 접촉 모듈(700)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휠(610)과의 마찰력에 의해 작동 휠(610)과 함께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작동 아암(200)의 회전에 의해 발판 플레이트(300)가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된다. 이와 달리 발판 플레이트(3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이는 작동 아암(200)에 회전력으로 전달되고, 마찰력에 의해 작동 휠(610)에도 동일한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작동 휠(610)은 가동 도어(21)에 결합된 작동 바(620)와 맞물림되어 회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발판 플레이트(300)에 작용하는 외력이 기준치 이상(마찰력 이상)인 경우, 작동 휠(610)은 회전 정지한 상태로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1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게 된다.
정리하면,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외부 회전력(예를 들면, 전동차와의 충돌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면, 작동 아암(200)이 작동 휠(610)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발판 플레이트(300)는 다른 부품의 손상이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전동차와 충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인입되어 2차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이 과정에서 가동 도어(21)의 손상 또한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작동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발판 플레이트(300)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아암(200)에 의해 지지되는데,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에 의한 집중 하중 등이 발생하는 경우, 발판 플레이트(300)에 처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처짐 변형을 방지하고 발판 플레이트(30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별도의 커버 플레이트(330)가 발판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330)는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끝단부 하면에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발판 플레이트(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일부 영역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발판 플레이트(300)를 강도 보강하여 처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작동 상태가 아닌 인입 상태에서(대부분의 시간동안 인입 상태를 유지함) 베이스 프레임(10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게 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끝단에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 센서(31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센서(310)는 압력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작동 상태를 중단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인입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연동 수단(600)인 작동 바(620)와 가동 도어(21)의 연결 결합 구조를 살펴본다. 가동 도어(21)의 하단면에는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슬롯(24)이 형성되고, 작동 바(620)는 일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621)가 가이드 슬롯(24)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24)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 가동 도어(21)에 대해 일정 구간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 슬롯(24)은 가동 도어(21)의 직선 이동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형성되어 가동 도어(21)의 직선 이동 구간(T) 중 마지막 일부 구간(T2,T4)에서 작동 바(620)의 결합부(621)가 가이드 슬롯(24)의 끝단에 맞물림되어 가동 도어(21)와 작동 바(620)가 동시에 이동한다.
예를 들어, 가동 도어(21)가 개방 작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도어(21)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출입구(23)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 도어(21)의 전체 이동 구간(T) 중 도 4의 (a)에서 (b)까지 이동하는 구간(T1)에서는 작동 바(620)가 가동 도어(21)의 가이드 슬롯(24) 내에서 상대 이동하게 되므로, 이 구간(T1) 이동시에는 가동 도어(21)만 이동할 뿐 작동 바(620)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4의 (b)에서 (c)까지 이동하는 마지막 이동 구간(T2)에서는 작동 바(620)의 결합부(621)가 가이드 슬롯(24)의 끝단에 맞물림되어 가동 도어(21)와 작동 바(62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작동 바(620)가 이동함에 따라 작동 휠(61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작동 아암(200)이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발판 플레이트(300)는 가동 도어(21)의 초기 이동 구간(T1)에서는 인입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마지막 이동 구간(T2)에서 돌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동 도어(21)가 폐쇄 작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심 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며 출입구(23)를 폐쇄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도 4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동 도어(21)의 마지막 이동 구간(T4)에서 작동 바(620)가 이동한다. 즉, 가동 도어(21)의 전체 이동 구간(T) 중 도 5의 (a)에서 (b)까지 이동하는 구간(T3)에서는 작동 바(620)가 가동 도어(21)의 가이드 슬롯(24) 내에서 상대 이동하게 되므로, 이 구간(T3) 이동시에는 가동 도어(21)만 이동할 뿐 작동 바(620)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5의 (b)에서 (c)까지 이동하는 마지막 이동 구간(T4)에서는 작동 바(620)의 결합부(621)가 가이드 슬롯(24)의 끝단에 맞물림되어 가동 도어(21)와 작동 바(62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작동 바(620)가 이동함에 따라 작동 휠(61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작동 아암(200)이 회전하여 발판 플레이트(300)가 인입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판 플레이트(300)는 가동 도어(21)의 초기 이동 구간(T3)에서는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마지막 이동 구간(T4)에서 인입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동 도어(21)의 폐쇄 작동이 거의 완료된 시점에 발판 플레이트(300)의 인입 작동이 시작되므로, 승객의 승하차 과정에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마지막 승하차 시간까지 돌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동 도어(21)의 가이드 슬롯(24)의 길이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발판 플레이트(300)의 작동 시점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바(620)의 결합부(621) 측면에 별도의 스페이서(미도시)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스페이서 탈부착을 통해 작동 바(620)의 결합부(621)와 가동 도어(21)의 가이드 슬롯(24) 사이의 맞물림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판 플레이트(300)의 작동 시점을 편리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 아암(200)과 작동 휠(610)을 상호 마찰 접촉시키는 마찰 접촉 모듈(7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6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 아암과 작동 휠에 대한 상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마찰 접촉 모듈(700)은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되어 작동 아암(200)과 작동 휠(610)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데, 중공 원통 형상으로 작동 아암(200)의 회전축(201)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작동 아암(200)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711)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710)와, 작동 아암(200)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710)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720)와, 작동 아암(200)이 플랜지부(711)에 밀착 접촉하도록 가압 바디(720)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 아암(200)은 플랜지부(71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 샤프트(710)와 함께 회전하고, 작동 휠(610)은 플랜지부(711)의 하면에 결합 볼트(S1)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71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랜지부(711)의 상면 및 가압 바디(720)의 하면에는 작동 아암(200)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패드(730)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동 도어(21)의 이동력이 작동 바(620)를 통해 작동 휠(610)에 전달되면, 작동 휠(610) 및 회전 샤프트(710)가 일체로 함께 회전하며, 플랜지부(711)를 통해 회전 샤프트(710)에 마찰 접촉한 작동 아암(200) 또한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한다. 작동 아암(200)이 회전함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 또는 인입된다.
이와 달리 발판 플레이트(300)에 외력이 작용하여 작동 아암(200)에 회전력으로 전달되면, 이러한 회전력은 작동 아암(200)과 마찰 접촉하는 회전 샤프트(710)에 전달되고, 회전 샤프트(710)에 결합된 작동 휠(610)에도 전달된다. 그러나, 작동 휠(610)은 작동 바(620)를 통해 가동 도어(21)와 연결되므로, 가동 도어(21)가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고 회전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 아암(20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회전 샤프트(710)와의 마찰력 이상이면, 작동 휠(610)은 회전 구속된 상태로 작동 아암(200)만 마찰력에 대항하며 회전하게 된다. 즉, 발판 플레이트(300)에 기준치 이상(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작동 휠(610)은 회전 구속된 상태로 발판 플레이트(300) 및 작동 아암(200)만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 플레이트(300)가 돌출된 상태에서 전동차와 충돌하게 되면, 발판 플레이트(300)는 회전 이동하여 인입되고, 가동 도어(21) 등 기타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가압 바디(720)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740)은 가압 바디(720)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압 바디(720)에 하향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가압 바디(7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741)와, 상하 이동에 따라 탄성 부재(741)의 탄성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회전 샤프트(7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 조절 너트(7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741)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탄성 조절 너트(742)를 회전하여 하향 이동시키면, 탄성 부재(741)의 하향 가압력이 증가하여 가압 바디(720)와 작동 아암(200)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탄성 조절 너트(74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향 이동시키면, 탄성 부재(741)의 하향 가압력이 감소하여 가압 바디(720)와 작동 아암(200)과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에 결합되어 회전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돌출 및 인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발판 플레이트(300)가 작동 아암(200)과는 다른 기계 요소, 예를 들면, 링크 또는 가이드 레일 등을 통해 직선 또는 곡선 이동 방식으로 돌출 및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발판 플레이트(300)가 연동 수단(600)을 통해 가동 도어(21)에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가동 도어(21)의 개폐 작동에 따라 돌출 및 인입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발판 플레이트(300)의 돌출 및 인입 작동이 가동 도어(21)의 개폐 작동에 기계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연동 수단(60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작동 아암
201: 회전축
300: 발판 플레이트
330: 커버 플레이트
600: 연동 수단
610: 작동 휠
620: 작동 바
700: 마찰 접촉 모듈
710: 회전 샤프트
711: 플랜지부
720: 가압 바디
730: 마찰 패드
740: 탄성 가압 모듈
741: 탄성 부재
742: 탄성 조절 너트

Claims (8)

  1.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장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가동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돌출 해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아암;
    상기 작동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곡선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발판 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 도어가 개폐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 아암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가동 도어와 작동 아암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작동 아암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는 작동 휠; 및
    상기 작동 휠의 기어 치형과 치합되도록 일측면에 기어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 휠과 기어 치형을 통해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가동 도어와 함께 직선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동 도어에 연결 결합되는 작동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도어의 하단면에는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 바는 일측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동 도어에 대해 일정 구간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가동 도어의 직선 이동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형성되어 상기 가동 도어의 직선 이동 구간 중 마지막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동 도어와 상기 작동 바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도어는 하나의 출입구에 2개 구비되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작동 아암은 2개의 가동 도어에 각각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2개 구비되고, 상기 연동 수단은 각각의 작동 아암과 가동 도어를 연동시키도록 2개 구비되며,
    2개의 상기 작동 아암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연동 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작동 휠 및 작동 바의 기어 치형과 동시에 치합되는 기어 치형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아이들러 휠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작동 바와 작동 휠이 상기 아이들러 휠을 통해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아암과 상기 작동 휠은 별도의 마찰 접촉 모듈을 통해 상호 마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의 마찰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 및 인입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에 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가동 도어에 결합된 작동 바에 의해 상기 작동 휠이 회전 구속된 상태로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작동 휠과의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 모듈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작동 아암의 회전축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작동 아암이 안착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작동 아암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샤프트에 관통 결합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작동 아암이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 바디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아암은 상기 플랜지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8.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장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가동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및 돌출 해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게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 도어가 개폐 작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 플레이트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도어와 발판 플레이트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1020200074960A 2020-06-19 2020-06-19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1023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60A KR102349019B1 (ko) 2020-06-19 2020-06-19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PCT/KR2021/004653 WO2021256682A1 (ko) 2020-06-19 2021-04-13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960A KR102349019B1 (ko) 2020-06-19 2020-06-19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96A true KR20210157096A (ko) 2021-12-28
KR102349019B1 KR102349019B1 (ko) 2022-01-11

Family

ID=7917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960A KR102349019B1 (ko) 2020-06-19 2020-06-19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9019B1 (ko)
WO (1) WO2021256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94B1 (ko) * 2022-08-23 2023-02-17 김인춘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64B1 (ko) * 2004-02-27 2005-08-22 김민식 전동차 승강용 안전장치
KR101274949B1 (ko) 2011-06-30 2013-06-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136297A (ko) * 2017-06-14 2018-12-2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6221444B2 (ja) * 2013-07-17 2017-11-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ップ装置
FR3060502B1 (fr) * 2016-12-19 2018-12-07 Faiveley Transport Tours Porte paliere avec seuil rehausse integ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64B1 (ko) * 2004-02-27 2005-08-22 김민식 전동차 승강용 안전장치
KR101274949B1 (ko) 2011-06-30 2013-06-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136297A (ko) * 2017-06-14 2018-12-2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94B1 (ko) * 2022-08-23 2023-02-17 김인춘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682A1 (ko) 2021-12-23
KR102349019B1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89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US10053114B2 (en) Protective wall for the protection of people from moving rail vehicles
JP5570598B2 (ja) エレベータカー・ドアによって軸ドアをエントレイン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JP2014511302A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4083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MX2011002570A (es) Sistema de impulsion para puerta.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0836204B1 (ko) 전동차용 안전발판 시스템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JP527085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KR101412087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436579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CN210710254U (zh) 一种伸缩护脚板
KR102349018B1 (ko) 승강장의 안전 발판 장치
KR100503670B1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EP3599211B1 (en) Elevator car apron
EP3608282B1 (en) Elevator car apron
CN216069962U (zh) 可移动的应急站台门
JP4871188B2 (ja) 車両乗降用ステップ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216139984U (zh) 一种交通设备及其电动伸缩踏板装置
JP60266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1818402U (zh) 一种可升降式的台车止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