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297A -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297A
KR20180136297A KR1020170075064A KR20170075064A KR20180136297A KR 20180136297 A KR20180136297 A KR 20180136297A KR 1020170075064 A KR1020170075064 A KR 1020170075064A KR 20170075064 A KR20170075064 A KR 20170075064A KR 20180136297 A KR20180136297 A KR 2018013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creen door
moving body
footres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269B1 (ko
Inventor
김성령
문재흠
정무호
한규인
한동규
배성재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장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크린 도어 및 제2 스크린 도어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가 개방될 때 각도가 변화되게 제공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각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승강장에서 전동차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우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SAFETY FOOT HOLDER FOR SUBWAY}
본 발명은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 없이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또는 지하의 역사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구비되는데,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는 승객이 선로로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다.
스크린 도어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완전히 정차한 후 전동차의 출입문에 연동하여 개폐되기 때문에 승객이 전동차에 타고 내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닫혀 있어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떨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동차가 승강장에 정차한 경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에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어린이가 끼이는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는 안전 발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360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안전 발판이 승강장에 매립되어 있다가 전동차가 도착하면 승무원조작반에 의한 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유격을 메워주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는 관리자가 안전 발판을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승무원조작반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안전 발판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구성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에 따라 안전 발판의 고장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자동차용 안전 발판은 스크린 도어의 개폐 신호와 연동하여 안전 발판의 동작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 발판을 위한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한 문제가 있어 안전 발판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6077호 (2017. 05. 1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동력 없이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작동 신뢰성을 높여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면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하여 전동차 출입구와의 높이 단차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장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크린 도어 및 제2 스크린 도어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가 개방될 때 각도가 변화되게 제공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각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승강장에서 전동차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우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도어 슬롯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슬롯부에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는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각각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각각의 고정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는 각각의 연결핀을 통해 상기 발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의 운동이 상기 발판부에 전달되어 상기 발판부가 상기 전동차 쪽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링크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 슬롯 내에는 상기 고정핀 및 상기 연결핀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전동차와 마주보는 전방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발판 하우징; 상기 발판 하우징의 상기 전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판 하우징에서 상기 전동차 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판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전동차에 접촉시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전동차의 출입구 바닥면과의 단차를 줄여주는 추가 발판; 및 상기 발판 하우징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에 추력을 제공하는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발판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시 상기 제1 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추가 발판이 상승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상기 추가 발판이 상승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는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발판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 공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 발판이 별도의 동력 없이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작동 신뢰성을 높여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 발판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면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해 전동차 출입구와의 높이 단차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와 스크린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스크린 도어가 닫힌 상태와 안전 발판이 돌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스크린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안전 발판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안전 발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의 발판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에서 발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는 제1 링크(210)와, 제2 링크(220) 및 발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로의 승하차를 돕는 승강장에는 제1 스크린 도어(110)와 제2 스크린 도어(120)가 양문형으로 설치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폐에 관한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적으로 스크린 도어(100)는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선로 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바, 이러한 스크린 도어(100)는 승강장에 고정되어 개폐되지 않는 고정 도어(101)와, 상기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처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이동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되는 경우 제1,2 스크린 도어(110,120)는 고정 도어(101)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놓여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는 상기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하부에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게 위치되며, 제1,2 링크(210,220)의 각각의 일단은 제1 스크린 도어(110) 및 제2 스크린 도어(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 도어(110)에는 제1 링크(210)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스크린 도어(120)에는 제2 링크(220)의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제1,2 링크(210,220)는 각각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에 의해 당겨지고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또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링크(210)의 타단과 제2 링크(220)의 타단이 각각 전동차가 있는 방향을 향하여 전진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린 도어(110) 및 제2 스크린 도어(120)의 일측(예컨대, 하부측)에는 스크린 도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도어 슬롯부(111,121)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도어 슬롯부(111,121)에는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의 각 일단(210a, 220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2 링크(210,220)는 그 일단(210a, 220a)이 도어 슬롯부(111,121)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스크린 도어(110,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원 내의 도면에서 보듯이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의 각 일단(210a, 220a)에는 상기 도어 슬롯부(111)의 내부 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210b)가 연결될 수 있다.
이 이동부재(210b)는 도어 슬롯부(111) 내에서 도어 슬롯부(11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를 당기거나 밀 수 있다.
여기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방 동작에서 스크린 도어(110,120)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이동부재(210b)는 도어 슬롯부(111) 내에서 조금 미끄러지기는 하되 도어 슬롯부(111)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링크(210) 또는 제2 링크(220)를 당길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스크린 도어(110,120)가 완전 개방되는 지점 근처까지 도달한 경우 도어 슬롯부(11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11a)이 이동부재(210b)에 걸리면서 이동부재(210b)를 끌어 당겨 제1,2 링크(210,220)를 당길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방 초기에는 이동부재(210b)와 도어 슬롯부(111) 간의 마찰력이 거의 없어서 이동부재(210b)가 도어 슬롯부(111) 내에서 미끄러지기만 하여 제1,2 링크(210,220)의 움직임이 전혀 없다가 도어 슬롯부(11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11a)이 이동부재(210b)에 걸리면서 마침내 이동부재(210b)를 끌어당겨 제1 링크(210) 또는 제2 링크(220)가 당겨지게 구현될 수도 있는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부재(210b)의 마찰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서로 다른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되는 경우 제1,2 링크(210,220)의 각 일단은 도어 슬롯부(111,121)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에 의해 당겨져 제1,2 링크(210,220)가 스크린 도어(110,120)가 이동한 방향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에 각각 도어 슬롯부(111,121)가 구비된 이유는,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이동 거리에 비해 제1,2 링크(210,220)의 각 타단이 이동하는 거리를 더 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의 이동 거리는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유격을 막기 위한 발판부(300)의 돌출 거리와 연관이 있는데,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유격은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이동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도어 슬롯부(111,121)에서 제1,2 링크(210,220)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이 거리차(길이차)를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제1,2 링크(210,220)의 각도가 변화되며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가 전동차가 있는 쪽으로 이동되도록 제1 링크(210)와 제2 링크(220)에는 각각 고정핀(211,221)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핀(211,221)은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폐시 제1,2 링크(210,220) 각각의 회전 중심이 되는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폐될 때 제1,2 링크(210,220)는 고정핀(211,2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링크의 전체 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가 전동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핀(211,221)은 움직이지 않는 주변 구조물(예컨대, 승강장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제1,2 링크(210,220)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211,221)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제1,2 링크(210,220)의 회전 각도가 달라지므로 상기 발판부(300)의 돌출량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211,221)의 설치 위치는 발판부(300)의 돌출량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승강장과 전동차 간의 유격이 서로 다른 곳에는 발판부(300)의 돌출량을 조정하기 위해 고정핀(211, 22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300)는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방시 승강장에서 전동차 쪽으로 돌출되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유격(틈)을 메우는 요소이다.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는 각각 연결핀(212,222)을 통해 발판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방에 따른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의 운동이 각각의 연결핀(212,222)을 통해 발판부(300)에 전달되어 발판부(300)가 전동차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1,2 링크(210,220)는 고정핀(211,221)과 연결핀(212,222)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2 스크린 도어(110,120)를 따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제1,2 링크(210,220)에는 링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링크 슬롯(213,223)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슬롯(213,223)에는 고정핀(211,221) 및 연결핀(212,222)이 위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X"자 형으로 배치된 제1,2 링크(210,220)는 제1,2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스크린 도어(110,120)에 의해 당겨지면서 스크린 도어(110,120)가 열리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2 링크(210,220)는 스크린 도어(110,120)에 의해 이동됨과 동시에 고정핀(211,22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링크 전체의 각도가 변하게 되는바, 이 과정에서 고정핀(211,221)은 제1,2 링크(210,220)가 스크린 도어(110,120)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링크 슬롯(213,223) 내에서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링크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한다.
또한, 제1,2 링크(210,22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제1,2 링크(210,220)의 타단부는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전동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핀(212,222)이 링크 슬롯(213,223)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제1,2링크의 타단부의 운동을 상기 발판부(300)에 전달하여 스크린 도어의 개방시에는 발판부(300)가 전동차 쪽으로 돌출되고 스크린 도어의 폐쇄시에는 발판부(300)가 승강장 쪽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판부(300)는 제1,2 스크린 도어(110,120)의 운동에 연동하여 승강장 쪽으로 돌출되어 전동차와의 유격(틈)을 메워 승객의 발이나 어린이가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에 빠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발판부(400)에만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들은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발판부(4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원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에서 발판부(400)는 발판 하우징(410), 이동체(420), 추가 발판(430) 및 댐퍼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하우징(410)은 전동차와 마주보는 전방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모든 면은 폐쇄된 직육면체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 하우징(410)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판부(30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2 링크(210,220)가 연결핀(212,222)을 통해 발판 하우징(4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도어(110,120)의 개폐와 연동되어 발판 하우징(410)의 전후진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이동체(420)는 발판 하우징(410)의 전방면에 설치되는데, 이동체(420)는 발판 하우징(410)에서 전동차 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체(4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핀(421)이 돌출 형성되며, 발판 하우징(4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핀(421)이 관통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 공(4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체(420)가 발판 하우징(4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 핀(421)이 가이드 공(411)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이동 거리 및 방향이 가이드 핀(421) 및 가이드 공(41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체(420)가 발판 하우징(410)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발판(430)은 이동체(4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발판 하우징(4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추가 발판(430)은 이동체(420)가 전동차에 접촉될 때 이동체(420)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되어 전동차의 출입구 바닥면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시 승강장과 전동차와의 틈새 및 높이 단차를 완벽하게 줄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420)의 상부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발판(430)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이동체(420)의 이동시 제1 돌기(422)와 접촉되어 추가 발판(430)이 상승되도록 하는 제2 돌기(4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이동체(420)의 상부면에는 제2 돌기(43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423)이 제1 돌기(42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승객의 승하차시를 제외하고 추가 발판(43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댐퍼부(440)는 발판 하우징(410)과 이동체(420)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체(420)에 미는 힘(추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체(4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동체(420)가 전동차 쪽으로 돌출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댐퍼부(440)는 일 예로 내부에 압축 가스가 봉입된 가스 리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4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110,120)가 개방될 때 제1,2 링크(210,220)의 작동에 의해 전동차 쪽으로 발판 하우징(410) 전체가 전진될 수 있다. 발판 하우징(410)은 전동차를 향해 전진되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420)가 전동차의 측벽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도 제1,2 링크(210,220)는 계속해서 발판 하우징(410)을 전진시키기 때문에 상기 이동체(420)를 제외한 발판부(400)의 모든 구성이 전동차 쪽으로 전진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이동체(420)는 전동차에 걸려 전진하지 못하고 이동체(420)에 추력을 제공하던 댐퍼부(440)는 발판 하우징(410)이 전진하기 때문에 압축되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발판(430)의 제2 돌기(431)가 이동체(420)의 제1 돌기(422)를 타고 올라가 추가 발판(430)이 상승 회동되면서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 위로 얹혀지거나 전동차 출입구의 바닥면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하여 전동차 출입구 바닥면과의 높이 단차를 줄여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객의 승, 하차가 종료되고 나면 스크린 도어가 닫히게 되므로 제1,2 링크(210,220)의 작동에 의해 발판 하우징(410)이 후퇴하는바, 위에서 설명한 동작의 역순으로 발판 하우징(410)이 후퇴하여 이동체(420)가 전동차에서 이격되면 댐퍼부(440)에 의해 이동체(420)는 발판 하우징(410)으로부터 돌출되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10 : 제1 스크린 도어 120 : 제2 스크린 도어
111, 121 : 도어 슬롯부 210 : 제1 링크
220 : 제2 링크 211, 221 : 고정핀
212, 222 : 연결핀 213, 223 : 링크 슬롯
300, 400 : 발판부
410 : 발판 하우징 411 : 가이드 공
420 : 이동체 421 : 가이드 핀
422 : 제1 돌기 423 : 수용홈
430 : 이동체 431 : 제2 돌기
440 : 댐퍼부

Claims (9)

  1. 승강장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크린 도어 및 제2 스크린 도어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X자 형으로 서로 교차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가 개방될 때 각도가 변화되게 제공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각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승강장에서 전동차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틈을 메우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도어 슬롯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슬롯부에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는 상기 제1 스크린 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각각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각각의 고정핀이 설치된,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는 각각의 연결핀을 통해 상기 발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의 운동이 상기 발판부에 전달되어 상기 발판부가 상기 전동차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링크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 슬롯 내에는 상기 고정핀 및 상기 연결핀이 위치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전동차와 마주보는 전방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발판 하우징;
    상기 발판 하우징의 상기 전방면에 설치되며, 상기 발판 하우징에서 상기 전동차 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판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전동차에 접촉시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전동차의 출입구 바닥면과의 단차를 줄여주는 추가 발판; 및
    상기 발판 하우징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에 추력을 제공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발판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시 상기 제1 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추가 발판이 상승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는 상기 추가 발판이 상승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는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발판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 공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KR1020170075064A 2017-06-14 2017-06-14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KR10194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64A KR101940269B1 (ko) 2017-06-14 2017-06-14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64A KR101940269B1 (ko) 2017-06-14 2017-06-14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97A true KR20180136297A (ko) 2018-12-24
KR101940269B1 KR101940269B1 (ko) 2019-01-18

Family

ID=6501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64A KR101940269B1 (ko) 2017-06-14 2017-06-14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2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지노시스 Rfid 태그 기반 헤드카운팅 기술을 활용한 공장안전관리 시스템
WO2021256682A1 (ko) * 2020-06-19 2021-12-23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20230038025A (ko) * 2021-09-10 2023-03-17 송석재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43U (ko) * 1998-07-08 1998-10-26 정양식 승합차용 출몰식 슬라이딩 답판
KR20020015525A (ko) * 2000-08-22 2002-02-28 소진관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장치
KR200277779Y1 (ko) * 2001-11-16 2002-06-15 남건우 전동차-승강장 연결 자동 발판
KR20040034241A (ko) * 2002-10-21 2004-04-28 김문건 차량용 사이드 스텝
KR20100086158A (ko) * 2009-01-22 2010-07-30 서울메트로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1736077B1 (ko) 2015-03-09 2017-05-17 박판석 전동차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43U (ko) * 1998-07-08 1998-10-26 정양식 승합차용 출몰식 슬라이딩 답판
KR20020015525A (ko) * 2000-08-22 2002-02-28 소진관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장치
KR200277779Y1 (ko) * 2001-11-16 2002-06-15 남건우 전동차-승강장 연결 자동 발판
KR20040034241A (ko) * 2002-10-21 2004-04-28 김문건 차량용 사이드 스텝
KR20100086158A (ko) * 2009-01-22 2010-07-30 서울메트로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1736077B1 (ko) 2015-03-09 2017-05-17 박판석 전동차 안전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2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지노시스 Rfid 태그 기반 헤드카운팅 기술을 활용한 공장안전관리 시스템
WO2021256682A1 (ko) * 2020-06-19 2021-12-23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20210157096A (ko) * 2020-06-19 2021-12-2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20230038025A (ko) * 2021-09-10 2023-03-17 송석재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69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269B1 (ko)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KR101034589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KR101034588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JP6388418B1 (ja) エレベータ装置
US9469312B2 (en) Step device and railcar including step device
JP467242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JP200227436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KR100804011B1 (ko)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KR20120138912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JP2008247369A (ja) ステップ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20110055026A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JP2010126144A (ja) 可動式ホーム柵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US5141080A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of an elevator
JP20000162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200435056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JP2006224821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20210157096A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JP2017087907A (ja) ホームドア装置
JP4383774B2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JP2003020843A (ja) 鉄道車両用側引き戸のロック解除構造
JP700765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