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79B1 -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79B1
KR101058879B1 KR1020090005373A KR20090005373A KR101058879B1 KR 101058879 B1 KR101058879 B1 KR 101058879B1 KR 1020090005373 A KR1020090005373 A KR 1020090005373A KR 20090005373 A KR20090005373 A KR 20090005373A KR 101058879 B1 KR101058879 B1 KR 10105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caffolding
scaffold
safety
urban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158A (ko
Inventor
양회성
정수영
최시행
추돈호
엄기두
차관봉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9000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개폐와 연동하면서 다단 신축되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시철도 차량 출입구 하부의 외측 단턱부 상에 배치되며, 다단 미끄럼 이동하면서 신축되는 발판부와, 출입구 하부의 유도레일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일단부가 이동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판부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양 팔을 벌린 듯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동에 따라 발판부를 신축시키는 한 쌍의 암을 포함하며, 발판부는 후단, 중단 및 선단 발판으로 이루어지되 중단 발판은 후단 발판의 내부에서, 선단 발판은 중단 발판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며, 암의 타단부는 선단 발판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도시철도, 안전발판, 신축, 자유경첩

Description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SAFTY FOOT BOARD OF RAILWAY CAR}
본 발명은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개폐와 연동하면서 다단 신축되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고상 플랫폼(高床 PLATFORM) 방식으로 된 도시철도의 경우, 차량의 좌우 동요를 고려하여 승강장의 연단과 차량 출입문 사이에 일정폭의 안전공간이 불가피하게 형성되며, 승강장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승하차의 위치별로 추가적인 안전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승·하차시 승객(특히 어린이)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승강장 연단과 차량의 출입문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발판이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 개시된 대부분의 안전발판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비용 면에서나 설치 및 관리 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또한 동력 공급의 중단이나 제어장치의 오작동에 의해 안전발판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전술한 종래 안전발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설치비용이나 유지보수 비용을 고려하여 다단 신축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승강장 보다는 도시철도 차량에 설치될 수 있는 안전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의 동력 공급이나 제어장치 없이 출입문의 개폐와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차량의 변형이 요구되지 않음은 물론 작동 과정에서 차량 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않는 안전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승강장 연단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는 안전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시철도 차량 출입구 하부의 외측 단턱부 상에 배치되며, 다단 미끄럼 이동하면서 신축되는 발판부와, 출입구 하부의 유도레일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일단부가 이동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판부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양 팔을 벌린 듯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동에 따라 발판부를 신축시키는 한 쌍의 암을 포함하며, 발판부는 후단, 중단 및 선단 발판으로 이루어지되 중단 발판은 후단 발판의 내부에서, 선단 발판은 중단 발판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며, 암의 타단부는 선단 발판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발판 중 다른 발판에 수납되는 발판의 외측면에 외측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 중 다른 발판을 수납하는 발판의 내측면에 상기 외측 요철부와 형합하는 내측 요철부가 형성되어 다른 발판에 수납되는 발판의 미끄럼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부는 좌측 발판부와 우측 발판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 중 좌측 이동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암은 상기 좌측 발판부의 전단 내측에 타단부가 결합되고, 우측 이동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암은 상기 우측 발판부의 전단 내측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각 암의 회동에 따라 좌, 우측 발판부가 신축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하측에 형성되는 레일홈을 통해 상기 유도레일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의 후단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를 좌, 우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은 타단부에 근접할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지면서 전방으로 선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암 각각은, 각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 내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에 연결되는 상측 힌지판, 상기 단턱부 상에 고정되는 하측 힌지판, 상기 힌지판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양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부의 상하방향 회동을 허용하는 자유경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유경첩부는 상기 발판부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힌지판은 상기 발판부의 좌, 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의 전면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레일에 근접한 차량 내측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승객이 내릴 때 상기 이동부재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철도 차량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지원받을 필요가 없으며,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안전발판의 설치를 위해 차량의 변형이 전혀 요구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제작 및 설치가 쉽고, 설치 후 보수 및 교체의 소요가 거의 발생하지 않 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판부가 암의 회동에 따라 다단 신축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자유경첩부에 의해 발판부의 회전이 허용되므로 승강장 연단 높이의 다양함에 대응하여 어느 승강장에 대해서나 안전발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차량 출입문이 어느 정도 열려 승객의 승, 하차가 시작되기 바로 전에 이미 발판부의 인출이 완료된다. 그리고, 출입문이 어느 정도 닫혀 승객의 승, 하차가 불가능한 시점에 발판부의 수납이 시작되어 출입문이 완전히 닫혔을 때 발판부가 완전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차량 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않음은 물론이며, 이에 수반하여 승객은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안정된 승, 하차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발판이 도시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신축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신축 상태를 알 수 있는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회동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이고, 도 7a 및 7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1)은 발판부(100)와, 이동부재(200)와, 탄성수단과, 암(400)이 포함된다.
발판부(100)는 도시철도 차량 출입구(10) 하부의 외측(승강장 쪽)에 형성되는 단턱부(40), 즉 출입문(20)이 가이드되는 하부 유도레일(30)의 승강장(3) 쪽에 형성되는 단턱부(40)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단으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신축되는 구조를 갖는다.
발판부(100)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후단 발판(110)과, 중단 발판(120)과, 선단 발판(130)으로 구성되어 3단의 신축 구조를 갖는 발판부(1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2단이나 4단 이상의 신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3단의 신축 구조의 예를 들어 발판부(100)를 설명하면, 중단 발판(120)은 후단 발판(1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방, 즉 승강장(3) 쪽으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선단 발판(130)은 중단 발판(12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후단 발판(110)과 중단 발판(120)에서 각각 수납 또는 인출되는 중단 발 판(120) 및 선단 발판(130)은 인출 시 희망하는 폭 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이 멈춰져, 수납하는 발판인 후단 발판(110)과 중단 발판(120) 각각으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이탈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수납 또는 인출되는 발판인 중단 발판(120)과 선단 발판(130)의 외측면 일측, 바람직하게 후단부 외측면 일측에 걸림돌기(121, 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하는 발판인 후단 발판(110)과 중단 발판(120)의 내측면 일측에 가이드홈(112, 122)이 미끄럼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1, 131)는 발판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112, 122)에서 가이드되며, 이때 가이드홈(112, 122)의 전단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발판(110, 12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걸림돌기(121, 131)가 가이드홈(112, 122)의 전단에 걸려지면서 발판(110, 120)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수납 또는 인출되는 중단 발판(120) 및 선단 발판(130)의 외측면에는 돌출 형상과 함몰 형상이 연속되는 외측 요철부(125, 1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하는 발판인 후단 발판(110) 및 중단 발판(120)의 내측면에는 외측 요철부(125, 135)에 형합하는 내측 요철부(116, 12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 형상과 함몰 형상은 발판의 미끄럼 이동 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된다.
내측 요철부(116, 126)와 외측 요철부(125, 135)가 형합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중단 발판(120)과 선단 발판(130)은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발판부(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 발판부(101, 102)로 양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부재(200)는 도시철도 차량의 출입구(10)에서 출입문(20)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하부 유도레일(30) 상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좌, 우측 이동부재로 이루어져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이동부재(200)의 하측에는 레일홈(201)이 형성되어 이 레일홈(201)을 통해 유도레일(3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도시철도 차량의 양 출입문(20)에는 각각의 내측 단부에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전고무(21)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안전고무(21)의 하단부를 일부 절개하면 절개된 부위에 공간(21a)이 형성되며, 출입문(20)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는 이 공간(21a)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00)의 좌우 폭은 대략 안전고무(21)의 좌우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이동부재(200)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출입문(20)의 완전 폐쇄에는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부재(200)는 출입문(20)이 폐쇄될 때 안전고무(21)가 절개된 부위인 출입문(20) 하단부의 내측 부위에 걸려지면서 서로 모여져 밀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전발판(1)에 포함되는 탄성수단은 이동부재(200)가 서 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탄성수단의 일 예로 코일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00)은 일단부가 이동부재(200)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발판부(100)의 후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한 쌍의 이동부재(200)가 좌우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다. 코일스프링(300)이 결합되는 각 부위에는 코일스프링(300)이 결합될 수 있는 걸림고리(202)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00)에 의해 좌측 이동부재(200)는 좌측 방향으로, 그리고 우측 이동부재(200)는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출입문(20)이 폐쇄될 때는 좌, 우측 이동부재(200)가 출입문(20)에 의해 코일스프링(30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서로 모여져 밀착하게 되며, 출입문(20)이 개방되면 코일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지게 된다.
이동부재(200)가 코일스프링(300)에 의해 서로 멀어질 때 그 미끄럼 이동은, 후술할 암(400)에 의해 발판부(100)가 완전히 인출되어 암(400)의 회동이 멈춰짐으로써 코일스프링(3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멈춰지게 된다.
탄성수단으로는 상술한 코일스프링(300)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이동부재(200)를 좌, 우측으로 당기는 다양한 탄성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코일스프링(300)의 결합 위치도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부재(200)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위치에서 코일스 프링(300)이 결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안전발판(1)에 포함되는 암(400)은, 이동부재(200)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접근하여 밀착함에 따라 발판부(100)를 신축시키게 된다.
암(400)은 좌, 우측 이동부재(200)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구체적으로 암(400)의 일단부는 이동부재(200)의 전방 쪽 단부에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발판부(100)의 전단 내측에서 힌지 결합된다.
발판부(100)가 전술한 바처럼 3단 신축구조, 즉 후단 발판(110)과 중단 발판(120)과 선단 발판(130)으로 이루어진 예에서는 발판부(100)의 전단 내측, 즉 선단 발판(130)의 전단 내측에서 암(400)의 타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암(400)이 일단부 및 타단부의 힌지 결합은 암(400)의 가로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힌지핀(401) 등의 다양한 힌지 수단이나 힌지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암(4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에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혹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 쌍의 암(400) 각각이 2개 이상의 암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일단부가 좌측 이동부재(200)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부(100) 좌측에 구비되는 암(400)과, 우측 이동부재(200)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부(100) 우측에 구비되는 암(400) 각각은 하나가 아니라 2개 이상의 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발판부(100) 좌측에 구비되는 암(400)을 보게 되면, 암(400)의 일단부가 이동부재(200)에 힌지 결합하되 다수의 암(400) 각각의 타단부는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발판부(100)의 전단 내측에 힌지 결합된다. 발판부(100) 우측에 구비되는 암(400) 또한 마찬가지이다.
암(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부(100) 좌, 우측에서 다수의 암(40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발판부(100) 신축의 신뢰성과 신축 과정에서의 내구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암(4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근접할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지면서 전방으로 선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발판부(100)의 신축과정에서 발판부(100)가 전, 후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신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발판부(100)는 출입구(10) 외측의 단턱부(40) 상에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발판부(100)(상술한 3단 신축구조의 예에서는 후단 발판(110))가 단턱부(40)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다양한 고정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단턱부(40) 상에서 이탈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승강장(3)의 높이는 다양하기 때문에 승강장(3)이 발판부(100)가 수평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부(100) 전단의 위치보다 승강장(3) 바닥면이 낮게 되면 승강장(3) 바닥면과 발판부(100) 전단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객의 승, 하차시 발판부(100)의 전단을 밟음에 의해 발판부(100)에는 하방으로 휨력이 작용하게 되고 결국 발판부(100)가 휘어질 염려가 있게 된다. 물론 발판부(100)가 이러한 휨력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의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이러한 염려가 불필요할 수도 있겠으나, 이 휨력까지 고려하여 발판부(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판부(100)가 상하방향으로 다소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전발판(1)은 발판부(100)의 상하방향 회동을 허용하는 자유경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유경첩부(500)는 피고정체의 양 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이미 공지된 자유경첩과 기능면에서 다르지 않으며, 공지된 자유경첩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양 힌지판, 양 힌지판 각각의 회동을 지지하는 양 힌지축, 그리고 양 힌지축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자유경첩부(5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자유경첩부(500)는 발판부(100)에 연결되는 상측 힌지판(510)과, 단턱부(40) 상에 고정되는 하측 힌지판(520), 상, 하측 힌지판(510, 520)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 힌지축(540) 및 양 힌지축(5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유경첩부(500)는 발판부(100)의 하측에 구비되거나, 발판부(100)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발판부(100)의 좌, 우측 단부에서 각각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100)가 좌, 우측 발판부(101, 10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좌, 우측 발판부(101, 102) 각각의 좌, 우측 단부에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유경첩부(500)의 상측 힌지판(510)은, 자유경첩부(500) 전체가 별도로 제작되어 상측 힌지판(510)이 발판부(100)에 고정됨으로써, 발판부(100)와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힌지판(510)이 발판부(100)의 좌, 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발판부(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발판부(100)의 전단(3단 신축 구조로 된 발판부(100)의 예에서 선단 발판(130)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걸림부(140)의 전면은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140)는 승강장(3)의 높이 차이에 따라 발판부(100) 전단과 승강장(3) 바닥면 사이가 이격될 때 바닥면까지 닿음으로써 발판부(100)가 무리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걸림 수단이 된다.
한편, 유도레일(30)의 후방 쪽 바닥면에는 유도레일(30)에 근접하여 걸림방지턱(600)이 고정될 수 있다. 걸림방지턱(600)은 바람직하게 일측면이 차량 내부 쪽으로 완만하게 형성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승객의 하차시 이동부재(200)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나 바퀴 달린 운반 수단 등이 차량 내부로 진입할 때 유도레일(30)을 지나 자연스럽게 타고 넘을 수 있는 경사면으 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안전발판(1)이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철도 차량의 출입문(20)이 닫힌 상태에서는 이동부재(200)가 코일스프링(3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출입문(20)에 의해 서로 모여져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문(20)이 열려지면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0)에 의해 이동부재(200)가 미끄럼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고, 이동부재(200)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암(400)이 회동하면서 암(400)의 타단부가 힌지 결합된 선단 발판(130)이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어 중단 발판(120)이 인출된다. 발판부(100)의 전방 인출이 완료되면 암(400)의 회동이 멈춰지게 되는 동시에 이동부재(200) 또한 이동이 멈춰진다.
인출된 발판부(100)는 차량과 승강장(3)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며, 승객은 발판부(100)를 밟으면서 안전하게 승, 하차 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승강장(3)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여 안전발판(1)의 발판부(100)가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승강장(3)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발판부(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승객이 밟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경첩부(500)의 상측 힌지판(510)이 회동하면서 발판부(100)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며, 걸림부(140)가 승강장(3)의 바닥면에 닿으면서 회동이 멈춰진다. 따라서 발판부(100)가 반복적으로 밟히게 되더라도 발판부(100)의 휨 변형이 방지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3)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발판부(10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부(140)의 전면이 승강장(3)에 닿게 되며, 이어 곡면을 이루는 걸림부(140) 전면이 승강장(3)의 상부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면서 발판부(100)의 상방 회동이 유도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걸림부(140) 전면 꼭지부의 위치보다 승강장(3)의 높이가 더 높은 경우(철로 및 승강장의 설계상 이러한 경우는 거의 없다)에는 발판부(100)는 상하 회동하지 않고 승강장(3)의 철로 쪽 면에 걸림부(140)의 전면이 걸린 상태에서 인출이 멈춰진다. 이때 발판부(100)의 전단은 하방 지지되지 못하고 공간에 머물게 되므로, 승객이 발판부(100)를 밟았을 때 발판부(100)의 하방 회동 범위가 제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발판부(1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이 발판부(100)의 일측 또는 자유경첩부(500)의 일측에 더 포함될 수 있다.(도 6a 및 6b에 도시된 경우에서도 필요에 따라 스토퍼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경우든 발판부(100)의 인출에 의해 차량과 승강장(3)의 틈이 최소화되거나 메워지게 되므로 승객의 안전한 승, 하차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발판이 도시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신축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신축 상태를 알 수 있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회동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3; 승강장
10; 출입구 20; 출입문
21; 안전고무 21a; 공간
30; 유도레일 40; 단턱부
100; 발판부 101; 좌측 발판부
102; 우측 발판부 110; 후단 발판
112; 가이드홈 116; 내측 요철부
120; 중단 발판 121; 걸림돌기
122; 가이드홈 125; 외측 요철부
126; 내측 요철부 130; 선단 발판
131; 걸림돌기 135; 외측 요철부
140; 걸림부 200; 이동부재
201; 레일홈 202; 걸림고리
300; 코일스프링 400; 암
401; 힌지핀 500; 자유경첩부
510; 상측 힌지판 520; 하측 힌지판
530; 연결판 540; 힌지축
600; 걸림방지턱

Claims (14)

  1. 도시철도 차량 출입구 하부의 외측 단턱부 상에 배치되며, 다단 미끄럼 이동하면서 신축되는 발판부;
    상기 출입구 하부의 유도레일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양 팔을 벌린 듯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발판부를 신축시키는 한 쌍의 암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후단, 중단 및 선단 발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단 발판은 후단 발판의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선단 발판은 상기 중단 발판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며, 상기 암의 타단부는 상기 선단 발판의 전단부 내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 중 다른 발판에 수납되는 발판의 외측면에 외측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 중 다른 발판을 수납하는 발판의 내측면에 상기 외측 요철부와 형합하는 내측 요철부가 형성되어 다른 발판에 수납되는 발판의 미끄럼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좌측 발판부와 우측 발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 중 좌측 이동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암은 상기 좌측 발판부의 전단 내측에 타단부가 결합되고, 우측 이동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암은 상기 우측 발판부의 전단 내측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각 암의 회동에 따라 좌, 우측 발판부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하측에 형성되는 레일홈을 통해 상기 유도레일 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의 후단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를 좌, 우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은 타단부에 근접할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지면서 전방으로 선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암 각각은, 각 타단부가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에 연결되는 상측 힌지판, 상기 단턱부 상에 고정되는 하측 힌지판, 상기 힌지판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양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부의 상하방향 회동을 허용하는 자유경첩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유경첩부는 상기 발판부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측 힌지판은 상기 발판부의 좌, 우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전면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레일에 근접한 차량 내측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승객이 내릴 때 상기 이동부재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의 안전발판.
  14. 삭제
KR1020090005373A 2009-01-22 2009-01-22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105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73A KR101058879B1 (ko) 2009-01-22 2009-01-22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73A KR101058879B1 (ko) 2009-01-22 2009-01-22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58A KR20100086158A (ko) 2010-07-30
KR101058879B1 true KR101058879B1 (ko) 2011-08-23

Family

ID=4264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73A KR101058879B1 (ko) 2009-01-22 2009-01-22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03B1 (ko) *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DE102015213650A1 (de) * 2015-07-20 2017-01-2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Brückenelement zur Spaltüberbrückung zwischen einer Tür und einem Bahnsteig
KR101940269B1 (ko) * 2017-06-14 2019-01-1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KR102425329B1 (ko) * 2020-10-07 2022-07-29 대한민국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EP4289700A1 (en) * 2022-06-08 2023-12-13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Platform gap filler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comprising sai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5414U (ko) 1978-05-11 1979-11-20
KR200271320Y1 (ko) 2001-11-08 2002-04-10 김희남 전철차량용 보조발판(접이식 부채살형상)
KR200277779Y1 (ko) 2001-11-16 2002-06-15 남건우 전동차-승강장 연결 자동 발판
KR100515916B1 (ko) 2003-06-30 2005-09-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출입문 연동형 안전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5414U (ko) 1978-05-11 1979-11-20
KR200271320Y1 (ko) 2001-11-08 2002-04-10 김희남 전철차량용 보조발판(접이식 부채살형상)
KR200277779Y1 (ko) 2001-11-16 2002-06-15 남건우 전동차-승강장 연결 자동 발판
KR100515916B1 (ko) 2003-06-30 2005-09-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출입문 연동형 안전발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58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CN103079983B (zh) 升降机竖井门解锁机构
WO2007091461A1 (ja) 乗降用車両
KR20120138912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JP201700185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940269B1 (ko)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KR100866415B1 (ko)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JP527085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8898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20140093263A (ko) 기계식 리프트 차량
KR20080097048A (ko) 스크린도어의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도어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JPH02204160A (ja)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0359381B1 (ko) 역 플랫폼의 안전목책에 있어서의 패닉도어용 로크장치
KR101749526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장치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WO2021127759A1 (pt) Porta frontal de emergência para veículos de propulsão pneumática em via elevada
EP1582404A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ramp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JP4871188B2 (ja) 車両乗降用ステップ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