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194B1 -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194B1
KR102501194B1 KR1020220105368A KR20220105368A KR102501194B1 KR 102501194 B1 KR102501194 B1 KR 102501194B1 KR 1020220105368 A KR1020220105368 A KR 1020220105368A KR 20220105368 A KR20220105368 A KR 20220105368A KR 102501194 B1 KR102501194 B1 KR 10250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screen door
slide cam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춘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인춘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춘, 김현정 filed Critical 김인춘
Priority to KR102022010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치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없이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스크린도어가 열리면 펼쳐지고, 스크린도어가 닫히면 접힐 수 있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열차 승장장의 스크린도어와 결합될 수 있는 도어암; 도어암에 의하여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캠; 슬라이드캠과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종동암; 및 종동암과 결합되어 회절운동을 할 수 있는 발판부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치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Foot drop prevention pad for subway platform tha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screen door}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치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없이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스크린도어가 열리면 펼쳐지고, 스크린도어가 닫히면 접힐 수 있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입식발빠짐방지패드는 평상시 승강장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해 있으므로 열차운행에 지장이 없으며 열차 정차시 중력의 힘을 더해 내려옮으로서 발빠짐방지패드의 개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객차나 화물차를 여러개 연결하여 동력의 힘으로 궤도 위를 달리는 차량을 말한다. 이러한 열차는 지하철도, 지상철도 등에 승객의 운송을 위해 적용되고 있으며 버스 보다 유용한 대중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지하철, 전철을 포함한 도시철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통수단 중 하나이며, 모든 도시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이나 부산 등의 대도시에는 도시철도 노선이 매우 잘 구비되어 있고 이용자 수도 매우 많다.
하지만,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승객의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고, 승객의 하차 및 승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안전 요원이나 안전장치가 부족한 실정이며,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도어를 설치한 역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안전사고의 빈도를 줄이고 있지만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승객이 차량에 승하차 할 때에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대비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지하철이나 전철 등의 열차 차량과 승강장 사이에는, 열차 차량의 원활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하여 소정의 간격이 존재한다. 따라서, 열차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여 승객이 승하차할 때, 열차 차량의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로 발이 빠지거나 추락하게 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사고는 도시철도 역이 곡선구간이라 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이 넓은 승강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일반열차와 도시철도를 동시에 이용하는 승강장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지하철이나 전동열차는 일반열차에 비하여 승강위치가 높아 승하차시 발빠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빠짐 사고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는 것을 인지하여 열차 차량의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게 되는 안전발판을 승강장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2301112호(2021.09.0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도어가 열리는 경우 펼쳐지고, 스크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접혀질 수 있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 방지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 방지패드는 열차 승장장의 스크린도어와 결합될 수 있는 도어암; 도어암에 의하여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캠; 슬라이드캠과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종동암; 및 종동암과 결합되어 회절운동을 할 수 있는 발판부을 포함한다.
또한,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이 후진운동을 하고, 도어암의 후진운동으로 도어암과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캠이 후진운동을 하며, 슬라이드캠의 후진운동으로 종동암이 하방운동을 하여 발판부가 회절운동을 하게하여 발판부가 펼쳐질 수 있는 것; 및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이 전진운동을 하고, 도어암의 전진운동으로 도어암과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캠이 전진운동을 하며, 슬라이드캠의 전진운동으로 종동암이 상방운동을 하여 발판부가 회절운동을 하게 하여 발판부가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종동암은 슬라이드캠과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조인트를 구비하는 것; 슬라이드캠은 종동암과 결합될 수 있는 조인트레일을 구비하는 것; 조인트레일을 따라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으며, 조인트레일은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캠이 후진운동하는 경우,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조인트레일의 높이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종동암이 하방운동을 하고, 슬라이트캠이 전진운동하는 경우,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조인트레일의 높이가 낮은 지점에서 높은 지점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종동암이 상방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기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의 운동에 의하여 발판이 접혀지고 펼쳐져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지패드가 스크린도어가 닫혔을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크린도어가 열렸을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스크린도어가 닫혀있다 열릴때 발빠짐방지패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스크린도어가 닫혔을때 발빠짐방지패드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크린도어가 열렸을때 발빠짐방지패드를 확대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지패드가 스크린도어가 닫혔을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크린도어가 열렸을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스크린도어가 닫혀있다 열릴때 발빠짐방지패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스크린도어가 닫혔을때 발빠짐방지패드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크린도어가 열렸을때 발빠짐방지패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지패드는 도어암(100), 슬라이드캠(200), 종동암(300), 발판부(400), 도어암레일(500), 고정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지하철 또는 열차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 도어와 결합되어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스크린 도어의 개폐운동에 따라 안전 발판이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지패드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어암(100)은 지하철 또는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스크린 도어 좌우 문짝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 될 수 있다.
도어암(100)은 스크린 도어의 좌측 문짝의 좌측 끝단, 우측 문짝의 우측 끝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 도어의 좌우 문짝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어암(100)은 도어암레일(500)과 결합되어 있으며, 스크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때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도어암레일(500)에는 제1도어암스토퍼(510) 및 제2도어암스토퍼(520)가 구비되어 있고, 제1도어암스토퍼(510) 및 제2도어암스토퍼(520)는 도어암레일(500)에 고정되어 있다.
제1도어암스토퍼(510)는 스크린 도어가 닫히는 경우 도어암(100)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제2도어암스토퍼(520)는 스크린 도어가 열리는 경우 도어암(100)과 접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도어가 닫힐때 도어암(100)은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전진운동을 하며,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되는 경우, 도어암의 슬라이딩운동은 정지되고 도어암레일(500)과 함께 전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 도어가 열릴때 도어암(100)은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후진운동을 하며,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되는 경우, 도어암(100)의 슬라이딩운동은 정지되고 도어암레일(500)과 함께 후진운동을 하게 된다.
도어암(100)은 도어암레일(500)에서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제2도어암스토퍼(520) 사이에서만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도어암(100)이 제1도어암스토퍼(510)에서 제2도어암스토퍼(520)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한뒤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하여 도어암레일(500)을 당기게 되고, 스크린도어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도어암(100)이 제2도어암스토퍼(520)에서 제1도어암스토퍼(510)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한뒤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하여 도어암레일(500)을 밀게 된다.
슬라이드캠(200)은 도어암레일(500)과 결합되어 있어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고, 조인트레일(210), 레일결합부(220), 슬라이드부, 슬라이드레일(230), 고정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인트레일(210)은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종동암(300)의 슬라이딩조인트(310)가 조인트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레일결합부(220)는 도어암레일(5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도어암레일(500)이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하는 경우, 슬라이드캠(200)이 도어암레일(500)과 함께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레일(230)과 결합하여 슬라이드캠(200)이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며, 슬라이드레일(230)은 고정판넬에 고정된다.
종동암(300)은 일단은 슬라이드캠(200)과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부(400)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캠(200)과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조인트(31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캠(200)은 스크린도어가 열리게 되면 후방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고, 스크린도어가 닫히게 되면 전방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으며, 종동암(300)은 위치가 고정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다.
발판부(400)는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막아 승객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에 발이 빠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발판부(400)는 지하철이나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아 스크린도어가 닫혀있을때는 접혀있고 지하철이나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스크링도어가 열릴때에는 펼쳐질 수 있다.
발판부(400)는 발판부고정패널, 발판패널, 힌지결합부(410), 종동암결합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판부고정패널은 승강장의 끝단 수직면에 앙카볼트를 포함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힌지결합부(410)에 의하여 발판패널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발판패널은 일단이 발판부고정패널과 힌지결합부에 의하여 힌지결합되며, 발판부고정패널과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종동암결합부(420)는 발판패널 하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종동암(300)과 결합되어 종동암(300)이 상방운동을 하는 경우 발판패널(400)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방회동을 하여 접힐 수 있고, 종동암(300)이 하방운동을 하는 경우 발판패널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방회동을 하여 펼쳐질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발빠짐방치패드의 동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쌍으로 구성되며, 스크린도어의 좌측 문짝에 결합될 수 있는 제1도어암, 제1슬라이드캠, 제1종동암과 스크린도어의 우측 문짝에 결합될 수 있는 제2도어암, 제2슬라이드캠, 제2종동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종동암과 제2종동암이 발판부와 결합되어 제1종동암 및 제2종동암이 상방운동 하는 경우 발판부가 접혀질 수 있으며, 제1종동암 및 제2종동암이 하방운동 하는 경우 발판부가 펼쳐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쌍의 구성 중 스크린 도어의 특정 일측의 문짝에 설치되는 도어암, 슬라이드캠, 종동암의 동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며, 스크린 도어의 타측 문짝에 설치되는 도어암, 슬라이드캠, 종동암은 일측 문짝에 설치되는 구성과 대응되도록 동일하게 동작한다.
먼저, 열차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의 동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린 도어의 양측의 문짝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스크린 도어가 개방되게 되는데, 스크린 도어가 개방될때의 문짝의 이동방향을 편의상 후방이라고 정의하고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도어가 닫혀있을때는 도어암(100)은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되어 있고 발판부(400)는 접혀져 있다.
열차의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면, 스크린 도어의 문짝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문짝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함에 따라 스크린도어의 문짝과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100)도 함께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후방운동하게 된다.
도어암(100)은 제1도어암스토퍼(510)에서 제2도어암스토퍼방향(520)으로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하게되고, 도어암(100)이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하면서 제2도어암스토퍼(520)를 당기게 된다.
제2도어암스토퍼(520)는 도어암레일(500)에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도어암(100)이 제2도어암스토퍼(520)를 당기게 되면 도어암레일(500)을 함께 후방으로 당기게된다.
도어암레일(500)은 슬라이드캠(200)과 레일결합부(22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암레일(500)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슬라이드캠(200)도 함께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도어암레일(500)이 당겨지는 거리만큼 후방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슬라이드캠(200)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레일(210)이 구비되어 있고, 조인트레일(210)에는 종동암(300)의 슬라이딩조인트(3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닫혀있을때는 슬라이딩조인트(310)가 조인트레일(210)의 최후방에 위치하여 최고점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딩캠(2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함에 따라, 종동암(300)의 슬라이딩조인트(310)는 조인트레일(2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인트레일(21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므로, 종동암(300)은 하방운동을 하게 된다.
종동암(300)이 하방운동을 함에 따라, 종동암결합부(420)를 통하여 종동암(300)과 결합되어 있는 발판부(400)의 발판패널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방 회절운동을 하여 승강장 바닥과 같은 높이로 펼쳐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열차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닫히는 경우의 동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가 닫히게 되면 스크린 도어의 문짝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문짝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함에 따라 스크린도어의 문짝과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100)도 함께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하고 있던 도어암(100)은 제1도어암스토퍼(510)방향으로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하게 되고, 도어암(100)이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하면서 도어암(100)을 밀게된다.
제1도어암스토퍼(510)는 도어암레일(500)에 고정 되어 있으므로, 도어암(100)이 제1도어암스토퍼(510)를 밀면 도어암레일(500)도 함께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도어암레일(500)은 슬라이드캠(200)과 레일결합부(22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암레일(500)이 전방으로 밀림에 따라 슬라이드캠(200)도 함께 전방으로 밀려 전방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슬라이드캠(200)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레일(210)이 구비되어 있고, 조인트레일(210)에는 종동암(300)의 슬라이딩조인트(310)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도어가 열려있을때는 슬라이딩조인트(310)가 조인트레일(210)의 최전방에 위치하여 최저점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딩캠(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함에 따라 종동암(300)의 슬라이딩조인트(310)는 조인트레일(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인트레일(2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므로 종동암(300)은 상방운동을 하게 된다.
종동암(300)이 상방운동을 함에 따라, 종동암결합부(420)를 통하여 종동암(300)과 결합되어 있는 발판부(400)의 발판패널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방회절운동을 하여 승강장 바닥과 같은 높이로 펼쳐지게 된다.
도어암(100)이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하여 도어암레일(500)을 당기는 거리와 도어암(100)이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하여 도어암레일(500)을 미는 거리는 동일하며, 도어암(100)이 도어암레일(500)을 당기는 거리와 미는 거리는 '스크린도어가 슬라이딩하는 거리'와 '제1도어암스토퍼와 제2도어암스토퍼 사이의 거리'의 차이와 같다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제2도어암스토퍼(520) 사이에서 도어암(100)은 도어암레일(500)을 따라 무부하 슬라이딩운동을 하며, 도어암(100)이 전방으로 무부하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접촉하게 되면 제1도어암스토퍼(510)와 함께 도어암레일(500)을 밀게되고, 도어암(100)이 후방으로 무부하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접촉하게 되면 제2도어암스토퍼(520)와 함께 도어암레일(500)을 당기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승강장용 발빠짐 방지패드는 지하철 또는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정지하였을때에만 펼쳐지므로 지하철 또는 열차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스크린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의하여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작동함으로, 별도의 동력원 없이 동작할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어암 200 - 슬라이드캠
300 - 종동암 400 - 발판부
500 - 도어암레일

Claims (3)

  1. 열차 승장장의 스크린도어와 결합될 수 있는 도어암;
    도어암에 의하여 전진운동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캠;
    슬라이드캠과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종동암; 및
    종동암과 결합되어 회절운동을 할 수 있는 발판부
    를 포함하고,
    종동암은 슬라이드캠과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조인트를 구비하는 것;
    슬라이드캠은 종동암과 결합될 수 있는 조인트레일을 구비하는 것;
    조인트레일을 따라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으며, 조인트레일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발빠짐방치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이 후진운동을 하고,
    도어암의 후진운동으로 도어암과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캠이 후진운동을 하며,
    슬라이드캠의 후진운동으로 종동암이 하방운동을 하여 발판부가 회절운동을 하게하여 발판부가 펼쳐질 수 있는 것; 및
    열차 승강장의 스크린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스크린도어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암이 전진운동을 하고,
    도어암의 전진운동으로 도어암과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캠이 전진운동을 하며,
    슬라이드캠의 전진운동으로 종동암이 상방운동을 하여 발판부가 회절운동을 하게 하여 발판부가 접혀질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발빠짐방치패드.
  3. 제1항에 있어,
    슬라이드캠이 후진운동하는 경우,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조인트레일의 높이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종동암이 하방운동을 하고,
    슬라이트캠이 전진운동하는 경우, 종동암의 슬라이딩조인트가 조인트레일의 높이가 낮은 지점에서 높은 지점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종동암이 상방운동을 할 수 있는 것
    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발빠짐방치패드.
KR1020220105368A 2022-08-23 2022-08-23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KR10250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68A KR102501194B1 (ko) 2022-08-23 2022-08-23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68A KR102501194B1 (ko) 2022-08-23 2022-08-23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194B1 true KR102501194B1 (ko) 2023-02-17

Family

ID=8532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68A KR102501194B1 (ko) 2022-08-23 2022-08-23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1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60B1 (ko) * 2015-10-22 2016-05-31 박백중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210157096A (ko) * 2020-06-19 2021-12-2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60B1 (ko) * 2015-10-22 2016-05-31 박백중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210157096A (ko) * 2020-06-19 2021-12-2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751A (en) Entry stairs for vehicles
EP1694547B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GB2291636A (en) Vehicle gap bridge
BR0207596A (pt) Sistema de ingresso e saìda de passageiro para um veìculo de trânsito
US20020138924A1 (en) Extensible platform on an extensible passenger loading bridge
KR102501194B1 (ko)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KR101242485B1 (ko) 승강장 안전발판 구동 시스템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CN112429035B (zh) 地铁隧道应急疏散平台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EP3239016A1 (en) System for pushing or retaining a train on steep slopes
RU2612091C2 (ru) Пассажирское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20130024068A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12087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2668426B1 (ko) 초슬립 승강장 안전 발판
KR20041194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RU99755U1 (ru) Вагон метрополитена, оборудова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KR102226660B1 (ko) 스크류에 의한 폴딩 구동 방식 및 탄성에 의한 자동복귀형 지하철, 광역철도용 승강장 안전발판
KR100537026B1 (ko) 승강장 자동 돌출 안전판
CN220298761U (zh) 机场电动客梯车的可折叠台阶
KR102573554B1 (ko)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US1864053A (en) Stair for railroad coaches and the like
KR100318212B1 (ko) 차량 장착용 승하차안전발판
KR10242532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CN202283920U (zh) 低地板轻轨车辆可翻转砂箱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