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49B1 -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49B1
KR101274949B1 KR1020110064145A KR20110064145A KR101274949B1 KR 101274949 B1 KR101274949 B1 KR 101274949B1 KR 1020110064145 A KR1020110064145 A KR 1020110064145A KR 20110064145 A KR20110064145 A KR 20110064145A KR 101274949 B1 KR101274949 B1 KR 10127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afety
screen door
dcu
g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095A (ko
Inventor
윤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는 역사에 승강장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전동차가 연동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하고 장애인의 승하차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가 최소화되도록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승강장 안전발판의 유기적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장치인 DCU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별제어장치인 GCU는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DCU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동작제어 신호를 GCU 측으로 출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는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DCU 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INTERLOCKING CONTROL SYSTEM FOR MECHANICAL GAP FILLER AND PLATFORM SCREEN DOOR}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 연단부와 전동차 사이의 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과 선로를 격리시키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동작이 상호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상 및 지하철 역사 등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구비되는데, 상기 선로에 전동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이 발생되게 되며, 특히 해당 역사의 특성상 승강장이 곡선형태로 설계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이 넓게 형성되게 되므로, 최근에는 상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틈에 승객의 발 등이 빠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승강장 안전발판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는 별도의 경계수단이 없어 승객이 자의나 타의에 의해 선로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에 노출되므로, 최근에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완전히 정차한 후 스크린에 설치된 가동도어가 열리도록 하므로서,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가 각 승강장 마다 설치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장 안전발판의 설치 시에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전동차 연동 제어를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운영해야 하는데, 즉 종래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경우 전동차의 진입.진출 및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와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 운영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승강장 안전발판이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함께 설치됨에 따라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즉 승강장 안전발판은 승객의 발빠짐이나 장애인 등의 원활한 승하차를 위해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승객의 승하차 중 승강장 안전발판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승객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승객의 승하차 및 전동차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경우에는 승무원을 위한 별도의 수동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나,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됨으로 인해 별도의 수동제어반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는 역사에 승강장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전동차가 연동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하고 장애인의 승하차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가 최소화되도록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승강장 안전발판의 유기적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장치인 DCU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별제어장치인 GCU는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DCU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동작제어 신호를 GCU 측으로 출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는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DCU 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CU 및 GCU가 상호 연계되어 구성된 승강장 스크린도어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연동 제어는, '전동차 정위치 정차 검출 → 승강장 안전발판 인출 → PSD 열림 → PSD 닫힘 → 승강장 안전발판 인입'의 순서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수동제어장치는 한 개의 조작반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반은 다수 개의 승무원조작반 및 승강장조작반으로 이루어지되, 각 조작반에는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및 승강장 안전발판이 상호 연동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시스템의 개별제어에 따른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 시스템 및 수동조작 장치 등을 공유하여 사용함에 따라, 별도 설치에 따른 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DCU 및 GCU의 상호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무원조작반 및 승강장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DCU 및 GCU의 상호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무원조작반 및 승강장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은, 승강장 연단부와 전동차 사이의 갭(Gap)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최소화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장과 선로를 분리시키는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상호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에 의해 개별제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장치인 DCU(10)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별제어장치인 GCU(20)는 상호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은 승강장 연동부와 전동차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승강장 안전발판(22)과,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구동제어 및 다른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어장치(GCU) 및, 종합제어반에 구비되는 승강장 안전발판 조작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GCU(20)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를 담당하는 DCU(10)와 인터페이스 하여 승강장 안전발판(22)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조작반과 인터페이스 하여 승강장 안전발판의 모니터링 및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장치인 DCU(10)는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의 동작제어 신호를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별제어장치인 GCU(20) 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20)는 그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DCU(10) 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DCU(10)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20)가 상호간에 연동 제어되는데 있어서는 '전동차 정위치 정차 검출 → 승강장 안전발판 인출 → PSD 열림 → PSD 닫힘 → 승강장 안전발판 인입'의 과정으로 진행되게 된다.
즉, 승강장 스크린도어 및 승강장 안전발판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먼저, 전동차의 승강장 진입 이전에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인출로 인한 전동차와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전동차와 연동운전 중이며,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열림 동작 시에만 승강장 안전발판(22)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가 전동차와 연동운전 중 가동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승객이 하차 및 승강장 안전발판(22)에 잔류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가 완전히 닫힘 동작 완료 후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이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에는 비상 시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제어장치가 한 개의 조작반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역무실의 승강장 스크린도어 종합제어반(SCP)(100)과 연결된 승무원조작반(30)에는 승강장 안전발판(22)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32) 및,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다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부(34)가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34)에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열림버튼, 닫힘버튼, 인터록 무시버튼 및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수동제어를 위한 비상인입버튼 등이 포함된다.
또, 상기 종합제어반(100)과 연결된 승강장조작반(40)에는 선택적으로 통화로가 설정되는 인터폰장치(46)와 함께 상태표시부(42) 및 조작부(4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지하철 역사 등에 설치되는 승강장 안전발판(22)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상호 연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임의의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위치에 정차함에 따라 승강장 스크린도어 종합제어반(SCP)(100)에서는 개별제어반인 DCU(10) 측으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열림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열림 제어신호를 수신한 DCU(10)는 승강장 안전발판 개별제어장치인 GCU(20) 측으로 인출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열림 제어 프로세스를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인출이 완료된 후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 및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림 완료됨에 따라,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를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승객이 승하차를 완료하면, 상기 종합제어반(SCP)(100)에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닫힘 제어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에 닫힘 제어를 수신한 DCU(10)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닫힘 제어를 실시하여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가 완전히 닫혀있는지 확인한 후,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설치된 안전센서를 매개로 승강장 스크린도어와 전동차 사이에 승객이 잔류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승객이 잔류하지 않은 경우 닫힘 완료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또, 상기 DCU(10)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닫힘완료와 동시에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20) 측으로 인입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며, 전동차는 승강장 내의 모든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닫힘완료 및 모든 승강장 안전발판(22)의 인입완료가 이루어짐에 따라 출발신호를 인가받아 출발하게 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각 개구에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유지보수를 위해 해당 개구만을 시스템에서 분리하는 수동절체 기능이 구비되며, 이를 이용하여 해당 승강장 스크린도어만을 수동절체한 후 유지보수 시 승강장 스크린도어 가동도어의 개폐 시험을 실시하거나, 또는 열림 상태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이 승강장스크린도어와 연동하여 인출동작을 실시할 경우에는 전동차와의 충돌위험이 발생하게 되므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반인 DCU(10)에서 수동절체 모드인 경우에는 승강장 안전발판(22)에 인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할 시나 승강장으로부터 진출하고자 할 시에 승강장 안전발판(22)이 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동차와의 충돌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전동차의 승강장 내 진입이나 전동차의 출발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이나 기타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기 이전이나 전동차의 진출전에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22)이 인출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인입이 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승무원조작반(30) 및 승강장조작반(40) 등의 조작부(34,44) 등에 구비된 승강장 안전발판 비상인입 버튼을 조작하므로서, 인출된 상태의 승강장 안전발판(22)을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DCU(승강장 스크린도어 개별제어반),
20: GCU(승강장 안전발판 개별제어반)
22: 승강장 안전발판,
30: 승무원조작반,
40: 승강장조작반,
32,42: 상태표시부,
34,44: 조작부,
100: 승강장 스크린제어 종합제어반(SCP).

Claims (3)

  1.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별제어장치인 DCU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개별제어장치인 GCU는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DCU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동작제어 신호를 GCU 측으로 출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의 GCU는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DCU 측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수동제어장치는 한 개의 조작반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반은 다수 개의 승무원조작반 및 승강장조작반으로 이루어지되, 각 조작반에는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수동제어를 위한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U 및 GCU가 상호 연계되어 구성된 승강장 스크린도어 및 승강장 안전발판의 연동 제어는,
    '전동차 정위치 정차 검출 → 승강장 안전발판 인출 → PSD 열림 → PSD 닫힘 → 승강장 안전발판 인입'의 순서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3. 삭제
KR1020110064145A 2011-06-30 2011-06-30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KR10127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45A KR101274949B1 (ko) 2011-06-30 2011-06-30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45A KR101274949B1 (ko) 2011-06-30 2011-06-30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95A KR20130003095A (ko) 2013-01-09
KR101274949B1 true KR101274949B1 (ko) 2013-06-17

Family

ID=4783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45A KR101274949B1 (ko) 2011-06-30 2011-06-30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47B1 (ko) 2020-02-18 2021-08-17 박수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7096A (ko) 2020-06-19 2021-12-2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348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안전발판 및 스크린도어의 연동을 통한 안전운행을 위한 열차 신호 제어 시스템
CN109403779B (zh) * 2018-10-29 2020-02-21 南京康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编码形式的站台门与信号系统接口及工作方法
KR102625580B1 (ko) * 2023-05-22 2024-01-16 주식회사 씨디에이 승강장 스크린도어 더미부의 승객 보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624B1 (ko) 2001-08-02 2004-01-24 김동건 전동차 출입구 보조발판의 구동장치
KR100529791B1 (ko) 2004-04-01 2005-11-22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70084905A (ko) * 2006-02-22 2007-08-27 김병문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장치
KR20110126980A (ko) * 2010-05-18 2011-11-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624B1 (ko) 2001-08-02 2004-01-24 김동건 전동차 출입구 보조발판의 구동장치
KR100529791B1 (ko) 2004-04-01 2005-11-22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70084905A (ko) * 2006-02-22 2007-08-27 김병문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장치
KR20110126980A (ko) * 2010-05-18 2011-11-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47B1 (ko) 2020-02-18 2021-08-17 박수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7096A (ko) 2020-06-19 2021-12-2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95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804B2 (en) Method for providing well access in an elevator
KR10127494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CN100457518C (zh) 城市轨道交通站台安全门系统
US11091352B2 (en) Elevator car frame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US20130240297A1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US10001861B2 (en) Elevator with maintenance opening in the car floor
EP3231758A1 (en) Handrail used to open and close elevator car panels
EP1623902B1 (en) Car emergency exit device
KR101274946B1 (ko)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JP2019514768A (ja) 列車プラットホーム配置型安全システム
CN107416643A (zh) 一种适用于老旧住宅楼改造的电动升降装置及改造方法
KR101720910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
CN106904516A (zh) 用于电梯维护操作的方法和装置
EP2848570A1 (en) An elevator
KR20130024614A (ko) 스크린 도어 수 제어 시스템
CN106744095A (zh) 手持式多功能智能操作装置
KR20150104836A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KR101172738B1 (ko)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CN107265222B (zh) 一种电梯检修装置及电梯检修控制方法
KR100718466B1 (ko) 전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04065B1 (ko) 접이식 발판 및 그 접이식 발판을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CN107610546A (zh) 一种具备多重安全机制的飞行模拟器的登机梯
KR102073522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