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979A -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979A
KR20120033979A KR1020110094979A KR20110094979A KR20120033979A KR 20120033979 A KR20120033979 A KR 20120033979A KR 1020110094979 A KR1020110094979 A KR 1020110094979A KR 20110094979 A KR20110094979 A KR 20110094979A KR 20120033979 A KR20120033979 A KR 2012003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core material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944B1 (ko
Inventor
켄지 나스
유키 혼고
유타카 에지마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액자틀 형태의 폭이 좁은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심재와, 그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a) 상기 심재의 5% 인장응력이 3 내지 100N이고, 또한 강연도(가레법)가 0.2mN 이하인 것, (b)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이, 각각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와, 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점착 부여 수지 1 내지 60질량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열가교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정 성상을 지니는 심재(芯材)의 양면에 특정 성상을 지니는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표시 화면의 주위에 설치하는 액자틀(額緣) 형상의 폭이 좁은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요철 추종성을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해당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PHS(Personal Handiphone System), 음악 플레이어 등의 휴대 정보단말기기에 있어서는, 정보표시부와 하우징체, 카메라 주변, 키패드라고 하는 각종 개소의 고정에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최근, 다종 다양한 기능을 지니는 휴대 정보단말기기가 개발되고 있고, 그 하나로서 방수 성능의 부여가 요구되고 있다.
방수 성능을 지니는 양면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어,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을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폴리올레핀계의 발포체 기재와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구비하고 있다. 기재가 발포하고 있는 것에 의해, 기재와 점착제가 계면에서 강고하게 접합하고 있다. 또, 전술한 발포체 기재는 독립 발포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의 면이 물에 젖어도 다른 쪽 면까지 침투하는 일이 없어, 방수성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발포체 기재는 요철 추종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1㎜ 정도의 매우 좁은 테이프 폭의 경우, 발포체를 사용한 방수용 양면 테이프에서는, 물의 침투를 제어하는 독립 기포의 기포벽을 폭 방향에 대해서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충분한 방수성은 달성되지 않는다. 또 발포 형상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어, 그 크기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최근의 휴대전화에서는 디자인성 및 기능면의 요구로부터 표시 화면이 큰 것이 증가하고 있어, 그에 따른 표시 화면의 주위의 테두리 부분이 될 수 있는 한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들에 이용되는 양면 테이프는 2㎜ 폭 이하의 좁은 액자틀(額緣)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상기 방수용 양면 테이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발포체 구조에 유래하는 이유로부터 액자틀 형태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어렵고, 대형 표시 화면의 휴대전화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좁은 액자틀 사양이 되어도 부재를 강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지만, 기재가 발포하고 있기 때문에, 기재의 강도가 낮아, 접착성이 발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JP 2009-108314 A JP 2009-242541 A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심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액자틀 형태의 폭이 좁은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요철 추종성을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기의 지견을 얻었다.
심재로서, 특정 성상을 지니는 합성 수지제 필름,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고, 그 양면에 특정 성상을 지니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해서 이루어진 적층체인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해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심재와, 그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지니는 적층체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a) 상기 심재의 5% 인장응력이 3 내지 100N이고, 또한 강연도(剛軟度)(가레법(ガ-レ法))가 0.2mN 이하인 것,
(b)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이, 각각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와, 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점착 부여 수지 1 내지 60질량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열가교시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심재가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60 내지 100질량%를 지니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필름인 상기 [1]항에 기재의 양면 점착 테이프;
[3] 올레핀계 중합체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상기 [2]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
[4] 심재의 두께가 2 내지 400㎛이며, 또한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각각 2 내지 80㎛인 상기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
[5] 0.1 내지 2㎜ 폭의 액자틀 형상으로 펀칭하여 이루어진 형태를 지니는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
[6] 휴대 정보단말기기 내부의 고정용으로서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
[7] 방수용으로서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 및
[8] 상기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하우징체가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액자틀 형상의 폭이 좁은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요철 추종성을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해당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해서 이루어진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방수성 평가시험에 이용하는 측정용 샘플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면 접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우선,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심재와, 그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지니는 적층체로서,
(a) 상기 심재의 5% 인장응력이 3 내지 100N이고, 또한 강연도(가레법)가 0.2mN 이하인 것,
(b)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이, 각각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와, 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점착 부여 수지 1 내지 60질량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열가교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재)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적층체를 구성하는 심재는, 5% 인장응력이 3 내지 100N의 범위이고, 또한 강연도(가레법)가 0.2mN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심재의 5% 인장응력을 3 내지 100N으로 함으로써, 높은 면 접합력이 얻어져 우수한 가공 적성이나 좁은 액자틀 형상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지니므로, 요철 추종성이 우수하다. 해당 인장응력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0N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N이다.
한편, 심재의 강연도(가레법)를 0.2mN 이하로 함으로써, 적절한 유연성을 지니므로, 요철 추종성이 우수하다.
심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공성, 박형화의 관점에서, 2 내지 4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이며, 50 내지 150㎛가 특히 바람직하다. 2㎛ 이상으로 함으로써, 심재 자체의 가공성, 양면 테이프의 재단 가공 적성, 펀칭 가공 적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400㎛ 이하로 함으로써,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5% 인장응력 및 강연도(가레법)는 이하에 나타낸 방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심재 5% 인장응력의 측정방법>
심재를 폭 15㎜, 길이 50㎜로 재단해서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여, 인장압축시험기를 사용해서, 측정용 샘플의 양단부 10㎜을 세트하고, 폭 15㎜, 길이 30㎜의 측정 개소를 인장 속도 200㎜/min으로 5% 늘렸을 때의 응력을 측정한다.
<심재의 강연도(가레법)의 측정방법>
심재를 길이 38㎜, 폭 25㎜로 재단해서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여, 가레식 강연도 시험기를 사용해서, 「JIS L1085(1998) 6.10.3 가레법」에 준해서 강연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심재는, 전술한 성상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합성 수지제 필름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전술한 성상을 지니는 합성 수지제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를 60 내지 100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질량%、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4질량% 함유하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올레핀계 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레핀계 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 필름은, 그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양면에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처리 혹은 프리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크롬산처리(습식), 열풍처리, 오존?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법, 용제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처리법은 합성 수지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상기 심재의 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무색인 것이어도 되고, 적당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심재는 발포체 구조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구조를 지니는 심재를 사용한 방수용 양면 테이프에서는, 물의 침투를 제어하는 독립 기포의 기포 벽을 폭 방향에 대해서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에 있어서, 전술한 심재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 필름의 양면에 설치되는 2개의 점착제층은, 각각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와, 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점착 부여 수지 1 내지 60질량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열가교시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2개의 점착제층은, 각각의 성상이 전술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동일한 조성 및 성상을 지니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조성 및 성상을 지니는 것이어도 되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동일한 조성 및 성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으로서 관용되고 있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터와,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지니는 단량체와,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터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및/또는 아크릴산 에스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터의 예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메타)아크릴레이트, 팔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한편,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지니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 에스터류;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부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다이엔계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나이트릴계 단량체;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아크릴아마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는, 그 공중합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랜덤, 블록,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분자량은,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30만 이상이 바람직하고, 50만 내지 25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30만 미만이면 피착체와의 접착성이나 내구접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접착성 및 내구접착성 등을 고려하면, 이 중량평균 분자량은 60만 내지 18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값이다.
또한, 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지니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0.01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01 질량% 미만이면 가교점이 지나치게 적어, 가교가 불충분해져,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10질량%를 초과하면 점도의 상승에 의해서 도공 적성이 저하할 우려가 생긴다. 이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지니는 단량체 단위의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 내지 6.0질량%이며, 특히 0.2 내지 5.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충분한 요철 추종성, 접착성, 가공 적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점착 부여 수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점착제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수지(생로진, 수첨 로진, 중합 로진, 로진 에스터계), 자일렌 수지, 터펜-페놀 수지,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터펜 수지, 스타이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파인 크리스탈 KE-359[아라카와카가쿠코교(荒川化學工業)사 제품], 슈퍼 에스터 A-75[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슈퍼 에스터 A-100[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슈퍼 에스터 A-125[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등의 로진 에스터, 펜셀 D125[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펜셀 D160[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리카타크 PCJ[리카파인테크사 제품] 등의 중합 로진 에스터, 니카놀 HP-100[미츠비시가스카가구사 제품], 니카놀 HP-150[미츠비시가스카가쿠사 제품], 니카놀 H-80 등의 자일렌 수지, YS 폴리스타 T-115[야스하라케미칼사 제품], 마이테크 G125[야스하라케미칼사 제품] 등의 터펜-페놀수지, FTR-6120[미츠이카가쿠사 제품], FTR-6100[미츠이카가쿠사 제품] 등의 석유 수지 등이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로진 에스터계가 점착성 부여 효과 등의 면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 점착 부여 수지는, 전술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1 내지 60질량부인 것을 필요로 하고, 3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4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를 상기 범위에서 함유시킴으로써,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가교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함유되는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다이알데하이드류, 메틸올폴리머,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사이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에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첨가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 또한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또, 그 사용량은, 가교제의 종류에도 좌우되지만,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실란계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해서 형성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2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 이상으로 함으로써, 요철 추종성이나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80㎛ 이하로 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하다.
<박리 시트>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반송 시나 사용 시의 편리성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가 2매의 박리 시트 사이에 삽입된 형태여도 되고, 양면에 이형성을 갖게 한 1매의 박리 시트와 적층해서 그대로 말아둔 형태라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이용되는 박리 시트로서는, 각종 박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박리성을 표면에 지니는 박리 시트용 기재로 구성된다. 박리 시트용 기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다이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수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수지 필름이나, 상질지, 코트지, 글라신지,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저렴하고 탄력성도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용 기재의 두께는, 5㎛ 내지 300㎛가 바람직하며, 10㎛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용 기재의 표면에 박리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에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장쇄 알킬기계 수지 등의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실현한다. 이들 중에서, 저렴하고 안정한 성능이 얻어지는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박리제층의 두께는, 0.05㎛ 내지 2.0㎛가 바람직하며, 0.1㎛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때에는, 각각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에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에 차이를 두면, 경박리 시트 측만을 벗길 때, 점착제층이 중박리 시트 측으로부터 들뜰 우려나, 쌍방의 박리 시트에 추종하도록 해서 점착제층이 연신되어서 변형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면에 이형성을 갖게 한 1매의 박리 시트와 적층해서 그대로 말아둔 양면 점착 테이프 형태의 경우에 있어서도, 박리 시트의 표리에서 박리력에 차이를 둠으로써,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다음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서 용제를 가해서, 도공에 적합한 점도로 조정하여, 도공액을 제작한다.
다음에, 경박리 시트(또는 중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 두께가 2 내지 80㎛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로 되도록,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나이프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에어 닥터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법에 의해 도공하고, 80 내지 120℃ 정도의 온도에서 수십초 내지 수분간 건조시키고, 착제 조성물층의 열가교를 행한 후, 이것에 심재를 접합시켜 편면 점착 필름을 제작한다.
다음에, 중박리 시트(또는 경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도공액을 건조 후의 막 두께가 2 내지 80㎛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로 되도록,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도공, 가열 건조시켜 열가교 후, 상기의 편면 점착 필름의 심재 면과 접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후술하는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면 접합 강도가 12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N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20N 이상으로 함으로써 부재 고정용으로서 우수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특정 성상을 지니는 심재 필름의 양면에, 특정 성상을 지니는 점착제층을 설치한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좁은 액자틀 사양의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양면 테이프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심재로서, 특정 성상을 지니는 합성 수지제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공을 지니지 않고, 내수성이 우수하여, 0.1 내지 2㎜의 폭으로, 또한 0.2 내지 1㎜의 폭으로 방수용으로서 이용된다. 즉, 좁은 액자 사양의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양면 테이프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태로서는, 양면에 박리 시트가 점착되어서 이루어진 액자틀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심재층 및 점착제층의 어느 한쪽 층 또는 모든 층을 흑색으로 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양면 점착 테이프가 액자틀 형태일 경우,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나 점착제층의 흑색화는, 카본블랙 혹은 흑색계의 안료나 염료 등을 혼입시키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의해, 하우징체가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도 제공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의 여러 특성은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구하였다.
(1) 심재 및 점착제층의 두께
각 예에서 얻어진 심재 및 점착제층의 두께를, JIS K7130에 준하여, 정압두께 측정기[테크로크사 제품, 제품명 「PG-02」]로 측정하였다.
(2) 심재의 5% 인장응력
각 예에서 얻어진 심재를 폭 15㎜, 길이 50㎜로 재단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시마즈세이사큐쇼(島津製作所)사 제품, 형식번호 「AG-IS」]를 사용해서, 측정용 샘플의 양단부 10㎜를 세트하고, 온도 23℃에서 폭 15㎜, 길이 30㎜의 측정 개소를 인장 속도 200㎜/min으로 5% 늘렸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3) 심재의 강연도(가레법)
심재를 길이 38㎜, 폭 25㎜로 재단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여, [토요세이키(東洋精機)사 제품, 제품명 「가레식 유연도 시험기」]를 사용해서, 「JIS L1085(1998) 6.10.3 가레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방수성 시험
「JIS C0920(2003) 14.2.7 깊이 0.15 내지 1m의 일시적 잠수 상태에서의 제2특성숫자 7에 대한 시험」에 준해서 평가하였다. 도 1은 측정용 샘플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평면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평면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시험 시, 세로 70㎜, 가로 50㎜, 두께 2㎜의 2매의 투명 아크릴판(1a) 및 (1b)을, 외형 크기가 세로 60㎜×가로 40㎜이고 폭이 1㎜인 액자틀 형상 적층부재(2)로 접합시킨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측정용 샘플의 한쪽의 아크릴판(1a)에는 높이 10㎛, 폭 5㎜의 십자형상의 흑색인쇄(3)를 행한 단차가 있고, 또 한쪽에는 단차가 없는 평활한 아크릴판(1b)을 사용하였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여 24시간 후에, 측정용 샘플을 수심 1m에 가라앉히고, 30분간 정치시킨 후, 육안으로 시험편 내부에의 물의 침입의 유무를 확인하여, 하기의 판정 기준으로 방수성을 평가하였다.
○: 시험편 내부에 물의 침입 없음(합격).
×: 시험편 내부에 물의 침입 있음(불합격).
(5) 면 접합력
아크릴판[미쓰비시레이온사 제품, 제품명 「아크릴라이트 L001」, 70×50×2㎜」]을 준비하고, 그 한 면에 UV 경화형 잉크[테이코쿠잉크사(帝國インキ社) 제품, 제품명 「POS-911먹물」]를 전면 도포하였다. 이어서, 스테인레스판[팔테크사(パルテック社) 제품, 제품명 「SUS304#600」, 150×70×0.5㎜, 편면 #600 연마]의 중앙에 직경 2㎝의 구멍을 관통시킨 것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외형크기가 세로 60㎜×가로 40㎜이고 폭이 2㎜인 액자틀 형상으로 가공한 양면 점착 테이프로 아크릴판의 잉크층과 스테인레스판의 #600 연마면을 접합시켰다. 그 후, 10㎜/min의 속도로, 만능 인장압축시험기[인스트론사 제품, 제품명 「인스트론 5581형」]로, 구멍이 열려서 아크릴판 잉크도포면이 표출하고 있는 부분을, 만능 인장압축시험기의 측정부에 고정한 지그(한 변이 10㎜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입방체를 측정부의 밑면에 접착 테이프로 고정한 것, 측정부와 아크릴판의 접촉부는 10㎜×10㎜의 정방형)로 면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를 벗겼을 때의 응력(하중의 피크값)을 측정하였다.
도 4는 면 접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에 있어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이며, 부호 (10)은 양면 점착 테이프, (11)은 구멍을 지니는 아크릴판, (12)는 양면 점착 테이프 측에 잉크층(14)을 지니는 아크릴판, (13)은 밀어넣는 방향이다.
(6) 협폭 가공성
NT 커터를 이용해서 폭 1㎜, 길이 50㎜의 형상으로 재단 가공을 행한 때, 마이크로게이지를 이용해서, 샘플 폭이 1㎜±0.2㎜인 것을 확인하고, 1㎜±0.2㎜의 범위 내이면 ○, 그 범위 밖이면 ×로 하였다.
조제예 1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및 아크릴산(AAc)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BA/2EHA/AAc 질량비 = 80/19/1, 중량평균 분자량 60만, 고형분 55질량%) 100질량부에, 점착 부여 수지[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제품명 「파인 크리스탈 KE-359」] 5질량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토요잉크사 제품, 제품명「BHS-8515」, 고형분 37.5질량%] 3.6질량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2.45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을 조제하였다.
조제예 2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2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BA), 아크릴산(AAc)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를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A/AAc/HEA 질량비=98/1.5/0.5, 중량평균 분자량 60만, 고형분 40질량%)100질량부에, 점착 부여 수지[아라카와카가쿠코교사 제품, 제품명「파인 크리스탈 KE-359」] 20질량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토요잉크사 제품, 제품명「BHS-8515」, 고형분 37.5질량%]1질량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94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도포액 2를 조제하였다.
조제예 3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3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BA), 메틸아크릴레이트(MA) 및 아크릴산(AAc)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A/MA/AAc 질량비 = 77/20/3, 중량평균 분자량 80만의 공중합체, 고형분 28질량%] 100질량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토요잉크사 제품, 제품명「BHS-8515」, 고형분 37.5질량%]1.8질량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2.41질량부)와 알루미늄 킬레이트계 가교제[소켄카가쿠사 제품, M-5A, 고형분 4.95질량%] 1.8질량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32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3을 조제하였다.
조제예 4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4의 조제
부틸아크릴레이트(BA), 메틸아크릴레이트(MA) 및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를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A/MA/4HBA 질량비 = 79/20/1, 중량평균 분자량 90만의 공중합체, 고형분 30질량%] 100질량부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소켄카가쿠사 제품, 제품명「TD-75」, 고형분 75질량%] 0.05 질량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3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4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미츠이?듀폰폴리케미칼사 제품, 제품명 「NO903HC」,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91질량%]를 두께 100㎛로 제막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심재 필름을 얻었다. 다음에, 경박리 시트[린테크(주) 제품, 상품명 「SP-PET381031」]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를 이용해서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약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열가교시켰다. 그 후, 점착제층에 전술한 심재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편면 점착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중박리 시트[린테크(주) 제품, 상품명 「SP-PET3811」]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를 이용해서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약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열가교시킨 후, 상기의 편면 점착 필름의 심재 필름면에 접합시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 대신에,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심재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타마폴리사 제품, 제품명 「A-1」, 두께 100 ㎛]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심재 필름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스미토모카가쿠코교(住友化學工業)사 제품, 제품명 「에바테이트 D2045」,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95질량%]를 두께 100㎛로 제막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 대신에,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 대신에,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심재 필름으로서, 두께 100㎛의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세키스이카가쿠코교(積水化學工業)(주) 제품, 상품명 「보라라」]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심재로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토레사 제품, 제품명 「루미라 T-60」]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시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점착제 형성용 도포액 1을, 중박리 시트[린테크(주) 제품, 상품명 「SP-PET3811」]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를 이용해서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약 2분간 가열 건조시켜 열가교시킨 후, 경박리 시트[린테크(주) 제품, 상품명 「SP-PET381031」]를 접합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점착제를 3매 서로 접합시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의 5% 인장응력 및 강연도에 대해서는 3매 중 한가운데의 층을 심재로 간주해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작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여러 특성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심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휴대전화나 터치패널 등의 모바일 제품에 있어서의 부재 고정용 등으로서 바람직한, 단차에의 접합 적성,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액자틀 형태의 폭이 좁은 휴대 정보단말에 방수용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a: 투명 아크릴판 1b: 투명 아크릴판
2: 액자틀 형상 적층부재 3: 십자형상의 흑색 인쇄
10: 양면 점착 테이프 11: 구멍을 지니는 스테인레스판
12: 양면 점착 테이프 측에 잉크층을 지니는 아크릴판
13: 밀어넣는 방향 14: 잉크층

Claims (9)

  1. 심재(芯材)와, 해당 심재의 양면에 설치된 2개의 점착제층을 지니는 적층체로 이루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a) 상기 심재의 5% 인장응력이 3 내지 100N이고, 또한 강연도(剛軟度)(가레법(ガ-レ法))가 0.2mN 이하인 것,
    (b)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이, 각각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와, 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점착 부여 수지 1 내지 60질량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열가교시켜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가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60 내지 100질량%를 지니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필름인 것인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가 2 내지 400㎛이고, 또한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각각 2 내지 80㎛인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2㎜ 폭의 액자틀 형상으로 펀칭하여 이루어진 형태를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4항에 있어서, 0.1 내지 2㎜의 액자틀 형상으로 펀칭하여 이루어진 형태를 지니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 정보단말기기 내부의 고정용으로서 이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수용으로서 이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하우징체가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1020110094979A 2010-09-30 2011-09-21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101884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0791 2010-09-30
JP2010220791A JP5637792B2 (ja) 2010-09-30 2010-09-30 両面粘着テープ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979A true KR20120033979A (ko) 2012-04-09
KR101884944B1 KR101884944B1 (ko) 2018-08-02

Family

ID=4600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79A KR101884944B1 (ko) 2010-09-30 2011-09-21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37792B2 (ko)
KR (1) KR101884944B1 (ko)
CN (1) CN102443357B (ko)
TW (1) TWI5105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830B2 (en) 2018-01-08 2020-07-21 Samsung Display Co., Ltd. Waterproof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391B2 (ja) * 2011-01-25 2016-03-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6007586B2 (ja) * 2012-05-17 2016-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KR20130131795A (ko) * 2012-05-24 2013-12-04 (주)엘지하우시스 유연도가 높은 점착 조성물
EP2980177A4 (en) * 2013-03-28 2016-09-07 Lintec Corp TIRE TAPE FOR TIRES,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 TAPE FOR TIRES AND METHOD FOR USE OF TIRE TAPE FOR TIRES
CN103788901B (zh) * 2014-01-26 2017-03-15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耐高温压敏胶粘剂组合物、制备方法和双面胶粘带
JP6393052B2 (ja) * 2014-03-20 2018-09-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組成物
CN103897641A (zh) * 2014-04-14 2014-07-02 太仓环亚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防水耐用胶带粘着剂
JP6294775B2 (ja) * 2014-06-30 2018-03-14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用基材
JP6432063B2 (ja) * 2014-12-26 2018-12-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携帯情報端末機器
WO2016199523A1 (ja) * 2015-06-08 2016-12-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容器、並びに、自己粘着体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6294541B1 (ja) * 2016-06-10 2018-03-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WO2018168750A1 (ja) * 2017-03-15 2018-09-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235A (ja)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防水用粘着テープ
JP2008222781A (ja) * 2007-03-09 2008-09-25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2009108314A (ja) 2007-10-12 2009-05-21 Dic Corp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273B2 (ja) *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873863B2 (ja) * 2005-01-14 2012-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レーザー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ー加工用粘着シート
DE102005034745A1 (de) * 2005-07-21 2007-01-25 Tesa Ag Doppelseitiges Haftklebeband zur Herstellung von LC-Displays mit lichtreflektierenden und -absorbierenden Eigenschaften
JP2007176996A (ja) * 2005-12-27 2007-07-12 Sekisui Chem Co Ltd 止水シール材
JP2008066336A (ja) * 2006-09-04 2008-03-21 Lintec Corp ウエハ加工用シート
JP5448409B2 (ja) * 2008-10-16 2014-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WO2010053010A1 (ja) * 2008-11-04 2010-05-1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ハンドレール貼着フィルム
JP4842358B2 (ja) * 2008-12-0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235A (ja)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防水用粘着テープ
JP2008222781A (ja) * 2007-03-09 2008-09-25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2009108314A (ja) 2007-10-12 2009-05-21 Dic Corp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2009242541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衝撃吸収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830B2 (en) 2018-01-08 2020-07-21 Samsung Display Co., Ltd. Waterproof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4105A (en) 2012-06-16
KR101884944B1 (ko) 2018-08-02
JP5637792B2 (ja) 2014-12-10
TWI510589B (zh) 2015-12-01
CN102443357B (zh) 2015-06-17
JP2012077110A (ja) 2012-04-19
CN102443357A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3979A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102055078B1 (ko) 점착 시트
KR20120033245A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KR102036463B1 (ko) 점착 시트
JP4761428B2 (ja) 粘着テープ類
JP5639733B2 (ja) 粘着テープ
JP6653290B2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携帯電子機器
KR20170090354A (ko) 점착 시트
KR102554742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20084682A (ko) 점착 테이프
US20220204816A1 (en) Waterproof Cover
WO2019202749A1 (ja) 粘着テープ
JP6729836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20210029680A (ko) 점착 시트
JP7256809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6432063B2 (ja)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携帯情報端末機器
JP5351420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666748B2 (ja)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携帯情報端末機器
KR20230047165A (ko) 보강용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20230039613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WO2019059081A1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22054789A1 (ja) 粘着シート
KR20230047162A (ko) 보강용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20230047164A (ko) 보강용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20200018313A (ko)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