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883A -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883A
KR20120024883A KR1020117031511A KR20117031511A KR20120024883A KR 20120024883 A KR20120024883 A KR 20120024883A KR 1020117031511 A KR1020117031511 A KR 1020117031511A KR 20117031511 A KR20117031511 A KR 20117031511A KR 20120024883 A KR20120024883 A KR 2012002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bundle
carrier
impell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926B1 (ko
Inventor
야스시 고토
미츠시게 나카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엔시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엔시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6Feeding stacks of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1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pusher, needles, friction, or like devices adapted to feed single articles along a surface or t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6Arrangement of sheets
    • B65H2701/18262Ordered set of articles forming one b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반송 대상인 지엽류 다발을 구성하는 지엽류가 지엽류 다발과 접촉하는 부재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다발 반송 장치 및 이를 탑재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지폐 다발(P)을 누르기 위한 압출 플레이트(602)의 이면에 배치된 임펠러(611)는, 바닥벽(502)의 표면(502a)에 접촉하는 롤러(604)의 캐리어(600)의 이동에 따른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압출 플레이트(602)와 표면(502a) 사이의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에 대하여, 그 간극으로부터 압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간극을 통해 지폐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간극 근방의 탄성 부재(611a)가 장해가 되어, 간극을 통해 지폐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NOTE-BUNDLE CONVEYING APPARATUS AND PAPER-NOTE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1장 이상의 지엽류가 분리 가능하게 겹쳐진 지엽류 다발을 반송로를 따라서 그 지엽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엽류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는 널리 사회에 보급되어 있다. 예컨대 지엽류로서 지폐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는, 출납계원 업무에 사용되는 현금 처리 장치, 또는 현금자동예금기(AD), 혹은 현금자동예금지불기(ATM) 등의 자동화 기기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지엽류 취급 장치의 대부분은, 지엽류를 1장씩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지엽류 취급 장치 중에는, 1장 이상의 지엽류가 분리 가능하게 겹쳐진 지엽류 다발을 그 지엽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반송하는 다발 반송 장치를 탑재한 것이 제품화되어 있다.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지엽류 취급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는, 지엽류 다발에 접촉하여 그 지엽류 다발을 누르기 위한 접촉 부재(플레이트)를 복수 설치한 캐리어를 반송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지엽류 다발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반송 대상인 지엽류 다발(P) 쪽에서의 시점으로 캐리어(10)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 20은 반송로이며, 이 반송로(20)는 천장벽(71)과 바닥벽(7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캐리어(10)는,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제조한 판형 부재(11)에, 5개의 압출 플레이트(12)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10)를 지엽류 다발(P)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압출 플레이트(12)에 의해 누르는 형태로 지엽류 다발(P)을 반송하게 되어 있다.
각 압출 플레이트(12)의 아래쪽, 즉 바닥벽(22) 측에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된 기립 부재(12a)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위쪽, 즉 천장벽(21) 측에는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된 기립 부재(1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닥벽(22)의 반송로(20) 측의 표면에는, 기립 부재(12a)를 수용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홈(22a)이 형성되고, 천장벽(21)의 반송로(20) 측의 표면에도, 마찬가지로 기립 부재(12b)를 수용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압출 플레이트(12)는, 바닥벽(22) 및 천장벽(21)과 각각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바닥벽(22)과 천장벽(21) 사이의 지엽류 다발(P)은, 그 바닥이 바닥벽(22)에 접촉하면서 반송된다. 지엽류 다발(P)의 매수나 각 지엽류의 상태 등에 따라서는, 그 최상부의 지엽류가 천장벽(21)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매수가 많으면, 지엽류가 겹쳐진 방향에서의 전체 두께(이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두께」란 지엽류가 겹쳐진 방향에서의 폭을 가리키는 의미로 이용함)는 두꺼워지고, 접혀진 지엽류가 존재하면, 그 지엽류에 의해서 매수가 적어도 전체 두께가 두꺼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기립 부재(12a)와 홈(22a) 및 기립 부재(12b)와 홈(21a)은, 각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바닥벽(22) 사이 및 압출 플레이트(14)와 천장벽(21) 사이의 각 간극으로 지엽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 L1은 압출 플레이트(14)와 바닥벽(22) 사이의 간극, L4는 압출 플레이트(14)와 천장벽(21) 사이의 간극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5-255407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성07-96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성09-15100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성07-172710호 공보
캐리어(10)로 반송하는 지엽류 다발(P)은, 각 지엽류가 항상 적절하게 겹쳐져 있는 것은 아니다. 지엽류 중에서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일부가 돌출된 지엽류가 지엽류 다발(P)의 하부에 존재하면, 그 일부가 간극(L1)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기립 부재(12a)와 홈(22a)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엽류가 겹쳐진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이후 「가로 방향」) 상의 간극(L2)이나, 그 겹쳐진 방향에서의 간극(L3)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간극(L2 혹은 L3)에 지엽류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지엽류에는, 그보다도 위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중량이 걸린다. 이 때문에, 지엽류 다발(P)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엽류와는 달리, 원래의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힘이 강한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지엽류에서는, 돌출된 부분이 간극(L1?3)(이후「간극(L)」이라 총칭함) 중 어딘가로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간극(틈)(L)에 일부가 들어간 지엽류는, 부적절한 상태로 겹쳐진 것이다. 이 때문에, 보다 적절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간극(L)에 일부가 들어간 지엽류는, 반송 중에 상태가 보다 적절하게 되는 방향으로 개선될 가능성은 작다. 왜냐하면, 간극(L)을 형성하는 압출 플레이트(12) 및 바닥벽(22)의 각 부재와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마찰에 의해, 반송 후에 캐리어(10)를 복귀시킬 때에는, 간극(L)으로 일부가 들어간 지엽류를 보다 나쁜 상태(보다 가지런히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 버릴 가능성도 있다.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엽류는, 잼 등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엽류를 파손시키는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반송 대상인 지엽류가 전부 적절하게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고,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엽류의 일부가 지엽류 다발과 접촉하는 부재 사이의 간극(L)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고려된다.
본 발명은, 반송 대상인 지엽류 다발을 구성하는 지엽류가 지엽류 다발과 접촉하는 부재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다발 반송 장치 및 이것을 탑재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한 구성에서는, 1장 이상의 지엽류가 겹쳐진 지엽류 다발에 접촉하여 그 지엽류 다발을 누르기 위한 접촉 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된 캐리어에 의해 반송로를 따라서 그 지엽류 다발을 반송한다. 억제 수단은, 지엽류 다발을 구성하는 지엽류가, 반송로가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캐리어에 의해서 눌리는 지엽류 다발이 접촉하는 구성 부재와, 접촉 부재의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지나 그 접촉 부재로부터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반송 대상인 지엽류 다발을 구성하는 지엽류가 지엽류 다발과 접촉하는 부재 사이, 예컨대 접촉 부재와 반송로가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엽류 다발은 보다 적절한 상태, 즉 지엽류가 보다 가지런하게 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를 탑재한 현금자동예금지불기(ATM)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지폐 다발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부의 구성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를 탑재한 현금자동예금지불기(ATM)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다발 반송 장치를 탑재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엽류 취급 장치는, 지엽류로서 지폐를 취급하는 ATM(100)으로서 실현되어 있다.
그 ATM(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가 1장 이상 겹쳐진 지폐 다발(P)의 상태로 입출금을 행하는 입출금 장치(200)와, 입출금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입출금하는 지폐 다발(P)을 전달하는 상부 장치(300), 그리고 입금되었거나 혹은 출금 가능한 지폐를 수납하는 하부 장치(40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입출금 장치(200)는, 고객이 입출금구(201)로부터 삽입한 지폐 다발(P)을 그 상태 그대로 반송하여 상부 장치(300)에 건네준다. 상부 장치(300)로부터는, 출금 혹은 반환 대상인 지폐 다발(P)을 수취하여, 입출금구(201)로 반송한다. 이후에는 주로, 고객이 입금을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입출금 장치(200)로부터의 지폐 다발(P)은, 상부 장치(300)의 조출부(301)에 반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출부(301)의 승강 스테이지(101a)까지 반송된다. 승강 스테이지(101a)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지폐 다발(P)이 반송된 후에,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지폐 다발(P)을 구성하는 지폐는, 조출부(101)의 아래쪽에 배치된 조출 기구(101c)에 의해서 1장씩 조출되어 반송된다. 승강 스테이지(101a)의 위쪽에 배치된 푸셔(101b)는, 승강 스테이지(101a) 상의 지폐 다발(P)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출부(101)로부터 조출된 지폐는, 지폐 감별부(102)에 의해 감별된다. 이 감별에 의해, 지폐가 정상권인지 여부의 판별이나, 정상권의 금종(金種)의 특정이 행해진다. 가짜 지폐, 감별 불가능한 지폐 혹은 파손된 듯한 지폐는 이상권(異常券)으로 판별된다.
상부 장치(300)에는, 3개의 리젝트 박스(307?9)가 설치되어 있다.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기 위해서 에스크로부(303) 및 리저버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감별에 의해 정상권이라 판별된 지폐는, 전환 후크(311 및 313)를 이용하여 에스크로부(303)로 반송되고, 이상권이라 판별된 것은, 전환 후크(311 및 313)를 이용하여 리저버부(304)로 반송된다.
에스크로부(303) 및 리저버부(304)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에스크로부(303) 및 리저버부(304)에 각각 수납된 지폐[지폐 다발(P)]는, 스테이지를 상승시킨 후, 다발 반송 장치(306)에 의해 반송로(305)를 지나 조출부(101) 혹은 입출력 장치(200)로 반송된다. 입금시에 있어서, 조출부(101)로 반송하는 것은, 고객이 최종적으로 입금을 지시한 경우이며, 입출력 장치(200)로 반송하는 것은, 거래의 중지를 고객이 지시한 경우이다. 본 실시형태는, 이 다발 반송 장치(306)로서 실현되어 있다.
조출부(101)로 반송된 지폐 다발(P)은, 전과 마찬가지로, 1장씩 조출되어 재차 감별된다. 이 감별에 의해, 이상권이라 판별된 지폐는, 리젝트 박스(307?9) 중 어느 한 곳으로 전환 후크(312, 314, 315)에 의해 반송되어 수납된다. 정상권이라 판별된 지폐는 하부 장치(400)로 반송된다.
하부 장치(400)에는, 금종 별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하여 4개의 지폐 리사이클 카세트(401)가 탑재되어 있다. 각 카세트(401)에는, 지폐의 1장씩의 조출이나 내부에의 수납을 행하기 위한 조출 반송 기구(4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에는, 카세트(401)마다 2개의 전환 후크(411 및 4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폐는 감별에 의해 특정된 금종에 대응하는 카세트(401)에 반송되어 수납된다.
도 3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306)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이 다발 반송 장치(306)의 평면도이다. 정면도란, 다발 반송 장치(306)에 의해서 반송되는 지폐 다발(P) 쪽으로부터의 시점의 것이고, 평면도란, 위쪽으로부터의 시점의 것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306)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다발 반송 장치(306)는 기본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반송로(30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별개 독립의 부재인 천장벽(501), 바닥벽(502) 및 천장벽(501)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측벽(503)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된 공간이다. 다발 반송 장치(306)는, 이 반송로(305)를 따라서 이동되는 캐리어(600)와, 이 캐리어(600)를 구동하는 구동계(650)로 크게 나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캐리어(600)의 구성 요소에는 601 이상 650 미만의 숫자를 부호로서 붙이고, 구동계(650)의 구성 요소에는 651 이상의 숫자를 부호로서 붙이고 있다.
캐리어(60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제조된 판형 부재(601)에 있어서 지폐 다발(P)과 대향하는 쪽에, 이 지폐 다발(P)을 반송시에 접촉하는 5개의 압출 플레이트(602)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후, 편의상, 압출 플레이트(602)에 있어서 지폐 다발(P)과 접촉하는 쪽을 「앞쪽」, 그 반대쪽을 「뒤쪽」,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앞방향」(혹은 「압출 방향」), 그 반대를 「뒷방향」이라고 각각 하기로 한다.
각 압출 플레이트(602)에는, 바닥벽(502) 측으로 돌출된 기립 부재(602a)와, 천장벽(501) 측으로 돌출된 기립 부재(50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닥벽(502)의 표면(502a)에는, 각 기립 부재(602a)의 형상에 맞춘 홈(502b)이 그 위치에 따라서 형성되고, 다른 쪽인 천장벽(501)의 표면(501a)에도, 기립 부재(602b)의 형상에 맞춘 홈(501b)이 그 위치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602c는, 압출 플레이트(602)로 하는 금속판의 상부를 절곡하여 얻어진 접힘 부재이다. 이 접힘 부재는 하부에도 존재한다.
판형 부재(601)의 양쪽의 단부는 절곡되며, 그 단부에는 롤러(613)가 부착되어 있다. 반송로(305)에는, 지폐 다발(P)을 반송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단면이 コ자형인 레일(65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613)는, 레일(654)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레일(654)을 이용하여 덜걱거림을 억제하여, 보다 원활하게 캐리어(6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판형 부재(601)에는, 천장벽(501)의 표면(501a)에 접촉하는 롤러(60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603)도, 캐리어(60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형 부재(601)에는, 측벽(503)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614)가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614)는, 2개의 측벽(503)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캐리어(600)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판형 부재(601) 양쪽의 단부에는, 절결부(601a)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01a)는, 구동 롤러(651)로부터 돌출되는 보스(651a)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651)에 연결된 샤프트(655)에는, 하나 또는 2개의 풀리(652)가 부착되어 있다. 반송 방향으로, 인접하는 풀리(652)에는 타이밍 벨트(65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는 동력원(예컨대 스테핑 모터)으로부터의 동력은 타이밍 벨트를 통해 각 구동 롤러(65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행해지는 동력 전달에 의해, 구동 롤러(651)는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구동 롤러(651)의 보스(651a)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캐리어(600)에 동력이 전달되어 이동하게 된다. 캐리어(600)의 이동 중에는, 예를 들어 절결부(601a)에 보스(651a)가 들어가고, 절결부(601a)로부터 보스(651a)가 이탈하는 것 등이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절결부(601a)에 들어가고 나서 나올 때까지 사이에, 보스(651a)를 통한 동력 전달이 행해진다.
전술한 부분의 구성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다발 반송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플레이트(612)의 하단과 바닥벽(502)의 표면(502a) 사이에는 간극(틈)이 존재하고, 절결 부재(612a)와 홈(502b) 사이에도 간극(틈)이 존재한다. 지폐는 얇고, 유연성을 갖고 있으므로, 어느 간극에도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캐리어(600)는 반송로(305)를 따른 지폐 다발(P)의 반송 외에, 입출력 장치(200)로부터 반송된 지폐 다발(P)을 조출부(301)에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 점 때문에 특히, 지폐 다발(P)을 반송할[캐리어(600)를 앞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와, 반송되어 온 지폐 다발(P)이 접촉할 때에, 지폐 다발(P)에서 캐리어(600) 측으로 돌출된 지폐의 일부가 간극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간극으로 지폐가 들어가는 것을 이하의 구성에 의해 억제하고 있다. 도 5를 아울러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지폐 다발(P)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임펠러(61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압출 플레이트(602) 이외의 압출 플레이트(602)의 이면에는 각각 임펠러(6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임펠러(611)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 부재(611a)가 둘레 방향에서 간헐적으로 복수 배치된 구조물이며, 아래쪽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611a)가 바닥벽(502)의 표면(502a)과 접촉하도록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표면(502a)에 접촉하고 있는, 압출 플레이트(602)의 최근방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이후, 편의상 「제1 탄성 부재」라고 함)(611a)는 압출 플레이트(602)와 표면(502a)의 간극을 막는 형태가 된다. 표면(502a)과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611a)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이후, 편의상 「제2 탄성 부재」라고 함)(611a)는 보다 크게 변형되어, 선단 부분이 표면(502a)과 접촉하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된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611a)는 함께 간극을 통해 지폐의 일부가 침입하는 데에 있어서의 저항(장해)이 된다. 제1 탄성 부재(611a)는, 간극으로부터 압출 플레이트(602)의 이면측에 지폐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제2 탄성 부재(611a)는,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가 보다 깊게 침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임펠러(611)는,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간극을 통해 지폐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반송되어 온 지폐 다발(P)의 조출부(101)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는, 즉 보다 가지런하게 된 상태의 지폐 다발(P)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정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펠러(611)를 도 5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2 탄성 부재(611a)는,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를 표면(502a)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 형태가 되어, 마찰력에 의해 간극으로부터 압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를 보다 적절한 위치, 즉 다른 지폐와 가지런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에는, 지폐 다발(P)의 매수(중량)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제2 탄성 부재(611a)가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지폐가 적절한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지폐에 다른 지폐가 미치는 힘을 경감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은, 예컨대 지폐 다발(P)과 접촉하는 부위에 별도의 임펠러를 배치하고, 이 임펠러를 도 5에 도시하는 화살표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폐 다발(P)의 특히 하부에 들어올리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이와 같은 힘을 작용시킨 경우에는, 반송 중에, 간극을 통해 들어가지 않은 지폐 중에서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를 압출 플레이트(602)의 면을 따라서 보다 적절하게 가지런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502a)에 접촉하는 2개의 롤러(604)를 캐리어(600)에 설치하고 있다. 이 롤러(604)는, 상기 임펠러(61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캐리어(600)에 동력원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임펠러(61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외부로부터 전달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2개의 롤러(604)는 샤프트(605)의 양끝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샤프트(605)에는 기어(60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롤러(604)의 회전에 의해서 기어(606)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이 기어(606)와 맞물리는 기어(607)에 전달된다.
기어(607)가 부착된 샤프트(621)에는, 풀리(608)가 부착되어 있다. 이 풀리(608)와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609)가 설치된 풀리(610)는, 임펠러(611)와 동일한 샤프트(612)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600)가 지폐 다발(P)을 반송하기 위해서 앞방향(도 5 중 「지폐 다발 압출 방향」이라고 표기)으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604)와 임펠러(611)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캐리어(600)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임펠러(611)는 도 5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캐리어(600)가 앞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압출 플레이트(602)와 표면(502a) 사이의 간극[여기서는 기립 부재(602a)와 홈(502b) 사이의 간극을 포함함]을 통해 들어간 지폐를 그 간극으로부터 압출하는 힘이 임펠러(611)를 통해 전달된다.
임펠러(611)의 구동계, 즉 롤러(604)를 동력원으로 하여 임펠러(611)를 회전시키는 구성(전달 수단)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동계에서는, 캐리어(600)를 뒷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임펠러(611)는 도 5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은, 간극을 통해 들어가 있는 지폐에 대하여, 더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방향의 회전은, 예컨대 기어(607)를 한 방향만 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 구조로 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부의 구성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킨 경우에는, 캐리어(600)를 뒷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임펠러(6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샤프트(605 및 621)에 풀리(631 및 632)를 각각 더 부착하고, 풀리(631 및 632) 사이에 타이밍 벨트(633)를 설치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 구조는, 예컨대 기어(607) 외에, 예컨대 풀리(632)에 채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607)와 풀리(632)는, 도 6에 각각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캐리어(600)의 앞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기어(607)를 통한 동력 전달이 유효하게 되고, 뒷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풀리(632)를 통한 동력 전달이 유효하게 되어, 캐리어(600)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임펠러(611)는 항상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반송 후에도, 간극을 통해 들어간 지폐에 압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펠러(611)의 동력원으로서, 캐리어(6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604)를 이용하고 있지만, 모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임펠러(611)는, 간극을 통해 지폐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간극으로부터 침입한 지폐를 배제하는, 2가지의 용도로 이용하고 있지만, 예컨대 후자에만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간극을 통한 지폐의 침입은, 그 간극을 막는 형태의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억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지폐가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이용하는 구성물(부재)은 임펠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압출 플레이트(602)를 포함하는 캐리어(600) 등의 구성도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지엽류 취급 장치도, ATM 등의 지폐를 취급하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펠러(611)의 탄성 부재(611a)는, 압출 플레이트(612)의 하단과 바닥벽(502)의 표면(502a) 사이에 생긴 간극(틈)을 통해 들어간 지폐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그 간극은 근소하므로, 탄성 부재(611a)가 지폐와 접촉하는 것은, 대부분은 지폐 다발(P)로부터 간극을 지나 압출 플레이트(612)보다 안쪽[캐리어(600)의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이다. 이 간극에 의해, 탄성 부재(611a)가 지폐에 작용시키는 마찰력은 그 지폐를 지폐 다발(P) 측으로 압출하는 방향으로 된다.
지폐 다발(P)을 구성하는 지폐의 매수가 비교적으로 적으면, 그 마찰력을 작용시킨 지폐가 적절한 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매수가 많아지면, 지폐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탄성 부재(611a)가 마찰력을 작용시킨 지폐가 적절한 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은 그다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은 변형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변형을 실시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형태에서 변형을 실시한 부분만 설명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혹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압출 플레이트(612)의 아래쪽으로 개구인 절결부(602d)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절결부(602d)는 각 임펠러(611)와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611)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 부재(611a)의 선단 부분이 절결부(602a)를 지나게 되어 있다.
절결부(602d)는, 압출 플레이트(612)의 하단과 바닥벽(502)의 표면(502a)의 사이에 생긴 간극보다도 긴 시간, 긴 거리 범위로, 탄성 부재(611a)가 지폐 다발(P)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게 한다. 보다 긴 거리 범위로 접촉 가능하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611a)는 지폐 다발(P) 측으로 압출하는 방향의 마찰력을 지폐에 작용시킬 뿐만 아니라, 지폐 다발(P)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도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 들어올리는 방향의 힘은, 간극에 들어간 지폐와 그것에 접촉하는 지폐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611a)가 마찰력을 작용시킨 지폐가 적절한 상태로 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지폐 다발(P)을 들어올리는 방향의 힘은, 압출 플레이트(612)에 절결부(602d)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벽(502)에 홈(502b)과 같은 홈을 형성함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이와 같은 홈 혹은 절결부(602d)를 형성하는 대상으로 하는 임펠러(611)는 전부가 아니라도 좋다. 즉, 홈 혹은 절결부(602d)를 형성하는 임펠러(611) 및 그와 같은 것을 형성하지 않은 임펠러(611) 양자 모두를 존재시키더라도 좋다. 상기 양자 모두를 존재시키는 경우에는, 임펠러(611)는 홈 혹은 절결부(602d)를 형성하는지 여부에 따라, 형상이나 배치 등을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5 : 반송로 306 : 다발 반송 장치
501: 천장벽 501a, 502a : 표면
501b, 502b : 홈 502 : 바닥벽
503 : 측벽 600 : 캐리어
602 : 압출 플레이트 602a, 602b : 기립 부재
602d : 절결부 604 : 롤러
605, 612, 621 : 샤프트 606, 607 : 기어
608, 610, 631, 632 : 풀리 609, 633 : 타이밍 벨트
611 : 임펠러 611a : 탄성 부재

Claims (6)

1장 이상의 지엽류가 겹쳐진 지엽류 다발을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다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다발에 접촉하여 상기 지엽류 다발을 누르기 위한 접촉 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캐리어와,
상기 지엽류 다발을 구성하는 지엽류가, 상기 반송로가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에 의해서 눌리는 상기 지엽류 다발이 접촉하는 구성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의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지나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억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반송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탄성력을 갖고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 부재가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배치된 임펠러와, 이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의 정지시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와 접촉한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지엽류가 상기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캐리어의 이동시에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켜, 상기 간극에 들어간 상기 지엽류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지엽류에 압출하는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지엽류가 상기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반송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억제 수단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지엽류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엽류가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반송 장치.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반송로 상에 존재하는 부재와 접촉시키는 회전 가능한 롤러와, 상기 캐리어의 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기 롤러의 회전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반송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캐리어의 이동시, 상기 임펠러를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반송 장치.
제1항에 기재된 다발 반송 장치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에 의해 지엽류 다발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117031511A 2009-06-29 2009-06-29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275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2997 WO2011001464A1 (ja) 2009-06-29 2009-06-29 束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883A true KR20120024883A (ko) 2012-03-14
KR101275926B1 KR101275926B1 (ko) 2013-06-17

Family

ID=4341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511A KR101275926B1 (ko) 2009-06-29 2009-06-29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8780B2 (ko)
EP (1) EP2450300A4 (ko)
JP (1) JP5226869B2 (ko)
KR (1) KR101275926B1 (ko)
CN (1) CN102459045B (ko)
WO (1) WO2011001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0387B2 (ja) * 2012-10-03 2015-08-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4649063A (zh) * 2013-11-25 2015-05-27 北京航天斯达新技术装备公司 一种应用于纸质金融产品的出货系统
JP6598470B2 (ja) * 2015-02-19 2019-10-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TWI642033B (zh) * 2017-07-19 2018-11-2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紙頁儲存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5939A (en) * 1966-01-28 1968-04-02 Harris Intertype Corp Papercutter
US3790004A (en) * 1969-01-30 1974-02-05 Gen Foods Corp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acking material
US3892168A (en) * 1974-01-14 1975-07-01 Molins Machine Co Inc Counter ejector
DE2511943C3 (de) * 1975-03-19 1979-03-15 Amiad Mutzarei Yiul, Hevel Korazim (Israel)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und Ausgabe von gestapeltem blattförmigem Gut
WO1982001435A1 (en) * 1980-10-10 1982-04-29 Hosking Steven M Automatic sheet dispensing apparatus
IT1203496B (it) * 1986-03-15 1989-02-15 Womako Masch Konstr Dispositivo per introdurre automaticamente strati di carta in una macchina di lavorazione
US5240368A (en) * 1989-12-04 1993-08-31 Diebold, Inc. Sheet handling apparatus
SU1694462A1 (ru) * 1989-12-14 1991-11-30 Кауна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хвата плоских м гких изделий
JP2753386B2 (ja) * 1990-11-19 1998-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堆積装置
US5205703A (en) * 1991-05-14 1993-04-27 Thermoguard Equipment, Inc. Top sheet hold down for stacked sheet handling machine
JPH07965U (ja) * 1991-09-26 1995-01-0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の排紙機構
JPH07965A (ja) 1993-06-17 1995-01-06 Brother Ind Ltd イオン水生成装置
JP2818105B2 (ja) 1993-12-22 1998-10-3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葉類入出金機における紙葉類収納繰出機構
CH690100A5 (fr) * 1994-05-24 2000-04-28 Bobst Sa Dispositif auxiliaire d'entraînement pour le transport de feuilles de papier ou de carton.
JP2716384B2 (ja) * 1994-11-25 1998-02-18 忠男 宇野 シート束平積み装置
JP3292013B2 (ja) * 1995-12-01 2002-06-17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JP4326989B2 (ja) 2004-03-15 2009-09-09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の束搬送装置及び取扱装置
DE202005000416U1 (de) * 2005-01-07 2005-03-17 Francotyp Postalia Ag Anordnung zum Frankieren von Poststü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1464A1 (ja) 2011-01-06
CN102459045A (zh) 2012-05-16
US20120132505A1 (en) 2012-05-31
JP5226869B2 (ja) 2013-07-03
EP2450300A1 (en) 2012-05-09
CN102459045B (zh) 2015-04-01
EP2450300A4 (en) 2017-12-27
KR101275926B1 (ko) 2013-06-17
US8448780B2 (en) 2013-05-28
JPWO2011001464A1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US7954816B2 (en) Voucher stacking apparatus
KR101275926B1 (ko)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JP2005259086A (ja) 紙葉類取扱装置
JP6064786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342898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JP6146229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4178132B2 (ja) 紙葉類集積分離装置
JP5484935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KR101865141B1 (ko) 지폐 처리 장치
JP5176739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JP2009211572A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JP2013117997A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220335768A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KR100832050B1 (ko) 종이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및 종이류 반송 장치
JP2016153331A (ja) 媒体引渡装置
JP5712876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4154007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005259084A (ja) 紙葉類取扱装置の構築方法、及び紙葉類カセット
CA2542159A1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note unstacking and validation
JP2018032267A (ja) 媒体収納庫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2308516A (ja) 紙幣還流装置
JP2009237959A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