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802A -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802A
KR20120024802A KR20117030430A KR20117030430A KR20120024802A KR 20120024802 A KR20120024802 A KR 20120024802A KR 20117030430 A KR20117030430 A KR 20117030430A KR 20117030430 A KR20117030430 A KR 20117030430A KR 20120024802 A KR20120024802 A KR 2012002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paration tank
suction
liquid leve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3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572B1 (ko
Inventor
테츠오 쿠보
카즈노리 아베
Original Assignee
에이신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신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신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by addition of solid materials for removing an oily layer o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36Tank with movable or adjustable outlet or overflow pipe
    • Y10T137/86252Float-supported outl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킨 부상유를 회수할 수 있는 부상유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부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흡입구측 단부로 되고, 또한 타단부가 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와, 상기 흡입구측 단부를 저장 탱크액중의 액면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흡입구측 단부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고, 또한 상단 개구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를 구비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와, 상기 저장 탱크 내의 유수 혼합액을 유입시켜 기름과 물로 분리하는 분리조와, 상기 유수 혼합액을 저장 탱크로부터 빨아 올려 상기 분리조에 보내어 넣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빨아 올린 유수 혼합액중의 공기를 액중으로부터 제거하는 탈기(脫氣) 장치를 구비한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Description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가지는 부상유 회수 장치{FLOATING OIL RECOVERY APPARATUS COMPRISING LIQUID SURFACE FOLLOWING-TYPE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공액(수용성 냉각제(coolant)), 세정액, 냉각액 등의 물과 기름이 섞인 유수 혼합액의 액면으로 부상하는 작동유, 윤활유 등의 유분을 흡인하여 회수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부상유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유수 혼합액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부상유 회수 장치에서는, 공작기계 냉각제 탱크나 세정액 탱크 등의 저장 탱크에 모인 유수 혼합액을 펌프로 빨아 올려 유입관을 통해 분리조 내로 보내어 넣고, 이 분리조 내에서 물과 기름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하로 분리한다. 분리된 기름은 배출 호스를 통해 회수 용기에 회수된다. 회수된 기름은 폐수로서 적당하게 처분된다. 기름을 제거한 나머지의 액(물)은 분리조로부터 저장 탱크에 되돌려져 재이용된다.
또, 종래로부터 펌프의 흡인용 호스의 선단(흡인구)을 저장 탱크 내에 있어서 플로트(float) 장치로 지지하고, 이 저장 탱크 내의 유수 혼합액의 액면에 추종하도록 흡인구를 상시 부상시키면서 흡인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04-30584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61894호 공보
유수 혼합액의 액면으로 부상하는 기름을 흡인하는 경우, 흡인구가 액면으로부터 너무 떨어지면, 수분을 대량으로 흡인하고, 또 액면에 너무 가까워지면 공기를 대량으로 흡인해 버려, 어느 경우도 부상유의 회수 효율이 나빠진다. 즉, 기름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는 흡인구를 액면하의 최적인 위치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플로트 장치만에 의한 액면추종에서는 부상유의 성질이나 두께, 또 유수의 온도에 의해 흡입구의 액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는, 부상유의 성질이나 두께나 유수의 온도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흡인구를 액면하의 최적인 위치로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흡인구를 액면하의 최적 위치에 무조정으로 보유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의해,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줄인 부상유를 빠르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부상유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구성은 각각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성 1>
일단부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흡입구측 단부로 되고, 또한 타단부에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용 호스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와, 상기 흡입 파이프에 고정되고, 또한 외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유 부재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흡입구측 단부를 저장 탱크액중의 액면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 본체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흡입구측 단부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고, 또한 상단 개구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와, 상기 저장 탱크 내의 유수 혼합액을 유입시켜 기름과 물로 분리하는 분리조와, 상기 유수 혼합액을 저장 탱크로부터 빨아 올려 상기 분리조에 보내어 넣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빨아 올린 유수 혼합액중의 공기를 액중으로부터 제거하는 탈기(脫氣)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2>
구성 1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보유 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조정 파이프의 외측 단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조정 파이프의 낙하를 방지하는 띠모양의 스토퍼(stoppe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3>
구성 1 또는 2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의, 상기 조정 파이프의 하측 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흡입 파이프와 상기 조정 파이프의 사이의 간극을 막지 않고서 상기 조정 파이프를 재치시키는 좌판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4>
구성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로서,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상단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5>
상하로 기립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단에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된 흡입용 호스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와, 상기 흡입 파이프에 고정되고, 또한 외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유 부재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를 액중의 액면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 본체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해 적당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받이 접시와, 상기 받이 접시의 외주 상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고, 또한 하단 개구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6>
구성 5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 접시는, 액중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주연(周緣) 테두리가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7>
구성 5 또는 6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 접시의 저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조정 파이프의 낙하를 방지하는 평판 모양의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8>
구성 5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로서, 상기 받이 접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이다.
<구성 9>
구성 1 또는 구성 8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저장 탱크 내의 유수 혼합액을 유입시켜 비중차에 의해 부상유와 기름으로 분리하는 상기 분리조와, 일단부가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의 흡입 파이프에 연결된 흡입용 호스와, 상기 분리조의 상부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설된 상단이 폐색되고, 또한 하단이 개구된 리드(lead)관과, 일단부가 상기 펌프의 송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연결된 유입관과,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에, 상기 유수 혼합액에 포함된, 상기 리드관 내의 상부로 부상하는 공기를,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0>
구성 1 또는 9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관은 상기 분리조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분리조의 외측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설되고, 상기 리드관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합된 연결관에 하방으로부터 접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리드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리드관의 연결부에 대향한 상기 리드관의 대향 벽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판이 배설되고, 상기 상방으로 경사진 판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는 공극이 있고, 상기 리드관의, 상기 연결관과의 연결부의 상방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 상기 리드관의 하부는 선단부를 향해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1>
구성 1 또는 구성 9 또는 구성 10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 내에 설치된, 상면이 개구하고, 상기 리드관측의 측면의 상단부가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리드관측으로부터 본 좌우의 측면이 분리조의 내벽에 접합된, 상기 분리조에 부상하는 부상유를 상기 리드관측 단면으로부터 유입시키는 상자체(箱子體) A와, 상면이 개구하고,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리드관측의 측면이 상기 상자체 A의 리드관에 대한 반대측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측면이 상기 분리조의 내벽에 접합된 상자체 B와, 상기 상자체 B의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고 직립하여 접합되고, 상방 외면에 나사 홈(groove)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분리조에서 분리된 물이 유입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중공 파이프의 상방 외면의 나사 홈에 틀어박음이 가능한, 내측에 나사 가공을 한 액면 조정관과, 상기 상자체 A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자체 A 내의 부상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A 내의 부상유를 회수 용기로 유도하는 배출용 호스와, 상기 상자체 B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 파이프로부터 유입한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물을 임의의 개소로 유도하는 유출용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2>
구성 1 또는 구성 9 내지 11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를 분리조 A로 하고, 상기 분리조 A의 배출구 및 유출구의 하단면보다 하방에 분리조 B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조 B의 상방에는 상기 상자체 A의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가 배설(配設)되고,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된 부상유를 상기 분리조 B에 유입시킨다. 분리조 B에는 상면이 개구하고, 상기 배출 파이프측의 측면의 상단부가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배출 파이프측으로부터 본 좌우의 측면이 상기 분리조 B의 내벽에 접합된, 상기 분리조 B로 부상하는 부상유를 상기 배출 파이프측 측면에서 유입시키는 상자체 C와, 상면이 개구하고,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상기 배출 파이프측의 측면이 상기 상자체 C의 상기 배출 파이프에 대한 반대측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측면이 상기 분리조 B의 내벽에 접합된 상자체 D와, 상기 상자체 D의 상방에 구성되고, 상자체 B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상자체 D에 유입시키는 유출 파이프와, 상기 상자체 D의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고 직립하여 접합되고, 상방 외면에 나사 홈(groove)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분리조 B에서 분리된 물이 유입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중공 파이프의 상방 외면의 나사 홈에 틀어박음이 가능한, 내측에 나사 가공을 한 액면 조정관과, 상기 상자체 C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자체 C 내의 부상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C 내의 부상유를 회수 용기로 유도하는 배출용 호스와, 상기 상자체 D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 파이프로부터 유입한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물을 임의의 개소로 유도하는 유출용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3>
구성 10 내지 12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 A의 상자체 A의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의 배출구 근방의 상면에는 배기용의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 A의 내벽에의 고정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부착하고 떼어낼 수가 있고, 또한 부착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부착 위치를 복수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분리조 A의 하방에 구비된 상기 분리조 B는 상기 분리조 B의 상기 액면 조정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방의 공간을 비운 위치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4>
구성 1 또는 구성 9 내지 1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서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를 사용하고, 그 기동, 정지의 작동을 에어밸브(air valve)의 스위치로 행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5>
구성 1 또는 구성 9 내지 1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와 상기 펌프와 상기 회수 용기를, 캐스터 부착의 가대에 탑재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이다.
<구성 1의 효과>
흡입 파이프의 흡입구측 단부에 조정 파이프를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배설함으로써, 조정 파이프의 흡입구를 액면에 대해서 상시 적정한 위치에 보유하기 때문에 부상유의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회수된 부상유에 포함되는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성 2의 효과>
스토퍼(stopper)에 의해 조정 파이프의 이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3의 효과>
펌프 가동 직후의 조정 파이프의 적정 위치까지의 이동을 순조롭게 행하게 한다.
<구성 4의 효과>
조정 파이프를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하고 있음으로써, 액의 흡입시에 조정 파이프의 흡입구를 액면에 대해서 보다 적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구성 5의 효과>
구성 1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의 개구가 하향에 설치되므로 액면 높이가 낮아도 액의 흡입이 가능하다.
<구성 6의 효과>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가 받이 접시 및 조정 파이프의 각 주연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음으로써, 유수 혼합액을 흡인할 때에 액이 받이 접시 및 조정 파이프의 각 주연 테두리 상선(上線)을 돌아 들어가 흐르기 때문에 액면 근방의 부상유부터 먼저 흡입되게 되어 부상유의 추출 효율이 좋다.
<구성 7의 효과>
스토퍼(stopper)에 의해 조정 파이프의 이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8의 효과>
조정 파이프를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하고 있음으로써, 액의 흡입시에 조정 파이프의 흡입구를 액면에 대해서 보다 적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구성 9의 효과>
유수 혼합액을 리드관에 의해 분리조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유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조 내에 축적되는 유수 혼합액에는 맥동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고, 상하 진동의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리된 기름과 물이 상하 진동에 의해 재차 서로 섞인다고 하는 현상이 생기는 일이 없고, 부상유의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회수된 부상유에 포함되는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유입된 유수 혼합액에 포함된 공기가 리드관으로부터 개구부를 거쳐 상부 공간에 배출되고, 분리조에는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조의 액면에 기포가 상승해 오는 것이 거의 없어지고, 분리된 기름과 물이 기포의 존재에 의해 재차 서로 섞인다고 하는 현상이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회수된 부상유에 있어서의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성 10의 효과>
유입관, 리드관에 수직으로 연결관을 접합함으로써, 유수 혼합액의 이동 속도를 내릴 수가 있어 유수 혼합액의 분리조로의 유입 속도가 낮아지고, 또한 액면의 좁은 범위로, 온화하게 유입되고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어 회수된 부상유에 있어서의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성 11의 효과>
액면 조정관에 의해, 상기 상자체 A에의 유분의 유입량을 조정할 수가 있어 유수 분리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운전을 위한 동력이 펌프만이고, 처리를 위한 에너지량이 적고 좋다. 분리를 기계적으로 행하고 약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한 물은 그대로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구성 12의 효과>
분리조를 2개 구비하여 유수 분리를 2회 행함으로써, 1개의 분리조로 1회만 행하는 유수 분리에서는 효과적인 분리가 곤란하고 기포를 대량으로 포함하는 유수 혼합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기름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성 13의 효과>
리드관의 설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원유 종류에 의한 유막의 두께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유수 분리를 행함과 아울러, 1개째의 분리조에서 발생한 공기를 2개째의 분리조에 유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유수 분리를 행할 수가 있다.
<구성 14의 효과>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폭발 방지가 필요한 장소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음도 적다.
<구성 15의 효과>
좁은 장소에서도 간단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융통성이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보유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이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스토퍼(stopper)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부상유 회수 장치에 사용한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이 실시예 1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이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보유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보유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을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스토퍼(stopper)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평면도이고, (b) 정면도이다.
도 13은 이 실시예 3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4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5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 실시예 5의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6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1은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이 실시예 6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마다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이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보유 부재(22)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아래로부터 올려본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이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스토퍼(32)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듯이,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는, 흡입 파이프(18)와, 흡입 파이프(18)에 고정되는 보유 부재(22)와, 흡입 파이프(18)의 3개의 돌출부(20)에 각각 부착되는 3개의 플로트 본체(26)와, 흡입 파이프(18)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는 조정 파이프(30)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 파이프(18)는, 도 2에 나타내듯이, 거의 둥그스르함을 띠지 않고 직각으로 굽힌 L형을 이루고, 일단부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흡입구측 단부(18a)로 되고, 또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의 가동시에는 타단부에 흡입용 호스(16)가 연결되어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된다.
L형을 이루는 흡입 파이프(18)를 사용함으로써, 매끄럽게 크게 굽힌 만곡형의 흡입 파이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액면(25)이 낮은 유수 혼합액을 흡인하는데 적합하다.
보유 부재(22)는, 도 3에 나타나듯이, 흡입 파이프(18)를 삽입하기 위한 중심 구멍(2la)이 설치되고, 또 중심 구멍(2l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어 내는 3개의 돌출부(20)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돌출부(20)에는 3개의 구면(球面) 모양의 플로트 본체(26)가 각각 보유되어 있다. 부호 21b는 후술하는 스토퍼(3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 부호 21c는 플로트 본체(26)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보유 부재(22)의 중심부의 하면에 통 모양 홀더(holder)(23)의 일단면이 고착되어 있다. 보유 부재(22)의 중심 구멍(2la)과 통 모양 홀더(23)의 관통공은 합치하고 있다. 흡입 파이프(18)는, 보유 부재(22)의 중심 구멍(21a)과 통 모양 홀더(23)에 삽입되고, 통 모양 홀더(23)의 측면에 천설(穿設)된 부착 구멍(23a)에 틀어박혀진 나비 볼트(butterfly bolt)(24)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부재(22)에 고정된다.
플로트(float) 본체(26)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흡입 파이프(18)의 돌출부(20)에 부착되어 흡입 파이프(18)의 흡입구측 단부(18a)를,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의 가동시에, 후술의 저장 탱크(44) 내의 유수 혼합액(46) 중에 있어서 액면(25)의 근방에 추종시키는 것이다. 플로트 본체(26)는 기존의 플로트가 사용되지만, 구면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정 파이프(30)는, 그 내경이 흡입 파이프(18)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흡입구측 단부(18a)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입 파이프(18)의 외경이 12㎜에 대해서 조정 파이프(30)의 내경이 12.7㎜로 되어 있다.
조정 파이프(30)를 흡입 파이프(18)의 단부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나듯이, 조정 파이프(30)와 흡입 파이프(18)의 사이에 간극(34)이 형성된다. 간극(34)은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의 가동시에 액의 유통로가 된다.
조정 파이프(30)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菅體)이다. 비중이 1보다 큰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중이 1.39~1.44의 폴리펜코 PET(상품명), 또 비중이 1.32~1.51의 폴리펜코 PEEK(상품명)가 있다. 또한, 「폴리펜코」는 등록상표이다.
조정 파이프(30)를,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하고 있음으로써, 플로트 장치(10)의 가동시에 조정 파이프(30)의 상단 개구 연부(緣部)(28)를 액면(25)에 대해서 보다 적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조정 파이프(30)의 상방에는 조정 파이프(30)의 탈락을 방지하는 띠모양의 스토퍼(32)가 배설되어 있다. 스토퍼(32)는 도 4에 나타나듯이 양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일단부에, 스토퍼(32)를 보유 부재(2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32a)이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2)는, 일단부가 보유 부재(22)의 부착 구멍(21b)에 삽입된 부착 나사(33)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조정 파이프(30)의 외측 단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32)는, 조정 파이프(30)가 흡입 파이프(18)로부터 탈락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유 부재(22)의, 조정 파이프(30)의 하측 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좌판(36)이 배설되어 있다. 좌판(36)은,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를 가동하고 있지 않을 때, 즉,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을 때, 흡입 파이프(18)와 조정 파이프(30)의 사이의 간극(34)(도 6)을 막지 않게 조정 파이프(30)를 재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좌판(36)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사 와셔가 사용된다. 좌판(36)이 있음으로써, 도 2에 나타내듯이 조정 파이프(30)의 하단면을 보유 부재(22)의 상면으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의 가동시의 펌프의 구동 직후에 조정 파이프(30)를 적정 위치까지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도 5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를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42)에 사용한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42)는, 공작기계 냉각제 탱크나 세정액 탱크 등의 저장 탱크(44) 내의 유수 혼합액(46)을 기름과 물로 분리하는 분리조(48)와, 유수 혼합액(46)을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와 흡입용 호스(16)를 사용하여 저장 탱크(44)로부터 빨아 올려 분리조(48)에 보내어 넣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분리조(48)에서 분리된 부상유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52)를 구비하고 있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는 흡입 파이프(18)에, 펌프에 연통하는 흡입용 호스(16)를 연결하여 저장 탱크(44) 내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는, 분리조(48)를 탑재하고 있는 가대(架臺)(55)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고, 그 흡입구에 흡입용 호스(16)가 연결되고, 토출구에 흡입용 호스(16)로부터 송출된 액을 분리조(48)에 송출하기 위한 유입관(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8)는, 3개의 구면 모양의 플로트 본체(26)에 보유되어 저장 탱크(44)의 액면으로 부상하고, 항상 저장 탱크(44) 내의 최상액(부상유)을 흡인할 수 있도록 흡입구측 단부(18a)가 저장 탱크(44) 내의 액면 근방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도 6은 실시예 1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를 저장 탱크(44) 내에 설치한 후에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42)의 펌프를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작동 설명도이고, (a)는 펌프의 구동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b)는 그 후의 경과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c)는 펌프에 의한 흡인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d)는 조정 파이프(30)의 내주면에 스파이럴(spiral) 홈을 설치한 경우의 작동 설명도이다.
펌프의 구동을 개시하면, 도 6(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순간적으로 도 6(b)에 나타낸 상태를 거쳐 도 6(c)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즉, 도 6(a)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조정 파이프(30)는 좌판(36)에 의해 그 하단면이 보유 부재(22)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펌프 구동에 의한 흡입 파이프(18)로부터의 흡인력이 생기면, 당초는, 도 6(a)에 나타내듯이, 저장 탱크(44) 내의 유수 혼합액(46)이 조정 파이프(30)의 상단면으로부터 흡입 파이프(18) 내에 흡입된다. 동시에, 조정 파이프(30)의 하단면에서 조정 파이프(30)와 흡입 파이프(18)의 사이의 간극(34)을 향해 흘러 화살표(56)로 나타내는 액류(液流)가 일어난다. 이 액류는 화살표(57)로 나타내듯이 간극(34) 내를 올라가 흘려 흡입 파이프(18) 내에 흡입된다.
유수 혼합액(46)이 간극(34)을 올라가 흐르고 있을 때, 유수 혼합액(46)의 점성 등에 의해 유수 혼합액(46) 내의 조정 파이프(30)를 밀어 올려 도 6(c)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정 파이프(30)의 상단면이 액면(25)의 근방에 위치하고, 유수 혼합액(46)의 부상유를 효과적으로 흡인한다.
조정 파이프(30)는, 간극(34) 내 및 화살표(59)로 나타내는 조정 파이프(30)의 외주면을 따라 상류(上流)하는 유수 혼합액(46)의 점성에 의해 밀어 올려지지만, 펌프의 가동중에 조정 파이프(30)의 상단면이 액면(25)보다 돌출하는 일이 없고, 액면(25) 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간극(34) 내 및 조정 파이프(30)의 외주면을 따라 상류(上流)하는 유수 혼합액(46)의 점성과 조정 파이프(30)에 가해지는 부력 등에 의한 밀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조정 파이프(30)의 상단면을 화살표(58)로 나타내듯이 흐르는 유수 혼합액(46)의 중량이나 비중이 1보다 큰 조정 파이프(30)의 중량 등에 의한 눌러 내리는 힘이 밸런스(balance)를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한다.
또, 도 6(d)에 나타내듯이, 조정 파이프(30)의 내주면에 스파이럴 홈(84)을 설치한 경우, 간극(34)을 올라가 흐르는 유수 혼합액(46)에 의해 조정 파이프(30)에 회전력이 부여된다. 조정 파이프(30)가 회전함으로써, 조정 파이프(30)의 상단면으로부터 흡입 파이프(18) 내에 흐르는 액에 와류가 생겨 유수 혼합액(46)의 배출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흡입 파이프(18)의 흡입구측 단부(18a)에 조정 파이프(30)를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배설함으로써, 유수 혼합액(46)의 성분의 경시 변화나 액면(25) 근방에 있어서의 부상유의 깊이의 경시 변화 등에 기초하는 플로트 본체(26)에 대한 부력의 변동이 생겨도, 조정 파이프(30)의 흡입구가 액면(25)에 대해서 상시 자동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보유된다. 이 때문에, 부상유의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회수된 부상유에 포함되는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예 2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2)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이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보유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에는 도 1~도 4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2)는, 플로트 본체(26)를 2개 사용한 예이고, 보유 부재(22)의 돌출부(20)를 2개 설치한 외에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2)는, 전체 구성이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와 비교하여 컴팩트해서, 개구면이 좁은 저장 탱크(44)로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보유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을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이 실시예 3을 구성하는 스토퍼(stopper)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평면도이고, (b) 정면도이다. 이들 도에는 도 1~도 4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는, 흡입 파이프(18)의 흡입구측 단부가 액면(25)에 대해서 하향에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기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와 기본적으로 상위하다.
즉,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는, 상하로 기립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단에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된 흡입용 호스(16)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18)와, 흡입 파이프(18)에 후입(候入) 고정되고, 또한 외방으로 뻗는 돌출부(20)를 가지는 보유 부재(22)와, 흡입 파이프(18)의 돌출부(20)에 부착되어 흡입 파이프(18)의 하단부를 액중의 액면(25)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 본체(26)와, 흡입 파이프(18)의 하단부에 대해 적당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받이 접시(38)와, 받이 접시(38)의 외주 상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문안 후입되고, 또한 하단 개구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의 중심부의 상면에 통 모양 홀더(23)의 일단면이 고착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8)는, 보유 부재(22)의 중심 구멍과 통 모양 홀더(23)에 삽입되고, 통 모양 홀더(23)의 측면에 천설(穿設)된 부착 구멍(23a)에 틀어박혀진 나비 볼트(butterfly bolt)(24)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부재(22)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8)에는 받이 접시(38)를 보유하기 위한 통 모양 홀더(80)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통 모양 홀더(80)는 그 측면에 천설(穿設)된 부착 구멍(66)에 틀어박혀진 나비 볼트(butterfly bolt)(24)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흡입 파이프(18)에 고정된다.
받이 접시(38)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통 모양 홀더(80)에 2개의 연결 부재(38)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받이 접시(38)의 저면 중심부에는 너트(68)가 배설되어 있다. 받이 접시(38)는, 바닥을 갖는 통모양으로 성형된 것으로, 도 13에 나타내듯이, 흡입 파이프(18)의 하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주연(周緣) 테두리가 흡입 파이프(18)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받이 접시(38)의 저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조정 파이프(64)의 탈락을 방지하는 평원판 모양의 스토퍼(40)가 배설되어 있다. 스토퍼(40)의 상면의 중심부에, 도 12에 나타나듯이 볼트(70)가 고착되어 있다. 볼트(70)를 받이 접시(38)의 저면에 배설한 너트(68)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스토퍼(40)가 받이 접시(38)의 저면에 연결되어 있다.
조정 파이프(64)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로서, 받이 접시(38)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 3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3은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를 저장 탱크(44) 내에 설치한 후에 부상유 회수 장치(42)의 펌프를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펌프의 구동을 개시하면, 흡입 파이프(18)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해, 당초는 조정 파이프(64)가 평원판 모양의 스토퍼(40)에 재치되어 있으므로, 저장 탱크(44) 내의 유수 혼합액(46)이 받이 접시(38)의 상단면으로부터 흡입 파이프(18) 내에 흡입된다. 동시에, 유수 혼합액(46)이 조정 파이프(64)와 받이 접시(38)의 사이의 간극(34)으로부터도 화살표(72, 74)로 나타내듯이 올라가 흘려 흡입 파이프(18) 내에 흡입된다.
유수 혼합액(46)은 간극(34)을 올라가 흐르고 있을 때 점성 등에 의해 유수 혼합액(46) 내의 조정 파이프(64)를 밀어 올려 도 13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정 파이프(64)의 상단면이 액면(25)의 근방에 위치하고, 유수 혼합액(46)의 부상유(60)를 효과적으로 흡인한다.
조정 파이프(64)는, 간극(34)을 흐르는 유수 혼합액(46)의 점성에 의해 밀어 올려지지만, 상단면이 액면(25)보다 부상하는 일이 없고, 상시, 액면(2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간극(34)을 올라가 흐르는 유수 혼합액(46)의 점성에 의한 밀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조정 파이프(64)의 상단면을 화살표(76)로 나타내듯이 흐르는 유수 혼합액(46)의 중량이나 비중이 1보다 큰 조정 파이프(64)의 중량 등이 밸런스(balance)를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한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는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흡입 파이프(18)의 하단부의 개구가 하향에 설치되므로 액면(25)의 높이가 낮아도 액의 흡입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14는 실시예 4의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4)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14에는 도 1~도 4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4)는, 플로트 본체(26)를 2개 사용한 예이고, 보유 부재(22)의 돌출부(20)를 2개 설치한 외에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4)는, 전체 구성이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3)와 비교하여 컴팩트해서, 개구면이 좁은 저장 탱크(44)로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실시예 5>
도 15는 실시예 5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이 실시예의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듯이 부상유 회수 장치(42)는 공작기계 냉각제 탱크나 세정액 탱크 등의 저장 탱크(30) 내의 유수 혼합액(46)을 기름과 물로 분리하는 분리조(48)와, 유수 혼합액을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10)와 흡입용 호스(16)를 사용하여 저장 탱크(30)로부터 빨아 올려 분리조(48)에 보내어 넣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분리조(48)에서 분리된 부상유를 배출용 호스(50)를 통해 회수하는 회수 용기(52)를 구비하고 있다. 회수된 기름은 폐수로서 적당하게 처분된다. 기름을 제거한 나머지의 액(물)은 분리조로부터 저장 탱크에 되돌려져 재이용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리드관(93)은 분리조(48)의 상부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분리조의 내벽에 고정된다. 연결관(92)은, 리드관(93)의 측면으로부터 분리조(48)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접합된다. 유입관(91)은 연결관(92)의 하면에 접합되고, 유입용 호스(90)를 통해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한다. 유입관(91), 연결관(92), 리드관(93)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또, 리드관(93)은 분리조(48)에의 부착 위치를 상하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유입용 호스(90)를 통해 유입관(91)에 유입된 유수 혼합액은, 연결관(92)의 대항면을 통해, 속도를 줄여 리드관(93)으로 유도된다. 리드관(93) 상부에 탈기(脫氣)를 위한 개구부(94)를 설치하고 있어 유수 혼합액중의 공기는 상부의 개구부(94)로부터 유출된다. 리드관(93) 내에, 연결관(92)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판이 배설되고, 판의 선단과 연결관의 내벽에는 간극이 있다. 이 판에 의해 유수 혼합액이 개구부(94)로부터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리드관(93)의 하방 선단은, 하방를 향해 완만하게 단면적이 작아지고 있고, 유수 혼합액을 좁은 범위로 모아서 분리조(48)에 유출시킨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상자체 A(97)와 상자체 B(98)는 분리조(48)의 상부에 수납되어 있다.
리드관(93)으로부터 분리조(48)로 유수 혼합액은 유입한다. 비중의 차이에 의해 유분과 수분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유분이 액면으로 부상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수분은 유분과 분리된 후, 상자체 B의 유출구를 통해 분리조(48)의 외부로 유출한다.
상자체 A(97)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다. 분리조(48)의 액면으로 부상한 유분이, 도의 화살표(125)와 같이 상자체 A(97)에 유입한다. 상자체 A(97)에 저장한 유분은, 상자체 A(97)의 측면에 배설한 배유구(103)로부터 배출용 호스(50)를 통해 회수 용기(52)로 유도된다.
상자체 B(98)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다. 상자체 B(98)는 상자체 A(97)에 인접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상자체 B(98)의 저면을 상하로 직립하여 관통하고, 저면에 접합된 상자체 B 중공 파이프(99)를 통해, 분리조(48)로부터 상자체 B(98)로 수분이 유입한다. 상자체 A(97)와 반대측의 측면에는 환수구(環水口)(101)가 설치되고, 환수용(環水用) 호스(102)를 통해, 수분이 저장 탱크로 되돌아간다. 상자체 B 중공 파이프(99)의 상부에는 수나사가, 액면 조정관(100)측에는 암나사가 각각 잘려져 있고, 액면 조정관(100)을 틀어박음으로써, 간단하게 상자체 B(98)의 액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분리조(48)와 상자체 B(98)는, 상자체 B 중공 파이프(99)와 액면 조정관(100)을 통해 하나의 유체 공간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분리조(48)의 액면과 상자체 B(98)의 액면의 높이는 항상 동일하게 되도록 변화한다. 상자체 B(98)의 액면 조정관(100)으로 상자체 B(98)의 액면 조정을 함으로써, 분리조(48)의 액면을 조정할 수가 있다. 유분은, 분리조(48)의 액면으로 부상하고, 상자체 A(97)와 접하는 측면벽 너머의 상자체 A(97)에 유입한다. 기름의 종류의 차이에 의해 유막의 두께는 다르므로, 측면벽의 상단에 비교하여 액면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유막의 두께에 따른 최적인 액면 높이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분리조(48)의 액면이 안정되지 않고, 물결과 같이 흔들리고 있으면, 아무리 액면을 조정해도 부상하고 있는 유분뿐만이 아니라 그 아래의 수분도 상자체 A(97)에 유입하기 쉽다.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유수 혼합액에는 공기가 포함된다. 또, 유수 혼합액의 유입 속도가 빠르면 유수 혼합액은, 폭포와 같이 분리조(48)에 흘러들어 버려, 기포가 발생함과 아울러, 액면이 안정되지 않는다. 이들의 대책을 위해서, 연결관 내에서 유수 혼합액의 속도를 감쇠시켜, 더욱 개구부(94)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탈기 기구를 설치했다. 이에 의해 리드관(93)으로부터 분리조(48)로 유수 혼합액이 온화하게 유입하여 액면을 물결칠 수 없게 하고 있다.
<실시예 6>
도 18은 실시예 6의 부상유 회수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21은 이 실시예 6의 부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2는 이 실시예 6 부상유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실시예 5에 있어서, 유분이나 액의 성질에 따라서는, 상자체 A(97)에 저장되는 유분의 상부에 다량의 거품이 발생한다. 거품은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고, 시간이 지나 거품이 사라지면 수분이 증가한다. 실시예 5에 있어서 설명한 액면 조정이나 액면의 물결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대응할 수 없다. 거품 대책을 행한 부상유 회수 장치를 실시예 6에 있어서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거품 대책을 행한 부상유 회수 장치가 통상의 부상유 회수 장치와 다른 점은 분리조를 2개 준비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도 18~도 21이 나타내듯이, 유수 혼합액이 순조롭게 흐르도록, 분리조 A(104)는 분리조 B(11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적어도 분리조 A 배유구(112)의 하단이 분리조 B(114)의 상단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분리조 A와 분리조 B의 수평 배치는, 분리조 B 액면 조정관(119)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배려된다.
분리조 A(104)에서 통상의 유수 분리를 행한다. 분리조 A의 상자체 A(106)에 저장되는 유분의 상면에, 다량의 거품이 떠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의 거품은 분리조 A 배유구(112)로부터 분리조 A 배유관(113)에 유입되고, 분리조 A 배유관(113) 내를 흘러 분리조 B(114)에 유입된다. 분리조 B(114)에서 재차 유수 분리를 한다. 분리조 B 상자체 C(116)에 거품이 유입하기까지, 이러한 시간이 추가되기 때문에, 거품이 튀어 수분으로 되돌아가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분리조 B 상자체 A(106)에는 거품은 거의 유입되지 않고 유분만이 저장되어 최종적으로 유분만이 회수되게 된다
제1 분리조 배유관(113)은 지금까지의 배출용 호스와는 다르고 배관의 도중의 상부에 분리조 A 배유관 개구부(124)를 설치한다. 개구함으로써 거품을 사라지기 쉽게 한다. 분리조 A 배유관 개구부(124)를 상부로 하는 것은, 유체가 넘쳐흘러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가공액이나 세정액 등의 유수 혼합액의 액면으로 부상하는 기름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와 탈기(脫氣) 장치와 분리조와 펌프를 구비함으로써, 물의 혼입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킨 기름을 회수할 수 있다.
10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실시예 1)
12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실시예 2)
13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실시예 3)
14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실시예 4)
16 흡입용 호스 18 흡입 파이프
18a 흡입구측 단부
20 돌출부
21a 중심 구멍 21b 부착 구멍
21c 부착 구멍
22 보유 부재 23 통 모양 홀더
24 나비 볼트(butterfly bolt)
25 액면 26 플로트 본체
28 상단 개구 연부(緣部)
30 조정 파이프 32 띠모양의 스토퍼
32a 부착 구멍 33 부착 나사
34 간극 36 좌판
38 받이 접시 39 연결 부재
40 평판 모양의 스토퍼
42 부상유 회수 장치
44 저장 탱크 46 유수 혼합액
48 분리조 50 배출용 호스
52 회수 용기 53 캐스터
54 유출용 호스 55 가대
56 화살표 57 화살표
58 화살표
60 부상유 62 물
64 조정 파이프 66 부착 구멍
68 너트(nut) 70 볼트(bolt)
72 화살표 74 화살표
76 화살표
80 통 모양 홀더
82 나비 볼트(butterfly bolt)
84 스파이럴 홈(spiral groove)
90 유입용 호스 91 유입관
92 안내관(guide pipe) 93 리드관(lead pipe)
94 개구부 95 방해판
97 상자체 A 98 상자체 B
99 상자체 B 중공 파이프
100 액면 조정관 101 환수구
102 환수용 호스 103 배유구
104 분리조 A
106 분리조 A 상자체 A 107 분리조 A 상자체 B
108 분리조 A 상자체 B 중공 파이프
109 분리조 A 액면 조정관
110 분리조 A 환수구
111 분리조 A 환수용 호스
112 분리조 A 배유구 113 분리조 A 배유관
114 분리조 B
116 분리조 B 상자체 C 117 분리조 B 상자체 D
118 분리조 B 상자체 D 중공 파이프
119 분리조 B 액면 조정관
120 분리조 B 환수구 121 분리조 B 환수용 호스
122 분리조 B 배유구
123 분리조 B 배출용 호스
124 분리조 A 배유관 개구부
125 화살표

Claims (13)

  1. 일단부가 상방으로 개구하는 흡입구측 단부로 되고, 또한 타단부에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용 호스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와, 상기 흡입 파이프에 고정되고, 또한 외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유 부재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흡입구측 단부를 액중의 액면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 본체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흡입구측 단부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고, 또한 상단 개구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를 구비한 부상유 회수 장치.
  2. 제1항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보유 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조정 파이프의 외측 단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조정 파이프의 낙하를 방지하는 띠모양의 스토퍼(stoppe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의, 상기 조정 파이프의 하측 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흡입 파이프와 상기 조정 파이프의 사이의 간극을 막지 않고서 상기 조정 파이프를 재치시키는 좌판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로서, 상기 흡입단 파이프의 상기 상단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5. 상하로 기립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단에 펌프의 흡입구에 연통된 흡입용 호스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와, 상기 흡입 파이프에 고정되고, 또한 외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유 부재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를 액중의 액면 근방에 추종시키는 플로트 본체와,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해 적당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받이 접시와, 상기 받이 접시의 외주 상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삽입되고, 또한 하단 연부(緣部)가 흡입구로 되는 조정 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접시는, 액중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주연(周緣) 테두리가 상기 흡입 파이프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접시의 저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조정 파이프의 낙하를 방지하는 평판 모양의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파이프는, 비중이 1보다 큰 수지에 의해 성형된 관체로서, 상기 받이 접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저장 탱크 내의 유수 혼합액을 유입시켜 비중차에 의해 부상유와 기름으로 분리하는 분리조와, 일단부가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의 흡입 파이프에 연결된 흡입용 호스와, 상기 분리조의 상부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설된, 상단이 폐색되고, 또한 하단이 개구된 리드(lead)관과, 일단부가 상기 펌프의 송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연결된 유입관과,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수 혼합액에 포함된, 상기 리드관 내의 상부로 부상하는 공기를, 상기 분리조의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관은 상기 분리조의 상부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설되고, 또한 상기 분리조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분리조의 외측에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설되고, 상기 리드관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합된 연결관에 하방으로부터 접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리드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과 상기 리드관의 연결부에 대향한 상기 리드관의 대향 벽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판이 배설되고, 상기 상방으로 경사진 판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는 공극이 있고, 상기 리드관의, 상기 연결관과의 연결부의 상방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또 상기 리드관의 하부는 선단부를 향해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11. 제1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 내에 설치된, 상면이 개구하고, 상기 리드관측의 측면의 상단부가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리드관측으로부터 본 좌우의 측면이 분리조의 내벽에 접합된, 상기 분리조에 부상하는 부상유를 상기 리드관측 단면으로부터 유입시키는 상자체(箱子體) A와, 상면이 개구하고,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리드관측의 측면이 상기 상자체 A의 리드관에 대한 반대측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측면이 상기 분리조의 내벽에 접합된 상자체 B와, 상기 상자체 B의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고 직립하여 접합되고, 상방 외면에 나사 홈(groove)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분리조에서 분리된 물이 유입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중공 파이프의 상방 외면의 나사 홈에 틀어박음이 가능한, 내측에 나사 가공을 한 액면 조정관과, 상기 상자체 A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자체 A 내의 부상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A 내의 부상유를 회수 용기로 유도하는 배출용 호스와, 상기 상자체 B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 파이프로부터 유입한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물을 임의의 개소로 유도하는 유출용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12. 제1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를 분리조 A로 하고, 상기 분리조 A의 배출구 및 유출구의 하단면보다 하방에 분리조 B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조 B의 상방에는 상기 상자체 A의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를 배설하고, 배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된 부상유를 상기 분리조 B에 유입시키는, 상기 분리조 B는 상면이 개구하고, 상기 배출 파이프측의 측면의 상단부가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배출 파이프측으로부터 본 좌우의 측면이 상기 분리조 B의 내벽에 접합된, 상기 분리조 B로 부상하는 부상유를 상기 배출 파이프측 측면에서 유입시키는 상자체 C와, 상면이 개구하고, 상단부는 상기 분리조 B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있고, 상기 배출 파이프측의 측면이 상기 상자체 C의 상기 배출 파이프에 대한 반대측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측면이 상기 분리조 B의 내벽에 접합된 상자체 D와, 상기 상자체 D의 상방에 구성되고, 상자체 B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상자체 D에 유입시키는 유출 파이프와, 상기 상자체 D의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고 직립하여 접합되고, 상방 외면에 나사 홈(groove) 가공이 이루어져 있는 상기 분리조 B에서 분리된 물이 유입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중공 파이프의 상방 외면의 나사 홈에 틀어박음이 가능한, 내측에 나사 가공을 한 액면 조정관과, 상기 상자체 C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자체 C 내의 부상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C 내의 부상유를 회수 용기로 유도하는 배출용 호스와, 상기 상자체 D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 파이프로부터 유입한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물을 임의의 개소로 유도하는 유출용 호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부상유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 A의 상자체 A의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 파이프의 배출구 근방의 상면에는 배기용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관의 상기 분리조 A의 내벽에의 고정 방법은, 볼트와 너트에 의한 방법과 같이 용이하게 부착하고 떼어낼 수가 있고, 또한 부착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부착 위치를 복수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분리조 A의 하방에 구비된 상기 분리조 B는 상기 분리조 B의 상기 액면 조정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방의 공간을 비운 위치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KR1020117030430A 2009-07-28 2010-04-26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KR101334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4960 2009-07-28
JPJP-P-2009-174960 2009-07-28
JPJP-P-2009-234188 2009-10-08
JP2009234188 2009-10-08
PCT/JP2010/057369 WO2011013422A1 (ja) 2009-07-28 2010-04-26 液面追従式吸引装置を有する浮上油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802A true KR20120024802A (ko) 2012-03-14
KR101334572B1 KR101334572B1 (ko) 2013-11-28

Family

ID=4352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430A KR101334572B1 (ko) 2009-07-28 2010-04-26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11618B2 (ko)
JP (2) JP4837803B2 (ko)
KR (1) KR101334572B1 (ko)
CN (1) CN102471097B (ko)
WO (1) WO20110134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773A (zh) * 2023-12-11 2024-02-23 江苏思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碳酸二甲酯生产用辅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120073U1 (it) * 2012-09-26 2014-03-27 Metal Art S A S Di Zurlo Emilio E C Sistema per separare olio lubrificante e emulsione acquosa di lavorazione in macchine utensili
CN103894002A (zh) * 2012-12-28 2014-07-02 赫菲斯热处理系统江苏有限公司 一种热处理生产线用油水分离器
CN103894001A (zh) * 2012-12-28 2014-07-02 赫菲斯热处理系统江苏有限公司 一种油水分离器用浮动式吸油装置
CN104274995A (zh) * 2013-07-09 2015-01-14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油水分离装置
JP5575311B1 (ja) * 2013-08-19 2014-08-20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液面浮遊物回収装置
JP5552611B1 (ja) * 2013-09-13 2014-07-16 産機テクノス株式会社 浮上油吸引装置及び分離槽
CN103801453A (zh) * 2013-11-01 2014-05-21 昆山威胜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静电净油机
JP6376814B2 (ja) * 2014-04-07 2018-08-22 産機テクノス株式会社 吸引装置及び異物回収装置
JP6284155B2 (ja) * 2014-07-23 2018-02-28 谷口商会株式会社 浮遊物回収装置及び浮遊物回収方法
CN105983253B (zh) * 2015-03-06 2019-01-22 苏州市和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池底物清除装置
CN105003244A (zh) * 2015-07-11 2015-10-28 徐正伟 石油过滤净油器
CN106442005B (zh) * 2016-09-07 2023-04-25 昆明理工大学 一种分层液体抽取设备
JP6833641B2 (ja) * 2017-07-28 2021-02-24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浮遊物除去装置
CN107817828A (zh) * 2017-12-18 2018-03-20 新龙鼎控股集团有限公司 液位调节装置
CN111450575B (zh) * 2020-04-16 2021-12-14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组合式海洋溢油处理结构及其作业清理方法
JP6912630B1 (ja) * 2020-06-25 2021-08-04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CN112374452B (zh) * 2020-10-30 2024-03-12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排液系统
CN112370827A (zh) * 2020-11-12 2021-02-19 山东省十里香芝麻制品股份有限公司 一种芝麻香油智能加工设备
JP7062121B1 (ja) * 2021-06-30 2022-05-02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液処理装置
CN114538638B (zh) * 2022-01-06 2023-12-22 深圳市国科华翼科技有限公司 一种待清理原油伴生废水混合物处理净化装置及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0545A (en) * 1920-04-13 1923-04-03 Oscar E Hans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JPH0228328B2 (ja) * 1982-02-27 1990-06-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Yokusonoakatorisochi
JPS62183825A (ja) * 1986-02-10 1987-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水浄化装置
JPH0749084B2 (ja) 1986-06-23 1995-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浴槽水浄化装置
JPH0645078B2 (ja) 1986-12-06 1994-06-15 大同特殊鋼株式会社 溶接用ワイヤ
JPS63144894U (ko) * 1987-03-11 1988-09-22
JP3338964B2 (ja) 1991-10-05 2002-10-28 ドムニック ハンター リミテッド オイル/水混合物からオイルを分離する装置
KR940007470Y1 (ko) * 1992-04-07 1994-10-22 김학수 호수 및 저수지의 부유물 수거 장치
JP3144626B2 (ja) 1996-07-18 2001-03-12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油水の分離装置
KR20010019491A (ko) 1999-08-27 2001-03-15 이창우 수면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JP2001252653A (ja) * 2000-03-13 2001-09-18 Aisin Seiki Co Ltd 汚濁水浄化装置
JP2001327965A (ja) * 2000-05-25 2001-11-27 Toshio Mukai 油回収装置および油回収装置用油吸引手段
JP2003225658A (ja) 2002-02-01 2003-08-12 Homei Denshi Kogyo Kk 油脂分処理装置およびその被処理水貯留タンク
JP2004305847A (ja) 2003-04-03 2004-11-04 Rix Corp 浮上油回収装置
JP4214251B2 (ja) 2004-08-27 2009-01-28 株式会社フクハラ 浮上油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2006110452A (ja) * 2004-10-14 2006-04-27 Katsumi Otsuka 油分回収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用いた油分回収方法
CN101104119A (zh) * 2007-07-23 2008-01-1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油水自动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773A (zh) * 2023-12-11 2024-02-23 江苏思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碳酸二甲酯生产用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572B1 (ko) 2013-11-28
JP4837803B2 (ja) 2011-12-14
US20120111779A1 (en) 2012-05-10
WO2011013422A1 (ja) 2011-02-03
US8911618B2 (en) 2014-12-16
JPWO2011013422A1 (ja) 2013-01-07
CN102471097A (zh) 2012-05-23
CN102471097B (zh) 2013-10-16
JP2011255381A (ja)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572B1 (ko) 액면추종식 흡인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부상유 회수 장치
US5601705A (en) Skimmer/coalescher system for removing and separating tramp oil from an aquaeous coolant
JP5247919B1 (ja) 浮上油分離回収装置
US20090194472A1 (en) Floating oil skimmer and gravitational separation system
BRPI0700233B1 (pt) aparelho de separação para separar uma substância de um líquido, e, método para separar uma substância de um líquido
PT1815900E (pt) Aparelho de separação e método
CN102807265A (zh) 浮油(物)吸收装置及方法
JP2014014810A (ja) 浮上油分離回収装置
KR20090058159A (ko) 부유물 흡입기
WO2013150901A1 (ja) 浮上油、浮上スラッジの回収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211813758U (zh) 自动油水分离系统
US3962093A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 of a fluid
US7468128B2 (en) Bilge water barrier and pollution prevention system
JP2006320776A (ja) スカム収集装置
JP5430790B1 (ja)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JP2013136039A (ja) 油分分離システム
JP3153557U (ja) 浮遊物の除去装置
KR200442636Y1 (ko) 포기 장치
KR20140098338A (ko) 오일제거장치
US20070138079A1 (en) Bilge water strainer and pollution prevention system
JP6049426B2 (ja) 排水装置
KR20150125208A (ko) 선박 오수 전처리 시스템
CA2178434C (en) Skimmer/coalescer system for removing and separating tramp oil from an aqueous coolant
US8066872B1 (en) Dual weir vortex ski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