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805A - 조성물 및 적층체 - Google Patents

조성물 및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805A
KR20120022805A KR1020117024914A KR20117024914A KR20120022805A KR 20120022805 A KR20120022805 A KR 20120022805A KR 1020117024914 A KR1020117024914 A KR 1020117024914A KR 20117024914 A KR20117024914 A KR 20117024914A KR 20120022805 A KR20120022805 A KR 2012002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olyfunctional
composition
curab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조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2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8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52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electric discharge, e.g. volto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도막의 표면경도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표면경도보다 저하시키지 않는 도막으로 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재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도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성물 및 적층체{Composition and laminate}
본 발명은, 도막을 형성하는 조성물 및 도막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막에 기능을 부가하면서, 표면경도가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표면경도가 우수한 도막으로서,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도막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화형 수지 중에서도 전리방사선 경화형을 사용한 것이, 특히 표면경도가 우수하여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막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경화형 수지에 금속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산화물 입자를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킨 도막의 경우에는, 금속산화물 입자와 경화형 수지의 계면에 결합을 도모할 수 없기 때문에, 경화형 수지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표면경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것은 곤란하여, 표면경도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결합시키는 분산제로서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54187호 공보(청구항 1)
그러나, 금속산화물 입자, 특히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로의 커플링제에 의한 균일한 표면수식은, 용액의 pH나 온도 조절로 커다란 차이가 생긴다. 그 때문에, 표면수식의 제어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것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표면수식의 제어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표면경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새로운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도막의 표면경도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도막의 표면경도보다 저하시키지 않는 도막으로 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일반적인 커플링제를 배합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막의 표면경도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도막과 비교하여 저하되는 메커니즘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첨가한 일반적인 커플링제는, 금속산화물 입자의 표면을 완전히 수식할 수 없어, 그 결과, 그 입자 표면으로부터 유리(遊離)되고, 그 유리된 커플링제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함으로써 가교밀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얻어지는 도막의 표면경도가 저하된다는 지견(知見)을 얻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검토를 진행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카르보닐기,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지 구조를 다수 갖는 덴드리머 구조, 하이퍼브랜치 구조 또는 스타 폴리머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개수는 3~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300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5~20 중량%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선형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및 폴리티올 모노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적어도 폴리티올 모노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40~80 중량%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산화물 입자는, 동적 산란법에 의한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이 5 nm~15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산화물 입자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10~50 중량%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재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막은 3~20 ㎛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분산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지 않고,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의 아크릴기의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의 상용성(相溶性)도 올라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금속산화물 입자를, 분산정도를 안정시킨 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사이에 경사기능을 부여하여, 경화 수축차를 완화할 수 있어, 금속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표면경도의 저하나 금속산화물 입자 계면으로부터의 열화(劣化)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새로운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도막의 표면경도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도막의 표면경도보다 저하시키지 않는 도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로 함으로써,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새로운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도막의 표면경도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도막의 표면경도보다 저하시키지 않는 도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하는 경우도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적어도 전리방사선(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경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광양이온 중합 가능한 광양이온 중합성 수지나, 광라디칼 중합 가능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 또는 광중합성 모노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불포화성 이중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성 이중결합을 갖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한 것, 예를 들면, 선형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폴리티올 모노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나, 도막의 표면경도나, 경화수축의 조정 등, 각종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메타)아크릴 모노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 모노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폴리티올 모노머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에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폴리티올 모노머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나,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불포화성 이중결합을 갖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폴리티올 모노머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티올 모노머는, 선형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와 비교하여, 도막으로 한 경우에, 그 도막의 경화수축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한 경우의 도막의 표면경도의 저하 방지에 보다 한층 기여할 수 있다. 즉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한 경우의 도막의 표면경도의 저하 방지에 한층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티올 모노머를 포함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티올 모노머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중의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하로 하는 것은, 표면경도의 저하를 일으키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단, 본 발명은, 도막으로 한 경우의 경화수축이 비교적 큰 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나 모노머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사용한 경우에도, 금속산화물 입자를 포함한 경우의 도막의 표면경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티올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고, 선형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만으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구성하는 태양도 당연히 포함한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40~8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막의 표면경도의 저하를 보다 방지할 수 있고, 8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금속산화물에 의한 기능을 도막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외에, 광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촉진제는, 경화시의 공기에 의한 중합장애를 경감시켜 경화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산화물 입자는, 금속산화물 입자를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가 갖는 기능을 도막에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금속산화물 입자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알루미늄, 산화코발트, 산화마그네슘,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세륨, 산화인듐, 티탄산바륨, 클레이 및 이들 나노입자의 격자 중에 이종(異種) 금속을 도핑한 것 및 표면개질을 행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규소는, 입자 표면에 수산기가 많이 존재함으로써, 입자 표면으로, 후술하는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비교적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산화물 입자는, 기상법(氣相法) 또는 액상법(液相法)에 의해 제작한 것, 또한 필요에 따라, 소성하여 미결정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산화물 입자는, 비표면적 직경이 2 nm~1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 입자는, 동적 산란법에 의한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으로, 5 nm~15 ㎛의 범위가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0 nm 이상의 범위이고, 상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의 범위이다.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을 5 nm 이상으로 함으로써, 분산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을 15 ㎛ 이하로 함으로써, 도막표면에 금속산화물 입자가 돌출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어, 외부 헤이즈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00 nm 이하의 금속산화물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액으로 한 경우에, 금속산화물 입자가 침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액의 점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어져, 비드밀 분산의 경우에, 비드와 분산액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이 비교적 작은 100 nm 이하의 금속산화물 입자를 사용하여,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의 굴절률차를 조정함으로써, 내부 헤이즈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이 작은 50 nm 이하의 금속산화물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에 의한 산란광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투명성이 우수한 도막으로 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입자는,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10~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에 의한 기능을 도막에 부가하는 것이나, 도막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5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도막의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산화물 입자는, 1차입자가 강고한 응집체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응집체를 1차입자로서 재분산하기 위한 해쇄(解碎)에는, 초음파, 호모지나이저, 옴니믹서, 비드밀, 제트밀 등의 공지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를 결합하는 분산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의 수산기에 의해 흡착되고, 금속산화물 입자를 덮음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끼리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금속산화물 입자와 흡착되기 쉬운,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카르보닐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등의 표면수식상에 존재하는 수산기에 흡착되기 쉬운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분산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지 않고,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의 아크릴기의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의 상용성도 올라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금속산화물 입자를, 분산정도를 안정시킨 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로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함유하는 도막의 표면경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경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이유는, 금속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표면경도의 향상효과와 함께,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사이에 경사기능을 부여하여, 경화수축차를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입자계면과,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에 미세한 크랙에 의한 표면경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에 흡착된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말단의 아크릴로일기 사이에서 화학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인해,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으로부터 유리된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자신이 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지 않고, 가교밀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라고도 생각된다.
한편,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분산제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혼합한 경우에는,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경화수축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입자와,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에서 경화수축차가 생겨, 금속산화물 입자계면과,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에, 미세한 크랙이 생긴다. 그 결과로서, 금속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표면경도의 향상효과와, 미세한 크랙에 의한 표면경도의 저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없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주쇄(主鎖)의 화학결합이 3차원구조를 갖는 것으로, 모노머가 분지되면서 중합하여, 적극적으로 분지 구조를 가지고 방사상으로 퍼진 형상의 덴드리머 구조나, 하이퍼브랜치 구조, 스타 폴리머 구조, 빗형 구조 등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분지 구조를 다수 갖는 덴드리머 구조, 하이퍼브랜치 구조, 스타 폴리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에틸렌옥사이드기, 비닐기, 프로필렌옥사이드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고,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용매로의 용해성이나 취급성 및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에틸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개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의 결합을 많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3~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8이다. 또한,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조성물 중의 금속산화물 입자의 메디안 직경에 좌우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500~30000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메디안 직경이 300 nm 이하인 금속산화물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분산 안정성을 얻기 위해, 500~3000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3000의 범위이다.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5~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막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경화수축이 적어, 도막에 크랙 등을 발생시키기 어려우나,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만으로는, 도막의 표면경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2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도막의 표면경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는 달리, 높은 상용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금속산화물 입자표면을, 이러한 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수식함으로써, 금속산화물 입자 자체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산화물 입자가 고농도의 상태에서도,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사용한 경우 이상으로, 솔벤트 쇼크(solvent shock)가 적은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분산제로서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선형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비해, 낮은 점도의 분산체를 만들수 있어, 미소(微小) 비드를 사용한 나노레벨의 분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당한 분산매 중에서 분산한 후,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산매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절히 용매 등에 용해하여 도포액으로 하고, 공지의 도공법에 의해 도포하여, 건조?경화시킴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재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도막이 설치된 것이다.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피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로 되는 성형품을 사용할 수 있고, 각종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필름형상이나 시트형상의 평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연신가공, 이축 연신가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탄성이 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성형품의 두께는 6~250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도막 수축에 의한 컬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3~20 ㎛의 두께가 얇은 기재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재는, 투명한 것은 물론, 불투명한 성형품, 예를 들면, 발포 시트나,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나 다른 안료를 함유시킨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재 상에, 전술한 조성물을 적절히 용매 등에 용해하여 도포액으로 하고, 도포, 건조,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표면경도가 높은 도막이 형성되어, 기재의 표면경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금속산화물 입자에 의한 새로운 기능이 부가된다. 예를 들면, 금속산화물 입자로서, 산화아연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막에 자외선 컷트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산화규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막의 복굴절을 적게 하여, 고투명한 도막으로 할 수 있으며, 산화티탄을 사용한 경우에는, 자외선 컷트 기능과 함께, 고굴절률의 도막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막의 두께로서는, 3~2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 ㎛이다. 3 ㎛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막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20 ㎛ 이하로 함으로써, 투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적층체로 함으로써, 기재표면의 표면경도를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금속산화물 입자에 의한 새로운 기능을 적층체로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부」, 「%」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15.32 g에, 산화지르코늄의 응집체(PCS:닛폰덴코사, 비표면적 33.6 ㎡/g, 비표면적 직경 29.5 nm)를 7.59 g,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V#1020:오사카 유기화학사, 분자량:1000~3000)를 5.00 g 첨가하고, 실온에서 약 1시간 교반시켰다.
전술한 프리믹스액을, 입자경 0.3 ㎜~0.05 ㎜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고, 체류시간 120분으로 하여 비드밀 분산기에 의해, 해쇄 및 분산처리를 행하여, 실시예 1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을 얻었다.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중의 산화지르코늄 입자의 메디안 직경은 40 nm였다.
실시예 1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5 g에 대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 g,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4.16 g, 개시제(이루가큐어 184:씨바?재팬사) 0.448 g을 첨가하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사용한 산화지르코늄을, 산화지르코늄(HP:닛폰덴코사, 비표면적 1.2 ㎡/g, 비표면적 직경 831 nm)을 7.59 g으로 변경하고,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스타 폴리머 구조를 갖는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STAR-501:오사카 유기화학사, 분자량:15000~21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두께 약 15 ㎛의 도막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중의 산화지르코늄 입자의 메디안 직경은 1 ㎛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사용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4.16 g을,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3.87 g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PEMP:SC 유기화학사, 폴리티올 모노머) 0.29 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실시예 3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 g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4.16 g,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V#1020:오사카 유기화학사, 분자량:1000~3000) 5.00 g, 개시제(이루가큐어 184:씨바?재팬사) 0.448 g을 첨가하여,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비교예 1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15.32 g에, 산화지르코늄의 응집체(PCS:닛폰덴코사, 비표면적 33.6 ㎡/g, 비표면적 직경 29.5 nm)를 7.59 g 첨가하고, 실온에서 약 1시간 교반시켰다.
전술한 프리믹스액을, 입자경 0.3 ㎜~0.05 ㎜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고, 체류시간 120분으로 하여 비드밀 분산기에 의해, 해쇄 및 분산처리를 행하여, 비교예 2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을 얻었다.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중의 산화지르코늄 입자의 메디안 직경은 510 nm였다.
비교예 2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5 g에 대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 g,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4.16 g, 개시제(이루가큐어 184:씨바?재팬사) 0.448 g을 첨가하여,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비교예 2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15.32 g에, 산화지르코늄의 응집체(PCS:닛폰덴코사, 비표면적 33.6 ㎡/g, 비표면적 직경 29.5 nm)를 7.59 g, 선형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NK 에스테르 A-DPH:신나카무라 화학사, 분자량:626)를 5.00 g 첨가하고, 실온에서 약 1시간 교반시켰다.
전술한 프리믹스액을, 입자경 0.3 ㎜~0.05 ㎜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고, 체류시간 120분으로 하여 비드밀 분산기에 의해, 해쇄 및 분산처리를 행하여, 비교예 3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을 얻었다.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중의 산화지르코늄 입자의 메디안 직경은 42 nm였다.
비교예 3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 5 g에 대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 g,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4.16 g, 개시제(이루가큐어 184:씨바?재팬사) 0.448 g을 첨가하여, 비교예 3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비교예 3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비교예 3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5 g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빔세트 575:아라카와 화학공업사, 고형분 100%) 4.16 g, 개시제(이루가큐어 184:씨바?재팬사) 0.448 g을 첨가하여, 참고예의 조성물을 얻었다.
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도요보세키사)에, 참고예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자외선을 10초간(1000 mJ/㎠) 조사하여 두께 약 10 ㎛의 도막을 형성하고, 참고예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비교예 1~3, 참고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하기 항목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경도]
JIS K5600-5-4:1999에 따라, 실시예 1~3, 비교예 1~3, 참고예의 적층체 도막면의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투명성(전광선투과율)의 평가]
JIS-K7361-1:2000을 토대로, 헤이즈미터(NDH2000:닛폰덴쇼쿠사)를 사용하여 전광선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이었던 것을 「○」, 80% 이상 90% 미만인 것을 「△」, 80% 미만인 것을 「×」로 하였다. 또한, 빛을 입사시키는 면은 도막을 갖는 면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3의 적층체는, 산화지르코늄 표면에 흡착된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말단의 아크릴로일기 사이에서 화학결합하여, 산화지르코늄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사이에 결합을 도모할 수 있어,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참고예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연필경도가 저하되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사이에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개재하여, 금속산화물 입자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수축차를 작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입자계면의 미세한 크랙에 의한 표면경도의 저하의 발생 없이, 산화지르코늄을 첨가한 것에 의한 표면경도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어, 도막의 표면경도가 향상되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3의 적층체는, 산화지르코늄에 의한 굴절률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분산액의 산화지르코늄의 메디안 직경을 40 nm로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도막 중의 산화지르코늄에 의한 산란광을 적게 할 수 있어, 대단히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실시예 2의 적층체는, 산화지르코늄에 의한 굴절률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분산액인 산화지르코늄의 메디안 직경이 1 ㎛였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적층체에 비해, 산화지르코늄에 의한 산란광을 적게 할 수 없어, 투명성이 약간 떨어지는 것이 되었다.
실시예 3의 적층체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폴리티올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적층체에 비해, 스틸울에 의한 내찰상성이 향상되고, 가요성도 향상되었다.
비교예 1의 적층체는, 산화지르코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사이에 결합을 도모할 수 있어,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표면경도가, 참고예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저하되지 않는 것이 되었다. 그러나, 산화지르코늄을 첨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산화지르코늄에 의한 굴절률 향상효과나 표면경도 향상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비교예 2의 적층체는, 산화지르코늄 표면에 흡착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산화지르코늄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상용성을 얻을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산화지르코늄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수축차가 커서, 산화지르코늄 계면의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표면경도가, 참고예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저하되는 것이 되었다. 또한, 산화지르코늄과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투명성도 떨어지는 것이 되었다.
비교예 3의 적층체는,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아닌 선형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분산제로서 사용한 것이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말단의 아크릴로일기 사이에서 화학결합하여,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중합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표면경도가, 참고예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저하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금속산화물 입자와 선형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사이에서 경화수축차가 생겨, 금속산화물 입자계면과, 선형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사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표면경도의 향상효과와, 미세한 크랙에 의한 표면경도의 저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도막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은, 산화지르코늄의 비표면적 직경이 29.5 nm이고,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이 1000~3000인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디안 직경을 40 nm로 할 수 있었다. 또한, 일주일 경과 후의 분산액은, 보존 안정성도 얻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2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은, 산화지르코늄의 비표면적 직경이 831 nm이고,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량이 15000~21000인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디안 직경을 1 ㎛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화지르코늄의 입자경이 크기 때문에, 일주일 경과 후의 분산액에 침강이 보였다. 분산액은, 재분산함으로써, 양호한 분산상태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비교예 2의 산화지르코늄 분산액은, 다분지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분산을 행한 것이다. 분산제로서 기능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일주일 경과 후의 분산액은, 겔화?응집이 보여, 보존 안정성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Claims (13)

  1.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카르보닐기,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지 구조를 다수 갖는 덴드리머 구조, 하이퍼브랜치 구조 또는 스타 폴리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틸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개수는 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5~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선형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및 폴리티올 모노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40~8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입자는, 동적 산란법에 의한 분산액 중의 메디안 직경이 5 nm~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입자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의 10~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기재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금속산화물 입자와, 다분지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도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은 3~20 ㎛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20117024914A 2009-03-30 2010-03-02 조성물 및 적층체 KR20120022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1260 2009-03-30
JP2009081260 2009-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805A true KR20120022805A (ko) 2012-03-12

Family

ID=4293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914A KR20120022805A (ko) 2009-03-30 2010-03-02 조성물 및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28037A1 (ko)
JP (1) JP5659150B2 (ko)
KR (1) KR20120022805A (ko)
CN (1) CN102369222A (ko)
TW (1) TW201100484A (ko)
WO (1) WO2010116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1750B2 (ja) * 2012-03-29 2016-08-31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硬化物の製造方法
JPWO2013164941A1 (ja) * 2012-05-02 2015-12-24 横浜ゴム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4128773A (ja) * 2012-12-28 2014-07-10 Nbc Meshtec Inc ウイルス吸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ルス吸着性部材
WO2016190373A1 (ja) * 2015-05-28 2016-12-0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64970A1 (ja) * 2015-10-13 2017-04-20 Dic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塗料、塗膜、及びフィルム
KR102474841B1 (ko) * 2016-06-03 2022-12-06 바스프 에스이 적층식 제조용 광경화성 제형의 제조
WO2018038101A1 (ja) * 2016-08-24 2018-03-01 パナック株式会社 樹脂組成物、未硬化樹脂層、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048A (ja) * 1990-03-07 1991-11-15 Nippon Shokubai Co Ltd 耐衝撃性および切削加工性に優れた人工大理石
JPH1020103A (ja) * 1996-07-05 1998-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3523808B2 (ja) * 1999-06-30 2004-04-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基材フィルム用ハードコート膜、ホログラム及び回折格子シート
JP2005036105A (ja) * 2003-07-15 2005-02-10 Nippon Kayaku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2005076005A (ja) * 2003-09-03 2005-03-24 Nippon Kayaku Co Ltd ハードコー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
CN100519171C (zh) * 2004-03-31 2009-07-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薄膜叠层体
JP4552480B2 (ja) * 2004-03-31 2010-09-29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8716A (ja) * 2004-04-14 2005-10-27 Konica Minolta Opto Inc 帯電防止層、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帯電防止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6154187A (ja) * 2004-11-29 2006-06-15 Toppan Printing Co Ltd 導電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20080003373A1 (en) * 2005-05-11 2008-01-03 Yazaki Corporation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positing such coatings
US20070238804A1 (en) * 2006-04-11 2007-10-11 Encai Ho UV-curable hard coating compositions
JP4692630B2 (ja) * 2006-05-29 2011-06-01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金属酸化物分散体の製造方法、積層体および分散剤
WO2009008278A1 (ja) * 2007-07-11 2009-01-15 Kimoto Co., Ltd. インサート成型用フィルムを用いた樹脂成型品
JP5700903B2 (ja) * 2007-07-31 2015-04-15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布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16821A1 (ja) 2012-10-18
CN102369222A (zh) 2012-03-07
JP5659150B2 (ja) 2015-01-28
TW201100484A (en) 2011-01-01
WO2010116821A1 (ja) 2010-10-14
US20120028037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805A (ko) 조성물 및 적층체
JP6392914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474686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391251B (zh) 防眩性硬被覆膜之製造方法
WO2012018087A1 (ja) ハードコート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3180511A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WO2020031967A1 (ja) ハードコート組成物、積層体フィルム、及び、硬化フィルム
TW201247753A (en) Optical laminate
KR20090006000A (ko) 윤활용이성 안티블록킹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기재상에 피복 경화한 안티블록킹성 구조체 및 그 제법
JP5058253B2 (ja) 防眩性光透過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70139600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이용하는 경화막의 제조 방법 및 당해 경화막을 포함하는 적층체
CN101738650A (zh) 光学片材和光学片材的制造方法
KR20070007081A (ko)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CN101680971B (zh) 防眩性透光性硬涂膜
KR100930781B1 (ko) 투명 하드 코오트 필름
KR100785889B1 (ko) 확산 보호필름, 확산보호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JP2019002971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835059A1 (en) Laminate for molding
JP5602999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防眩性フィルム
KR20070113822A (ko)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KR20090026860A (ko) 방현필름
CN110050206B9 (zh) 光学膜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JP2010275483A (ja) 金属酸化物粒子用表面処理剤、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8199804A (ja) (メタ)アクリレート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硬化物
KR20090103758A (ko)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