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081A -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081A
KR20070007081A KR1020067016542A KR20067016542A KR20070007081A KR 20070007081 A KR20070007081 A KR 20070007081A KR 1020067016542 A KR1020067016542 A KR 1020067016542A KR 20067016542 A KR20067016542 A KR 20067016542A KR 20070007081 A KR20070007081 A KR 20070007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evention
newton
newton ring
resi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518B1 (ko
Inventor
마사토 사이토
게이이치 기타하라
마스오 고야마
요시히사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67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83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67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45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67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0758B2/ja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뉴턴링 방지성이 우수하며, 또한 고정세화된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도, 스파클이 발생하기 어려운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1)은, 투명 지지체(2)의 한쪽 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바인더 성분(32)), 및 미립자(31)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3)을 갖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미립자(31)의 평균 입자경은 0.5 ㎛~3.0 ㎛,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는 20%~80%, 뉴턴링 방지층(3)의 두께는 0.2 ㎛~3.5 ㎛이다.
뉴턴링 방지 시트, 컬러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Description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Sheet for preventing Newton's ring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뉴턴링 방지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CRT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 등으로 사용되는 뉴턴링 방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진제판 분야 및 광학기기 분야 등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판 등의 부재(部材)끼리의 밀착에 의해 발생하는 뉴턴링에 따른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와 같은 뉴턴링은, 부재끼리 밀착할 때에 양자간에 생기는 틈새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부재 표면에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를 실시하거나, 부재 위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는 등으로 해서, 부재의 한쪽 면 혹은 양면을 요철(凹凸) 처리한 뉴턴링 방지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CRT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로 사용되는 필름이나 유리 등의 부재에 있어서도, 터치 패널의 터치(압압(押壓))시에 생기는 뉴턴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뉴턴링 방지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CRT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컬러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각종 디스플레이의 컬러의 고정세화(高精細化)가 진행된 결과, 종래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터치 패널에 사용하면, 뉴턴링 방지층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가 휘점(輝点)이 되어 스파클(sparkle)로 불리는 번쩍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고정세화된 컬러 화면이 번쩍거려 보여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 77946호 공보(단락번호 0007)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뉴턴링 방지성이 우수하며, 또한 고정세화된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도, 스파클이 발생하기 어려운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바인더 성분과 미립자로부터 구성되는 뉴턴링 방지층에 대해, 바인더 성분과 미립자의 양면으로부터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재료를 예의 연구했다. 그 결과, 1) 바인더 성분으로서 특정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을 특정량 함유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다, 2) 미립자로서 평균 입자경이 0.5 ㎛~3.0 ㎛,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인 미립자를 사용한다, 의 어느 한 쪽을 채용함으로써, 높은 뉴턴링 방지 특성을 유지하면서 고정세화된 컬러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스파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가지며, 바인더 성분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제1의 양태(樣態)). 또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가지며, 바인더 성분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으로 되고,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의 0. 1 중량%~15 중량%인 것이다(제2의 양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뉴턴링 방지층의 전고형분 중의 0.1 중량%~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0.5 ㎛~3.0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른 수지 성분이 열가소성 수지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다른 수지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12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뉴턴링 방지 시트로서, 상기 바인더 성분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되고, 상기 미립자는 평균 입자경이 0.5 ㎛~3.0 ㎛이며,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3의 양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는, 0.2 ㎛~3.5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상기 투명 지지체의 다른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해서 되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JIS K7136:2000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도전성막을 갖는 한 쌍의 패널판을, 상기 도전성막끼리 대향하도록 스페이서를 개입시켜 배치해서 되는 저항막방식의 터치 패널로서, 상기 도전성막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도전성막이 상기 어느 한 쪽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뉴턴링 방지층상에 형성되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평균 입자경, 및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는, 콜타카운터법(Coulter counter)에 의해 측정한 값으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또한,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란, 미립자에 의해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수지 부분의 두께를 말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뉴턴링 방지성이 우수하며, 또한 고정세화된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도, 스파클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컬러 화면이 번쩍거려 보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視認性)을 저하시키지 않는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것, 또는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가지며, 다른 한쪽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각 요소를 설명한다.
1. 투명 지지체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층이 형성되는 투명 지지체로서는, 유리판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명성이 높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폴리염화바이닐, 노르보르넨 화합물 등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신 가공, 특히 이축연신(二軸延伸)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투명 지지체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원자외선 조사 처리, 밑 코팅(under coating) 이(易)접착층의 형성 등의 이접착 처리가 실시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용되는 재료에 대해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뉴턴링 방지 시트로서의 취급성 등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25 ㎛~5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0 ㎛~300 ㎛ 정도이다.
2. 뉴턴링 방지층
<바인더 성분>
이어서, 뉴턴링 방지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층은,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미립자가 첨가된 뉴턴링 방지층은, 그 표면에 파상(波狀)의 요철 형상인 「파동(Undulation)」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립자의 크기가 작고, 첨가량이 소량이더라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파클의 발생 원인이 되는 미립자의 첨가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파동」이 발생하면, 그 특수한 표면 형상에 의해 표시 화상의 빛이 산란하기 쉬어져, 스파클의 발생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미립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표면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이와 같은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한다. 표면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는, 1)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이하, 간단히 하이브리드 수지라고도 한다)를 사용한다(제1의 형태), 2)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여, 다른 수지 성분(이하, 제2의 수지 성분이라고도 한다)을 특정량 함유시킨다(제2의 형태), 3)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특정의 미립자를 조합시킨다(제3의 형태) 중의 어느 한 쪽을 채용한다. 이하, 각 양태의 바인더 성분을 설명한다.
1)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으로 대표되는 옛부터의 복합체와 달리, 유기물과 무기물의 섞이는 방법이 긴밀하고, 또한 분산 상태가 분자 레벨 또는 거기에 가까운 것으로,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이 반응하여,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수지의 무기 성분으로서는, 실리카, 이산화티타늄(Titania)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실리카를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리카로서는, 표면에 광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가 도입된 반응성 실리카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모체가 되는 분체상 실리카 또는 콜로이달 실리카에 대해, 분자 중에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기, 가수분해성 실릴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의 4개의 기를 갖는 화합물이, 가수분해성 실릴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서, 실릴 옥시기를 개입시켜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8533981-PCT00001
(화학식 중, X는 NH, 산소 원자 및 유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며, Y는 산소 원자 및 유황 원자로부터 선택된다. 단, X가 산소 원자일 때 Y는 유황 원자이다.)
Figure 112006058533981-PCT00002
가수분해성 실릴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콕시실릴기(alkoxysilyl group), 아세톡시 실릴기 등의 카복실레이트 실릴기, 크로실릴기(cro-silyl group) 등의 할로겐화 실릴기, 아미노 실릴기, 옥심 실릴기, 하이드라이드 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불포화기로서는, 아크릴로일 옥시기, 메타크릴로일 옥시기, 바이닐기, 프로페닐기, 부타디에닐기, 스티릴기, 에티닐기, 신나모일기, 말레이트기, 아크릴 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응성 실리카의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경으로 1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10 ㎚의 것을 사 용한다. 평균 입자경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층으로 했을 때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성분으로서는, 전술한 반응성 실리카와 중합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분자중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가(多價) 불포화 유기 화합물, 또는 분자중에 1개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가(單價) 불포화 유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티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라이(메타) 아크릴레이트, 1,4-뷰테인디올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롤프로판 트라이(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타닐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모노하이드록시 펜타(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롤프로판 테트라(메타) 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티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 아크 릴레이트, 2-에틸 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 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틸 사이클로 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 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톡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 에톡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다이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트라이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다이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트라이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있어서, 무기 성분의 함유율은 10 중량%~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20 중량%~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성분의 함유율을 1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미립자를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모을 수 있게 되어,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어도 표면에 요철형상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5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층으로 했을 때의 투명성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즉, 무기 성분의 함유율이 50 중량%를 넘으면, 미립자의 영향을 받아 막 이 백화(白化)되기 쉬워져, 뉴턴링 방지층으로 했을 때의 광학 특성 등의 제어가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층 내에서 미립자가 표면에 모이는 경향이 있어, 뉴턴링 방지층 표면의「파동」의 형상에 추가하여, 한층 더 표면의 요철형상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표면의 요철형상이 조밀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감소할 수 있어,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요철형상이 조밀함으로써, 예를 들어 후술하는 투명 지지체의 다른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해서 되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으로 했을 경우, 형광등 등의 빛의 비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뉴턴링 방지층 내에 매몰되는 미립자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타입이 아닌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미립자의 함유량을 소량으로 해도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반복 터치(압압) 등을 실시해도 뉴턴링 방지층의 표면에 상처를 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 상처가 나는 것에 의한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하며,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해상력(解像力)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하이브리드 타입 이외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제2의 수지 성분과 조합시켜, 또는 특정의 미립자와 조합시켜 사용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는, 일반적으로 전리 방사선 (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서 가교 경화할 수 있는 광중합성 프레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프레폴리머로서는, 1 분자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며, 가교 경화함으로써 3차원 망목(網目) 구조가 되는 아크릴계 프레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아크릴계 프레폴리머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아크릴계 프레폴리머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교 경화성을 향상시켜 뉴턴링 방지층의 경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중합성 모노머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모노머로서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 1,6-헥산디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피바린산 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아크릴 모노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 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광중합성 프레폴리머 및 광중합성 모노머 이외에, 광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힐러케톤(michler's ketone), 벤조인, 벤질 메틸 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시록심에스테르(acyloxymester),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촉진제는, 경화시 공기에 의한 중합 장해를 경감시켜 경화 속도를 빨리 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p-다이메틸 아미노 안식향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p-다이메틸 아미노 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3) 제2의 수지 성분
제2의 수지 성분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미립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층표면의 「파동」의 형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파동」이란 층으로부터 돌출되는 미립자에 끌려가 그 근방의 바인더 성분이 층표면으로부터 부상(浮上)한 상태이지만, 제2의 수지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바인더 성분은, 보다 미립자의 형상을 추종(追從)하여, 표면으로부터의 부상이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표면 형상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제2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바이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표면 형상을 조정하기 쉽고, 취급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50℃~120℃, 더 나아가서는 65℃~100℃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를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다량으로 함유시키지 않아도 「파동」의 형상을 완화할 수 있어, 표면 형상의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경도 등의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를 120℃ 이하로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파동」의 형상을 완화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면 형상의 조정이 용이한 것이 된다.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파동」의 형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다른 수지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지만, 유리 전이 온도가 너무 높아 지면 극소량의 첨가에 의해서도 민감하게 「파동」의 형상을 완화시켜 버리기 때문에, 표면 형상의 조정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제2의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선택한 수지 성분의 종류나, 유리 전이 온도 등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의 0.1 중량%~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8 중량% 정도이다.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을 0.1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파동」의 형상을 완화할 수 있고, 15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파동」의 형상을 완화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하며, 표면 경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의 수지 성분을 특정량 함유시킴으로써, 표면 형상을 조정해 뉴턴링 방지층 표면의 「파동」의 형상을 미묘하게 완만한 것으로 하여, 뉴턴링 방 지성을 유지하면서,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수지 성분을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반복 터치(압압) 등을 실시해도 뉴턴링 방지층의 표면에 상처를 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 상처가 나는 것에 의한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하며,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의 해상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미립자>
이어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에 대해 설명한다. 미립자는,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미립자에 의한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뉴턴링 방지층에 「파동」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함유시킨다.
미립자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실리카, 카올린, 점토(clay), 활석(Talc) 등의 무기 입자나, 아크릴 수지 입자, 폴리스타이렌 수지 입자, 폴리우레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 수지 입자, 에폭시 수지 입자 등의 수지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립자로서는, 취급성, 및 표면 형상의 제어가 쉽다라고 하는 관점에서 구형(球形)의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뉴턴링 방지층 내에서 미립자가 표면에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 현상은 실리카 미립자를 사용했을 때, 특히 현저 하게 생기기 때문에 실리카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0.5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2.5 ㎛로 한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성과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스파클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한 뉴턴링 방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0.5 ㎛ 이상으로 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미립자에 의한 볼록부를 형성시켜 요철형상을 형성해,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3.0 ㎛ 미만으로 함으로써,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을 3.0 ㎛ 이상의 미립자를 사용했을 경우보다도, 미립자에 의한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크기에 상관없이,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는 20%~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로 한다.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란,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불균형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며, 입자경 분포의 표준 편차를 평균 입자경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다
{변동 계수=(불편 분산의 평방근)/(산술 평균치)100%}.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단분산 입자로 입자경이 갖추어져 있는 것과는 달리,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서, 표시 화상의 빛이 미립자에 의해 균일하게 산란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한층 더 효과적으로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를 80% 이하로 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이 커져 버리는 미립자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미립자로서 평균 입자경이 0.5 ㎛~3.0 ㎛로서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인 것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바인더 성분으로서, 일반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만을 사용해도 전술한 스파클의 발생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립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뉴턴링 방지층을 구성하는 전고형분 중의 0.1 중량%~1.5 중량%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1.0 중량% 정도로 한다. 미립자의 함유량을 0.1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뉴턴링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1.5 중량% 이하로 한 것은, 그 이상 함유시켜도 뉴턴링 방지성은 변함 없고, 투명성의 저하와 스파클의 발생을 초래할 뿐이라고 하는 이유에서이다.
<그 외의 첨가물>
뉴턴링 방지층은, 전술한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 이외에, 이들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다른 수지나,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촉진제, 윤활제, 형광증백제, 안료, 대전 방지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이형제(離型劑), 가교제 등의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뉴턴링 방지층>
전술한 바인더 성분, 미립자,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한 다른 수지나 첨가제, 희석 용매를 혼합하여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조정해, 이 도포액을 전술한 투명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종래 공지의 코팅 방법, 예를 들어, 바 코터, 다이 코터, 블레이드 코터, 스핀 코터, 롤 코터, 그라비야(gravure) 코터, 플로우 코터, 스프레이,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서, 도포, 건조해,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에서 발해지는 100 ㎚~400 ㎚, 바람직하게는 200 ㎚~400 ㎚의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주사형(走査型)이나 커텐형의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발해지는 100 ㎚ 이하의 파장 영역의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뉴턴링 방지층의 표면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선택하는 투명 지지체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JIS K5600-5-4: 1999에 있어서의 연필 경도로 H 이상, 더 나아가서는 2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는, 미립자로서 전술한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0.2 ㎛~3.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0.5 ㎛~3.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를 0.2 ㎛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립자가 뉴턴링 방지층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최저한 필요한 표면 경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를 3.5 ㎛ 이하로 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미립자에 의해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시켜, 표면에 요철형상을 형성해,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보다도 작은 입자경의 미립자가 층내에 매몰되어 버리는 것을 막고, 표면의 요철형상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의 요철형상을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서로 지울 수 있었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뉴턴링 방지층의 요철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B 0601:2001에 있어서의 Ra가 0.07 ㎛ 이상 0.3 ㎛ 미만, Rsm이 150 ㎛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는, 미립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평균 입자경에 대해서 20%~80%, 바람직하게는 40%~8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에 대해서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립자가 뉴턴링 방지층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최저한 필요한 표면 경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에 대해서 80% 이하로 함으로써, 표면에 미립자에 의한 볼록부가 형성되었을 때의 형상을,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서로 지울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미립자에 의한 볼록부의 수를 많이 형성할 수 있어,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란, 미립자에 의해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수지 부분의 두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JIS K7136:2000에 있어 서의 헤이즈가, 3.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은, 전술한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투명 지지체의, 뉴턴링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용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 터치되는 쪽 면이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하드 코트층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도, 종래의 하드 코트층과 같은 것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지만, 종래의 하드 코트층을 만든 것에서는, 형광등 등의 빛이 비쳐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매우 적합하게는 미립자를 함유해서 되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은, 터치 패널로 했을 때에, 손톱 등으로 인해 표면이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술한 뉴턴링 방지층과의 상승효과로 형광등 등의 빛의 비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서는, 전술한 뉴턴링 방지층에 사용되는 미립자와 동일한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크기,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에 대해서도,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립자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미립자를 함유하기 위한 바인더 성분의 종류, 하드 코트층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인더 성분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중량부~20 중량부, 더 나아가서는 4 중량 부~18 중량부, 더 나아가서는 6 중량부~16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뉴턴링 방지 시트로 했을 때에, JIS K7136:2000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20% 이하, 더 나아가서는 10% 이하로 할 수 있으며,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비침의 방지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미립자를 함유하기 위한 바인더 성분으로서는, 주로 열경화형 수지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술한 「파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인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비침의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 및 우수한 상처의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뉴턴링 방지층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전술한 뉴턴링 방지층과 동일한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전술한 투명 지지체의 뉴턴링 방지층을 만드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전술한 미립자, 바인더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한 첨가제, 희석 용매를 혼합해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조정하여, 전술한 종래 공지의 코팅법에 의해서, 도포, 건조하여, 필요에 따라서 가열에 의한 큐어링(curing) 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뉴턴링 방지층, 및 하드 코트층의 어느 쪽부터 먼저 형성하여 제작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은 제1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를, 도 2는 제2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를, 도 3은 제3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를 나타낸다. 도 중, 부호 1, 2, 3은, 각각 뉴턴링 방지 시트, 투명 지지체 및 뉴턴링 방지층을 나타내며, 31 및 32는, 미립자 및 바인더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는, 뉴턴링 방지층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한 것에 의해,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어도 뉴턴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표면에 요철형상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세화된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터치 패널에 사용되어도,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번쩍거림이 보이기 어려운 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뉴턴링 방지 시트로 했을 때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에 사용되어도 표시 화상을 선명히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예를 들어, 뉴턴링 방지층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작했을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뉴턴링 방지층은 「파동」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뉴턴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수지로,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립자의 입자경을 크게 하며, 또한 함유량을 늘리지 않을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뉴턴링 방지 시트에서는, 투명성의 유지와 스파클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 이외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 「파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립자의 함유량이 소량이더라도 뉴턴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립자는 뉴턴링 방지층의 표면에 모이지 않고 층내에 매몰되어 버리기 때문에, 「파동」의 형상에 기인해 스파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해, 도 2에 나타내는 제2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는 뉴턴링 방지층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제2의 수지 성분을 특정의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표면 형상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뉴턴링 방지성을 유지하면서,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립자로서 특정의 미립자를 사용한 제3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에 있어서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표면 형상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의 양태에 의한 뉴턴링 방지 시트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투명 지지체의 다른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해서 되는 하드 코트층을 만듦으로써, 형광등 등의 빛의 비침 방지 효과가 높은 뉴턴링 방지 시트로 할 수 있다.
이어서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도전성막을 갖는 한 쌍의 패널판을, 도전성막끼리 대향하도록 스페이서를 개입시켜 배치해서 되는 저항막방식의 터치 패널로서, 도전성막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도전성막이, 전술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뉴턴링 방지층상에 형성되어서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패널판의 적어도 한쪽을 전술한 뉴턴링 방지 시트로 구성하거나, 적어도 한쪽의 패널판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한쪽의 패널판만이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경우, 그것은 바깥쪽(터치되는 쪽)이어도 안쪽이어도 되며, 어느 경우에도 뉴턴링 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고정세화 된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터치 패널에 사용했을 때에도, 스파클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 경우, 다른 쪽의 패널판으로서는,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로 상술(詳述)한 투명 지지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패널판은 터치되는 쪽 면에는, 임의의 하드 코트 처리(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의 도공, 하드 코트 필름의 첩착(貼着) 등)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되는 쪽의 패널판으로서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막으로서는, In, Sn, Au, Al, Cu, Pt, Pd, Ag, Rh 등의 금속이나, 산화 인듐(Indium), 산화 주석,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ITO 등의 금속 산화물로 되는 투명성 및 도전성을 갖는 무기의 박막이나, 폴리파라페닐렌,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 폴리파라페닐렌바이닐렌, 폴리피롤, 폴리푸란, 폴리셀레노펜(Poly-selenophene), 폴리피리딘 등의 아로마틱 도전성 고분자로 되는 유기의 박막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성막은,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 또는 뉴턴링 방지층 상에, 무기의 박막에 대해서는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도금법 등의 진공제막법으로, 유기의 박막에 대해서는 뉴턴링 방지층과 동일한 종래 공지의 코팅 방법에 따라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스페이서는, 한 쌍의 패널판으로 했을 때의 패널판끼리 간의 공극(空隙)을 확보하거나, 터치시의 하중을 제어하거나, 또한 터치 후의 각 패널판과의 분리를 잘 되게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사용되어, 포토 프로세스로 미세한 도트형상으로 형성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레탄계 수지 등을 사용하여, 실크 스크린 등의 인쇄법에 의해 미세한 도트를 다수 인쇄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기물이나 유기물로 되는 입자의 분산액을 분무, 또는 도포해 건조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스페이서의 크기는, 터치 패널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직경 30 ㎛~100 ㎛, 높이 1 ㎛~15 ㎛의 도트형상으로 형성되어, 0.1 ㎜~10 ㎜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뉴턴링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또한 스파클이 발생하기 어려운 뉴턴링 방지층 위에 도전성막을 형성한 패널판을 사용함으로써, 컬러 화면이 번쩍거려 보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시인성(視認性)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부」, 「%」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1. 뉴턴링 방지 시트의 제작
[실시예 1]
투명 지지체로서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 도요보세키사)의 한쪽 면에,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5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해, 실시예 1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부
(고형분 50%)(무기 성분 38%)
(데소라이트 7503: JSR사)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2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150부
[실시예 2]
실시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2 ㎛, 변동 계수 33%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9 ㎛, 변동 계 수 22%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여, 두께 7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4]
투명 지지체로서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 도요보세키사)의 한쪽 면에,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5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해,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a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1℃인 열가소성 수지(바이론 296: 도요보세키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7%가 되도록 첨가했다.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6.5부
(고형분 100%)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a(고형분 100%) 3.5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부
[실시예 5]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b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60℃인 열가소성 수지(바이론 240: 도요보세키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의 10%가 되도록 첨가했다.
<실시예 5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45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b(고형분 100%) 5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부
[실시예 6]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c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105℃인 열가소성 수지(THERMOLAC LP45M: 소우켄 가가쿠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의 3%가 되도록 첨가했다.
<실시예 6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8.5부
(고형분 100%)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c(고형분 40%) 3.8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메틸에틸케톤 200부
[실시예 7]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하고, 실시예 4와 같게 하여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후, 60℃, 48시간 큐어링하여, 실시예 7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d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70℃인 열경화형 수지(아크리디크 A808: 다이닛폰 잉크 가가쿠고교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7%가 되도록 첨가했다.
<실시예 7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6.5부
(고형분 100%)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d(고형분 50%) 7부
· 가교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고형분 60%) 1부
(다케네이트 D110N: 미츠이 다케다 케미컬사)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메틸에틸케톤 200부
[실시예 8]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2 ㎛, 변동 계수 33%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9]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5 ㎛, 변동 계수 30%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고, 두께 4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투명 지지체로서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코스모샤인 A4300: 도요보세키사)의 한쪽 면에,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5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해,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50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부
[실시예 11]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1 ㎛, 변동 계수 65%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고, 두께 0.7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1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3 ㎛, 변동 계수 42%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고, 두께 2.4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2 ㎛, 변동 계수 33%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3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두께 1.5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후, 60℃, 48시간 큐어링하여, 비교예 1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열경화형 수지(아크릴계 수지) (고형분 50%) 81부
(아크리디크 A807: 다이닛폰 잉크 가가쿠고교사)
· 가교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고형분 60%) 16부
(다케네이트 D110N: 미츠이 다케다 케미컬사)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2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메틸에틸케톤 77부
· 톨루엔 76부
[비교예 2]
비교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9 ㎛, 변동 계수 22%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고, 두께 7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3]
비교예 2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의 첨가량을 5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참고예 1]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참고예 1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가 71℃인 열가소성 수지로,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20%가 되도록 첨가했다.
<참고예 1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40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a(고형분 100%) 10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부
[참고예 2]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참고예 2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가 71℃인 열가소성 수지로,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0.06%가 되도록 첨가했다.
<참고예 2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50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a(고형분 100% ) 0.03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부
[참고예 3]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참고예 3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e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20℃인 열가소성 수지(바이론 GK140: 도요보세키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20%가 되도록 첨가했다.
<참고예 3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40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e(고형분 100%) 10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메틸에틸케톤 200부
[참고예 4]
실시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참고예 4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다른 수지 성분 f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260℃인 열가소성 수지(바이로막스 HR15ET: 도요보세키사)를 사용하여,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 0.06%가 되도록 첨가했다.
<참고예 4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처방>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고형분 100%) 50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
· 다른 수지 성분 f(고형분 100%) 0.03부
·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0.4부
(평균 입자경 2 ㎛)(변동 계수 50%)
· 메틸에틸케톤 200부
[비교예 4]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9 ㎛, 변동 계수 22%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하고, 두께 7 ㎛의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5]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3 ㎛, 변동 계수 95%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6]
실시예 10의 뉴턴링 방지층용 도포액의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2 ㎛, 변동 계수 5%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6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2. 터치 패널의 제작
(1) 상부 전극의 패널판의 제작
상기 실시예 1~13, 비교예 1~6 및 참고예 1~4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뉴턴링 방지층 위에, 두께 약 20 ㎚의 ITO의 도전성막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 접착제를 개입시켜 하드 코트 필름(KB필름 N05S: 기모토사)을 첩합(貼合)하여, 4형의 크기(세로 87.3 ㎜, 가로 64.0 ㎜의 장방형)로 잘라내, 상부 전극의 패널판을 각각 제작했다.
(2) 하부 전극의 패널판의 제작
투명 지지체로서, 두께 1 ㎜의 강화 유리판의 한쪽 면에, 두께 약 20 ㎚의 ITO의 도전성막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해, 4형의 크기(세로 87.3 ㎜, 가로 64.0 ㎜의 장방형)로 잘라내, 하부 전극의 패널판을 제작했다.
(3) 스페이서의 제작
상기 하부 전극의 패널판의 도전성막을 갖는 면에, 스페이서용 도포액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Dot Cure TR5903: 다이요 잉크사)를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도트형상으로 인쇄한 후,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직경 50 ㎛, 높이 8 ㎛의 스페이서를 1 ㎜의 간격으로 배열시켰다.
(4) 터치 패널의 제작
상기 상부 전극의 패널판과 하부 전극의 패널판을, 각 패널판의 도전성막끼리 대향하도록 배치시켜, 접착 부분이 표시면의 영역외가 되도록, 두께 30 ㎛, 폭 3 ㎜의 양면 접착 테이프로 끝부분을 접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터치 패널을 제작했다.
3.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뉴턴링 방지 시트에 대해서, 뉴턴링 방지성과 투명성에 대해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에 대해서, 스파클의 방지성에 대해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1) 뉴턴링 방지 시트의 뉴턴링 방지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뉴턴링 방지 시트를, 표면이 평활한 유리판 위에 뉴턴링 방지층이 밀착되도록 올려놓고 손가락으로 눌러, 뉴턴링이 발생하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뉴턴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 뉴턴링이 조금 발생한 것을 「△」, 뉴턴링이 발생한 것을 「×」로 했다.
(2) 뉴턴링 방지 시트의 투명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뉴턴링 방지 시트의 헤이즈를, JIS K7136:2000에 기초하여, 헤이즈미터(NDH2000: 닛뽄덴쇼쿠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평가했다. 평가는, 측정치가 3.0% 미만인 것을 「○」, 3.0% 이상인 것을 「×」로 했다. 또한, 측정은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면으로부터 빛을 입사시켰다.
(3) 터치 패널의 스파클 방지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터치 패널에 대해서, CRT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을 그린 100%에 화상 표시시켜, 터치 패널의 하부 전극(電極) 쪽을 표시 화면에 밀착시키고,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번쩍임이 없는 것을 「◎」, 번쩍임이 거의 없는 것을 「○」, 번쩍임이 약간 있는 것을 「△」, 번쩍임이 다량으로 있는 것을 「×」로 했다.
(4) 뉴턴링 방지 시트의 내찰상성(耐擦傷性)
실시예 4~9 및 참고예 1~4에서 얻어진 뉴턴링 방지 시트의 표면을, 손톱으로 긁어서 상처가 나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상처가 전혀 나지 않은 것을 「○」, 상처가 난 것을 「×」로 했다.
뉴턴링 방지성 투명성 스파클 방지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
비교예 2 × ×
비교예 3 × ×
뉴턴링 방지성 투명성 내찰상성 스파클 방지성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참고예 1 ×
참고예 2
참고예 3
참고예 4 ×
뉴턴링 방지성 투명성 스파클 방지성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표 1, 2의 결과에서도 명백하듯이, 바인더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3(제1의 양태: 표 1),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다른 수지 성분을 사용한 실시예 4~9(제2의 양태: 표 2)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모두 뉴턴링 방지성, 투명성, 스파클 방지성의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2 및 4~8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특정의 바인더 성분 및 특정의 크기나 변동 계수의 미립자를 사용하여,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를 특정의 것으로 함으로써, 스파클의 발생이 극히 어려운 뉴턴링 방지 시트가 되었다.
실시예 10~13(제3의 양태: 표 3)은, 하이브리드 타입이 아닌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미립자는 뉴턴링 방지층의 표면에 모이지 않고 층내에 매몰되어 버리는 것도 있어, 실시예 1, 2의 뉴턴링 방지 시트와 비교하면 뉴턴링 방지성은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 되었지만, 바인더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만을 사용한 비교예 4~6과의 비교에서 명백하듯이, 미립자로서 특정의 크기나 변동 계수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뉴턴링 방지성, 투명성, 스파클 방지성을 겸비한 뉴턴링 방지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에 비해, 평균 입자경이 큰(9 ㎛) 미립자를 사용했을 경우(비교예 4)에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었다. 또한 미립자로서 변동 계수가 큰(95%) 것을 사용했을 경우(비교예 5)에는, 뉴턴링 방지성은 우수했지만, 입자경이 큰 미립자도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빛의 산란이 커져 충분한 스파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미립자로서 변동 계수가 작은(5%) 것을 사용했을 경우(비교예 6)에도, 표시 화상의 빛이 미립자에 의해 균일하게 산란하기 때문에,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었다.
또한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비교예 1~3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바인더 성분으로서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뉴턴링 방지층 표면에「파동」이 발생하지 않고, 미립자의 입자경이 작은 경우(비교예 1)나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비교예 1, 2)에는, 뉴턴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1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스파클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미립자가 이물질과 같이 보여 외형이 나쁘게 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입자경이 큰 미립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미립자에 의한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이 커져,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었다. 바인더 성분으로서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해도, 입자 경을 크게, 함유량을 많게 했을 경우(비교예 3)에는, 우수한 뉴턴링 방지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투명성이 저하되고, 또한 입자경이 큰 큰 미립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미립자에 의한 표시 화상의 빛의 산란은 커져,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었다.
또한 표 2의 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참고예 1~4는, 바인더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다른 수지 성분을 사용한 것이지만,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많은(20 중량%의) 경우(참고예 1)에는, 「파동」의 형상이 너무 완화되었기 때문에 뉴턴링 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스파클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내찰상성도 떨어졌다.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을 많은 채로 수지의 종류를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것으로 바꾸었을 경우(참고예 3)에는, 뉴턴링 방지 효과는 얻을 수 있었지만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고, 내찰상성도 뒤떨어졌다. 한편,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적은(0.06 중량%의) 참고예 2에서는, 미립자로서 매우 적합한 크기 및 변동 계수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거의 실시예 10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지의 종류를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것으로 바꾸었을 경우(참고예 4)에는, 「파동」의 형상이 너무 완화되어 버려 소량의 첨가로도 뉴턴링 방지 효과가 손상되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아래와 같은 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5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 실시예 14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의 처방(A)>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부
(고형분 50%)(데소라이트 7503: JSR사)
· 미립자(실리카) 5부
(평균 입자경 3.5 ㎛)(변동 계수 60%)
· 메틸에틸케톤 40부
· 톨루엔 15부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아래와 같은 처방(B)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5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의 처방(B)>
·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고형분 100%) 30부
(다이아 빔 UR6530: 미츠비시 레이온사)
· 미립자(실리카) 1.5부
(평균 입자경 4.5 ㎛)(변동 계수 60%)
· 미립자(실리카)(평균 1차 입자경 30 ㎚) 1.5부
(아에로질 50: 일본 아에로질사)
· 광중합 개시제 0.15부
(이루가큐어 651: 씨바스페셜티케미칼즈사)
· 메틸에틸케톤 40부
· 톨루엔 30부
[실시예 16]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5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 실시예 16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A)을, 처방(B)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7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8]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약 5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 실시예 18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처방(B)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9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7]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 비교예 7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8]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처방(B)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 비교예 8의 뉴턴링 방지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9]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는 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비교예 9의 시트로 했다.
[비교예 10]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는 처방(B)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뉴턴링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비교예 10의 시트로 했다.
실시예 14~19 및 비교예 7~10의 시트의 비침 방지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평가는, 3파장 형광등 램프하에서 검은 바탕 위에 각 시트를 하드 코트층이 표면이 되도록 두고, 형광등의 램프의 윤곽이 비치지 않는 것을「○」, 윤곽이 거의 비치지 않는 것을「△」, 윤곽이 분명히 비치는 것을「×」로 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이들 시트의 JIS K7136:2000에 있어서의 헤이즈를 함께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측정은 하드 코트층을 갖는 면으로부터 빛을 입사시켰다.
또한, 실시예 14~19 및 비교예 7~10의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해, 스파클 방지성에 대해 평가했다. 평가의 기준은, 상기와 동일하게 했다. 결과를 함께 표 4에 나타낸다.
비침 방지성 헤이즈 스파클 방지성
실시예14 9%
실시예15 9%
실시예16 9%
실시예17 9%
실시예18 9%
실시예19 9%
비교예7 20% ×
비교예8 20% ×
비교예9 × 7%
비교예10 × 7%
표 4의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실시예 14~19 및 비교예 7, 8의 뉴턴링 방지 시트는, 뉴턴링 방지층을 갖지 않은 비교예 9, 10의 시트와 비교해서, 비침 방지성이 높은 것이 되었다. 또한 실시예 14~19는, 특정의 뉴턴링 방지층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상승효과에 의해 종래의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비교예 7, 8과 비교해서, 비침 방지성이 우수한 것이 되었다.
또한, 실시예 14, 16과 실시예 15, 17과의 비교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하드 코트층이라고 해도 하이브리드 수지(처방(A)의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를 사용했을 경우에, 보다 스파클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종래(비교예 3)의 뉴턴링 방지 시트에 하드 코트층을 만들었을 경우(비교예 7, 8)에는, 또한 비교예 3의 스파클 방지성의 결과와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뉴턴링 방지층에 스파클이 발생해 버리기 때문에, 하드 코트층의 스파클 방지 성능에 관계없이, 그 개선이 보이지 않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뉴턴링 방지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뉴턴링 방지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뉴턴링 방지 시트
2····투명 지지체
3····뉴턴링 방지층
31···미립자
32···바인더 성분

Claims (11)

  1.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뉴턴링 방지 시트로서, 상기 바인더 성분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로 되거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과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으로 되며, 또한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바인더 성분에 있어서의 전고형분 중의 0.1 중량%~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뉴턴링 방지층의 전고형분 중의 0.1 중량%~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지 성분이,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지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0.5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7. 투명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바인더 성분 및 미립자로부터 형성되어서 되는 뉴턴링 방지층을 갖는 뉴턴링 방지 시트로서, 상기 바인더 성분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되고, 상기 미립자는 평균 입자경이 0.5 ㎛~3.0 ㎛이며, 입자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뉴턴링 방지층의 두께는, 0.2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지지체의 다른 한쪽 면에 미립자를 함유해서 되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JIS K7136:2000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뉴턴링 방지 시트.
  11. 도전성막을 갖는 한 쌍의 패널판을, 상기 도전성막끼리 대향하도록 스페이서 를 개입시켜 배치해서 되는 저항막방식의 터치 패널로서, 상기 도전성막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도전성막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뉴턴링 방지 시트의 뉴턴링 방지층상에 형성되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1020067016542A 2004-02-18 2006-08-17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KR101097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0994 2004-02-18
JP2004040995 2004-02-18
JP2004040996 2004-02-18
JPJP-P-2004-00040995 2004-02-18
JPJP-P-2004-00040996 2004-02-18
JPJP-P-2004-00040994 2004-02-18
JPJP-P-2004-00067104 2004-03-10
JPJP-P-2004-00067103 2004-03-10
JP2004067105A JP4448350B2 (ja) 2004-02-18 2004-03-10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2004067103A JP4384524B2 (ja) 2004-02-18 2004-03-10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2004067104A JP4520758B2 (ja) 2004-02-18 2004-03-10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JP-P-2004-00067105 2004-03-10
PCT/JP2005/002078 WO2005077651A1 (ja) 2004-02-18 2005-02-10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081A true KR20070007081A (ko) 2007-01-12
KR101097518B1 KR101097518B1 (ko) 2011-12-22

Family

ID=3486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542A KR101097518B1 (ko) 2004-02-18 2006-08-17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9084B2 (ko)
KR (1) KR101097518B1 (ko)
CN (1) CN101872029B (ko)
TW (3) TWI495564B (ko)
WO (1) WO2005077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3450B2 (ja) * 2007-03-20 2012-09-26 アイカ工業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剤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08123257A1 (ja) * 2007-03-29 2008-10-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防眩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防眩フィルム
EP2144094A4 (en) * 2007-05-09 2011-04-06 Sony Corp ANTIBLEND FILM,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THE FILM USING DISPLAY DEVICE
TWI328690B (en) * 2007-06-08 2010-08-11 Eternal Chemical Co Ltd Optical film containing organic particles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TW200923536A (en) * 2007-11-23 2009-06-01 Acrosense Technology Co Ltd High transmittance touch panel
CN102027441B (zh) * 2008-05-16 2013-12-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触摸面板
US20090309838A1 (en) * 2008-06-11 2009-12-17 Microsoft Corporation Use of separation elements with rear projection screen
KR100909976B1 (ko) 2009-01-09 2009-07-29 주식회사 네패스 나노 크기로 분산된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 투명 코팅 도료 조성물, 코팅된 기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28000A1 (en) * 2009-03-27 2012-02-02 Kimoto Co., Ltd. Anti-newton ring sheet,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8097327B2 (en) * 2009-06-17 2012-01-17 Teh-Zheng Lin Touch panel with an anti-highlight structure
CN101963874B (zh) * 2009-07-25 2012-09-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阻式触摸屏中牛顿环的返修方法
JP5824446B2 (ja) * 2010-03-05 2015-11-25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57463B (zh) * 2010-08-31 2013-05-29 宁波激智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抗刮伤光学扩散薄膜、液晶显示装置及照明装置
JP5440747B2 (ja) * 2011-11-07 2014-03-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6004874B2 (ja) 2011-12-16 2016-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US9581731B2 (en) 2012-07-09 2017-02-28 Corning Incorporated Anti-glare and anti-sparkle transparent structures
CN104521020B (zh) * 2012-07-31 2017-06-20 株式会社Lg化学 用于有机电子器件的基板
US20140130548A1 (en) * 2012-11-09 2014-05-15 Yuh-Wen Le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JP6205224B2 (ja) * 2013-09-25 2017-09-27 株式会社きもと ベース基材シート及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112485853B (zh) * 2020-12-11 2022-11-08 苏州诺菲纳米科技有限公司 粉笔可书写防眩光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7055B (en) * 1996-03-29 1998-07-21 Toshiba Co Ltd EL screen packing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EL screen and the LCD module
JP3830642B2 (ja) 1997-12-12 2006-10-0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実装機の部品供給方法
TW421720B (en) * 1998-12-09 2001-02-11 Tomoegawa Paper Co Ltd Filler lens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JP3727192B2 (ja) * 1999-03-01 2005-12-14 株式会社きもと 透明導電性薄膜易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4573946B2 (ja) * 2000-05-16 2010-11-04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
JP2001324607A (ja) * 2000-05-16 2001-11-22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JP4497782B2 (ja) * 2001-03-08 2010-07-07 日本製紙株式会社 ニュートンリングが防止されたタッチパネル及び該タッチパネル用透明電極
JP4064130B2 (ja) * 2002-03-15 2008-03-19 株式会社きもと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033695B2 (ja) * 2002-03-25 2008-01-16 株式会社きもと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8283A (en) 2005-12-01
TW201242768A (en) 2012-11-01
TWI376311B (ko) 2012-11-11
KR101097518B1 (ko) 2011-12-22
TWI495564B (zh) 2015-08-11
WO2005077651A1 (ja) 2005-08-25
CN101872029B (zh) 2012-07-04
US7709084B2 (en) 2010-05-04
TW201242767A (en) 2012-11-01
US20070184260A1 (en) 2007-08-09
CN101872029A (zh) 2010-10-27
TWI495565B (zh)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518B1 (ko) 뉴턴링 방지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KR101378603B1 (ko)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패널
JP5132636B2 (ja)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性を有す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1058395B1 (ko)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100954309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터치 패널용 전극판 및 터치 패널
JP4448350B2 (ja)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1356903B1 (ko) 광학 필름
JP6498857B2 (ja) 表示素子前面用フィルムおよび表面部材付き表示素子
KR20090104061A (ko) 광학 적층 필름
KR101999080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4753764B2 (ja) タッチパネル
KR20220083841A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492683B2 (ja)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I635358B (zh) Hard coating film and display element with surface member
JP4384524B2 (ja)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H11115087A (ja) 帯電防止性透明シート又はフィルム
JP4520758B2 (ja) ニュートンリング防止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204505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602073A (zh) 防眩膜
KR20150015222A (ko) 투명 도전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