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758A -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 Google Patents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758A
KR20090103758A KR1020090024989A KR20090024989A KR20090103758A KR 20090103758 A KR20090103758 A KR 20090103758A KR 1020090024989 A KR1020090024989 A KR 1020090024989A KR 20090024989 A KR20090024989 A KR 20090024989A KR 20090103758 A KR20090103758 A KR 2009010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tch
resin
resistant resin
resin substr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스미다
신스케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2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758A/ko
Publication of KR2009010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찰상성 수지판은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은 상기 내찰상성 수지판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SCRATCH-RESISTANT RESIN SHEET AND PROTECTING SHEET OF DISPLAY WINDOW OF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IT}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으로서 적합한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나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형 전화류가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단순한 음성 전달 기능에 더하여,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정보 단말로서 널리 보급되어 왔다. 또, 이와 같은 휴대형 전화류와는 별도로, 주소록 등의 기능에 인터넷 기능이나 전자 메일 기능을 겸비하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휴대형 정보 단말에는, 액정이나 EL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등의 방식에 의해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 표시창에는, 보호판으로서 투명 수지제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67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33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9199호 참조). 그리고, 이 보호판에는,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경화성 도료에 의해 내찰상성 (하드 코트성) 을 갖는 경화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휴대형 정보 단말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그에 따라 표시창 보호판에도 박형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표시창 보호판을 박형화하면 휘어지기 쉬워, 액정면 (즉, 내부의 액정 부재인 편광판) 에 접촉되기 쉬워진다. 표시창 보호판이 편광판에 접촉되면, 뉴턴링으로 불리는 광의 간섭 모양이 발생하고, 또한 그것이 소실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화 피막이 형성된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해결 수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으로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내찰상성 수지판.
(2) 상기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109 ∼ 1014Ω/□ 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 상기 (1) 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
(3) 상기 수지 기판의 두께가 0.3 ∼ 1.5㎜ 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
(4) 상기 수지 기판이 아크릴계 수지판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
(5) 상기 수지 기판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크릴 수지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판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
(6) 상기 수지 기판이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8) 상기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된 면을, 액정면측을 향해 설치하는 상기 (7) 에 기재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이란,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창 (디스플레이) 을 갖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휴대 전화나 PHS, PD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을 형성하므로, 그 경화 피막이 액정 부재의 편광판에 접촉되어 뉴턴링이 발생하더라도, 그 경화 피막이 편광판 상을 미끄러짐으로써 편광판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뉴턴링이 소실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뉴턴링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그것을 소실시킬 수 있어,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타방의 면에는 소정의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내찰상성 수지판을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그 표시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2) 와 같이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109 ∼ 1014Ω/□ 의 표면 저항률을 가지면, 그 경화 피막에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 (3) 과 같이 휘어지기 쉬운 내찰상성 수지판에 적용하면, 본 발명의 유용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8) 과 같이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된 면을 액정면측을 향해 설치하면, 휴대 전화를 비롯하여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에 요구되는 투명성, 표면 경도의 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이면에 발생한 뉴턴링을 효율적으로 소실시키면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을 보호할 수 있어,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마찰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10 : 평가 샘플
11, 21 : 수지 기판
12, 13 : 경화 피막
20 : 추
본 발명의 내찰상성 수지판은 수지 기판의 양면에 특정한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 수지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메타크릴 수지는, 투명성이 높고, 강성도 높기 때문에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고, 메타크릴산에스테르 50 중량% 이상과 그 이외의 단량체 50 중량% 이하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전체 단량체에 차지하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상기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메타크릴산알킬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이나 아크릴산에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이나 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알케닐 시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2 가 페놀과 카르보닐화제를 계면 중축합법이나 용융 에스테르 교환법 등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 카보네이트 프레폴리머를 고상 에스테르 교환법 등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 고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개환 중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가 페놀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통칭,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3-이소프로필-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o-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1,3-비스(4-히드록시페닐)-5,7-디메틸아다만탄,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파이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케톤,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들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에서 선택되는 2 가 페놀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스페놀 A 의 단독 사용이나 비스페놀 A 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과,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및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2 가 페놀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보닐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스겐과 같은 카르보닐할라이드,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에스테르, 2 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 등의 할로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들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기판은 단층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조성의 수지 기판을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수지 기판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 수로는 2 층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4 층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판을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 개의 층이 메타크릴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메타크릴 수지층과 고무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메타크릴 수지층의 다층 구조, 유리 전이 온도가 상이한 메타크릴 수지층의 다층 구조, 메타크릴 수지층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다층 구조, 메타크릴 수지층과 스티렌계 수지층의 다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지 기판을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표층이 메타크릴 수지층인 것이 내찰상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 두께는, 양 표층이 메타크릴 수지층인 경우에는 각 표층의 두께가 통상 3㎛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인 메타크릴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 두께로 함으로써 충분한 표면 경도를 얻을 수 있다.
표층인 메타크릴 수지층에는, 표면 경도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고무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고무 입자의 함유량으로는, 통상 메타크릴 수지 중 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인데, 3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의 수지 기판으로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크릴 수지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판이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찰상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적층판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타크릴 수지층의 두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양면에 메타크릴 수지층이 적층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메타크릴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통상 3㎛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또, 통상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양면에 메타크릴 수지층을 적층하는 경우, 양 메타크릴 수지층은, 그 조성이나 두께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수지 기판에는, 내충격성 부여의 관점에서 고무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부타디엔계, 스티렌-부타디엔계 등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것이, 얻어지는 수지 기판의 표면 경도, 내후성, 내충격성 등의 여러 물성의 밸런스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부틸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것이나,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질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내층의 주위에 아크릴산부틸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형성한 다층 구성의 것 등, 공지된 아크릴계 고무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중합체에는, 일반적으로 가교성의 다관능 단량체가 소량 공중합되어 있다.
또, 탄성 중합체의 주위에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질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최외층을 형성한 구조의 것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질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내층의 주위에 아크릴산부틸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주위에,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질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최외층을 형성한 3 층 구조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층 구조의 고무 입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소55-27576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3 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일본 특허공보 소55-27576호의 실시예 3 에 기재된 것은 바람직한 조성의 하나이다.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그 입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그 평균 입자 직경이 0.1 ∼ 0.4㎛ 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 범위에 있으면 내충격성이 높고, 표면 경도가 우수하며, 표면이 평활한 수지 기판을 얻을 수 있다.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표면 경도가 충분하지 않거나, 수지 기판이 물러지거나 한다. 한편, 그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수지 기판의 표면 평활성을 저해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고무 입자는, 일반적으로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유화 중합에 있어서의 유화제의 첨가량이나 단량체의 주입량 등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중에 고무 입자를 분산시켜 수지 기판으로 하는 경우에는, 양자의 비율은, 아크릴계 수지를 50 ∼ 95 중량부, 고무 입자를 5 ∼ 50 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지는 수지 기판이 물러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그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내열성이나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수지 기판은, 통상의 판 (시트) 이나 필름과 같이 표면이 평면인 것이어도 되고, 볼록 렌즈나 오목 렌즈 등과 같이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수지 기판은, 필요에 따라 착색제, 안료 등에 의해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기판의 두께는, 통상 0.1 ∼ 3.0㎜, 바람직하게는 0.2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1.5㎜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의 수지 기판은 잘 휘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내찰상성 수지판에 적용하면 본 실시형태의 유용성이 보다 향상된다.
수지 기판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은, 구체적으로는 T 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 등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얻어지는 수지 기판의 표면은 평활해도 된다. 평활성의 부여에는, 원료 수지를, 예를 들어 T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여, 얻어지는 판상물의 적어도 일방의 면을, 표면이 경면인 롤 또는 벨트에 접촉시켜 제판 (製板) 하는 방법이, 표면 성상이 양호한 수지 기판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 롤로는, 예를 들어 강성이 높은 금속 롤, 탄성을 갖는 고무 롤, 탄성을 갖는 금속 롤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이들 롤이 적절히 선택 내지 조합되어 사용된다. 또, 다층 구조의 수지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압출기와, 그들로부터 압출되는 수지를 적층하기 위한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나 피드블록 방식 등의 기구를 갖는 공지된 다층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지 기판의 양면에 특정한 경화 피막을 형성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으로 한다. 그 때, 일방의 면의 경화 피막의 형성은,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도료〔이하, 이 경화성 도료를 도료 (A)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타방의 면의 경화 피막의 형성은,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도료〔이하, 이 경화성 도료를 도료 (B)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와 같이 수지 기판의 표리 양면에서 각각 상이한 도료 (A), (B) 를 이용하여 경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부재의 편광판에 접촉되어도 뉴턴링이 소실되기 쉬운,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을 수 있다.
도료 (A), (B) 에 함유되는 경화성 화합물로는, 전자선이나 자외선 등의 활성화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란,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말하며, 그 중에서도 3 관능 이상, 즉 분자 중에 적어도 3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란,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말하고, 그 밖에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등의 「(메트)」도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포스파젠 화합물의 포스파젠 고리에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가 도입된 포스파젠계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카르복실산 할라이드기를 갖는 화합물과,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 상기 각 화합물의 2 량체나 3 량체 등과 같은 올리고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각각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정마찰 계수는,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경화 피막 표면의 정마찰 계수를 측정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상기 정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JIS P8147 에 준거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는 경화 피막은, 정마찰 계수를 0.4 미만,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0.3 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화 피막을 도료 (A) 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도료 (A) 중에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미립자를 첨가하고, 경화 피막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이나, 표면에 미끄러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슬립성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이들 방법은, 어느 일방에만 한정되지 않고,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나 방향족계 단량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외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관능 단량체나 다관능 단량체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0 질량% 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어도 되고,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5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이어도 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질소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메타크릴아미드,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질소 함유 메타크릴계 단량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그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에틸비닐벤젠 등의 단관능 단량체나 디비닐벤젠 등의 다관능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관능 단량체 및 다관능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유기계 미립자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원하는 입자 직경을 얻기 위해서는 유화 중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시한 이들은, 졸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 및 무기계 미립자는,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0.05 ∼ 1㎛ 의 것이 바람직하고, 0.08 ∼ 0.5 ㎛ 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보다 작으면 정마찰 계수를 0.4 미만으로 하기 위해 다량으로 미립자를 첨가할 필요가 있고, 또 1㎛ 보다 크면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적 광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이다.
상기 미립자의 첨가량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5 ∼ 50 중량부이고, 1 ∼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정마찰 계수를 0.4 미만으로 할 수 없고,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미끄러짐성을 부여하는 첨가제로는,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그 실리콘 오일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페닐메틸 실리콘 오일, 알킬·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플루오로 실리콘 오일,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오일, 실란올기 함유 실리콘 오일, 페놀기 함유 실리콘 오일, 메타크릴 변성 실리콘 오일, 아미노 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복실산 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오일,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메르캅토 변성 실리콘 오일, 불소 변성 실리콘 오일,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오일의 사용량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 2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부이다. 이 사용량이 적으면 정마찰 계수를 0.4 미만으로 할 수 없고, 또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 피막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한편, 수지 기판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는 경화 피막의 정마찰 계수는 0.4 이상, 바람직하게는 0.4 ∼ 1.5 이지만, 이와 같은 경화 피막을 도료 (B) 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그 도료 (B) 중에 상기에서 설명한 미립자나 슬립성의 첨가제를 첨가해야 한다.
도료 (B) 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은,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에 필요한 내찰상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스틸울을 사용한 내찰상성을 충족시킴과 함께, 연필 경도가 2H 이상, 바람직하게는 3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필 경도는, JIS K 5600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경화 피막에 소정의 내찰상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료 (B) 에 배합되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조성이나 양, 후술하는 도전성 미립자의 양 등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도료 (B) 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여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기 어렵게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료 (B) 로 형성되는 정마찰 계수 0.4 이상의 피막은, 109 ∼ 1014Ω/□ 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ASTM D-257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값이다.
상기 경화 피막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도료 (B) 에 도전성 미립자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산화 안티몬 (5산화 안티몬) 과 같은 금속 산화물, 인듐/주석의 복합 산화물 (ITO),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 주석 (ATO), 인이 도핑된 산화 주석 (PTO), 안티몬/아연의 복합 산화물 등의 각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예시한 이들은 졸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도전성 미립자는, 그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0.001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은 것은, 공업적인 생산이 어렵고, 상기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큰 것을 사용하면 경화 피막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도료 (B) 에 있어서의 도전성 미립자의 사용량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지는 내찰상성 수지판이 가압되었을 때 균열되기 쉽고, 또한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 피막의 내찰상성이 저하되거나 성막성이 저하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료 (A), (B) 에는, 점도나 경화 피막의 두께 등을 조정하기 위해 용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 용제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sec-부틸알코올), 2-메틸-1-프로판올(이소부틸알코올), 2-메틸-2-프로판올(tert-부틸알코올) 과 같은 알코올류,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3-메톡시-1-프로판올,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알코올류, 디아세톤알코올과 같은 케톨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 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용제의 사용량은 기판의 재질, 형상, 도포 방법, 목적으로 하는 경화 피막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는데, 통상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 10000 중량부 정도이다.
또, 도료 (A), (B) 에는,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불소계, 아크릴계 등의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도료 (A), (B) 를 각각 수지 기판의 편면에 도포한 후, 필요에 따라 건조시키고, 다음으로, 형성된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양 도료의 도포 경화의 순서는 임의적이며,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도료 (A), (B) 의 도포는 필요에 따라 편면에 마스크를 실시하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트법, 롤 코트법, 딥핑 코트법, 스핀 코트법, 다이코트법, 캐스트 전사법, 플로우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도막의 경화는 활성화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활성화 에너지선으로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고, 경화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활성화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광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벤질케탈, 안트라퀴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카르바졸, 크산톤, 4-클로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1-디메톡시데옥시벤조인,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티오크산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트리페닐아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플루오레논, 플루오렌, 벤즈알데히드,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3-메틸아세토페논,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BTTB), 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닐)페닐]-2-(페닐메틸)-1-부타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색소 증감제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색소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크산텐, 티오크산텐, 쿠마린, 케토쿠마린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와 색소 증감제의 조합으로는, 예를 들어 BTTB 와 크산텐의 조합, BTTB 와 티오크산텐의 조합, BTTB 와 쿠마린의 조합, BTTB 와 케토쿠마린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시판되고 있으므로, 그와 같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각각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 에서 판매되고 있는“IRGACURE 651”, “IRGACURE 184”, “IRGACURE 500”,“IRGACURE 1000", “IRGACURE 2959”,“DAROCUR 1173”,“IRGACURE 907”, “IRGACURE 369”, “IRGACURE 1700”, “IRGACURE 1800”, “IRGACURE 819” 및 “IRGACURE 784”, 각각 닛폰 화학 (주) 에서 판매되고 있는 “KAYACURE ITX”, “KAYACURE DETX-S”, “KAYACURE BP-100”, “KAYACURE BMS” 및 “KAYACURE 2-EAQ”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1 중량부 이상이다. 이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경화 속도가 커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의 상한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10 중량부 정도이다.
또, 활성화 에너지선의 강도나 조사 시간은 경화성 화합물의 종류나 그 도막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활성화 에너지선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조사해도 되고, 이 불활성 가스로는, 질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형성되는 경화 피막의 두께는 각각 1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8㎛ 이다. 이 두께가 지나치게 작으면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크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었을 때,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경화 피막의 두께는, 수지 기판의 표면에 도포하는 경화성 도료의 면적 당 양이나 경화성 도료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찰상성 수지판은, 일방의 면에 액정 부재의 편광판에 접촉되어도 뉴턴링이 소실되기 쉬운 경화 피막을 갖고, 또한 타방의 면에 내찰상성이 높은 경화 피막을 갖고 있는 점에서, 휴대 전화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카메라나 핸디형 비디오 카메라 등의 파인더부, 휴대형 게임기의 표시창 보호판 등의 각종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내찰상성 수지판으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에 따라 인쇄, 펀칭 등의 가공을 하여, 필요한 크기로 절단 처리한다. 다음으로, 절단 처리한 내찰상성 수지판을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에 세팅한다. 이 때, 도료 (A) 에 의해 경화 피막이 형성된 면을 이측 (즉 액정면측) 으로 하여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에 세팅하면 그 표시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 각 물성의 측정 방법,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경 측정)
조제된 경화성 도료 중의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 (이하, 입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동적 광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주) 호리바 제작소사 제조의 「LB-5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화 피막의 두께)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의 경화 피막의 두께는, 막 두께 측정 장치〔Filmetr ics 사 제조의 「F-2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정마찰 계수)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의 경화 피막의 정마찰 계수는, JISP8147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 α 을 15 도로 받침대 (1) 상에 A4 사이즈의 평가 샘플 (10) 을 세팅하였다. 평가 샘플 (10) 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지는 수지 기판 (11) 의 양면에 경화 피막 (12, 13) 이 형성된 것으로서, 정마찰 계수를 평가하는 측의 경화 피막 (도면 중에는 경화 피막 (12)) 을 위로 하여 받침대 (1) 상에 세팅하였다.
한편, 무게 500g, 접촉 면적 100 × 60㎟ 의 추 (20) 에, 동 사이즈의 두께 0.5㎜ 의 수지 기판 (21)〔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내충격 아크릴 수지 「테크노로이 S001A」〕를 양면 테이프로 부착한 것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수지 기판 (21) 이 경화 피막 (12) 과 접하도록 추 (20) 를 평가 샘플 (10) 상에 탑재하고, 추 (20) 가 평가 샘플 (10) 상을 미끄러지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미끄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경사각 (a) 을 15 도 보다 크게 하고,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각도, 즉 미끄러짐각 θ (도) 를 구하였다. 그리고, 구한 미끄러짐각 θ 을 식 : 정마찰 계수 = tanθ 에 적용시켜 정마찰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내충격 아크릴 수지끼리에서는, 미끄러짐각 θ 는 62 도이고, 정마찰 계수는 1.88 이었다.
(편광판 가압 시험)
아크릴판 상에 편광판을 2 매 크로스하는 형태로 점착제로 부착하고, 그 위에 100 × 150㎟ 의 구멍을 뚫은 두께 0.5㎜ 의 아크릴 시트를 탑재하였다. 그 위에 평가하는 경화 피막이 편광판측이 되도록 평가 샘플을 탑재하고, 구멍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평가 샘플을 손가락으로 눌러 뉴턴링을 발생시켰다. 그리고, 발생한 뉴턴링이 10 초 이내에 소실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판정 기준은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 : 뉴턴링이 소실되었다.
× : 뉴턴링이 남았다.
(투명성)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의 투명성을 전체 광선 투과율 (Tt) 및 헤이즈 (H) 에 의해 평가하였다. 전체 광선 투과율 (Tt) 은 JIS K7361-1 에 준거하고, 헤이즈 (H) 는 JIS K7136 에 준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내찰상성)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의 경화 피막의 표면을, 스틸울 #0000 [닛폰 스틸울 (주) 제조〕으로 500g/㎠ 의 하중을 가하여 10 왕복시켜, 스크래치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연필 경도)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의 연필 경도는, JIS K 5600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률)
편광판 가압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면의 경화 피막의 표면 저항률을 ASTM D-257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가압 시험)
외형 60 × 100㎜, 내경 30 × 50㎜ 의 금속제의 프레임에 55 × 85㎜ 의 시험편을 배치하고, 직경 10㎜ 의 구상 선단을 갖는 금속봉으로, 시험편의 중앙을 10㎜/분의 속도로 가압하여, 시험편이 파괴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은 3 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 결과로 하였다. 또한, 편광판 가압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면의 경화 피막이 금속봉에 의해 눌러지도록 시험편을 배치하였다. 또, 이 가압 시험은, 후술하는 실시예 2, 5, 6, 8 ∼ 13 에서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경화성 도료 (A1 ∼ A8) 는,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또한, 경화성 도료 (A1 ∼ A8) 의 조제에 사용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 신나카무라 화학공업 (주) 제조의 「NK 에스테르 A-9530」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 신나카무라 화학공업 (주) 제조의 「NK 에스테르 A-TMMT」
·광중합 개시제 :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 제조의 「IRGACURE 184」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의 유기계 미립자 「테크폴리머 XX284K」
·실리콘 오일 : 빅케미·재팬 (주) 제조의 「BYK307」
·실리카 졸 : 쇼쿠바이 화성공업 (주) 제조의 무기계 미립자 ; 고형분 농도 20%
(경화성 도료 (A1)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3.75부, 1-메톡시-2-프로판올 33.8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1)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2)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3.7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3.9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2)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3)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3.7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4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3)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4)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3.7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4 부 및 이소부틸알코올 36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4)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5)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7.7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5) 를 조제하였다.
(경화성 도료 (A6)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2.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5.1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코 오일 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6)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7)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 1.2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6.4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7)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 중의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9㎛ 이었다.
(경화성 도료 (A8)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5 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5 부, 광중합 개시제 1.25 부, 실리카 졸 12.5 부, 1-메톡시-2-프로판올 25.1 부, 이소부틸알코올 36 부 및 실리콘 오일 0.125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A8)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를 호모믹서로 6000rpm 으로 5 분간 교반한 후,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29㎛ 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경화성 도료 (B) 는,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경화성 도료 (B) 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공업 (주) 제조의 「NK 에스테르 A-DPH」〕20 부, 광중합 개시제〔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 제조의 「IRGACURE 184」〕1 부, 5산화 안티몬 미립자 졸〔쇼쿠바이 화성공업 (주) 제조의 「ELCOM V-4514」; 고형분 농도 20%〕8 부, 1-메톡시-2-프로판올 35.5 부, 이소부틸알코올 35.5 부 및 실리콘 오일〔빅케미·재팬 (주) 제조의 「BYK 307」〕0.01 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도료 (B)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료를 호모믹서로 6000rpm 으로 5 분간 교반한 후, 미립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0.04㎛ 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적층판 (1, 2) 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적층판 (1) 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스미토모 다우 (주) 제조의 「카리바 301-10」〕를 40㎜φ 의 1 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또, 메타크릴 수지〔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스미펙스 MH」〕를 20㎜φ 의 1 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리고, 양자를 피드블록을 개재하여 2 층화하고, T 형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2 개의 금속 강성 폴리싱롤 간에 뱅크를 형성하면서 끼워 넣고 성형·냉각시켜, 두께 0.5㎜ 의 2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적층판 (1) 을 얻었다. 그 때, 각 층의 두께는, 메타크릴 수지층/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 0.07㎜/0.43㎜ 로 하였다.
(적층판 (2) 의 제조)
먼저,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 수지〔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스미펙스 MH」〕와, 아크릴계 고무 입자를 중량 비율이 94/6 이 되도록 슈퍼 믹서로 혼합하고, 2 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 입자로는,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 93.8% 와 아크릴산메틸 6% 와 메타크릴산알릴 0.2%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경질 중합체이고,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 81% 와 스티렌 17% 와 메타크릴산알릴 2%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탄성 중합체이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 94% 와 아크릴산메틸 6%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경질 중합체이며, 최내층/중간층/최외층의 중량 비율이 35/45/20 이고, 중간층의 탄성 중합체층의 평균 입자 직경이 220㎚ 인 유화 중합법에 의한 구형 3 층 구조의 고무 입자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스미토모 다우 (주) 제조의 「카리바 301-10」〕를 40㎜φ 의 1 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또, 상기에서 얻은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20㎜φ 의 1 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리고, 양자를 피드블록을 개재하여 양 표층이 메타크릴 수지가 되도록 3 층화하고, T 형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2 개의 금속 강성 폴리싱롤 간에 뱅크를 형성하면서 끼워 넣고 성형·냉각시켜, 두께 0.5㎜ 의 3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적층판 (2) 을 얻었다. 그 때, 각 층의 두께는, 메타크릴 수지층/폴리카보네이트 수지리/메타크릴 수지층 = 0.07㎜/0.36㎜/0.07㎜ 로 하였다.
실시예 1
두께 0.5㎜ 의 수지 기판〔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내충격 아크릴 수지 「테크노로이 S001A」, 단층판〕의 일방의 면에 경화성 도료 (A1) 를 막 두께가 6㎛ 가 되도록 No.16 의 바 코터로 도공(塗工)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시키고, 다시 45℃ 의 열풍 오븐 내에서 6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다음으로, 타방의 면에 경화성 도료 (B) 를 막 두께가 3㎛ 가 되도록 No.20 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50℃ 의 열풍 오븐 내에서 3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1)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미립자」의 란에, 액정면측의 경화 피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한 경화성 도료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과 그 첨가량을 나타내었다. 상기 첨가량은, 경화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한 값이다. 또, 표 1 중의 「표측」이란, 액정면측과 반대측인 면, 즉 경화성 도료 (B) 를 도공한 면을 의미한다.
실시예 2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2)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3)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3)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4)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6)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6)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7)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8)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8)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경화성 도료 (A1) 대신에 경화성 도료 (A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5)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두께 0.5㎜ 의 수지 기판〔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내충격 아크릴 수지 「테크노로이 S001A」〕의 양면에 경화성 도료 (B) 를 막 두께가 3㎛ 가 되도록 No.20 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50℃ 의 열풍 오븐 내에서 3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처음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내찰상성 수지판으로서, 두께 0.5㎜ 의 수지 기판〔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내충격 아크릴 수지 「테크노로이 S001A」〕의 양면에 동일 조성의 하드 코트 처리한, 시판되는 하드 코트판〔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의 「스미에렉 FT200R」〕을 사용하였다. 이 하드 코트판의 일방의 면을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적층판 (1)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측의 면에 경화성 도료 (A2) 를 막 두께가 4㎛ 가 되도록 No.16 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45℃ 의 열풍 오븐 내에서 6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다음으로, 메타크릴 수지층측의 면에 경화성 도료 (B) 를 막 두께가 3㎛ 가 되도록 No.20 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50℃ 의 열풍 오븐 내에서 3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2)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6)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6)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와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7)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5)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적층판 (2) 의 일방의 면에 경화성 도료 (A2) 를 막 두께가 4㎛ 가 되도록 No.16 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45℃ 의 열풍 오븐 내에서 6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다음으로, 타방의 면에 경화성 도료 (B) 를 막 두께가 3㎛ 가 되도록 No.20의 바 코터로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다시 50℃ 의 열풍 오븐 내에서 3 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120W 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0.5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1)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6)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6)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7)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경화성 도료 (A2) 대신에 경화성 도료 (A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내찰상성 수지판을 얻었다. 얻어진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하여 경화성 도료 (A5) 를 도공한 면이 액정면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표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 (액정면측) 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면 (표측) 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실시예 1 ∼ 13 의 내찰상성 수지판은, 편광판 가압의 결과가 모두 양호하고, 경화 피막이 편광판에 접촉되어 뉴턴링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뉴턴링을 소실시켜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투명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지 기판으로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판 (1, 2) 을 사용한 실시예 8 ∼ 13 은, 가압 시험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수지 기판에 소정의 적층판을 사용하면 균열되기 어려운 내찰상성 수지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미립자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경화성 도료 (A5) 를 사용하여 액정면측의 경화 피막을 형성한 비교예 1, 4 및 5 의 내찰상성 수지판, 및 시판되는 하드 코트판인 비교예 3 은, 모두 액정면측의 경화 피막의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으로 편광판 가압의 결과는 나빴다.
경화성 도료 (B) 를 이용하여 액정면측의 경화 피막을 형성한 비교예 2 의 내찰상성 수지판에 대해서도 액정면측의 경화 피막의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이고, 편광판 누름 결과는 나빴다.
또한,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 ∼ 5 의 각 내찰상성 수지판에 있어서, 표측에 위치하는 경화 피막의 내찰상성의 평가 결과는, 어느 경화 피막 표면에도 스크래치는 없어 양호하였다. 또, 각 내찰상성 수지판에 있어서의 연필 경도의 측정 결과는, 액정면측 및 표측 모두 3H 이었다. 각 내찰상성 수지판에 있어서의 표측에 위치하는 경화 피막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 결과는, 실시예 1 ∼ 13, 비교예 1, 2, 4 및 5 는 6 × 1011Ω/□ 이고, 비교예 3 은 3 ×1011Ω/□ 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을 형성하므로, 그 경화 피막이 액정 부재의 편광판에 접촉되어 뉴턴링이 발생하더라도, 그 경화 피막이 편광판 상을 미끄러짐으로써 편광판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뉴턴링이 소실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뉴턴링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그것을 소실시킬 수 있어 화상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타방의 면에는 소정의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내찰상성 수지판을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그 표시창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8)

  1. 수지 기판의 일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면에, 상기 수지 기판에 대한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내찰상성 수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마찰 계수가 0.4 이상인 경화 피막이 109 ∼ 1014Ω/□ 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 내찰상성 수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판의 두께가 0.3 ∼ 1.5㎜ 인 내찰상성 수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판이 아크릴계 수지판인 내찰상성 수지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판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크릴 수지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판인 내찰상성 수지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판이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내찰상성 수지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찰상성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마찰 계수가 0.4 미만인 경화 피막이 형성된 면을, 액정면측을 향해 설치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KR1020090024989A 2008-03-27 2009-03-24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KR20090103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89A KR20090103758A (ko) 2008-03-27 2009-03-24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4428 2008-03-27
JPJP-P-2008-325899 2008-12-22
KR1020090024989A KR20090103758A (ko) 2008-03-27 2009-03-24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758A true KR20090103758A (ko) 2009-10-01

Family

ID=4153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89A KR20090103758A (ko) 2008-03-27 2009-03-24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7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6983B2 (ja) 耐擦傷性樹脂板及びその用途
KR20040038689A (ko) 필름 및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보호판
JP6530583B2 (ja) 樹脂積層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擦傷性樹脂積層板
KR20100091118A (ko) 터치 패널용 적층 압출 수지판 및 터치 패널용 표면 도포판
CN104487497A (zh) 硬涂膜
KR20130040840A (ko) 방현성 필름,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7190794A (ja) 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KR20090102653A (ko)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 용도
JP2013086273A (ja) 樹脂板、それを用いた耐擦傷性樹脂板、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用保護板、タッチパネル用保護板、および樹脂板の製造方法
JP5176749B2 (ja) 耐擦傷性樹脂板及びその用途
KR20100107402A (ko) 내찰상성 수지판,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보호판 및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JP2008297350A (ja) 耐擦傷性樹脂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JP2012006321A (ja) ディスプレイ保護用樹脂板
JP2009255521A (ja) 耐擦傷性樹脂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JP2012051118A (ja) 耐擦傷性樹脂板及びその用途
JP2011148168A (ja) 液晶ディスプレイ保護用積層板
JP2012121143A (ja) 積層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耐擦傷性樹脂板、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保護板
JP2009255522A (ja) 耐擦傷性樹脂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JP2011207046A (ja) 樹脂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耐擦傷性樹脂板、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JP2011148130A (ja) 耐擦傷性樹脂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KR20090103758A (ko)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JP2013195483A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JP201107422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用硬化性塗料
JP6095210B2 (ja) 樹脂積層板
KR20090103753A (ko) 내찰상성 수지판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