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215A - 광학용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용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215A
KR20120014215A KR1020117030686A KR20117030686A KR20120014215A KR 20120014215 A KR20120014215 A KR 20120014215A KR 1020117030686 A KR1020117030686 A KR 1020117030686A KR 20117030686 A KR20117030686 A KR 20117030686A KR 20120014215 A KR20120014215 A KR 2012001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frequency
meth
optics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590B1 (ko
Inventor
도모히데 반바
히로아끼 기시오까
다까히로 노나까
마사또모 나쯔이
히로아끼 후모또
쇼오 다까라다
다까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3563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142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광학 부재에 적용되었을 때에, 오동작의 원인으로 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며,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이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광학용 점착 시트 {OPTICAL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표시 장치나, 터치 패널 등의 상기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입력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들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제조 등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에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화상 표시 방식의 트렌드로서 터치 패널식의 것이 활발하게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투명 부재를 접합하는 목적 외에 절연층으로서 점착제층(점착제에 의한 층)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였을 때, 그 위치의 출력 신호가 변화하고, 그 신호의 변화량이 일정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센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정전 용량의 값이 일정값에서 안정되지 않으면 오동작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52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점착제층이 사용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표시 장치 등의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기인하여 신호가 크게 변동된 경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부재에 적용되어도 광학 부재의 기능이나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의 투명 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터치 패널로 한 경우의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특정한 범위이고,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특정 범위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하면, 광학 부재의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광학 부재에 있어서 요구되는 감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것,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된 경우에,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그 감도를 손상시키는 일도 없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며,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60% 이상인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이 0.15 이하인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 정밀도가 10% 이하인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서 형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자외선 조사에 의한 자외선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정전 용량 방식인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 따르면, 상기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광학 부재에 적용되어도 광학 부재의 기능이나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의 투명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어도 터치 패널로 한 경우의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0.2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목적 외에 절연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고 있으며, 테이프 형상 및 시트 형상 중 어느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를 갖지 않는 무(無)기재 타입이어도 되고, 기재(기재층)를 갖는 기재 부착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편면만이 점착성을 갖는 편면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양면이 점착성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적층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기재층)」에는 점착 시트 사용 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에 적용되었을 때에 광학 부재의 기능이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의 센싱의 감도와 안정성의 관점에서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5 내지 6.5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미만이면 터치 패널의 센싱에 필요한 정전 용량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받기 쉬워져 센싱의 시그널과 노이즈의 비율이 저하하므로 오동작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8을 초과하면, 정전 용량값이 지나치게 커져 신호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쉬워져 센싱의 감도가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에 터치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2 이하(예를 들어 0 초과 0.2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15 이하(예를 들어 0 초과 0.15 이하)이다.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의 값이 0.2를 초과하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에 전기 에너지의 손실이 커져, 패널 구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의 터치 패널의 동작 안정성의 관점에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은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70% 이상이다.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60% 미만이면, 터치 패널 내의 신호의 주파수가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크게 변화한 경우, 유전율이 크게 변화하여 정전 용량값도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센싱은 불안정해지고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서는,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의 터치 패널의 동작 안정성의 관점에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은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은 0.12 이하이다.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이 0.15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 신호의 주파수의 큰 변화에 의해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은 JIS K 6911에 준하여 구해진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서는, 두께 정밀도(두께의 편차)는,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의 터치 패널의 동작 안정성의 관점에서, 목적으로 하는 두께에 대하여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두께 정밀도가 10%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의 변화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 출력 신호의 변화로 되어 오동작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두께 정밀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50mm×75mm의 범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5점 설정하고, 각 측정점에 있어서 1/1000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각 측정점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최대 두께와 목적으로 하는 두께의 차를, 목적으로 하는 두께로 나눈 수치를 퍼센트 표시한 값(하기 수학식 1 참조), 및 최소 두께와 목적으로 하는 두께의 차를, 목적으로 하는 두께로 나눈 수치를 퍼센트 표시한 값(하기 수학식 2 참조)을 구한다. 그리고, 전자의 절대값 및 후자의 절대값을 대비하여, 그 수치가 큰 쪽의 값을 두께 정밀도(%)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시인성의 점에서 높은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 7361에 준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값(JIS K 7136에 준함)은, 예를 들어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은, 예를 들어 헤이즈미터(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제,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공지된 점착제(감압성 접착제)(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등)에서의 베이스 중합체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 중의 베이스 중합체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60중량% 이상(예를 들어 60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이다.
투명성, 가공성,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베이스 중합체로서는 공지된 아크릴계 점착제나 폴리에테르계 점착제에서의 베이스 중합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에서의 베이스 중합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계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계 중합체로서는, 그 중에서도 중합체의 주쇄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알킬렌기이다.)
R1은 탄소수 1 내지 14, 나아가 2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CH2O-, -CH2CH2O-, -CH2CH(CH3)O-, -CH2CH(C2H5)O-, -CH2C(CH3)2O-, -CH2CH2CH2CH2O-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계 중합체의 주쇄 골격은 1종류만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져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져도 된다. 특히, 입수성, 작업성의 점에서 -CH2CH(CH3)O-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체의 주쇄에는 옥시알킬렌기 이외의 반복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중합체 중의 옥시알킬렌 단위의 총합은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폴리옥시알킬렌계 중합체는 직쇄상의 중합체이어도 되고 분지를 갖는 중합체이어도 되며,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양호한 점착성을 얻기 위하여 직쇄상의 중합체를 5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이하, 간단히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내며,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를 병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병용하는 경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보다 많아도 되고 적어도 되며, 또한 동일하여도 된다.
상기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인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0인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이다.
상기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 4-에톡시부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2MEA)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70중량% 이상(예를 들어 70 내지 10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예를 들어 80 내지 10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예를 들어 90 내지 100중량%)이다.
또한, 베이스 중합체인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 외에, 극성기 함유 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나 그 밖의 공중합성 단량체가 공중합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무수 말레산 등);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외에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산 무수물,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AA), 메타크릴산(MA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2HEA), 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HHA),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4HBA), N-비닐-2-피롤리돈(NVP), N-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등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40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이다. 함유량이 40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응력 완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함유량이 0.01중량% 미만으로 지나치게 적으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하여 점착 성능이 저하한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예를 들어, 0.001 내지 5중량%)이다. 함유량이 5중량%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응력 완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성 단량체(그 밖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나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전술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의 단량체 성분을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이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광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특히 비교적 두꺼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자외선 조사에 의한 자외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중합(광중합) 시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용액 중합 시에는 각종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포함된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 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열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는 가교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가교제가 사용되고 있으면,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시켜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것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나 에폭시계 가교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밖에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등도 사용된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제, 상품명 「테트래드 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부이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중량부이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계 가교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이다.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제(예를 들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 노화 방지제, 충전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공지 관용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베이스 중합체의 중합 방법 등에 의해서도 상이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혼합물(단량체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및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점착제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또는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도포 시공)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2) 베이스 중합체, 용제,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점착제 조성물,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기재 또는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도포 시공)하고, 건조 및/또는 경화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1) 및 (2)의 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가열ㆍ건조 공정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란,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물」이란,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구성 성분 중 1 또는 2 이상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되어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라고 하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에서의 도포(도포 시공)에는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이다.
(기재)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타입인 경우,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JSR사제)」,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닛본 제온사제)」 등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재」란, 광학용 점착 시트를 피착체(광학 부재 등)에 사용(부착)할 때에는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광학용 점착 시트의 사용 시(부착 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는 「기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기재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학용 점착 시트에서 높은 투명성을 얻는 점에서 투명 기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란, 예를 들어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 7361에 준함)이 85% 이상인 기재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기재를 말한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PET 필름이나 상품명 「아톤」, 상품명 「제오노아」 등의 무배향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2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단층 및 복층의 어느 형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기재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의 적당한 공지 내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는 광학 부재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재 및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은, 사용 시까지는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광학용 점착 시트의 각 점착면은 2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 1매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박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가 무(無)기재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의 지지체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 불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에서의 불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ㆍ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에서의 무극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두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용 점착 시트)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절연층으로서 작용하고, 신호의 주파수의 변화나 환경(온도,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가 억제된 점착제층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층에 있어서 두께 정밀도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투명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광학 부재 접합용)나 광학 제품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된다.
상기 광학 부재란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의 기기(광학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등),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 필름,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나아가 이것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판」 및 「필름」은 각각 판 형상,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편광판」은 「편광 필름」, 「편광 시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널(특히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광학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예를 들어,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 판 형상의 부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광학 부재」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착체인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장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 의한 광학 부재의 접합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끼리 접합하는 형태, (2)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를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형태이어도 되고, (3)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3)의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기재가 광학 부재(편광 필름을 비롯한 광학 필름 등)인 광학용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부재의 표면(적어도 편면)에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부착, 적층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함)을 갖는 점착형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의 개략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고, 11은 투명 보호 렌즈이고, 12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고, 13a는 ITO 유리 기판이고, 13b는 ITO막(투명 도전막)이고, 14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1)은 「투명 보호 렌즈(11)」와 「ITO막(13b)이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ITO 유리 기판(13a)」이 광학용 점착 시트(12)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또한 「ITO막(13b)이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ITO 유리 기판(13a)」과 「액정 디스플레이(14)」가 광학용 점착 시트(12)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1)에서는 ITO 유리 기판(13a)의 양면에 ITO막(13b)이 설치되어 있는 타입이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는 ITO 유리 기판의 편면에 ITO막이 설치되어 있는 타입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광학용 점착 시트에서 절연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신호의 주파수의 변화나 환경(온도,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가 적고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도가 좋고 동작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광학용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시인성도 우수하다.
(광학 기기)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기기에는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광학 기기에서는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광학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기기는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감도가 좋고 동작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인성도 우수하다.
광학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특히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5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2,2-디메톡시-1,2-디페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중합함으로써 중합률 10%의 부분 중합물(단량체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고형분 75중량%)을 고형분 환산으로 0.1중량부 첨가한 후, 이것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작)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150㎛로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층 상에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가 38㎛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을 접합하고 나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의 면 위로부터 램프 직하에서의 조사면의 강도가 5mW/cm2로 되도록 램프 높이를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광량으로 3600mJ/cm2 조사될 때까지 중합을 행하여 두께 150㎛의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9중량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아크릴산 3중량부, 2,2-디메톡시-1,2-디페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중합함으로써 중합률 10%의 부분 중합물(단량체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01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것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작)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150㎛로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층 상에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을 접합하고 나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의 면 위로부터 램프 직하에서의 조사면의 강도가 5mW/cm2로 되도록 램프 높이를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광량으로 3600mJ/cm2 조사될 때까지 중합을 행하여 두께 150㎛의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8중량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4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6중량부,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2중량부, 2,2-디메톡시-1,2-디페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중합함으로써 중합률 10%의 부분 중합물(단량체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01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것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작)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150㎛로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층 상에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을 접합하고,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의 면 위로부터 램프 직하에서의 조사면의 강도가 5mW/cm2로 되도록 램프 높이를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광량으로 3600mJ/cm2 조사될 때까지 중합을 행하여 두께 150㎛의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26중량부,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4중량부, 2,2-디메톡시-1,2-디페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시바 재팬사제)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중합함으로써 중합률 10%의 부분 중합물(단량체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0.01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것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작)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180㎛로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층 상에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을 접합하고,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의 면 위로부터 램프 직하에서의 조사면의 강도가 5mW/cm2로 되도록 램프 높이를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광량으로 3600mJ/cm2 조사될 때까지 중합을 행하여 두께 180㎛의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8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64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 100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약 60℃에서 반응시켜 얻은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고형분 75중량%)을 고형분 환산으로 1중량부 배합하고, 이것을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여 가열 건조하고, 그 위에(도포층 상에) 편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을 접합하여 두께 30㎛의 아크릴계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유전율, 유전 정접, 두께 정밀도, 투과율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율, 유전 정접)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을 JIS K 6911에 준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용량법(장치: Agilent Technologies 4294A Precision Impedance Analyzer 사용)
전극 구성: 12.1mmΦ, 0.5mm 두께의 알루미늄판
대향 전극: 3oz 동판
측정 환경: 23±1℃, 52±1% RH
표 1에 있어서, [A]는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고, [B]는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이고, [C]는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이고, [D]는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이다.
또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의 측정값,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측정값으로부터,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의 백분율(%)을 하기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100
그리고,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의 백분율(%)을 표 1의 「[A]/[B]」의 란에 나타내었다.
또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측정값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측정값으로부터,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을 표 1의 「[C]-[D]」의 란에 나타내었다.
(두께 정밀도)
두께 정밀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50mm×75mm의 범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5점 설정하고, 각 측정점에 있어서 1/1000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각 측정점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최대 두께와 목적으로 하는 두께의 차를, 목적으로 하는 두께로 나눈 수치를 퍼센트 표시한 값(하기 수학식 1 참조), 및 최소 두께와 목적으로 하는 두께의 차를, 목적으로 하는 두께로 나눈 수치를 퍼센트 표시한 값(하기 수학식 2 참조)을 구한다. 그리고, 전자의 절대값 및 후자의 절대값을 대비하여, 그 수치가 큰 쪽의 값을 두께 정밀도(%)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4
<수학식 2>
Figure pct00005
(가시광선 투과율)
헤이즈미터(장치명 「HM-150」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6
실시예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제작한 바, 실시예를 사용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센싱의 감도나 안정성이 우수하여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광학 부재 접합용)나 광학 제품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된다. 특히,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11: 투명 보호 렌즈
12: 광학용 점착 시트
13a: ITO 유리 기판
13b: ITO막
14: 액정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며,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주파수 1M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율의 60% 이상인, 광학용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파수 1.0×106Hz에서의 유전 정접과 주파수 1.0×104Hz에서의 유전 정접의 차의 절대값이 0.15 이하인, 광학용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정밀도가 10% 이하인, 광학용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광학용 점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서 형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자외선 조사에 의한 자외선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이 정전 용량 방식인, 광학용 점착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
KR1020117030686A 2009-06-18 2010-06-10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344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5392 2009-06-18
JP2009145392 2009-06-18
PCT/JP2010/059842 WO2010147047A1 (ja) 2009-06-18 2010-06-10 光学用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215A true KR20120014215A (ko) 2012-02-16
KR101344590B1 KR101344590B1 (ko) 2013-12-26

Family

ID=4335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686A KR101344590B1 (ko) 2009-06-18 2010-06-10 광학용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094037A1 (ko)
JP (3) JP6296674B2 (ko)
KR (1) KR101344590B1 (ko)
CN (1) CN102803419B (ko)
TW (1) TWI441891B (ko)
WO (1) WO201014704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35A (ko) * 2012-03-09 2013-09-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제,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 시트 및 터치 패널 장치
WO2013157691A1 (ko) * 2012-04-19 2013-10-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용 유전 점착필름
KR20140016827A (ko) * 2012-07-31 2014-02-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방사선 경화형 점착 시트 및 적층체
KR20140095922A (ko) * 2013-01-25 2014-08-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전 점착필름 및 전자종이용 디스플레이 소자
KR20160032778A (ko) * 2014-09-16 2016-03-25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6674B2 (ja) * 2009-06-18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156880B1 (ko) * 2010-02-26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6033543B2 (ja) * 2010-12-15 2016-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2138016A (ja) * 2010-12-27 2012-07-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部材
JP5758647B2 (ja) * 2011-02-17 2015-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333873B1 (ko) * 2011-03-17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전극 필름 구조 및 터치 스크린
JP5469194B2 (ja) * 2011-05-02 2014-04-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5932857B2 (ja) * 2011-05-02 2016-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3001761A (ja) * 2011-06-14 2013-01-07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5797025B2 (ja) * 2011-06-20 2015-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JP2013032500A (ja) * 2011-06-30 2013-02-1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271470B1 (ko) * 2011-08-08 2013-06-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용 유전 점착필름
JP5278628B1 (ja) * 2011-09-20 2013-09-04 Dic株式会社 金属面貼付用粘着シート
JP5426715B2 (ja) 2011-09-30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5945393B2 (ja) 2011-09-30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3129704A (ja) * 2011-12-20 2013-07-04 Nitto Denko Corp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3129789A (ja) * 2011-12-22 2013-07-04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3133440A (ja) * 2011-12-27 2013-07-08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3186808A (ja) * 2012-03-09 2013-09-19 Lintec Corp タッチパネル部材貼付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部材貼付用粘着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6038469B2 (ja) * 2012-03-21 2016-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30142405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049055B2 (ja) * 2012-08-08 2016-12-21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6057600B2 (ja) * 2012-08-09 2017-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CN103885651A (zh) * 2012-12-21 2014-06-25 苏州市健邦触摸屏技术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电容式触摸屏
JP5901548B2 (ja) * 2013-01-17 2016-04-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CN105051141B (zh) 2013-02-28 2018-01-30 综研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接剂组合物、光学用粘接片、图像显示装置和输入输出装置
JP5689931B2 (ja) * 2013-03-13 2015-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粘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TWI621983B (zh) * 2013-03-13 2018-04-21 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靜電電容式觸控面板
JP5926444B2 (ja) * 2013-03-13 2016-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20140267944A1 (en) * 2013-03-14 2014-09-18 FiftyThree Inc. Optically transparent film composites
KR101775186B1 (ko) * 2013-04-05 2017-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50038988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서
WO2015076087A1 (ja) * 2013-11-20 2015-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5105286A (ja) * 2013-11-28 2015-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US20150185767A1 (en) * 2013-12-27 2015-07-02 Arvind S. Electronic devices with integrated lenses
CN106062111B (zh) * 2014-03-07 2020-02-28 琳得科株式会社 飞散防止粘着片
US9977262B2 (en) * 2014-03-12 2018-05-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chromic lens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I612235B (zh) * 2014-05-08 2018-01-21 鍋屋百泰股份有限公司 聯結器
JP6267340B2 (ja) * 2014-07-16 2018-0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6526951B2 (ja) * 2014-08-29 2019-06-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学的に透明な接着剤及び光学積層体
JP6077620B2 (ja) * 2014-09-30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KR102567206B1 (ko) 2015-06-03 2023-08-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아크릴-기반 가요성 조립체 층
US10752810B2 (en) 2015-06-03 2020-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ssembly layer for flexible display
CN106339116B (zh) * 2015-07-11 2023-07-14 宸新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JP6248996B2 (ja) * 2015-09-07 2017-12-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部材積層体の製造方法
JP6320358B2 (ja) * 2015-09-29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付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872869B2 (ja) * 2016-08-10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10800944B2 (en) * 2016-08-10 2020-10-13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651209B (zh) 2016-10-27 2019-02-2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聚合物發泡膠帶以及包含此膠帶的壓感式觸控面板
TWI658941B (zh) * 2016-10-27 2019-05-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聚合物發泡膠帶以及包含此膠帶的壓感式觸控面板
JP7199773B2 (ja) 2016-10-27 2023-01-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KR102564340B1 (ko) 2016-12-02 2023-08-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저 유전 접착제
JP6377292B1 (ja) * 2018-04-03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付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9206629A (ja) * 2018-05-29 2019-12-0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63566B2 (ja) * 2018-07-24 2019-08-21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付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828646B (zh) * 2018-12-26 2024-01-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光學薄膜用黏著劑組成物、光學薄膜用黏著劑層及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
KR20210107756A (ko) * 2018-12-26 2021-09-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및, 점착제층 구비 광학 필름
JP2023097357A (ja) 2021-12-27 2023-07-07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共重合体、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粘着シート
TW202401104A (zh) * 2022-05-20 2024-01-01 日商綜研化學股份有限公司 內嵌型液晶面板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2221A (en) * 1993-11-10 1997-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good low energy surface adhesion
US5427851A (en) * 1994-02-16 1995-06-27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adhesive coated product
JPH08311418A (ja) * 1995-05-23 1996-11-26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H0990125A (ja) * 1995-09-22 1997-04-04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及び楕円偏光板粘着シート
JP4383531B2 (ja) * 1998-01-16 2009-12-16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ト類とその製造方法
CN1137028C (zh) * 1998-11-20 2004-02-04 琳得科株式会社 压敏粘合片及其使用方法
JP3455687B2 (ja) * 1998-11-20 2003-10-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接着性組成物
JP2001243016A (ja) * 2000-03-01 2001-09-07 Nitto Denko Corp ペン入力用タッチパネル
JP3755809B2 (ja) * 2000-10-27 2006-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波透過性外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8937B2 (ja) * 2001-05-07 2011-10-0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
JP3932328B2 (ja) * 2001-08-03 2007-06-20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の製造法
JP2003268052A (ja) * 2002-03-15 2003-09-25 Toyobo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反応型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粘接着剤、及び積層体
JP4151828B2 (ja) * 2002-05-29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362570B2 (ja) * 2002-12-27 2009-11-11 綜研化学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るタッチパネル
JP2004263084A (ja) * 2003-03-03 2004-09-24 Nitto Denko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の直貼り用粘着剤
US7285313B2 (en) * 2004-01-20 2007-10-23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JP3916638B2 (ja) * 2004-12-02 2007-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11985B2 (ja) * 2005-02-16 2012-04-0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の製造方法
JP4744179B2 (ja) * 2005-04-11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シート類
JP5066672B2 (ja) * 2005-12-15 2012-11-07 綜研化学株式会社 光重合性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粘着シート
JP4780766B2 (ja) * 2006-03-27 2011-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667471B2 (ja) * 2007-01-18 2011-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4531099B2 (ja) * 2007-09-0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製品、ディスプレイ
EP2033998B1 (en) * 2007-09-06 2010-11-10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duct using the same, and display using the product
JP2009075229A (ja) * 2007-09-19 2009-04-09 Fuji Xerox Co Ltd 表示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101447311B1 (ko) * 2007-09-20 2014-10-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JP5099893B2 (ja) * 2007-10-22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6296674B2 (ja) * 2009-06-18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725760B2 (ja) * 2010-08-19 2015-05-27 大同化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に用いるアクリル系高分子化合物
JP6033543B2 (ja) * 2010-12-15 2016-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3129704A (ja) * 2011-12-20 2013-07-04 Nitto Denko Corp 光学用粘着シー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435A (ko) * 2012-03-09 2013-09-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제, 터치 패널 부재 첩부용 점착 시트 및 터치 패널 장치
WO2013157691A1 (ko) * 2012-04-19 2013-10-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용 유전 점착필름
KR101373833B1 (ko) * 2012-04-19 2014-03-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용 유전 점착필름
CN104334665A (zh) * 2012-04-19 2015-02-04 东丽先端素材株式会社 用于电子纸显示装置的介电粘附膜
US10011743B2 (en) 2012-04-19 2018-07-03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Dielectric adhesive film for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KR20140016827A (ko) * 2012-07-31 2014-02-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방사선 경화형 점착 시트 및 적층체
KR20140095922A (ko) * 2013-01-25 2014-08-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전 점착필름 및 전자종이용 디스플레이 소자
KR20160032778A (ko) * 2014-09-16 2016-03-25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114859A (ko)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7441A (en) 2011-03-01
JP2018021190A (ja) 2018-02-08
US20130323437A1 (en) 2013-12-05
JP2018199817A (ja) 2018-12-20
WO2010147047A1 (ja) 2010-12-23
JPWO2010147047A1 (ja) 2012-12-06
US20120094037A1 (en) 2012-04-19
JP6296674B2 (ja) 2018-03-20
CN102803419B (zh) 2015-06-10
JP6608011B2 (ja) 2019-11-20
TWI441891B (zh) 2014-06-21
CN102803419A (zh) 2012-11-28
KR101344590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590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102016267B1 (ko)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
JP2013129704A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749758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5483724B2 (ja) 両面粘着シート
KR20130051900A (ko) 점착 시트
KR102047787B1 (ko) 점착 시트
KR20130005283A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20110097793A (ko)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구성
KR2013000035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KR20170062390A (ko) 점착 시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 시트
KR20120089328A (ko)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JP2021161192A (ja)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
JP2014101457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