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328A -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328A
KR20120089328A KR1020127013350A KR20127013350A KR20120089328A KR 20120089328 A KR20120089328 A KR 20120089328A KR 1020127013350 A KR1020127013350 A KR 1020127013350A KR 20127013350 A KR20127013350 A KR 20127013350A KR 20120089328 A KR20120089328 A KR 2012008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onomer
adhesive shee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오카모토
마사히토 니와
나오아키 히구치
치에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9Masked arom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겹비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특정의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진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특정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진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헤이즈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본 발명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하는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화상 표시 패널의 표면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판이나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수지판, 혹은 강화 유리 등의 보호판(보호 패널)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 패널은, 보호 패널과 화상 표시 패널과의 사이에 공벽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의 보호 패널에 가해진 충격이 직접 화상 표시 패널에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파손 방지를 도모하고 있는 구성인 것이 많았다. 그러나, 공벽층이 존재함으로써, 다중 반사에 의한 비침이 발생하거나, 박층화에 제한이 있는 바와 같은 과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보호 패널과 화상 표시 패널과의 공벽을, 예를 들면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층으로 충전하는 등의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고, 그 점착제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사용하는 폴리머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와, 응집력 성분으로서의 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병용한 것 같은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편으로, 화상 표시 방식의 트렌드로서, 터치 패널식인 것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예를 들면, (화상 표시 패널의 파손 방지를 겸한) 전면(前面) 보호 패널과, ITO(Indium-Tin Oxide,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로 대표되는 투명 전극이 표면에 형성된 화상 표시 패널과의 공벽을 메우는 용도로, 상기와 같은, 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사용하면, 투명 전극층의 경시적인 부식을 일으켜, 전기 저항성의 변화에 수반하여, 터치 패널의 기능 열화를 초래해 버린다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아크릴판이나 폴리카보네이트판과 같은 수지판에 점착제를 접합시킬 때에는, 과혹한 조건하에서, 수지판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접착 계면에 벗겨짐이나 들뜸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특성(즉, 내(耐)발포 박리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점착제에 요구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요구를 감안하면, 예를 들면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소량밖에 함유하고 있지 않은 아크릴계 광학용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등 참조). 또한, 이러한 아크릴계 광학용 점착제는, ITO 투명 전극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내부식성을 구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리콘겔 형상의 광학용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상기의 점착제는, 모두,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그러한 점착제와 비교하면 충분한 내발포 박리성을 갖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점착제의 응집력을 갖게하기 위해 N-비닐-2-피롤리돈 모노머를 이용한 편광판(광학) 점착제의 개시가 이루어지고 있지만(특허문헌 4 참조),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적어도 1중량부보다 많이 함유시키지 않으면 응집력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고 있어, ITO 투명 전극의 내부식성에 관하여 염려가 남는 점착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ITO 등의 투명 전극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과,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광학 기능층과의 접합시의 충분한 내발포 박리성을 겸비하고, 특히 광학용으로서 유용한 점착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9872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3144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9096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10741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한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특히 ITO 등의 투명 전극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과,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광학 기능층과의 접합시의 접착 신뢰성을 겸비한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특정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徑)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높은 내부식성 및 접착 신뢰성의 양쪽의 특성을 발휘하는 것, 특히 ITO 등의 투명 전극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과,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광학 기능층에 대한 접착 신뢰성과의 양쪽의 특성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8]의 구성을 갖는다.
[1] 하기의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하기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내부식성 시험: 도전성 필름(사이즈: 길이 70㎜×폭 25㎜)의 길이 방향의 양단 15㎜에 은층을 형성하여,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을 얻는다. 당해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의 중앙부에, 감압성 접착 시트(사이즈: 길이 50㎜×폭 20㎜)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과 다른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이 동일해지도록 접합하여 시험체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당해 시험체에 있어서, 은층 간의 초기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그 후, 당해 시험체를 온도 60℃, 습도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靜置)하여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초기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100으로 환산한 경우의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의 환산값을 저항비로 한다.
내발포 박리 시험: 감압성 접착 시트에,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감압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쪽의 감압 접착면에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합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다음으로,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에,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이 접하는 형태에서, 0.01?1.00㎫의 압력으로 압착해 시험편을 접합하여,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구성물을 얻는다. 그리고, 당해 구성물을, 50℃의 환경하에서 1일간 정치하고, 추가로 80℃의 환경하에서 4일간 정치하여,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을 구한다. 또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0으로 한다.
[2]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헤이즈가 1.5%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3] 상기 감압 접착제층이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4] 상기 감압 접착제층이, 하기 모노머 (m1), 하기 모노머 (m2) 및 하기 모노머 (m3), 또는 하기 모노머 (m1), 하기 모노머 (m2), 하기 모노머 (m3) 및 하기 모노머 (m4)를 함유하고, 각 모노머의 함유량이, 모노머 (m1) 35?97.5중량%, 모노머 (m2) 2?40중량%, 모노머 (m3) 0.1?25중량%, 모노머 (m4) 0?30중량%인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3]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m1) 하기식 (1)로 나타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Figure pct00001
(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냄)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모노머 (m3)을 제외함)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
(m4) 상기의 모노머 (m1)?모노머 (m3)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5] 상기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는, 하기식 (2)로 나타나는 N-비닐 환상 아미드 및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인 상기 [4]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Figure pct00002
(식 (2) 중, R3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6] 상기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하기식 (3)으로 나타나는 모노머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Figure pct00003
(식 (3)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7]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상기 [4]?[6]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8] 상기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이, 20?90중량%인 상기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하고, 특히 ITO 등의 투명 전극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과,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광학 기능층과의 접합시의 접착 신뢰성을 겸비한다.
도 1은 내부식성 시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를 접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를 접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를 접합하여 형성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적어도 갖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하고, 특히 ITO 등의 투명 전극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과,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광학 기능층과의 접합시의 접착 신뢰성을 겸비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접합하는 용도나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소정의 부위에 고정하는 용도 등의 광학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접착 신뢰성을 구비하는 것은, 피착체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발휘하여, 피착체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의 원인이 되는 접착 계면에서의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특정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시트의 양면이 감압 접착면(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양면 점착 시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서는, 감압 접착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한층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양쪽의 감압 접착면을 제공하는 기재 가 없는 타입이라도 좋고, 기재의 양쪽의 면에 형성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감압 접착면을 제공하는 기재 부착 타입이라도 좋고,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 및 기재의 다른 한쪽의 면에 형성된 통상의 감압 접착제층(상기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 이외의 감압 접착제층)이 감압 접착면을 제공하는 기재 부착 타입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감압 접착면은 사용시까지 후술의 박리 필름으로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 시트」와 같은 경우에는, 시트 형상인 것 이외에 테이프 형상인 것, 즉 「감압성 접착 테이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은, 상기와 같이,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며, 적어도 한쪽의 감압 접착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은,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중합 및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중합성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는 90?120이고, 바람직하게는 92?11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115이다. 상기의 저항비가 90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있어서 정상적인 기능 발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고, 한편 상기의 저항비가 120을 초과하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있어서 정상적인 기능 발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감압 접착제층의 내부식성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도전성 필름(상품명 「일레크리스타(ELECRYSTA)」,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사이즈: 길이 70㎜×폭 25㎜)의 길이 방향의 양단 15㎜에 은층(은전극부)을 형성하여,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을 얻는다. 당해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의 중앙부에, 감압성 접착 시트(사이즈: 길이 50㎜×폭 20㎜)를,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과 다른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이 동일해지도록 접합시켜 시험체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당해 시험체에 있어서, 은층 간의 초기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그 후, 당해 시험체를 온도 60℃, 습도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하여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초기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100으로 환산한 경우의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의 환산값을 저항비로 한다.
도 1에, 내부식성 시험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1은 도전성 필름, 부호 12는 은층(은전극부), 부호 13은 시험편이다. 또한, 부호 14는 은층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테스터이다. 시험체는, 도전성 필름(11), 은층(은전극부)(12) 및, 시험편(13)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식성 시험의 시험체에서는, 시험편(13)은, 도전성 필름(11)의 중앙부에,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한쪽의 은층(12)에 접하는 면적과 다른 한쪽의 은층(12)에 접하는 면적이 동일해져, 도전성 필름(11)의 길이 방향과 시험편(13)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또한 도전성 필름(11)의 폭 방향과 시험편(13)의 폭 방향이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은 1.0㎜ 이하(예를 들면 0?1.0㎜)이고, 바람직하게는 0?0.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이다.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를 초과하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의 정상적인 기능 발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화상 표시부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은, 기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0이 가장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층의 내발포 박리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감압성 접착 시트에, 내발포 박리 시험을 행하는 감압 접착제층이 감압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쪽의 감압 접착면에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합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다음으로,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상품명 「아크릴라이트(ACRYLITE) MR200」, 미쓰비시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내발포 박리 시험을 행하는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이 접하는 형태에서, 0.01?1.00㎫의 압력으로 압착해 시험편을 접합하여,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구성물을 얻는다. 그리고, 당해 구성물을, 50℃의 환경하에서 1일간 정치하고, 추가로 80℃의 환경하에서 4일간 정치하여,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당해 감압 접착제층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을 구한다. 또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0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 고무계 감압 접착제층, 비닐알킬에테르계 감압 접착제층, 실리콘계 감압 접착제층, 폴리에스테르계 감압 접착제층, 폴리아미드계 감압 접착제층, 우레탄계 감압 접착제층, 불소계 감압 접착제층, 에폭시계 감압 접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는, 요구되는 물성(예를 들면,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 등)의 제어의 용이함, 생산면에서의 편리성 및, 비용면에서의 메리트의 점에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성분(예를 들면,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 전체량에 대하여, 적어도 40중량% 이상(예를 들면 40?10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예를 들면 70?100중량%)이다. 또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은, 주성분으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성분(예를 들면, 당해 아크릴계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으로서는,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에 더하여, 내반발성, 내들뜸 박리 특성, 상온 환경하나 저온 환경하(예를 들면 0?10℃ 정도)에서의 피착체에 대한 초기의 접합성 충격 흡수성, 높은 투명성, 유연성, 가공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에 더하여, 내반발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하기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 또는 모노머 (m1), 모노머 (m2), 모노머 (m3) 및 모노머 (m4)를 함유하고, 각 모노머의 함유량이 모노머 (m1) 35?97.5중량%, 모노머 (m2) 2?40중량%, 모노머 (m3) 0.1?25중량%, 모노머 (m4) 0?30중량%인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이 바람직하다.
(m1) 하기식 (1)로 나타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Figure pct00004
(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냄)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모노머 (m3)을 제외함)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
(m4) 상기의 모노머 (m1)?모노머 (m3)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 또는 모노머 (m1), 모노머 (m2), 모노머 (m3) 및 모노머 (m4)를 함유하고, 각 모노머의 함유량이 모노머 (m1) 35?97.5중량%, 모노머 (m2) 2?40중량%, 모노머 (m3) 0.1?25중량%, 모노머 (m4) 0?30중량%인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을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의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은,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에 더하여, 특히 내반발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당해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는, 사용 중에 광학 부재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없고, 또한 광학 불균일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당해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에 휨의 응력이나 뒤틀림이나 비틀림의 응력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접착성이 우수하여, 광학 부재의 들뜸이나 벗겨짐이 억제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서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갖고, 또한 당해 감압 접착제층이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 또는 모노머 (m1), 모노머 (m2), 모노머 (m3) 및 모노머 (m4)를 함유하고, 각 모노머의 함유량이 모노머 (m1) 35?97.5중량%, 모노머 (m2) 2?40중량%, 모노머 (m3) 0.1?25중량%, 모노머 (m4) 0?30중량%인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모노머 (m1), 모노머 (m2), 모노머 (m3) 및 모노머 (m4)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은 필수의 성분이며, 모노머 (m4)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이다.
또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임의의 성분인 모노머 (m4)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필수의 성분인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의 합계량은,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량에 대하여 70중량% 이상(예를 들면 70?95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예를 들면 80?95중량%)이다.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의 합계량이 70중량% 미만이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신뢰성의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m1) 식 (1)로 나타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4?12의 알킬기(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적합하다. 또한, (m1) 식 (1)로 나타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모노머 (m1)의 함유량은, 당해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량에 대하여 35?97.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5?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90중량%이다. 함유량이 35중량% 미만이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온이나 저온도에서의 환경하에서의 초기의 접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97.5중량%를 초과하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모노머 (m2), 모노머 (m3)의 부족에 의해,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나, 감압 접착성 시트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모노머 (m3)의 부족은,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내반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는, 분자 중에(분자 골격 중에), 탄소 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고, 그리고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이다. 또한, 모노머 (m2)에는, 상기의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원에 있어서,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를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m2)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가 사용되고 있으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감압 접착력(점착력), 응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모노머 (m3)은 모노머 (m1)과의 상용성이 부족하지만, 모노머 (m2)를 더함으로써 상용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m2)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식 (2)로 나타나는 N-비닐 환상 아미드 및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5
(식 (2) 중, R3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또한, 식 (2)에 있어서, R3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화 탄화 수소기(예를 들면, 탄소수 3?5의 알킬렌기 등)이다.
식 (2)로 나타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3,5-모르폴린디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N-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 등도 들 수 있다. N,N-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서의 접착 신뢰성과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유연성과의 밸런스를 잡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탄소수가 1?4(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N-알킬기를 1개 또는 2개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예를 들면,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N-비닐 환상 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류 이외의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딘 등의 N-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환상 (메타)아크릴아미드;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골격을 갖는 모노머;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N-비닐-1,3-옥사딘-2-온, N-비닐피리딘,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등의 질소 함유 환상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m2)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로서, 상기식 (2)로 나타나는 N-비닐 환상 아미드와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류를 병용하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점착력과 응집력, 유연성, 가공성의 특성 밸런스를 잡기 용이한 점에서 유용하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m2)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당해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량에 대하여, 2?4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중량%이다. 함유량이 2중량%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가공성이 나빠지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등의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고, 한편 함유량이 40중량%를 초과하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택(tack)이 저하되는 등의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내반발성이나 내발포 박리 시험과 같이, 장시간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등의 현상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모노머 (m3)이 이용되고 있는 점에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 있어서,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에 더하여, 특히 내반발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모노머 (m1) 이외의 모노머로서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이 병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감압 접착제층의 내반발성을 높이는 것에 유효한 모노머 (m3)은, 원래 모노머 (m1)과의 상용성이 부족하지만, 모노머 (m2)를 모두 함유시킴으로써 모노머 (m1)과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모노머 (m1) 이외의 모노머로서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이 병용되어 있는 것도,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으로서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이 내반발성을 발휘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반응성 관능기로서 수산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소시아네이트기나 에폭시기 등을 갖는 가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가교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모노머 (m3)은, 상기 모노머 (m2)와, 분자 골격 중에 탄소 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그리고 질소 원자를 갖는 점에서 공통되기는 하지만, 상기 모노머 (m2)로부터 제외되어 있다. 또한, 모노머 (m3)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하기식 (3)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식 (3)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또한, 상기식 (3)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알킬기 R5는, 직쇄상의 쇄상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분기쇄상의 쇄상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모노머 (m3)으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1-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1-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N-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친수성과 소수성의 밸런스가 좋고, 감압 접착 물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특히 내반발성이 우수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을 얻는 점에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모노머 (m3)의 함유량은, 당해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량에 대하여, 0.1?2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2?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0중량%이다.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있어서 내반발성을 발휘하지 못해, 피착체에 접착 후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쉽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모노머 (m3)이 모노머 (m1)과 상용하지 않게 되어, 투명성이 저하되는(즉,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는)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반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과 함께,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m4)(단순히 「공중합성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사용되고 있어도 좋다. (m4) 공중합성 모노머가 사용되고 있으면, 예를 들면 모노머 (m3)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거나, 혹은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접착 특성, 유연성, 가공성, 투명성 등의 밸런스를 보다 잡기 용이해지거나 한다.
이러한 (m4)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하나 갖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6-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산 8-하이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데실, (메타)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아세트산 비닐, N-비닐카본산 아미드류, 스티렌 등의 비닐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불소(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상기 주성분을 이루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는 상이한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족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공중합성 모노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의 가교 성분으로서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모노머 (m4)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중에서도, (m4)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접착 신뢰성과 유연성, 가공성, 투명성의 밸런스 잡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m4)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본산(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등),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본산(예를 들면,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본산의 무수물(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 등, 특히 아크릴산]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감압 접착면이 접하는 형태에서 감압성 접착 시트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경우, 피착체에 따라서는 산 성분에 의한 부식이 염려되기 때문이다. 또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란, 1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기(무수물의 형태일 수 있음)를 갖는 비닐 모노머(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의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이란,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전혀 함유하지 않거나, 혹은 그 함유량이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량의 0.1중량% 이하인 것을 말한다.
상기의 모노머 (m4)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의 모노머 (m4)의 양은, 당해 모노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량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예를 들면, 1?3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예를 들면, 1?25중량%)이다.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의 접착 신뢰성과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유연성의 밸런스의 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서는, 상기의 모노머 (m1),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을 필수로 하고 있다. 즉, 모노머 (m1) 이외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이 병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서는, 응집력이 향상되어,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공중합성 모노머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응집력이 향상되어,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산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일 없이, 모노머 (m1)과, 특정의 질소 함유 모노머인 모노머 (m2) 및 모노머 (m3)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산 성분에 의한 부식이 염려되는 피착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한다. 산 성분에 의한 부식이 염려되는 피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ITO로 대표되는 투명 전극, 금속을 소재로 하는 피착체, 전자파 흡수 기능을 갖는 은스퍼터, 구리 메쉬를 표면에 형성한 광학 필름, 어스 전극 등을 들 수 있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은, 각 성분에 따른 소정량의 상기 모노머 (m1) ? 모노머 (m3),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모노머 (m4)를, 공지의 수법을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또한,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은, 모노머 성분을 일부 중합시킴으로써 조제된다. 이러한 부분 중합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광중합법의 경우로서는, 조제한 모노머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당해 모노머 혼합물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예를 들면, 자외선의 조사 등)에 의해, 광중합을 발생시켜, 일부의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로부터,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은,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게 한 경화물로 형성되지만, 그 경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이 이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성, 후수(厚手) 도공성(두께가 있는 도포층의 형성의 용이함, 후수 타입의 얻기 용이함),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다는 등의 관점에서,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α-하이드록시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Irgacure) 651」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α-하이드록시케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 「다로큐어(Darocure) 1173」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2959」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상품명 「이르가큐어 369」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 「르시린 TPO」 BASF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도데실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하이드록시에틸)-페닐]-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2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아조계 열중합 개시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의 과산화물계 열중합 개시제; 레독스계 열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열중합 개시제로서 사용 가능한 범위라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 광중합법을 이용하는 경우, 중합성 조성물 중에 첨가되는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과잉하게 더하면 얻어지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 중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분자량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얻어지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의 접착 특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적으면 중합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도공 프로세스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로부터,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3중량부이다.
또한, 중합 개시제의 활성시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조사한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나, 그 조사 시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 모노머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에 있어서, 가교 구조화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내반발성의 밸런스를 잡는 점에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가교 성분(가교제)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교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나 다관능 모노머가 적합하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중체,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폴리에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하이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복수개 갖는 반응성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예를 들면, 상품명 「CN2300」, 「CN2301」, 「CN2320」 (사토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 중에 첨가되는 가교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접착 신뢰성의 관점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이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002?4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3중량부이다. 0.001중량부 미만이면, 감압 접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한편, 5중량부를 초과하면, 감압 접착제층의 유연성이나 택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 등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경화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그 외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교 촉진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내반발성과 감압 접착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겔분율(즉, 용제 불용분)은, 20?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예를 들면,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첨가하는 가교제의 종류나 양을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겔분율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우선,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두께: 85㎛)을 100㎜×100㎜로 절취하고, 또한 연줄(굵기: 1.5㎜)을, 100㎜ 정도로 절단하여, 이들 중량을 측정한다(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및 연줄의 중량을 「중량 (A)」라고 함). 다음으로, 소정량(약 1g 정도)의 감압 접착제층을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으로 싸고, 싼 입구를 연줄을 이용하여 묶어, 감압 접착제층이 싸인 꾸러미(「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제작한다. 이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을 측정하고,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에서,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및 연줄의 중량 (A)를 빼, 감압 접착제층의 중량을 구한다. 또한, 감압 접착제층의 중량을 중량 (B)로 한다. 다음으로,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를, 23℃의 온도 조건하, 아세트산 에틸 50mL 중에 7일간 침지시켜, 감압 접착제층 중의 졸 성분만을,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밖으로 용출시킨다. 그리고, 침지 후, 아세트산 에틸 중에 7일간 침지시킨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를 취출하여,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에 붙은 아세트산 에틸을 닦아내고, 건조기로, 130℃로 2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 감압 접착제층 꾸러미의 중량을 중량 (C)로 한다.
그리고,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중량%)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겔분율(중량%)=[(C-A)/B×100]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면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점에서, 10?500㎛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5?3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의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로서는, 5?450㎛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7?270㎛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감압 접착면이 하기의 박리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경우, 당해 박리 필름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박리 필름)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 접착 시트의 감압 접착면은, 사용시까지 박리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 접착 시트의 각 감압 접착면은, 2매의 박리 필름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1매의 박리 필름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박리 필름은, 보호재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피착체에 접착할 때에 벗겨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 접착 시트의 사용시(부착시)에 박리되는 박리 필름은 하기에 나타내는 「기재(基材)」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박리 라이너(박리 필름)로서는, 관용의 박리지(紙)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무극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 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의 불소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 비닐, 폴리불화 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ㆍ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극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의 무극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두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층)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 접착 시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층(예를 들면, 중간층, 하도(undercoat)층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박리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한 박리제의 코팅층, 밀착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하도제의 코팅층, 양호한 변형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한 층, 피착체로의 접착 면적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 층, 피착체로의 접착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층, 피착체로의 표면 형상에 양호도 추종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층, 가열에 의한 접착력 저감의 처리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층, 가열 후의 박리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지지 모체로서의 기재를 갖고 있어도 좋고, 기재가 없는 타입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기재 부착 타입인 경우의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각종 광학 기능층)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설폰, 폴리아릴레이트, 상품명 「아톤(ARTON)(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JSR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ZEONOR)(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닛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의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재」란,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피착체(예를 들면 광학 부재나 광학 기능층 등)에 사용(부착)할 때에는, 함께 피착체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사용시(부착시)에 박리되는 박리 필름은 「기재」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중에서도, 기재로서는, 투명 기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란, 예를 들면,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 7361에 준함)이 85% 이상인 기재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기재를 말한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PET 필름이나, 상품명 「아톤」, 상품명 「제오노아」등의 무배향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5?1500㎛가 바람직하고, 30?1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단층 및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기재 표면에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이 적절한 공지 내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시행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다음으로 당해 중합성 조성물을 적당한 지지체(예를 들면, 상기의 기재나 박리 필름) 상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당해 도포층을 중합 및 경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이용되는 도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슬롯 다이법,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어법, 디핑법, 스핀 코팅법, 솔칠법, 롤 코팅법, 플렉소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포시에 사용하는 도포구로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도포구를 특별히 제한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구로서는, 예를 들면, 리버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등의 롤 코터; 커텐 코터; 립 코터; 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 중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한 광중합법이나 열중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특정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는, 예를 들면, 미리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을, 박리 필름이나 기재 등이 적당한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당해 도포층에 박리 필름을 접합하고 나서,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특정의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상기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적어도 한쪽의 감압 접착면을 제공하는 구성을 갖는 한, 그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 또는 형태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로서는, 각각의 감압 접착면을 2매의 박리 필름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롤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 또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감압 접착면을 1매의 박리 필름(양쪽의 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타입)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롤 형상으로 두루 감겨진 상태 또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상기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양호한 내부식성을 발휘하고,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서는,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 1.0㎜ 이하이다. 이 때문에, 피착체[예를 들면, 수지판, 각종의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 등]에 대한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상기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하는 것은,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발포 박리성」, 「내반발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내발포 박리성」이란, 피착체에 접착 후, 경시 변화나 고온 조건하 등이 과혹한 조건하에서, 만약 피착체로부터 기포가 발생해도 접착 계면에 「들뜸」이나 「벗겨짐」을 발생시키는 등의 접착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내반발성」이란, 만곡 형상의 피착체에 접착 후, 경시 변화나 고온 조건하 등이 과혹한 조건하에서, 접착 계면에 「들뜸」이나 「벗겨짐」을 발생시키는 등의 접착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접착 신뢰성」이란, 「내발포 박리성」 및 「내반발성」을 총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의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서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다. 이 때문에, 피착체(특히, 각종의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 등)에 대한 높은 내부식성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9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이러한 전체 광선 투과율을 갖고 있으면, 시인성이 우수하고,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며,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의 투명성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슬라이드 글라스에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접합하고,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상품명 「HM-15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JIS K 7361에 준함).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헤이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이러한 헤이즈를 갖고 있으면, 시인성이 우수하고,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며,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 헤이즈가 1.5%를 초과하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이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의 투명성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헤이즈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 글라스에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접합하고,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상품명 「HM-15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JIS K 7361에 준함).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접합하는 용도나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소정의 부위에 고정하는 용도 등의 광학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TO 등의 금속 박막(금속 산화물 박막을 포함함)의 저항값 상승(금속 박막의 부식)이 일어나지 않아, ITO 필름을 적층하는 것과 같은 용도 등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광학 부재(광학 기능층)란, 광학적 특성(예를 들면, 편광성, 광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나 층을 말한다.
상기의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의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등),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 필름, 프리즘, 컬러 필터, 투명 기판, 투명 수지판이나, 나아가서는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판」 및 「필름」은, 각각 판 형상,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편광판」은 「편광 필름」, 「편광 시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특히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등)을 접합하는 용도, 은스퍼터, 구리 메쉬를 표면에 형성한 전자파 흡수 기능을 갖는 광학 기능 필름을 접합하는 용도 등에 유용하다.
상기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상기 중에서도, 특히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부재 또는 터치 패널에 이용되는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터치 패널 부재 접합용)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의 표면 보호 필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등의 터치 패널의 보호, 가식(加飾)을 위한 부재 등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터치 패널 자체를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접합하는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의 광학 부재(예를 들면, 터치 패널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예를 들면,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 판 형상의 부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에는, 피착체인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가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에 따른 광학 부재의 접합의 실시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를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실시형태라도 좋고, (3) 광학 부재 상에 형성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접합하는 실시형태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광학 부재의 접합하는 경우, 특정의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감압 접착면을 광학 부재에 대하여 접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광학 부재에 접합함으로써, 광학 부재와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가 접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광학 부재와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와의 적층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1)?(3)의 실시형태는, 모두 당해 적층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적층 구성은,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 부착 광학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성을 포함하는 부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나, 도 4에 나타내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개략 단면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터치 패널은, 표면에 ITO에 의한 투명 도전막(23)(도전성층)이 형성된 유리(24)에,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22)(감압성 접착 시트(22))를 개재하여 수지판(21)(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보강판 등)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의 ITO막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는,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22)(감압성 접착 시트(22))를 개재하여 화상 표시 패널(25)이 접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터치 패널은, 상기 도 2의 유리(24)가 PET 필름(26)으로 치환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예를 들면, 투명 도전성 PET 필름의 은페이스트 전극(높이 8?10㎛)을 형성한 표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판을 접합할 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개략 단면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터치 패널은, 표면에 Indium Tin Oxide(ITO)에 의한 투명 도전막(도전성층)이 형성된 2매의 투명 도전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43)이 도전층(44)을 사이에 두고, 도전성층 형성면끼리가 대향한 형태로 배치(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당해 대향 배치된 투명 도전성 PET 필름(43)의 한쪽의 외측에 PET 필름(41)(의장성의 인쇄를 시행한 PET 필름)이,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42)(감압성 접착 시트(42))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대향 배치된 투명 도전성 PET 필름(43)의 다른 한쪽의 외측에는, 수지판(45)(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보강판)이,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42)(감압성 접착 시트(42))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리 필름의 사용예 1)
박리 필름으로서, 한쪽의 면이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MRF38」 미쓰비시 수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박리 필름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사용했다.
(박리 필름의 사용예 2)
박리 필름으로서, 한쪽의 면이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MRN38」 미쓰비시 수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박리 필름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사용했다.
(실시예 1)
아크릴산 2-에틸헥실: 70.5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26중량부,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3.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05중량부 및,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치바ㆍ쟈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05중량부를 배합하고, 충분히 질소 가스로 치환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에 노출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중합률 약 12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부분 중합물 100중량부에,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15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박리 필름 (A)의 박리 처리면에, 경화 후의 최종적인 두께가 150㎛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당해 도포층 상에, 박리 필름 (B)를,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과 접하는 형태에서 접합하여, 조도: 5mW/㎠, 광량: 720mJ/㎠가 되는 조건으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65중량%였다.
(실시예 2)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86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2.5중량부,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12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콜로네이트(COLONET) L」 닛폰폴리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고형분 75중량%)을 0.25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61중량%였다.
(실시예 3)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70중량부,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12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5중량부,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1.5중량부, N-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12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고형분 75중량%)을 0.25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62중량%였다.
(비교예 1)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91중량부, 아크릴산: 9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9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0.05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72중량%였다.
(비교예 2)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대신에, 아크릴산 2-에틸헥실: 10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14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0.15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82중량%였다.
(비교예 3)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84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6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12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0.06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은, 65중량%였다.
(비교예 4)
모노머 혼합물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 95중량부,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률 약 11중량%의 부분 중합물(시럽, 시럽 형태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부분 중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제로서의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0.08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트[박리 필름 (A)/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 (B)]를 얻었다.
당해 감압성 접착 시트의 겔분율은, 43중량%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압성 접착 시트에 대해서, 겔분율, 내부식성 시험, 투명성(광학 특성), 내발포 박리 시험 및, 내반발성에 대해서 측정 또는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겔분율의 측정 방법)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두께: 85㎛)을 100㎜×100㎜로 절취하고, 또한 연줄(굵기: 1.5㎜)을, 100㎜ 정도로 절단하여, 이들 중량을 측정했다(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및 연줄의 중량을 「중량 (A)」라고 함).
그리고, 7㎠ 사이즈로 절취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쪽의 박리 필름을 벗기고,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에 감압 접착제층을 싸고, 싼 입구를 연줄을 이용하여 묶어, 감압 접착제층이 싸인 꾸러미(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를 제작했다. 이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을 측정하고,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에서,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및 연줄의 중량 (A)를 빼, 시료의 중량을 구했다. 또한, 시료의 중량을 중량 (B)로 한다.
다음으로,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를, 23℃의 온도 조건하, 아세트산 에틸 50mL 중에 7일간 침지시켜, 감압 접착제층 중의 졸 성분만을,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밖으로 용출시킨다. 그리고, 침지 후, 아세트산 에틸 중에 7일간 침지시킨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를 취출하여,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에 붙은 아세트산 에틸을 닦아내고, 건조기로, 130℃에서 2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 감압 접착제층 함유 꾸러미의 중량을 중량 (C)로 한다.
그리고,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중량%)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했다.
겔분율(중량%)=[(C-A)/B×100]
(내부식성 시험)
표면에 ITO층이 형성된 필름(도전성 필름, 상품명 「일레크리스타(ELECRYSTA)」,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폭: 25㎜, 길이: 70㎜로 절단했다. 또한, 당해 필름은, 도 1의 도전성 필름(11)에 상당한다.
이 도전성 필름의 길이 방향의 양단 15㎜에 은페이스트(상품명 「도타이트(Dotite)」, 후지쿠라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도포 후, 가열 건조하여 은층(은전극부)을 형성했다. 또한, 당해 은층은, 도 1의 은층(12)에 상당한다.
그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각각에 대해서,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감압 접착면을, 박리 처리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50㎛)에 접합하고 나서, 폭: 20㎜, 길이: 50㎜의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여, 시험편(시험편/박리 필름의 구성)을 얻었다. 또한, 당해 시험편은, 도 1의 시험편(13)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다른 한쪽의 박리 필름을 제거하여, 노출된 시험편의 감압 접착면을 핸드 롤러로 감압 접착면이 양쪽의 은층에 접하도록 접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도 1 참조). 또한, 측정용 샘플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필름(11), 은층(12) 및, 시험편(13)으로 구성된다.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 있어서, 테스터(14)로 2개의 은층(12)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이를 「초기 저항값」이라고 했다.
그 후, 측정용 샘플을 온도 60℃, 습도 95%의 환경에 투입하고, 2주간 정치했다. 정치 후, 테스터(14)로 측정용 샘플의 2개의 은층(12)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온도: 60℃,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한 후의 저항값」이라고 했다.
그리고, 「초기 저항값」을 100으로 환산한 경우의 「온도: 60℃,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한 후의 저항값」의 환산값을 저항비로 했다.
또한, 동시에 감압성 접착 시트를 접착하지 않은 시험체를 블랭크 시료로서 측정했다.
(투명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각각에 대해서, 한쪽의 박리 필름을 벗겨 노출된 감압 접착면을, 두께 1㎜의 유리(마츠나미; 마이크로 슬라이드 글라스; 백연마)에 접합하고, 그 후 다른 한쪽의 박리 필름을 벗겨 시험편으로 했다.
헤이즈 미터(장치명 「HM-150」,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를 이용하여, 당해 시험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측정함으로써, 투명성(광학 특성)을 평가했다.
(내발포 박리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압성 접착 시트의 각각에 대해서, 한쪽의 박리 필름을 벗겨 노출된 감압 접착면을, 박리 처리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50㎛)에 접합하고 나서, 50㎜×50㎜로 커트하여 시험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감압 접착제층/박리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당해 시험편의 박리 필름을 벗겨 아크릴판{상품명 「아크릴라이트 MR200,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내찰상 처리 타입(하드 코팅 처리 타입), 두께: 1.5㎜}에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0.20㎫의 압력으로 압착해 접합하여 구성물(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감압 접착제층/아크릴판)을 얻었다. 또한, 당해 구성물은,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구성물이고, 또한 당해 구성물에 있어서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감압 접착제의 감압 접착면은 접하고 있다.
상기 구성물을 50℃의 환경에서 1일간 정치하여 충분히 적응시킨 후, 80℃의 환경에서 4일간 정치하여, 감압 접착제층의 아크릴판과 접하는 측의 표면에서 발생한 기포의 기포경을 각각 구하고, 평균함으로써 산출했다.
또한, 발포가 전혀 보이지 않았던 경우를 0으로 했다. 또한, 기포가 타원 형상인 경우는 장경(長徑)을 기포경으로 했다.
또한, 아크릴판으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의 유무도 관찰했다.
(내반발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한 감압성 접착 시트 각각에 대해서, 폭: 10㎜, 길이: 90㎜의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고, 한쪽의 박리 필름(박리 필름 (B))을 벗겨 노출된 감압 접착면을, 동(同) 사이즈의 알루미늄판(폭: 10㎜, 길이: 90㎜의 사이즈, 단책 형상, 두께: 0.5㎜)에 접합했다. 다음으로, 감압성 접착 시트를 외측으로 하여 R50의 곡률로 만곡시킨 후, 다른 한쪽의 박리 필름(박리 필름 (A))을 벗겨 감압 접착면을 노출시키고, 청정한 아크릴판에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들뜸이 없도록 압착했다.
또한, 청정한 아크릴판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클린 웨이스트로 표면을 10회 왕복 닦는 것(스팀 세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 후, 이를 실온(20?25℃ 정도)에서 24시간 방치하고,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아크릴판으로부터의 들뜸의 발생의 유무를 관찰했다. 그리고,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는, 들뜸 거리를 구했다.
또한, 「들뜸 거리」는, 감압성 접착 시트의 단부에 있어서의 아크릴판으로부터의 거리이며, 양쪽의 단부에서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는 거리가 큰 것을 그 감압성 접착 시트에 있어서의 들뜸 거리로 했다.
평가 기준
양호(○): 들뜸이 보이지 않는 경우 및, 들뜸 거리가 1.0㎜보다 작은 경우
불량(△): 들뜸 거리가 1.0㎜ 이상 2.0㎜ 이하인 경우
특히 불량(×): 들뜸 거리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Figure pct00007
상기의 표 1에 있어서, 「저항비」는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측정용 샘플의 초기 저항값을 100으로 환산한 경우의 온도 60℃,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한 후의 저항값의 환산값」이며, 「평균 기포경」은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이다. 또한, 「2EHA」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이고, 「NVP」는 「N-비닐-2-피롤리돈」이고, 「HEAA」는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이고, 「DEAA」는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이고, 「N-MAM」은 「N-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이다. 또한, 「HDDA」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이며, 「C/L」은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콜로네이트 L」닛폰폴리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상기의 저항비가 특정의 범위 내이며, 상기의 기포의 평균 기포경에 대해서 발포가 전혀 보이지 않거나 또는 특정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한다. 또한, 내반발성이 양호하다. 또한, 실시예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헤이즈가 1.5% 이하이기 때문에, 투명성도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은 없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1월 24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일본특허출원 2009-265860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는, 높은 내부식성과 접착 신뢰성을 겸비하기 때문에,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접합하는 용도나 각종 광학 부재(각종 광학 기능층)를 소정의 부위에 고정하는 용도 등의 광학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1 : 도전성 필름
12 : 은층(은전극부)
13 : 시험편
14 : 테스터
21 : 수지판
22 : 감압성 접착 시트
23 : 투명 도전막
24 : 유리
25 : 화상 표시 패널
26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4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42 : 감압성 접착 시트
43 : 투명 도전성 PET 필름
44 : 도전층
45 : 수지판

Claims (8)

  1. 하기의 내부식성 시험에서 구해지는 저항비가 90?120이고, 그리고 하기의 내발포 박리 시험에서 구해지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徑)이 1.0㎜ 이하인 감압 접착제층을 갖는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내부식성 시험: 도전성 필름(사이즈: 길이 70㎜×폭 25㎜)의 길이 방향의 양단 15㎜에 은층을 형성하여,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을 얻고; 당해 은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의 중앙부에, 감압성 접착 시트(사이즈: 길이 50㎜×폭 20㎜)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에 있어서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과 다른 한쪽의 은층에 접하는 면적이 동일해지도록 접합하여 시험체를 제작하고; 다음으로, 당해 시험체에 있어서, 은층 간의 초기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그 후, 당해 시험체를 온도 60℃, 습도 95%RH의 환경하에서 2주간 정치(靜置)하여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초기의 은층 간의 저항값을 100으로 환산한 경우의 정치 후의 은층 간의 저항값의 환산값을 저항비로 함;
    내발포 박리 시험: 감압성 접착 시트에,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감압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쪽의 감압 접착면에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합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다음으로,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에,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이 제공하는 감압 접착면이 접하는 형태에서, 0.01?1.00㎫의 압력으로 압착해 시험편을 접합하여, 내찰상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아크릴판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감압성 접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구성물을 얻고; 그리고, 당해 구성물을, 50℃의 환경하에서 1일간 정치하고, 추가로 80℃의 환경하에서 4일간 정치하여, 아크릴판의 내찰상 처리면과 상기의 감압 접착제층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기포의 평균 기포경을 구하고; 또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0으로 함.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며, 헤이즈가 1.5% 이하인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접착제층이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인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접착제층이, 하기 모노머 (m1), 하기 모노머 (m2) 및 하기 모노머 (m3), 또는 하기 모노머 (m1), 하기 모노머 (m2), 하기 모노머 (m3) 및 하기 모노머 (m4)를 함유하고, 각 모노머의 함유량이, 모노머 (m1) 35?97.5중량%, 모노머 (m2) 2?40중량%, 모노머 (m3) 0.1?25중량%, 모노머 (m4) 0?30중량%인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m1) 하기식 (1)로 나타나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Figure pct00008

    (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냄)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모노머 (m3)을 제외함)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
    (m4) 상기의 모노머 (m1)?모노머 (m3)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2) 골격 중에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는, 하기식 (2)로 나타나는 N-비닐 환상 아미드 및 (메타)아크릴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인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Figure pct00009

    (식 (2) 중, R3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3)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N-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는, 하기식 (3)으로 나타나는 모노머인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Figure pct00010

    (식 (3)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4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조성물의 모노머 혼합물에 있어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의 겔분율이, 20?90중량%인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KR1020127013350A 2009-11-24 2010-11-22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KR20120089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5860 2009-11-24
JP2009265860A JP2011111462A (ja) 2009-11-24 2009-11-24 光学用両面感圧性接着シート
PCT/JP2010/070843 WO2011065341A1 (ja) 2009-11-24 2010-11-22 光学用両面感圧性接着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328A true KR20120089328A (ko) 2012-08-09

Family

ID=4406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350A KR20120089328A (ko) 2009-11-24 2010-11-22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76378A1 (ko)
EP (1) EP2505628A4 (ko)
JP (1) JP2011111462A (ko)
KR (1) KR20120089328A (ko)
CN (1) CN102639661A (ko)
WO (1) WO2011065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2433B2 (ja) * 2010-03-24 2014-08-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導電膜表面用粘着剤および導電膜表面用粘着シート
KR101600206B1 (ko) * 2011-07-15 2016-03-04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직선 편광 해소 기능을 갖춘 양면 투명 점착 시트
JP5825055B2 (ja) * 2011-09-29 2015-12-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反射防止体、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627445B1 (ko) * 2012-02-03 2016-06-03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 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광학용 점착 시트
JP2014047242A (ja) * 2012-08-29 2014-03-17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4047254A (ja) * 2012-08-30 2014-03-17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板の剥離方法
JP6724722B2 (ja) * 2016-10-28 2020-07-1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加飾シート
KR102037499B1 (ko) * 2017-02-10 2019-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재 전사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7410A (ja) 1991-10-21 1993-04-30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固定構造物
JP2001341241A (ja) * 2000-06-06 2001-12-11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35150B2 (ja) 2004-04-14 2011-02-16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JP2005314453A (ja) 2004-04-27 2005-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クリル樹脂及び該樹脂を含有する粘着剤
JP2006290960A (ja) 2005-04-07 2006-10-26 Geltec Co Ltd 光透過性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780766B2 (ja) * 2006-03-27 2011-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501156A (zh) * 2006-08-11 2009-08-05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粘合带或片以及长带状物的卷绕体
JP4531099B2 (ja) * 2007-09-0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製品、ディスプレイ
JP5071224B2 (ja) 2008-04-24 2012-11-14 日本電気株式会社 課金システム、迷惑メール情報登録装置および課金方法
JP5342174B2 (ja) * 2008-05-23 2013-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5480477B2 (ja) * 2008-05-2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55974A (ja) * 2008-12-01 2010-07-1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構成
JP2010189545A (ja) * 2009-02-18 2010-09-02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部材
JP5404174B2 (ja) * 2009-05-14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熱剥離性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652867B2 (ja) * 2009-11-20 2015-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1462A (ja) 2011-06-09
EP2505628A4 (en) 2013-11-13
CN102639661A (zh) 2012-08-15
US20120276378A1 (en) 2012-11-01
WO2011065341A1 (ja) 2011-06-03
EP2505628A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011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10064623A1 (ja) 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構成
JP6033543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667057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749758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5797025B2 (ja)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KR102082517B1 (ko)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방사선 경화형 점착 시트 및 적층체
JP4800363B2 (ja) 光学部材貼り合わせ用粘着シート
CN112292433A (zh) 挠性图像显示装置用粘合剂层、挠性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及挠性图像显示装置
KR20120089328A (ko) 광학용 양면 감압성 접착 시트
TW201726849A (zh) 黏著片材、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的製造方法、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影像顯示裝置及觸控面板
JP6651855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40020770A (ko) 점착제,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JP2013006892A (ja) 光学用両面粘着シート
KR102046656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JP2013129704A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3221065A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1161192A (ja)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
JP2014051567A (ja) 両面粘着シート
KR102413010B1 (ko) 점착 시트
JP2014051566A (ja) 両面粘着シート
WO2020262340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21008606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20114903A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2021079551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