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247A - 웨빙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247A
KR20110137247A KR1020110056844A KR20110056844A KR20110137247A KR 20110137247 A KR20110137247 A KR 20110137247A KR 1020110056844 A KR1020110056844 A KR 1020110056844A KR 20110056844 A KR20110056844 A KR 20110056844A KR 20110137247 A KR20110137247 A KR 2011013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tting
shaft
adapter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039B1 (ko
Inventor
나오 사사키
토모타카 스즈키
타카히로 하마다
타카히로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어댑터(116)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위상과 스프링 나사(92)의 끼움결합 축부(98)의 위상이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축부(98)를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삽입하려고 하면, 축부측 돌기(102)에 형성된 축부측 사면(104)이 구멍부측 돌기(124)에 형성된 구멍부측 사면에 맞닿으며, 축부측 사면(104)은 구멍부측 사면을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경사진 쪽을 향해 가압한다. 이 가압력을 구멍부측 사면(126)에서 받은 어댑터(116)는 인출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풀 본체(18)의 중심축선 둘레로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위상과 끼움결합 축부(98)의 위상이 정렬되면,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측 돌기(124) 사이의 틈새에 각 축부측 돌기(102)가 들어가 끼움결합 축부(98)가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끼움결합된다.

Description

웨빙권취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과 같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풀(spool)을 회전시켜 웨빙벨트를 스풀에 권취(券取, take-up)시킬 수 있는 웨빙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89320(이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웨빙권취장치를 구성하는 토션 샤프트(torsion shaft)의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는, 맞닿음판(abut plate)의 한쪽 면에 형성된 수나사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맞닿음판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고정 기둥은 스프링 커버 내에 들어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고정 기둥에 나선형 스프링의 나선방향 내측단을 걸림고정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나선형 스프링의 나선방향 내측단이 걸림고정된 어댑터라 불리는 부재가 하우징(특허문헌 1에서는 '스프링 커버'라 부름)의 내측에서 스풀의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맞닿음판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결합축이 어댑터에 형성된 끼움결합 구멍에 끼워 넣어지며, 이로써, 토션 샤프트와 어댑터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연결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맞닿음판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끼움결합축의 외주형상은, 별형상이나 다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끼움결합축의 외주형상에 대응하여 어댑터에 형성된 끼움결합 구멍은 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끼움결합축의 중심축선 둘레의 끼움결합축의 위상과 끼움결합 구멍의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는, 끼움결합축을 끼움결합 구멍에 끼움삽입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끼움결합축을 끼움결합 구멍에 끼움삽입할 때에는, 끼움결합축의 위상과 끼움결합 구멍의 위상을 맞추는 번잡한 작업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스프링측의 어댑터에 스풀측의 축부를 간단히 끼움삽입할 수 있는 웨빙권취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 1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는,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단(基端)측이 걸림고정되고, 중심축선 둘레의 한쪽인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웨빙벨트를 기단측부터 권취하는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에,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同軸的)이면서 또한 일체적인 끼움결합 축부가 설치된 스풀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의 측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끼움결합축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이 맞는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결합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의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된 어댑터와,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의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개구측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를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스프링 어셈블리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인 인출방향으로 상기 어댑터가 회전함으로써 스프링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가압력(urging force)이 증가하는 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출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으로 가압되며, 그 가압력(a force of the pressing)에 의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회전위치까지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스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한 웨빙권취장치.
양태 1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에 따르면, 스풀을 구성하는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의 측방에는 스프링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일단이 하우징에 걸림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이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어댑터에 걸림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는 스풀을 구성하는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의 측방(외측)에는 끼움결합 축부가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이면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끼움결합 축부와 어댑터에 형성된 끼움결합 구멍부가 끼움결합된다. 스풀로부터 웨빙벨트를 인출하여 스풀 본체와 함께 끼움결합 축부를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끼움결합 축부와 함께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인출방향으로 어댑터가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의 권취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증가하고, 이와 같이 증가한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풀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풀에 웨빙벨트를 권취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끼움결합 축부는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한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위상이 맞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갈 수 있다. 여기서, 어댑터 및 스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에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을 끼워 넣으면, 가이드 수단이 어댑터를 인출방향으로 가압하며, 그 가압력에 의해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되는 회전위치(즉,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하여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는 위치)까지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어댑터에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을 끼워 넣으면, 스풀에 의해 가이드 수단이 인출방향으로 가압되며, 그 가압력에 의해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되는 회전위치(즉,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하여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는 위치)까지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끼움결합 축부를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시킬 때 끼움결합 축부와 끼움결합 구멍부 간의 위상을 맞추어 두지 않아도 끼움결합 축부를 끼움결합 구멍부에 간단히 끼움결합시킬 수가 있다.
양태 2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는, 양태 1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와,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간격을 두고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축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부 본체보다 내경(內徑)치수가 크며 내측에 상기 축부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와,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內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상기 구멍부 본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상기 축부측 돌기와 대향되고, 상기 축부측 돌기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를 구성하며,
상기 축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축부 본체의 선단측을 향하는 단부(端部)에 상기 인출방향을 향하는 축부측 사면(斜面)을 형성하고, 상기 축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였다.
양태 2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에 따르면, 끼움결합 축부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를 가지며,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는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어댑터의 끼움결합 구멍부는, 상기 축부 본체와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가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를 끼움삽입하면,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축부측 돌기와 구멍부측 돌기가 대향되어, 끼움결합 축부가 어댑터에 대하여 회전하려고 하면, 구멍부측 돌기가 축부측 돌기에 대해 간섭한다. 이로써, 어댑터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이 규제된다.
여기서, 끼움결합 축부를 구성하는 축부 본체의 축방향 중간부보다 선단측에서는 상기 축부측 돌기에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축부측 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축부측 사면은, 축부측 돌기에 있어서 축부 본체의 선단측을 향하는 단부를 인출방향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즉, 축부측 돌기에 있어서의 축부 본체의 선단측의 단부를 인출방향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을 끼워 넣음으로써, 구멍부측 돌기에 축부측 사면이 간섭되면, 축부측 사면이 구멍부측 돌기를 스풀 본체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축부측 사면이 인출방향으로 구멍부측 돌기를 가압한다. 이로써, 끼움결합 축부와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이 맞는 회전위치까지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상대회전한다.
더욱이 양태 2에서는,
상기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을 향하는 단부에 상기 권취방향측으로 기우는 구멍부측 사면을 형성하고, 이 구멍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양태 3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는, 양태 1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와,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간격을 두고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축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부 본체보다 내경치수가 크며 내측에 상기 축부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와,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상기 구멍부 본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상기 축부측 돌기와 대향되고, 상기 축부측 돌기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를 구성하고,
상기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을 향하는 단부에 상기 권취방향을 향하는 구멍부측 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였다.
양태 3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에 따르면, 끼움결합 축부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를 가지며,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는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어댑터의 끼움결합 구멍부는, 상기 축부 본체와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가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를 끼움삽입하면,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로 축부측 돌기와 구멍부측 돌기가 대향되어, 끼움결합 축부가 어댑터에 대하여 회전하려고 하면, 축부측 돌기가 구멍부측 돌기에 간섭한다. 이로써, 어댑터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이 규제된다.
여기서, 끼움결합 구멍부를 구성하는 구멍부측 돌기에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구멍부측 사면이 형성된다. 구멍부측 사면은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스풀측)을 향하는 단부를 권취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즉,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의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의 단부가 권취방향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을 삽입함으로써, 축부측 돌기에 구멍부측 사면이 간섭되면, 축부측 돌기가 구멍부측 사면을 가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멍부측 사면은 권취방향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부측 사면이 축부측 돌기로부터 받는 가압력은 스풀 본체의 축방향뿐만 아니라, 스풀 본체의 축선 둘레의 인출방향으로의 가압력으로서 작용하며, 이로써, 끼움결합 축부와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이 맞는 회전위치까지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상대회전한다.
양태 4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는, 양태 1 내지 양태 3 중 어느 한 항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취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기 어댑터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상기 권취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결합부를 상기 어댑터에 형성하였다.
양태 4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에 따르면, 어댑터에는 걸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댑터 및 스프링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대하여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가 어댑터의 걸림결합부에 있어서의 권취방향측의 면에 간섭하면, 어댑터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댑터에는 스프링의 타단이 걸림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잘못하여 인출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는데, 스토퍼에 의해 권취방향의 회전이 더욱 규제됨에 따라 어댑터가 안정된다.
이와 같이 안정된 어댑터의 끼움결합 구멍부에 대하여 끼움결합 축부의 위상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을 삽입하면, 가이드 수단이 어댑터를 상대적으로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끼움결합 축부와 끼움결합 구멍부 간의 위상이 일치하는 회전위치까지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어댑터가 상대회전한다.
한편, 양태 1 내지 양태 4 중 어느 한 항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축방향 타측이 상기 스풀 본체에 고정되고, 축방향 일측에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돌출 형성된 일단측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양태 2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축부측 사면이, 상기 구멍부측 돌기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인출방향으로 상기 구멍부측 돌기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양태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축부측 돌기에 의해, 상기 구멍부측 사면이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인출방향으로 상기 구멍부측 사면이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에 따르면, 스풀측의 끼움결합 축부를 스프링측에 설치된 어댑터의 끼움결합 구멍부에 간단히 끼워 넣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웨빙권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끼움결합 축부와 어댑터의 끼움결합 구멍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끼움결합 축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끼움결합 구멍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스프링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스풀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권취방향으로의 어댑터의 회전이 스토퍼에 의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의 상태로부터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에는 웨빙권취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이 정면단면도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웨빙권취장치(10)는,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레그 플레이트(leg plate, 12)와 레그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6)의 레그 플레이트(12)와 레그 플레이트(14)의 사이에는 스풀(17)이 설치된다. 스풀(17)은 전체적으로 축방향이 레그 플레이트(12)와 레그 플레이트(14)의 대향방향을 따른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풀 본체(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풀 본체(18)에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된 웨빙벨트(20)의 길이방향 기단측이 걸림고정되어 있으며, 스풀 본체(18)를 그 중심축선 둘레의 한쪽인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웨빙벨트(20)가 그 길이방향 기단측부터 스풀 본체(18)의 외주부에 권취되며, 웨빙벨트(20)를 그 선단측으로 잡아당기면, 웨빙벨트(20)에 있어서 스풀 본체(18)에 권취되어 있는 부분이 인출되면서, 스풀 본체(18)가 권취방향과는 반대인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풀 본체(18)의 내측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풀 본체(18)와 함께 스풀(17)을 구성하는 토션 샤프트(22)가 설치된다. 토션 샤프트(22)는 축방향이 스풀 본체(18)의 축방향을 따르는 봉형상의 샤프트 본체(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 본체(24)의 축방향 일단부에는 스풀측 연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측 연결부(26)는 외주형상이 별형상이나 다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풀측 연결부(26)에 대응하여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일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스풀 본체(18)의 내주부에는 끼움결합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결합부(28)에 스풀측 연결부(26)가 끼움결합됨으로써 토션 샤프트(22)는 스풀 본체(18)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된 상태(실질적으로 스풀 본체(18)에 대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스풀 본체(18)에 연결되고, 이 상태에서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샤프트 본체(24)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록킹기구(locking mechanism, 52)를 구성하는 록킹 베이스(54)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베이스(54)는 외주부에 래칫 톱니(ratchet teeth)가 형성된 록킹 베이스 본체(57)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 베이스 본체(57)의 스풀 본체(18)측에는 외주부가 원형인 삽입부(58)가 래칫 톱니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58)에 대응하여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원형 구멍(60)이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60)은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개구되어 있어, 삽입부(58)가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끼움삽입된다.
또한, 삽입부(58)에는 록킹 베이스 본체(57)와는 반대측에서 개구된 끼움삽입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삽입구멍(62)은 내주형상이 별형상이나 다각형 등의 비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샤프트 본체(24)의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된 록킹 베이스측 연결부(64)가 끼움삽입구멍(62)에 끼움삽입된다. 이로써, 록킹 베이스(54)는 토션 샤프트(22)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된 상태(실질적으로 토션 샤프트(22)에 대한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 베이스(54)의 삽입부(58)는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 구멍(60)에 끼움삽입되지만, 스풀측 연결부(26)에서 토션 샤프트(22)가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록킹 베이스(54)는 토션 샤프트(22)를 통해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록킹 베이스(54)의 회전반경방향 외측에는 록킹 베이스(54)와 함께 록킹기구(52)를 구성하는 록킹 폴(lock pawl ; 72)이 설치되어 있다. 록킹 폴(72)은 스풀 본체(18)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둘레로 회동(回動)가능하게 레그 플레이트(leg plate ; 12)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 폴(72)에는 록킹 톱니(locking teeth)가 형성되어 있으며, 록킹 폴(72)이 그 축둘레의 한쪽으로 회동하면, 록킹 폴(72)의 록킹 톱니가 록킹 베이스 본체(57)의 외주부에 접근하여 록킹 베이스 본체(57)의 래칫 톱니에 맞물린다. 이로써, 록킹 베이스(54)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록킹 베이스(54)나 록킹 폴(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록킹기구(52)는, 차량이 급히 감속했을 경우에 작동하는 이른바 「VSIR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도시생략)이나, 스풀 본체(18)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가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는 이른바 「WSIR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VSIR기구」나 「WSIR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록킹 폴(72)은 록킹 톱니가 록킹 베이스 본체(57)의 외주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한편, 스풀측 연결부(26)에는 샤프트 본체(24)와는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된 암나사구멍(90)이 샤프트 본체(24)나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멍(90)에는, 스풀 본체(18)나 토션 샤프트(22)와 함께 스풀(17)을 구성하는 스프링 나사(92)의 수나사부(94)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수나사부(94)의 기단측에서는 스프링 나사(92)에 플랜지부(9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96)는 외주형상이 끼움결합부(28)의 외주형상보다 크고, 플랜지부(96)의 적어도 일부는 끼움결합부(28)보다 외측에서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일단부와 대향된다.
상기 플랜지부(96)의 수나사부(94)와 반대되는 쪽에는 끼움결합 축부(9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결합 축부(98)는 축부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 본체(100)는 수나사부(94)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플랜지부(96)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축부측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측 돌기(102)는 축부 본체(100)의 외주부로부터 축부 본체(10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축부 본체(100)의 중심 축선 둘레로 일정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부측 돌기(102)에는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축부측 사면(104)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측 사면(104)은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을 따른 축부측 돌기(10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더욱이, 축부측 사면(104)은,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경사진 쪽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플레이트(14)의 레그 플레이트(12)와는 반대측에서 레그 플레이트(14)에 스프링 어셈블리(1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2)은 레그 플레이트(14)를 향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단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시트(sheet, 114)에 의해 닫혀 있다.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에는 어댑터(116)가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116)는 축방향이 스풀 본체(18)의 축방향을 따르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 본체(1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1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116)에 대응하여 시트(114)에는 원형 구멍(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댑터(116)의 레그 플레이트(14)측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116)에는 어댑터(116)의 레그 플레이트(14)측의 단부에서 개구된 끼움결합 구멍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결합 구멍부(120)는 구멍부 본체(122)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부 본체(122)는 그 내주형상이 상술한 끼움결합 축부(98)에 있어서 축부 본체(100)로부터의 축부측 돌기(102)의 돌출방향측의 단부(端部)를 연결한 가상의 원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에 끼움결합 축부(98)를 수용할 수가 있다.
상기 구멍부 본체(122)의 내주부로부터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124)가 구멍부 본체(122)의 개구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측 돌기(124)는 축부 본체(100) 둘레에 서로 이웃하는 축부측 돌기(102)의 틈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끼움결합 축부(98)를 삽입하면,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측 돌기(124) 사이의 틈새의 각각에 대하여 축부측 돌기(102)가 들어간다.
이 때문에, 어댑터(116)에 대하여 스프링 나사(92)가 상대 회전하려고 하면, 구멍부측 돌기(124)에 축부측 돌기(102)가 간섭되고, 이로써, 어댑터(116)에 대한 스프링 나사(92)의 상대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멍부측 돌기(124)에 있어서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개구단측의 단부는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구멍부측 사면(126)으로 되어 있다. 구멍부측 사면(126)은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개구방향에 대하여 권취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더욱이,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개구방향에 대하여 권취방향으로 경사진 쪽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116)의 외주부에는, 하우징(112) 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서의 나선형 스프링(132)의 나선방향 내측단이 걸림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132)의 나선방향 외측단은, 하우징(112)에 형성된 걸림고정돌기(134)에 걸림고정되어 있으며, 어댑터(116)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선형 스프링(132)이 단단히 감겨 어댑터(116)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어댑터(116)에는 스토퍼 삽입구멍(136)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삽입구멍(136)은 어댑터(116)의 외주부에서 개구되어 있으며, 어댑터(116)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38)의 선단측이 들어간다. 상기 스토퍼(138)는, 어댑터(116)의 반경방향으로 스토퍼 삽입구멍(136)에 대하여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시트(114)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나선형 스프링(132)의 가압력을 받은 어댑터(116)가, 스토퍼 삽입구멍(136)의 내면에서 어댑터(116)의 권취방향을 향하는 면을 스토퍼(138)의 선단에 가압접촉시킴으로써, 어댑터(116)가 잘못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게 되어 있다.
단, 스토퍼 삽입구멍(136)의 내면에 있어서 어댑터(116)의 권취방향을 향하는 면과 인출방향을 향하는 면간의 간격은, 스토퍼(138)의 선단보다 충분히 크며, 축부 본체(100) 둘레에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축부측 돌기(102)로부터 다른 쪽의 축부측 돌기(102)까지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작용, 효과>
본 웨빙권취장치(10)에서는, 스프링 나사(92)가 조립설치된 토션 샤프트(22)를 스풀 본체(18)에 더욱 조립설치하는 한편, 하우징(112)의 내측에 어댑터(116)와 나선형 스프링(132)이 조립설치되고 하우징(112)의 개구단이 시트(114)에 의해 닫히며 스토퍼(138)에 의해 어댑터(116)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 본체(18)와 일체가 된 끼움결합 축부(98)가 어댑터(116)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끼워 넣어진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측 돌기(124) 사이의 틈새와 축부측 돌기(102)가 스풀 본체(18)의 축방향으로 대향되어 있지 않은 상태(즉, 스풀 본체(18)의 중심축선 둘레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위상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98)의 위상이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끼움결합 축부(98)를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삽입하려고 하면, 축부측 돌기(102)에 형성된 축부측 사면(104)이 구멍부측 돌기(124)에 형성된 구멍부측 사면(126)에 맞닿는다(선접촉 또는 점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끼움결합 축부(98)를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더욱 삽입하려고 하면, 축부측 사면(104)이 구멍부측 돌기(124)를 가압한다. 여기서, 축부측 사면(104)은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구멍부측 사면(126)은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개구방향에 대하여 권취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축부측 사면(104)은 구멍부측 사면(126)을 플랜지부(96)로부터의 축부 본체(100)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경사진 쪽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구멍부측 사면(126)에서 받은 어댑터(116)에는 인출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어댑터(116)는 스토퍼 삽입구멍(136)에 스토퍼(138)의 선단측이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되지만, 인출방향으로는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어댑터(116)에 상기와 같은 인출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어댑터(116)는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어댑터(116)의 인출방향의 회전에 의해, 스풀 본체(18)의 중심축선 둘레로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위상과 끼움결합 축부(98)의 위상이 맞추어지면,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측 돌기(124) 사이의 틈새에 각 축부측 돌기(102)가 들어가, 끼움결합 축부(98)가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웨빙권취장치(10)에서는, 그 조립공정에 있어서, 스풀 본체(18)의 중심축선 둘레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위상에 대한 끼움결합 축부(98)의 위상을 맞추지 않아도 되며, 끼움결합 축부(98)를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간단히 끼움결합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움결합 축부(98)의 축부측 돌기(102)에 축부측 사면(104)을 형성하고, 어댑터(116)에 있어서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의 구멍부측 돌기(124)에 구멍부측 사면(126)을 형성한 구성이지만, 축부측 돌기(102)에는 축부측 사면(104)을 형성하고, 구멍부측 돌기(124)에는 구멍부측 사면(126)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구멍부측 돌기(124)에는 구멍부측 사면(126)을 형성하고, 축부측 돌기(102)에는 축부측 사면(104)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17)이 스풀 본체(18), 토션 샤프트(22) 및 스프링 나사(92)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스풀은 웨빙벨트(20)를 그 기단측부터 권취하는 스풀 본체와, 어댑터(116)의 끼움결합 구멍부(120)에 끼움결합가능한 끼움결합 축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토션 샤프트(22)나 스프링 나사(92)를 구비하지 않고 스풀 본체(18)의 축방향 일단부에 끼움결합 축부(98)를 돌출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Claims (8)

  1.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단측이 걸림고정되고, 중심축선 둘레의 한 쪽인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웨빙벨트를 기단측부터 권취하는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에,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이면서 또한 일체적인 끼움결합 축부가 설치된 스풀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의 측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끼움결합축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이 맞는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결합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의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된 어댑터와,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의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개구측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를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인 인출방향으로 상기 어댑터가 회전함으로써 스프링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증가하는 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 어셈블리
    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출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으로 가압되며,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회전위치까지 상기 끼움결합 축부에 대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인출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스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한 웨빙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와,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간격을 두고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축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부 본체의 외형치수보다 내경치수가 크며 내측에 상기 축부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와,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상기 구멍부 본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상기 축부측 돌기와 대향되고, 상기 축부측 돌기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를 구성하며,
    상기 축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축부 본체의 선단측을 향하는 단부에 상기 인출방향측을 향하는 축부측 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축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 웨빙권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동축적인 축부 본체와,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간격을 두고 상기 축부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축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부 본체의 외형치수보다 내경치수가 크며 내측에 상기 축부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본체와,
    상기 구멍부 본체의 내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축부측 돌기가 상기 구멍부 본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축선 둘레로 상기 축부측 돌기와 대향되고, 상기 축부측 돌기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에 대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는 복수의 구멍부측 돌기
    를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를 구성하고,
    상기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을 향하는 단부에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경사지는 구멍부측 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 웨빙권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측 돌기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본체의 개구단측을 향하는 단부에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경사지는 구멍부측 사면을 형성하고, 이 구멍부측 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 웨빙권취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기 어댑터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상기 권취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결합부를 상기 어댑터에 형성한 웨빙권취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축방향 타측(94)이 상기 스풀 본체에 고정되고, 축방향 일측에 상기 끼움결합 축부가 돌출 형성된 일단측 부재(92)를 더 포함하는 웨빙권취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축부측 사면이, 상기 구멍부측 돌기를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인출방향으로 상기 구멍부측 돌기를 가압하는 웨빙권취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의 위상에 대하여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상기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끼움결합 축부의 선단측이 상기 끼움결합 구멍부에 들어갔을 때,
    상기 축부측 돌기에 의해, 상기 구멍부측 사면이 상기 스풀 본체의 축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중심축선 둘레의 인출방향으로 상기 구멍부측 사면이 가압되는 웨빙권취장치.
KR20110056844A 2010-06-16 2011-06-13 웨빙권취장치 KR101485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7380A JP5546963B2 (ja) 2010-06-16 2010-06-16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10-137380 201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247A true KR20110137247A (ko) 2011-12-22
KR101485039B1 KR101485039B1 (ko) 2015-01-21

Family

ID=4430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56844A KR101485039B1 (ko) 2010-06-16 2011-06-13 웨빙권취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0226B2 (ko)
EP (1) EP2397380B1 (ko)
JP (1) JP5546963B2 (ko)
KR (1) KR101485039B1 (ko)
CN (1) CN1023108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482A (zh) * 2017-06-07 2017-09-08 佛山市建金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收纳盒
CN107172848A (zh) * 2017-07-25 2017-09-15 合肥科斯维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用安全防护罩
JP6933988B2 (ja) * 2018-02-16 2021-09-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7252457B2 (ja) 2019-07-26 2023-04-05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一体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809A (en) * 1978-01-06 1979-07-03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Prewound retractor spring housing assembly
US4210296A (en) * 1978-12-26 1980-07-01 Royal Business Machines, Inc. Ribbon cartridge with integral anti spool rotation device
US4340190A (en) * 1980-05-20 1982-07-20 Barnes Group Inc. Seat belt retractor spring assembly
JPS6145786U (ja) * 1984-08-23 1986-03-2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FR2639590B1 (fr) * 1988-11-30 1991-02-22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Barillet arme a ressort notamment pour enrouleur de ceinture de securite
JPH05254389A (ja) * 1992-03-16 1993-10-0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付勢力付与手段の付勢状態保持装置
GB2302682A (en) * 1995-06-28 1997-01-29 Europ Component Co Ltd A seat belt retractor spring cassette
DE19623658A1 (de) * 1996-06-13 1997-12-1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US6029924A (en) * 1997-10-03 2000-02-29 Nsk Ltd. Retractor for a seat belt
GB2360020B (en) * 1999-03-31 2001-11-28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JP3885983B2 (ja) * 1999-04-27 2007-02-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1225719A (ja) * 1999-12-08 2001-08-2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727514B2 (ja) * 2000-07-11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3754283B2 (ja) * 2000-08-15 2006-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2104134A (ja) * 2000-09-29 2002-04-10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7543625B2 (en) * 2002-03-19 2009-06-09 Canimex Inc. Brak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EP1488968B1 (en) * 2002-03-22 2006-07-26 Ashimori Industry Co., Ltd. Seat belt retractor
JP2005289320A (ja) * 2004-04-05 2005-10-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05026885B4 (de) * 2005-06-10 2015-01-08 Trw Automotive Gmbh Kraftbegrenz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JP2007321773A (ja) * 2006-05-30 2007-12-13 Kyocera Mita Corp 組付構造、ギヤ組付構造、これらの組付構造又はギヤ組付構造を用い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91417B2 (ja) * 2008-09-22 2013-09-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軸受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0137380A (ja) 2008-12-09 2010-06-24 Canon Finetech Inc 液体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01089A (ja) 2012-01-05
EP2397380B1 (en) 2014-02-26
EP2397380A1 (en) 2011-12-21
JP5546963B2 (ja) 2014-07-09
US9090226B2 (en) 2015-07-28
CN102310837B (zh) 2013-06-26
CN102310837A (zh) 2012-01-11
US20110309180A1 (en) 2011-12-22
KR101485039B1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68567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110137247A (ko) 웨빙권취장치
JP5243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93448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5784563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030040043A (ko) 웨빙 권취장치 및 웨빙 권취장치 조립 방법
KR102008058B1 (ko) 웨빙 권취 장치
JP200926263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09300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0570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20542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8550394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5399283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304940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38445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8176855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24338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2004493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509672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20044931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544889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87230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621310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2116399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