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693A -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693A
KR20110136693A KR1020110045793A KR20110045793A KR20110136693A KR 20110136693 A KR20110136693 A KR 20110136693A KR 1020110045793 A KR1020110045793 A KR 1020110045793A KR 20110045793 A KR20110045793 A KR 20110045793A KR 20110136693 A KR20110136693 A KR 2011013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lm
suction
cutting
roll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615B1 (ko
Inventor
황진섭
장응진
이유민
김희균
이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012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TWI413562B/zh
Priority to JP2011132456A priority patent/JP5328846B2/ja
Priority to CN201110164695.3A priority patent/CN102275039B/zh
Publication of KR201101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10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using a fixed support, i.e. involving moving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로서, 레이저 절단기의 레이저 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마련되며, 레이저 헤드와 대향되도록 롤 필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롤 필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재; 흡착부재의 틈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흡입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왕복이동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y-product of roll-film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편광필름 롤과 같은 롤 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할 때, 롤 필름의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발생되는 절단 부산물을 흡입, 제거할 수 있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 생성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들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전계 생성 전극들 사이의 전기장 변화를 통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이 과정에서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패널의 상, 하면에는 각각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배향 변화를 가시화하는 편광필름이 배치된다. 편광필름은 투과측과 일치하는 편광 성분의 빛을 투과시킨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상, 하면에 배치된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배치와 액정의 배열 특성에 의해 빛의 투과 정도를 결정한다.
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조된 롤 형태의 편광필름(이하, '편광필름 롤'이라 함)은 기계식 절단기(예, 재단 프레스 또는 슈퍼 커터)에 의해 대응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별로 재단(절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편광필름 롤을 재단 프레스나 슈퍼 커터와 같은 기계식 절단기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면은 면취 공정을 거쳐야 하고, 편광필름 롤의 절단 과정에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하므로 추가 공정 비용 및 환경 처리 비용이 발생된다. 이것은 생산 원가의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 롤을 절단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편광필름 롤을 레이저 가공기로 절단할 경우, 레이저의 파워로부터 발생되는 절단 부산물은 석션 유닛에 의해 흡입 및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석션 유닛은 그 자체의 흡입력에 의해 편광필름 롤의 이송을 방해하기 때문에 분리된 편광필름을 이송하거나 절단될 편광필름 롤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석션유닛의 작동을 일시 중단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석션 유닛의 일시 중단 과정은 레이저 절단 시스템 주위에 부유하는 절단 부산물이 절단된 편광필름(또는 편광필름 롤)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절단 부산물은 레이저 절단 장치 자체를 오염시키거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편광필름 롤과 같은 롤 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에서, 편광필름 롤의 이송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편광필름 롤의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단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는, 상기 레이저 절단기의 레이저 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헤드와 대향되도록 상기 롤 필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 필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틈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왕복이동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부재는 복수의 진공 흡착구멍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틈새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흡착 플레이트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틈새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는 흡입 몸체; 및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상기 부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 몸체에 연통된 배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착부재의 틈새에 위치될 수 있는 가늘고 길게 형성된 납작 노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상기 흡착부재에 연결된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착부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봉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흡착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상기 롤 필름이 상기 흡착부재에 흡착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흡입부재를 승하강시켜 상기 흡입부재의 상단부 레벨과 상기 롤 필름의 저면 레벨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제거장치는 상기 롤 필름 상부로 비산되는 부산물을 집진할 수 있는 제1 집진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집진부재는: 상기 롤 필름의 상부에서 상기 레이저 헤드의 양측에 배치되고 입구가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집진 몸체들; 각각의 상기 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집진 노즐들; 및 상기 집진 몸체에 각각 마련된 배출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제거장치는 상기 흡입부재 하부에 설치된 제2 집진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집진부재는: 상기 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집진 몸체; 상기 제2 집진 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 집진 노즐; 및 상기 제2 집진 몸체에 마련된 제2 배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롤 필름은 편광필름 롤 또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롤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레이저 절단기를 이용하여 편광필름 롤과 같은 롤 필름을 폭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롤 필름을 흡착하는 흡착부재에 대해 절단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입부재의 하부 읍압에 의해 롤 필름의 재공급시 필름의 끝단이 흡착부재(패드)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제1 집진부재 및/또는 제2 집진부재를 부가함으로써, 레이저 절단에 의해 발생되는 부산물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요약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용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정확한 장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레이저 절단기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흡착부재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패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롤 필름 절단 시스템(1)은, 롤 상태로 감겨진 편광필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공급하는 언와인딩(unwinding) 장치(10), 언와인딩 장치(10)에서 공급되는 편광필름 롤(F)을 편평하게 펼치는 한편 편광필름 롤(F)이 정지 또는 이동할 경우 롤의 일정한 텐션을 제어할 수 있는 댄서(dancer) 장치(20), 댄서 장치(20)를 통해 펴진 편광필름 롤을 정해진 속도를 일정하게 이송시키는 한편 편광필름 롤의 진행방향의 사이즈 정확도를 결정하는 인피드(infeed) 장치(30), 인피드 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필름 롤에 재단할 부분(예, 폭 방향의 재단선 또는 마킹라인)을 마킹하고 검사하는 마킹 검사 장치(40), 마킹 검사 장치(40)에서 마킹된 마킹라인을 따라 편광필름 롤(F)을 레이저 빔으로 절단할 수 있는 레이저 절단기(50), 레이저 절단기(50)에 의해 편광필름 롤(F)로부터 절단되어 형성된 편광필름을 배출하는 배출장치(60), 및 배출장치(60)에서 배출된 편광필름을 이송하여 포장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포장장치(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100)는 레이저 절단기(50)와 함께 작동한다. 따라서, 언와인딩 장치(10), 댄서 장치(20), 인피드 장치(30), 마킹 검사 장치(40), 배출장치(60) 및 포장장치(70)는 편광필름 롤 절단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일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레이저 절단기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절단기(50)는, 프레임(110)에 설치된 레이저 소스(122), 레이저 소스(122)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프레임(110)에 설치된 광반사 조립체(124), 프레임(110)에 설치된 리니어 모터(111)에 의해 편광필름 롤(F)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블록(118)에 설치되고 광반사 조립체(124)의 끝단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127)와 편광필름 롤(F) 쪽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헤드(125)를 구비한다.
레이저 소스(122)는 절단 대상 롤 필름(F)의 두께 범위에 적용성이 높고, 균열 및 표시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CO2 레이저를 사용한다. 그러나, 레이저 소스(122)는 현재 업계에 알려져 있거나 앞으로 개발될 모든 레이저빔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광반사 조립체(124)는 다수의 반사경들로 구성되며, 레이저 소스(122)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레이저 소스(122)의 끝단에 설치된 제1 광반사부(126), 제1 광반사부(126)와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2 광반사부(128), 및 레이저 헤드(125)의 수광부(127)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제3 광반사부(121)를 구비한다. 따라서, 레이저 헤드(125)의 수광부(127)와 제3 광반사부(121)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레이저 헤드(125)가 리니어 모터(111)를 따라 편광필름 롤(F)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3 광반사부(121)를 통해 출광되는 레이저 빔은 레이저 헤드(125)의 수광부(127)로 안정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끝단의 레이저 노즐(129)이 편광필름 롤(F)을 향하도록 레이저 헤드(125)는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이동 블록(118)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레이저 헤드(125)는 필요한 경우 편광필름 롤(F)의 폭방향뿐만 아니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112)에 다수의 지지 프레임들(114)이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들(114)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126)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6)의 내부 공간에는 편광필름 롤(F)로부터 분리된 편광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전술한 레이저 절단기의 주요 부품들은 메인 프레임(116)의 상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절단기(50)의 레이저 헤드(125)에 의해 편광필름 롤(F)이 폭 방향으로 절단될 때 발생되는 부산물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급되는 편광필름 롤(F)을 흡착 고정할 수 있으며, 레이저 헤드(125)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C)가 마련된 흡착부재(130),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착부재(130)의 틈새(C)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된 흡입부재(140), 및 흡입부재(14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 왕복이동부재(150)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좌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의 흡착부재 부위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착부재(130)는 레이저 절단기(50)의 레이저 헤드(125)에 대해 대향되도록 편광필름 롤(F)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흡착부재(130)는 복수의 진공 흡착구멍들(132)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각각 마련되며, 틈새(C)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예, 4mm 내지 8mm)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흡착 플레이트들(134)(136)을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착부재(130)는 프레임(110)을 가로 질러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흡착 프레임들(139), 각각의 흡착 프레임(139)에 설치된 흡착 브라켓(131), 및 편광필름 롤(F)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흡착 브라켓들(131)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의 진공 흡착구멍들(132)이 소정 패턴으로 마련된 흡착패드들(133)(135)을 구비한다. 각각의 흡착패드(133)(135)에 마련되는 진공 흡착구멍들(132)은 편광필름 롤(F)의 진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 형태이다. 또한, 진공 흡착구멍들(132)은 진공 펌프(미도시)와 연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패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흡착패드(230)는 상응하는 흡착 브라켓(131)에 부착하기 위한 장공들(232)과, 예를 들어, '王' 모양으로 패드 본체(236)에 관통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C) 이격된 다수의 흡착구멍들(234)을 구비한다.
흡착부재(130)의 틈새(C)의 간격 및/또는 진공 흡착구멍들(132)의 패턴 은 절단되는 편광필름 롤(F)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입부재(140)는 흡착부재(130)의 틈새(C)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는 흡입부(142), 흡입부(142)와 연통되는 흡입 몸체(144), 및 흡입부(142)로부터 흡입되는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흡입 몸체(144)에 연통된 배출부(146)를 구비한다.
흡입부(142)는 흡착부재(130)의 틈새(C)에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깔때기 주둥이 형상과 같이 가늘고 긴 단면을 가진 납작 노즐과 흡입 몸체(144)를 연결하는 깔대기부를 구비한다. 납작 노즐은 흡입부재(140)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때기부는 흡입 몸체(144)와 밀봉 결합된다. 흡입 몸체(144)는 편광필름 롤(F)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배출부(146)는 흡입 몸체(144)의 측면에 마련된 4개의 배출관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배출부(146)의 각각의 배출관들은 미도시된 집진부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142)와 연통된 흡입 몸체(144)는 흡입 브라켓(148)에 고정되고, 흡입 브라켓(148)은 후술하는 왕복이동부재(150)의 작동 로드(152)에 고정된다.
왕복이동부재(150)는 흡착부재(130)에 연결된 작동 로드(152)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154), 및 흡착부재(13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봉(156)을 구비한다. 액츄에이터(154)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츄에이터(154)는 모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액츄에이터(154)와 가이드 봉(156)은 흡착부재(13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각각 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봉(156)은 배출관들이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부가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54)가 작동되면 흡입 브라켓(148)은 가이드 봉(156)에 의해 안내되어 승,하강됨으로써, 흡입부재(140)가 왕복이동할 수 있다.
왕복이동부재(150)는 편광필름 롤(F)이 흡착부재(130)에 흡착 또는 해제됨에 따라 흡입부재(140)를 승하강시켜 흡입부재(140)의 흡입부(142)의 상단부 레벨과 편광필름 롤(F)의 저면 레벨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킨다. 즉, 왕복이동부재(150)는 편광필름 롤(F)이 흡착부재(130)에 흡착된 상태에서 레이저 헤드(125)가 편광필름 롤(F)을 폭방향으로 절단한 후, 흡입부재(140)를 소정 간격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입부재(140)의 흡입부(142)의 하부음압에 의해 편광필름 롤(F)의 재공급시 편광필름 롤(F)의 절단면이 흡착부재(130)의 흡착패드(135)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제거장치(100)는 편광필름 롤(F) 상부로 비산되는 부산물을 집진할 수 있는 제1 집진부재(160), 및 흡입부재(140)의 하부에 설치된 제2 집진부재(170)를 구비한다.
제1 집진부재(160)는 편광필름 롤(F)의 상부에서 레이저 헤드(125)의 양측에 배치되고 입구가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집진 몸체들(162); 각각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레이저 헤드(125)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집진 노즐들(164), 및 집진 몸체(164)에 각각 마련된 배출구(166)를 구비한다.
제2 집진부재(170)는 편광필름 롤(F)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집진 몸체(172), 제2 집진 몸체(17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 집진 노즐(174), 및 제2 집진 몸체(172)에 마련된 제2 배출부(17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 롤(F)이 도시하지 않은 이송수단(콘베이어)에 의해 흡착부재(130)의 흡착 플레이트들(134)(136) 위를 지나 메인 프레임(116) 내부로 이송될 때, 흡입부재(140)의 흡입부(142)는 왕복이동부재(150)의 액츄에이터(154)에 의해 흡착부재(130)의 틈새(C) 사이에서 하강되어 있다. 왜냐하면, 편광필름 롤(F)이 투입되거나 절단된 편광필름 롤(F)이 전방(도 7의 우측)으로 진행하는 경우, 흡입부재(140)의 흡인력에 의해 편광필름 롤(F)의 끝단이 우측의 흡착 플레이트(136)(흡입패드(13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편광필름 롤(F)의 끝단은 우측의 흡착 플레이트(134)(136)에 걸리지 않고 스무스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편광필름 롤(F)이 정위치(절단 위치)로 이송이 완료되면 미도시된 센서의 감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송수단(콘베이어)의 작동이 멈춘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이동부재(150)의 액츄에이터(154)는 흡입부(142)의 끝단이 편광필름 롤(F)의 하면에 거의 접근되도록 흡입부재(14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흡착부재(130)를 작동시켜 진공 흡착구멍들(132)을 통해 편광필름 롤(F)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흡입부재(140)를 작동시켜 흡입부(142)를 통해 레이저 헤드(125)에 의해 절단될 부산물을 흡입할 준비를 한다.
다음, 레이저 헤드(125)는 편광필름 롤(F)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편광필름 롤(F)을 폭방향으로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단 부산물은 흡착부재(130)의 흡착 플레이트들(134)(136) 사이에 위치된 흡입부재(140)의 흡입부(142)를 통해 흡입되어 흡입 몸체(144) 및 배출부(146)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1 집진부재(160)는 편광필름 롤(F)이 레이저 헤드(125)에 의해 절단되면서 편광필름 롤(F)의 상부로 비산되는 부산물을 집진하여 제거하고, 제2 집진부재(170)는 흡입부재(140)와 제2 집진부재(170)를 통해 흡입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절단 부산물 집진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100)는 편광필름 롤(F)을 레이저 절단할 때 발생되는 절단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편광필름 롤(F) 자체 및 레이저 절단기(50)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 편광필름 롤(F)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은 편광필름 롤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롤 필름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롤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부가물, 변형물, 조합들 및/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요소들, 물질들,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신 필수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열, 비율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특정의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특히 적합하도록 된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형과 함께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함께 및/또는 상호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몇몇은 위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것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롤 필름 절단 시스템 10…언와인딩 장치
20…댄서 장치 30…인피드 장치
40…마킹 검사 장치 50…레이저 절단기
60…배출장치 70…포장장치
100…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10…프레임
112…리니어 모터 112…베이스 프레임
114…지지 프레임 116…메인 프레임
118…이동 블록 122…레이저 소스
124…광반사 조립체 125…레이저 헤드
127…수광부 129…레이저 노즐
130…흡착부재 131…흡착 브라켓
132…흡착구멍 133,135,230…흡착패드
134,136…흡착 플레이트 139…흡착 프레임
140…흡입부재 142…흡입부
144…흡입 몸체 146…배출부
148…흡입 브라켓 150…왕복이동부재
152…작동 로드 154…액츄에이터
156…가이드 봉 160…제1 집진부재
170…제2 집진부재

Claims (15)

  1.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 롤 필름이 폭 방향으로 절단될 때 발생되는 부산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절단기의 레이저 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헤드와 대향되도록 상기 롤 필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 필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틈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왕복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복수의 진공 흡착구멍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틈새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흡착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틈새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는 흡입 몸체; 및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상기 부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 몸체에 연통된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착부재의 틈새에 위치될 수 있는 가늘고 길게 형성된 납작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상기 흡착부재에 연결된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착부재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흡착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상기 롤 필름이 상기 흡착부재에 흡착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흡입부재를 승하강시켜 상기 흡입부재의 상단부 레벨과 상기 롤 필름의 저면 레벨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필름 상부로 비산되는 부산물을 집진할 수 있는 제1 집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부재는:
    상기 롤 필름의 상부에서 상기 레이저 헤드의 양측에 배치되고 입구가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집진 몸체들;
    각각의 상기 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집진 노즐들; 및
    상기 집진 몸체에 각각 마련된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 하부에 설치된 제2 집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부재는:
    상기 롤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집진 몸체;
    상기 제2 집진 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2 집진 노즐; 및
    상기 제2 집진 몸체에 마련된 제2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4mm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필름은 편광필름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필름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롤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KR1020110045793A 2010-06-14 2011-05-16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KR10122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20501A TWI413562B (zh) 2010-06-14 2011-06-13 膜卷切割系統之副產物移除裝置
JP2011132456A JP5328846B2 (ja) 2010-06-14 2011-06-14 ロールフィルム切断システムの切断副産物除去装置
CN201110164695.3A CN102275039B (zh) 2010-06-14 2011-06-14 用于移除膜卷切割系统的副产物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5993 2010-06-14
KR1020100055993 2010-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693A true KR20110136693A (ko) 2011-12-21
KR101222615B1 KR101222615B1 (ko) 2013-01-21

Family

ID=4550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93A KR101222615B1 (ko) 2010-06-14 2011-05-16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28846B2 (ko)
KR (1) KR101222615B1 (ko)
TW (1) TWI413562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195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코엠 2차전지 권취시스템의 분리막 커터 브러싱 장치
KR20150125196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코엠 2차전지 권취시스템에서 전지롤 권취 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88412B1 (ko) * 2014-07-18 2016-01-25 (주)엔에스 레이저 마킹 장치
KR20160010200A (ko) * 2014-07-18 2016-01-27 (주)엔에스 시트 절단 장치
KR20160138741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용 전극 가공장치
KR20170111934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필름 절단용 칼날부 자동 세척 장치
KR102181983B1 (ko) * 2019-08-13 2020-11-24 (주)디이엔티 레이저 노칭 장치
CN113878241A (zh) * 2020-06-17 2022-01-04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激光加工设备及激光加工方法
KR102496566B1 (ko) * 2022-09-30 2023-02-06 황상현 코어 필름 절단 및 제거 시스템
CN115781380A (zh) * 2022-10-09 2023-03-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控制方法、装置、卷绕系统、控制器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3699B (zh) * 2017-07-06 2023-06-20 海目星激光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平面切割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995A (ja) * 1988-05-02 1989-11-09 Amada Co Ltd レーザ加工機の集麈装置
JPH01306095A (ja) * 1988-06-01 1989-12-11 Nippei Toyama Corp 薄膜付レーザ光透過性材料のレーザ加工装置
JPH04339587A (ja) * 1991-05-14 1992-11-26 Kobe Steel Ltd Yagレーザ加工装置
JP2815821B2 (ja) * 1995-05-12 1998-10-27 株式会社富士電機総合研究所 レーザ加工方法
JPH1158061A (ja) * 1997-08-12 1999-03-02 Murata Mfg Co Ltd 可撓性材料の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TW404871B (en) * 1999-08-02 2000-09-11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machining transparent medium by laser
JP2002126890A (ja) 2000-10-23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塵ダクト装置
JP2003326384A (ja) * 2002-05-13 2003-11-18 Star Seiki Co Ltd 合成樹脂切断用レーザ光照射装置
JP2006159264A (ja) * 2004-12-08 2006-06-22 Murata Mfg Co Ltd レーザ加工用治具、それを用いた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7038274A (ja) * 2005-08-04 2007-02-15 Kawamura Seiki Kk プリプレグの切断方法
JP2007326129A (ja) * 2006-06-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8137016A (ja) 2006-11-30 2008-06-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90122534A (ko) * 2008-05-26 2009-12-01 (주)둔포기계 광학필름 레이저 절단장치
KR101037437B1 (ko) * 2008-09-19 2011-05-30 (주)와이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필름(pol) 절단장치
JP2011156541A (ja) * 2010-01-29 2011-08-18 Musashino Kikai:Kk レーザ加工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195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코엠 2차전지 권취시스템의 분리막 커터 브러싱 장치
KR20150125196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코엠 2차전지 권취시스템에서 전지롤 권취 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88412B1 (ko) * 2014-07-18 2016-01-25 (주)엔에스 레이저 마킹 장치
KR20160010200A (ko) * 2014-07-18 2016-01-27 (주)엔에스 시트 절단 장치
KR20160138741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용 전극 가공장치
KR20170111934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필름 절단용 칼날부 자동 세척 장치
KR102181983B1 (ko) * 2019-08-13 2020-11-24 (주)디이엔티 레이저 노칭 장치
CN113878241A (zh) * 2020-06-17 2022-01-04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激光加工设备及激光加工方法
KR102496566B1 (ko) * 2022-09-30 2023-02-06 황상현 코어 필름 절단 및 제거 시스템
CN115781380A (zh) * 2022-10-09 2023-03-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控制方法、装置、卷绕系统、控制器及存储介质
CN115781380B (zh) * 2022-10-09 2023-10-2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控制方法、装置、卷绕系统、控制器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8846B2 (ja) 2013-10-30
JP2012000674A (ja) 2012-01-05
KR101222615B1 (ko) 2013-01-21
TWI413562B (zh) 2013-11-01
TW201206604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15B1 (ko)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KR101256953B1 (ko)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롤 필름 흡착장치
KR101953659B1 (ko) 유리판 가공 장치 및 그 가공 방법
KR101249348B1 (ko) 롤 필름 절단 가공기 및 롤 필름 절단 가공 방법
KR101323671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방법
JP2006334919A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この分断ユニットを有する分断装置、および、この分断装置を有する分断設備
KR20200000959A (ko)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JP2011110648A (ja) ガラス基板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87731B1 (ko) 노광 장치
KR101632725B1 (ko) 시트 절단 장치
JP2007281285A (ja) 基板搬送装置
KR20140058328A (ko) 기판 분단 장치
KR20160142222A (ko) 브레이크 시스템
JP2004026569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CN102275039B (zh) 用于移除膜卷切割系统的副产物的装置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JP5994084B2 (ja) 分割逐次近接露光装置及び分割逐次近接露光方法
JP5089255B2 (ja) 露光装置
JP4942617B2 (ja) スキャン露光装置
JP5077655B2 (ja) 近接スキャン露光装置及びエアパッド
CN209721938U (zh) 基板切割装置
JP2004266014A (ja) 平板状ワークの作業装置
CN102617028A (zh) 加工管理系统
TWI553423B (zh) Exposure device
JP2013159540A (ja) 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