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983B1 - 레이저 노칭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노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983B1
KR102181983B1 KR1020190099055A KR20190099055A KR102181983B1 KR 102181983 B1 KR102181983 B1 KR 102181983B1 KR 1020190099055 A KR1020190099055 A KR 1020190099055A KR 20190099055 A KR20190099055 A KR 20190099055A KR 102181983 B1 KR102181983 B1 KR 10218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target
unit
electrode fil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완
천윤광
박건우
김경수
임승균
임송남
Original Assignee
(주)디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이엔티 filed Critical (주)디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09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 B23K26/14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fluid stream, e.g. a jet of gas, in conjunction with the laser beam; Nozzles therefor for the removal of by-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극필름를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노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프레임에 설치된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상기 프레임에서 연직 상방으로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전달부; 상기 레이저 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레이저를 전극필름에 조사하는 스캐너; 상기 스캐너에서 조사된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일부분이 절삭되는 가공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가 상기 스캐너의 레이저 조사 위치에 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전극필름을 지지하면서 상기 전극필름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하는 드럼; 및 상기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절삭이 수행되되,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 1 타겟부 및 상기 드럼의 타측에 구성되는 제 2 타겟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타겟부는 상기 드럼과 별도의 주기로 회전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노칭 장치{Laser notching device}
본 발명은 전극필름를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노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환경오염이 적은 친환경 에너지원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으로 최근에는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형상 면에서 이차전지는 각형과 파우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재료 면에서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집전체의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전극조립체를 만든 후,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조립체에 주로 액체 전해질을 주입 또는 합침시키거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전극체가 노출부를 가지도록 가동되고, 이 노출부는 전극조립체(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트)의 구성시 양극과 음극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전극단자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공은 노칭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노칭장치는 전극필름의 노출부와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의 일부를 절삭하여 단자부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노칭장치는 펀칭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노출부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단자부를 형성하게 된다. 최근에는 전극필름의 노칭을 위한 장치로 펀칭 장치보다는 레이저를 이용한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레이저 장치는 전극의 손상이 적고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한 장점으로 그 사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한 노칭장치는 전극필름을 가공시에 분진이나 스크렙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하지만, 레이저 가공에 따른 이물질은 가공부위에서 사방으로 비산할 수 있어 전극필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된다. 이물질이 한 방향에서 흡입되는 것은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은 레이저로 전극필름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면 가공 부위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다. 또한 가공부위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가공부위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것은 가공효율을 낮추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가지는 전극필름의 가공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것이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제10-2015-0062847호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 (공개 2015.06.08.)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후면, 하면 등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 노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부위를 교체하지 않아도 가공부위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는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장치의 변경을 통해 전극필름의 폭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된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상기 프레임에서 연직 상방으로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전달부; 상기 레이저 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레이저를 전극필름에 조사하는 스캐너; 상기 스캐너에서 조사된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일부분이 절삭되는 가공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가 상기 스캐너의 레이저 조사 위치에 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전극필름을 지지하면서 상기 전극필름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하는 드럼; 및 상기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절삭이 수행되되,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 1 타겟부 및 상기 드럼의 타측에 구성되는 제 2 타겟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타겟부는 상기 드럼과 별도의 주기로 회전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노칭 장치는 전면, 후면, 하면 등 여러 방향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극필름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노칭 장치는 가공부위를 교체하지 않아도 가공부위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노칭 장치는 가공장치의 변경을 통해 전극필름의 폭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노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공부를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가공부 전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가공부의 전면에서 제 1 타겟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가공부 우측면에서 바라본 제 1 타겟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가공부 우측면에서 바라본 제 2 타겟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가공부를 전면에서 제 2 타겟부를 확대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가공부를 정면에서 드럼의 폭이 가장 넓을 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가공부를 정면에서 드럼의 폭이 가장 좁을 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가공부를 후면에서 제 1 타겟부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청구항 1에도 정의되어 있지만, 명세서 전반에서 가공부(5)에서 전극필름이 이송되고 절삭되는 위치를 전면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이 전면을 기준으로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하면이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노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공부를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낙하하는 스크랩과 분진, 가스 등 레이저 가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부(5)에서 전극필름을 이송하는 드럼(10)과 전극필름이 가공되는 부위인 제 1, 2 타겟부(20, 30)가 서로 별도의 주기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공부에 쌓일 수 있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레이저 노칭 장치는 레이저 발생부(2), 레이저 전달부(3), 스캐너(4), 가공부(5) 및 지지부(6)를 포함한다.
레이저 발생부(1)는 지면에 놓이는 프레임(1)에 설치된다. 레이저 전달부(3)는 레이저 발생부(1)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프레임(1)에서 연직 상방으로 전달경로를 만들어 준다. 스캐너(4)는 레이저 전달부(3)에서 전달받은 레이저를 전극필름에 조사한다. 가공부(5)는 전극필름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상면에서 하면으로 이송되는 전극필름의 일부분의 절삭가공을 수행한다. 지지부(6)는 프레임(1)에 설치되는데, 스캐너(4)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에 가공부가(5)가 오도록 가공부(5)를 지지해준다.
도 2를 참조하면, 가공부(5)는 드럼(10), 제 1 타겟부(20) 및 제 2 타겟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2 타겟부(30)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동부(40)를 더 포함한다. 드럼(10)은 전극필름을 지지하면서 전극필름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한다.
전극필름의 절삭은 레이저로 수행되는데, 절사이 이뤄지는 곳은 제 1 타겟부(20) 및 제 2 타겟부(30)이다. 제 1, 2 타겟부(20, 30)는 드럼(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성된다. 드럼(10)을 가운데 두고 제 1 타겟부(20)는 드럼(10)의 일측에 구성되고, 제 2 타겟부(30)는 드럼(10)의 타측에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2 타겟부(20, 30)도 회전하는데, 드럼(10)과는 별도의 주기로 회전한다. 드럼(10)은 전극필름의 이송을 위해서 회전하는 반면에, 제 1, 2 타겟부(20, 30)는 절삭부위의 청소와 교체를 위해 회전한다.
도 3은 가공부 전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가공부(5)는 제 1, 2 타겟부(20, 30) 및 드럼(10)을 회전시키는 제 1 축(21), 제 2 축(11) 및 제 3 축(31)을 포함한다. 이 축들은 제 1 축(21)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2 축(11) 및 제 3 축(31)이 제 1 축(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제 1 축(21)이 가장 작은 직경으로 중심 축을 형성하고, 제 2 축(11)이 제 1 축(21)보다 큰 직경의 관형상으로 제 1 축(21)에 삽입된다. 제 3 축(31)은 제 2 축(11)보다 큰 직경의 관형상으로 제 2 축(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타겟부(20)는 제 1 축(21)에 결합하고, 드럼(10)은 제 2 축(11에 결합하고, 제 2 타겟부(30)는 제 3 축(31)에 결합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40)는 제 1 모터(41) 및 제 2 모터(42)를 포함한다. 제 1 모터(41)는 제 2 축(11)을 구동하고, 제 2 모터(42)는 제 1 축(21) 또는 제 3 축(31)을 구동한다. 제1, 3축(21, 31)은 제 2 모터(42)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거나 각각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모터(41, 42)와 축(11, 21, 31)은 기어부(43)와 풀리부(44)로 연결된다. 모터와 축은 풀리부(44)의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고 모터의 회전을 풀리부(44)에 의해 기어부(43)로 전달한다. 기어부(43)는 축과 결합되어 풀리부(44)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축을 회전시킨다.
도 4는 가공부의 전면에서 제 1 타겟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가공부 우측면에서 바라본 제 1 타겟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가공부 우측면에서 바라본 제 2 타겟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타겟부(20)는 둘레에 블럭(2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블럭(21)에는 전극필름을 지지하는 접촉면(24)이 구성된다. 접촉면(24)에는 슬릿(22)이 더 구성된다. 접촉면(24)은 전극필름의 절삭부위가 접촉하는 면으로 슬릿(22)부위로 레이저가 조사되어 전극필름이 가공된다. 슬릿(22)은 레이저가 투과할 수 있는 홈으로써 절삭과정에서 레이저의 초점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드럼(10)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필름은 접촉면(24)에서 가공이 이루어지는데, 전극필름이 과도하게 접촉면(24)에 밀착하게 되면 전극필름에 손상을 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촉면(24)에는 다수의 에어홀(23)이 더 포함된다. 에어홀(23)은 접촉면(24)에서 전면방향으로 공기를 발산하여 전극필름이 접촉면에 밀착하지 않도록 해준다. 따라서 전극필름이 이송되면서 접촉면(2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홀(23)에는 블록(21) 측면에 구성된 공급부(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공급된다. 가공시에는 블록(21)에 밀착하고, 청소시 블록(21)이 회전하는 것에 대비하여 공급부는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타겟부(20)의 둘레에 형성된 블럭은 3개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 블록(21)간의 간격은 12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21)의 개수에 따라서 각 블록(21)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타겟부(30)는 둘레에 홀(31)을 형성한다. 홀(31)은 2개 이상 형성되고, 각 홀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된다. 홀(31)이 3개가 구성될 경우에는 각 홀(31) 간의 간격이 120도이다.
도 6은 가공부를 전면에서 제 2 타겟부를 확대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가공부를 정면에서 드럼의 폭이 가장 넓을 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가공부를 정면에서 드럼의 폭이 가장 좁을 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가공부를 후면에서 제 1 타겟부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축(31)은 둘레에 축방향으로 간견조절부재(32)가 구성된다. 이 간격조절부재(32)에 제 2 타겟부(30)가 설치된다. 간격조절부재(32)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홈이 구성되어 제 2 타겟부(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타겟부(20)와 제 2 타겟부(30)의 간격은 드럼(10)의 폭을 결정하는데 제 2 타겟부(30)는 구동부(40)에 이웃한 위치에서 제 1 타겟부(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 폭을 조절한다. 간격조절부재(32)는 제 3 축(31)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3개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간격조절부재(32)에 의해 제 1, 2 타겟부(20, 30)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드럼(10)의 폭을 변경할 수 있다. 전극필름의 폭에 맞추어 드럼(10)의 폭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가공부(5)는 제 1, 2 타겟부(20, 3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에 각각 제 1 가이드부(50) 및 제 2 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각 가이드부(50, 60)에는 가이드홀(51, 61)이 더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공부(5)는 하면에 제 1, 2 타겟부(20, 30)에서 레이저 노칭에 의해 낙하하는 이물을 흡입하는 하단흡입부(7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가이드부(50)에는 하단에 레이저 노칭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 1 전방 흡입부(53)가 구성되고, 제 2 가이드부(60)에는 하단에 레이저 노칭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 2 전방 흡입부(63) 및 제 2 후방 흡입부(65)가 구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축(21)은 일단은 제 2 모터(42)에 연결된다. 제 1 축(21)의 타단에는 덕트(23)가 형성되어 블럭(21)의 슬릿(22)에서 덕트(23)로 통로가 형성된다. 통로는 상기 접촉면(24)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덕트(23)에는 제 1 후방 흡입부(55)가 연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공부(5)는 후면에 제 1 타겟부(20)의 접촉면(24)을 청소하는 제 1 브러시(70) 및 제 2 타겟부(30)의 홀(31)을 청소하는 제 2 브러시(80)를 포함한다. 제 1, 2 브러시(70, 80)는 상부에 에어브러워(71, 81)를 더 포함한다.
가공부(5)는 제 1, 2 브러시(70, 80)에서 떨어지는 이물을 받는 호퍼(90)를 더 포함한다. 제 1 브러시(70)는 호퍼(90)에 설치된 조정 가이드(91)로 제 2 타겟부(30)에 대응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레이저 발생부 3: 레이저 전달부
4: 스캐너 5: 가공부
6: 지지부
10: 드럼 20: 제 1 타겟부
30: 제 2 타겟부 40: 구동부

Claims (14)

  1. 프레임에 설치된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상기 프레임에서 연직 상방으로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전달부;
    상기 레이저 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레이저를 전극필름에 조사하는 스캐너;
    상기 스캐너에서 조사된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일부분이 절삭되는 가공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가 상기 스캐너의 레이저 조사 위치에 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전극필름을 지지하면서 상기 전극필름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하는 드럼; 및
    상기 레이저로 전극필름의 절삭이 수행되되, 상기 드럼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 1 타겟부 및 상기 드럼의 타측에 구성되는 제 2 타겟부; 를 포함하고, (이하, 가공부에서 전극필름이 이송되고 절삭되는 위치를 전면으로 정의 함)
    상기 제 1, 2 타겟부는 상기 드럼과 별도의 주기로 회전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드럼 및 제 1, 2 타겟부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 1, 2 타겟부 및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1, 2, 3 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축이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 2 축 및 상기 제 3 축이 상기 제 2 축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타겟부는 상기 제 1 축에 결합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제 2 축에 결합하고, 상기 제 2 타겟부는 상기 제 3 축에 결합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 1, 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터는 상기 제 2 축을 구동하고, 상기 제 2 모터는 상기 제 1 축 또는 제3 축을 구동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부는 둘레에 블럭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블럭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타겟부는 둘레에 홀이 형성되되, 상기 홀은 2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는 레이저 노칭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전극필름을 지지하는 접촉면이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다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축은 둘레에 축방향으로 간격조절부재가 구성되어 상기 제 2 타겟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타겟부와 상기 제 2 타겟부의 간격이 변경되는 레이저 노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제 1 타겟부와 상기 제 2 타겟부의 간격에 대응해서 교체가 가능한 레이저 노칭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 1, 2 타겟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에는 각각 제 1,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가이드부는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하면에 상기 제 1, 2 타겟부에서 레이저 노칭에 의해 낙하하는 이물을 흡입하는 하단흡입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에는 하단에 레이저 노칭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 1 전방 흡입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에는 하단에 레이저 노칭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 2 전방 흡입부 및 제 2 후방 흡입부가 구성되는 레이저 노칭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은 일단은 상기 제 2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덕트가 형성되어 상기 블럭에 구성되는 슬릿에서 상기 덕트로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는 상기 블럭에 구성되는 접촉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덕트에는 제 1 후방 흡입부가 연결되는 레이저 노칭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후면에 상기 제 1 타겟부의 접촉면을 청소하는 제 1 브러시 및 상기 제 2 타겟부의 홀을 청소하는 제 2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브러시는 상부에 에어브러워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노칭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 1, 2 브러시에서 떨어지는 이물을 받는 호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러시는 상기 호퍼에 설치된 조정 가이드로 상기 제 2 타겟부에 대응해서 위치가 조절되는 레이저 노칭 장치.
KR1020190099055A 2019-08-13 2019-08-13 레이저 노칭 장치 KR10218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55A KR102181983B1 (ko) 2019-08-13 2019-08-13 레이저 노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55A KR102181983B1 (ko) 2019-08-13 2019-08-13 레이저 노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983B1 true KR102181983B1 (ko) 2020-11-24

Family

ID=7367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55A KR102181983B1 (ko) 2019-08-13 2019-08-13 레이저 노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118B1 (ko) * 2021-04-13 2021-07-19 (주)지피아이 스크랩 및 흄 흡입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노칭장치
KR102329091B1 (ko) * 2021-06-14 2021-11-19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극판 레이저 노칭 이물질 배기 장치 및 이물질 배기 방법
KR20220130572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전극 제조 장치
WO2023101128A1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레이저 노칭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23211074A1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693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KR20140025732A (ko) *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필름 절단 시스템
KR20150062847A (ko)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
KR101785133B1 (ko) * 2010-03-24 2017-10-12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절단기, 이를 구비하는 슬리터기 및 필름의 절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133B1 (ko) * 2010-03-24 2017-10-12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절단기, 이를 구비하는 슬리터기 및 필름의 절단 방법
KR20110136693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KR20140025732A (ko) *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필름 절단 시스템
KR20150062847A (ko)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572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전극 제조 장치
KR102605703B1 (ko) * 2021-03-18 2023-11-29 (주)이오테크닉스 전극 제조 장치
KR102279118B1 (ko) * 2021-04-13 2021-07-19 (주)지피아이 스크랩 및 흄 흡입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노칭장치
KR102329091B1 (ko) * 2021-06-14 2021-11-19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극판 레이저 노칭 이물질 배기 장치 및 이물질 배기 방법
WO2023101128A1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레이저 노칭기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23211074A1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983B1 (ko) 레이저 노칭 장치
KR102245162B1 (ko) 전극의 레이저 노칭 시스템
KR20180004582A (ko) 패턴 지그 및 스크랩 배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KR102270797B1 (ko) 전극 노칭 장치
WO2021251753A1 (ko) 전극의 레이저 노칭 공정용 패턴 지그 및 이를 구비한 레이저 노칭 시스템
KR102386160B1 (ko) 가공속도가 향상된 레이저 노칭장치
KR102279118B1 (ko) 스크랩 및 흄 흡입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노칭장치
JP2015188905A (ja) 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KR102430493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레이저 노칭 시스템
JP6717159B2 (ja) 電極製造装置
KR20190084752A (ko) Uv 레이저 컷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이차 전지
KR101861392B1 (ko)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
CN215432049U (zh) 一种片体开槽装置及开槽设备
KR102386254B1 (ko) 회전형패턴지그유닛 및 클리닝유닛을 구비한 레이저 노칭장치
KR101966753B1 (ko) 이차전지 리드탭 절단장치의 청소장치
KR101754443B1 (ko) 이차전지용 슬리팅장치
KR102497811B1 (ko) 이차전지 전극의 레이저 노칭 장치
CN210160585U (zh) 切割装置
CN220050448U (zh) 激光切槽设备
KR102559154B1 (ko) 전극 노칭 장치
CN220296139U (zh) 废料分离装置
KR20230109896A (ko) 전극탭 노칭 장치
CN109570773B (zh) 一种激光切割方法和装置
JP6919431B2 (ja) ロータリーダイカット装置
KR102658002B1 (ko) 레이저 노칭후 패턴지그 자동 크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