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721A -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721A
KR20110127721A KR1020117022679A KR20117022679A KR20110127721A KR 20110127721 A KR20110127721 A KR 20110127721A KR 1020117022679 A KR1020117022679 A KR 1020117022679A KR 20117022679 A KR20117022679 A KR 20117022679A KR 20110127721 A KR20110127721 A KR 2011012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absorbent article
semi
conveyance
allowab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139B1 (ko
Inventor
노리토모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72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6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on the load-carriers,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가공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 장치에 의한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빈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과 관련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반제품의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VE ARTICLES}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그 제조 라인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나열되어 반송되는 복수의 반제품에 대해, 엠보스 가공이나 히트 시일(heat seal) 가공 등이 실시되어 제조된다. 그리고, 가공 불량의 반제품을 제거하도록, 반제품의 반송 중에 검사가 수행된다.
이 검사 방법의 일례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반송중인 각 반제품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여 반제품 내의 온도 분포의 화상을 취득하고, 그 화상을 2진화 처리 등을 하여, 실제의 가공 위치를 반제품의 윤곽 위치 기준으로 특정하고, 특정된 가공 위치가, 상기 윤곽 위치로부터 정해지는 규정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2002-530130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외선 카메라는 고가이다. 또한, 실제의 가공 위치를, 가공 발열 등에 의한 온도 분포로 특정하기 때문에, 실제로 가공된 부위의 온도가 높은 동안에 촬영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각 가공 섹션의 직후에 각각 배치해야 한다. 그 결과, 이들 카메라의 비용이 늘어나, 제조 비용은 치솟게 된다. 즉,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검사 방법은, 기본 부품으로 좁힌 비용 중시 상품을 생산하는 제조 라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제품을 가공하고, 그 실제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때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가공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 장치에 의한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과 관련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제품을 가공하고, 그 실제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때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생리대(1)의 표면측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2는 생리대(1)의 제조 라인(30)의 모식도이다.
도 3a는, 흡수체 성형 섹션(Sf) 및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이들 섹션(Sf, Se)에서의 반제품(1a)의 가공 상태를 하방(이면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흡수체 성형 섹션(Sf)용 검사 장치(50a)와 관련된 센서부(51a)의 출력신호 및 기준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5는 기준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기준 신호에 있어서 직사각형 펄스를 설정할 위상(θu~θd)의 산출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기계식 캠 스위치(56)의 설명도이다.
도 8은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용 검사 장치(50b)와 관련된 센서부(51b)의 출력 신호 및 기준 신호의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가공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 장치에 의한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과 관련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센서부, 기준 신호 출력부, 및 판정부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카메라 등이라는 고가의 검사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투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신호는 물론, 검출 신호 쪽도 반송량에 따라 출력되게 되므로, 반제품의 반송 속도가 변화하여도, 높은 검사 정밀도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반제품의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 동작은, 반송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 신호 출력부는,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동작과 동기한 회전 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을 가지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각의 정해진 위상에 상기 제1 파형 부분을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단위 반송량 당, 상기 입력축의 1회전의 정수배(1배 이상)의 회전량이 상기 입력축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단위 반송량 당, 입력축에는 1회전의 정수 배(1배 이상)의 회전량이 입력된다. 따라서, 각 단위 반송량에서의 특정 반송량의 부분에 상기 제1 파형 부분이 나타나도록 기준 신호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준 신호 출력부의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단위 반송량 당, 상기 입력축의 1회전의 정수 배(2배 이상)의 회전량이 상기 입력축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단위 반송량 당, 상기 입력축에 입력되는 회전량이 많아지므로, 제1 파형 부분을 정밀하게 대응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반송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반제품끼리의 경계 위치로부터 상기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까지의 거리와, 상기 단위 반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1파장을 내분(內分)함으로써 정해지는 위상에, 상기 제1 파형 부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대응시켜, 기준 신호에 제1 파형 부분을 고정밀도로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정해진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출력부가 상기 가공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가공 목표 위치와 동일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실제의 가공 위치와 관련된 검출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카메라 등이라는 고가의 검사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투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신호는 물론, 검출 신호 쪽도 반송량에 따라 출력되게 되므로, 반제품의 반송 속도가 변화하여도, 높은 검사 정밀도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본 실시 형태===
<<<흡수성 물품(1)에 대해>>>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흡수성 물품(1)에 대해, 생리대(1)를 예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리대(1)에 있어서 인체에 접촉하는 쪽을 표면측이라고 하고, 속옷에 접하는 쪽을 이면측이라고 한다.
도 1a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측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b는 도 1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전체적으로 정해진 방향으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하, 이 정해진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이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12)와, 흡수체(12)의 표면측을 덮어 설치된 표면 시트(14)와, 흡수체(12)의 이면측을 덮어 설치된 이면 시트(18)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의 양단부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표면 시트(14)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덮어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 시트(20, 20)를 가지고 있다.
흡수체(12)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적층한 적층체이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관계 상, 이 적층체를 티슈 페이퍼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로 감싸지 않았으나, 감쌀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흡수체(12)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면 시트(14)는, 흡수체(12)의 평면 형상보다 약간 큰 대략 직사각형의 액체 투과성 시트로서, 그 소재에는, 에어스루나 스펀 본드 등의 부직포가 사용된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이다.
또한, 이들 흡수체(12)와 표면 시트(14)는,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핫멜트계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나아가, 이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홈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정해진 위치에 압축홈(16)이 압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홈(16)에 의해, 흡수체(12)와 표면 시트(14)는 더 강고하게 접합된다. 또한, 압축홈(16)이 이루는 무늬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환형 무늬이다. 그리고, 이 압축홈(16)은, 흡수성 물품(1)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밀착하도록 굴곡하기 위한 굴곡 유발부로도 기능한다.
이면 시트(18)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소재로 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로서, 그 평면 형상은, 그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양자에 대해 흡수체(12)보다 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리고, 이면 시트(18)는, 그 표면측에 흡수체(12)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적어도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엔드 시일 가공에 의해 표면 시트(14)에 열용착되어 엔드 시일부(19a, 19b)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면 시트(18)와 표면 시트(14) 사이에 흡수체(12)가 유지되어 있다.
부연하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18)의 이면에는, 사용시에 흡수성 물품(1)을 속옷의 내면에 고정하기 위한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이면 시트(18)의 폭방향의 양단에는, 윙부(18w, 18w)가 폭방향의 외측으로 뻗어나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윙부(18w, 18w)의 이면측에도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고정할 때에는, 이들 윙부(18w, 18w)는 접어 개어져, 그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에 의해 속옷의 외면에 고정된다. 또한,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는, 각각 세퍼레이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해당 부위에 도포되고, 흡수성 물품(1)의 사용시까지는 세퍼레이터 테이프에 의해 덮여져서 보호된다.
<<<흡수성 물품(1)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라인(30)의 모식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제조 라인(30)에서 제조된다. 제조 라인(30)은, 컨베이어 등의 반송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40)는, 흡수성 물품(1)의 반제품(1a)을, 그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로 반송한다. 그리고, 이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각 가공 섹션(S1, S2, …)의 가공 장치가 반제품(1a)에 대해 각종 가공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각 가공 섹션(S1, S2, …)의 직후에는, 각각, 검사 장치(50)의 센서부(5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검사 장치(50)에서는, 그 인근 상류측의 가공 섹션에서 반제품(1a)에 대해 이루어진 가공에 관해, 그 실제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통괄 관리 컴퓨터(33)로 송신되고, 통괄 관리 컴퓨터(33)는, 각 검사 장치(50)로부터 송신된 모든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최종 판정을 내려, 흡수성 물품(1)의 완성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한다. 예컨대, 각 검사 장치(50)로부터 송신되는 판정 결과가 하나라도 불량 판정인 경우에는, 그 완성품을 불량품으로서 처리하도록, 반송 방향의 최하류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배출 섹션에서 컨베이어(40)로부터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가공 섹션(S1, S2, …)의 일례로서, 흡수체(12)를 성형하여 표면 시트(14)에 배치·접합하는 흡수체 성형 섹션(Sf), 및 흡수체(12)가 배치·접합된 표면 시트(14)에 대해 도 1a의 압축홈(16)을 형성하는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의 기본 개념은, 기본적으로 모든 가공 섹션에 공통되는 것이며, 즉, 흡수성 물품(1)의 제조와 관련된 모든 가공 섹션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흡수체 성형 섹션(Sf) 및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일부를 단면에서 보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반제품(1a)의 가공 상태를 하방(이면측)에서 본 모식도이다.
<<흡수체 성형 섹션(Sf)>>
흡수체 성형 섹션(Sf)에서는, 성형한 흡수체(12)를, 반제품(1a)으로서의 표면 시트(14)에 배치하여 접합한다. 여기서, 이 흡수체 성형 섹션(Sf)으로 반송되는 시점의 표면 시트(14)는, 제품 단위로 미분단된 상태, 즉,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는 연속 시트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표면 시트(14)가, 컨베이어(40)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컨베이어(40)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구동 회전하는 섬유 적재 드럼(80)에 의해 성형된 흡수체(12)가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P)로 표면 시트(14) 상에 배치되어 접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러한 반송 방향으로 미분단된 상태의 반제품(1a)을, 반제품(1a)의 연속체라고도 한다. 즉, 반제품(1a)이란 최종적으로 제품이 될 수 있는 1 단위로서, 그 전체 길이는 상기 피치(P)와 같은 값이지만, 이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반제품(1a)의 연속체라고 한다. 부연하면, 도 3b에서는, 반송 방향으로 인접하는 반제품(1a, 1a)끼리의 경계를 가상적으로 경계 위치(BL)로서 도시했다.
컨베이어(40)는, 예컨대 표면 시트(14)를 흡착하여 반송하는 석션 컨베이어이다. 즉, 주회(走回) 구동하는 무단(endless) 벨트(41)를 가지며, 무단 벨트(4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흡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무단 벨트(41)의 외주면에 반제품(1a)의 연속체로서의 표면 시트(14)를 흡착 유지하여 반송한다. 무단 벨트(41)는,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구동 롤러(43)에 의해 주회 구동된다. 구동 롤러(43)는, 예컨대 전동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반제품(1a)의 연속체의 반송량은, 예컨대, 구동 롤러(43)의 회전량을 로터리식 인코더 등의 회전량 계측기에 의해 계측하고, 계측된 회전량(회전 각도(°))에, 중심각 1° 당 구동 롤러(43)의 원호 길이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속도(m/분)는, 구해진 반송량을 적당한 미분기 등으로 미분 연산하여 구할 수 있다.
섬유 적재 드럼(80)은, 구동 회전하는 대략 원통체이다. 그리고, 그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피치(P)로 오목형의 성형틀(8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는, 덕트(84)가 배치되어 있고, 해당 덕트(84)로부터는 상기 외주면을 향해 펄프 섬유가 혼입된 혼입 공기(3)를 공급한다. 따라서, 섬유 적재 드럼(80)의 구동 회전에 의해 성형틀(82)이 덕트(84)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성형틀(82)에는 펄프 섬유가 적층된다. 그리고, 그러한 후에, 컨베이어(40)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컨베이어(40)의 흡인력에 의해 성형틀(82)로부터 펄프 섬유가 이형되어, 컨베이어(40)의 표면 시트(41) 상에 흡수체(12)가 올려진다.
또한, 섬유 적재 드럼(80)은, 컨베이어(40)의 반송 동작에 동기하여 구동 회전한다. 즉, 섬유 적재 드럼(80)의 주속(m/분)은,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m/분)와 대략 동일한 속도가 되도록 속도 제어된다.
따라서, 이 제조 라인(30)의 운전 개시시 등에, 표면 시트(14)에서의 흡수체(12)의 배치 목표 위치(가공 목표 위치에 해당)에 성형틀(82)이 맞닿도록, 섬유 적재 드럼(80)을 반제품(1a)의 연속체인 표면 시트(14)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위치 맞춤해 두면, 해당 위치 맞춤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섬유 적재 드럼(80)의 주속과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가 대폭으로 어긋나거나 하지 않는 한, 반제품(1a)의 연속체에는, 반제품(1a)에서의 흡수체(12)의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 내에, 흡수체(12)가 배치되어 접합되게 된다.
단, 속도 제어 불량 등으로 인해 섬유 적재 드럼(80)의 주속과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가 대폭 어긋나면,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실제의 가공 위치에 해당)가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흡수체 성형 섹션(Sf)에 대해 전용의 검사 장치(50a)가 설치되어 있고, 검사 장치(50a)는,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가,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연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 적재 드럼(80)의 상류측에는 접착제 도포 장치(9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접착제 도포 장치(90)에 의해, 반제품(1a)의 연속체인 표면 시트(14)의 배치 대상 부위에는, 미리, 핫멜트계 접착제가 반송 방향으로 상기 피치(P)로 도포되어 있다.
검사 장치(50a)는,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51a)와, 센서부(51a)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실제의 배치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판정부(53a)와, 판정부(53a)가 상기 양부 판정 시에 센서부(51a)의 검출 신호와의 비교 대상으로서 사용할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55a)를 갖는다.
센서부(51a)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섬유 적재 드럼(80)보다 하류측의 위치(정해진 위치에 해당)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체(12)가 센서부(51a)의 배치 위치의 하방을 통과할 때마다,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도 4에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를 도시하는데, 본 예에서는, 흡수체(12)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만, 검출 신호로서 직사각형 펄스를 출력하고, 미검출시에는 무출력 상태가 된다. 또한, 횡축은 시간이다. 이러한 센서부(51a)의 일례로는, 받은 광량의 크기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전관 등을 들 수 있다.
판정부(53a)는, 적당한 연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나 시퀀서 등이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정부(53a)는, 센서부(51a)로부터 전송되는 검출 신호를, 기준 신호 출력부(55a)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가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판정부(53a)의 메모리 등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가 반송량에 대응되어 나타낸 신호를 말한다. 즉, 반송량에 동기하여 출력되고,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반송량(전술한 피치(P)와 값은 값으로서, 이하에서는 "단위 반송량"이라고도 함)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을 가진 신호로서, 게다가, 각 파형에 있어서, 흡수체(12)의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직사각형 펄스(제1 파형 부분에 해당)가 마련된 신호이다.
또한, 도 5의 횡축은 반송량인데, 도 4에 도시한 검출 신호와 비교할 때의 횡축은 시간축이 된다. 즉, 기준 신호 출력부(55a)는, 반송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해당 도 5의 관계를 유지하여 기준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시간축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그 시각의 반송량에 대응한 기준 신호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 쪽도, 기본적으로는, 그 시각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검출 상태는 반송량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조 라인(30)의 운전 전 등의 적당한 타이밍에 있어서, 기준 신호 출력부(55a)가 흡수체(12)의 배치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와, 센서부(51a)가 상기 배치 목표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한 번만 대응시켜 버리면, 이후에는, 단순히, 기준 신호 및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의 양자를 동일한 시각을 키로 하여 비교하는 것만으로, 실제의 배치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초기 설정으로서, 제조 라인(30)의 운전 개시 전에, 반제품(1a)의 연속체인 표면 시트(14)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여, 배치 목표 위치를 센서부(51a)의 배치 위치, 즉 센서부(51a)의 컨베이어(40) 상에서의 검출 대상 위치(SP)(도 3a 참조)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기준 신호 출력부(55a)를 조작하여, 기준 신호의 위상도 배치 목표 위치에 대응한 위상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그 후, 제조 라인(30)의 운전이 시작되어 컨베이어(40)에 의해 반제품(1a)의 연속체인 표면 시트(14)가 반송되는데, 그 때에는, 동일 시각에 출력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과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가 나타내는 출력 상태는, 당연히 서로 반제품(1a)의 동일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후, 판정부(53a)는, 다음과 같이 기준 신호와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를 단순 비교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즉, 동일 시각에 있어서 기준 신호와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를 비교했을 때, 도 4의 우단의 파형과 같이, 기준 신호가 OFF 상태(내려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센서부(51a)의 출력 신호가 ON 상태(검출 신호의 출력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판정부(53a)는, 그 반제품(1a)에 대해 실제의 배치 위치가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하여 불량 판정을 내리는 한편, 그 이외의 경우에는 양호 판정을 내린다.
이러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 출력부(55a)에 의해 생성된다. 이 기준 신호의 파형은, 그 정해진 위상에, 흡수체(12)의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펄스를 가지고 있다고 전술했으나, 이 직사각형 펄스를 설정할 상기 위상(θu~θd)(도 5 참조)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6은 그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에는, 반제품(1a)에 대응시켜 가상적으로 완성품의 윤곽을 2점 쇄선으로 도시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기준 신호의 파형의 기점을, 반송 방향으로 인접하는 반제품(1a, 1a)끼리의 경계 위치(BL)에 대응시킨 경우에는, 도 5의 직사각형 펄스의 상승 라인(Lu)의 위상(θu)은, 상기 경계 위치(BL)로부터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의 하류 한계까지의 거리의 설계치(D1)를, 상기 단위 반송량으로 나누어 구한다. 또한, 직사각형 펄스의 하강 라인(Ld)의 위상(θd)은, 상기 경계 위치(BL)로부터 배치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의 상류 한계까지의 거리의 설계치(D2)를, 상기 단위 반송량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반송량은, 예컨대, 반제품(1a)의 양편에 위치하는 경계 위치(BL, BL)끼리 간의 거리로서 구할 수 있으며, 즉, 전술한 피치(P)와 같은 값이다.
이 기준 신호 출력부(55a)에는, 예컨대 캠 스위치가 적용된다. 캠 스위치는, 기계식 캠 스위치와 전자식 캠 스위치로 크게 나뉜다. 기계식 캠 스위치(5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56a)과 일체로 회전하는 대략 정원형의 판 캠(56b)를 가지며, 판 캠(56b)의 외주면에는, 캠 곡선으로서, 정해진 기준 위치를 기점(예컨대, 회전각 0°)으로 하는 정해진 회전 각도 범위(θu~θd)에 걸쳐 볼록부(5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6c)가 형성되는 상기 회전 각도 범위(θu~θd)는, 전술한 허용 범위로서 구해진 위상(θu~θd)과 같은 값이다. 또한, 판 캠(56b)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캠 종동자(56d)가 배치되어 있고, 캠 종동자(56d)는 판 캠(56b)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판 캠(56b)의 지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축(56a)으로부터 입력되는 판 캠(56b)의 회전에 따라 볼록부(56c)에 밀려 캠 종동자(56d)가 왕복 이동하는데, 이 왕복 이동 동작을 적당한 스위치 회로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직사각형 펄스를 가진 기준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입력축(56a)에는, 반제품(1a)의 단위 반송량 당 1회전분의 회전량이 입력되도록, 해당 입력축(56a)은, 적당한 감속기(예컨대 기어열) 등의 회전수 변환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컨베이어(40)의 구동 롤러(43)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준 신호는, 각 단위 반송량에서의 특정 반송량의 부분에 상기 직사각형 펄스가 반복되어 나타나도록 설정된다. 즉, 도 5의 기준 신호에서의 각 파형의 위상(θu~θd)에 직사각형 펄스가 나타나도록 설정된다.
부연하면, 이 기준 신호 출력부(55a)를 전자식 캠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입력축(56a)을 가지며, 입력축(56a)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사각형 펄스를 발생한다. 단, 기계식 캠 스위치(56)와 달리, 입력축(56a)의 임의의 회전 각도 범위(θu~θd)에 직사각형 펄스를 전기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식 캠 스위치보다 직사각형 펄스의 위상 설정의 자유도가 뛰어나다. 이러한 전자식 캠 스위치로는, 예컨대, VARICAM(상품명: NSD 주식회사 제조)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식 캠 스위치에 대해서는, 입력축(56a)에 대한 회전의 입력 대신, 컨베이어(40)의 구동 롤러(43)의 로터리식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자식 캠 스위치는, 로터리식 인코더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전술한 단위 반송량을 인식한다. 즉, 단위 반송량에 대응하는 펄스 수의 값이, 미리 전자식 캠 스위치에 설정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단위 반송량 및 전술한 위상 등을 인식한다.
이상, 흡수체 성형 섹션(Sf)용 검사 장치(50a)에 대해 설명하여 왔는데, 이러한 검사 장치(50a)에 따르면, 센서부(51a), 판정부(53a) 및 기준 신호 출력부(55a)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흡수체(12)의 실제의 배치 위치(실제의 가공 위치에 해당)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카메라 등이라는 고가의 검사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제조 장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어 투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부연하면, 판정부(53a)가 반제품(1a)마다 내리는 양부 판정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괄 관리 컴퓨터(33)로 송신된다.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에서는, 전술한 흡수체(12)가 배치·접합된 표면 시트(14)에 대해 도 1a의 압축홈(16)을 가공 형성함으로써, 표면 시트(14)와 흡수체(12)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 일체화한다. 즉,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으로 반송되는 시점의 반제품(1a)의 연속체는,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는 표면 시트(14)의 연속체 상에, 흡수체(12)가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정해진 피치(P)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제품(1a)의 연속체가, 컨베이어(40)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컨베이어(40)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구동 회전하는 상하 한 쌍의 엠보스 롤(61, 62)(가공 장치에 해당)의 롤 간극에 반제품(1a)의 연속체가 통과되고, 이에 따라 반제품(1a)마다 압축홈(16)이 압착 형성된다.
컨베이어(4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엠보스 롤의 상측 롤(61)은, 외주면이 평활한 롤이고, 다른 한편, 하측 롤(62)은, 외주면에 전술한 압축홈(16)에 대응한 형상의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 62a)가 돌출 형성된 롤이다. 그리고, 상기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는, 예컨대 하측 롤(62)의 둘레 방향으로 두 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측 롤(62)의 1회전 당 반제품 두 개 분의 압축홈(16)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하측 롤(62)의 원주 길이는, 상기 단위 반송량의 2배의 길이로 설정되며, 해당 원주 길이를 이등분하도록 각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 62a)가 설치된다. 또한, 상측 롤(61) 및 하측 롤(62)은, 컨베이어(40)의 반송 동작에 동기하여 구동 회전한다. 즉, 상측 롤(61) 및 하측 롤(62)의 주속(m/분)은,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m/분)와 대략 동일한 속도가 되도록 속도 제어된다.
따라서, 이 제조 라인(30)의 운전 개시시 등에, 하나의 반제품(1a)에서의 압축홈(16)의 가공 목표 위치에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가 맞닿도록, 하측 롤(62)을 반제품(1a)의 연속체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위치 맞춤해 두면, 해당 위치 맞춤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엠보스 롤(61, 62)의 주속과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가 대폭 어긋나거나 하지 않는 한, 반제품(1a)의 연속체에는, 반제품(1a)에서의 압축홈(16)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 내에, 압축홈(16)이 형성되게 된다.
단, 속도 제어 불량 등으로 인해 엠보스 롤(61, 62)의 주속과 컨베이어(40)의 반송 속도가 대폭 어긋나면, 실제의 압축홈(16)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를 벗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에 대해 전용의 검사 장치(50b)가 설치되어 있고, 검사 장치(50b)는, 압축홈(16)의 실제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검사 장치(50b)는, 압축홈(16)의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51b)와, 센서부(51b)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판정부(53b)와, 판정부(53b)가 상기 양부 판정 시에 센서부(51b)의 검출 신호와의 비교 대상으로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55b)를 갖는다.
센서부(51b)는, 예컨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스 롤의 하측 롤(62)의 둘레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근접 배치된 근접 스위치로서, 하측 롤(62)의 회전에 따라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 62a)가 센서부(51b)의 근방을 통과할 때마다, 이를 실제의 압축홈(16)의 가공 위치로서 검출하고,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반제품(1a)에서의 실제의 압축홈(16)의 가공 위치를,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의 검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도 8에 센서부(51b)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엠보스 가공용 리브(62a)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만, 검출 신호로서 직사각형 펄스를 출력하고, 미검출시에는 무출력 상태가 된다. 또한, 횡축은 시간이다.
기준 신호 출력부(55b)의 구성은 대략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예컨대 캠 스위치이다.
판정부(53b)의 구성도, 대략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판정부(53b)는, 센서부(51b)로부터 전송되는 검출 신호를, 기준 신호 출력부(55b)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압축홈(16)의 실제의 가공 위치가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준 신호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량에 동기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을 가지며, 각 파형에 있어서, 압축홈(16)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각각, 직사각형 펄스(제1 파형 부분에 해당)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흡수체 성형 섹션(Sf)의 경우와 동일하게, 예컨대, 제조 라인(30)의 운전 개시전 등의 적당한 타이밍에 있어서, 기준 신호 출력부(55b)가 압축홈(16)의 가공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와, 센서부(51b)가 상기 가공 목표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한 번만 대응시켜 버리면, 이후에는, 단순히, 기준 신호 및 센서부(51b)의 출력 신호의 양자를 동일한 시각을 키로 하여 비교하는 것만으로,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개시한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생리대(1)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 발명을, 소변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일회용 기저귀나 애완 동물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페트 시트(pet sheet) 등의 제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공 섹션으로서, 흡수체 성형 섹션(Sf) 및 홈 엠보스 가공 섹션(Se)을 예시했으나, 흡수성 물품(1)의 제조와 관련된 가공 섹션이라면,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이외의 가공 섹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반제품(1a)의 연속체의 이면 시트(18)에 대해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를 도포하는 섹션이나, 이 속옷 고정용 접착제(18a)를 스트립 형태의 보호 시트로 덮는 섹션, 나아가서는 반제품(1a)의 연속체를 완성품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섹션 등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가공"의 개념에는, 반제품(1a)에 대해 외력을 가하거나 하여 반제품(1a)을 변형하는 처리 이외에, 반제품(1a)에 대해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다른 부재를 접합하는 처리나, 반제품(1a)의 연속체를 제품 단위로 분할하는 처리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부(51a, 51b)로서 광전관이나 근접 스위치를 예시했으나, 실제의 가공 위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 가능하다면,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공의 종류에 따라, 이들 이외의 센서, 예컨대,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크기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신호 출력부(55a, 55b)로서 캠 스위치를 예시했으나, 반제품(1a)의 상기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전혀 캠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기구로서 컨베이어(40)를 예시했으나,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반송 롤러가 나란히 배치되고, 이들 반송 롤러에 반제품(1a)의 연속체를 직접 접촉시켜 반송하는 반송 기구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제품(1a)의 연속체에 대해 가공하는 경우를 예시했으나, 반제품(1a)은 연속체가 아닐 수도 있다. 예컨대, 반제품(1a)으로서의 흡수체(12)가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로 개별적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어떠한 가공을 실시하는 가공 섹션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신호 및 검출 신호의 파형과 관련된 직사각형 펄스를 예시했으나,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사다리꼴 펄스나 삼각형 펄스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캠 스위치(56)의 입력축(56a)에는, 반제품(1a)의 단위 반송량 당 1회전분의 회전량이 입력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입력축(56a)에 입력되는 회전량이, 단위 반송량 당 상기 1회전의 정수 배(1배 이상)의 회전량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각 단위 반송량에서의 특정 반송량의 부분에 상기 직사각형 펄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정수 배로서 2배 이상의 정수치를 설정하면, 단위 반송량 당 입력축(56a)에 입력되는 회전량이 많아지므로, 직사각형 펄스의 목표 위상에의 대응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실제의 가공 위치의 양부 판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분해능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엠보스 롤의 하측 롤(62)의 원주 길이를, 단위 반송량(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반송량)의 2배의 길이로 설정했으나, 단위 반송량의 정수 배(1배 이상)로 설정하는 것이라면,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부(53)를 가공 섹션마다 설치했으나,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몇 개 또는 모든 가공 섹션에 걸쳐 하나의 판정부(53)를 공유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정부(53)에는, 대응하는 각 가공 섹션의 센서부(51) 및 기준 신호 출력부(55)로부터 각각 검출 신호 및 기준 신호가 전송된다. 그리고, 이들 검출 신호 및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가공 섹션마다 양부 판정을 내린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제품(1a)으로서 흡수성 물품(1)의 본체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예시했으나, 반제품(1a)의 개념은, 본체가 될 수 있는 부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체에 조립 장착되는 부품의 개념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반제품(1a)으로서 세퍼레이터 테이프를 예로 설명한다.
세퍼레이터 테이프는, 예컨대, 전술한 흡수성 물품(1)의 본체의 제조 라인(30)에 병렬 설치된 세퍼레이터 테이프 가공 섹션에서 생성된다.
이 세퍼레이터 테이프 가공 섹션에는, 반제품(1a)으로서 세퍼레이터 테이프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된 연속체의 상태로 들여 보내진다. 그리고, 이 가공 섹션에서는, 먼저, 세퍼레이터 테이프의 연속체에 대해, 정해진 피치로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 접착제는, 예컨대 도 1b에 도시한 속옷 고정용 접착제(18b)이다. 다음, 세퍼레이터 테이프는, 커터 롤에 감겨져서 반송되며, 이 반송의 마지막에 있어서 커터 롤의 외주 날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로 분단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 형태의 세퍼레이터 테이프가 생성된다. 그 후, 스트립 형태의 세퍼레이터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1)의 본체의 제조 라인(30)에 합류되어, 흡수성 물품(1)의 본체에 붙여진다.
여기서, 접착제는, 기본적으로는, 분단 후의 스트립 형태의 세퍼레이터 테이프에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 단부 및 하류 단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접착제의 미도포 영역이 형성되도록 도포된다. 그러나, 실제의 도포 위치가 도포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상류 단부 또는 하류 단부에까지 접착제가 도포되게 되고, 그 결과, 주위의 물건에 부착되기 쉬워지는 등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테이프 가공 섹션용으로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검사 장치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센서부와, 기준 신호 출력부와, 판정부를 가지고 있다.
센서부는, 세퍼레이터 테이프의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며, 실제의 도포 위치가 통과할 때마다 실제의 도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기준 신호 출력부에 따른 캠 스위치의 입력축은, 적당한 회전수 변환 장치를 통해, 커터 롤을 구동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기준 신호 출력부는, 기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커터 롤은 세퍼레이터 테이프의 연속체의 반송 기구도 겸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 신호는, 스트립 형태의 세퍼레이터 테이프 1장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을 출력할 수 있고, 게다가 각 파형에 있어서, 접착제의 도포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직사각형 펄스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판정부는, 기준 신호와 센서부의 검출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접착제의 실제의 도포 위치가 도포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신호의 파형은, 반제품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인 1파장 당 하나의 직사각형 펄스를 구비하였으나, 1파장 당 직사각형 펄스의 수는, 전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파장 내에 복수 개의 직사각형 펄스를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착용자에의 착용시에 패스닝 테이프 부재에 의해 배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연결하는 타입의 기저귀)의 제조 라인의 가공 섹션에 있어서, 옆흐름(기저귀의 폭방향이 반송 방향으로 가지런해지면서 복수의 기저귀가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로 나란히 나열된 상태)으로 연속 반송되는 각 기저귀의 반제품(1a)에 대해, 반송 방향으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를 접합하고, 그 실제의 접합 위치를 패스닝 테이프 부재마다 검사할 때, 기준 신호의 파형으로서, 1파장 내에서의 패스닝 테이프 부재의 목표 접합 위치에 대응하는 2곳의 위상에, 각각, 직사각형 펄스를 하나씩 설정한 파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제품 1개 당 두 개의 동류 부품을 갖는 경우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1…생리대(흡수성 물품) 1a…반제품
3…혼입 공기 12…흡수체
14…표면 시트 16…압축홈
18…이면 시트 18a…속옷 고정용 접착제
18b…속옷 고정용 접착제 18w…윙부
19a…엔드 시일부 19b…엔드 시일부
20…사이드 시트 30…제조 라인
33…통괄 관리 컴퓨터 40…컨베이어(반송 기구)
41…무단 벨트 43…구동 롤러
50…검사 장치 50a…검사 장치
50b…검사 장치 51…센서부
51a…센서부 51b…센서부
53…판정부 53a…판정부
53b…판정부 55…기준 신호 출력부
55a…기준 신호 출력부 55b…기준 신호 출력부
56…기계식 캠 스위치 56a…입력축
56b…판 캠 56c…볼록부
56d…종동자
61…엠보스 롤의 상측 롤(가공 장치)
62…엠보스 롤의 하측 롤(가공 장치)
62a…엠보스 가공용 리브 80…섬유 적재 드럼
82…성형틀 84…덕트
90…접착제 도포 장치 BL…경계 위치
Ld…하강 라인 Lu…상승 라인
Sf…흡수체 성형 섹션 Se…홈 엠보스 가공 섹션

Claims (6)

  1.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가공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 장치에 의한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과 관련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반제품의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출력부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제품의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 동작은, 반송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 신호 출력부는, 상기 반송 기구의 반송 동작과 동기한 회전 동작이 입력되는 입력축을 가지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각의 정해진 위상에 상기 제1 파형 부분을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단위 반송량 당, 상기 입력축의 1회전의 정수 배(1배 이상)의 회전량이 상기 입력축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반송량 당, 상기 입력축의 1회전의 정수 배(2배 이상)의 회전량이 상기 입력축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반제품끼리의 경계 위치로부터 상기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까지의 거리와, 상기 단위 반송량과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1파장을 내분(內分)함으로써 정해지는 위상에, 상기 제1 파형 부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정해진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출력부가 상기 가공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가공 목표 위치와 동일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가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6. 흡수성 물품과 관련된 복수의 반제품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동안에, 상기 반제품을 가공하고,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반제품에서의 가공 목표 위치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 걸쳐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반제품의 1개분에 해당하는 단위 반송량을 1파장으로 하는 파형의 기준 신호로서, 상기 1파장에서의 상기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위상에 제1 파형 부분을 갖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제의 가공 위치가 상기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679A 2009-03-02 2010-02-2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33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8393A JP5264562B2 (ja) 2009-03-02 2009-03-02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JP-P-2009-048393 2009-03-02
PCT/JP2010/052736 WO2010101045A1 (ja) 2009-03-02 2010-02-23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721A true KR20110127721A (ko) 2011-11-25
KR101533139B1 KR101533139B1 (ko) 2015-07-01

Family

ID=4270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679A KR101533139B1 (ko) 2009-03-02 2010-02-2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51268B2 (ko)
EP (1) EP2404583B1 (ko)
JP (1) JP5264562B2 (ko)
KR (1) KR101533139B1 (ko)
CN (1) CN102341079B (ko)
AR (1) AR075775A1 (ko)
AU (1) AU2010219818B2 (ko)
EA (1) EA201101107A1 (ko)
TW (1) TWI529116B (ko)
WO (1) WO2010101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3270B2 (ja) * 2010-11-01 2015-0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折り畳み装置、及び折り畳み方法
JP5841759B2 (ja) * 2011-07-01 2016-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排出方法
JP5841758B2 (ja) * 2011-07-01 2016-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排出方法
ITBO20110537A1 (it) * 2011-09-21 2013-03-22 Gdm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di articoli assorbenti igienici.
CN105934397B (zh) * 2014-01-27 2018-08-31 株式会社普利司通 传感器和监测系统
JP6049663B2 (ja) * 2014-07-31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6457835B2 (ja) * 2015-02-24 2019-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612086B (zh) * 2017-05-03 2023-04-21 宝洁公司 具有多个区的吸收制品
KR102319196B1 (ko) * 2020-01-08 2021-10-29 세메스 주식회사 컨베이어 시스템 및 컨베이어 시스템에서의 정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715A (en) * 1987-01-27 1989-06-0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lacement of components on absorbent articles
JPH02228962A (ja) * 1989-03-01 1990-09-11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US5359525A (en) 1990-05-01 1994-10-25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control of assembled components
US5045135A (en) 1990-11-15 1991-09-03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utoff register control for diaper machines
US6224699B1 (en) * 1998-11-12 2001-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frared imaging to detect components on personal care articles
US6652686B1 (en) * 1999-02-08 2003-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es and apparatus for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986820B2 (en) * 2000-01-21 2006-01-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es and apparatus for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2003166810A (ja) * 2001-12-04 2003-06-13 Kao Corp 不良品の検出方法
US6909106B2 (en) * 2002-09-17 2005-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b velocity-based registration control system
EP1607357B1 (en) * 2003-03-27 2010-05-19 Zuiko Corporation Folding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rticle being fixed
JP4246020B2 (ja) * 2003-09-08 2009-04-02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6957160B2 (en) * 2003-12-09 2005-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pre-produced webs with variable pitch length
JP4672997B2 (ja) * 2004-04-27 2011-04-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付加物の位置検出方法
JP4587914B2 (ja) * 2005-08-31 2010-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07126347A1 (en) * 2006-04-27 2007-11-08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sychroniying mark being used in sychroniyed positioning of at least one essentiallz continuous material web
JP4884204B2 (ja) * 2006-12-26 2012-02-29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
JP4914815B2 (ja) * 2007-11-28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加工装置
JP2010227546A (ja) * 2009-03-02 2010-10-14 Uni Charm Corp 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9116B (zh) 2016-04-11
EP2404583A1 (en) 2012-01-11
TW201041796A (en) 2010-12-01
AU2010219818A1 (en) 2011-09-22
EP2404583B1 (en) 2018-06-27
JP2010200908A (ja) 2010-09-16
EA201101107A1 (ru) 2012-08-30
AR075775A1 (es) 2011-04-27
US20120037474A1 (en) 2012-02-16
WO2010101045A1 (ja) 2010-09-10
KR101533139B1 (ko) 2015-07-01
CN102341079B (zh) 2014-06-25
CN102341079A (zh) 2012-02-01
AU2010219818B2 (en) 2015-02-05
EP2404583A4 (en) 2015-05-20
US8851268B2 (en) 2014-10-07
JP5264562B2 (ja)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7721A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54247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EP2881096B1 (en) Composite sheet production method and device
JP5677759B2 (ja) 不良ワーク排出装置
US9101512B2 (en) Absorbent-body manufacturing apparatus
JP5986842B2 (ja) 吸収性物品に係る個別包装品の連結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ITTO20120209A1 (it) Metodo ed apparato per il taglio di articoli assorbenti igienico-sanitari monouso indossabili a guisa di mutandina, del tipo prechiuso
JP5753757B2 (ja)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ル部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10127649A (ko) 개인용 위생용품 제조를 위한 기계
CN107530203B (zh) 用于形成吸收性卫生用品的单元和用于制造吸收性卫生用品的方法
KR20150071016A (ko) 흡수성 위생 용품 제조 장치
EP298626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absorbent sanitary articles
JP5746983B2 (ja) 清掃用ウエブ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299665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lding absorbent articles
JP2014526361A (ja) 吸収性衛生用品の製造用機械
JP2021045255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10461286B (zh) 用于制造吸收性物品的方法和装置
JP2004155586A (ja) 配置装置
CN110913813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以及吸收性物品制造装置
CN110799158B (zh) 吸收性物品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